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611B1 -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611B1
KR100897611B1 KR1020080092377A KR20080092377A KR100897611B1 KR 100897611 B1 KR100897611 B1 KR 100897611B1 KR 1020080092377 A KR1020080092377 A KR 1020080092377A KR 20080092377 A KR20080092377 A KR 20080092377A KR 100897611 B1 KR100897611 B1 KR 10089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feed roller
transfer
unit
issu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국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9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3/00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 G07B3/04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from a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카드 적재함에 적재된 카드를 발행하거나 발행한 카드를 다시 회수할 수 있으며, 카드 회수시에는 카드 권종(券種)을 파악하여 카드 권종에 맞는 카드 적재함으로 카드를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및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드를 발행하고 그 발행카드를 다시 회수할 수 있으므로, 카드를 회수하는 별도의 집표 장치(카드 회수장치)가 불필요하다.
또한 카드 회수시 카드를 회수하여 바로 발행 가능한 상태로 적재 보관하기 때문에 카드의 회수 및 적재함 충전 등의 관리자 작업이 대폭 줄어들게 된다.
또한 여러 개의 카드 적재함에 이종의 카드를 적재하고 그 중에서 특정 카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카드 회수시에는 회수 카드의 권종을 파악하여 그 권종에 맞는 카드 적재함에 카드를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여, 여러 권종의 카드를 발행하거나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이송롤러, 이송 플레이트, 회동 바, 감지 휠

Description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CARD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SSUE AND WITHDRAWAL FUNCTION OF CARD, ISSUE METHOD, AND WITHDRAWA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드를 발행하고 발행한 카드를 다시 회수할 수 있는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카드 적재함에 적재된 카드를 발행하거나 발행한 카드를 다시 회수할 수 있으며, 카드 회수시에 카드 권종(券種)을 파악하여 카드의 권종에 맞는 카드 적재함으로 카드를 적재할 수 있는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기차, 버스 등에서는 대부분 승차권을 구매하여 승차하는데, 승차권으로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Magnetic Stripe) 타입의 일 회용 혹은 정액권 승차권이나 스마트 카드(비접촉식 RF카드) 형식의 충전식 카드 승차권 혹은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타입의 승차권은 구겨지거나 찢어지기 쉽고 마그네틱 부분이 손상되기 쉬워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마그네틱 타입의 승차권을 비접촉식의 알에프 카드(RF card: Radio Frequency card)(이하, 카드로 약칭함)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마그네틱 타입의 승차권은 상대적으로 제조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일회용의 경우에는 한 번만 사용하고 폐기하고, 정액권의 경우에는 사용금액이 소진되면 폐기하였기 때문에 회수기능이 필요 없어 기존에 설치된 승차권 발행기는 대부분 발행 기능만을 갖게 된다.
종래 카드 발행장치는 지하철 승차권, 주차권 등 무인 발매기에서 사용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내부에 카드를 적층 보관하는 적재함, 이를 처리부로 전달하는 이송 부,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부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발행된 카드는 별도의 집표 장치(카드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회수된다. 집표 장치를 통해 회수된 카드가 다시 사용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초기화 작업을 거친 카드를 다시 카드 발행장치의 적재함(또는 보관함)에 일일이 적재(충전)해 주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관리자는 적재함의 카드 소진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하고, 카드를 적재함에 제때에 적재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카드를 발급받을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큰 불편을 겪게 된다.
카드 적재 주기를 늘리기 위해서 카드 적재함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이는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수반된다.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여러 권종의 카드를 발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성인 권과 소인 권, 일반 권과 좌석권, 유료 권과 무임 권, 1구간 권과 2구간 권 등 용도에 따라 카드의 권종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드 발행장치는 단일 권종만을 발행하는 구조로 구성되기 때 문에 여러 권종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카드 발행장치를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된 카드를 회수할 때, 별도의 집표 장치에서 카드의 권종을 구분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회수한 후,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카드 권종 별로 분류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카드를 발행할 수 있고, 사용종료되어 회수된 카드(이하 회수된 카드라 약칭함)를 다시 발행 가능한 상태로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는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카드 적재함을 구비하고 각 카드 적재함에서 선택적으로 카드를 발행할 수 있고, 회수된 카드는 복수의 카드 적재함 중에서 지정한 적재함으로 적재 가능한,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도가 다른 여러 권종 카드를 각각의 카드 적재함에 저장하고 각 권종의 카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수된 카드의 권종을 구분하여 같은 권종의 카드 적재함 안에 적재하여 바로 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 발행시에 카드의 표면에 필요한 정보를 인쇄하여 시각적으로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고, 회수된 카드의 표면을 소거하여 적재함으로써, 회수된 카드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알에프 카드식 승차권, 즉 카드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하면, 마그네틱 타입의 승차권을 스마트 카드 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스마트 카드의 제조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사용된 승차권을 회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카드를 회수하기 위해 카드 구매시에 교통요금에 반환 보증금을 추가하여 구매하도록 하고, 사용 완료된 카드를 회수할 경우에는 반환 보증금을 다시 돌려주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네틱 타입의 승차권을 스마트 카드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카드를 회수하기 위한 기능이 추가로 필요한데, 종래에는 카드 발행기와 카드 회수기가 별도로 각각 존재하여,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관리자가 회수기로 회수된 카드를 다시 발행기에 적재해야 한다. 그러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관리비용이 증가하였으며, 적재함이 하나밖에 없어 적재용량이 작아 관리자가 자주 확인하고 카드를 일일이 적재(충전)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는 내부 전면부에 카드의 출입을 위해 카드 배출 및 투입 부가 형성되는 본체; 발행 대기 상태의 카드를 다수 적재하고, 회수된 카드를 다시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 후면 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에 적재된 카드를 승강시켜서 상기 카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 일 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카드 높이 조절유닛;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적재된 발행 대기 상태의 카드를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 쪽으로 배출하고, 회수된 카드를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다시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카드에 전자적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과 근접하여 설치되는 알에프 제어유닛; 발행 카드에 열을 가하여 좌석 및 금액 정보를 인쇄하고, 회수된 카드에 열을 가하여 인쇄된 정보를 소거하기 위하여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과 근접하여 설치되는 감열 처리유닛; 카드 발행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카드를 폐카드함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오류카드 제거 유닛; 및 고객의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부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여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와 상기 감열 처리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엠에스(MS: Magnetic stripe) 인식 유닛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 상기 엠에스 인식 유닛, 상기 감열 처리유닛,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 상기 오류카드 제거 유닛, 상기 엠에스 인식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은 상기 카드의 이송라인과 동일 선 상에 배열된다.
상기 제1 카드 적재함은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카드 적재함은 상기 제1 카드 적재함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은 상기 제1 카드 적재함의 상부에 설치된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양 측벽의 장공에 지지되고, 상면에는 카드 안내면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카드 안내구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삽입 홀이 형성되는 이송 플레이트; 상기 양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의 중간에 그 일단 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 상기 양 측벽과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의 장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이송롤러 샤프트; 상기 양 측벽과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의 장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이송롤러 샤프트; 상기 제1 이송롤러 브래킷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 홀 안으로 그 하부가 삽입되는 제1 이송롤러; 상기 제2 이송롤러 브래킷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 홀 안으로 그 하부가 삽입되는 제2 이송롤러; 상기 제1 이송롤러와 상기 제2 이송롤러가 상기 카드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웨이트;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과 상기 제2 카드 이송유닛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중계롤러 샤프트;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와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중계롤러 샤프트;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에 고정되는 제1 중계롤러; 상기 제1 중계롤러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중계롤러 샤프트에 고정되는 제2 중계롤러; 상기 카드를 배출 및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벽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카드를 전후진 이송시키는 전후진 롤러;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 및 상기 제1 카드 적재함에 적재된 상기 카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카드 위치 감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양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샤프트와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동력전달 벨트들;로 구성된다.
