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855B1 -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855B1
KR102493855B1 KR1020210029038A KR20210029038A KR102493855B1 KR 102493855 B1 KR102493855 B1 KR 102493855B1 KR 1020210029038 A KR1020210029038 A KR 1020210029038A KR 20210029038 A KR20210029038 A KR 20210029038A KR 102493855 B1 KR102493855 B1 KR 10249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ransfer module
storage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074A (ko
Inventor
조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21002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85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aper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관부에 보관된 케이스를 낱장으로 분리해서 출납구 측으로 이동시켜 방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납구를 통해 투입된 케이스를 상기 보관부에 마련된 복수의 수납카세트로 이송시켜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본체에 형성된 이송경로를 따라 케이스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수납 또는 방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MEDIUM RECEIVING AND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와 같은 매체가 수용된 케이스를 수납하고 방출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공서, 기업 등에서 인원과 물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전통적인 카드 및 리더기 방식 외에 생체인증,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의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출입통제 장치는 PSIM(Physical Security Information Management) 시스템과 연계되어 보안 영상, 화재 경보, 냉난방 공조 등의 기능으로 확장된다. 다만 출입자에게 발급되는 보안카드는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패용되므로 그 사용과 관리에 있어서 번거로움이 수반되어 활용성과 확장성을 저하시킨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보안카드 관리 상의 단점 보완과 관련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외부의 접촉단자와 연결된 집적회로 칩을 내장한 스마트카드가 수용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USB 커넥터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USB 단자가 형성된 USB 커넥터 및 케이스 내에서 USB 단자와 접촉단자 사이를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을 구비해서, 케이스 내에 스마트카드가 수용된 상태에서 인증 기능 등을 수행하는 스마트카드 리더기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카드 출구를 개폐하는 가동 셔터는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 및 로크 부재 결합 구멍을 가지고 있고, 스토퍼 부재는 스토퍼 부재 이동 수단에 의해 스토퍼 부재 결합 구멍과 결합되어, 비장착 상태에서 셔터를 폐쇄 상태로 고정시켜, 카드의 손실과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여 이전보다 높은 보안 등급을 실현하는 카드 카세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카드 불출 장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카드 리더기나 카세트 장치는 케이스에 수납된 보안카드를 설정된 공간에 다수로 적층하고 반출하는 시스템으로 구성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카드 수납 장치는 카드만 발급 또는 회수 가능하고, 카드가 수납된 케이스의 발급이나 수납은 불가능함에 따라, 분실 및 파손에 취약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인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카드 수납 장치는 일정한 모양을 가진 카드만을 발급 및 반납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카드가 수납된 케이스의 형상이나 케이스가 집적되는 방향 등으로 인해 픽업 과정에서 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625507호(2006년 9월 18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1608892호(2016년 4월 4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의 카드 등의 매체를 수납하고 방출할 수 있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 두께 이상의 매체를 분리하여 분출할 수 있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가 수납된 케이스의 형상이나 케이스가 집적되는 방향 등으로 인해 픽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잼을 최소화하고, 잼 발생시 복구할 수 있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은 이송부에 마련된 이송모듈을 이용해서 매체가 수용된 케이스를 본체에 형성된 이송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출납구를 통해 방출하거나, 보관부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의 카드 등의 매체를 수납하고 방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 방식으로 집적된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정확하게 방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가 수납된 케이스의 형상이나 케이스가 집적되는 방향 등으로 인해 픽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잼을 최소화하고, 잼 발생시 복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모듈의 이동 상태를 기준으로 이송모듈의 위치 및 케이스의 높이를 재 조정하여 케이스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케이스의 이송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모듈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송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모듈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송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출납구(21)에서 보관부(30)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관공서, 기업 등에서 다수의 인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보안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보안카드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 카드 형상의 매체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 및 방출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보안카드는 저장 메모리를 내장하여 출입통제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갱신 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또는 출입자)는 보안카드의 오염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카드를 합성수지 재질 등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케이스(12)에 수납하고, 줄이나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목걸이와 같은 방식으로 패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11), 즉 보안카드가 수납된 케이스(12)가 출납하는 출납구(21)가 마련되는 본체(20), 본체(20) 내부에 마련되고 케이스(12)를 적층해서 보관하며 보관된 케이스(12)를 불출하는 보관부(30), 매체(11) 및 케이스(12)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40) 및 케이스(11)를 수납 또는 방출하도록 이송하는 이송부(50)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10)는 본체(20) 내부에 마련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케이스(11)를 감지하는 감지부(70) 및 감지부(70)의 감지결과에 기초해서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매체(11), 즉 보안카드는 케이스(12) 내부에 수용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에 매체가 수용된 케이스를 그대로 투입받아 수납처리한 후 보관부에 적재해서 보관하고, 보관된 케이스를 방출한다.
