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480B1 - 티켓 발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티켓 발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480B1
KR100954480B1 KR1020070133513A KR20070133513A KR100954480B1 KR 100954480 B1 KR100954480 B1 KR 100954480B1 KR 1020070133513 A KR1020070133513 A KR 1020070133513A KR 20070133513 A KR20070133513 A KR 20070133513A KR 100954480 B1 KR100954480 B1 KR 10095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box
processing unit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953A (ko
Inventor
오재용
김대영
육진국
김경종
오광택
박현수
김태형
김경훈
고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4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차/지하철 역사에 설치, 운용되는 티켓 발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에프 칩을 이용한 비 접촉 데이터 처리 방식으로 티켓의 데이터를 승객의 입력 요구 사항에 따라 이를 처리하여 발권하도록 된 티켓 발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티켓을 수용하는 티켓박스와, 상기 티켓박스 내의 티켓을 외부로 공급하는 티켓 공급장치와, 상기 티켓을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로 이송하는 티켓 이송부와, 상기 티켓에 데이터를 입력 및 처리하는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장치들의 동작 및 운용을 위해 전자 회로 칩 등이 부착된 제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티켓 발매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티켓, 발매 처리장치, 티켓박스, 티켓 공급장치, 티켓 이송부,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 제어 처리부

Description

티켓 발매 처리장치{Ticket issue unit}
본 발명은 기차/지하철 역사에 설치 및 운용될 티켓 발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에프 칩(RF chip)을 이용한 비접촉 데이터 처리 방식으로 티켓 데이터를 승객의 입력 및 요구 사항에 따라 이를 처리하여 발권하도록 한 티켓 발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이용자를 처리해야 하는 지하철에는 매표, 개찰, 집찰, 정산 등의 역무가 모두 무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무자동화시스템이 구축되어 다수의 승객이 지하철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신속히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역무자동화시스템은 티켓을 자동으로 발매하는 티켓 발매기를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티켓 발매기는 그 외부에 화폐투입구와 키입력부 및 티켓 투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이 정보에 상응하는 티켓을 발행하기 위한 티켓 발행부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티켓 발매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이 화폐투입구로 동전이나 지폐 등 을 투입한 후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가고자하는 역을 입력하면, 티켓 발매기 내부의 주제어부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티켓 발행부를 가동시키고, 티켓 발행부에서는 키입력부로 입력된 정보에 해당하는 요금정보를 티켓에 입력시킨 후 티켓 투출구를 통해 티켓을 발행하게 된다.
종래의 1회용 티켓은 종이재질의 몸체를 구비하며 몸체의 일면에는 승차정보가 기록된 자기띠가 형성된다.
이러한 자기띠에는 승차정보가 기록되며 승차정보가 기록된 티켓은 발매기 내에서 그 이상 유무를 판독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기록 및 판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자기띠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기 자기띠는 다른 자성체에 의해 그 기록 내용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티켓은 종이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띠가 공중에 발생되는 오차나 승객의 부주의로 쉽게 구겨지게 되어 재사용이 어렵고, 상기 티켓 발매기 내부에서 이송도중 걸리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런 걸림현상은 상기 티켓 발매기의 유지보수 등을 어렵게 하며, 걸리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티켓이 구겨진 상태에서는 판독기에서 자기기록 정보를 판독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어 승객에게 불편을 끼치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은 상기 종이재질의 1회용 티켓을 기록내용의 파손이 적고 구겨질 위험이 없는 알에프 카드 형식의 티켓으로 대체하면 해결되지만, 종래에는 알에프 카드 형식의 티켓을 발행하기 위한 티켓 발매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티켓 발매기는 동전이나 지폐 등으로 승차요금을 지불하도록 되어 있어 동전이나 지폐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이용자가 정액권 알에프 카드 등으로는 티켓을 발급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차/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며, 알에프 칩이 내장된 카드 형태의 티켓을 반복 사용 가능한 형태로 만듦으로써, 역무원(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운용 환경이 다양한 승객의 편의를 제공할 뿐아니라 티켓에 기록된 내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티켓 