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824Y1 - 카드 회수기 - Google Patents

카드 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824Y1
KR200399824Y1 KR20-2005-0023065U KR20050023065U KR200399824Y1 KR 200399824 Y1 KR200399824 Y1 KR 200399824Y1 KR 20050023065 U KR20050023065 U KR 20050023065U KR 200399824 Y1 KR200399824 Y1 KR 200399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oller
area
conveying rolle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진
Original Assignee
(주)키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키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5-0023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2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conveying arrangement to magaz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4Card magazines, e.g. pocket, hopper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카드의 회수 과정을 안정적으로 담보할 수 있으며 카드 회수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카드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회수기는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 영역과, 외부로부터 카드가 주입되는 카드 주입 영역과, 상기 카드 주입 영역으로부터 카드를 주입 받아 상기 카드 적재 영역으로 카드를 이송하는 카드 이송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카드 적재 영역은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의 두 곳에 구비되며,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카드 주입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카드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카드 적재 영역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이송 롤러는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의 중앙 부위에의 카드 존재 여부를 인식하는 제 2 카드 인식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드 회수기{Card collector}
본 고안은 카드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카드의 회수 과정을 안정적으로 담보할 수 있으며 카드 회수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카드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 있어서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의 예로는 공중 전화카드, 버스 카드, 주차 카드, 신용 카드 등을 들 수 있는데 정보화 사회로의 진전에 따라 보다 다양한 카드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의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선보이고 있다.
한편, 이러한 각종 카드들은 용도에 따라 회수가 요구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발권되는 요금 카드는 정산을 위해 반드시 카드의 회수가 요구된다. 이 밖에도 주차 카드 등의 각종 카드들이 각각의 회수 필요성에 의해 회수된다.
카드의 회수 과정은 소정의 카드 회수기(card collector)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카드 회수기는 기본적으로 카드 주입부와 적재부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카드 주입부를 통해 카드를 1매씩 주입 받아 상기 적재부에 주입된 카드를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드 회수기는 상기 카드 주입부로의 주입 과정시 또는 상기 적재부로의 적재 과정 진행시 카드가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카드가 진행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는 슬림 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대부분의 카드 회수기는 단일 적재 방식을 택하고 있어 카드 회수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각종 카드의 회수 과정을 안정적으로 담보할 수 있으며 카드 회수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카드 회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회수기는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 영역과, 외부로부터 카드가 주입되는 카드 주입 영역과, 상기 카드 주입 영역으로부터 카드를 주입 받아 상기 카드 적재 영역으로 카드를 이송하는 카드 이송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카드 적재 영역은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의 두 곳에 구비되며,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카드 주입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카드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카드 적재 영역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이송 롤러는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의 중앙 부위에의 카드 존재 여부를 인식하는 제 2 카드 인식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주입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카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수평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를 상기 카드 이송 영역으로 배출하는 주입 롤러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주입 롤러 사이에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1 카드 인식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주입 롤러는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에 의한 카드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동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 롤러는 제 1 주입 롤러와 제 2 주입 롤러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는 대칭되는 형상을 갖으며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이송 영역에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의 카드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이송 롤러 상의 카드에 접촉하여 상기 카드와 제 1 이송 롤러의 밀착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카드 압밀 부재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드 이송 영역에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의 좌측 및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과,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의 전단부에 상기 제 1 이송 롤러로부터 이송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3 카드 인식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은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한 카드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동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는 대칭되는 형상을 갖으며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며, 동작되는 하나의 이송 롤러에 의해 다른 하나의 이송 롤러가 맞물려 동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의 내부에는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만 가능한 클러치 베어링이 각각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이송 롤러는 정방향, 제 3 이송 롤러는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서만 회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은 상기 카드 주입 영역보다 수직선상으로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및 우측의 카드 적재 영역 각각에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으로부터 이송되는 카드를 카드 적재 영역 내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4 이송 롤러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4 이송 롤러의 중심은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가 접촉하는 지점보다 소정 거리만큼 높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4 이송 롤러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으로부터 이송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제 4 카드 인식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 4 이송 롤러는 