상기 카드 위치 감지부는 중간 부분이 상기 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바;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카드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바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지 휠; 및 상기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바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드 위치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카드 이송유닛은 상기 제2 카드 적재함의 상부에 설치된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양 측벽의 장공에 지지되고, 전면에 카드 안내구가 형성되는 이송 플레이트; 상기 양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의 중간에 그 일단 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 상기 양 측벽과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의 장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이송롤러 샤프트; 상기 양 측벽과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의 장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이송롤러 샤프트; 상기 제1 이송롤러 브래킷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 홀 안으로 그 하부가 삽입되는 제1 이송롤러; 상기 제2이송롤러 브래킷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롤러 샤프트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 홀 안으로 그 하부가 삽입되는 제2 이송롤러; 상기 제1 이송롤러와 상기 제2 이송롤러가 상기 카드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웨이트; 상기 구동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 및 상기 제2 카드 적재함에 적재된 상기 카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카드 위치 감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양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동력전달 벨트들;로 구성된다.
상기 카드 위치 감지 부는 중간 부분이 상기 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바; 상기 카드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바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지 휠; 및 상기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바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드 위치 센서;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에 있어서,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발행하는 방법은 카드 발행을 위하여 구동부를 작동하는 단계;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이송하는 단계;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에서 빠져나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에서 빠져나가지 않았을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고,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에서 빠져나갔을 경우 이송롤러를 정지시키는 단계; 및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상승시켜 발행 대기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에 있어서,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발행하는 방법은 카드 발행을 위하여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를 하향 위치시키는 단계;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의 이송라인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의 이송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계속 하향시키고,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의 이송라인이 일치하면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이송하는 단계;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가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상기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계속 이송하고,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갈 경우에는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를 정지시키는 단계;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을 따라 카드를 이송시키는 단계;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빠져나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빠져나가지 않았을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고,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빠져나간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의 회전을 정지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 적재함의 카드를 상승시켜서 카드 발행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회수방법에 있어서, 제1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방법은 카드 회수를 위하여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하향 위치시키는 단계;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송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계속 하향시키고,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하면 전후진 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 안으로 유입시키는 단계; 이송 플레이트가 위로 젖혀지면서 이송 플레이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끌어당기는 단계;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되지 않았으면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계속 끌어당기고,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적재 완료되었으면 이송롤러를 정지하는 단계; 및 카드를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발행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회수방법에 있어서, 제2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방법은 카드 회수를 위하여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를 하향 위치시키는 단계;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 이동라인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 이동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를 계속 하향 위치시키고,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 이동라인이 일치하면 전후진 롤러 및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 위로 이송시키는 단계;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제2 카드 이송유닛으로 이송하는 단계; 카드가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벗어나지 않은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여 카드를 제2 카드 이송유닛으로 이송하고,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벗어난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를 정지하는 단계; 중계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 쪽으로 유입하는 단계; 카드 끝단 부에 의해서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플레이트가 위로 젖혀지면서 이송 플레이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끌어당기는 단계;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되지 않은 경우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여 카드를 끌어당기고,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된 경우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를 정지하는 단계; 카드를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발행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및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상승시켜서 발행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드를 발행하고 동시에 그 발행카드를 다시 회수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집표 장치(카드 회수장치)가 필요 없다.
또한 카드 회수시 카드를 회수하여 바로 발행 가능한 상태로 적재 보관하기 때문에 카드의 회수 및 적재함 충전 등의 관리자 작업이 대폭 줄어들게 된다.
또한 여러 개의 카드 적재함에 이종의 카드를 적재하고 그 중에서 특정 카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카드 회수시에는 회수 카드의 권종을 파악하여 그 권종에 맞는 카드 적재함에 카드를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여, 여러 권종의 카드를 발행하거나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1)는 발행 대기 상태의 카드를 다수 적재하고, 회수된 카드를 다시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 내부 후면 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안에 적재된 발행 대기 상태의 카드를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 쪽으로 배출하고, 회수된 카드를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안에 다시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400)(500);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400)(500)으로부터 이송된 카드에 전자적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400)(500)과 근접하여 설치되는 알에프(RF) 제어유닛(600); 발행하는 카드에 열을 가하여 좌석 및 금액 정보를 인쇄하고, 회수된 카드에 열을 가하여 인쇄된 정보를 소거하기 위하여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과 근접하여 설치되는 감열 처리유닛(700); 카드 발행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카드를 폐카드함(810)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 하부에 설치되는 오류카드 제거 유닛(800); 및 고객의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부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여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와 상기 감열 처리유닛(700) 사이에 설치되는 엠에스(MS) 인식 유닛(900)을 구비한다. 도 1에서 화살표는 카드의 이송 경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회수장치(1)는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를 통해서 카드가 출입되고, 복수 개의 카드 적재함(100)(100')에 적재된 발행 대기 상태의 카드를 전자적 데이터를 기록하여 발행하고, 회수된 카드에 열을 가하여 인쇄된 정보를 소거하는 기능을 갖는 본체(1')를 구비하되, 상기 카드 적재함(100)(100')의 상부에는 발행 대기 상태의 카드를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 쪽으로 배출하고, 회수된 카드를 상기 복수 개의 카드 적재함(100)(100') 안에 다시 적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카드 이송유닛(400)(500)이 구비된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회수장치(1)에 있어서는, 여러 개의 카드 적재함과, 발행 대기상태의 카드를 이송시키는 여러 개의 카드 이송유닛이 구비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2개의 적재함(100)(100')과 2개의 카드 이송유닛(400)(500)이 구비된 구조를 그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B부분의 저면도, 도 7은 도 2의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내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도 7의 배면 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1)는 본체(1') 내부 전면부에 카드(C)의 출입을 위해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 내부 후면 부에는 순차적으로 전후로 서로 인접하여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이 설치된다(도 2 참조).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안에는 발행 대기 상태의 카드(C)가 다수 적재되고, 회수된 카드(C)가 다시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측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300)이 설치된다(도 3 참조).
상기 제1 및 제2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300)은 상기 각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에 적재된 카드(C)를 승강시켜서 상기 카드(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300)은 스텝모터(210)(310), 그 스텝모터(210)(310)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20)(320), 상기 이송스크류(220)(3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카드(C)가 적재되는 카드 받침대(240)(340)로 구성된다.