발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과, 티켓(100)을 수용하는 티켓박스(20)와, 상기 티켓박스(20) 내의 티켓(100)을 외부로 공급하는 티켓 공급장치(30)와, 상기 티켓(100)을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이송하는 티켓 이송부(40)와, 상기 티켓(100)에 데이터를 입력 및 처리하는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와, 상기 티켓 공급장치(30) 및 티켓 이송부(40)와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의 각종장치의 동작 및 운용을 위해 전자 회로 칩 등이 부착된 제어 처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티켓박스(20)는 그 내부의 티켓(100) 보관함인 파레트(24)를 지지하는 엘레베이션 장치(25)가 제1 및 제2스텝모터(32,33)에 의해 수직 승하강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티켓 공급장치(30)는 상기 티켓박스(20)에 보관된 티켓(100)의 발행을 위하여 1매씩 픽업할 수 있도록 픽업 모터(34)에 의해 구동하는 픽업 롤러(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티켓 이송부(40)는 제1구동롤러(42)를 매개로 감겨진 제1벨트(43)와 제2구동롤러(44)를 매개로 감겨진 제2벨트(45) 사이에 티켓(100)이 벨트를 타고 티켓(100) 대기 위치에서부터 티켓 배출구(49)측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는 알에프 안테나(RF Antenna)가 인식할 수 있는 스펙 범위 내에서 알에프 데이터 코딩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처리부(60)는 티켓(100)이 훼손되거나 데이터 코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또는 티켓(100)의 사용 회수 등을 감지하여 티켓(100)에 대한 폐기 명령이 전달될 경우, 스텝모터(4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폐표함(23)으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에 의하면, 기차/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며, 알에프 칩이 내장된 카드 형태의 티켓을 반복 사용 가능한 형태로 만듦으로써, 역무원(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운용 환경이 다양한 승객의 편의를 제공할 뿐아니라 티켓에 기록된 내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의 티켓 이송부(4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의 티켓 폐표 및 회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승객의 요구에 따라 알에프 칩에 티켓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를 자동으로 발권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메인프레임(10)과, 티켓(100)을 수용하는 티켓박스(20)와, 상기 티켓박스(20) 내의 상기 티켓(100)을 외부로 공급하는 티켓 공급장치(30)와, 상기 티켓(100)을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이송하는 티켓 이송부(40)와, 상기 티켓(100)에 데이터를 입력 및 처리하는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와, 상기 티켓 공급장치(30) 및 티켓 이송부(40)와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의 동작 및 운용을 위해 전자 회로 칩 등이 부착된 제어 처리부(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본 발명의 구성들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며, 사용자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레일(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티켓박스(20)는 알에프 칩이 내장된 카드형태의 티켓(100)을 보관하는 박스로서, 밀폐성과 함께 운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티켓(100)의 종류에 따라 보관 및 저장되는 용량은 다르나, 0.5mm 두께를 기준으로 1000매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티켓박스(20) 내의 티켓(100) 보관함인 파레트(24)를 지지하는 엘레베이션 장치(25)가 제1 및 제2스텝모터(32,33)에 의해 수직 승하강 작동하도록 하며, 티켓박스(20) 최상단에서 티켓(100)이 픽업 롤러(31)에 의해 한 장씩 공급될 수 있도록 항상 같은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티켓 공급장치(30)는 티켓박스(20)에 보관된 티켓(100)의 발행을 위하여 1매씩 픽업할 수 있도록 픽업 모터(34)에 의해 구동하는 픽업 롤러(31)가 구비되며, 일정한 량만큼 주기적으로 티켓(100)을 이송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티켓 공급장치(30)의 동작에 의해 티켓박스(20)에 보관된 티켓(100)이 티켓박스(20) 외부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공급되면, 상기 티켓 이송부(40)는 이 티켓(100)을 1매씩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티켓박스(20)가 제1 및 제2티켓박스(21,22)로 2개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송 경로도 2개를 가지고 있으며, 각 경로는 중복되거나 간섭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티켓 데이터를 입력하던 중 에러가 발생하면 이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폐표함(2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는 티켓(100)에 승차구간, 운임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 및 처리하는 장치이고, 장치의 동작 및 운용을 위해 전자 회로 칩 등이 부착된 제어 처리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 처리부(60)는 티켓 발매 처리장치 전반을 제어하되, 각종장치, 예를 들어 이후 설명되는 각종 센서 및 액츄에이터 부품들을 제어하게 된다.
