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924B1 -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924B1
KR102234924B1 KR1020190131472A KR20190131472A KR102234924B1 KR 102234924 B1 KR102234924 B1 KR 102234924B1 KR 1020190131472 A KR1020190131472 A KR 1020190131472A KR 20190131472 A KR20190131472 A KR 20190131472A KR 102234924 B1 KR102234924 B1 KR 102234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rds
unit
processing apparatu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주)키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키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9013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24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by pushers engaging the edg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65H2301/423245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the pile lying on a stationary support, i.e. the separator moving according to the decreasing height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65H2403/21Tim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2Spur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4Intern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52RFID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재된 카드를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최상단 카드를 원활하게 발행할 수 있으며 발행된 카드가 적재된 카드의 상부로 회수되어 재발행될 수 있도록 리사이클(recycle)이 가능하며, 턴테이블식 카드 보급기를 구비하고 있어 대용량의 카드를 발행 및 회수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처리장치는 카드가 적재된 복수의 카드 적재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카드 보급기와, 복수의 카드 적재부 중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 내부의 카드를 밀어올리는 카드 승강기와, 카드 승강기의 상단에 장착되며 카드 승강기에 의해 상부로 올려진 적재된 카드들 중 최상단 카드를 전방으로 밀어 내는 푸시부와, 푸시부에서 밀려 나온 1장의 카드를 전방에 위치한 카드 슬롯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이송하거나 카드 슬롯부로 인입된 회수 카드를 푸시부 쪽으로 이송하여 적재된 카드의 최상단에 위치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mass storage recycle card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카드를 발행 및 회수하는 카드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밀어올려진 카드들 중 최상단 카드를 원활하게 발행할 수 있으며 발행된 카드가 적재된 카드의 상부로 회수되어 재발행될 수 있도록 리사이클(recycle)이 가능하며, 턴테이블식 카드 보급기를 구비하고 있어 대용량의 카드를 발행 및 회수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정보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 있어서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의 예로는 공중 전화카드, 버스 카드, 주차 카드, 신용 카드 등을 들 수 있는데, 정보화 사회로의 진전에 따라 보다 다양한 카드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의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들은 소정의 발권 장치를 통해 발권될 수 있다. 통상의 발권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8707호(공고일 2014.10.08.)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통상적인 발권 장치는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카트리지(card cartridge),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독취하는 카드 리더(card reader) 및 카드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 등으로 구분되며, 카드 카트리지에 적재된 다수의 카드 중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를 롤러의 회전으로 카드 디스펜서 쪽으로 배출하면 카드 디스펜서에 장착된 롤러의 회전에 의해 카드 배출구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하는 카드가 카드 리더를 통과하면서 카드와 관련된 정보가 독취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카드 디스펜서를 통해 이동한 카드는 결국 배출구 밖으로 카드의 일부가 배출된 상태로 위치하며 사용자가 배출구 밖으로 일부 인출된 카드를 뽑아 카드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카드를 회수하는 회수기 또한 상용화되어 있다.