상기 스텝모터(210)(310)가 구동하여 상기 이송스크류(220)(320)를 정/역 회전시키면, 카드 받침대(240)(340)가 승강(昇降)하면서 카드(C)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의 상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400)(500)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400)(500)은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안에 적재된 발행 대기 상태의 카드(C)를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 쪽으로 이송하고, 회수된 카드(C)를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안에 다시 적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400)과 근접하는 위치에는 알에프(RF) 제어유닛(600)이 설치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은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400)(500)으로부터 이송된 카드(C)에 전자적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과 근접하는 위치에는 감열 처리유닛(700)(도 5 및 도 6 참조)이 설치된다. 상기 감열 처리유닛(700)은 발행 카드(C)에 열을 가하여 좌석 및 금액 정보를 인쇄하고, 사용종료되어 회수된 카드(C)에 열을 가하여 인쇄된 정보를 소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오류카드 제거 유닛(800)이 설치된다. 상기 오류카드 제거 유닛(800)은 카드(C)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카드(C)를 폐카드함(810)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도 3 및 도 5 참조).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와 상기 감열 처리유닛(700) 사이에 엠에스 인식유닛(900)이 설치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엠에스 인식유닛(900)은 고객의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부(미도시)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여 호스트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엠에스 인식 유닛(900)에 의해서 사용자는 신용카드로 카드(승차권)를 구입할 수 있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 상기 엠에스 인식 유닛(900), 상기 감열 처리유닛(700),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는 하부 부분(A)과 상부 부분(B)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부 부분(B)이 하부 부분(A)에 대하여 힌지 구조(미도시)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부분(B)이 하부 부분(A)과 결합된 상태에서, 그들 사이로 카드가 이송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 상기 엠에스 인식 유닛(900), 상기 감열 처리유닛(700),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400)(500)은 상기 카드(C)의 이송라인과 동일 선 상에 배열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하로 설치된 한 쌍의 카드 이송롤러(R1)(R2)(R3)(R4)는 카드를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400)(도 7 내지 도 9 참조)은 제1 카드 적재함(100)에 적재된 발행 대기상태의 카드(C) 및 회수된 카드(C)를 이송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 측벽(1b)의 장공(S1)에 끼워져 지지되는 이송 플레이트(410); 상기 양 측벽(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415); 이송롤러들(425)(427)이 장착되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7)(418)와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9); 제2 이송롤러 샤프트(420); 제1 이송롤러 브래킷(417)에 장착되는 제1 이송롤러(425);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8)에 장착되는 제2 이송롤러(427);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을 하방으로 눌러주는 웨이트(430)(431);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 제2 중계롤러 샤프트(437); 제1 중계롤러(440); 제2 중계롤러(443); 전후진 롤러(445)(447)(도 5 및 도 6 참조); 동력부(450); 그리고 카드(C)의 위치를 감지하고 카드(C)의 위치를 적당한 높이로 조절하는 카드 높이 조절 유닛(200)을 구동시키는 카드 위치 감지 부(46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400)의 구성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는 상기 제1 카드 적재함(100)의 상부에 설치된 양 측벽(1b)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의 양쪽에 돌출 형성된 삽입핀(410a)은 상기 양 측벽(1b)의 장공(S1)에 삽입 지지되며,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는 상기 카드(C)의 직 상방에 위치되고 카드(C)의 승강과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는 자중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처져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카드(C)가 상승하는 경우 카드(C)의 상면에 접촉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는 그 상면에 카드 안내면(411)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카드 안내구(412)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와 감지 휠(465)이 삽입되는 삽입 홀(413)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415)는 상기 양 측벽(1b)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415)의 중간에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7)(418)의 일단 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H1)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7)(418)은 모두 상기 힌지(H1)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9)와 제2 이송롤러 샤프트(420)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양 측벽(1b)과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7)(418)을 횡으로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1b)의 장공(S2)(S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7)(418)이 힌지(H1)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9)와 제2 이송롤러 샤프트(420)도 장공(S2)(S3)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유동)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공(S1)(S2)(S3)은 이송 플레이트(410),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9),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42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즉, 유동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5)와 제2 이송롤러 샤프트(419)에는 각각 제1 이송롤러(425)와 제2 이송롤러(427)가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롤러(425)와 제2 이송롤러(427)는 각각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7)(418)의 내부에 위치되어 장착되며, 상기 제1 이송롤러(425)와 제2 이송롤러(427)의 하부는 이송 플레이트(410)의 삽입홀(413) 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7)(418)의 상면에는 웨이트(430)(431)가 설치되어, 그 웨이트(430)(431)는 상기 제1 이송롤러(425)와 상기 제2 이송롤러(427)가 상기 카드(C)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이송롤러(425)와 상기 제2 이송롤러(427)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카드(C)가 발행 대기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이송롤러(425)와 상기 제2 이송롤러(427)는 카드(C)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400)과 상기 제2 카드 이송유닛(500) 사이에는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와 제2 중계롤러 샤프트(437)가 상기 양 측벽(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설치된다.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와 제2 중계롤러 샤프트(437)에는 각각 제1 중계롤러(440)와 제2 중계롤러(443)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중계롤러(440)와 제2 중계롤러(443)는 카드 두께 정도로 근접설치되며, 카드(C)를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400) 또는 상기 제2 카드 이송유닛(500) 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드(C)를 배출 및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벽(1b) 전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후진 롤러 샤프트(445a)(447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후진 롤러 샤프트(445a)(447a)에 각각 전후진 롤러(445)(447)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전후진 롤러(445)(447)는 구동부(448)에 의해서 상기 카드(C)를 전후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양 측벽(1b) 사이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415)와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450)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부(450)는 상기 양 측벽(1b)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451)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부(450)는 상기 구동모터(451)의 샤프트(452)와 상기 구동 샤프트(415), 상기 구동 샤프트(415)와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9), 상기 구동 샤프트(415)와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420),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샤프트(452)와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동력전달 벨트(B1)(B2)(B3)(B4)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451)의 샤프트(452), 상기 구동 샤프트(415),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9),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420),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 트(435)의 끝단에는 각각 풀리(P1)(P2)(P3)(P4)(P5)가 고정되고, 그 각 풀리(P1)(P2)(P3)(P4)(P5)에는 상기 각 동력전달 벨트(B1)(B2)(B3)(B4)가 결합된다.
상기 측벽(1b)에는 제1 카드 적재함(100)에 적재된 상기 카드(C)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카드 위치 감지부(460)가 설치된다.
상기 카드 위치 감지부(460)는 힌지(461a)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바(461)와, 상기 회동 바(46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지 휠(465)과, 상기 회동 바(461)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드 위치 센서(469)로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회동 바(461)는 대략 "L"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측벽(1b)에 힌지(461a)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감지 휠(465)은 상기 회동 바(46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의 삽입 홀(413)에 삽입되어 상기 카드(C)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감지 휠(465)이 카드(C)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 바(461)는 수직으로 유지된다. 이때 카드 위치 센서(469)는 상기 회동 바(461)를 감지하여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에 있음을 확인한다.