한편, 보안카드는 두께가 일정한 박판 형태로 구성되나, 케이스(12)는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12)의 표면에는 문양이나 돌기 등이 형성됨에 따라, 케이스(12)의 두께는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출납구(12)는 케이스(12)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출납을 허용하도록, 케이스(12)의 최대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출납구(12)는 케이스(12)의 투입 자세를 제한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자세를 허용할 수도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케이스(12) 반납시, 케이스(12)의 두께 차이와 무관하게 출납구(21)에 넣어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투입된 자세 그대로 보관부(31)에 보관되고, 보관된 그대로 사용자에게 발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2) 내부에는 매체(11)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매체(11)에는 인식부(60)에 의해 인식 가능하도록, 제1 통신모듈(도면 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2)에는 외부의 통신단말(도면 미도시)과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모듈은 비콘 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2)에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버튼(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2 통신모듈은 버튼(13)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이상 누름 조작되면, 케이스(12)의 위치 확인을 위해 미리 설정된 ID를 외부의 통신단말, 예컨대 비콘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는 비콘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ID를 이용해서 케이스(12)에 수용된 보안카드 및 이를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케이스(12) 내부에 매체(11)가 수용된 상태의 케이스(12)를 수납 또는 방출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본체(20)의 상부 일측에는 출납구(21)가 형성되고, 출납구(21)에는 케이스(12)를 본체(20) 내부로 수납하거나, 본체(20) 외부로 방출하는 피딩유닛(4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의 하부에는 복수의 수납 카세트(31)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보관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본체(20)의 출납구(21)과 보관부(30)의 각 수납 카세트(31) 사이에는 케이스(31)가 이송되는 이송경로(22)가 형성되고, 이송경로(22)에는 이송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경로(22)는 본체(20)의 하부 플레이트 상면과, 보관부(30)에 장착된 복수의 수납카세트(31) 상면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이송경로(22)는 케이스(12)의 이송 과정에서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끈한 동일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20)의 하부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수납 카세트(31) 상단이 배치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케이스(12)는 상기 통공을 통해 각 수납 카세트(31)에 적재되거나, 각 수납 카세트(31)에서 방출될 수 있다.
피딩유닛(40)은 출납구(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축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쌍의 롤러는 각각 케이스(1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케이스(12)를 수납 또는 방출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딩유닛(40)은 출납구(21)에 투입된 케이스(11)를 복수 쌍의 롤러를 회전시켜 이송경로(22) 측으로 공급하거나, 이송부(50)에 의해 이송된 케이스(12)를 출납구(21)를 통해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경로(22)에는 출납구(21)와 근접하게 매체(11) 및 케이스(12)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6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인식부(60)는 매체(11)에 마련된 제1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매체(11)와 케이스(12)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보관부(30)는 대략 사각통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30)의 하부에 마련되고, 보관부(30) 내부에는 복수의 수납 카세트(31)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 카세트(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수납 카세트(31)의 개수, 형상 및 구조는 출입통제 대상 인원수나 매체의 형상 및 규격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수납 카세트(31)는 보관부(30) 내부에 마련된 각 장착공간에서 상방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납카세트(25)는 일면, 예컨대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케이스(12)를 출납할 수 있다.
각 수납 카세트(31) 내부에는 상면에 케이스(11)가 적재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판(32)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보관부(30)는 각 수납 카세트(31)에 마련된 각 이동판(3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구동모듈(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듈(33)은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판(32)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켜 보관된 케이스(12)를 이송부(50)로 전달하거나, 이송부(50)에 의해 이동판으로 전달된 케이스(12)를 보관할 수 있다.