종래의 카드 회수기는 카드 주입부 및 카드 적재부를 포함하며, 카드 주입부를 통해 카드를 1매씩 주입받아 카드 이송부 또는 카드 이송 장치를 통하여 카드를 원하는 카드 적재부로 이송시켜 회수된 카드를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발행기 및 카드 회수기는 통상적으로 별도로 구성된다. 즉 카드 발행기에서 카드 1매씩 발행되면 사용자는 발행된 카드를 이용하고, 이용한 카드를 카드 회수기에 투입하면 카드 회수기에 사용된 카드가 적재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카드 발행기와 카드 회수기가 별도로 구성되는 이유는 적재부에서 발행되는 카드의 위치와 회수되는 카드의 적재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카드 발행기에서 배출되는 카드는 적재부에 적층된 카드 중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이지만, 카드 회수기로 회수된 카드는 적재된 카드의 최상단에 적재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부의 구조에 의해 카드 발행기와 카드 회수기를 함께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카드 발행기와 카드 회수기가 하나의 적재부를 공동으로 이용할 경우에, 구조적으로 투입구는 높고 배출구는 낮게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적재하는 카드의 매수가 많을 경우 배출구의 높이는 낮거나 상대적으로 투입부가 높게 위치하게 됨에 따라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관리자는 카드 발행기의 카드 적재량과 카드 회수기의 카드 적재량을 수시로 확인하고 카드 발행기에 적재된 카드 매수가 작을 경우에, 카드 회수기에 회수된 카드를 필요에 따라 리셋 과정 등을 거친 후에 카드 발행기의 적재부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앞서 설명한 카드 발행기 및 카드 회수기는 카드 적재부에 적재되는 카드의 수량이 작은 소형 카드 발행기 및 소형 카드 회수기에 대한 설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카드 발행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080호(공개일; 2009.11.26.)에 상세히 기술된 종래의 소형 카드 발행기는 카드가 적재되는 카드 적재함(10)이 위치하고, 카드 적재함(10)의 하단에는 카드 이송부(20)가 연결된다. 따라서 카드 적재함(10)에 적층된 카드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 1장을 카드 이송부(20)로 배출하고, 카드 이송부(20)로 배출된 카드는 카드 이송부(20)의 작동에 의해 카드 배출구(30)로 이송되어 카드가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 적재함(10)에는 적재된 카드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1장의 카드를 배출하기 위해 카드 적재함(10)의 바닥에 배출롤러(21)가 장착되며, 배출롤러(21)의 상면에 안착된 카드는 배출롤러(21)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하며 배출된다.
이때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와 배출롤러(21)의 사이에 적절한 마찰이 발생하도록 적재된 카드의 상부에는 중량물 등이 안착될 수 있다.
중량물이 적재된 카드의 상부에 안착됨에 따라 중량물의 하중과 적재된 카드의 하중에 의해 카드와 배출롤러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배출롤러의 회전에 의해 최하단의 카드가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발행기는 카드 적재함에 적재되는 카드의 장수가 대략 100장 내외의 소형 카드 발행기의 경우를 예로 설명한 것이다.
종래와 같은 소형 카드 발행기에 있어서, 적재하는 카드의 매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카드 적재함의 높이를 높여 적재된 카드의 매수를 증가시킬 경우, 최하단에 위치한 카드와 배출롤러 사이에 마찰은 적재된 카드의 하중에 의해 증가하고, 배출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배출롤러가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럴 경우 카드의 발행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카드 발행기는 소량의 카드만을 적재하고, 수시로 카드를 보충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의 카드 발행기의 경우 배출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이 큰 상태에서 배출롤러가 회전하면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여 배출롤러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롤러는 대부분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롤러의 마모 정도가 심해져 교체하여야 하며, 롤러가 경화될 경우에 마찰이 감소하여 카드의 배출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에는 카드에 유심(USIM) 등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카드가 개발되었으며, 롤러가 유심과 접한 상태로 회전할 경우 유심의 파손 및 탈락에 의한 접속 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080호(공개일; 2009.11.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8707호(공고일 2014.10.0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9563호 (공개일 2013.12.23.)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적재된 카드 중 최상단 카드를 푸시 방식으로 밀어 배출하므로 롤러에 의한 방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구성한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에 적재된 카드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카드를 발행하고, 회수된 카드를 적재된 카드의 최상단으로 진입시켜 적재함에 따라 회수된 카드를 재발행하여 리사이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한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행 중에 있는 카드의 판독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판독이 불가능할 시에 카드의 이동경로 외부로 오류 카드를 배출하여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오류 카드의 발행을 차단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형으로 배치된 카드 적재부를 회전시켜 카드를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한 턴테이블식 카드 보급방식을 구성함으로써, 카드를 다량 적재하여 공급할 수 있는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처리장치는 카드가 적재된 복수의 카드 적재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카드 