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936A -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 Google Patents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936A
KR19980040936A KR1019960060192A KR19960060192A KR19980040936A KR 19980040936 A KR19980040936 A KR 19980040936A KR 1019960060192 A KR1019960060192 A KR 1019960060192A KR 19960060192 A KR19960060192 A KR 19960060192A KR 19980040936 A KR19980040936 A KR 19980040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section
vending machine
punch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6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936A/ko
Publication of KR1998004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936A/ko

Links

Landscapes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 기록부를 거치면서 소정의 기록이 입력된 티켓(T)을 형성하고, 비정상적인 티켓(T)은 프랫퍼(18), 전방풀리(12), 후방풀리(13)를 통하여 폐표함(17)으로 보내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프랫퍼(18)의 하류측으로 연하여 설치되고, 티켓(T)의 통과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21); 상기 전방풀리(12) 및 후방풀리(13) 사이에서 벨트(15)의 상측 및 하측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다이(22) 및 펀치(23); 상기 펀치(23)에 소정의 순간적인 작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24); 그리고 상기 검출센서(21)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24)를 짧은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제어부(6)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기의 승차권발행부에 펀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발행 직전의 승차권이 정상권이 아닐 때 완전하게 폐표로 처리하여 도난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펀칭장치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다수의 처리단계를 거쳐 이용자에게 보내기 직전의 승차권이 정상권이 아닐 때 폐표로서 수집하기 위한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승차권 발매기의 내부를 블럭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등에 고용되는 승차권 발매기는 외부로 조작/표시부(5)가 노출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승차권발행부(1), 지폐처리부(2), 동전처리부(3) 등이 설치된다. 근래에는 카드가 각종 요금의 결재수단으로 이용되는 바, 지폐처리부(2) 및 동전처리부(3)와 병행하여 카드처리부(4)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 밖에도 승차권 발매기에는 소정의 동작전원을 형성하는 전원부(도시 생략), 동전 수집함, 지폐 수집함 등이 설치되는데, 전원부는 다시 외부 교류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와, 외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을 보전하는 전지 등으로 구분된다.
지하철 이용자가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고 조작/표시부(5)에서 목적지를 입력하면 제어부(6)는 요금처리부라고 할 수 있는 지폐처리부(2)·동전처리부(3)·카드처리부(4)에서 요금을 정산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도록 하고, 승차권발행부(1) 측으로 발권에 관한 정보를 보내어 소정의 기록이 입력된 승차권을 발행하도록 한다.
승차권의 표면에는 그 승차권의 구입장소, 구입년월일, 구간정보, 장애자 할인정보, 대인 및 소인의 구별 등이 인쇄되며, 자기바코드 등으로 구성되는 자기기록부가 설치되는 이면에는 각종 자기정보가 기록된다.
이른바 기계적으로 독출가능한 자기정보는 발행시에 구입장소, 구입년월일, 구간정보, 장애자 할인정보, 대인 및 소인의 구별 등이 인쇄되며, 자기바코드 등으로 자기기록부가 설치되는 이면에는 각종 정보가 기록된다.
승차권은 당행권과 정액권 또는 정기권으로 발매되는데, 모두 수천매를 발매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승차권발행부(1) 내부의 롤(도시 생략) 상에 감겨있다.
당행권은 일반적으로 당일 내에 이용되는 까닭에 종이재로 제조되고, 정액권 및 정기권은 한달 또는 두달간의 사용 요금에 의해 비교적 장시간 사용되는 까닭에 쉽사리 훼손되지 않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진다.
이러한 승차권을 발행하는 승차권발행부(1)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처리동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여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역무원의 유지·관리하는 시간을 절감하여 효율적인 역무 무인화 및 자동화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승차권 발매기는 지폐, 동전 등 현금을 취급하기 때문에 항상 도난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데, 현금 뿐아니라 승차권까지 그 대상이 된다. 이러한 도난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금고를 두거나 경보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화되고 있다.
