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923B1 -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923B1
KR102234923B1 KR1020190131471A KR20190131471A KR102234923B1 KR 102234923 B1 KR102234923 B1 KR 102234923B1 KR 1020190131471 A KR1020190131471 A KR 1020190131471A KR 20190131471 A KR20190131471 A KR 20190131471A KR 102234923 B1 KR102234923 B1 KR 102234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ush
unit
processing apparatus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주)키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키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9013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65H1/0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for separation from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24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by pushers engaging the edg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52RFID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를 발행 및 회수하는 카드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드 적재부에 적재된 카드 중 최하단의 카드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발행하며 또한 회수된 카드를 별도의 수납함에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는 카드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카드 슬롯부와, 바닥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후크에 의해 적재된 카드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를 밀어 배출하는 카드 적재부와, 카드 적재부와 카드 슬롯부를 연결하며 카드 적재부에 배출된 카드를 카드 슬롯부로 이동시켜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카드 슬롯부에 인입된 카드를 카드 수납부로 이송시키는 카드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push type card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카드를 발행 및 회수하는 카드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드 적재부에 적재된 카드 중 최하단의 카드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발행하며 또한 회수된 카드를 별도의 수납함에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정보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 있어서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의 예로는 공중 전화카드, 버스 카드, 주차 카드, 신용 카드 등을 들 수 있는데, 정보화 사회로의 진전에 따라 보다 다양한 카드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의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들은 소정의 발권 장치를 통해 발권될 수 있다. 통상의 발권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8707호(공고일 2014.10.08.)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통상적인 발권 장치는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카트리지(card cartridge),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독취하는 카드 리더(card reader) 및 카드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 등으로 구분되며, 카드 카트리지에 적재된 다수의 카드 중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를 롤러의 회전으로 카드 디스펜서 쪽으로 배출하면 카드 디스펜서에 장착된 롤러의 회전에 의해 카드 배출구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하는 카드가 카드 리더를 통과하면서 카드와 관련된 정보가 독취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카드 디스펜서를 통해 이동한 카드는 결국 배출구 밖으로 카드의 일부가 배출된 상태로 위치하며 사용자가 배출구 밖으로 일부 인출된 카드를 뽑아 카드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카드를 회수하는 회수기 또한 상용화되어 있다.
종래의 카드 회수기는 카드 주입부 및 카드 적재부를 포함하며, 카드 주입부를 통해 카드를 1매씩 주입받아 카드 이송부 또는 카드 이송 장치를 통하여 카드를 원하는 카드 적재부로 이송시켜 회수된 카드를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발행기 및 카드 회수기는 통상적으로 별도로 구성된다. 즉 카드 발행기에서 카드 1매씩 발행되면 사용자는 발행된 카드를 이용하고, 이용한 카드를 카드 회수기에 투입하면 카드 회수기에 사용된 카드가 적재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카드 발행기와 카드 회수기가 별도로 구성되는 이유는 적재부에서 발행되는 카드의 위치와 회수되는 카드가 적재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카드 발행기에서 배출되는 카드는 적재부에 적층된 카드 중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이지만, 카드 회수기로 회수된 카드는 적재된 카드의 최상단에 적재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부의 구조에 의해 카드 발행기와 카드 회수기를 함께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카드 발행기와 카드 회수기가 하나의 적재부를 공동으로 이용할 경우에, 구조적으로 투입구는 높고 배출구는 낮게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적재하는 카드의 매수가 많을 경우 배출구의 높이는 낮거나 상대적으로 투입부가 높게 위치하게 됨에 따라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드 발행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080호(공개일; 2009.11.26.)에 상세히 기술된 종래의 카드 발행기는 카드가 적재되는 카드 적재함(10)이 위치하고, 카드 적재함(10)의 하단에는 카드 이송부(20)가 연결된다. 따라서 카드 적재함(10)에 적층된 카드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 1장을 카드 이송부(20)로 배출하게 되고, 카드 이송부(20)로 배출된 카드는 카드 이송부(20)의 작동에 의해 카드 배출구(30)로 이송되어 카드가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 적재함(10)에는 적재된 카드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1장의 카드를 배출하기 위해 카드 적재함(10)의 바닥에 배출롤러(21)가 장착되며, 배출롤러(21)의 상면에 안착된 카드는 배출롤러(21)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하며 배출된다.