상기 제 4 카드 인식센서에 의한 카드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동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4 이송 롤러의 내부에는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클러치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제 4 이송 롤러는 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서만 회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및 우측의 카드 적재 영역에는 각각 착탈 가능한 카드 적재함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적재함의 상단에는 적재된 카드를 센싱하는 적재 인식 센서가 더 구비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카드 적재 영역을 복수개 구비시켜 카드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카드 적재 영역으로의 카드 적재시 카드 적재 영역 내의 이송 롤러에 대한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해당 이송 롤러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드 적재 영역 내에 구비되는 카드 적재함을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카드 회수기의 효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회수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우측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좌측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제 1 내지 제 3 프레임을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카드 적재함을 장착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평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를 이용한 카드 적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회수기(100)는 크게 카드 주입부(110), 카드 이송부(120) 및 카드 적재부(13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기본적인 기능으로서 상기 카드 주입부(110)는 회수 대상 카드가 주입되는 공간이고, 상기 카드 이송부(120)는 상기 카드 주입부(110)를 통해 주입된 카드를 상기 카드 적재부(130)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카드 적재부(130)는 상기 카드 이송부(120)로부터 이송된 카드를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카드 주입부(110), 카드 이송부(120) 및 카드 적재부(130)는 달리 표현하여 각각 카드 주입 영역, 카드 이송 영역 및 카드 적재 영역을 의미할 수 있는데, 상기 각각의 영역들에 상응하는 공간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회수기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프레임들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들은 상기 영역의 공간을 정의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각종 구동축, 센서 등의 구성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카드 주입 영역(110), 카드 이송 영역(120) 및 카드 적재 영역(13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카드 주입 영역(110)은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하나의 쌍으로 구성되는 제 1 프레임에 의해 해당 영역의 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카드 주입 영역(110)의 하단에는 주입되는 카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11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2)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12a)(112b)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주입되는 카드가 상기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12a)와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12b) 사이로 주입,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12a)(112b)는 상기 카드 주입 영역(110)을 정의하는 제 1 프레임(111)의 내측면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11) 내측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12a)(112b) 이외에 제 1 및 제 2 구동축(113a)(114a)이 고정, 지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축(113a)(114a) 상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는 대칭되는 형상을 갖으며 대칭되는 위치에 서로 접촉하여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주입 롤러(113)와 제 2 주입 롤러(114)가 접촉되는 지점은 상기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12a)와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12b) 사이의 중심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12a)와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12b) 사이를 통과한 카드가 상기 제 1 주입 롤러(113) 및 제 2 주입 롤러(114)에 맞물려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축(113a)(114a)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 2 구동축(114a)은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 1 풀리(115)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제 1 풀리(115)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제 1 프레임(111) 내측면의 일측 정확히는,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가 구비된 위치의 전단부에 상응하는 부위에 제 1 카드 인식센서(116)가 구비된다(도 1 및 도 7 참조).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116)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12a)(112b) 사이를 통해 주입되어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 카드 즉,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가 구비된 위치의 직전까지 이동된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116)의 인식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가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되는 카드의 원활한 인식을 위해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116)가 구비된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의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12a)(112b)에는 소정의 개구공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12a)(112b)를 거쳐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에 맞물려진 카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카드 이송 영역(120)으로 배출된다. 상기 카드 이송 영역(120)은 하단에는 이송 플레이트(121)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에 의해 배출된 카드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 상에 안착된다(도 8a 참조).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에 의해 배출되는 카드가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서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는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가 접촉하는 지점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 상의 공간은 상기 카드 이송 영역(120)에 상응하며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의 일단에는 수직 형상의 제 2 프레임(121a)이 구비되어 상기 카드 이송 영역(120)을 정의한다. 참고로,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의 양단에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로부터 이송되는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의 중앙 부위에는 소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 내에 제 1 이송 롤러(12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는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로부터 배출되어 안착된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 상의 카드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 2 프레임(121a) 중앙부의 일측 즉,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로부터 배출되는 카드가 안착되는 이송 플레이트(121)의 중앙 부위에 상응하는 위치의 제 2 프레임(121a)의 내측면에는 제 2 카드 인식센서(123a)가 구비된다(도 7 참조).