그러나, 비정상권으로 분류되어 별도로 수집되는 승차권의 처리가 소홀하기 때문에 그 중 정상권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유출되어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할 뿐아니라 이 과정에서 다른 주요부가 손상되어 이용자 및 역무원의 불편을 초래하고 역무자동화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다수의 처리단계를 거쳐 이용자에게 보내기 직전의 승차권이 정상권이 아닐 때 완전하게 폐표로 처리하여 수집하기 위한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승차권 발매기의 내부를 블럭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승차권 발행부2 : 지폐처리부
3 : 동전처리부4 : 카드처리부
5 : 조작/표시부6 : 제어부
10 : 본체11 : 상부풀리
12 : 전방풀리13 : 후방풀리
14 : 반환롤러15 : 벨트
16 : 반환대17 : 폐표함
18 : 프랫퍼21 : 검출센서
22 : 다이23 : 펀치
24 : 솔레노이드T : 티켓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 기록부를 거치면서 소정의 기록이 입력된 티켓(T)을 형성하고, 비정상적인 티켓(T)은 프랫퍼(18), 전방풀리(12), 후방풀리(13)를 통하여 폐표함(17)으로 보내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프랫퍼(18)의 하류측으로 연하여 설치되고, 티켓(T)의 통과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21); 상기 전방풀리(12) 및 후방풀리(13) 사이에서 벨트(15)의 상측 및 하측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다이(22) 및 펀치(23); 상기 펀치(23)에 소정의 순간적인 작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24); 그리고 상기 검출센서(21)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24)를 짧은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제어부(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다이(22)는 티켓(T)이 도입되는 선단면 및 배출되는 후단면에서 소정의 구배가 형성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승차권발행부(1)(도 1)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 기록부를 거치면서 소정의 기록이 입력된 티켓(T)을 형성하고, 비정상적인 티켓(T)은 프랫퍼(18), 전방풀리(12), 후방풀리(13)를 통하여 폐표함(17)으로 보내는 승차권 발매기에 적용된다.
이러한 승차권 발매기에는 급송부·절단부·인쇄부·기록부·반송부 등이 구비되고, 이들은 각각 순차적이고 연속적인 동작이 일어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부분은 다수의 모터에 각각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급송부는 롤지를 일방향으로 이송 또는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급송부는 미끄럼 마찰저항을 이용하여 롤지를 이동시키는데, 롤지의 이동으로 롤지가 감겨있는 승차권 롤이 회전한다.
상기 절단부는 급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롤지의 일단을 규정된 길이로 자르는 기능을 한다. 절단부는 커터를 빠른 속도로 작동시켜 롤지로부터 분리되는 일정 길이(예컨대 66mm)의 승차권을 형성한다.
상기 인쇄부는 상기 절단부에서 이송되어 오는 승차권의 전면에 소정의 시각정보를 기록을 하는 기능을 한다. 인쇄부는 다수의 미세히터를 지니고 소정 위치에서만 국부적으로 발열되는 서멀헤드(thermal head)를 구비한다.
상기 기록부는 인쇄부에서 이송되어 오는 승차권의 이면에 소정의 독출가능한 정보를 기록을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정보는 이용자가 목적지에 이르러 집찰기를 통과할 때 독출되고 정당한 이용인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때, 상기 반송부는 기록부에서 이송되어 오는 승차권이 불량이면 이용자에게 보내지 않고 폐표함(17)에 별도로 수집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폐표함(17)의 입구에는 티켓(T)을 폐표 처리하는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은 검출센서(21), 다이(22), 펀치(23), 솔레노이드(24) 등을 추가로 구성하고, 제어부(6)(도 1)의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검출센서(21)는 상기 프랫퍼(18)의 하류측으로 연하여 설치되고, 티켓(T)의 통과에 따라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검출센서(21)는 내부에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며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를 지니고, 광(光)에 의해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포토커플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커플러 대신 가동자의 접촉으로 내부의 접점이 기구적으로 단속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지 마이크로스위치는 작동의 방향성이 있으므로 티켓(T)에 의한 접촉이 원활하도록 적절한 방향으로 배치해야 한다.
또, 본 발명의 다이(22) 및 펀치(23)는 상기 전방풀리(12) 및 후방풀리(13) 사이에서 벨트(15)의 상측 및 하측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통상 티켓(T)은 얇은 두께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프레스 가공시 보다 펀치(23)의 쉬어(shear) 각도 및 다이(22)의 클리어런스를 엄밀하게 요하지 않는다. 펀치(23)의 직경은 티켓(T)의 마그네트부의 폭보다 크게 하여 티켓(T)이 완전히 무용화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이(22)는 티켓(T)이 도입되는 선단면 및 배출되는 후단면에서 소정의 구배가 형성된다.
프랫퍼(18)를 지나오는 티켓(T)은 벤딩된 상태이고 프랫퍼(18)를 이탈하는 순간 어느 정도 탄성으로 복귀되므로 다이(22)와 벨트(15) 사이의 좁은 틈새로 진입하기 어려운 바, 다이(22)의 양측으로 구배를 형성하여 티켓(T)이 도입,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24)는 상기 펀치(23)에 소정의 순간적인 작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솔레노이드(24)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펀치(23)를 전진시키고, 신호가 제거되면 자체의 스프링력으로 복귀되는 형식을 사용한다. 티켓(T)은 얇은 두께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솔레노이드(24)은 작동력이 작은(예컨대 5kgf 이하) 소형의 것을 사용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검출센서(21)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24)를 짧은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제어부(6)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6)의 기능은 도1 및 도2를 이용한 본 발명의 작동설명으로 명확히 이해된다.