이때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와 배출롤러(21)의 사이에 적절한 마찰이 발생하도록 적재된 카드의 상부에는 중량물 등이 안착될 수 있다.
중량물이 카드의 상부에 안착됨에 따라 중량물의 하중과 적재된 카드의 하중에 의해 카드와 배출롤러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배출롤러의 회전에 의해 최하단의 카드가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카드 발행기는 카드를 배출함에 있어 적재된 카드의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와 접하는 롤러를 회전시켜 마찰에 의해 카드가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카드의 적재량에 따라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이 다르게 되는데, 하중이 증가할 경우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 마모 또한 심하게 발생한다. 특히 롤러는 대부분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롤러의 마모 정도가 심해져 교체하여야 하며, 롤러가 경화될 경우에 마찰이 감소하여 카드의 배출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에는 카드에 유심(USIM) 등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카드가 개발되었으며, 롤러가 유심과 접한 상태로 회전할 경우 유심의 파손 및 탈락에 의한 접속 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080호(공개일; 2009.11.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8707호(공고일 2014.10.0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9563호 (공개일 2013.12.23.)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적재된 카드 중 최하단의 카드를 밀어 배출하며, 회수된 카드는 별도의 수납함에 수납 저장하도록 구성한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는 카드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카드 슬롯부와, 바닥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후크에 의해 적재된 카드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를 밀어 배출하는 카드 적재부와, 카드 적재부와 카드 슬롯부를 연결하며 카드 적재부에 배출된 카드를 카드 슬롯부로 이동시켜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카드 슬롯부에 인입된 카드를 카드 수납부로 이송시키는 카드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적재부는, 그 안쪽에 적재된 카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브래킷과, 적재된 카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 브래킷들과 적재된 카드를 받쳐주는 푸시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브래킷의 후방 단면은 안쪽으로 절곡되어 안쪽에 적재된 카드들을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조립체는, 카드를 밀어 배출하는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바닥면과, 바닥면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향으로 돌출된 후크가 장공을 관통해 바닥면 상부로 돌출된 랙과, 랙과 치합된 피니언과, 피니언과 연결되어 피니언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 상부로 돌출된 후크의 높이는 카드 적재부에 적재된 카드의 두께와 같거나 작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의 저면에는 장공의 양측으로 한 쌍의 레일이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되며, 한 쌍의 레일의 사이에 위치한 랙을 관통한 가이드 핀의 양단이 장홈에 각각 위치하여 랙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에는 카드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바닥면의 상부에 적재된 카드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브래킷의 하단에는 스토퍼가 장착되며, 스토퍼와 바닥면 사이의 틈으로 1장의 카드가 지나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조립체에는 판스프링이 장착되며, 판스프링은 카드 적재부에서 배출되는 카드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카드가 카드 이송부로 진행할 수 있으며, 카드 적재부 쪽으로 진입하는 카드는 판스프링의 저면에 간섭되어 판스프링의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여 수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이송부는, 카드 적재부와 카드 슬롯부를 연결하며 카드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바닥면과, 