보급기와, 복수의 카드 적재부 중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 내부의 카드를 밀어올리는 카드 승강기와, 카드 승강기의 상단에 장착되며 카드 승강기에 의해 상부로 올려진 적재된 카드들 중 최상단 카드를 전방으로 밀어 내는 푸시부와, 푸시부에서 밀려 나온 1장의 카드를 전방에 위치한 카드 슬롯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이송하거나 카드 슬롯부로 인입된 회수 카드를 푸시부 쪽으로 이송하여 적재된 카드의 최상단에 위치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보급기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며, 제1모터의 동력을 회전축에 전달하여 회전축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카드 적재부가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어느 한 카드 적재부가 카드 승강기와 마주하게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적재부는 적재되는 카드의 양측면과 마주하는 양측 브래킷을 포함하며, 양측 브래킷의 하단은 안쪽으로 절곡되어 양측 브래킷의 안쪽에 위치한 적재된 카드를 받쳐주며, 양측 브래킷의 후단은 안쪽으로 절곡되어 적재된 카드가 양측 브래킷의 후단으로 쏟아지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 브래킷의 전방에는 전방 브래킷이 고정되며, 전방 브래킷은 회전축을 향해 위치하도록 회전축 둘레에 카드 적재부들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제너바 기어의 원동차와 종동차가 장착되며, 원동차는 제1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종동차는 회전축이 연결되어 제1모터의 동력이 회전축으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에는 4개의 카드 적재부가 장착되며, 원동차의 반바퀴 회전에 종동차는 90도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에는 감지판이 고정되고, 감지판의 원주에는 90도 간격으로 감지홀들이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감지센서는 감지홀을 감지하여 카드 승강기와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를 인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모터의 축에는 평기어가 고정되고, 원동차에는 링기어가 장착되며, 평기어가 링기어의 내륜에 치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승강기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고정된 수직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상부 풀리와,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된 하부 풀리와, 상부 풀리와 하부 풀리에 결합되어 궤도 회전하는 벨트와, 벨트에 고정되어 벨트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부와, 상부 풀리와 하부 풀리 중 어느 한 풀리에 연결되어 연결된 풀리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며, 숭강부는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의 내부로 진입하여 내부에 적재된 카드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거나 하향으로 내린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부는,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의 양측 브래킷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승하면서 양측 브래킷의 사이로 진입하거나 아래로 하향 이동하는 리프트 플레이트와, 벨트를 감싸는 잠금 풀리와, 잠금 풀리와 결합된 래치 휠과, 래치 휠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레버에 의해 래치 휠이 잠금되면 잠금 풀리가 벨트에 고정되어 벨트의 궤도 회전에 따라 승강부가 상하방향을 이동 가능하며, 래치 휠이 잠금해제되면 잠금 풀리는 벨트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는 타이밍 벨트이며, 상부 풀리와 하부 풀리 및 잠금 풀리는 타이밍 풀리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프레임에는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에 적재된 카드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부는, 카드 승강기에 의해 밀어 올려진 적재된 카드들 중 최상단 카드와 접하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저면에 접한 최상단 카드를 이송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게 이송부를 향해 형성된 장공과, 장공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며 1장의 카드 두께와 같거나 작은 높이로 바닥면의 아래로 돌출된 후크를 포함하며, 후크는 최상단 카드 후방에 위치하며 후크의 전진에 의해 최상단 카드가 이송부로 밀려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는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랙의 저면에 형성되며, 랙의 상면에는 피니언이 치합되며 피니언은 제3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의 상면에는 장공의 양측으로 한 쌍의 레일이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되며, 한 쌍의 레일의 사이에 위치한 랙을 관통한 가이드 핀의 양단이 장홈에 각각 위치하여 랙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의 아래방향으로 카드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바닥면의 저면과 최상단 카드의 사이에 공간을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는, 푸시부에서 밀려 나온 1장의 카드를 카드 슬롯부로 이송하거나 카드 슬롯부에서 인입된 1장의 회수 카드를 푸시부 쪽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며,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한 쪽의 컨베이어벨트가 선회하여 카드를 아래로 떨어뜨릴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에는 푸시부에서 밀려나온 카드의 양측에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부는, 각 컨베이어벨트의 후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2개의 구동롤러들과, 각 컨베이어벨트의 선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2개의 아이들 롤러들과, 2개의 구동롤러를 구동시키는 제4모터와, 2개의 구동롤러가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 중 선회 가능한 선회 컨베이어벨트는, 1개의 아이들 롤러와 1개의 구동롤러에 