도 2는 센서를 비롯한 티켓 발매 처리장치의 전반적인 부품들이 나타나 있는 바, 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에 앞서 센서 및 액츄에이터의 위치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센서의 배치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티켓(100) 발권 시작 위치에 설치된 S25,S27은 발권 시작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티켓(10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참조부호 S10, S11은 제1 및 제2티켓박스(21,22)의 발권 시작 위치를 사전에 감지하게 되고, 참조부호 S1, S3는 티켓박스(20)의 발매 대기 위치를 감지하게 되며, 참조부호 S2, S4는 티켓박스(20)의 발권시 티켓(100)의 이송을 감지하게 되고, S5는 티켓 이송 감지 및 티켓 알에프 입력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참조부호 S6은 티켓(100)의 배출을 감지하고, S8 및 S9는 픽업 롤러(31)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서로서, 티켓박스(20) 내의 티켓(100)을 한장씩 공급해 주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즉, 상기 S8, S9에 티켓(100)이 도착하지 않는다면 이 센서에 신호가 올 때까지 픽업 롤러(31)를 계속 구동하게 된다.
또한, 참조부호 S12, S13, S19, S22, S26, S28은 폐표함(23) 및 티켓박스(20) 내의 티켓량을 감지하게 된다.
참조부호 S14, S15는 티켓박스(20) 내의 티켓(100)이 저정되어 있는 파레트(24)를 승하강시키는 제1 및 제2스텝모터(32,33)의 구동을 감지하게 되며, S17은 티켓(100)의 이송 경로에 대한 통과 및 저지를 위해 장착된 디버터 솔레노이드(41)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참조부호 S20, S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티켓박스(20) 커버의 잠금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위치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조부호 M1은 제1스텝모터(32)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티켓박스(21) 내에 적층된 티켓(100)을 보관하는 파레트(24)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원이고, 참조부호 M2는 제2스텝모터(33)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2티켓박스(22) 내에 적층된 티켓(100)을 보관하는 파레트(24)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원으로 제1스텝모터(32)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된다.
참조부호 ID1 ~ ID3은 각각의 티켓박스(20)에 대한 고유 인식장치로서, 총 8바이트의 Hex값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티켓박스(20)의 종류별로 고유번호를 다르게 부여하여 티켓박스(20)를 구별하게 되는 바, 이는 티켓박스(20)의 탈장착 여부 및 티켓박스(20)에 대한 관리 차원에서 사용된다.
참조부호 M3, M4는 픽업 롤러(3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고, 참조부호 C1, C2는 상기 픽업 롤러(31)의 동력 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이다.
또한, 참조부호 M5, M6은 픽업 이후 알에프 존(RF ZONE)까지 티켓(100)을 이송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며, CN1은 티켓(100)의 발권 누적 수량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SOL1은 폐표함(23)으로 이송 경로를 변경하는 디버터 솔레노이드(41)이고, SW1, SW2는 티켓박스(20)의 탈장착을 검지하는 토글스위치이며, SW4는 레일의 탈장착 여부를 알려주는 리미트 스위치(11)이다.
이와 같이 센서를 포함한 전반적인 부품들이 포함된 티켓 발매 처리장치의 주요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사용자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레일이 장착되어 있고, 레일의 탈장착 여부를 알려주는 리미트 스위치(11)가 메인프레임(10)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일은 메인프레임(10)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단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레일의 상부 우측에는 제1티켓박스(21)와 제2티켓박스(22)가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각 티켓박스(20)의 내부에는 다수의 티켓(100)이 적층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티켓박스(20)는 사방이 평판으로 둘러싸여 밀폐된 공간을 이루고 있으나, 티켓(100)을 내부에 적층할 수 있도록 전방에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고, 커버 상단 우측에는 커버가 열림상태인지 잠금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커버열림감지용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티켓 데이터를 입력하던 중 에러가 발생하면 이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폐표함(23)에는 폐표함 커버열림감지용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 하단에는 티켓박스(20) 내의 티켓(100)의 초기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초기위치감지용 센서가 설치되고, 적층된 티켓(100)을 일정량 만큼 승강 시킨 후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올때 티켓박스(20)의 승하강부의 처음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티켓 공급장치(30)는 각 티켓박스(20)에 제1스텝모터(32) 및 제2스텝모터(33)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스텝모터(32,33)는 제1 및 제2티켓박스(21,22) 내의 파레트(24)를 상하로 이동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기 티켓박스(20)의 커버 상측에는 티켓(100)을 1매씩 공급해 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픽업 롤러(31)가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펜서가 픽업 롤러(31)를 구동하여 티켓이 1매씩 분리될 수 있도록 픽업 롤러 구동센서(S8, S9)가 픽업 롤러(3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픽업 롤러 구동센서(S8, S9)에 티켓(100)이 도착했다는 전기신호가 없을 경우에 이 센서에 티켓(100)이 도착했다는 전기신호가 전송될때까지 픽업 롤러(31)를 지속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의 티켓박스의 티켓 픽업부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제1 및 제2티켓박스(21,22)를 티켓 발매 처리장치 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티켓 발매 처리장치에 티켓박스(20)가 장착되며, 티켓(100) 발권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스텝모터(32,33)가 구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티켓(100)이 적층된 티켓박스(20) 내의 파레트(24)가 승하강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티켓(100)의 발권을 위한 위치 감지는 S25, S27에서 구현되며, 티켓(100)의 위치가 감지될 경우,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티켓(100)을 1매씩 발권할 경우, 티켓(100)의 두께를 환산하여 이송하게 되며 최상단의 티켓(100)은 픽업 모터(34)에 연결된 픽업 롤러(31)의 동작에 1매가 픽업되고 이송 경로로 이송된다.
