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707B1 - 카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카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707B1
KR101448707B1 KR1020130120637A KR20130120637A KR101448707B1 KR 101448707 B1 KR101448707 B1 KR 101448707B1 KR 1020130120637 A KR1020130120637 A KR 1020130120637A KR 20130120637 A KR20130120637 A KR 20130120637A KR 101448707 B1 KR101448707 B1 KR 10144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finger
unit
withdrawing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유명진
Original Assignee
(주)키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키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3012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24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by pushers engaging the edg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가 적재되는 카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카드 이송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인출된 카드가 안착되는 카드 인출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 및 상기 카드 인출부의 하면을 감싸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부는, 동력을 제공하고 회전 운동이 수행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핑거 밀착부재; 상기 핑거 밀착부재와 걸림 결합되고 상기 카드 카트리지에 적재된 카드를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시키는 핑거 부재; 및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되는 카드를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푸쉬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가 적재되는 카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카드 이송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인출된 카드가 안착되는 카드 인출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 및 상기 카드 인출부의 하면을 감싸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부에는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되는 카드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푸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카드 인출부에는 상기 카드 인출부에 적재된 카드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카드 압밀부재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카드 디스펜서{A card dispenser}
본 발명은 카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 있어서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의 예로는 공중 전화카드, 버스 카드, 주차 카드, 신용 카드 등을 들 수 있는데 정보화 사회로의 진전에 따라 보다 다양한 카드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의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선보이고 있다.
한편, 이러한 각종 카드들은 소정의 발권 장치를 통해 발권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발권 장치는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카트리지(card cartridge), 카드를 인식하여 상기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독취하는 카드 리더(card reader) 및 카드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 등의 구성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카드 디스펜서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로부터 이송된 카드를 외부로 발권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카드는 그 두께가 상당히 얇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카드 발권시 상기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안착 영역에 카드가 정확하게 안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드가 발권되는 과정에서 상기 카드의 걸림 현상이나 슬림 현상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카드 디스펜서는 여러 개의 구동 모터를 설치하고 그에 상응하는 풀리 등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실시 예는 장치의 복잡화를 회피할 수 없으므로 장치의 제조 단가 상승 및 구조의 복잡화에 따른 잔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드 디스펜서는 정밀한 카드 안착을 가이드 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카드 안착 영역에 카드가 정확하게 안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620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 카트리지에서 카드 디스펜서로 이동되는 카드가 상기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안착 영역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가이드 하여 카드의 걸림 현상 또는 슬림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카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가 적재되는 카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카드 이송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인출된 카드가 안착되는 카드 인출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 및 상기 카드 인출부의 하면을 감싸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부는, 동력을 제공하고 회전 운동이 수행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핑거 밀착부재; 상기 핑거 밀착부재와 걸림 결합되고 상기 카드 카트리지에 적재된 카드를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시키는 핑거 부재; 및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되는 카드를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푸쉬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가 적재되는 카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카드 이송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인출된 카드가 안착되는 카드 인출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 및 상기 카드 인출부의 하면을 감싸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부에는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되는 