의해 궤도 회전함에 있어 후단이 구동롤러의 축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선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선회 플레이트의 선단에 장착된 1개의 아이들 롤러의 축은 바닥면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해 선회 플레이트의 선회에 따라 장공을 따라 아이들 롤러가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회 플레이트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에는 편심축의 단부가 삽입되며, 편심축은 제5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회 컨베이어벨트의 아래에는 오류카드 수납부가 형성되며, 선회 컨베이어벨트가 선회하여 벌어지면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에 위치한 카드가 아래의 오류카드 수납부로 낙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는 RF리더기 또는 바코드리더기가 장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는 4개의 카드 적재부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턴테이블식 카드 보급기를 통해 카드를 발행함에 따라 1개의 카드 적재부를 구비한 종래의 카드 발생기에 비해 4배의 카드를 적재하여 발행할 수 있다. 또한 회수되는 카드를 재발생하는 리사이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사용자가 카드를 보급하여야 하는 주기를 대폭 감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는 카드 적재부에 적재된 카드들 중에서 최상단 카드를 발행하고, 회수된 카드를 카드 적재부에 적재된 카드의 최상단에 위치시킴으로써, 하나의 카드 적재부에서 카드의 발행 및 회수가 함께 구현할 수 있어 카드 처리장치의 부피를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는 적재된 카드 중 최상단 카드를 전후진 왕복운동하는 랙으로 밀어 공급함으로, 종래와 같이 롤러와의 마찰에 의해 카드를 공급하는 방식에 비해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행되는 카드의 오류를 인식하고 오류가 발생한 카드를 별도의 장소에서 수납하여 보관함에 따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는 리사이클 기능을 갖고 있어 종래와 같이 회수된 카드를 카드 발행기로 옮기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의 편리성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카드 발행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드 발행기에서 측면 브래킷을 제거한 상태의 카드 발행기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턴테이블식 카드 보급기의 동력전달관계를 나타낸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카드 승강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B는 카드 승강기의 수직 프레임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6C는 제2모터의 작동에 의해 승강부가 상하 이동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A은 카드 이송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푸시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이송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랙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카드 이송부의 카드 이송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은 오류 카드를 카드 이송부에서 하향으로 탈락시키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의 카드 발행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의 카드 회수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드 발행기에서 측면 브래킷을 제거한 상태의 카드 발행기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턴테이블식 카드 보급기의 동력전달관계를 나타낸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카드 승강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B는 카드 승강기의 수직 프레임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6C는 제2모터의 작동에 의해 승강부가 상하 이동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A은 카드 이송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푸시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이송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랙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카드 이송부의 카드 이송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은 오류 카드를 카드 이송부에서 하향으로 탈락시키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의 카드 발행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의 카드 회수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100)는 등각 방사형으로 배치된 각각의 카드 적재부(111)에 카드(1)들이 적재되고, 복수의 카드 적재부(111) 중에서 카드 이송부(140)와 대응하여 위치한 어느 한 카드 적재부에서 카드가 발행된다. 또한 사용된 카드가 카드 슬롯부(160)를 통해 회수되면 회수된 카드는 카드 이송부(140)를 통해 카드 이송부(140)와 대응하는 어느 한 카드 적재부에 회수되어 재사용되는 리사이클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카드가 카드 이송부(140)를 통해 이송되는 중에 카드의 오류가 인식되면 카드 이송부(140)에서 그 아래로 오류 카드를 탈락시켜 오류 카드가 발행되지 않게 구성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3)의 상면에 턴테이블식 카드 보급기(110)가 장착되며 턴테이블식 카드 보급기(110)와 대응하여 카드 승강기(120)가 장착된다.
그리고 카드 승강기(120)의 상단에는 카드 이송부(140)가 장착되며, 카드 이송부(140)의 끝단에는 카드 슬롯부(160)가 위치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3)의 상면에는 카드 보급기(110)를 작동시키는 제1모터(201)가 장착되는데, 베이스 플레이트(113)에 장착된 제1모터(201)의 축에는 제네바 기어의 원동차(115)가 연결된다.
카드 보급기(110)는 회전축(117)이 베이스 플레이트(113)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3)를 관통한 회전축(117)의 하단에는 제네바 기어의 종동차(116)가 고정된다.
