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305B1 -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305B1
KR0152305B1 KR1019940702999A KR19940702999A KR0152305B1 KR 0152305 B1 KR0152305 B1 KR 0152305B1 KR 1019940702999 A KR1019940702999 A KR 1019940702999A KR 19940702999 A KR19940702999 A KR 19940702999A KR 0152305 B1 KR0152305 B1 KR 0152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mage sensor
code
banknot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580A (ko
Inventor
히카루 이자와
야스히코 마스다
토이쓰 오오야
도키미 나고
Original Assignee
가미히가시 고이치로
니혼 긴센 기카이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미히가시 고이치로, 니혼 긴센 기카이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미히가시 고이치로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3/001874 external-priority patent/WO1994015321A1/ja
Publication of KR95070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8View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6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using a biometric sensor integrated in the p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0Tracking or tracing valuable papers or casset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04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digital security elements, e.g. information coded on a magnetic thread or stri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이동통로에 따라서 반송장치 (15)에 의하여 지폐 (14)를 이동하면서 지폐 (14)의 이동통로에 근접하여 설치된 이미지센서 (17)에 의하여 지폐 (14)에 인쇄된 부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이미지센서(17)의 출력에 의거하여 인자장치 (19)에 의하여 읽어낸 부호를 인자한다.
종이류에 기록된 부호를 자동적으로 기록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종이 취급장치, 특히 종이상에 인쇄된 패턴을 인자할 수 있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배경기술]
지폐 감별장치는, 자동 판매기, 표 판매기, 자동예금장치등 각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폐 감별의 기본적 기술은, 주로 광학식 감별법과 자기식 감별법으로 대별된다. 광학식 감별법에서는, 포토센서를 사용하여 지폐에 대한 반사 광량 또는 투과 광량을 측정하여, 지폐의 치수 및 인쇄상태를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지폐의 진위를 판정한다. 또, 자기식 감별법에서는, 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자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진위 판정을 한다. 필요에 따라서 광학식 감별법과 자기식 감별법을 변용하여 엄중한 지폐감별을 하는 경우도 있다.
예로서, 특개소 60-77287 호 공보에는 지폐 반송장치 및 지폐 감별용의 자기헤드를 갖춘 지폐 장치가 개시되고, 또, 미국특허 제 4,628,194 호 명세서에는 광학식 센서와 자기식 센서를 갖춘 지폐 감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해외교류가 매우 융성하게 된 오늘날, 국내통화를 외국통화로 환금하여 외국에서 환금된 통화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이 경우, 외국통화에 위조지폐가 포함되어 있으며, 악의 없는 사용자에 대하여 폐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조지폐가 판명된 시점에서 환금한 금융기관이 판명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에는 외국지폐로 환금한 금융기관에서는, 지불하는 외국지폐의 부호 또는 번호를 전부 기록해서 보존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여 종이에 인쇄된 표면을 기록할 수가 있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한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는, 종이의 이동통로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또한 종이의 광학적 특징 및 자기적 특징을 검출하는 감별센서와, 감별센서의 출력에 의하여 종이의 진위를 판정하는 종이 감별수단을 가지는 판독제어장치와, 판독제어장치의 출력에 의하여 구동되며 또한 이동통로를 따라서 종이를 이동하는 반송장치를 구비한 종이류 감별장치에 있어서, 종이의 통과를 검출하는 통과검출센서와, 종이의 이동통로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또한 종이에 인자된 부호 표시영역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판독제어장치로 전기신호를 송출하는 이미지센서와, 이미지센서로부터 얻은 부호표시영역의 이미지를 그대로 전사하는 인자장치를 구비하며, 판독제어장치는, 통과검출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종이에 인쇄된 부호표시영역이 이미지센서를 통과할 때 이미지센서를 작동함과 함께, 부호표시영역의 전체의 이미지의 판독을 완료한 후, 인자장치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이는 지폐이다. 판독제어장치는, 이동하는 종이의 반송방향을 따른 이미지신호를 이미지센서의 출력으로부터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부호검출수단을 가진다. 부호검출수단이 반송방향에 따른 부호표시영역의 충분한 판독을 검출하였을 때, 반송장치는 종이를 반송통로 밖으로 배출구로부터 배출하고, 판독제어장치가 종이를 진짜가 아니라고 판단한 때에는 반송장치를 역전하여 종이를 삽입구로 되돌리고, 판독제어장치가 종이를 진짜로 판단하거나 또는 부호검출수단이 부호의 충분한 판독을 검출하지 않은 때에는 반송통로의 배출구에서 종이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판독제어장치는 종이를 진짜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부호검출수단이 반송방향에서 부호표시영역 전체의 이미지의 충분한 판독을 검출한 후, 인자장치를 작동시킨다.