카드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푸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카드 인출부에는 상기 카드 인출부에 적재된 카드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카드 압밀부재가 설치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배출 영역에서 카드 안착 영역으로 카드의 하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푸쉬 부재를 설치하여 카드의 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푸쉬 부재는 상기 카드 안착 영역의 자유 낙하 구간에서 카드가 원활하게 상기 카드 안착 영역의 하부에 적재되도록 가이드 하므로 카드 발권시 오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드 발권이 완료되고 핑거의 초기 위치 복귀시, 상기 핑거의 후방에 형성되는 스크류 부재에 의해 상기 핑거의 무게 중심이 후방에 배치되므로 카드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드 디스펜서에는 카드 카트리지의 정위치 안착 여부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 내부에 적재된 카드의 종류, 수량 등에 관한 정보를 독취할 수 있는 메모리 독취부가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카드의 걸림 현상 등의 오류 발생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카트리지와 카드 디스펜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이송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이송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부재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권기를 통과하는 카드의 이송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카트리지와 카드 디스펜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발권 장치는, 카드가 적재되는 카드 카트리지(100) 및 상기 카드 카트리지(100)에 적재된 카드를 발권하기 위해 상기 카드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카드 디스펜서(200)를 포함한다. 상기 카드 카트리지(100)와 상기 카드 디스펜서(200)는 서로 독립적인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카드 카트리지(100)는 상기 카드 디스펜서(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카드 디스펜서(200)는, 복수의 구성으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 디스펜서(200)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100)가 안착되는 카드 이송부(300) 및 상기 카드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카드를 외부로 발권하는 카드 인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이송부(300)의 개수에는 그 제한이 없다. 일 예로 상기 카드 이송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200)는, 상기 카드 이송부(300) 및 카드 인출부(400)를 지지하기 위한 바텀 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 프레임(500)은, 상기 카드 이송부(300)와 상기 카드 인출부(400)의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 프레임(500)은, 상기 카드 이송부(300)와 상기 카드 인출부(4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카드 인출부(400)는, 상기 카드 이송부(300)로부터 이송된 카드가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카드 안착 영역(도 8의 46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안착 영역(도 8의 460 참조)에 순차적으로 안착된 카드는 카드 압밀부재(41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카드 압밀부재(410)는 회전축을 제공하는 압밀 구동축(413), 상기 압밀 구동축(413)의 외면을 감싸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11) 및 상기 카드 안착 영역(도 8의 460 참조)에 안착된 카드와 접촉하는 완충부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드 이송부(300)에서 카드가 인출되면 상기 카드 안착 영역(도 8의 460 참조)에 안착되고, 안착된 카드는 상기 완충부재(412)와 접촉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카드 디스펜서(2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이송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이송부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이송부(300)는, 외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하우징(311, 312, 313) 및 상기 복수의 하우징(311, 312, 313)에 의해 형성되고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가 수용되는 공간인 카트리지 수용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하우징 중 측면을 형성하는 일 하우징(312)에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에 형성되는 체결돌기(미도시)와 결합 가능한 걸림 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하우징(312)에는, 상기 체결돌기(미도시)와 상기 걸림 홀(315)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17)는, 센서 고정 브라켓(316)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드 이송부(300)는 복수의 구동축, 롤러 및 복수의 풀리에 의해 카드를 이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 이송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의 하면과 접촉하는 베이스(38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85)의 하부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40), 상기 구동부(34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핑거 밀착부재(370), 상기 핑거 밀착부재(370)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밀착부재 구동축(352) 및 상기 밀착부재 구동축(352)과 상기 구동부(3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350)는 상기 밀착부재 구동축(352)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35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50)는 상기 구동부(340)의 일면에 형성되는 걸림부재(351)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340)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부재(350)에 의해 상기 핑거 밀착부재(370)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우징(311, 312, 313)의 외부에는, 카드 이송부(300)에서 카드 인출부(400)로 카드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회전롤러, 구동축 및 이송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는 제 1 회전롤러(321) 및 상기 제 1 회전롤러(32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회전롤러(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롤러(321)는 제 1 