승차권발행부(1)에서 CPU를 지니고 마이컴제어 되는 제어부(6)는 지폐처리부(2)·동전처리부(3)·카드처리부(4) 등의 요금처리부 및 조작/표시부(5)에 배선연결되지만, 제어부(6)의 출력단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지니는 승차권발행부(1)도 배선연결 된다. 즉,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절단부·인쇄부·기록부 등은 물론 검출센서(21) 및 솔레노이드(24)에도 배선연결된다.
지하철 이용자가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고 조작/표시부(5)에서 목적지를 입력하면 제어부(6)는 화폐의 진위 및 금액을 확인한 후 급송부를 회전시키고, 롤지 상에 감겨져 있는 승차권이 절단부에 도달하도록 한다.
절단부에서 규정된 크기로 절단되는 승차권은 벨트 상에서 이송되면서 인쇄부(13) 및 기록부(14)에서 소정의 정보가 기록된 후 양부판정된다. 제어부(6)에서 승차권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반환대(16)로 배출시키도록 처리된다.
양부판정은 상기 각 단계를 연결하여 승차권을 이동시키는 벨트 상에 장착되는 센서수단(도시 생략)의 입력을 받아 제어부(6)에서 행하는데, 승차권의 절단된 크기 또는 기록 상태 등이 판정의 대상이다.
이때, 제어부(6)는 승차권이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면 솔레노이드(도시 생략)를 온 시켜 프랫퍼(18)가 이송되어 오는 불량 티켓(T)의 흐름을 폐표함(17) 측으로 유도하도록 한다. 마이컴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6)는 급송부·절단부·인쇄부·기록부 등에 각각 설치되는 광센서의 입력을 받아 승차권의 흐름이 원활한지 또는 상기 어느 부분에서 승차권이 걸린 상태인지를 판단하면서,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되는 반송부에서 검출센서(21)의 입력을 받는 순간 솔레노이드(24)를 작동시켜 통과되는 티켓(T) 상에 펀치(23)에 의한 관통홀을 형성한다.
티켓(T)은 펀치(23)가 작동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정지되지만 펀치(23)가 복귀된 후 벨트(15)의 마찰력으로 이동을 계속하여 폐표함(17)에 수집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는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승차권발행부에 펀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발행 직전의 승차권이 정상권이 아닐 때 완전하게 폐표로 처리하여 도난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 기록부를 거치면서 소정의 기록이 입력된 티켓(T)을 형성하고, 비정상적인 티켓(T)은 프랫퍼(18), 전방풀리(12), 후방풀리(13)를 통하여 폐표함(17)으로 보내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프랫퍼(18)의 하류측으로 연하여 설치되고, 티켓(T)의 통과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센서(21);
    상기 전방풀리(12) 및 후방풀리(13) 사이에서 벨트(15)의 상측 및 하측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다이(22) 및 펀치(23);
    상기 펀치(23)에 소정의 순간적인 작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24); 그리고
    상기 검출센서(21)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24)를 짧은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제어부(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22)는 티켓(T)이 도입되는 선단면 및 배출되는 후단면에서 소정의 구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KR1019960060192A 1996-11-30 1996-11-30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KR19980040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192A KR19980040936A (ko) 1996-11-30 1996-11-30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192A KR19980040936A (ko) 1996-11-30 1996-11-30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936A true KR19980040936A (ko) 1998-08-17

Family

ID=6647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192A KR19980040936A (ko) 1996-11-30 1996-11-30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9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504B1 (ko) * 2007-01-25 2008-08-22 서흥모 자기 테이프 티켓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504B1 (ko) * 2007-01-25 2008-08-22 서흥모 자기 테이프 티켓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37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знак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напечатанной на документах (варианты)
US3850299A (en) Card transport and capture mechanism
EP0814439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uthenticating and/or counting documents
EP0378661B1 (fr) Caisse automatique
KR19980040936A (ko)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JP3999882B2 (ja) シート媒体分離装置および自動改札装置
KR100216218B1 (ko) 승차권 발행 롤장치
KR100215977B1 (ko) 승차권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KR19980040935A (ko) 승차권 발매기용 롤지 잔량 처리장치
KR100216219B1 (ko) 승차권 발매기용 절단부 집진장치
KR100216671B1 (ko) 유가증권의 위조여부 판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0175789B1 (ko)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수집장치
JP2861299B2 (ja) 紙幣識別装置
KR0136172Y1 (ko)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JPS5812617B2 (ja) 有料道路通行券確認機
JP4380840B2 (ja) 券類処理装置
KR100739940B1 (ko) 영수증 발행기 및 그 제어방법
JPS6121713Y2 (ko)
KR20020001930A (ko)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JP2002109575A (ja) 券類処理装置、定期券発行機、及び精算機
JPH07320004A (ja) カード処理装置
KR0170993B1 (ko)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반환구 셔터 장치
JP2975809B2 (ja) 自動改札装置
KR19980030954U (ko) 승차권 발매기 잼방지 가이드구조
KR100231264B1 (ko) 2웨이 티켓 발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