판독제어장치는 이동하는 지폐의 배치 방향을 확인하고, 배치방향이 반대인 경우에는 인자장치로 송출하는 출력의 배열을 변경한다. 판독제어장치는 이미지센서의 출력을 기억해서 인자장치로 송출하는 기억장치를 가진다. 종이감별장치가 종이가 진짜임을 검출하지 않을 때, 판독제어장치는 기억장치에 기억된 내용을 소거한다.
인자장치는 이미지센서의 출력 및 감별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종이에 인쇄된 부호표시영역 및 종이의 종류를 기록한다.
반송장치는 배출구에 인접해서 설치되며 또한 원웨이 클러치를 가지는 배출장치를 갖추고 있다. 힘을 가하는 수단은 이미지센서에 대해서 종이를 밀착시킨다. 이미지센서의 앞면부에 종이의 끝부를 검출하는 끝부 검출센서가 설치된다.
반송장치는, 이동통로를 따라서 지폐 등의 종이를 이동시킨다.
종이 감별장치는, 종이의 이동중에 종이의 진위를 판정한다. 반송장치의 속도제어장치는, 종이에 인쇄된 부호가 이미지센서를 통과할 때 종이의 이동속도를 감속하며, 판독제어장치는, 종이에 인쇄된 부호가 이미지센서를 통과할 때에 이미지센서에 힘을 가한다. 전기공급장치는 이미지센서에 대하여 종이를 밀착시킨다. 이미지센서의 전방에서, 끝부 검출센서가 종이의 끝부를 검출한 후, 이미지센서는 종이에 인쇄된 부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판독제어장치로 송출한다. 판독제어장치의 기억장치는 이미지센서의 출력을 기억하여 인자장치로 송출한다. 종이 감별장치가 종이가 진짜라고 검출하지 않을 때, 판독제어 장치는 기억장치에 기억된 내용을 소거한다. 종이에 인쇄된 부호가 이미지센서를 통과한 후에, 판독 제어장치는 종이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킨다. 또, 판독제어장치의 패턴 인식장치는, 이미지센서의 출력을 패턴 인식해서 종이에 인쇄된 부호를 판독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류 부호 인쇄장치의 기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제2도는 이미지센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류 부호 인쇄장치의 기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판독제어장치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5도는 지폐의 정면도.
제6도는 부호 및 금액종류가 인자된 기록자의 인쇄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지폐부호 기록장치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지폐부호 기록장치의 약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지폐부호 기록장치의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 제9도에 관련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지폐 감별장치를 가지는 본 발명의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의 실시예로서 지폐부호 기록장치(10)를 나타낸다.