하지만,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감지 휠(465)이 카드(C)의 상면에 접촉되지 못하고 하방으로 처지게 되어, 상기 회동 바(461)는 힌지(461a)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젖혀진다. 이때 카드 위치 센서(469)가 상기 회동 바(461)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어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에 있지 않음을 확인 한다.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는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을 구동하여 카드(C)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 제2 카드 이송유닛(500)은 전술한 제1 카드 이송유닛(400)이 구성과 유사하므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카드 이송유닛(500)은 제2 카드 적재함(100')에 적재된 발행 대기상태의 카드(C) 및 회수된 카드(C)를 이송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 측벽(1b)의 장공(S'1)에 끼워져 지지되는 이송 플레이트(510); 상기 양 측벽(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515); 후술하는 이송롤러들(525)(527)이 장착되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518); 제1 이송롤러 샤프트(519); 제2 이송롤러 샤프트(520); 제1 이송롤러(525); 제2 이송롤러(527);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518)을 하방으로 눌러주는 웨이트(530)(531); 동력부(550); 그리고 카드(C)의 위치를 감지하고 카드(C)의 위치를 적당한 높이로 조절하는 카드 높이 조절 유닛(300)을 구동시키는 카드 위치 감지부(560)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카드 이송유닛(500)의 구성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이송 플레이트(510)는 상기 제2 카드 적재함(100')의 상부에 설치된 양 측벽(1b)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510)의 양쪽에 돌출 형성된 삽입핀(510a)은 상기 양 측벽(1b)의 장공(S'1)에 삽입 지지되며, 상기 이송 플레이트(510)는 상기 카드(C)의 직 상방에 위치되고 카드(C)의 승강과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510)는 그 전면에 카드 안내구(512)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515)는 상기 양 측벽(1b)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515)의 중간에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518)의 일단 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H2)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518)은 상기 힌지(H2)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519)와 제2 이송롤러 샤프트(520)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양 측벽(1b)과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518)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1b)의 장공(S'2)(S'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518)이 힌지(H2)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519)와 제2 이송롤러 샤프트(520)도 장공(S'2)(S'3)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519)와 제2 이송롤러 샤프트(520)의 중간에는 각각 제1 이송롤러(525)와 제2 이송롤러(527)가 고정 설치(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롤러(525)와 제2 이송롤러(527)는 각각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518)의 내부에 위치되고 장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518)의 상면에는 웨이트(530)(531)가 설치되어, 그 웨이트(530)(531)는 상기 제1 이송롤러(525)와 상기 제2 이송롤러(527)가 상기 카드(C)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이송롤러(525)와 상기 제2 이송롤러(527)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카드(C)가 발행 대기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이송롤러(525)와 상기 제2 이송롤러(527)는 카드(C) 상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양 측벽(1b) 사이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515)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550)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부(550)는 상기 양 측벽(1b)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551)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부(550)는 상기 구동모터의 샤프트(552)와 상기 구동 샤프트(515), 상기 구동 샤프트(515)와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519),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515)와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520)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동력전달 벨트(B'1)(B'2)(B'3)를 구비한다.
상기 측벽(1b)에는 제2 카드 적재함(100')에 적재된 상기 카드(C)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카드 위치 감지 부(560)가 설치된다.
상기 카드 위치 감지부(560)는 힌지(561a)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바(561)와, 상기 회동 바(56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지 휠(565)과, 상기 회동 바(561)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드 위치 센서(569)로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회동 바(561)는 대략 "L"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측벽(1b)에 힌지(561a)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감지 휠(565)은 상기 회동 바(56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카드(C)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감지 휠(565)이 카드(C)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 바(561)는 수직을 유지한다. 이때 카드 위치 센서(569)는 상기 회동 바(561)를 감지하여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에 있음을 확인한다.
하지만,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 상기 감지 휠(565)이 카드(C)의 상면에 접촉되지 못하고 하방으로 처지게 되어, 상기 회동 바(561)도 힌지(561a)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젖혀진다. 이때 카드 위치 센서(569)가 상기 회동 바(56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에 있지 않음을 확인한다.
상기 양 측벽(1b) 사이에는 카드(C)의 이송을 감지하는 제1 카드 센서(2)와, 상기 카드(C)가 카드 받침대(240)(340) 위에 적재되어 있는 지를 감지하는 제2 카드센서(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카드 센서(2) 및 제2 카드센서(3)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하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양 측벽(1b)의 일 측에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의 높이를 감지하는 이송 플레이트 센서(4)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 센서(4)는 전술한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의 카드를 발행하거나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 안에 카드를 회수할 때에 이송 플레이트(4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카드 발행시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및 제2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300)이 구동하여,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에 있는 카드(C)를 발행 대기 상태로 위치시킨다.
상기 제1 또는 2 카드 이송유닛(400)(500)은 카드(C)를 알에프 제어유닛(600)으로 이송한다.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에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 카드 이송유닛(400)(500)으로부터 이송된 카드(C)에 전자적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한다.
상기 오류카드 제거 유닛(800)은 카드(C) 발행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카드(C)를 폐 카드함(810)으로 이송한다.
상기 감열 처리유닛(700)에서는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에서 이송된 카드(C)에 열을 가하여 좌석 및 금액 정보를 인쇄한다.
좌석 및 금액 정보가 인쇄된 카드(C)는 배출 및 투입 부(1a)를 통해서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엠에스 인식 유닛(900)은 고객의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부(미도시)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여 호스트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카드 회수시의 작동을 살펴보면, 감열 처리유닛(700)에서는 배출 및 투입 부(1a)를 통해서 본체(1') 내부로 투입된 사용종료 회수된 카드(C)에 열을 가하여 인쇄된 정보를 소거한다.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400) 및 제2 카드 이송유닛(500)은 작동하여 상기 인쇄된 정보가 소거된 카드(C)를 제1 카드 적재함(100) 또는 제2 카드적재함(100') 안에 적재한다.
이하, 제1 카드 이송유닛(400) 및 제2 카드 이송유닛(500)이 카드(C)를 발행하거나 회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동 도면에서는 이송롤러들과 감지 휠들이 모두 보이는 배면도를 갖고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며, 이 경우 배출 및 투입 부가 도면상 오른쪽에 위치하여 발행 카드가 오른쪽으로 배출되고 회수되는 카드 또한 오른쪽에서 투입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표시되지 아니한 도면부호는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발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작동도로서, 도 10a 내지 도 10f를 참조하여,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 발행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0a를 참조하면, 카드 발행 대기 상태에서, 제1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도 3 참조)이 구동하여, 제1 카드 적재함(100:도 2 참조)에 있는 카드(C)를 발행 대기 상태로 위치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는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베어링 구조를 갖는 것으로,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동력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개시된 클러치 베어링 구조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하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카드 발행시에 제1 이송롤러(425)가 주요 동력원이고(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됨), 제2 이송롤러(427)는 카드(C)를 지지하면서 카드(C)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더미 롤러의 역할을 한다(파선의 화살표로 표시됨).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인지는 상기 카드 위치 센서(469)에 의해서 확인된다. 즉,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로 위치하면, 감지 휠(465)이 카드(C)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 감지 바(461)는 수직으로 위치한다.
이때 카드 위치 센서(469)는 감지 회동 바(461)를 감지하게 되어, 카드(C)가 발행 대기 상태로 위치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동시에 카드(C)의 상면에 제1 이송롤러(425) 및 제2 이송롤러(427)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카드(C) 발행이 시작되면, 구동모터(451: 도 2 참조)의 구동력이 벨트(B1)(B2)(B3)에 의해 구동 샤프트(415) 및 제1 및 제2 이송롤러 샤프트(419)(420)에 전달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샤프트(419)(420)는 회전된다.
이때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9)에 고정된 제1 이송롤러(425)는 회전하면서 카드(C)를 이송 플레이트(410)의 카드 안내구(412)를 통해서 제1 카드 적재함(100:도 2 참조) 외부로 밀어낸다.
동시에 카드(C)가 전후진 롤러(445)(447)로 진입하면, 전후진 롤러(445)(447)가 회전하면서 카드(C)를 당겨준다.
도 10c 및 도 10d를 참조하면, 카드(C)가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를 빠져나가면,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는 그 카드 두께만큼 아래로 떨어진다.
