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869B1 -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869B1
KR102480869B1 KR1020200166085A KR20200166085A KR102480869B1 KR 102480869 B1 KR102480869 B1 KR 102480869B1 KR 1020200166085 A KR1020200166085 A KR 1020200166085A KR 20200166085 A KR20200166085 A KR 20200166085A KR 102480869 B1 KR102480869 B1 KR 102480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unit
medium
management devic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008A (ko
Inventor
안종현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20016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8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2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 G07F11/3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two or more magazines having independent delive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의 발급이 가능하면서도 금고와 같이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수의 이용자가 하나의 장치를 통해서도 매체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하게 한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CARD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ISSUING AND STORING CARDS}
본 발명은 카드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매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체의 발급이 가능하면서도 금고와 같이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수의 이용자가 하나의 장치를 통해서도 매체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하게 한 매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용 카드와 같은 매체는 현금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장기간 동안 많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사용 편의성 증가와 서비스의 확대로 단순히 현금 대용 수단으로서의 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으로 이용 가능한 매체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매체들 중 현금을 대체할 수 있는 신용카드, 현금카드 및 체크카드들은 자산과 관계되어 있어 다른 카드들에 비해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며, 다른 매체들도 금융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중요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매체 발급을 수행하는 영업점에서는 공카드라고 칭하는 미발급 카드의 자재를 종류별 또는 용도별로 보관하고, 카드의 발급이 필요한 경우 발급하고자 하는 미발급 카드를 별도로 마련되는 카드발급 장치에 삽입하여 발급과정을 진행한다. 그리고, 발급과정이 완료된 카드를 고객에게 인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카드발급 절차는 미발급 카드의 보관, 재고 관리, 발급 정확성 등에 많은 오류 발생 가능성과 절차의 복잡성으로 인해 많은 인적 물적 비용 부담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미발급 카드 자재를 종류별, 용도별로 별도의 금고 등을 이용해 보관해야 하고, 주기적인 재고 관리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고객이 발급 요청한 카드의 용도와 종류를 확인하여, 확인된 카드의 미발급 카드를 발급 장치에 삽입하여 발급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행원의 실수로 인한 잘못된 카드가 발급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과정이 카드를 사용상태로 전환하는 발급과정의 일부분만이 자동화되어 있어 대부분의 과정이 행원에 의해 진행되어 사고 가능성이 여전히 높고, 많은 시간, 노력 및 인력 소요가 발생되어 비용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 체크카드를 발생할 수 있는 카드발급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카드 발급 장치는 미발급 카드를 다량 적재하고 필요한 때에 발급하도록 하는 기능만 있을 뿐, 다양한 카드 종류, 용도에 따라 카드를 선택하여 발급하는 것이 불가능 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카드 발급 장치는 내부에 다수의 카드를 단순히 적층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재고관리를 위해서는 행원이 내부 카드를 일일히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카드 발급 장치는 발급자와 수취자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행원 간의 실수 또는 고의로 타인에 대해 발행된 카드를 취득하거나, 발행된 카드를 미수취하여 금융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965831호, "카드 발급장치 및 금융기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의 발급이 가능하면서도 금고와 같이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수의 이용자가 하나의 장치를 통해서도 매체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하게 한 매체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충, 발급, 감사, 회수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이를 자동으로 처리하게 함으로써, 매체의 발급 및 관리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매체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 관리 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매체의 수량, 종류, 발급되는 수량 및 종류의 파악이 가능하게 하여 정확한 재고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필요한 수량만 보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업무 및 재고관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매체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프레임;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피더유닛;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복수의 매체가 낱장으로 저장되는 복수의 슬롯이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슬롯으로 상기 매체가 투입되거나, 배출되는 개방면이 상기 피더유닛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매체를 선택하여 배출하도록 상기 피더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상기 매체 중 발급에 의해 배출되는 매체를 사용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태 변경하여 배출하거나, 상기 케이스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매체를 상기 배출방향의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발급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될 복수의 매체가 수납되는 카세트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피더유닛은 상기 발급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매체 또는 상기 카세트유닛에 적재된 매체를 상기 저장유닛의 상기 슬롯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유닛 또는 상기 발급유닛에 존재하는 매체를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수함을 더 구비한다.
상기 회수함은 상기 발급유닛 또는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공간 내에 배치된다.
상기 회수함은 상기 발급유닛에 마련되는 제1회수함과 상기 프레임의 보조프레임에 마련되는 제2회수함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수함에 회수되는 상기 매체와 상기 제2회수함에 회수되는 상기 매체는 매체의 재사용 가능 상태, 발급된 상태, 불량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체 상태에 의해 구분되어 저장된다.
상기 제1회수함 또는 상기 제2회수함은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제1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태커;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유닛은 한 쌍의 프레임과 복수의 스태커에 의해 구성되는 호퍼가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저장유닛은 복수의 상기 호퍼가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호퍼들은 제2간격으로 이격되어 공백구간을 형성한다.
상기 피더유닛은 상기 공백구간에서 제2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공백구간은 상기 호퍼의 상기 제1방향 종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개방면과 나란한 상기 저장유닛의 타면에 배치된다.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슬롯이 생략되어 형성되는 공백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2회수함은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게 상기 보조프레임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는 매체의 발급이 가능하면서도 금고와 같이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수의 이용자가 하나의 장치를 통해서도 매체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는 보충, 발급, 감사, 회수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이를 자동으로 처리하게 함으로써, 매체의 발급 및 관리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는 매체 관리 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매체의 수량, 종류, 발급되는 수량 및 종류의 파악이 가능하게 하여 정확한 재고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필요한 수량만 보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업무 및 재고관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전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후면 예시도.