지폐부호 기록장치(10)는, 호퍼(11)와 인접하는 삽입구(12)로부터 배출구(13)까지 종이로서의 지폐(14)를 이동시키는 반송장치(15)를 가진다. 반송장치(15)는 벨트(21)와, 벨트(21)를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키트(22)와, 벨트(21)를 소정위치에 유지시키는 여러개의 롤러(23)를 가진다. 여하간, 반송장치(15)는 공지의 지폐 반송장치 또는 종이류 이동장치를 사용할 수가 있다. 벨트(21)에 의해서 이동되는 지폐(14)의 이동통로에 인접해서 감별센서(16)의 광학식 센서(24) 및 (25) 및 자기식 센서(26)가 배치됨과 동시에, 이미지센서(17)가 배치된다. 지폐 감별센서(16)는 광원(27) 및 (28)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광학식 센서(24) 및 (25) 및 자기식 센서(26)의 출력에 의거해서 지폐(14)의 진위 및 금액종류를 판정하기 위한 출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종래의 지폐 감별장치에 사용되는 전기적 및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서, 통과검출센서인 광학식 센서(24) 및 (25)에 의하여 지폐(14)의 크기 및 표면의 인쇄패턴을 판독하고, 소정의 크기인가 여부 또는 소정의 인쇄패턴을 가지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따라서, 광원(27) 및 (28)은 가시광선을 발생하는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가 있다. 광학식 센서(24) 및 (25)는 광원(27) 및 (28)으로부터 발사된 광이 지폐(14)를 통과한 투과광 또는 지폐(14)의 표면에서 반사한 반사광중 어느 것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자기식 센서(26)는 지폐(14)의 표면에 인쇄된 자성재료를 검출한다.
이미지센서(17)는, 지폐(14)에 인쇄된 숫자, 알파벳 또는 기타의 기호에 의하여 표시된 지폐번호(제5도)로서의 부호(18)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지폐번호로서의 부호(18)는 제5도와 같이 지폐의 소정위치에 사전에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감별센서(16)의 출력에 의거, 판독제어장치(20)내에 설치된 지폐 감별장치에 의하여 지폐(14)의 금액 종류를 정확히 판독하면, 부호(18)위치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가 있다.
판독제어장치(20)의 지폐 감별장치에 의해서 판독된 지폐(14)의 금액 종류 및 진위의 판단결과를 수신해서, 지폐(14)에 인쇄된 부호(18)가 이미지센서(17)를 통과할 때에 이미지센서(17)에 전기를 공급한다. 판독제어장치(20)는 도시가 생략된 이미지센서(17)의 출력을 패턴 인식해서 지폐(14)에 인쇄된 부호(18)를 판독하는 패턴인식장치를 가진다. 또, 호퍼(11)에는 지폐(14)가 역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대로 역배치 상태에서 반송장치(15)에 의하여 반송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에, 감별센서(16)의 출력에 의거 판독제어장치(20)는 이동되는 지폐(14)의 배치방향을 확인하고, 배치방향이 반대인 경우는 인자장치(19)로 송출하는 출력의 배열을 변경한다. 판독제어장치(20)는 이미지센서(17)의 출력을 기억하여 인자장치(19)로 송출하는 기억장치(32)를 가지며, 감별센서(16)의 출력을 받은 판독제어장치(20)내의 지폐 감별장치가 지폐(14)가 진짜임을 검출하지 않을 때, 판독제어장치(20)는 기억장치(32)에 기억된 내용을 소거한다.
인자장치(19)는, 이미지센서(17)의 출력 및 감별센서(16)의 출력을 수신하는 판독제어장치(20)의 출력에 의거해서 지폐(14)에 인쇄된 부호(18) 및 지폐(14)의 종류를 인자한다.
반송장치(15)는 구동 스프로키트(22)를 구동하는 모터(30) 및 모터 구동회로(31)를 가진다. 모터 구동회로(31)는 지폐(14)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장치를 가지며, 지폐(14)에 인쇄된 부호(18)가 이미지센서(17)를 통과할 때 지폐(14)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고, 지폐(14)에 인쇄된 부호(18)가 이미지센서(17)를 통과한 후에 지폐(14)의 이동속도를 증가한다. 벨트(21)에 의하여 이동되는 지폐(14)가 광학식 센서(24)를 통과하였을 때에, 지폐(14)상의 부호(18)가 벨트(21)의 반송 속도로부터 이미지센서(17)를 언제 통과시킬 것인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이미지센서(17)는 제2도와 같이 광원(17a)과, 광원(17a)로부터 조사되고, 또한 지폐(14)의 표면상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집속성파이버(17b)와 집속성파이버(17b)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CCD이미지센서(17c)를 가진다. CCD이미지센서(17c)의 출력은 판독제어장치(20)에 송출된다.