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123a)는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 상에 안착된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123a)의 인식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가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123a)의 카드 인식에 의해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의 구동 방향은 후술하는 구동 제어부의 제어 명령을 의해 정해지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카드 적재부의 적재량에 따라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의 구동 방향이 선택적으로 정해진다.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는 두 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제 1 이송 롤러(122)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제 1 이송 롤러(122)는 제 3 및 제 4 구동축(122a)(122b)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 3 및 제 4 구동축(122a)(122b)은 상기 제 2 프레임(121a)의 내측면에 고정,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 3 및 제 4 구동축(122a)(122b)은 각각 상기 제 2 프레임(121a)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 2 및 제 3 풀리(123)(124)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 때, 상기 제 2 및 제 3 풀리(123)(124)는 하나의 구동 벨트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 중앙부의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카드 압밀 부재(117)가 구비된다. 상기 카드 압밀 부재(117)는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113)(114)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 상에 안착된 카드를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에 밀착시켜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에 의한 카드 이송이 원활하게 진행시키는 역할을 한다(도 8b 참조). 상기 카드 압밀 부재(117)는 소정의 솔레노이드 스위치(118)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123a)가 카드를 인식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18)가 작동하여 상기 카드 압밀 부재(117)가 카드를 밀착하게 된다.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로부터 수평면 상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각각 제 2 이송 롤러(125) 및 제 3 이송 롤러(126)의 쌍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가 구비되는 부위에 상응하는 위치의 이송 플레이트(121) 일측에는 소정의 개구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내에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에 의해 이송된 카드를 최종적으로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카드 적재 영역(130)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는 대칭되는 형상을 갖으며 대칭되는 위치에 서로 접촉하여 구비되며,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이송 롤러(126)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의 하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와 제 3 이송 롤러(126)가 접촉되는 지점은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와 제 3 이송 롤러(126)는 각각 제 5 구동축(125a)과 제 6 구동축(126a)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 5 및 제 6 구동축(125a)(126a)은 상기 제 2 프레임(121a)의 내측면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제 5 구동축(125a)과 제 6 구동축(126a)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 6 구동축(126a)은 상기 제 2 프레임(121a)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 4 풀리(129)와 연결되어 제 4 풀리(129)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한편, 상기 제 5 및 제 6 구동축(125a)(126a)에 장착되는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의 동작 관련 설명은 후술하는 카드 적재 영역(130)의 설명에서 함께 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 상의 카드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와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에 의해 카드 적재 영역(130)으로 이송되는데, 상기 카드 주입 영역(110) 및 카드 이송 영역(120)과 마찬가지로 상기 카드 적재 영역(130) 역시 소정의 프레임에 의해 해당 영역이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정의하는 제 3 프레임(134)에 의해 상기 카드 적재 영역(130)에 상응하는 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제 3 프레임(134)에 의해 정의되는 카드 적재 영역(130) 내에는 착탈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카드 적재함(140)이 구비된다.
상기 카드 적재함(140)은 상기 제 3 프레임(134)에 의해 정의되는 카드 적재 영역(130)과 마찬가지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드 적재함(140)이 상기 카드 적재 영역(1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드 적재함(140)으로의 카드 적재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카드 적재함(140)의 하부의 전면은 개구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로부터 상기 카드 적재함(140)으로의 카드 적재가 진행되기 위해 상기 카드 적재함(140)의 일측면 정확히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를 향하는 카드 적재함(140)의 일측면의 하단은 소정 높이만큼 개구되어 있다.
상기 카드 적재 영역(130)의 하단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 적재함(140)의 하부에는 제 4 이송 롤러(131)가 구비된다.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121)의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에 의해 이송된 카드를 상기 카드 적재함(140) 내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는 제 7 구동축(131a)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 7 구동축(131a)은 상기 제 3 프레임(134)의 내측면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제 7 구동축(131a)은 상기 제 3 프레임(134)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 5 풀리(132)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한편, 상기 제 5 구동축(125a), 제 6 구동축(126a)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된 제 4 풀리(129)와 상기 제 7 구동축(131a)이 연결된 제 5 풀리(132)는 동일한 구동 벨트로 연결되어 동일한 구동 모터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 5 구동축(125a), 제 6 구동축(126a) 상에 각각 구비된 제 2 이송 롤러(125), 제 3 이송 롤러(126)와 상기 제 7 구동축(131a) 상에 구비된 제 4 이송 롤러(131)는 동일한 구동 모터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와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의 동작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카드 압밀 부재(117)에 의해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에 밀착된 카드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의 동작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의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를 향하여 이송된다. 한편, 상기 제 2 프레임(121a)의 일측 정확히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가 구비된 위치의 전단부에 상응하는 부위에 제 3 카드 인식센서(127)가 구비된다(도 7 참조).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127)가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를 통해 이송된 카드를 인식하면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와 제 3 이송 롤러(126)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와 제 3 이송 롤러(126)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둘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게 되면 서로 맞물려 동작하게 되며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로부터 이송된 카드가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와 제 3 이송 롤러(126) 사이에 맞물려 이송된다(도 8c 참조).