동시에 감지 휠(465)도 그 카드 두께만큼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회동 바(461)는 힌지(461a)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이때 카드 위치 센서(469)가 회동 바(46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 이송롤러(425)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처럼 제1 이송롤러(42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이유는 카드(C)가 배출되었는데도 제1 이송롤러(425)가 계속 회전하면 이송된 카드(C) 바로 아래 있는 카드가 연속해서 배출되고, 이때 카드걸림(jam)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1 이송롤러(425)의 공회전으로 카드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카드(C)가 제1 카드 적재함(100)에서 완전히 빠져나가면, 이송 플레이트(410)도 하방으로 떨어져 카드와 밀착된다.
따라서 이송 플레이트(410)의 카드 안내구(412)가 전후진 롤러(445)(447)의 카드이송 라인보다 카드 한정 두께만큼 하방으로 벗어나 위치하게 된다.
도 10e 및 도 10f를 참조하면, 다음 카드(C)의 발행을 위해서 제1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도 3 참조)을 구동하여 다음 카드를 상승시킨다. 이때 이송 플레이트(410)와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를 함께 들어올려 함께 상향 이동시킨다.
이송 플레이트 센서(4)에 의해 제1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은 이송 플레이트(410)를 적당한 높이로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발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작동도로서, 도 11a 내지 도 11h를 참조하여,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 발행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1a를 참조하면, 제2 카드 적재함(100':도 2 참조)의 카드(C)가 배출되기 위해서는, 카드(C)가 제1 카드 이송유닛(400)의 이송 플레이트 안내면(411)을 지나야하므로 제1 카드 이송유닛(400)의 이송 플레이트(410)가 하방으로 이동해야 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를 감지하는 이송 플레이트 센서(4)에 의하여, 제1 카드 적재함(100:도 2 참조)의 발행 카드(C)가 이송 플레이 트(410)의 카드 안내면(41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도 3 참조)은 구동하여, 제1 카드적재함(100:도 2 참조)에 있는 카드(C)를 하방으로 적당히 이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 이송 플레이트(410)의 카드 안내구(412) 그리고 카드 안내면(411)이 카드 이송라인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제2 카드 적재함(100')의 카드(C) 발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c를 참조하면, 이 상태에서 카드 발행이 시작되면, : 도 7에 도시된 구동모터(551)의 구동력이 벨트(B'1)(B'2)(B'3)에 의해 구동 샤프트(515), 제1 및 제2 이송롤러 샤프트(519)(520)에 전달되고, 제1 이송롤러 샤프트(519)에 고정된 제1 이송롤러(525)는 회전하면서 카드(C)를 이송 플레이트(510)의 카드 안내구(512)를 통해서 제1 카드 이송유닛(400) 쪽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이송롤러(525)가 주요 동력원으로 하여 카드(C)를 밀어내면(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됨), 상기 제2 이송롤러(527)는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카드(C)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카드(C)의 이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된다. 즉, 더미롤러(dummy roller) 역할을 한다(파선의 화살표로 표시됨).
그 다음, 도 11d를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상기 구동모터(451)의 구동력이 벨트(B4)에 의해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에 전달되어,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에 고정된 상기 제1 중계롤러(440)는 제2 중계롤러(443)와 함께 회전하면서 제2 카드 적재함(100')에서 이송된 카드(C)를 이송 플레이트(410)의 안내면(411) 위로 잡아당겨 준다.
도 11e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카드 적재함(100')의 발행 카드(C)가 이송 플레이트(410)의 카드 안내면(411) 위로 이송되면, 제1 카드 이송유닛(400)의 제1 이송롤러(425)도 회전하여 카드(C)를 이송시킨다.
카드(C)가 제1 및 제2 이송롤러(525)(527)를 완전히 빠져나가면 그 제1 및 제2 이송롤러(525)(527)는 하방으로 그 카드 두께만큼 하방으로 떨어진다.
이와 동시에 감지 휠(565)도 그 카드 두께만큼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회동 바(561)는 힌지(561a)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이때 카드 위치 센서(569)가 회동 바(561)의 회동을 감지하여, 제1이송롤러(525)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처럼 제1 이송롤러(52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드걸림(jam) 및 카드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11f를 참조하면, 카드(C)가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를 빠져나가면,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는 그 카드 두께만큼 아래로 떨어진다.
동시에 감지 휠(465)도 그 카드 두께만큼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회동 바(461)는 힌지(461a)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이때 카드 위치 센서(469)가 회동 바(461)의 회동을 감지하여, 제1 이송롤러(425)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가 회전하여 카드(C)를 이송시키고, 카드(C)가 전진하여 알에프 제어부(600: 도 6 참조) 쪽, 즉 도 11f에서 오른쪽으로 진입하면, 전후진 롤러(445)(447)가 카드(C)를 끌어당긴다.
도 11g 및 도 11h를 참조하면, 카드(C)가 제1 카드 적재함(100')을 완전히 빠져나가면, 이송 플레이트(510)도 하방으로 떨어져 카드와 밀착된다.
따라서 이송 플레이트(510)의 카드 안내구(512)가 제1 및 제2 중계롤러(445)(447)의 카드 이송라인보다 카드 한정 두께만큼 하방으로 벗어나 있게 된다.
다음 카드의 발행을 위해서 제2 카드 높이 조절유닛(300)을 구동하여 다음 카드를 상승시킨다. 이때 이송 플레이트(510)와 제1 및 제2 이송롤러(525)(527)를 함께 들어올려 함께 상향 이동시킨다.
이송 플레이트 센서(4)에 의해서, 제2 카드 높이 조절유닛(300)은 이송 플레이트(510)를 적당한 높이로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되면 제1 및 제2 이송롤러(525)(527)와 이송 플레이트(510)의 카드 안내구(512)가 카드의 이송라인과 일치하여 다음 카드를 발행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제1 카드 적재함에 카드를 회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작동도로서, 도 12a 내지 도 12e를 참조하여, 제1 카드 적재함에 카드를 회수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카드 적재함(100) 안에 카드를 회수하여 다시 적재하기 위해서는, 카드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먼저 확보해야 한다.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드 적재함(100)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C)를 한 장 두께만큼 하향 이동시킨다.
카드(C)가 하향 이동되면 카드(C)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이송 플레이트(410) 와 제1 이송롤러(425)도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송 플레이트(410)의 카드 안내구(412)의 위치는 카드 이송라인에서 카드 한 장 두께만큼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도 12c를 참조하면, 카드(C)는 전후진 롤러(445)(447) 및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의 회전에 의해, 이송 플레이트(410)의 카드 안내구(412) 안으로 진입한다. 카드(C)의 끝단 부가 이송 플레이트(410)의 카드 안내구(412)의 경사부분을 타고 진입하며, 이때 이송 플레이트(410)는 카드(C)에 의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진다.
카드(C)는 이송 플레이트(410)가 들어 올려지면서 만들어진 공간(SP:space)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도 12d를 참조하면, 카드(C)가 진입하면서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 이송롤러(425)는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구동하지는 않고 단지 카드를 지지하면서 카드(C)의 이동에 따라 회전만 하게 된다(파선의 화살표로 표시됨).
상기 제2 이송롤러(427)는 구동모터(451)를 주요 동력원으로 하여 카드(C)를 당겨준다. 도 12e를 참조하면, 카드(C)가 제1 카드 적재함(100) 안으로 완전히 진입하면, 카드 회수 및 적재가 완료되어 발행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도 13a 내지 도 13g는 제2 카드 적재함에 카드를 회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작동도로서, 도 13a 내지 도 13e를 참조하여, 제2 카드 적재함에 카드를 회수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2 카드 적재함(100') 안으로 카드(C)를 회수 및 적재하기 위해서는 제1 카드 적재함(100)의 이송 플레이트(410)의 안내면(411)을 지나면서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가 하향 이동해야 한다.