판독제어장치(20)는 제3도와 같이 실제로서 원칩 마이크로 콤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독제어장치(20)에는 판독제어장치(20)에 각종의 프로그램 지령을 부여하는 텐키스위치(33)와 판독제어장치(20)에 전기를 공급하는 포토 커플러등으로 구성된 입구센서(29)와 호퍼(11) 및 반송장치(15)와 인접해서 설치되고, 또한 호퍼(11)내의 지폐(14)의 유무등, 지폐(14)의 각종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검지스위치(35~39)와 이미지 센서(17)와 감별센서(16)와의 출력을 수신하는 입력단자가 설치된다. 또, 판독제어장치(20)에는 호퍼(11)로부터의 지폐(14)의 불출을 제어하는 호퍼 불출회로(40)와 모터 구동회로(31)와 이미지센서(17)의 전력공급 및 단절을 제어하는 이미지 센서 구동회로(41)와, 감별센서(16)의 전력 공급 및 단절을 제어하는 감별센서 구동회로(42)와, 진짜 지폐가 아닌 지폐(14)를 일정한 수납위치에 수용하는 리젝트 구동회로(43)와 정규의 지폐(14)를 일정한 수납위치에 수용하는 스태커·구동회로(46)와 인자장치(19)의 프린터 제어회로(44)에 접속된 출력 단자가 설치된다.
판독제어장치(20)에서는 지폐(14)의 진위 및 기타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5)가 설치되어 있다. 리젝트 구동회로(43) 및 스태커·구동회로(46)는 각각 반송장치(15)로부터 보내어지는 지폐(14)를 수납하는 리젝트 포켓(43a) 및 스태커(46a)를 가진다. 반송장치(15)의 하방에는 디플렉터(47)가 설치되고, 디플렉터(47)의 각도에 의하여 반송된 지폐(14)를 리젝트 포켓(43a) 및 스태커(46a)를 가진다. 반송장치(15)의 하방에는 디플렉터(47)가 설치되고, 디플렉터(47)의 각도에 의하여 반송된 지폐(14)를 리젝트 포켓(43a) 및 스태커(46a)중 어느것에 수납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상기 구성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지폐부호 기록장치(10)의 동작 시퀀스를 제4도에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에 의거 설명한다.
스텝 50의 스타트로부터 스텝 51에서 판독제어장치(20)는 입구센서(29)가 온으로 전환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입구센서(29)가 오프 상태이면, 스타트로 돌아가서 온으로 전환되면, 스텝 51로부터 52로 진행한다. 스텝 52에서 검지스위치(35)가 호퍼(11)내에 수납된 지폐(14)를 검출하면, 판독제어장치(20)는 호퍼 불출 회로(40)로 출력을 송출하여 호퍼(11)로부터 반송장치(15)로 지폐(14)를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판독제어장치(20)는 모터 구동회로(31)에 출력을 부여하여 반송장치(15)를 구동한다(스텝 53). 이에 의하여 반송장치(15)는 삽입구(12)로부터 배출구(13)까지 이동통로를 따라서 지폐(14)를 이동시킨다. 지폐(14)의 선단이 광학식 센서(24)를 통과하였을 때, 판독제어장치(20)는 지폐(14)의 이송량 계수를 개시한다. 또, 지폐(14)가 광학식 센서(24 및 25) 및 자기 센서(26)를 통과할 때, 광학식 센서(24 및 25) 및 자기센서(26)는 각각 지폐(14)의 형상, 광학적 특징 및 자기적 특징을 검출하여 판독제어장치(20)로 송출하고(스텝 54), 판독제어장치(20)내의 지폐 감별장치는 지폐(14)의 이동중에 지폐(14)의 금액종류 및 진위를 판정한다.