구동축(32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구동축(322)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회전롤러(331)는 제 2 구동축(33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구동축(332)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축(322)과 상기 제 2 구동축(332)의 중앙에는 각각 카드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제 1 이송롤러(320)와 제 2 이송롤러(3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송롤러(320)와 상기 제 2 이송롤러(33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이송롤러(320)와 제 2 이송롤러(33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카드 이송부(300)를 통과한 카드는 상기 제 1 이송롤러(320)와 상기 제 2 이송롤러(33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기 카드 인출부(40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송롤러(320)와 상기 제 2 이송롤러(330) 사이의 공간은 카드 배출 영역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롤러(321)의 외면과 상기 제 2 회전롤러(331)의 외면은 제 1 풀리(325)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풀리(325)는 상기 제 1 회전롤러(321)의 외면 및 제 2 회전롤러(331)의 외면을 동시에 감쌀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회전롤러(331)의 외면과 상기 구동부(340)의 외면은 제 2 풀리(335)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340)가 회전되면 상기 제 2 풀리(335)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롤러(331)가 회전되고, 상기 제 1 풀리(325)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롤러(321)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롤러(321)와 제 2 회전롤러(3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이송롤러(320)와 제 2 이송롤러(330)가 동시에 회전되어 카드의 이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이송부(300)는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320, 330)와는 별도의 구성인 푸쉬 부재(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푸쉬 부재(600)는 상기 제 1 이송롤러(320)와 제 2 이송롤러(330) 사이의 공간인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하는 카드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쉬 부재(600)는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하는 카드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푸쉬 부재(600)의 일측은, 상기 카드 배출 영역 보다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카드 안착 영역(도 8의 460 참조)의 하면과 상기 제 1 이송롤러(320)의 하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카드 안착 영역(도 8의 460 참조)의 하면과 상기 푸쉬 부재(600)의 하면 사이의 거리 보다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하는 카드는 상기 푸쉬 부재(600)에 의해 상기 카드 안착 영역(도 8의 460 참조)의 하면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 부재(600)는 카드의 상면과 접촉되므로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하는 카드는 상기 카드 안착 영역(도 8의 460 참조)에 보다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푸쉬 부재(600)의 세부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385)의 상면은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85)에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가 상기 베이스(385)에 정확하게 안착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와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 내에 적재되는 카드의 존재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387),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에 적재된 카드를 상기 카드 인출부(400)로 이송시키는 핑거 부재(700) 및 카드 디스펜서(200)에 장착된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의 메모리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 내부의 메모리 정보를 읽어들이고 카드 발행 정보를 다시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 내부 메모리에 쓰기 가능한 메모리 독취부(8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메모리 독취부(800)를 통하여 메인 피씨비(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인 피씨비(미도시)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 내부의 카드 적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푸쉬 부재(6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부재(600)는, 카드 이송부(300)의 외면을 이루는 하우징과 연결되는 푸쉬 부재 구동축(620),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620)의 외면을 감싸는 토션 스프링(630) 및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62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620)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압착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620)의 일측은 고정 스크류(650)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620)의 타측은 체결부(640)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620)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압착부재(610)에는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620)과 수직되게 연장되는 가이드 암(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암(611)은 상기 압착부재(6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암(611)의 측부는 제 1 구동축(3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630)은 상기 가이드 암(611)의 회전 운동이 수행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션 스프링(630)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암(611)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630)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에 걸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토션 스프링(630)은 상기 카드 배출 영역에서 상기 카드 안착 영역으로 카드 이송 완료시 상기 가이드 암(611)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암(611)의 일측에는 제 1 이송롤러(320)와 제 2 이송롤러(330)의 