이송 플레이트(410)의 하향 이동은 카드 안내면(411)이 카드 이송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된다. 이송 플레이트(410)의 정확한 하향 위치는 이송 플레이트(410)의 일 측이 이송 플레이트 센서(4)에 감지됨으로써, 적정 위치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카드 적재함(100') 안에는 카드(C)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카드 적재함(100')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한 장 두께만큼 하향 이동시킨다.
카드(C)가 하향 이동되면 카드(C)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이송 플레이트(510)와 제1 및 제2 이송롤러(525)(527)도 함께 하향 이동된다.
이송 플레이트(510)의 카드 안내구(512)의 위치는 카드 이송 축에서 카드 한 장 두께만큼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도 13c 및 도 13d를 참조하면, 카드(C)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의 회전에 의해 제1 카드 적재함(100)의 이송 플레이트(410)의 안내면(411)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에 진입한다.
카드(C)가 제1 카드 적재함(100)의 제1 이송롤러(425)에 진입하면, 그 제1 이송롤러(425)는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구동하지는 않고 단지 카드를 지지하면서 카드의 이동에 따라 회전만 하게 된다.
카드가 제2 이송롤러(427)에 진입하면, 그 제2 이송롤러(427)는 주요 동력원으로 회전을 시작하면서 카드(C)를 당겨준다.
카드가 제1 및 제2 중계롤러(440)(443)로 진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중계롤러(440)(443)는 카드(C)를 당겨주며, 카드는 제2 카드 적재함(100')의 이송 플레이트(510)의 카드 안내구(512)로 진입한다.
도 13e를 참조하면, 카드에 의해서 이송 플레이트(510)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고, 제2 카드 적재함(100')의 이송 플레이트(510)의 카드 안내구(512) 통하여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도 13f를 참조하면, 카드(C)가 진입을 계속하여 제1 및 제2 이송롤러(525)(527)에 진입하게 된다. 제1 이송롤러(525)는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구동하지는 않고 단지 카드를 지지하면서 카드의 이동에 따라 회전만 하게 된다(파선의 화살표 도시됨). 제2 이송롤러(527)은 주요 동력원으로 하여 카드(C)를 당겨준다.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100') 안으로 끝까지 진입하면 회수 및 적재가 완료되어 발행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도 13g 및 도 13h를 참조하면, 제1 카드 적재함(100)도 카드의 발행 대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제1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을 구동하여 위로 이동시킨다.
이때 카드는 이송플레이트(410)와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를 함께 들어올려 함께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송플레이트 감지 센서(4)에 의해, 제1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은 이송플레이트(410)의 높이를 적당히 제어한다. 이렇게 되면 다음 카드를 발행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카드 발행 회수장치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드를 제1 카드 적재함 또는 제2 카드 적재함 중에서 특정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거나 회수된 카드를 특정 적재함에 적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카드의 권종에 따라 다수의 카드를 권종별로 발행할 수도 있고, 그 발행된 카드를 카드 권종별로 파악하여 그 권종에 맞는 카드 적재함에 회수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드 회수시 회수 카드의 권종을 파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며, 일 예로 카드 내의 저장수단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회수 카드의 권종을 손쉽게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카드적재함의 카드를 발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발행하는 방법은 카드 발행을 위하여 구동부를 작동하는 단계(S10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이송하는 단계(S110);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에서 빠져나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에서 빠져나가지 않았을 경우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고,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에서 빠져나갔을 경우 이송롤러를 정지시키는 단계(S130); 및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상승시켜 발행 대기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140);를 구비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카드적재함의 카드 발행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카드적재함의 카드 발행방법은 카드 발행을 위하여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를 하향 위치시키는 단계(S20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의 이송라인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10);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의 이송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계속 하향시키고,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의 이송라인이 일치하면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이송하는 단계(S220); 카드가 제2카드 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30); 카드가 제2 카드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가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상기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계속 이송하고,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갈 경우에는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를 정지시키는 단계(S24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을 따라 카드를 이송시키는 단계(S250);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빠져나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60);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빠져나가지 않았을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고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빠져나간 경우에는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의 회전을 정지하는 단계(S270);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상승시켜서 카드 발행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280);를 구비한다.
상기 단계(S230)에 있어서는,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가면 회동 바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되어 젖혀지고 이때 회동 바의 움직임을 카드 위치 센서가 감지함으로써, 카드가 제2 카드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간 것으로 판단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방법은 카드 회수를 위하여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하향 위치하는 단계(S30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310);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계속 하향시키고,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하면 전후진 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 안으로 유입시키는 단계(S320); 이송 플레이트가 위로 젖혀지면서 이송 플레이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S33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끌어당기는 단계(S340);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50);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되지 않았으면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계속 끌어당기고,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적재 완료되었으면 이송롤러를 정지하는 단계(S360); 및 카드를 제1 카드 적재 함 안에 발행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37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S320) 및 단계(S330)에서는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할 때까지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계속 하향시키고, 이송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하면, 전후진 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 안으로 유입시킨다. 이때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의 경사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이송 플레이트가 위로 젖혀지면서 이송 플레이트 내부에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카드를 삽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방법은 카드 회수를 위하여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를 하향 위치시키는 단계(S40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 이동라인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410);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 이동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를 계속 하향 위치시키고,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 이동라인이 일치하면 전후진 롤러 및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 위로 이송시키는 단계(S42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제2 카드 이송유닛으로 이송하는 단계(S430); 카드가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40);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벗어나지 않은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여 카드를 제2 카드 이송유닛으로 이송하고,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벗어난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를 정지하는 단계(S450); 중계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 쪽으로 유입하는 단계(S460); 카드 끝단 부에 의해서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플레이트가 위로 젖혀지면서 이송 플레이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S470);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끌어당기는 단계(S480); 카드가 제2 카드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90);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되지 않은 경우 제2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여 카드를 끌어당기고,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된 경우 제2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를 정지하는 단계(S491); 카드를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발행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492); 및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상승시켜서 발행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493)를 구비한다.
상기 단계(S450)에 있어서는,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벗어난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를 정지한다.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완전히 빠져나가면 그 이송롤러는 하방으로 그 카드 두께만큼 하방으로 떨어진다. 이와 동시에 감지 휠도 그 카드 두께만큼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회동 바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이때 카드 위치 센서가 회동 바의 회동을 감지하여, 이송롤러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처럼 이송롤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드걸림(jam) 및 카드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이송롤러, 즉 제1 및 제2 이송롤러를 설명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 이송롤러는 클러치 베어링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예에 있어서 하나의 이송롤러를 사용하고 그 이송롤러가 정/역, 양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카드 적재함을 구성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3개 이상의 카드 적재함이 구성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 플레이트가 자중(自重)에 의해서 하향 이동되고, 카드 높이 조절유닛에 의해서 카드가 상승할 때 그 카드에 의해 카드와 함께 상승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송 플레이트에 솔레노이드, 스텝모터 등 승강(昇降) 동력장치를 연결하여 이송 플레이트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승강 장치를 설치할 경우 카드를 승강시키는 부하(負荷)를 줄일 수 있으며, 이송 플레이트 재질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으나 기본적인 동작원리는 동일하다.