한편,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와 제 3 이송 롤러(126)는 내부에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클러치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 제 5 구동축(125a)과 제 6 구동축(126a)의 회전시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와 제 3 이송 롤러(126)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는 카드 이송 방향인 정방향, 상기 제 3 이송 롤러(126)는 카드 이송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127)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카드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 구동 모터가 작동하게 되며, 상기 역방향에 상응하는 제 3 이송 롤러(126)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카드가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와 제 3 이송 롤러(126) 사이에 맞물려 이송된다.
상기 카드 적재 영역(130)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와 마찬가지로 특정 방향으로만 동작하는 클러치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 7 구동축(131a)의 회전에 의한 회전시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는 카드 진행 방향인 정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즉,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는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또한,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는 상기 제 3 이송 롤러(126)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제 2 프레임(121a)의 내측면의 일측 정확히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가 구비된 위치의 후단부에 상응하는 부위에 제 4 카드 인식센서(128)가 구비된다(도 7 참조). 구동 모터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 3 이송 롤러(126)가 동작하여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 사이에 카드가 맞물려 이동되어 상기 제 4 카드 인식센서(128)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구동 모터는 역방향 회전에서 정방향 회전으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 구동 모터가 정방향 회전으로 전환됨에 따라 정방향으로 동작하는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가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를 통과한 카드가 카드 적재 영역(130) 정확히는 상기 카드 적재 영역(130) 내의 카드 적재함(140)에 적재된다(도 8d 참조).
한편,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의 구동축 즉, 제 7 구동축(131a)의 중심은 상기 제 2 이송 롤러(125)와 제 3 이송 롤러(126)가 접촉하는 지점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125)(126)를 통과한 카드가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 상에 위치될 때 진행 방향의 카드 전면부는 후면부에 비해 상부로 들리게 되며, 상기 제 4 이송 롤러(131)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반대로 카드 후면부가 전면부에 비해 들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드 적재함(140)에 적재되는 카드는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적재된다.
상기 카드 적재함(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드 적재 영역(130)으로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 적재함(140)의 상단에는 적재 인식 센서(141)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소정량 이상의 카드가 적재되어 소정 높이 이상 쌓이게 되면 상기 적재 인식 센서(141)가 상기 높이 이상 적재된 카드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적재 인식 센서(141)의 센싱 신호는 후술하는 구동 제어부로 전달되어 해당 카드 적재함(140)으로의 카드 적재를 중지시키게 된다. 참고로, 상기 카드 적재 영역(130)의 하단에는 카드 적재 여부를 판단하는 센싱 스위치(1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 인식 센서(141)에 의한 센싱 신호는 구동 제어부에 전달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해당 센싱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의 동작 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122)의 제어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카드 인식센서(116)(123)(127)(128)로부터 카드 센싱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바탕으로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다수의 주입 롤러 및 이송 롤러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진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카드 회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카드 적재 영역을 복수개 구비시켜 카드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카드 적재 영역으로의 카드 적재시 카드 적재 영역 내의 이송 롤러에 대한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해당 이송 롤러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드 적재 영역 내에 구비되는 카드 적재함을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카드 회수기의 효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우측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좌측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제 1 내지 제 3 프레임을 제거한 사시도.