카드가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바닥면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복수의 이송롤러들과, 이송롤러들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모터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이송롤러는 모터의 정회전에 의해 카드를 카드 적재부 쪽에서 카드 슬롯부 쪽으로 이송하거나 모터의 역회전에 의해 카드를 카드 슬롯부 쪽에서 카드 적재부 쪽으로 이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롤러들의 사이 간격은 카드의 길이보다 짧게 배치되며, 이송되는 카드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이송롤러와 접한 상태로 이송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이송롤러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포함하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에 협착된 카드를 마찰에 의해 이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RF리더기 또는 바코드리더기가 카드 이송부의 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이송부의 상부에는 힌지 결합되어 상하 선회하는 덮개가 장착되며, 덮개에 RF리더기 또는 바코드리더기가 장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는 적재된 카드 중 최하단의 카드를 전후진 왕복운동하는 랙으로 밀어 공급함으로, 종래와 같이 롤러를 통해 카드를 공급하는 방식에 비해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립 발생 및 카드 적재 중량의 한계 등의 제한이 따르나, 카드를 밀어내는 푸시 방식은 슬립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없으며, 카드 적재 중량이 증가하더라도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랙이 한 장의 카드를 밀어냄에 따라 적재된 카드의 중량 제한을 크게 받지 않아 대용량의 카드 발행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드 발행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드 발행기에서 측면 브래킷을 제거한 상태의 카드 발행기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푸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푸시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의 카드 발행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의 카드 회수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드 발행기에서 측면 브래킷을 제거한 상태의 카드 발행기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푸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푸시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의 카드 발행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의 카드 회수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10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사용할 카드(1)를 인출하거나 사용자가 사용한 카드를 인입하는 카드 슬롯부(160)가 위치하고, 타측에는 카드 적재부(110)가 위치하며, 상부로 개방된 카드 적재부(110)에는 다량의 카드(1)가 적재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100)의 양 측벽 브래킷(111S)을 개방하면, 안쪽 일측에 카드 슬롯부(160)가 위치하고, 카드(1)를 적재 보관하는 카드 적재부(110)가 타측에 위치하며, 카드 이송부(120)가 카드 적재부(110)의 하단에서 카드 슬롯부(160)로 연장된다.
그리고 카드 적재부(110)에 적재된 카드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1장의 카드(1)가 카드 이송부(120)를 통해 카드 슬롯부(160)로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발행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적재부(110)는 양측에 위치한 측벽 브래킷(111S)과 전방 브래킷(111F)에 의해 형성되며, 양 측벽 브래킷(111S)과 전방 브래킷(111F)의 안쪽에 형성된 공간에 카드(1)들이 적재된다. 여기에서 공간에 적재된 카드가 후방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양 측벽 브래킷(111S)의 후방 단면은 안쪽으로 절곡되어 공간에 적재된 카드(1)들이 후방으로 빠지지 않게 지지한다.
그리고 적재된 카드(1)의 상부에는 중량체(113)가 위치하여 적재된 카드(1)를 가압한다.
한편, 카드 적재부(110)의 바닥에는 푸시 조립체(170)가 장착되어 푸시 조립체(170)의 상면에 카드들이 적재되며, 카드 적재부(110)에서 진출한 카드(1)는 전방에 위치한 카드 이송부(120)의 바닥면(121)으로 진입하여 바닥면(121)을 따라 카드 슬롯부(160)로 이송된다.