도 4는 매체 관리 장치의 내부 구성 배치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
도 5는 매체 관리 장치의 내부 구성 배치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체 관리 장치(1)는 케이스(11)가 내부의 프레임(하기에서 상세히 설명)에 결합되어 프레임(10)과 함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주요 장치들을 수납한다. 이를 통해, 케이스(11)는 내부와 외부를 격리시키고, 도어(7)에 의해 허가된 관리자만 개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는 매체 관리 및 발급을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매체의 발급시 매체를 수취하기 위해 매체 배출구(4)와 같이 매체 관리 장치를 이용 및 관리하기 위한 장치들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매체 배출구(4)는 케이스(11)를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케이스(11) 내부에 마련된 발급유닛과 연결되어, 발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매체의 일부가 케이스(11) 외부에 돌출될 수 있게 한다. 이 매체 배출구(4)는 필요에 따라 매체를 매체 관리 장치(1)로 회수하거나, 보충하기 위한 매체 투입구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매체는 합성수지 또는 종이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카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또한, 매체는 IC 칩 및 메모리와 같이 허가된 장치에 의한 데이터 쓰기 및 읽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매체는 용도 상으로, 신용카드, 현금카드, 체크카드, 버스카드, 멤버쉽 카드와 같이 현금과 동등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개인의 신분을 증명 또는 인증하기 위한 용도의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매체 관리 장치(1)에 의해 관리 및 발급되는 매체는 최소 정보인 매체 고유 정보 또는 매체의 종류 정보만 기재된 미발급 매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매체 고유 정보는 발급되지 않은 매체에 제조공정 등의 과정에서 미리 저장된 정보로서, 매체의 시리얼 번호(SN: Serial Number)일 수 있다. 매체의 실리얼 번호는 매체가 카드인 경우 카드 시리얼 번호(CSN: Card SN)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체 종류 정보는 예를 들어, 매체가 카드인 경우 카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카드에 대한 매체 종류 정보는 체크카드 상품 종류, 후불 교통 카드 기능 포함 여부, 해외 결제 네트워크 브랜드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매체 종류 정보는 매체가 사용되는 분야의 서비스 또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매체의 분류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매체 관리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한 이용 및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마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단말 또는 아이디카드(ID Card)와 같이 미리 지정된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스(11) 외부에 인터페이스가 마련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무선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참조하여 구성이 가능한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케이스(11)의 외부에는 패널(2), 지문인식기(3), 매체 배출구(4) 및 보안키(5)와 같은 인터페이스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NFC(Near Field Comunication) 패드, 카메라, 홍채인식과 같이 매체 관리 장치의 보안 및 관리에 필요한 장치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패널(2)은 매체 관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 매체 발급 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한편, 관리 또는 발급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 또는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패널(11)은 표시패널과 입력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이 각각 구성될 수도 있고, 표시패널 상에 터치패널 형태의 입력패널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특히, 패널(2)은 매체 발급을 위한 불출 명령을 전달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지문인식기(3)는 매체 관리 장치(1)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신원확인을 위해 마련된다. 일례로, 지문인식기(3)는 패널(2)을 통해 매체 관리 장치(1)의 기능제어, 정보 조회, 도어 개방 및 매체 발급과 같은 일련의 행위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신분 재확인을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지문인식기(3)로 기재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홍채 또는 안면 또는 음성 인식과 같은 다양한 인증장치로 대체되거나 이들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안키(5)는 케이스(11)의 도어(7)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11)에는 케이스(11)를 보안키(5)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거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보안키(5)는 패널(1)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매체 관리 장치의 외형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매체 관리 장치(1)의 내부 구성에 대해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전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후면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체 관리 장치(1)는 프레임(10), 발급유닛(20), 카세트유닛(30), 저장유닛(50), 피더유닛(70) 및 제어유닛(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은 케이스(11)와 함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발급유닛(20), 카세트유닛(30), 저장유닛(50), 피더유닛(70) 및 제어유닛(90)을 수납한다. 이때, 프레임(10)의 외부는 케이스(11)가 결합되어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10)은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는 발급유닛(20), 카세트유닛(30), 저장유닛(50)과 결합하여 이들을 고정 및 지지하고, 피더유닛(70)이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10)은 케이스(11)를 포함하여 복수의 부프레임(12: 12a, 12b, 1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부프레임(12)은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고, 각 구역에 설치되는 장치를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프레임(12)은 발급유닛(20)과 같은 유닛의 지지를 위한 지지프레임(12a)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부프레임(12)은 내부 공간 중 일부를 분할하여 전원장치, 모터장치와 같은 장치들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구획프레임(1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페임(12)은 내부에서 매체의 이동을 위한 통로, 다른 유닛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보조구성을 설치하기 위한 용도의 보조프레임(12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프레임(12)은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종류와 수를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급유닛(20)은 제어유닛(90)의 제어에 의해 저장유닛(50)의 슬롯(51)에 보관되는 매체 중 어느 하나를 발급하는 과정을 진행하여, 매체배출구(4)를 통해 배출한다. 