지폐(14)의 이송량을 계수하는 판독제어장치(20)는 지폐(14)에 인쇄된 부호(18)가 이미지센서(17)를 통과하는 시기를 결정하고, 부호(18)가 이미지센서(17)의 직전에 도달하였을 때, 모터 구동회로(31)를 통해서 지폐(14)의 이송속도를 감속한다(스텝 55). 모터(30)가 스텝핑 모터인 경우에 모터 구동회로(31)로 송출되는 펄스레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지폐(14)의 반송속도를 감속할 수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모터 구동회로(31)에 부여하는 전력을 아나로그량으로 하여 변화시킴으로써 지폐(14)의 반송속도를 감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판독제어장치(20)는 지폐(14)에 인쇄된 부호(18)가 이미지센서(17)를 통과할 때에 이미지센서 구동회로(41)로 출력을 송출하여 이미지센서(17)에 전기를 공급한다(스텝 56). 이미지센서(17)는 지폐(14)에 인쇄된 부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때, 스텝(57)에서 판독제어장치(20)는 감별센서(16)로부터 송출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이동되는 지폐(14)의 배치방향을 확인하고, 배치방향이 반대인 경우에는 스텝 58에서 이미지센서(17)의 출력을 변환한 후에 스텝 59에서 지폐(14)의 금액종류 및 부호의 이미지를 기억장치(32) 내에 기억한다. 스텝 57에서 반송되는 지폐(14)가 소정의 방향에 있을 때에는 스텝 57로부터 59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 60에서는 판독제어장치(20)는 지폐(14)의 진위를 판단한다. 지폐(14)가 진짜 지폐인 경우에는 스텝 61에서 부호(18)의 전체 영역을 판독완료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부호(18)의 전체영역의 판독을 완료하지 않았을 때에는 스텝 59로 돌아간다. 부호(18)의 전체영역의 판독을 완료하였을 때 스텝 62에서 판독제어장치(20)는 이미지센서 구동회로(41)로의 출력을 정지하고, 이미지센서(17)로의 전기공급을 단절한다. 이어서, 스텝 63에서 판독제어장치(20)의 기억장치(32)는 이미지센서(17)의 출력을 기억해서 인자장치(19)로 송출한다. 인자장치(19)는 판독제어장치(20)의 출력에 의거해서 지폐(14)의 인쇄된 부호(18) 및 지폐(14)의 종류를 인자한다. 제6도는 부호(18) 및 금액 종류(48)가 표시된 기록지(49)를 나타낸다. 기록지(49)에는 또한 일자, 시간, 금액종류별 합계 금액, 전 금액 종류별 합계 금액, 약속어음, 레이트, 불출 매수 등 정보가 표시된다. 일자, 시간, 금액, 종류별 합계금액, 전 금액 종류 합계 금액, 약속어음 레이트, 불출매수등의 정보는 판독제어장치(20)에 내장된 타이머, 연산회로 등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약속어음 레이트는 텐키스위치(33)에 의해서 입력된다.
이와 동시에, 지폐(14)에 인쇄된 부호(18)가 이미지센서(17)를 통과한 후에 판독제어장치(20)는 모터 구동회로(31)로의 펄스레이트를 증가시켜 지폐(14)의 반송속도를 증가시킨다(스텝 64). 그후, 스태커·구동회로(46)가 작동되고, 지폐(14)는 배출구(13)로부터 디플렉터(47)에 의해서 하방의 스태커(46a)로 배출된다(스텝 65).