사이의 공간인 카드 배출 영역에서 인출되는 카드와 접촉하는 볼 베어링(6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 베어링(660)은 상기 카드 배출 영역에서 카드 안착 영역으로 인출되는 카드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 베어링(660)의 하단은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의 하단 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드 안착 영역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이송롤러(320)의 하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카드 안착 영역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볼 베어링(660)의 하면 사이의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볼 베어링(660)과 상기 가이드 암(611)은 베어링 핀(670), 체결부(680) 및 고정 스크류(690) 등의 복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카드 이송부(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핑거 부재(70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 부재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카드 이송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의 하면과 접촉하는 베이스(38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85)는 복수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공간에 따라 세 개의 구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385)의 일 구역에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의 안착과,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 내부의 카드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387)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인 센서부 안착 홀(38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85)의 다른 일 구역에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 의 100 참조) 내부에 메모리 정보(적재된 카드의 수량, 종류)를 독취하는 메모리 독취부(8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독취부(800)에서 독취된 정보는 메인 피씨비(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85)의 일 구역과 다른 일 구역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핑거 부재(700)가 배치되기 위한 소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에는 복수의 샤프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외형을 형성하는 핑거 바디(710)를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 샤프트(740) 및 상기 복수의 걸림 샤프트(7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핑거 바디(710)를 관통하는 관통 샤프트(7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핑거 바디(710) 하면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걸림 샤프트(740)에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 바디(710)에는 상기 관통 샤프트(730)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 홀(711)이 형성되고, 상기 핑거 바디(710)는 상기 관통 샤프트(7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711)과 상기 관통 샤프트(730) 사이에는 부싱(72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부싱(720)은 상기 핑거 바디(710)가 상기 관통 샤프트(73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싱(720)의 외경은 상기 관통 홀(711)의 직경에 대응되고, 상기 부싱(720)의 내경은 상기 관통 샤프트(730)의 직경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부싱(720)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관통 홀(711)을 따라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핑거 바디(710)의 하면에는, 상기 핑거 바디(710)의 하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돌기(7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770)는 구동부(도 3b의 340 참조)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핑거 밀착부재(370)의 일단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핑거 밀착부재(370)의 일단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770)와 접촉하는 복수의 밀착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핑거 밀착부재(370)가 회전되면 상기 핑거 바디(710)는 상기 관통 샤프트(730)를 따라 직선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핑거 바디(710)의 상부에는 회전 운동이 가능한 핑거(75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핑거(750)와 상기 핑거 바디(710)에는, 핑거 핀(760)이 관통되기 위한 핑거 홀(75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핑거(750)는 상기 핑거 핀(760)에 의해 상기 핑거 바디(710)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핑거 핀(76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핑거 홀(751)은 상기 핑거(750)의 무게중심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핑거(750)의 후방에는 스크류 부재(7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부재(752)는 발행하고자 하는 카드의 두께에 따라 상기 핑거(750)의 카드 물림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핑거 바디(710)가 카드 배출 영역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 내부에 적재된 카드(C)는 상기 핑거(750)와 접촉하여 인출이 가능할 수 있다(도 7a 참조).
일반적으로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에는 500매 가량의 카드가 적재될 수 있다. 상기 500매 가량의 카드는 약 5kg 정도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핑거(750)가 카드(C)를 인출하고 초기 위치로 복귀시 상기 핑거(750)와 상기 카드(C)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카드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등 카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만, 상기 핑거 홀(751)이 상기 핑거(750)의 무게중심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핑거(750)가 카드(C)를 인출하고 초기 위치로 복귀시, 상기 핑거(750)는 상기 핑거 핀(760)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카드 카트리지(도 1의 100 참조)에 적재된 카드의 하중을 회피할 수 있고, 카드와의 접촉 하중을 상기 핑거(750)의 무게만큼 줄일 수 있으므로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도 7b 참조).