이송부(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경로(2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모듈(51)과 이송모듈(51)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송모듈(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경로(22)의 양측에는 이송모듈(51)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레일(53)이 전후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송모듈(51)의 하부에는 이송하고자 하는 케이스(12)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58)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모듈(51)의 하면은 수용 공간(58)과 연통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모듈(51)의 일면, 도 3에서 보았을 때 전면은 케이스(12)를 수용 공간(58)으로 투입하거나, 수용 공간(58)에 수용된 케이스(12)를 전방으로 방출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송모듈(51)의 개구된 전면은 보관부(30)에 보관된 케이스(12)를 낱장 단위로 분리해서 이송하도록, 케이스(12)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송모듈(51)의 타면, 도 4에서 보았을 때 후면에는 수용 공간(58)에 수용된 케이스(12)를 출납구(21)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57)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57)는 이송모듈(51)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용 공간(58)에 수용된 케이스(12)를 출납구(21)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송모듈(51)의 개구된 일면, 즉 전면에는 개폐도어(54)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도어(54)의 양측벽은 각각 이송모듈(51)의 전단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55)에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개폐도어(54)는 축(55)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해서 이송모듈(51)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도어(54)는 출납구(21)에 근접한 픽업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출납구(21)의 상부에 설치된 스토퍼(도면 미도시)에 의해 도 3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이에 따라, 이송모듈(51)의 전면이 개방된다.
그래서 개폐도어(54)는 출납구(21)를 통해 투입된 케이스(12)를 수용공간(58)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개폐도어(54)는 이송모듈(51)이 후측으로 이동하면, 축(55)의 외주면에 설치된 탄성부재(56)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본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이송모듈(51)의 전면이 폐쇄된다.
따라서 개폐도어(54)는 수용 공간(58)에 수용된 케이스(12)를 후방, 즉 출납구(21)에서 보관부(5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송모듈(51)은 양단에 설치된 복수 쌍의 롤러가 각 레일(53)에 접촉된 상태에서 벨트나 체인,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구동모듈(52)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해서 케이스(12)를 이송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감지부(70)는 이송경로(22)를 통해 이송되는 케이스(12)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71)와 케이스(12)의 자세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7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70)는 각 수납카세트(31)에 각각 마련된 이동판(32)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 감지센서(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71)는 출납구에서 이송경로(22)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센서(71)는 이송경로(22)를 중심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발광부와 이송경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감지센서(71)는 이송경로(22)를 중심으로 상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 그리고 이송경로(22)를 중심으로 하부에 배치되어 발광부에서 조사된 센서광을 수광부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로형성부재가 포함된 제1 감지센서(71)를 적용하는 경우, 제1 감지센서(71)는 이송되는 케이스(12)의 위치와 함께, 케이스(12)의 자세, 예컨대 스큐(skew)를 동시에 감지할 수도 있다.
제3 감지센서(73)는 보관부(30)의 각 장착공간 또는 각 수납카세트(3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71 내지 73)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제어부(80)로 전달된다.
제어부(80)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 유닛으로 마련되고, 통신부(도면 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출입자의 개인정보, 방문가능 영역, 방문일정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감지부(70)에서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출납되는 케이스(12)의 위치 및 자세, 보관부(30)의 각 수납카세트(31)에 적재된 케이스(12)의 적재상태 및 적재 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8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출납되는 매체(11) 및 케이스(12)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케이스(12)가 집적된 형상에 따라 케이스(12)가 기우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이송모듈(51)의 위치 및 이송모듈(51)이 픽업할 케이스(12)의 높이를 미세하게 재 조정하도록 이송부(50)와 보관부(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80)는 이송모듈(51)을 케이스(12)를 수용하기 위한 픽업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송모듈(51)의 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케이스(12)가 이송모듈(51)의 위치 조정이 필요한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계산된 이송모듈(51)의 이동량이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80)는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이송모듈(5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추가적으로 이동시켜 이송모듈(51)의 위치를 재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케이스(12)의 적재 상태 불량으로 인해 픽업된 이송모듈(51)의 이동 과정에서 이동 상태, 예컨대 케이스(12)의 걸림이나 이동 속도 저하, 구동모듈의 부하 증가 등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이송모듈(51)을 본래의 픽업 위치로 복귀시키고, 케이스(12)의 높이를 재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모듈의 이동 상태를 기준으로 이송모듈의 위치 및 케이스의 높이를 재 조정하여 케이스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케이스의 이송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는 매체 방출 동작이 예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매체 수납 동작이 예시되어 있다.
먼저, 제어부(80)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10)의 초기 기동시 또는 보관부(30)에 수납카세트(31)를 장착하고 이동판(3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래서 제어부(80)는 감지부(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해당 수납카세트(31)에 적재된 케이스(12)의 수량을 검사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해서 매체 방출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의 S10단계에서 제어부(80)는 입력부(도면 미도시)를 통해 매체 방출, 즉 보관부(30)에 보관된 보안카드의 발급 요청이 입력되면, 카드 발급을 위해 준비하도록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매체(11), 즉 보안카드가 수납된 케이스(12)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경로(22)를 형성하고, 이송모듈(51)을 발급할 보안카드가 수납된 수납 카세트(31)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2단계에서 제어부(80)는 이송모듈(51)을 발급할 보안카드가 수납된 수납 카세트(31)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이송부(50)에 마련된 구동모듈(52)의 구동을 제어한다.