픽업과 티켓(100)의 이송 경로로의 공급 동작을 반복 실행하여 티켓박스(20) 내의 파레트(24)에 보관된 티켓(100)을 모두 배출하게 된다.
최종 1매까지 발매된 경우, 티켓박스(20) 내부의 티켓량을 감지하는 S26, S28을 이용하여 티켓박스(20) 정보를 제어 처리부(60)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티켓박스(20)에서 1매가 배출된 티켓(100)은 별도의 명령이 제어 처리부(60)를 통해 수신될 때까지 티켓(100)의 발권 대기 위치에 있게 된다.
발권 명령이 수신되면 티켓 이송부(40)를 따라 티켓(100)에 승차구간, 운임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 및 처리하는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티켓 이송부(40)는 다수의 부품들이 부착 고정되어 서로 연동되면서 티켓(100)을 발권, 이송, 배출 등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티켓 이송부(40)는 서로 대향하는 즉 소정간격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롤러 사이를 벨트가 감겨져 롤러의 회전에 따라 벨트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제1구동롤러(42)를 매개로 감겨진 제1벨트(43)와 제2구동롤러(44)를 매개로 감겨진 제2벨트(45) 사이에 티켓(100)이 벨트를 타고 우측 즉, 티켓(100) 대기 위치에서부터 티켓 배출구(49)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롤러(42,44)를 구동시키는 제3 및 제4스텝모터(46,47)가 상측에 연결벨트(46a,47a)를 매개로 상기 제1 및 제2구동롤러(42,4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구동롤러(42)를 통과한 티켓(100)은 제2구동롤러(44)를 통과하기 전, 다음 단계인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이송된다.
상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에서 데이터 코딩이 실시되며, 이러한 데이터 코딩이 실시되는 위치는 알에프 카드의 인식을 위한 위치로서 현재 알에프 안테나(RF Antenna)가 인식할 수 있는 스펙 범위 내에서 알에프 데이터 코딩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다.
상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티켓(100)이 도착하게 될 경우, 먼저 티켓(100)의 유효성 검사를 실시하여 이상이 없는 정상 상태이면 데이터 코딩을 진행하게 된다.
즉, 티켓(100)에 승차구간, 운임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티켓(100)에 데이터를 코딩한 후 다시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를 실시하고, 발권 동작을 진행하여 티켓(100)을 배출구(49)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배출 유무는 티켓(100)의 배출을 감지하는 센서인 S6에 감지된다.
만일, 티켓(100)이 훼손되거나 데이터 코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또는 티켓(100)의 사용 회수 등을 감지하여 티켓(100)에 대한 폐기 명령이 전달될 경우, 스텝모터(4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티켓(100)은 폐표함(23)으로 회수되며, 이러한 폐표 및 발권 여부의 판단은 제어 처리부(60)에서 실시된다.