그리고 푸시 조립체(170)는 그 상면에 위치한 최하단의 카드(1)를 카드 이송부(120) 쪽으로 밀어낸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조립체(170)는 적재된 카드들이 안착되는 바닥면(171)과, 바닥면(17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71H)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1장의 카드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높이의 후크(172H)가 바닥면(171)의 상면으로 돌출된 랙(172)과, 바닥면(171)의 아래에 장공(171H)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고정된 레일(173)과, 랙(172)의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양측 레일(173)에 형성된 장홈(173H)에 양단이 각각 삽입된 상태로 랙(172)이 장홈(173H)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핀(175)과, 랙(172)의 아래에 위치하여 랙(172)과 치합하는 피니언(177)과, 피니언(177)과 연결되어 피니언(177)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01), 그리고 바닥면(171)의 상부로 돌출되며 바닥면(171)에 적재되는 카드(1)의 하중을 감지하여 카드 적재부(110)에 적재된 카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센서(178)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닥면(171)에 형성된 장공(171H)은 적재된 카드(1)의 폭 중간에 카드(1)의 배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공(171H)에는 랙(172)이 위치하며 장공(171H)을 따라 이동하는데, 랙(172)의 상단에는 후크(172H)가 형성되며 후크(172H)는 바닥면(171)의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하되, 돌출된 후크(172H)의 높이는 1장의 카드의 두께와 같거나 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평상 시에 후크(172H)는 적재된 카드의 후방에 위치한다. 즉 최하단 카드(1)가 푸시 조립체(170)의 바닥면(171)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크(172H)는 카드(1)의 후단면 쪽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랙(172)이 장공(171H)을 따라 전진하면, 후크(172H)가 최하단 카드(1)의 후단과 접한 상태로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1)를 전방으로 밀어 배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재된 카드 중 최하단 카드를 순차적으로 배출하여 카드 적재부(110)에 적재된 카드가 모두 배출될 경우 감지센서(178)가 이를 감지한다. 감지에 따라 발생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카드 처리장치(100)에서 경고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1장의 카드의 중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카드 적재부(110)에 적재된 카드의 중량이 설정된 중량보다 작을 때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바닥면(171) 아래에 고정된 한 쌍의 레일(173)에는 장홈(173H)이 형성되고, 랙(172)의 횡방향으로 관통한 가이드 핀(175)이 양측 장홈(173H)에 끼워진 상태에서 피니언(177)이 제1모터(101)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피니언(177)에 치합된 랙(172)이 바닥면(171)의 장공(171H)과 레일(173)의 장홈(173H)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랙(172)의 이동거리는 카드의 길이 정도로 설정되며 랙(172)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아래의 피니언(177)과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적재부(110)의 전방 브래킷(111F)의 하단에는 스토퍼(115)가 장착된다.
스토퍼(115)는 최하단의 카드 1장이 후크(172H)에 의해 전진함에 있어서, 그 위에 적재된 카드들이 마찰에 의해 최하단 카드(1)와 함께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는데, 스토퍼(115)의 간섭에 의해 최하단 1장의 카드만 스토퍼(115)와 바닥면(171)의 사이 틈을 통해 카드 이송부(120)로 배출되며, 그 상부에 위치한 카드는 스토퍼(115)와 간섭되어 전진하지 못하고 카드 적재부(110)에 남게 되며, 최하단 1장의 카드가 카드 적재부(110)에서 완전히 배출되면, 그 상부에 위치한 카드가 바닥면(171)과 접한 최하단 카드가 된다.
한편, 카드 적재부(110)에서 배출된 카드 즉 스토퍼(115)를 통과한 카드(1)는 푸시 조립체(170)의 선단에 고정된 판스프링(179)을 지나 카드 이송부(120)로 진입하게 된다.