S14단계에서 제어부(80)는 수납 카세트(31)에 보관된 매체(11) 및 케이스(12)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보관부(30)에 마련된 구동모듈(33)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래서 매체(11) 및 케이스(12)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모듈(51)의 하부에 마련된 수용공간(58)에 수용되면, 제어부(80)는 이송모듈(51)을 출납구(21)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인식부(60)는 매체(11)에 마련된 제1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매체의 정보를 인식하며, 제어부(80)는 인식된 정보를 전달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한편, S18단계에서 제어부(80)는 이송모듈(51)의 이동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만약, S18단계의 검사결과 이송모듈(51)의 이동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80)는 이송모듈(51)의 위치 및 이송모듈(51)이 픽업할 케이스(12)의 높이를 미세하게 재 조정하도록 이송부(50)와 보관부(30)의 구동을 제어한다(S20).
즉, 제어부(80)는 이송모듈(51)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송모듈(51)의 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케이스(12)가 이송모듈(51)의 위치 조정이 필요한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계산된 이송모듈(51)의 이동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80)는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이송모듈(5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추가적으로 이동시켜 이송모듈(51)의 위치를 재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케이스(12)의 적재 상태 불량으로 인해 픽업된 이송모듈(51)의 이동 과정에서 이동 상태, 예컨대 케이스(12)의 걸림이나 이동 속도 저하, 구동모듈(52)의 부하 증가 등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이송모듈(51)을 본래의 픽업 위치로 복귀시키고, 케이스(12)의 높이를 재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S22단계에서 제어부(80)는 출납구(21) 측으로 이송된 케이스(12)를 방출하도록, 피딩유닛(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보관부에 적재 방식으로 보관된 매체가 수용된 케이스를 낱장으로 분리해서 방출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매체 수납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의 S30단계에서 제어부(8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매체 수납, 즉 보안카드의 수납 요청이 입력되면, 카드 수납을 위해 준비하도록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매체, 즉 보안카드가 수납된 케이스(12)를 수납할 수납 카세트(31)의 카드 집적 동작을 준비하고, 케이스(12)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경로(22)를 형성하도록 이송부(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S32단계에서 제어부(80)는 보관부(30)에 설치된 복수의 수납카세트(31) 중에서 케이스(12)가 수납될 수납카세트(31)의 이동판(32)을 집적위치를 향해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모듈(33)의 구동을 제어한다.
S34단계에서 제어부(80)는 이송모듈(51)을 출납구(21) 측으로 이동시키고, 출납구(21)를 통해 투입된 매체(11) 및 케이스(12)를 이송모듈(51)로 전달하도록 피딩유닛(40)의 구동을 제어한다.
S36단계에서 이송모듈(51)은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듈(52)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이용해서 케이스(12)가 보관될 수납카세트(31) 상부로 이동한다.
S38단계에서 매체(11)가 수용된 케이스(12)는 수납카세트(31)로 전달되어 집적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제어부(80)는 감지부(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케이스(12)가 수납카세트(31)로 정확하게 전달되는지를 검사하며, 해당 수납카세트(31)에 보관된 케이스의 수량에 1을 더하여 카운트한다.