이를 위해 발급유닛(20)은 피더유닛(70)을 통해 공급되는 매체를 전달받아 매체에 매체 발급 정보를 기록하여 배출한다. 예를 들어, 발급유닛(20)은 매체가 카드인 경우, 카드의 IC칩에 매체 발급 정보로서 카드의 사용자 정보 등을 기록함으로써 매체를 발급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발급 과정은 통상적인 카드 발급 절차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발급유닛(20)에 의해 진행되는 발급 과정에서 매체에는 매체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는 정보가 기재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또한, 발급유닛(20)은 저장유닛(50)에 저장될 매체가 투입되는 투입구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발급유닛(20)은 매체 배출구(4)를 통해 투입되는 매체를 피더유닛(7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급유닛(20)은 피더유닛(70)에 의해 이송된 매체를 발급유닛(20) 내부에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내부에서 이송되는 매체에 매체 발급 정보를 기재하는 기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입장치는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읽는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발급유닛(20)은 등록정보 이에도 매체의 외관을 가공하거나, 발급된 매체의 정보를 다른 형태로 취득하여 제어유닛(90)에 전달하거나, 검사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급유닛(20)은 인쇄와 같이 매체의 표면에 무늬, 이미지, 텍스트가 기재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가압 또는 열처리에 위해 표면형태를 가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요철을 형성하여 텍스트를 입체적인 형태로 표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급유닛(20)은 매체의 외관을 가공하기 위한 인쇄장치, 프레스장치 및 열처리장치 중 어느 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급유닛(40)은 매체에 기록되는 등록정보, 매체별로 저장된 매체정보 외에 매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다른 정보는 외관을 스캔하거나 촬영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스캔 또는 촬영정보는 가시광선 외에도 자외선, 적외선, X선과 같은 다양한 파장의 신호를 이용하여 매체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급유닛(20)은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스캐너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급유닛(20)은 발급을 위한 일련의 과정이 완료된 매체의 검사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급유닛(20)은 기록된 정보를 다시 읽어들여 정상적인 읽기 동작이 이루어지는지, 기재된 정보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다른 정보를 불출명령의 정보와 비교하여 정상적인 가공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처리를 위해 발급유닛(20)은 저장유닛(50) 및 카세트 유닛(30)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급유닛(20)의 구체적인 배치에 대해서는 하기의 피더유닛(70)의 설명을 통해 좀 더 상세히 하기로 한다. 이러한 발급유닛(20)은 피더유닛(70)과 매체를 주고 받기 위해 제1개구(21)가 피더유닛(7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1개구(21)는 매체 관리 장치(1)의 후면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하전후좌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 방향을 한정하는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발급유닛(20)은 피더유닛(70)으로부터 전달되는 매체를 제1개구(21)를 통해 전달받고, 외부에서 발급유닛(20)으로 투입되는 매체를 제1개구(21)를 통해 배출하여 피더유닛(7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발급유닛(20)의 다른 일측에는 매체 배출구(4)와 연통되는 제2개구(22)가 마련된다. 제2개구(22)는 발급유닛(20) 내부의 이송장치와 매체 이송로에 의해 제1개구(21)와 연결된다. 이 제2개구(22)는 발급된 매체의 배출, 외부로부터 발급유닛(20)으로의 매체 투입을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제1개구(21)와 제2개구(22)는 발급유닛(20)의 서로 대를 이루는 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개구(21)가 발급유닛(20)의 후면에 마련되면 제2개구(22)는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급유닛(20) 내부에서의 매체 이송경로와 이송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발급유닛(2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발급유닛(20)에는 제1회수함(24)이 마련될 수 있다. 이 제1회수함(24)은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칸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회수함(24)에는 발급 후 미수취된 매체가 회수되어 보관되거나, 발급 중에 손상이 발생된 매체, 발급 불가 매체가 제1회수함(24)에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발급 불가 매체는 IC칩에 정보를 저장할 수 없는 상태의 카드와 같은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발급 불가 상태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회수함(24)에 복수의 칸이 마련되는 경우 각 칸 별로 서로 다른 상태 즉, 발급 중 손상된 매체, 발급 불가 매체, 미수취 매체와 같은 매체 상태별 저장위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각 매체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회수함(24)이 복수의 칸으로 구분되도록 하는 방법 외에도 별도의 제1회수함(24)을 복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1회수함(24)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도시된 위치 외에 밝브유닛(20)의 다른 위치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미수취 매체 또는 발급 불가 매체는 발급유닛(20)이 피더유닛(70)에 전달하여 다른 회수함 또는 저장유닛(50)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발급유닛(20)에 별도로 제1회수함(24)을 구성함으로써, 매체의 회수 및 보관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미발급 매체와 명확히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발급유닛(20)에 마련되는 이송장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롤러가 매체에 접촉하여 이송되도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밸트풀리와 밸트풀리에 결합되는 밸트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공지된 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카세트유닛(30)은 저장유닛(30)에 저장 또는 보충될 매체가 수납된다. 이 카세트유닛(30)은 매체가 수납되는 카세트함(31)과 카세트함(32)이 탈부착되는 적재함(32)으로 구성된다.
카세트함(31)은 저장유닛(50)에 저장될 매체가 적층되어 수납된다. 즉, 카세트함(31)은 통 또는 용기 형태의 하나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형성된 내부 공간에 복수의 매체가 수납되어, 수납된 매체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저장된다.