판스프링(179)의 일단은 푸시 조립체(170)의 선단 저면에 고정되며 판스프링(179)은 푸시 조립체(170)의 선단으로 연장된 후 스토퍼(115)와 바닥면(171)의 틈을 가릴 수 있게 그 선단이 상향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후크(172H)에 밀러 전진하는 카드(1)는 스토퍼(115)와 바닥면(171)의 틈을 통과한 후 가로막힌 판스프링(179)을 밀게 되고, 판스프링(179)은 카드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그 선단이 하향으로 내려가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179)의 선단이 카드(1)에 밀려 하향으로 내려가면서 카드(1)는 판스프링(179)의 선단을 지나 카드 이송부(120)의 제1이송롤러(131)로 진입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카드 적재부(110)에서 배출된 카드가 카드 이송부(120)를 통해 카드 슬롯부(160)까지 이송하는 과정 및 그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도 4 및 도 6a 내지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이송부(120)에는 카드 적재부(110)에서 배출된 카드(1)를 카드 슬롯부(16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송롤러(131)와 제2이송롤러(132)가 카드 이송부(120)의 진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여기에서 후크(172H)가 최대로 전진하였을 때의 지점과 제1이송롤러(131) 사이의 간격, 그리고 제1이송롤러(131)와 제2이송롤러(132) 사이의 간격은 카드(1)의 길이에 따라 설정된다. 후크(172H)가 최대로 전진한 지점에서 카드의 선단은 제1이송롤러(131)에 협착되고, 제1이송롤러(131)의 회전에 의해 전진한 카드는 제2이송롤러(132)에 그 선단이 협착되고 후단은 제1이송롤러(131)에 협착되며, 제2이송롤러(132)에 카드의 후단이 협착된 상태에서 카드의 선단은 카드 슬롯부(160)를 관통해 카드 슬롯부(160)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카드(1)는 카드 적재부(110)에서 카드 슬롯부(160)까지 이동함에 있어 랙(172), 제1이송롤러(131), 제2이송롤러(132)의 동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이송롤러(131)는 하부롤러(131L)와 상부롤러(131H)로 구분되며, 상부롤러(131)와 하부롤러(131)의 사이로 진입한 카드(1)는 협착된 상태로 마찰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이송롤러(131)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102)의 축에는 평기어(S)가 고정되고, 제2모터(102)에 고정된 평기어(S)는 제2이송롤러(132)의 하부롤러(132) 축에 고정된 평기어(S)와 치합되며, 제2이송롤러(132)의 하부롤러(132)의 축에 고정된 풀리(P)와 제1이송롤러(131)의 하부롤러(131) 축에 고정된 풀리(P)는 타이밍벨트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이송롤러(131)의 하부롤러(131) 축에 고정된 평기어(S)는 제1이송롤러(131)의 상부롤러(131)의 축에 고정된 평기어(S)와 치합된다.
따라서 제2모터(102)의 동력은 제2이송롤러(132)의 하부롤러(132)에 전달되고, 타이밍벨트를 통해 제1이송롤러(131)의 하부롤러(131)에 전달되어 제2이송롤러(132)의 하부롤러(132)와 제1이송롤러(131)의 하부롤러(131)는 같은 방향으로 연동하고, 반대로 제1이송롤러(131)의 하부롤러(131)에 평기어(S)로 연결된 상부롤러(131)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2이송롤러(132)의 하부롤러(132L)에 대향한 상부롤러는 아이들 롤러(132I)로서 제1이송롤러(131)에서 전진한 카드(1)의 선단이 제2이송롤러(132)의 하부롤러(132)와 아이들 롤러(132I)의 사이로 진입하여 협착된 상태로, 하부롤러(132)의 회전에 의해 카드(1)는 카드 슬롯부(160)로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이송부(120)에 있어서, 제1이송롤러(131)와 제2이송롤러(132)의 사이 상부에는 RF리더기(150)가 장착된다. 카드(1)가 RF리더기(150) 아래에 위치하였을 때에 제2모터(102)는 정지한다.
제2모터(102)가 정지하면 카드는 제1이송롤러(131)의 후단이 그리고 제2이송롤러(132)에 선단이 협착된 상태로 정지하며, 이때 RF리더기(150)와 카드(1)에 내장된 RF안테나에 유도전류가 형성되어 RF칩과 RF리더기(150)의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져 정보를 상호 교환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드(1)와 RF리더기(150)의 사이에 정보가 교환하여 저장한 후에 제2모터(102)가 작동하면 카드(1)는 전진하여 그 후단이 제2이송롤러(132)에 협착된 상태로 카드(1)의 선단은 카드 슬롯부(160)의 외부로 인출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슬롯부(160)의 외부로 카드 선단이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드(1)를 인출하여 사용한다.
한편,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100)에는 회수되는 카드를 수납하는 카드 수납부(140)가 형성된다.