이때, S40단계에서 제어부(80)는 이동판(3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적된 케이스(12)가 정상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만약, S40단계의 검사결과 케이스(12)가 비정상 상태로 집적된 경우, 제어부(80)는 집적 오류를 안내하는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매체가 수용된 케이스를 보관부에 마련된 수납카세트로 이송해서 수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의 카드 등의 매체를 수납하고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재 방식으로 집적된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정확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가 수납된 케이스의 형상이나 케이스가 집적되는 방향 등으로 인해 픽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잼을 최소화하고, 잼 발생시 복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의 카드 등의 매체를 수납하고 방출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10: 매체 수납 방출 장치
11: 매체 12: 케이스
13: 버튼
20: 본체
21: 출납구 22: 이송경로
30: 보관부
31: 수납카세트 32: 이동판
33: 구동모듈
40: 피딩유닛
50: 이송부
51: 이송모듈 52: 구동모듈
53: 레일 54: 개폐도어
55: 축 56: 탄성부재
57: 가이드부 58: 수용공간
60: 인식부
70: 감지부
71 내지 73: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
80: 제어부

Claims (7)

  1. (a) 이송부에 마련된 이송모듈을 이용해서 매체가 수용된 케이스를 본체에 형성된 이송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보관부에 보관된 케이스를 낱장으로 분리해서 출납구 측으로 이동시켜 방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출납구를 통해 투입된 케이스를 상기 보관부에 마련된 복수의 수납카세트로 이송시켜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a)단계에서 개구된 일면을 통해 투입된 케이스를 상기 이송모듈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해서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케이스를 낱장 단위로 분리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출납구 측으로 이송해서 방출하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출납구를 통해 투입된 케이스를 상기 이송경로를 다라 이동시켜 상기 보관부로 이송해서 적재 방식으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이송모듈을 방출하고자 하는 케이스가 보관된 수납카세트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a2) 상기 수납 카세트에 마련된 이동판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케이스를 픽업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a3) 상기 이송모듈에 마련된 수용공간에 케이스를 수용하고, 상기 출납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a4) 피딩유닛을 이용해서 상기 출납구 측으로 이동된 케이스를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상기 이송모듈의 이송 상태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이송모듈의 위치와 상기 케이스의 높이를 재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모듈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모듈의 이동량을 계산하고, 케이스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계산된 상기 이송모듈의 이동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이송모듈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추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송모듈의 위치를 재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케이스의 적재 상태 불량으로 인해 상기 이송모듈의 이동 과정에서 이동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이송모듈을 본래의 픽업 위치로 복귀시키고, 케이스의 높이를 재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이송모듈을 상기 출납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b2) 피딩유닛을 이용해서 상기 출납구에 투입된 케이스를 상기 이송모듈로 전달하는 단계,
    (b3) 상기 이송모듈을 상기 케이스가 보관된 수납카세트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b4) 상기 케이스를 상기 수납카세트로 전달해서 집적하는 단계 및
    (b5) 제어부에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수납카세트로 전달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수납카세트에 보관된 케이스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b6)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수납 카세트에 마련된 이동판을 상기 이동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적된 케이스가 정상 상태인지를 검사하는 단계 및
    (b7) 케이스가 비정상 상태로 집적된 경우, 집적 오류를 안내하는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029038A 2021-03-04 2021-03-04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KR10249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038A KR102493855B1 (ko) 2021-03-04 2021-03-04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038A KR102493855B1 (ko) 2021-03-04 2021-03-04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074A KR20220125074A (ko) 2022-09-14
KR102493855B1 true KR102493855B1 (ko) 2023-01-31

Family

ID=8327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038A KR102493855B1 (ko) 2021-03-04 2021-03-04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8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611B1 (ko) * 2008-09-19 2009-05-15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892B1 (ko) 1995-07-31 1999-02-01 배순훈 광로 조절 장치의 콘택홀 배선 방법
KR100625507B1 (ko) 2005-08-09 2006-09-18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스마트카드 리더기
KR102391614B1 (ko) * 2015-11-18 2022-04-28 키오스크코리아(주)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KR102347743B1 (ko) * 2015-11-18 2022-01-06 키오스크코리아(주)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611B1 (ko) * 2008-09-19 2009-05-15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074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2509A (ko) 지폐 처리장치
CN107743639B (zh) 用于自动交易机的核心模块及自动交易机
KR101732795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2493855B1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KR102493831B1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
WO2016059839A1 (ja) 媒体収容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5462637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5603262B2 (ja) 共通回路基板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KR102009363B1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JP5687913B2 (ja) カードスタッカのフル検出器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KR20180041889A (ko) 카세트 밀판 잠금장치
KR102480869B1 (ko)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KR101587689B1 (ko) 금융기기
JP2016062235A (ja)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101609455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JP2012159906A (ja) 収納カード繰り出し機構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KR102550347B1 (ko) 매체 저장 장치
CN107430796B (zh) 纸币处理装置
KR101464868B1 (ko) 매체 픽업 및 이송 장치, 금융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8459B1 (ko) 매체감별장치 및 금융기기
JP5677886B2 (ja) カードスタッカ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JP5635942B2 (ja) 搬送路開放構造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KR102573029B1 (ko) 지폐 처리 장치
JP5727283B2 (ja) 搬送路開放構造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JP6560318B2 (ja) 景品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