카세트함(31)은 수납된 매체를 일방향으로 이동 또는 가압하기 위한 매체 가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매체가압장치는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대, 지지대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지지대가 지정된 위치에서 이동하도록 지지대와 결합되는 레일 또는 가이드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카세트함(31)은 적층되어 수납되는 매체가 낱장으로 피더유닛(70)에 공급될 수 있도하기 위해 적재함(32)과의 결합부위에 배출용 개구가 마련된다. 이 배출용 개구는 카세트함(31)과 적재함(32)의 결합시 카세트함(31)함과 피더유닛(70)이 마주보는 방향에 마련된다. 한편, 카세트함(31)의 바닥면에는 적재함(32)에 마련되는 분리장치(미도시)가 카드와 접촉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된다. 이 바닥의 개방부분이 개구와 연통될 수도 있으나, 구체적인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적재함(32)은 카세트함(31)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결합된다. 이 적재함(32)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적재함(32)은 카세트함(31)의 하단 일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적재함(32)은 카세트함(31)의 바닥과 마주하는 부분에 분리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분리장치는 전술한 개방 부위를 통해 적층된 복수의 카드 중 가장 밑의 카드와 접촉하여, 한장씩 개구를 통해 밀어낸다. 이때, 분리장치는 피더유닛(70)이 매체와 접촉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만 카세트함(31)으로부터 매체를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분리장치의 동작은 제어유닛(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저장유닛(50)은 발급 대기 중인 복수의 매체가 저장된다. 이 저장유닛(50)은 저장되는 복수의 매체가 낱장으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매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51)이 마련된다. 이 슬롯(51)은 랙 또는 호퍼(53, 이하 랙과 호퍼를 모두 '호퍼'라 통칭하기로 한다)별로 마련될 수 있으며, 호퍼(53)에 복수의 스태커(52)를 결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호퍼(53)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호퍼(53)는 다른 수의 슬롯(53)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호퍼(53) 별로 마련되는 슬롯(51)의 크기 또는 간격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롯(51)의 크기는 수납되는 매체의 두께, 가로 및 세로 길이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슬롯(51)은 각각의 위치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위치정보는 제어유닛(9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일례로, 슬롯(51)의 위치정보는 어느 호퍼(53a 내지 53f)의 몇 번째 슬롯(51)인지와 같은 형태의 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슬롯(51)의 위치정보를 통해 매체가 투입되는 경우 매체 고유 정보와 위치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며, 슬롯(51)의 위치정보에 매핑된 매체 고유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슬롯(51)은 빈 슬롯(51)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유닛(50)에 구성되는 슬롯(51)은 투입된 저장된 매체가 피더유닛(70)과 마주할 때 동일한 거리가 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슬롯(51)이 피더유닛(70)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피더유닛(70)은 2차원적 음직임을 통해 매체를 슬롯(51)에 투입하거나, 슬롯(51)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롯(51)은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예에서는 제1방향으로 슬롯(51)이 일렬로 구성되도록 호퍼(53)가 마련되고, 이러한 호퍼가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나란하게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롯(51)과 호퍼(53)의 구성을 통해 위치정보의 획득과 피드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슬롯(5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매체의 크기에 따라 제1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태커(52)가 호퍼(53)의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이와 달리 저장유닛(50)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슬롯(51)의 단절되어 제2간격을 유지하는 공백구간(55)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공백구간(55)은 하나의 호퍼(53)에서 슬롯(51) 일부를 생략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호퍼(53) 도 3과 같이 제2간격만큼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백구간(55)은 복수의 호퍼(53)가 마련되는 경우 이웃하는 호퍼(53) 간의 공백구간(55)이 연속되어 일렬이 되게 각 호퍼(53)에 형성된다. 도 3에서는 공백구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내지 제3 호퍼(53a, 53b, 53c)와 제4 내지 제6호퍼(53d, 53e, 53f) 사이에 일렬로 공백구간(55)이 마련되어 제2방향과 나란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백구간(55)의 형성위치와 형성방향은 슬롯(51)의 배열에 종속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예에서는 매체가 슬롯(51)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되지만, 제1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수납된다. 이 경우 이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공백구간(55)이 형성된다. 반면, 매체가 제2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인 경우 공백구간은 제1방향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백구간(55)은 피더유닛(70)의 이동시 슬롯(51) 또는 매체와 피더유닛(70)의 접촉을 방지하여, 피더유닛(70)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한편, 이러한 이유로 제4 내지 제6 호퍼(53d, 53e, 53f)의 상부인 내부의 상단과 제1 내지 제3 호퍼(53a, 53b, 53c)의 하부인 하단에도 공백구간이 마련된다. 즉, 공백구간(55)은 내부에 슬롯(51) 또는 발급유닛(20)이나 카세트유닛(30)의 개구가 마련되지 않는 빈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중 저장유닛(50)의 호퍼 사이에 마련되는 공백구간(56)에는 배출구(55)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55)는 보조프레임(12c)에 마련되어 보조프레임(12c)의 일면인 배면(b)과 전면(f)을 연통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보조프레임(12c)이 마련되지 않거나, 보조프레임(12c)의 크기가 작은 경우 별도의 배출구(55)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보조프레임(12c)에는 배출구(55)의 전면 하단에 제2회수함(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보조프레임(12c)은 저장유닛(50)의 배면 즉, 피더유닛(70)을 마주하지 않는 타측을 막는 역할과, 제2회수함(60)의 거치를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 보조프레임(12c)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되고, 잠금장치 또는 고정장치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매체를 관리자가 직접 접촉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프레임(12c)에는 제2회수함(60)이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회수함(60: 60a, 60b, 60c)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배출구(55)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제2회수함(60)은 매체의 회수를 위해 마련된다. 이 제2회수함(60)에는 저장유닛(50)에 저장된 미발급 상태의 매체 즉, 매체 관리 장치에 재투입되어 발급이 될 수 있는 상태의 매체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회수함(60)은 저장유닛(50)에 저장된 모든 매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된다. 특히, 제2회수함(60)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각 제2회수함(60)별로 매체의 종류를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다. 이 제2회수함(60)은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관리자에 의해 도어(7)가 개방되지 않는 한 관리 장치의 케이스(11)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2회수함(60)으로의 매체 회수는 점검, 감사, 실물검사와 같이 매체의 상태, 보유수량, 매체 관리 장치의 수리나 점검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일부 매체의 회수 또는 교체를 위해서도 회수가 진행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인해 배출구(55)는 다량의 매체를 빠르게 제2회수함(60)에 투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51)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슬롯(51) 사이에 제2간격으로 마련되는 공백구간(56)에 마련될 수 있다.