스텝 60에서 지폐(14)가 진짜임을 판독제어장치(20)가 검출하지 않을 때, 스텝 66에서 판독제어장치(20)는 기억 장치(32)에 기억된 내용을 소거하고, 그후, 판독제어장치(20)는 디플렉터(47) 및 반송장치(15)의 리젝트 구동회로(43)를 구동하여 지폐(14)를 리젝트 포켓(43a)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진짜 지폐가 아닐 때, 인자장치(19)를 작동시키는 일을 없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지폐부호 기록장치(10)의 사시도이다. 지폐부호 기록장치(10)의 상면에는 텐키스위치(33)와 인자장치(19)와 호퍼(11)가 설치된다. 호퍼(11)의 하방에는 진짜 지폐가 아닌 지폐(14)를 수용하는 리젝트 포켓(43a)과 정규의 지폐(14)를 수용하는 스태커(46a)가 설치된다. 또, 경사면에는 표시부(45)가 설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감별결과가 진짜라도 부호를 패턴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지폐를 리젝트 포켓(43a) 또는 스태커(46a) 중 어느 하나에 배출한다. 그러나, 리젝트 포켓(43a)에는 진짜 지폐와 가짜 지폐가 혼재하게 되어 스태커(46a)에는 부호가 명료한 지폐와 불명료한 지폐가 혼재하므로, 지폐의 취급이 번잡하게 된다. 또, 리젝트 포켓을 설치하기 위하여 장치 전체로서 커지고, 코스트 없의 원인이 되었다.
제8도와 같이 발광다이오드(71a)에 대향해서 설치된 수광 트랜지스터 등의 입구센서(71)와 입구센서(71)에 대향해서 배치된 발광다이오드(72)와 광학식센서(24)에 대향해서 배치된 발광다이오드(73)와 이미지센서(17)의 앞부분에서의 지폐(14)의 끝부를 검출하는 끝부 검출센서(74)와 끝부 검출센서(74)에 대향해서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75)와 이미지센서(17)에 대향해서 설치되고, 또한 이미지센서(17)에 대해서 지폐(14)를 밀착시키는 전력공급장치(76)와 반송장치(15)의 일부로서 배출구(13)에 인접해서 설치된 배출장치(78)와 배출장치(78)의 배출구(13)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또한 지폐(14)의 끝부를 검출하는 끝부 검출센서(79)와 끝부 검출센서(79)와 대향해서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80)를 갖추고 있다. 배출장치(78)에 감긴 벨트는 구동 스프로키트(81)에 의하여 구동된다. 구동 스프로키트(81)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웨이 클러치를 갖추고 있다.
힘을 가하는 장치(76)는 축(8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벨클랭크(83)와 벨클랭크(83)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지폐(14)를 이미지센서(17)에 누르는 롤러(84)와 벨클랭크(83)의 다른 한끝에 장착되고, 또한 롤러(84)를 이미지센서(17)측으로부터 사이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85)와 스프링(85)의 탄력에 저항해서 롤러(84)를 이미지센서(17)측으로 힘을 가하는 솔레노이드(86)를 갖추고 있다.
제9도와 같이 본 실시예의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는 케이스(90)에 형성된 삽입구(12) 및 배출구(13)와 배출구(13)로부터 배출되는 지폐(14)를 수용하는 지폐 배치대(91)를 갖추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삽입구(12)에 지폐(14)를 삽입하면, 통과검출센서인 입구센서(71)가 지폐(14)의 삽입을 검출한다. 입구센서(71)의 출력에 의하여 판독제어장치(20)는 반송장치(15)의 모터를 정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지폐(14)는 감별센서(16) 및 또 다른 통과검출센서인 끝부 검출센서(74)를 통과한다. 그 후, 감별센서(16)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판독제어장치(20)는 지폐(14)의 진위를 판정한다.
지폐(14)가 진짜인 경우는 솔레노이드(86)가 작동되고, 스프링(85)의 탄력에 저항해서 롤러(84)에 의하여 지폐(14)를 이미지센서(17)로 누른다. 끝부 검출 센서(74)의 출력을 수신한 판독제어장치(20)는 반송장치(15)의 모터(스테핑모터)의 구동펄스에 의하여 지폐(14)에 인쇄된 부호의 위치를 결정하고, 인쇄된 부호가 이미지센서(17)를 구동한다. 이미지센서(17)의 출력으로부터 부호 검출장치는 충분한 부호 판독 신호를 검출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부호 검출장치가 충분한 부호 판독신호를 검출하면, 부호 판독 신호에 의하여 인자장치(19)는 이미지를 인자한다. 또한 지폐(14)가 끝부 검출센서(79)를 통과한 후, 일정한 반송 길이 만큼 반송장치(15)를 구동시킨 다음, 반송용 모터를 정지시킨 후, 표시부(45)에 의하여 표시 결과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지폐(14)는 배출구(13)로부터 완전히 배출되어서 지폐 배치대(91)상에 뒤집힌 상태로 배치된다.