그리고 카드 위치 센서 부가 복식 구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단식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동력전달에 있어서도 벨트 타입이 아닌 기어에 의한 동력 전달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행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및 회수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B부분의 저면도
도 7은 도 2의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내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배면도
도 10a 내지 도 10f는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발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작동도
도 11a 내지 도 11h는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발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작동도
도 12a 내지 도 12e는 제1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작동도
도 13a 내지 도 13g는 제2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작동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발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발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카드 적재함 안으로 카드를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
C: 카드
S1,S2,S3: 장공
S'1,S'2,S'3: 장공
H1,H2: 힌지
B1,B2,B3,B4: 동력전달 벨트
B'1,B'2,B'3: 동력전달 벨트
P'1,P'2,P'3: 풀리
1: 카드 발행 회수장치
1': 본체
1a: 카드 배출 및 투입 부
1b: 양 측벽
100,100':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
200,300: 제1 및 제2 카드 높이 조절유닛
210,310: 스텝모터
220,320: 이송스크류
240,340: 카드 받침대
400,500: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
410a: 삽입핀
410,510: 이송 플레이트
411: 카드 안내면
412: 카드 안내구
413: 삽입 홀
415,515: 구동 샤프트
417,418: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
419,519: 제1 이송롤러 샤프트
420,520: 제2 이송롤러 샤프트
425,427: 제1 및 제2 이송롤러
430,431: 웨이트
437: 제2 중계롤러 샤프트
440: 제1 중계롤러
443: 제2 중계롤러
445,447: 전후진 롤러
445a,447a: 전후진 롤러 샤프트
448: 구동부
450,550: 동력부
451: 구동모터
460,560: 카드 위치 감지부
461a,561a: 힌지
461,561: 회동 바
465,565: 감지 휠
469,569: 카드 위치 센서
517,518: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
525,527: 제1 및 제2 이송롤러
530,531: 웨이트
600: 알에프 제어유닛
700: 감열 처리유닛
800: 오류카드 제거 유닛
810: 폐카드함
900: 엠에스 인식 유닛

Claims (13)

  1. 내부 전면부에 카드(C)의 출입을 위해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가 형성되는 본체(1');
    발행 대기 상태의 카드(C)를 다수 적재하고, 사용종료되어 회수된 카드(C)를 다시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 내부 후면 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에 적재된 카드(C)를 승강시켜서 상기 카드(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일 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카드 높이 조절유닛(200)(300);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안에 적재된 발행 대기 상태의 카드(C)를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 쪽으로 배출하고, 사용종료되어 회수된 카드(C)를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 안에 다시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100)(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400)(500);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400)(500)으로부터 이송된 카드(C)에 전자적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400)과 근접하여 설치되는 알에프 제어유닛(600);
    발행하는 카드(C)에 열을 가하여 좌석 및 금액 정보를 인쇄하고, 사용종료되어 회수된 카드(C)에 열을 가하여 인쇄된 정보를 소거하기 위하여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과 근접하여 설치되는 감열 처리유닛(700);
    카드(C) 발행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카드(C)를 폐카드함(810)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오류카드 제거 유닛(800); 및
    고객의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부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여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와 상기 감열 처리유닛(700) 사이에 설치되는 엠에스 인식 유닛(900);을 포함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배출 및 투입 부(1a), 상기 엠에스 인식 유닛(900), 상기 감열 처리유닛(700), 상기 알에프 제어유닛(600), 상기 오류카드 제거 유닛(800),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드 이송유닛(400)(500)은 상기 카드(C)의 이송라인과 동일 선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드 이송유닛(400)은
    상기 제1카드 적재함(100)의 상부에 설치된 양 측벽(1b) 사이에 위치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양 측벽(1b)의 장공(S1)에 지지되고, 상면에는 카드 안내면(411)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카드 안내구(412)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삽입 홀(413)이 형성되는 이송 플레이트(410);
    상기 양 측벽(1b)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415);
    상기 구동 샤프트(415)의 중간에 그 일단 부가 힌지(H1) 결합되는 제1 및 제2 이송 롤러 브래킷(417)(418);
    상기 양 측벽(1b)과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7)(418)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1b)의 장공(S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9);
    상기 양 측벽(1b)과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7)(418)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1b)의 장공(S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이송롤러 샤프트(420);
    상기 제1 이송롤러 브래킷(417)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9)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 홀(413) 안으로 그 하부가 삽입되는 제1 이송롤러(425);
    상기 제2 이송롤러 브래킷(418)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420)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 홀(413) 안으로 그 하부가 삽입되는 제2 이송롤러(427);
    상기 제1 이송롤러(425)와 상기 제2 이송롤러(427)가 상기 카드(C)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이송롤러 브래킷(417)(418)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425)(427)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웨이트(430)(431);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400)과 상기 제2 카드 이송유닛(50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양 측벽(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와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양 측벽(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중계롤러 샤프트(437);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에 고정되는 제1 중계롤러(440);
    상기 제1 중계롤러(440)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중계롤러 샤프트에 고정되는 제2 중계롤러(443);
    상기 카드(C)를 배출 및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벽(1b)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448)에 의해서 상기 카드를 전후진 이송시키는 전후진 롤러(445)(447);
    상기 구동 샤프트(415)와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450); 및
    상기 제1 카드 적재함(100)(100')에 적재된 상기 카드(C)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벽(1b) 사이에 설치되는 카드 위치 감지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450)는
    상기 양 측벽(1b)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451); 및
    상기 구동모터(451)의 샤프트(452)와 상기 구동 샤프트(415), 상기 구동 샤프트(415)와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419), 상기 구동 샤프트(415)와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420),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51)의 샤프트(452)와 상기 제1 중계롤러 샤프트(435)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동력전달 벨트(B1)(B2)(B3)(B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위치 감지부(460)는
    중간 부분이 상기 측벽에 힌지(461a) 결합되어, 그 힌지(461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바(461);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의 삽입 홀(413)에 삽입되어 상기 카드(C)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바(46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지 휠(465); 및
    상기 측벽(1b)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바(461)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드 위치 센서(46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드 이송유닛(500)은
    상기 제2 카드 적재함(100')의 상부에 설치된 양 측벽(1b) 사이에 위치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양 측벽(1b)의 장공(S'1)에 지지되고, 전면에 카드 안내구가 형성되는 이송 플레이트(510);
    상기 양 측벽(1b)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515);
    상기 구동 샤프트(515)의 중간에 그 일단 부가 힌지(H2) 결합되는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
    상기 양 측벽(1b)과 상기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1b)의 장공(S'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이송롤러 샤프트(519);
    상기 양 측벽(1b)과 상기 제1 이송롤러 브래킷(517)을 관통하여 상기 양 측벽(1b)의 장공(S'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이송롤러 샤프트(520);
    상기 제1 이송롤러 브래킷(517)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519)에 고정되는 제1 이송롤러(525);
    상기 제1 이송롤러 브래킷(517)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520)에 고정되는 제2이송롤러(527);
    상기 제1 이송롤러(525)와 상기 제2 이송롤러(527)가 상기 카드(C)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 브래킷(517)(518)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525)(527)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웨이트(530)(531);
    상기 구동 샤프트(515)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550); 및
    상기 제2 카드 적재함(100')에 적재된 상기 카드(C)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벽(1b) 사이에 설치되는 카드 위치 감지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550)는
    상기 양 측벽(1b)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551); 및
    상기 구동모터(551)의 샤프트(552)와 상기 구동 샤프트(515), 상기 구동 샤프트(515)와 상기 제1 이송롤러 샤프트(519),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515)와 상기 제2 이송롤러 샤프트(520)를 연결하는 다수의 동력전달 벨트(B1')(B2')(B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위치 감지 부(560)는
    중간 부분이 상기 측벽(1b)에 힌지(561a) 결합되어, 그 힌지(561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바(561);
    상기 카드(C)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바(56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지 휠(565); 및
    상기 측벽(1b)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바(561)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드 위치 센서(56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9. 삭제
  10. 카드 발행을 위하여 구동부를 작동하는 단계(S10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이송하는 단계(S110);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에서 빠져나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에서 빠져나가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고,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에서 빠져나갔을 경우 이송롤러를 정지시키는 단계(S130); 및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상승시켜 발행 대기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11. 카드 발행을 위하여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 하향 위치하는 단계(S20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의 이송라인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210);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의 이송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이송 플레이트를 계속 하향시키고,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의 이송라인이 일치하면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이송하는 단계(S220);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30);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가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2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상기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계속 이송하고,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에서 완전히 빠져나갈 경우에는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를 정지시키는 단계(S24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을 따라 카드를 이송시키는 단계(S250);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빠져나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60);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빠져나가지 않았을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고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빠져나간 경우에는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의 회전을 정지하는 단계(S270); 및
    제1 및 제2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상승시켜서 카드 발행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280);를 포함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12. 카드 회수를 위하여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하향 위치하는 단계(S300);
    제1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310);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계속 하향시키고,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와 카드 이송라인이 일치하면 전후진 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 안으로 유입시키는 단계(S320);
    이송 플레이트가 위로 젖혀지면서 이송 플레이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S33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끌어당기는 단계(S340);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50);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되지 않았으면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계속 끌어당기고, 카드가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적재 완료되었으면 이송롤러를 정지하는 단계(S360); 및
    카드를 제1 카드 적재함 안에 발행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370);를 포함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회수방법.