카드 수납부(140)는 판스프링(179)의 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카드 슬롯부(160)로 사용한 카드(1)를 밀어넣게 되면 회수되는 카드의 선단이 제2이송롤러(132)에 협착된 후, 제2모터(102)의 작동에 의해 카드(1)는 제2이송롤러(132)에서 제1이송롤러(131) 쪽으로 이동하고, 제1이송롤러(131)를 통과하면서 상부로 절곡된 판스프링(179)의 선단 저면에 접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179)은 그 선단이 상향으로 올라가게 절곡됨에 따라 회수되는 카드(1)는 판스프링(179)의 저면에 접하고, 이 상태에서 제1이송롤러(131)가 계속 회전하게 되면 카드(1)는 판스프링(179)의 저면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판스프링(179)의 아래 방향으로 떨어진 카드는 아래에 형성된 카드 수납함(141)에 적재되어 보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처리장치(100)에 있어서 카드 이송부(120)에는 카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가 배치되며, 각 센서에서 카드를 감지함에 따라 제2모터(10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진행된다. 센서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카드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RF리더기(150)를 바코드리더기로 대신하여 카드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정보를 획득 처리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RF리더기(150)는 카드 이송부(12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 덮개(151)에 장착되어 덮개(151)를 상하부로 선회하여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RF리더기(150)를 덮개(151)에 장착함으로써, RF리더기(150)의 점검 및 보수 시에 덮개(151)를 열고 바로 정비가 가능하여 작업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100 : 카드 처리장치
101, 102 : 모터
110 : 카드 적재부
111S, 111F : 브래킷
113 : 중량체
115 : 스토퍼
120 : 카드 이송부
121 : 바닥면
131, 132 : 이송롤러
132I : 아이들 롤러
140 : 카드 수납부
141 : 카드 수납함
150 : RF리더기
151 : 덮개
160 : 카드 슬롯부
170 : 푸시 조립체
171 : 바닥면
171H : 장공
172 : 랙
172H : 후크
173 : 레일
173H : 장홈
175 : 가이드 핀
177 : 피니언
178 : 센서
179 : 판스프링
S : 평기어
P : 풀리

Claims (15)

  1. 카드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카드 슬롯부와,
    바닥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후크에 의해 적재된 카드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를 밀어 배출하는 카드 적재부와,
    카드 적재부와 카드 슬롯부를 연결하며 카드 적재부에 배출된 카드를 카드 슬롯부로 이동시켜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카드 슬롯부에 인입된 카드를 카드 수납부로 이송시키는 카드 이송부를 포함하며,
    카드 적재부는, 그 안쪽에 적재된 카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브래킷과, 적재된 카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 브래킷들과 적재된 카드를 받쳐주며 최하단의 카드가 안착되는 푸시 조립체를 포함하며,
    푸시 조립체에는 판스프링이 장착되며, 판스프링은 카드 적재부에서 배출되는 카드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카드가 카드 이송부로 진행할 수 있으며, 카드 적재부 쪽으로 진입하는 카드는 판스프링의 저면에 간섭되어 판스프링의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여 카드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한 카드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측면 브래킷의 후방 단면은 안쪽으로 절곡되어 안쪽에 적재된 카드들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푸시 조립체는, 카드를 밀어 배출하는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바닥면과, 바닥면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향으로 돌출된 후크가 장공을 관통해 바닥면 상부로 돌출된 랙과, 랙과 치합된 피니언과, 피니언과 연결되어 피니언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바닥면 상부로 돌출된 후크의 높이는 카드 적재부에 적재된 카드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바닥면의 저면에는 장공의 양측으로 한 쌍의 레일이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되며, 한 쌍의 레일의 사이에 위치한 랙을 관통한 가이드 핀의 양단이 장홈에 각각 위치하여 랙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바닥면에는 카드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바닥면의 상부에 적재된 카드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전방 브래킷의 하단에는 스토퍼가 장착되며, 스토퍼와 바닥면 사이의 틈으로 1장의 카드가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카드 이송부는
    카드 적재부와 카드 슬롯부를 연결하며 카드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바닥면과,
    카드가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바닥면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복수의 이송롤러들과,