이 배출구(55)에는 배출구 받침(57)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2c)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구(55)는 공백구간(55)에 마련된다. 때문에, 피더유닛(70)과 배출구(55)의 거리는 슬롯(51)에 비해 먼 거리이다. 이로 인해, 피더유닛(70)이 이송해온 매체가 배출구(55)를 통과하지 못하고 낙하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55)에는 하단에 배출구 받침(57)이 마련된다. 이 매출구 받침(57)은 피더유닛(70) 방향으로 슬롯(51)의 종단보다 짧게 돌출되며, 보조프레임(12c)의 전면(f) 즉, 제2회수함(60)으로도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후면(b)으로 돌출된 받침에 피더유닛(70)의 걸림이 발생하여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피더유닛(70)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체를 배출구(55)를 통해 제2회수함(60)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배출구 받침(57)은 제2회수함(60)에 가까워질 수록 낮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는 3곳의 공백구간(56)이 마련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공백구간(56)의 수를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회수함(60)의 위치도 상부 공백구간(56) 또는 하부 공백구간(56)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제시된 바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피더유닛(70)은 매체 관리 장치(1)에서 매체의 이동을 담당한다. 이 피더유닛(70)은 카세트유닛(30)이나 발급유닛(20)으로부터 매체를 픽업하여 슬롯(51)에 투입함과 아울러, 슬롯(51)에 저장된 매체를 인출하여, 발금유닛(40) 또는 제2회수함(60)에 투입한다. 이를 위해, 피더유닛(70)은 제어유닛(9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 투입 및 배출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피더유닛(70)은 픽업한 매체로부터 매체 고유 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온 매체 고유 정보를 제어유닛(90)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피더유닛(70)은 현재 이송되어 저장되거나 저장유닛(50)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매체의 고유 정보에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거나, 발급 또는 회수 진행에 따라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피더유닛(70)에 의해 확인되는 정보는 매체에 기록된 정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매체 고유 정보를 대신하여 매체 종류 정보만 기입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매체 고유 정보와 매체 종류 정보가 모두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피더유닛(70)은 매체 고유 정보를 대신하여 매체 종류 정보을 읽어 제어유닛(90)에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정보가 기록된 경우 어느 한 정보만을 확인하여 제어유닛(90)에 전달하거나, 확인된 모든 정보를 제어유닛(9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매체 고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이와 같이 매체 종류 정보 또는 매체 종류 정보와 매체 고유 정보를 모두 확인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이를 이용한 정보의 처리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피더유닛(70)에 의해 제공되는 매체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유닛(90)이 매체의 저장위치를 지정하고, 피더유닛(70)은 저장위치를 전달받아, 해당 위치에 매체를 투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피더유닛(70)이 빈 슬롯(51)을 찾아 해당 매체를 투입한 후 매체 고유 정보와 해당 매체가 투입된 슬롯(51)의 위치 정보를 제어유닛(9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제어유닛(90)이 피더유닛(70)으로부터 전달된 매체 고유 정보와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매체 고유 정보와 위치정보에 부가하거나, 매체 고유 정보를 대신하여 매체 종류 정보가 위치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피더유닛(70)의 매체 고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매체의 확인을 위해 발급유닛(20)을 이용하지 않고 피더유닛(70)이 직접 확인하여 제어유닛(90)에 매체 고유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매체를 보충하는 경우 카세트유닛(30)에 수납된 매체를 픽업하여 제어유닛(90)에 의해 지정된 위치의 슬롯(51)에 바로 투입할 수 있다. 매체 보충을 위해 발급유닛(20)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발급유닛(20)이 매체 고유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이송만 하도록 하고 피더유닛(70)에 의해 매체 고유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여 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더유닛(70)는 매체를 보충하는 과정에서 매체가 투입된 슬롯(51)의 위치정보를 매체 고유 정보와 함께 매체 투입 정보로써 제어유닛(90)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량의 매체 보충과 같은 상황에서는 모든 매체의 투입과 이에 대한 위치정보의 획득이 종료된 보충이 이루어진 전체 매체의 매체 투입 정보를 제어유닛(90)에 전달하고, 제어유닛(90)이 이를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빠른 매체 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제어유닛(90)이 저장유닛(50)의 모든 슬롯(51)에 투입된 매체를 종류별로 파악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피더유닛(70)은 피더헤드(71)와 이송장치(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더헤드(71)는 이송장치(81)에 의해 발급유닛(20), 카세트유닛(30) 및 저장유닛(50) 사이를 이동하여 매체를 이송한다. 이를 위해 피더헤드(71)는 매체를 인출하거나 투입하기 위해 매체와 접촉하는 롤러, 피더헤드(71)로 픽업된 매체의 매체 고유 정보, 매체 종류 정보를 읽기 위한 리더(read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피더헤드(71)에는 위치정보의 산출, 위치정보와 매체 고유 정보의 매칭을 위한 연산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송장치(81)는 피더헤드(71)를 이송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이송장치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에 연결되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피더헤드(71)를 이송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구동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모터의 제어는 제어유닛(90) 또는 피더헤드(71)의 연산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유닛(90)에 의해 매체 이송 요청이 발생되면, 이 요청이 피더헤드(71)에 전달되고, 피더헤드(71)가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터는 구획프레임 내에 전원부와 함께 수납되는 제1모터와 피더헤드(71) 또는 피더헤드(71)와 나란한 위치에 설치되어 일 방향으로 같이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제2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모터는 제1방향인 도면에서 수직측 방향의 이송을 위해 마련되고, 제2모터는 제2방향인 수평측 방향의 이송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모터와 제2모터에 의한 이동 방향은 일례로써 제시된 것일 뿐 동일한 움직임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 변형이 가능하다.
제1모터는 기어축(83)에 의해 샤프트(82)와 연결되어 샤프트(82)를 회전시킨다. 이 제1모터는 정역회전을 통해 제1방향으로 피더헤드(71)를 왕복시킨다. 제1모터의 회전을 통해 피더헤드(71)를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시키기 위해, 샤프트(82)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82)에는 피더헤드(71)를 제2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이 마편되며, 가이드 프레임의 종단은 샤프트(82)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된다.