이하에서는 카드 발권기를 통과하는 카드의 이송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 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권기를 통과하는 카드의 이송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카드를 발권시키기 위한 신호를 기기에 입력하면, 구동부(3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기기에 동력이 제공된다. 이 때, 메모리 독취부(800), 센서부(387) 및 감지부(도 4의 317 참조)로부터 정보화된 카드 카트리지(100)의 정위치 안착 여부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100) 내부에 적재된 카드의 종류, 수량 등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340)의 동력 제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동력에 의해 구동부(340)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부(340)와 연결부재(350)에 의해 연결되는 핑거 밀착부재(370)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핑거 밀착부재(370)의 상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밀착돌기는 핑거 바디(7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770)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핑거 밀착부재(3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핑거 바디(710)는 카드 안착 영역(46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핑거 바디(710)의 상부에 안착되는 핑거(750)는 카드 카트리지(100) 내부에 적재된 카드를 상기 카드 안착 영역(46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핑거(750)에 의해 이송된 카드는 제 1 이송롤러(320)와 제 2 이송롤러(330) 사이에 형성되는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한 카드는 상기 카드 인출부(400)에 형성되는 카드 안착 영역(46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한 카드는 상기 카드 안착 영역(460)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적재되기 위해 자유 낙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한 카드는 푸쉬 부재(600)에 의해 상기 카드 안착 영역(460)의 하면에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푸쉬 부재(600)의 볼 베어링(660)은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한 카드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카드가 하향 이동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푸쉬 부재(600)는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한 카드를 하방으로 가이드 하여 상기 카드 안착 영역(460)에 원활하게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카드 인출부(400)의 완충부재(412)는 상기 카드 안착 영역(460)에 안착된 카드를 외부로 이송시키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드 안착 영역(460)에 안착된 카드는 인출롤러(450)와 완충부재(412)에 의해 그 이동이 가이드 되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 배출 영역에서 카드 안착 영역으로 카드의 하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푸쉬 부재를 설치하여 카드의 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푸쉬 부재는 상기 카드 안착 영역의 자유 낙하 구간에서 카드가 원활하게 상기 카드 안착 영역에 하면에 적재되도록 가이드 하므로 카드 발권시 오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카드 카트리지 200: 카드 디스펜서
300: 카드 이송부 320: 제 1 이송롤러
330: 제 2 이송롤러 340: 구동부
370: 핑거 밀착부재 400: 카드 인출부
600: 푸쉬 부재 610: 압착 부재
611: 가이드 암 620: 푸쉬 부재 구동축
630: 토션 스프링 700: 핑거 부재
710: 핑거 바디 730: 관통 샤프트
740: 걸림 샤프트 750: 핑거
752: 스크류 부재 760: 핑거 핀
770: 걸림돌기 800: 메모리 독취부

Claims (11)

  1. 카드가 적재되는 카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카드 이송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인출된 카드가 안착되는 카드 인출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 및 상기 카드 인출부의 하면을 감싸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부는,
    동력을 제공하고 회전 운동이 수행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핑거 밀착부재;
    상기 핑거 밀착부재와 걸림 결합되고 상기 카드 카트리지에 적재된 카드를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시키는 핑거 부재; 및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되는 카드를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푸쉬 부재를 포함하는 카드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되는 카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이송롤러 및 제 2 이송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롤러는 상기 제 2 이송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쉬 부재는,
    상기 제 1 이송롤러와 상기 제 2 이송롤러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카드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롤러와 상기 제 2 이송롤러 사이의 공간은 카드 배출 영역으로 규정되고,
    상기 카드 인출부에는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한 카드가 안착되는 공간인 카드 안착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푸쉬 부재는,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한 카드를 상기 카드 안착 영역의 하면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부재는,
    회전축을 제공하는 푸쉬 부재 구동축;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압착 부재; 및
    상기 압착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암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암의 일측에는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하는 카드와 접촉하는 볼 베어링이 형성되는 카드 디스펜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부재는,
    상기 푸쉬 부재 구동축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카드 배출 영역에서 상기 카드 안착 영역으로 카드 이송 완료시 상기 가이드 암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암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안착 영역의 하면과 상기 제 1 이송롤러의 하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카드 안착 영역의 하면과 상기 볼 베어링의 하면 사이의 거리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부에는, 상기 핑거 부재가 이동되는 홀을 가지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에는, 상기 핑거 부재를 관통하는 관통 샤프트 및 상기 핑거 부재를 지지하는 걸림 샤프트가 형성되는 카드 디스펜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부재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면에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핑거 밀착부재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 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는 핑거 바디; 및
    상기 핑거 바디가 상기 카드 인출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핑거 바디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핑거 바디가 상기 카드 인출부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핑거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스크류 부재를 가지는 핑거를 포함하는 카드 디스펜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카드 카트리지 내부의 메모리와 접촉하여 상기 카드 카트리지에 적재된 카드의 종류와 수량에 관한 정보를 독취하고, 상기 카드 카트리지의 카드 발행 정보와 상기 카드 카트리지의 장착 정보를 상기 카드 카트리지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독취부가 형성되는 카드 디스펜서.