부호 검출장치가 충분한 부호 판독 신호를 검출하지 못할 때, 반송장치(15)로부터 배출장치(78)로 이동한 지폐(14)를 소정량 만큼 이동시키고, 제9도의 점선 표시와 같이 지폐(14)의 끝부가 배출구(13)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배출장치(78)의 작동이 정지된다. 배출장치(78)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표시부(45)에 판독불량이 표시됨과 동시에, 끝부 검출센서(79)가 계속해서 지폐(14)의 존재를 검출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키트(81)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출구(13)로부터 돌출하는 지폐(14)를 용이하게 끌어낼 수가 있다.
지폐(14)가 진짜가 아닌 경우에는 표시부(45)에 의해서 진짜가 아님을 표시함과 동시에, 반송장치(15)의 구동모터를 정지한 다음 역전시킨다. 이 때문에, 지폐(14)는 감별센서(16) 및 입구센서(71)를 통과해서 삽입구(12)로부터 배출되고, 그 후, 반송장치(15)의 운전이 정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부호(18)를 단순히 부분적으로 복사할 뿐만 아니라 판독제어장치(20)에 패턴 인식장치를 설치하고, 이미지센서(17)의 출력을 패턴 인식해서 지폐914)에 인쇄된 부호(18)를 판독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부호(18)를 패턴인식하는 기억장치(32)에 기억시키는 기억된 다수의 부호(18)의 기계 검색이 용이하게 된다. 또, 기억장치(32)는 판독제어장치(20)에 접속된 ROM 또는 RAM외에, 판독제어장치(20)에 내장된 하드 디스크 또는 기타 각종의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턴인식장치에 의하여 인식되지 않은 부호를 가지는 지폐를 진짜 지폐로 판단하지 않고, 리젝트 포켓(43a)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폐의 부호를 기록하는 장치로서 나타내었으나 지폐 이외의 유가증권 등을 포함하는 다른 서류에 인쇄된 부호의 기록에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을 알수 있을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에 인쇄된 표면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가 있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를 얻을 수가 있고, 종이류를 취급하는 사무의 노력 절약에 크게 공헌하는 것은 분명하다.

Claims (12)

  1. 종이의 이동통로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또한 종이의 광학적 특징 및 자기적 특징을 검출하는 감별센서와, 감별센서의 출력에 의하여 종이의 진위를 판정하는 종이 감별수단을 가지는 판독제어장치와, 판독제어장치의 출력에 의하여 구동되며 또한 이동통로를 따라서 종이를 이동하는 반송장치를 구비한 종이류 부호 감별장치에 있어서, 종이의 통과를 검출하는 통과검출센서와, 종이의 이동통로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또한 종이에 인자된 부호 표시영역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판독제어장치로 전기신호를 송출하는 이미지센서와, 이미지센서로부터 얻은 부호표시영역의 이미지를 그대로 전사하는 인자장치를 구비하며, 판독제어장치는, 통과검출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종이에 인쇄된 부호표시영역이 이미지센서를 통과할 때 이미지센서를 작동함과 함께, 부호표시영역의 전체의 이미지의 판독을 완료한 후, 인자장치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종이는 지폐인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판독제어장치는, 이동하는 종이의 반송방향에 따른 이미지신호를 이미지센서의 출력으로부터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부호검출수단을 가지며 부호검출수단이 반송방향에 따른 부호표시영역의 충분한 판독을 검출하였을 때, 반송장치가 종이를 반송통로밖으로 배출구로부터 배출하고, 판독제어장치가 종이를 진짜가 아니라고 판단한 때에는 반송장치를 역전하여 종이를 삽입구로 되돌리고, 판독제어장치가 종이를 진짜로 판단하거나 또는 부호검출수단이 부호이미지의 충분한 판독을 검출하지 않은 때에 반송통로의 배출구에서 종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판독제어장치가 종이를 진짜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부호검출수단이 반송방향으로 부호표시영역 전체의 이미지의 충분한 판독을 검출한 후, 인자장치를 작동하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판독제어장치는 이동되는 지폐의 배치 방향을 확인하고, 배치방향이 반대인 경우는 인자장치로 송출하는 출력의 배열을 변경하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판독제어장치는 이미지센서의 출력을 기억해서 인자장치로 송출하는 기억장치를 가지며, 종이가 진짜인 것을 종이감별수단이 검출하지 않은 때에는, 판독제어장치가 기억수단에 기억된 내용을 소거하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인자장치는 이미지센서의 출력 및 감별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종이에 인쇄된 부호표시영역 및 종이의 종류를 