피더헤드(71)는 가이드 프레임에 의해 샤프트(82)에 결합된다. 그리고, 피더헤드(71)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제2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매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피더헤드(71)는 공백구간(56)에서만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피더유닛(70)의 이동을 위해 샤프트(82)와 제1모터에 의한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밸트, 밸트 풀리 및 모터로 구성하거나, 공압실린더와 공압모터와 같은 다른 형태의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구성은 일례로써 제시된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유닛(90)은 매체의 투입, 발급, 회수, 데이터 수집 및 추정을 포함하는 매체 관리 장치 전반의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90)은 카세트유닛(30) 또는 발급유닛(20)을 통해 매체 관리 장치(1) 내부로 투입되는 매체의 저장에 따른 매체 고유 정보 또는 매체 종류 정보와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관리 및 발급에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90)은 피더유닛(70)을 제어하여 저장유닛(50)에 매체를 저장하도록 하고, 피더유닛(70)을 통해 매체 고유 정보 또는 매체 종류 정보를 전달받아 위치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피더유닛(70)에서 매체 고유 정보 또는 매체 종류 정보와 위치정보를 매칭한 데이터르 전달받아 매핑처리하고 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매체의 구분 및 저장을 위해 제어유닛(90)이 특정 매체의 저장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저장위치는 관리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는 것으로 반드시 제어유닛(90)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피더유닛(70)의 제어를 제어유닛(90)이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90)으로부터 발생된 명령을 피더유닛(70)이 자체적으로 처리한 후 결과만을 제어유닛(9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과정에서 주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어유닛(90)에 의해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발급유닛(20) 또는 피더유닛(7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음을 포함하는 것으로 반드시 제어유닛(90)에 의해서만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저장위치의 지정이 관리자에 의해 지정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제어유닛(90)에 전달될 수도 있고, 패널(2)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유닛(90)은 위치 지정에 따른 슬롯(51)을 할당하고, 할당된 슬롯(51)에 매체가 저장되도록 피더유닛(7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매체 저장에 따라 피더유닛(70)으로부터 획득되는 매체 고유 정보 또는 매체 종류 정보를 위치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매핑 데이터에 의해 매체 관리, 발급 및 회수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유닛(90)은 일련의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자 단말 또는 패널(2)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90)은 사용자 단말과 같은 외부 장치 또는 패널(2)을 통해 입력되는 불출명령에 따라 저장유닛(50)에 저장된 매체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매체 발급 정보를 매체에 기록하여 매체 배출구(14)를 통해 배출하는 발급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매체가 카드인 경우, 카드에 구비되는 IC칩에 매체 발급 정보로서 카드의 사용자 정보 등을 기록하고, 기록이 이루어진 매체를 발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발급유닛(2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카드 발급 절차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불출명령에는 매체 발급 정보가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불출명령은 고객을 상대하는 행원 또는 전자발급을 위해 매체 발급을 진행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유닛(90)은 매체 발급 정보의 기재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90)은 불출명령이 전달되면, 매체 발급 정보의 기재시점 직전까지의 과정을 진행하고, 이후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발급유닛(2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90)은 불출명령을 전달한 사용자 또는 관라자의 인증정보가 패널(2)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서버나 기타 다른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발급을 요청받은 경우 기재하지 않고 대기중인 매체에 매체 발급 정보를 기재하고, 매체 배출구(14)를 통해 배출하도록 발급유닛(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매체 관리 장치(1)는 사용 가능 상태의 매체가 발급을 명령한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유닛(90)은 회수조건을 확인하여 미리 지정된 회수함(24, 60)에 매체를 회수하도록 피더유닛(70) 또는 발급유닛(20)을 제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수함(24, 60)은 용도 또는 설치위치가 상이한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유닛(90)은 이들 각각에 맞게 회수조건에 부합되는 매체를 해당 회수함(24, 60)으로 회수하게 된다. 일례로, 각 회수함은 미수취 카드, 불량, 점검, 감사와 같은 회수조건에 각각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90)은 현상태의 회수조건을 확인하여 매체를 해당 회수함(24, 60)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90)은 슬롯(51)에 보관된 매체를 종류별로 회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유닛(90)은 저장위치를 지정하여 호퍼별 또는 복수의 슬롯을 한 그룹으로 지정하여 그룹별로 회수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회수는 매핑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매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회수할 매체의 설정이 가능하다.
일례로, 내부 점검, 매체 실물 확인과 같은 점검, 검사, 감사와 같은 상황이 발생된 경우 내부 매체를 모두 회수함으로 회수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내부 매체의 전체 회수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종류, 위치별로 회수함(60)에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회수함(60)에 비해 많은 수의 회수함이 마련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회수함(24)는 복수로 구성되고, 발급유닛(2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회수함(24) 중 하나는 매체 발급 과정에서 오류 등 특정 사요 즉, 전술한 불량에 해당하여 폐기해야 하는 매체를 회수하는 용도로 이용하고, 제1회수함(24) 중 다른 하나는 매체 발급 정보가 기재된 매체를 미수취한 경우 이를 회수하여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수함(60)은 보관된 매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회수하는 회수함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90)은 피더유닛(70)과 저장유닛(50) 사이에서 매체가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은 잼(Jam)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복구 동작을 수행하도록 피더유닛(7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80)은 슬롯(51)에서 피더유닛(70)으로 또는 피더유닛(70)에서 슬롯(51)으로의 매체 이동과정에서 걸림 즉, 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슬롯(51) 또는 피더유닛(70) 중 어느 한 쪽으로 수회에 걸쳐 이송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걸림을 해소한다.
특히, 저장유닛(50)의 각 슬롯(51)에 매체의 유무 또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고, 피더유닛(70)에도 센서가 설치된 경우 센서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걸림해소를 위한 이송방향을 결정하여 복구를 위한 이송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저장유닛(50)은 매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까운 쪽으로 이송시킨다. 즉, 매체의 위치가 피더유닛(70)에 가까운 경우 걸림 발생시 피더유닛(70) 쪽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하고, 매체이 위치가 슬롯(51)에 가까운 경우 슬롯(51) 방향으로 매체가 이송되도록 피더유닛(70)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매체의 걸림 해소를 위한 복구동작은 걸림이 해소되거나, 미리 정해진 횟수 내에서 제어유닛(80)의 판단에 따라 수행된다.