이때, 상기 티켓(100)의 이동과 동시에 디버터 솔레노이드(41)가 동작되면서 폐표함(23)으로 티켓(100)이 이송될 수 있도록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참조번호 S13에 의해 폐표함(23) 내의 티켓량이 꽉찬 상태로 감지되면 폐표함 교체 명령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상기 티켓(100)의 발권은 제1티켓박스(21)에서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그 이송 경로를 유지하고, 상기 제1티켓박스(21)에서 모두 발권되고 1매도 남아있지 않을 경우, 제2티켓박스(22)의 발권을 실시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의 티켓박스의 티켓 픽업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의 티켓 이송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매 처리장치의 티켓 폐표 및 회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프레임 20 : 티켓박스
30 : 티켓 공급장치 40 : 티켓 이송부
50 :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 60 : 제어 처리부

Claims (8)

  1. 티켓 발매 장치에 있어서,
    카드 형태의 티켓을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를 갖는 티켓박스; 상기 티켓박스로부터 인출된 상기 티켓을 외부로 이송하는 티켓 이송부; 상기 이송되는 티켓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 상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한 폐기 티켓을 수용하는 폐표함; 및 상기 폐기 티켓을 상기 폐표함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경로를 변경하는 디버터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티켓박스는, 상기 티켓을 보관하는 파레트; 상기 파레트를 지지하며 상기 파레트를 일정량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는 엘리베이션 장치; 및 상기 티켓박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티켓을 1매씩 공급하는 픽업 롤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티켓 이송부는, 제1구동롤러를 매개로 감겨진 제1벨트; 및 제2구동롤러를 매개로 감겨진 제2벨트를 포함하여, 상기 티켓을 상기 제1벨트 및 상기 제2벨트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발매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박스는
    상기 티켓의 초기화 위치를 감지하는 초기위치감지용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발매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박스는 다수 구비되고, 각 티켓박스는 고유 번호 및 고유 이송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발매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70133513A 2007-12-18 2007-12-18 티켓 발매 처리장치 KR10095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513A KR100954480B1 (ko) 2007-12-18 2007-12-18 티켓 발매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513A KR100954480B1 (ko) 2007-12-18 2007-12-18 티켓 발매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953A KR20090065953A (ko) 2009-06-23
KR100954480B1 true KR100954480B1 (ko) 2010-04-22

Family

ID=4099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513A KR100954480B1 (ko) 2007-12-18 2007-12-18 티켓 발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2489A (zh) * 2018-10-25 2019-02-01 普天轨道交通技术(上海)有限公司 自动更换票盒的票卡发送机构
KR102464418B1 (ko) 2020-12-02 2022-11-09 삼원에프에이(주) 티켓 발매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9711A (ja) * 1996-07-29 1998-02-20 Shinko Seisakusho Co Ltd 券発行機
US6089400A (en) 1997-08-22 2000-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ll-ticket issuing apparatus for continuous issuing of ticket
JP2001167333A (ja) 1999-12-07 2001-06-22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販売機
KR20040074354A (ko) * 2003-02-17 2004-08-25 심승보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9711A (ja) * 1996-07-29 1998-02-20 Shinko Seisakusho Co Ltd 券発行機
US6089400A (en) 1997-08-22 2000-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ll-ticket issuing apparatus for continuous issuing of ticket
JP2001167333A (ja) 1999-12-07 2001-06-22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販売機
KR20040074354A (ko) * 2003-02-17 2004-08-25 심승보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953A (ko)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0241B2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集積装置の電磁ロック方式
JPH0922476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におけるリジェクト貨幣の取扱い方法
WO2015029174A1 (ja) 紙葉類取引装置
KR100954480B1 (ko) 티켓 발매 처리장치
RU23786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видуализации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бесконтактных чип-билетов
JP2000298707A (ja) 媒体発行装置及びカード発行装置
KR100954489B1 (ko) 티켓 회수 처리장치
KR100475553B1 (ko)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
JP2010106508A (ja) キー類の管理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使用するための保管庫
JP4370656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100959480B1 (ko) 자동 티켓 발매장치
WO2015182532A1 (ja) 紙幣取扱装置
JP2008262389A (ja) 現金運用システム
JP4750308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978422B1 (ko) 통장발급기의 엘리베이션 장치
JP4149206B2 (ja) カード収納カ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る発券装置、カード確認装置
JPH09231447A (ja) 媒体処理システムおよび現金処理システム
KR101326545B1 (ko) 통장 발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80869B1 (ko)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JP5430985B2 (ja) 貨幣処理機
JPH06162324A (ja) 紙幣入出金装置
KR100959479B1 (ko) 알에프 토큰 발행장치
JP3754620B2 (ja) 紙葉取扱装置
JP2548391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716623B2 (ja) 紙幣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