기록하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반송장치는 배출구에 인접해서 설치되며, 또한 원웨이클러치를 구비한 배출장치를 구비하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벨클랭크와, 벨클랭크의 한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종이를 이미지센서로 누르는 롤러와, 벨클랭크의 다른 끝단에 부착되며 또한 롤러를 이미지센서측으로부터 사이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탄력에 저항해서 롤러를 이미지센서측으로 힘을 가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며,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하여 이미지센서에 대하여 종이를 밀착시키는 힘을 가하는 장치를 구비한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이미지센서의 앞부분에 종이의 끝부를 검출하는 끝단 검출센서가 설치된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이미지센서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며 또한 종이의 표면상에서 반사한 광을 수신하는 집속성 파이버와, 집속성 파이버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CCD 이미지센서를 가지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판독제어장치는, 종이의 종류를 판독하여 부호표시영역의 위치를 결정하고, 통과검출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종이에 인쇄된 부호표시영역이 이미지센서를 통과할 때에 이미지센서를 작동하는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KR1019940702999A 1992-12-28 1993-12-24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KR0152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912194 1992-12-28
JP92-349121 1992-12-28
PCT/JP1993/001874 WO1994015321A1 (en) 1992-12-28 1993-12-24 Sheet code recor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580A KR950700580A (ko) 1995-01-16
KR0152305B1 true KR0152305B1 (ko) 1998-12-15

Family

ID=6665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999A KR0152305B1 (ko) 1992-12-28 1993-12-24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3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298A (ko) * 2017-09-06 2019-03-14 대한민국(관리부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미판독 투표용지의 배출 대기가 가능한 개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298A (ko) * 2017-09-06 2019-03-14 대한민국(관리부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미판독 투표용지의 배출 대기가 가능한 개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580A (ko) 199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44743B2 (ja) 紙葉類鑑別装置
JP3320806B2 (ja) 紙幣鑑別装置
RU2188455C2 (ru) Электронный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US7607662B2 (en) Bill handling apparatus
TW420790B (en) Bill arrangement machine
GB2135496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system
KR19990071867A (ko) 마스터-슬래이브타입의지폐감별장치와감별장치의다운로드방법
KR100812254B1 (ko) 지폐 감별기
US69937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ewing software in a software-operated machine
KR0152305B1 (ko)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US5259678A (en) Printing apparatus for negotiable instruments and securities
JP2597017B2 (ja) 紙葉類鑑別装置
KR19990069194A (ko) 지폐 인식장치
KR100638574B1 (ko) 위폐감별기능을 갖는 지폐 계수장치
JP3956256B2 (ja) 紙葉類識別方法及び紙葉類識別装置
CN1073729C (zh) 纸页式符号记录装置
JP2605674Y2 (ja) 紙幣識別装置
JP2753050B2 (ja) 冊子類の改頁装置
JPH0896087A (ja) カード読み取り装置
KR910007608Y1 (ko) 종이배분장치
JPH11316869A (ja) 紙幣計数機
JPH0573761A (ja) プリペイドカード販売機
WO2017168928A1 (ja) 媒体処理装置
KR200357708Y1 (ko) 위폐감별기능을 갖는 지폐 계수장치
JPH06162311A (ja) 紙幣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