도 5는 카드 적재함을 장착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의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회수기를 이용한 카드 적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 카드 주입 영역 111 : 제 1 프레임
112a : 제 1 가이드 플레이트 112b : 제 2 가이드 플레이트
113 : 제 1 주입 롤러 113a : 제 1 구동축
114 : 제 2 주입 롤러 114a : 제 2 구동축
115 : 제 1 풀리 116 : 제 1 카드 인식센서
117 : 카드 압밀 부재 118 : 솔레노이드 스위치
120 : 카드 이송 영역 121a : 제 2 프레임
121 : 이송 플레이트 122 : 제 1 이송 롤러
122a : 제 3 구동축 122b : 제 4 구동축
123a : 제 2 카드 인식센서 123 : 제 2 풀리
124 : 제 3 풀리 125 : 제 2 이송 롤러
126 : 제 3 이송 롤러 125a : 제 5 구동축
126a : 제 6 구동축 127 : 제 3 카드 인식센서
128 : 제 4 카드 인식센서 129 : 제 4 풀리
130 : 카드 적재 영역 131 : 제 4 이송 롤러
131a : 제 7 구동축 132 : 제 5 풀리
133 : 센싱 스위치 134 : 제 3 프레임
140 : 카드 적재함 141 : 적재 인식 센서

Claims (15)

  1.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 영역과, 외부로부터 카드가 주입되는 카드 주입 영역과, 상기 카드 주입 영역으로부터 카드를 주입 받아 상기 카드 적재 영역으로 카드를 이송하는 카드 이송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카드 적재 영역은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의 두 곳에 구비되며,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카드 주입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카드를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카드 적재 영역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이송 롤러는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의 중앙 부위에의 카드 존재 여부를 인식하는 제 2 카드 인식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주입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카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수평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를 상기 카드 이송 영역으로 배출하는 주입 롤러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주입 롤러 사이에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1 카드 인식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주입 롤러는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에 의한 카드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롤러는 제 1 주입 롤러와 제 2 주입 롤러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 롤러는 대칭되는 형상을 갖으며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 영역에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의 카드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이송 롤러 상의 카드에 접촉하여 상기 카드와 제 1 이송 롤러의 밀착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카드 압밀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카드 이송 영역에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의 좌측 및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과,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의 전단부에 상기 제 1 이송 롤러로부터 이송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3 카드 인식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은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한 카드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는 대칭되는 형상을 갖으며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며, 동작되는 하나의 이송 롤러에 의해 다른 하나의 이송 롤러가 맞물려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의 내부에는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만 가능한 클러치 베어링이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 롤러는 정방향, 제 3 이송 롤러는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서만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송 영역은 상기 카드 주입 영역보다 수직선상으로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의 카드 적재 영역 각각에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으로부터 이송되는 카드를 카드 적재 영역 내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4 이송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이송 롤러의 중심은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가 접촉하는 지점보다 소정 거리만큼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2. 제 5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이송 롤러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쌍으로부터 이송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제 4 카드 인식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 4 이송 롤러는 상기 제 4 카드 인식센서에 의한 카드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이송 롤러의 내부에는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클러치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제 4 이송 롤러는 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서만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의 카드 적재 영역에는 각각 착탈 가능한 카드 적재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적재함의 상단에는 적재된 카드를 센싱하는 적재 인식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회수기.
KR20-2005-0023065U 2005-08-09 2005-08-09 카드 회수기 KR200399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65U KR200399824Y1 (ko) 2005-08-09 2005-08-09 카드 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65U KR200399824Y1 (ko) 2005-08-09 2005-08-09 카드 회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879A Division KR100778126B1 (ko) 2005-08-09 2005-08-09 카드 회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824Y1 true KR200399824Y1 (ko) 2005-10-28

Family

ID=4370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065U KR200399824Y1 (ko) 2005-08-09 2005-08-09 카드 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8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77B1 (ko) 2008-01-22 2010-06-14 (주)키트로닉스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KR100999062B1 (ko) 2008-11-18 2010-12-07 (주)키트로닉스 승강식 카드 회수기의 카드 회수방법
KR101448707B1 (ko) 2013-10-10 2014-10-08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77B1 (ko) 2008-01-22 2010-06-14 (주)키트로닉스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KR100999062B1 (ko) 2008-11-18 2010-12-07 (주)키트로닉스 승강식 카드 회수기의 카드 회수방법
KR101448707B1 (ko) 2013-10-10 2014-10-08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874C (zh) 纸币存取款装置
CN100475672C (zh) 堆积装置以及循环式纸币出入款机
CN101765849A (zh) 卡片处理装置
JP2006290564A (ja) 紙葉類処理装置
KR200399824Y1 (ko) 카드 회수기
KR100966675B1 (ko) 금융자동화기기
CN101465016B (zh) 一种现金交易机
KR200401525Y1 (ko) 카드 디스펜서
KR1010162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778126B1 (ko) 카드 회수기
KR200399821Y1 (ko) 카드 회수기
CN210271043U (zh) 一种验钞机磁头屏蔽罩翻转装置
KR100835902B1 (ko) 카드 디스펜서
KR100631491B1 (ko) 카드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카드 배출 방법
KR100966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420085Y1 (ko) 카드 디스펜서
KR20100063351A (ko) 카드 디스펜서
CN1151055C (zh) 纸页类积聚装置和纸页类处理装置
KR200202654Y1 (ko) 카드 디스펜서
KR100962477B1 (ko)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EP0211307A2 (en) Paper discharging device
KR101098620B1 (ko) 지폐 집적 장치
JP2800348B2 (ja) 紙幣収納装置
KR100999062B1 (ko) 승강식 카드 회수기의 카드 회수방법
JP2007041826A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