여기서, 매체의 위치는 피더유닛(70)의 센서와 슬롯(51)에 설치된 센서 중 어느 하나에만 감지되는 경우 매체를 감지한 센서쪽으로 치우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만약, 피더유닛(70)과 슬롯(51)에 구비되는 센서 모두에서 매체가 감지되거나, 양쪽 모두에서 감지가 되지 않는 경우 중앙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복구를 위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복구를 위한 이동 방향은 걸림 발생시 피더유닛(70)의 동작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더유닛(70)이 슬롯(51)에 매체를 투입하도록 한 상태에서 걸림이 발생되고 매체가 슬롯(51)과 피더유닛(7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매체를 피더유닛(70)으로 회수되도록 복구 이송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례로써 재시된 것으로 센서의 설치 수량, 감지 범위, 감지 방법, 피더유닛(70)의 동작 방법, 슬롯(51)의 형태 등에 따라 복구 이송의 세부적인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90)에 의한 복구 이송에 의해서도 걸림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걸림 발생을 관리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전달은 매체 관리 장치(1)에 스피커와 같은 출력장치를 구비하여 패널(2) 또는 스피커를 통해 걸림 상황을 표시하거나, 통신부에 의해 관리자단말로 걸림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관리자에 의한 걸림 해소가 필요한 경우 관리자는 매체 관리 장치(1)의 도어(7)를 개방하고, 걸림이 발생하는 매체를 직접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가 피더유닛(70)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매체를 슬롯(51)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보조프레임(12c)를 개방하여, 저장유닛(50)이 피더유닛(70)을 마주하지 않는 다른 면을 개방하여 걸림이 발생된 매체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유닛(90)은 매체 관리 장치의 동작시 발생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취득하여 가공하고 이를 통한 추정을 수행하여 제어에 반영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90)은 매체의 저장, 발급, 이송과 같은 과정의 소요시간, 장치 동작 결과, 장애와 같은 장치 관련 데이터와 함께, 매체의 종류 별, 시간별, 요일별, 계절별 발급빈도와 같은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포괄적으로 수집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빅 데이터(Big Data)'라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어유닛(90)은 수집된 빅데이터를 미리 결정된 연산알고리즘 예를 들어, 머신러닝 알고리즘 등을 통해 추정하여 제어에 반영한다. 여기서, 빅데이터를 이용한 추정은 매체 관리 장치(1)와 연결되는 서버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다른 단말장치를 통해 수행되고, 결과가 매체 관리 장치(1)에 전달될 수도 있는 것으로 반드시 제어유닛(90)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추정에 의해 제어유닛(90)은 내부 장치 예를 들어, 피더유닛(70)의 동작을 위한 절차 또는 제어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유닛(90)은 자주 발급되는 매체를 발급유닛(20)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저장위치를 조정하거나, 피더유닛(70)의 대기 위치를 조정하는 절차를 통해, 매체 관리 장치(1)의 동작 속도 향상, 절전 성능 향상과 같은 사항들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유닛(90)에 의한 개선사항은 관리자 단말 또는 연결된 서버 또는 네트워크로 전달되어 재가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매체 관리 장치의 내부 구성 배치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매체 관리 장치의 내부 구성 배치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어의 편의성, 구조의 단순함, 빠른 동작 속도의 확보와 같은 이유로 피더유닛(70)의 이동이 2차원의 가상 평면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피더유닛(70)은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송장치(81)가 구성된다. 이 제1방향 및 제2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은 저장유닛(50)과 마주보는 평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모터(84)와 샤프트(82)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제2모터(74)와 기이드(77)에 의해 제2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피더유닛(70)의 피더헤드(71)는 가이드(77)를 따라 제2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모터(74)가 피더헤드(71)와 같이 제1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게 마련되고, 제2모터(74)의 동력을 밸트풀리(75)와 벨트(76)를 이용해 피더헤드(71)의 왕복에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77)도 피더헤드(71)와 함께 제1모터(84)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77)와 제2모터(74)는 가이드 프레임(78)에 의해 샤프트(82)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송장치(81)에 의해 피더헤드(71)는 지면에 수직인 제1방향, 제1방향과 직교하고 지면과 나란한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헤드(71)의 픽업롤러(72)는 마주하는 저장유닛(50), 발급유닛(20) 및 카세트유닛(30)을 향하는 쪽에 배치되어, 배체를 픽업하여 헤드(73)에 투입하고, 헤드(73)의 매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픽업롤러(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51)을 형성하는 스태커(52)와 중첩되게 배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커(52)의 매체 입출 방향 종단(54)이 호퍼(53)의 프레임(58)에 비해 돌출되어 픽업롤러(72)의 사이위치까지 돌출된다. 여기서, 발급유닛(20) 또는 카세트유닛(30)과 같이 매체를 배출할 수단을 가지는 유닛들은 저장유닛(50)에 비해 피더헤드(71)와 좀 더 먼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저장유닛(50)과 피더헤드(71)의 거리가 발급유닛(20)이나 카세트유닛(30)에 비해 가까운 거리가 되도록 피더유닛(70)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를 통해 슬롯(51)에 삽입될 때 매체(99)도 스태커(52)의 종단(54) 위치와 근접하게 일부가 슬롯(51)으로부터 돌출되게 저장된다. 이를 통해 픽업롤러(72)가 돌출된 매체의 측면에 접촉하여 매체를 픽업하거나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픽업롤러(72)와 스태커(52)의 상대적 관계로 인해 피더헤드(71)는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 스태커(52)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구간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제2방향으로의 이동의 경우 전술한 공백구간(56)에서 이동이 이루어지게된다.
