KR0136172Y1 -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172Y1
KR0136172Y1 KR2019960044095U KR19960044095U KR0136172Y1 KR 0136172 Y1 KR0136172 Y1 KR 0136172Y1 KR 2019960044095 U KR2019960044095 U KR 2019960044095U KR 19960044095 U KR19960044095 U KR 19960044095U KR 0136172 Y1 KR0136172 Y1 KR 0136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belt
hinge shaft
vending machin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949U (ko
Inventor
봉래종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44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17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09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9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 G07B5/0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for avoiding incorrect action of the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를 통과한 롤지를 다수의 풀리(21)에 의해 작동되는 벨트(22)를 이용하여 자기헤드(24)에 보내어 정상 승차권으로 완성하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일단이 상기 벨트(22)의 일 경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 고정롤러(3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축(35); 상기 힌지축(35)과 연동되도록 힌지축(35) 상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롤러(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요동롤러(3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판(31); 및 상기 힌지축(35) 상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31)에 적절한 가압력을 작용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소정의 규격을 지닌 정상권을 발생하는 승차권발행부 내의 벨트가 이탈되는 현상을 배제하여 역무자동화의 효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본 고안은 승차권 발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대용량의 롤지를 구동시켜 소정의 규격을 지닌 정상권을 발행하는 승차권발행부 내의 벨트가 이탈되는 현상을 배제하기 위한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시에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지하철 등에 고용되는 승차권 발매기는 외부로 조작판넬부가 노출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승차권발행부, 지폐처리부, 동전처리부 등이 처리된다. 근래에는 카드가 각종 요금의 결재수단으로 이용되는 바, 지폐처리부 및 동전처리부와 병행하여 카드처리부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 밖에도 승차권 발매기에는 소정의 동작전원을 형성하는 전원부, 동전 수집함, 지폐 수집함 등이 설치된다.
지하철 이용자가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고 조작판넬부에서 목적지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요금처리 기능을 지니는 지폐처리부·동전처리부·카드처리부 등에서 요금을 정산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도록 하고, 승차권발행부 측으로 발권에 관한 정보를 보내어 소정의 기록이 입력된 승차권을 발행하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승차권의 표면에는 그 승차권의 구입장소, 구입년월일, 구간정보, 장애자 할인정보, 대인 및 소인의 구별 등이 인쇄되며, 자기바코드 등으로 구성되는 자기기록부가 설치되는 이면에는 각종 자기정보가 기록된다.
이러한 승차권을 발행하는 승차권발행부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처리동작을 신속히 수행해야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역무원이 유지·관리하는 시간이 절약되어 효율적인 역무 자동화를 이룰 수 있다.
제1도는 승차권 발매기 내부의 승차권발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승차권발생부(1) 내에는 급송부(11), 절단부(12), 인쇄부(13), 기록부(14), 반송부(15) 등이 각각 순차적으로 연속적인 동작이 일어나도록 배치된다.
상기 급송부(11)는 롤지(R)지 일방향으로 이송 또는 정지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상기 절단부(12)는 이송되는 롤지(R)의 일단을 규정된 길이로 자르는 기능을 지니고, 상기 인쇄부(13)는 이송되는 승차권의 전면에 소정의 시각정보를 기록을 하는 기능을 지니고, 상기 기록부(14)는 이송되는 승차권의 이면에 소정의 독출가능한 정보를 기록을 하는 기능을 지니고, 상기 반송부(15)는 이송되는 승차권이 정상이면 반환구(16)로 보내고 비정상이면 이용자에게 보내지 않고 폐표함(17)에 수집하는 기능을 지닌다.
이러한 급송부(11), 절단부(12), 인쇄부(13), 기록부(14), 반송부(15)는 다수의 풀리 및 벨트로 연결되어 일련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바, 풀리의 마모 및 벨트의 이완이 심하여 벨트가 이탈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승차권 발매기의 발권동작이 종종 중지되므로, 이용자 및 역무원의 불편을 초래하고 효율적인 역무자동화를 이룰 수 없다.
이에, 본 고안은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대용량의 롤지를 구동시켜 소정의 규격을 지닌 정상권을 발행하는 승차권발생부 내의 벨트가 이탈되는 현상을 배제하기 위한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승차권 발매기 내부의 승차권발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부분의 확대도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급송부 12 : 절단부
13 : 인쇄부 14 : 기록부
15 : 반송부 16 : 반환구
17 : 폐표함 21 : 풀리
22 : 벨트 23 : 롤러아암
24 : 자기헤드 30 : 고정롤러
31 : 지지판 32 : 고정롤러
32a,32a : 단부 33 : 요동롤러
34 : 스프링 35 : 힌지축
R : 롤지 M : 모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를 통과한 롤지를 다수의 풀리(21)에 의해 작동되는 벨트(22)를 이용하여 자기헤드(24)에 보내어 정상 승차권으로 완성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있어서:일단이 상기 벨트(22)의 일 경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 고정롤러(3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축(35); 상기 힌지축(35)과 연동되도록 힌지축(35) 상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롤러(3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요동롤러(3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판(31); 및 상기 힌지축(35) 상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31)에 적절한 가압력을 작용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롤러(32) 및 요동롤러(33)는 그 일측면에 적어도 2mm 이상의 높이를 지니는 단부(32a)(33a)가 형성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부분의 확대도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은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를 통과한 롤지를 다수의 풀리(21)에 의해 작동되는 벨트(22)를 이용하여 자기헤드(24)에 보내어 정상 승차권으로 완성하는 승차권 발매기에 적용되는 바, 지지판(31), 고정롤러(32), 요동롤러(33), 스프링(34) 등을 일체의 구조로 조립하여 상기 벨트(22)의 일지점에 접촉시키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일반적으로 벨트전동기구는 소정의 사용기간이 지나면 풀리(21)가 마모되고 벨트(22)가 이완되기 때문에 원심력을 받는 벨트(22)가 풀리(21)를 이탈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는데, 다수의 승객을 처리하는 가혹한 조건하에 작동되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때, 본 고안의 힌지축(35)은 일단이 상기 벨트(22)의 일 경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 고정롤러(3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고정롤러(32)는 벨트(22)의 일지점에 접촉되어 벨트(2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지만 힌지축(35)이 고정적인 위치를 점하므로 벨트(22)의 이완에 의한 이탈을 직접적으로 방지하지는 못한다.