    이송롤러들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모터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이송롤러는 모터의 정회전에 의해 카드를 카드 적재부 쪽에서 카드 슬롯부 쪽으로 이송하거나 모터의 역회전에 의해 카드를 카드 슬롯부 쪽에서 카드 적재부 쪽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이송롤러들의 사이 간격은 카드의 길이보다 짧게 배치되며, 이송되는 카드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이송롤러와 접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각 이송롤러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포함하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에 협착된 카드를 마찰에 의해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RF리더기 또는 바코드리더기가 카드 이송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카드 이송부의 상부에는 힌지 결합되어 상하 선회하는 덮개가 장착되며, 덮개에 RF리더기 또는 바코드리더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KR1020190131471A 2019-10-22 2019-10-22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71A KR102234923B1 (ko) 2019-10-22 2019-10-22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71A KR102234923B1 (ko) 2019-10-22 2019-10-22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923B1 true KR102234923B1 (ko) 2021-04-02

Family

ID=7546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471A KR102234923B1 (ko) 2019-10-22 2019-10-22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32904A1 (en) * 2018-04-28 2019-10-31 Shenzhen Tianyi Technology Co., Ltd. Card issuing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045A (ko) * 2005-08-09 2007-02-15 (주)키트로닉스 카드 회수기
KR100897611B1 (ko) * 2008-09-19 2009-05-15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KR20090012080U (ko)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복수개의 카드 적재함을 구비한 카드 발행장치
KR20130139563A (ko) 2012-06-13 2013-12-23 (주)키트로닉스 카드 회수기
KR101448707B1 (ko) 2013-10-10 2014-10-08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KR101828827B1 (ko) * 2016-12-09 2018-02-13 문병철 카드 인출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045A (ko) * 2005-08-09 2007-02-15 (주)키트로닉스 카드 회수기
KR20090012080U (ko)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복수개의 카드 적재함을 구비한 카드 발행장치
KR100897611B1 (ko) * 2008-09-19 2009-05-15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KR20130139563A (ko) 2012-06-13 2013-12-23 (주)키트로닉스 카드 회수기
KR101448707B1 (ko) 2013-10-10 2014-10-08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KR101828827B1 (ko) * 2016-12-09 2018-02-13 문병철 카드 인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32904A1 (en) * 2018-04-28 2019-10-31 Shenzhen Tianyi Technology Co., Ltd. Card issu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5028B1 (en) Card dispensing apparatuses and associated methods of operation
KR100897611B1 (ko)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KR100917111B1 (ko) 카드 회수 장치를 구비한 카드 처리 장치
JP3832176B2 (ja) カード発行装置
KR20060132510A (ko) 지폐 처리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2234923B1 (ko)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KR910001242B1 (ko) 지폐출납기 등에 있어서의 지폐반송장치
EP1484709B1 (en) Recording medium dispensing machine
CN210155773U (zh) 一种具有回收功能的自动售货机
KR20170080761A (ko) 박스류 발급기
KR102234922B1 (ko)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1B1 (ko) 카드 처리장치
KR20100063351A (ko) 카드 디스펜서
JP4959281B2 (ja) 景品払出機
KR102234924B1 (ko)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KR100962477B1 (ko)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KR20170080762A (ko) 박스류 발급기
JP4230415B2 (ja) カード受け入れ収納装置
KR102087559B1 (ko) 카드 리딩기능을 갖는 카드배출기
JP3605109B2 (ja) カード処理装置
CN210721700U (zh) 一种暂存模块及金融自助终端
RU215623U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для выдачи штучных товаров
JP4727957B2 (ja) カード処理装置
JP5226254B2 (ja) 景品読取装置
JP5496384B2 (ja) 景品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