  10. 카드가 적재되는 카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카드 이송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인출된 카드가 안착되는 카드 인출부와, 상기 카드 이송부 및 상기 카드 인출부의 하면을 감싸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부에는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되는 카드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푸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카드 인출부에는 상기 카드 인출부에 적재된 카드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카드 압밀부재가 설치되는 카드 디스펜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부에서 상기 카드 인출부로 이송되는 카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이송롤러 및 제 2 이송롤러;
    상기 제 1 이송롤러와 상기 제 2 이송롤러 사이에 형성되고 카드의 이동 통로로 규정되는 카드 배출 영역; 및
    상기 카드 인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카드 배출 영역을 통과한 카드가 안착되는 공간인 카드 안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드 배출 영역에서 상기 카드 안착 영역으로 이동되는 카드는 상기 푸쉬 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카드 안착 영역에서 외부로 이동되는 카드는 상기 카드 압밀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스펜서.
KR1020130120637A 2013-10-10 2013-10-10 카드 디스펜서 KR101448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637A KR101448707B1 (ko) 2013-10-10 2013-10-10 카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637A KR101448707B1 (ko) 2013-10-10 2013-10-10 카드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707B1 true KR101448707B1 (ko) 2014-10-08

Family

ID=5199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637A KR101448707B1 (ko) 2013-10-10 2013-10-10 카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7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21B1 (ko)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2B1 (ko)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3B1 (ko)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4B1 (ko) 2019-10-22 2021-04-05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824Y1 (ko) 2005-08-09 2005-10-28 (주)키트로닉스 카드 회수기
KR20070025217A (ko) * 2005-09-01 2007-03-08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JP2013020283A (ja) 2011-07-07 2013-01-31 Nidec Sankyo Corp カード発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824Y1 (ko) 2005-08-09 2005-10-28 (주)키트로닉스 카드 회수기
KR20070025217A (ko) * 2005-09-01 2007-03-08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JP2013020283A (ja) 2011-07-07 2013-01-31 Nidec Sankyo Corp カード発行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21B1 (ko)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2B1 (ko)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3B1 (ko) 2019-10-22 2021-04-02 (주)키트로닉스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4B1 (ko) 2019-10-22 2021-04-05 (주)키트로닉스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07B1 (ko) 카드 디스펜서
JP2007041635A (ja) カード処理装置
WO2010004748A1 (ja) カード処理ユニットおよびカード発行装置
EP3175430B1 (en) Card handling device
US9460370B2 (en) Card storage and ejection module
JP7048222B2 (ja) カード発行装置
CN100562888C (zh) 记录媒体处理装置
JP2009297402A (ja) 景品払出装置
JP4843525B2 (ja) 媒体搬送方向変換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5603262B2 (ja) 共通回路基板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JP6552603B2 (ja) Icカードリーダ
JP5060188B2 (ja) カード発行装置
JP6560318B2 (ja) 景品払出装置
JP2016050078A (ja) 媒体繰出装置、投票券発券装置、及びピックローラー回転抑制方法
JP5677886B2 (ja) カードスタッカ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JP2012159906A (ja) 収納カード繰り出し機構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JP6240740B2 (ja) 景品払出装置
JP2891686B2 (ja) カード回収装置
WO2020085207A1 (ja) 搬送装置およびゲーム装置
JP5080063B2 (ja) 媒体搬送方向変換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2022158069A (ja) カード搬送ユニット
JP2016189056A (ja) カード処理装置
JP5661487B2 (ja) カード処理装置
JP5727283B2 (ja) 搬送路開放構造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JP5314340B2 (ja) カード処理ユニットおよびカード発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