또, 본 고안의 지지판(31)은 상기 힌지축(35)과 연동되도록 힌지축(35) 상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롤러(3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요동롤러(3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요동롤러(33)는 고정롤러(32)와 함께 지지판(31) 상에 평행하게 장착되고, 벨트(22)의 일지점에 접촉되어 벨트(2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요동롤러(33) 및 고정롤러(32)는 모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벨트(22)의 운동에 따른 마찰저항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 본 고안의 스프링(34)은 상기 힌지축(35) 상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31)에 적절한 가압력을 작용한다.
상기 스프링(4)은 스파이럴형 코일스프링이나 판 스프링을 사용하고,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본체 및 지지판(31)에 고정되도록 한다. 스프링(34)은 풀리(21)가 마모되고 벨트(22)가 이완되어도 벨트(22)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스프링 상수를 지닌 것을 사용한다.
이때, 사용 고정롤러(32) 및 요동롤러(33)는 그 일측면에 적어도 2mm 이상의 높이를 지니는 단부(32a)(33a)가 형성된다.
벨트(22)가 상기 단부(32a)(33a) 및 지지판(31) 사이를 통과하는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이 배제된다. 벨트(22)의 운동중 원심력에 의한 흔들림을 고려할 때 단부(32a)(33a)의 높이는 2mm 정도가 적당하다.
한편, 고정롤러(32) 및 요동롤러(33)의 폭과 벨트(22)의 폭 간에 차이가 작을 수록 벨트(22)가 마모되기 쉬우므로 양측으로 약 1mm 정도의 여유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는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소정의 규격을 지닌 정상권을 발행하는 승차권발행부 내의 벨트가 이탈되는 현상을 배제하여 역무자동화의 효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를 통과한 롤지를 다수의 풀리(21)에 의해 작동되는 벨트(22)를 이용하여 자기헤드(24)에 보내어 정상 승차권으로 완성하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일단이 상기 벨트(22)의 일 경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 고정롤러(3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축(35); 상기 힌지축(35)과 연동되도록 힌지축(35) 상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롤러(3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요동롤러(3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판(31); 및 상기 힌지축(35) 상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31)에 적절한 가압력을 작용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32) 및 요동롤러(33)는 그 일측면에 적어도 2mm 이상의 높이를 지니는 단부(32a)(3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KR2019960044095U 1996-11-30 1996-11-30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KR0136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095U KR0136172Y1 (ko) 1996-11-30 1996-11-30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095U KR0136172Y1 (ko) 1996-11-30 1996-11-30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949U KR19980030949U (ko) 1998-08-17
KR0136172Y1 true KR0136172Y1 (ko) 1999-03-30

Family

ID=1947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095U KR0136172Y1 (ko) 1996-11-30 1996-11-30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1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949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8085A (en) Sheet separating apparatus
KR0136172Y1 (ko)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JP3999882B2 (ja) シート媒体分離装置および自動改札装置
US6119936A (en) Bill validator having a magnetic read head with pressurizing device
KR19980030954U (ko) 승차권 발매기 잼방지 가이드구조
JP3965291B2 (ja) 磁気処理装置および券類処理装置
KR0175789B1 (ko)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수집장치
KR100375072B1 (ko) 현금자동 인출기의 명세표 공급장치
JP3241052B2 (ja) カード類処理装置
JP2865830B2 (ja) カード類処理装置
KR19980030955U (ko) 승차권 발매기용 롤지 잼 방지구조
KR100231264B1 (ko) 2웨이 티켓 발권기
KR100216218B1 (ko) 승차권 발행 롤장치
JP3676045B2 (ja) 記録媒体の一時待機部を備えた媒体搬送装置
KR19980040936A (ko)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KR19980041100U (ko) 승차권 발매기용 티켓걸림 방지구조
JPH0615335Y2 (ja) 多種券発行機
KR0136171Y1 (ko) 승차권 발매기용 롤홀더 기구
KR100216219B1 (ko) 승차권 발매기용 절단부 집진장치
KR100216217B1 (ko) 프리패이드 카드 방출장치
KR100202876B1 (ko) 승차권발매기용 인쇄장치
JPS5945181A (ja) 両面サ−マル印刷装置
JPH0476687A (ja) 有料道路用端末機
KR890002870Y1 (ko) 수표 발행장치
KR0170993B1 (ko)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반환구 셔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