그리고, 제1방향으로의 이동은 스태커(52)를 한 쌍의 픽업롤러(72) 사이에 두고 스태커(52)의 적층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즉, 픽업롤러(72)는 호퍼(53)와 다른 호퍼(53) 사이에 마련된 공간, 호퍼(53)와 다른 유닛(20, 3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 호퍼(53)와 프레임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발급유닛(20)이나 카세트 유닛(30)과 같은 유닛(20, 30)들은 이들이 자체적으로 매체를 돌출시킬 수 있는 거리 고려하여 위치가 결정된다.
아울러, 이러한 피더유닛(70)으로부터 제2회수함(60)으로부터 매체 회수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55)에는 받침(57)이 마련된다. 이 받침(57)은 피더유닛(70)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체(99)가 회수함(60)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로 인해, 받침(57) 중 보조프레임(12c) 후면에 마련되는 받침은 픽업롤러(72)와 접촉하지 않도록 스태커 종단(54)과 달리 픽업롤러(72)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된다. 즉, 픽업헤드(71)와 마주했을 때 보조프레임(12c)의 후면과 가장 가까운 픽업헤드(71) 간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피더유닛(70)은 각 유닛(20, 30, 50)으로 연장되거나 수축되는 제3방향의 이동 없이 매체(99)를 각 유닛(20, 30, 50)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피더유닛(70)을 2차원적 움직임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작을 위한 요소를 다수 구비하는 피더유닛(70)의 구성을 3차원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때에 비해 감소시키고, 제어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매체 관리장치 2: 패널
3: 지문인식장치 4: 매체 배출구
5: 번호키 7: 도어
11: 케이스 10: 프레임
12: 서브프레임 20: 발급유닛
21: 제1개구 22: 제2개구
24: 제1회수함 30: 카세트유닛
31: 카세트함 32: 적재함
50: 저장유닛 51: 슬롯
52: 스태커 53: 호퍼
56: 공백구간 55: 배출구
57: 배출구 받침 60: 제2회수함
70: 피더유닛 71: 피더헤드
72: 픽업롤러 73: 헤드
74: 제2모터 75: 밸트풀리
76: 밸트 77: 가이드
78: 가이드프레임 81: 이송장치
82: 샤프트 83: 기어축
84: 제1모터 90: 제어유닛
99: 매체

Claims (18)

  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프레임;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피더유닛;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복수의 매체가 낱장으로 저장되는 복수의 슬롯이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슬롯으로 상기 매체가 투입되거나, 배출되는 개방면이 상기 피더유닛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매체를 선택하여 배출하도록 상기 피더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제1방향으로 이웃하는 호퍼들이 이격되어 공백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상기 매체 중 발급에 의해 배출되는 매체를 사용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태 변경하여 배출하거나, 상기 케이스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매체를 상기 피더유닛으로 이송하는 발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될 복수의 매체가 수납되는 카세트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유닛은 상기 발급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매체 또는 상기 카세트유닛에 적재된 매체를 상기 저장유닛의 상기 슬롯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 또는 상기 발급유닛에 존재하는 매체를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수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함은 상기 발급유닛 또는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수납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함은
    상기 발급유닛에 마련되는 제1회수함과 상기 프레임의 보조프레임에 마련되는 제2회수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수함에 회수되는 상기 매체와 상기 제2회수함에 회수되는 상기 매체는 매체의 재사용 가능 상태, 발급된 상태, 불량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매체 상태에 의해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수함 또는 상기 제2회수함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제1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태커;를 포함하는 매체 관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한 쌍의 프레임과 복수의 스태커에 의해 구성되는 호퍼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복수의 상기 호퍼가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유닛은
    상기 공백구간에서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백구간은 상기 호퍼의 상기 제1방향 종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개방면과 나란한 상기 저장유닛의 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슬롯이 생략되어 형성되는 공백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수함은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게 상기 보조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관리 장치.
KR1020200166085A 2020-12-01 2020-12-01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KR102480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85A KR102480869B1 (ko) 2020-12-01 2020-12-01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85A KR102480869B1 (ko) 2020-12-01 2020-12-01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008A KR20220077008A (ko) 2022-06-08
KR102480869B1 true KR102480869B1 (ko) 2022-12-26

Family

ID=8198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085A KR102480869B1 (ko) 2020-12-01 2020-12-01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8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153B1 (ko) * 2011-11-01 2012-09-24 (주) 젬스제로 카드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4733A (ja) * 1996-08-30 1998-05-15 Tec Corp カード発行装置
KR20090012080U (ko) *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복수개의 카드 적재함을 구비한 카드 발행장치
KR101298205B1 (ko) * 2011-09-06 2013-08-22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카드 뱅킹 장치
KR101965831B1 (ko) 2017-09-14 2019-04-0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카드발급장치 및 금융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153B1 (ko) * 2011-11-01 2012-09-24 (주) 젬스제로 카드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008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0274B (zh) 具有托管装置的自动柜员机
KR101350112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467273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지엽류 구분 장치 및 지엽류 구분 시스템
KR20130131484A (ko)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처리 방법
KR20120084315A (ko) 지폐 입금 장치
RU2682578C2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листов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листов
JP2016207218A (ja) 金融機器
KR102480869B1 (ko)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KR102550347B1 (ko) 매체 저장 장치
KR101880453B1 (ko) 금융 기기
KR102122286B1 (ko)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JPH036794A (ja) 紙弊入出金装置
KR101441440B1 (ko)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
KR102493830B1 (ko) 자체 감사가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KR102472851B1 (ko) 카드 발급 및 보충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KR102512535B1 (ko) 카드 보관을 위한 슬롯을 구비하는 카드 관리 장치
KR102493831B1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
KR102493855B1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JP2002304643A (ja) 多種媒体取扱い装置とカード処理装置
CN113971856B (zh) 纸币管理装置以及方法
RU2206125C2 (ru) Электронный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и система со средствами автономного аудита
KR101979282B1 (ko) 금융 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15385B1 (ko) 매체집적장치,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JPH11259731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329230A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