  13. 카드 회수를 위하여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를 하향 위치시키는 단계(S40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 이동라인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410);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 이동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를 계속 하향 위치시키고,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과 카드 이동라인이 일치하면 전후진 롤러 및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 위로 이송시키는 단계(S420);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제2 카드 이송유닛으로 이송하는 단계(S430);
    카드가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40);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벗어나지 않은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여 카드를 제2 카드 이송유닛으로 이송하고, 카드가 이송 플레이트의 카드 안내면에서 벗어난 경우 제1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를 정지하는 단계(S450);
    중계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플레이트의 카드 안내구 쪽으로 유입하는 단계(S460);
    카드 끝단 부에 의해서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플레이트가 위로 젖혀지면서 이송 플레이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S470);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카드를 끌어당기는 단계(S480);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90);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되지 않은 경우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가 계속 회전하여 카드를 끌어당기고, 카드가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완전히 적재된 경우 제2 카드 이송유닛의 이송롤러를 정지하는 단계(S491);
    카드를 제2 카드 적재함 안에 발행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492); 및
    제1 카드 적재함의 카드를 상승시켜서 발행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493)를 포함하는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회수방법.
KR1020080092377A 2008-09-19 2008-09-19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KR10089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377A KR100897611B1 (ko) 2008-09-19 2008-09-19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377A KR100897611B1 (ko) 2008-09-19 2008-09-19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611B1 true KR100897611B1 (ko) 2009-05-15

Family

ID=4086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377A KR100897611B1 (ko) 2008-09-19 2008-09-19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61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049A (ko) * 2015-11-18 2017-05-26 키오스크코리아(주)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KR20200043077A (ko)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자동화 카드 관리장치
KR102171165B1 (ko) * 2020-05-19 2020-10-28 주식회사 한메가 카드 리더 모듈
KR102234921B1 (ko) *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3B1 (ko) *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2B1 (ko) *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4B1 (ko) * 2019-10-22 2021-04-05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KR102336222B1 (ko) * 2021-05-11 2021-12-08 (주)엠에스티 통행권 회수 장치
KR102406475B1 (ko) * 2021-10-22 2022-06-08 (주)엠에스티 통행권 회수 장치
KR20220125074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125073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617A (ja) 1997-09-30 1999-04-23 Toshiba Tec Corp カード発行装置
KR20040100071A (ko) * 2003-05-21 2004-12-02 에프원 주식회사 카드 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53668A (ja) 2004-08-10 2006-02-23 Toshiba Social Automation Systems Co Ltd カード処理装置
KR20070101446A (ko) * 2006-04-10 2007-10-17 안상면 재활용 주차권과 주차권 발행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617A (ja) 1997-09-30 1999-04-23 Toshiba Tec Corp カード発行装置
KR20040100071A (ko) * 2003-05-21 2004-12-02 에프원 주식회사 카드 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53668A (ja) 2004-08-10 2006-02-23 Toshiba Social Automation Systems Co Ltd カード処理装置
KR20070101446A (ko) * 2006-04-10 2007-10-17 안상면 재활용 주차권과 주차권 발행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049A (ko) * 2015-11-18 2017-05-26 키오스크코리아(주)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KR102391614B1 (ko) 2015-11-18 2022-04-28 키오스크코리아(주)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KR20200043077A (ko)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자동화 카드 관리장치
WO2021080180A1 (ko) * 2019-10-22 2021-04-29 (주)키트로닉스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3B1 (ko) *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2B1 (ko) *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4B1 (ko) * 2019-10-22 2021-04-05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WO2021080181A1 (ko) * 2019-10-22 2021-04-29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1B1 (ko) *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카드 처리장치
KR102171165B1 (ko) * 2020-05-19 2020-10-28 주식회사 한메가 카드 리더 모듈
KR20220125074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125073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
KR102493831B1 (ko) * 2021-03-04 2023-01-3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
KR102493855B1 (ko) * 2021-03-04 2023-01-3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KR102336222B1 (ko) * 2021-05-11 2021-12-08 (주)엠에스티 통행권 회수 장치
KR102406475B1 (ko) * 2021-10-22 2022-06-08 (주)엠에스티 통행권 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611B1 (ko)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JP2947461B2 (ja) 自動機群管理装置
JP3955117B2 (ja) 現金自動支払装置
JP4813950B2 (ja) 情報書き込み装置及び媒体発行装置
KR20090012080U (ko) 복수개의 카드 적재함을 구비한 카드 발행장치
CN109416855B (zh) 用于使文件居中对准的对中去偏斜子组件
KR100711316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장치
KR20090072664A (ko) 금융자동화기기
JP5419541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制御方法
KR101011914B1 (ko) 리라이터블 카드의 선입선출 관리가 가능한 게임용 카드 처리장치
JP4813945B2 (ja) 媒体発行装置
JP3477996B2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並びに取引処理装置
KR200401525Y1 (ko) 카드 디스펜서
KR20100063351A (ko) 카드 디스펜서
KR100966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2234923B1 (ko)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KR100835902B1 (ko) 카드 디스펜서
JP2018002400A (ja) 媒体処理装置
KR100753112B1 (ko) 카드 발권 시스템
WO2021080181A1 (ko)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20100069068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83449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0263347B1 (ko) 통행권발행기의 통행권 수납장치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20060080084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접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