그리고 카드 보급기(110)의 회전축(117)에는 90도의 간격으로 4개의 카드 적재부(111)가 고정된다. 여기에서 제네바 기어의 원동차(115)가 1회전함에 따라 회전축(117)이 180도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원동차(115)에는 180도 간격으로 2개의 핀(118P)이 고정되고, 종동차(116)에는 90도의 간격으로 4개의 핀홈(118H)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모터(201)의 작동에 의해 원동차(115)가 반바퀴인 180도 회전하면 카드 보급기(110)의 회전축(117)은 90도 회전하고, 회전축(117)에 고정된 4개의 카드 적재부(111) 또한 회전축(117)을 따라 90도씩 회전하게 되면서 4개의 카드 적재부(111)는 카드 승강기(120)와 대응하게 위치하며 카드 적재부(111)에 적재된 카드를 카드 승강기(120)에 의해 상부로 올려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113)에 고정된 제1모터(201)의 축에는 평기어(201S)가 고정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3)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동차(115)의 상면에는 링기어(115R)가 고정되며 제1모터(201)에 고정된 평기어(201S)가 원동차(115)에 고정된 링기어(115R)의 내륜에 치합되어 제1모터(201)의 동력에 의해 원동차(115)가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카드 적재부(111)는 마주하는 양측 브래킷(111S)과, 양측 브래킷(111S)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브래킷(111F)을 포함하며, 양측 브래킷(111S)의 후방 단면은 안쪽으로 절곡되어 양측 브래킷(111S)과 전방 브래킷(111F)의 안쪽에 형성된 공간에 적재된 카드들이 후방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양측 브래킷(111S)의 하단 또한 안쪽으로 절곡되어 적재된 카드(1)의 폭 양단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카드(1)의 폭 양단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카드 승강기(120)가 양측 브래킷(111S)의 사이를 통해 상부로 올라가면서 적재된 카드를 카드 이송부(140)까지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4개의 카드 적재부(111)는 회전축(117)을 중심으로 90도의 간격으로 장착되며, 회전축(117)을 따라 회전하면서 어느 한 카드 적재부는 카드 승강기(120)와 대응하고, 이 상태에서 카드 승강기(120)가 대응하는 카드 적재부(111)의 양측 브래킷(111S)의 사이로 진입하여 상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카드 적재부(111)에 적재된 카드들이 카드 이송부(140)가 위치한 상부로 이송된다. 도 5에서 회전축(117)의 하단에는 원판 구조의 감지판(119P)이 고정된다. 감지판(119P)의 원주에는 4개의 카드 적재부(111)의 위치와 각각 대향하는 감지홀(119H)들이 형성되며, 감지홀(119H)을 감지센서(119S)로 감지하여 카드 적재부(11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3)에 고정된 제2모터(202)는 카드 승강기(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모터(202)의 축에는 하부 풀리(121L)가 고정되고, 카드 승강기(120)의 상부에 상부 풀리(121H)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풀리(121H)와 하부 풀리(121L)를 타이밍벨트(122)로 연결하여 제2모터(202)의 동력에 의해 타이밍벨트(122)가 궤도 회전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타이밍벨트(122)의 한 쪽에 리프트 플레이트(131)가 고정된다. 따라서 리프트 플레이트(131)는 제2모터(202)의 작동 즉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타이밍벨트(122)를 따라 상부 풀리(121H)와 하부 풀리(121L)의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타이밍벨트(122)에는 잠금되거나 잠금 해제 가능한 승강부(130)에 장착되며, 리프트 플레이트(131)는 승강부(130)에 고정된 상태로 카드 적재부(111)를 향해 위치한다.
승강부(130)에는 타이밍벨트(122)에 치합된 잠금 풀리(13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잠금 풀리(132)에는 래치 휠(133)이 고정되고, 래치 휠(133)을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레버(134)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카드 승강기(120)의 케이스(120C)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134)를 회전시키면 래치 휠(133)의 잠금이 해제되어 잠금 풀리(132)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여 치합된 타이밍벨트(122)를 타고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낙하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레버(134)를 파지하고 있어 낙하 속도를 수동으로 늦추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적정한 위치에서 레버(134)를 놓으면, 레버(134)가 래치 휠(133)을 잠금하고, 잠금 풀리(132)의 회전이 정지하게 됨에 따라 치합된 타이밍 벨트(122)를 타고 낙하하지 않고 잠금 풀리(132)가 위치한 지점에 고정된다. 잠금 풀리(132)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2모터(202)의 구동에 의해 타이밍벨트(122)가 궤도 회전하면서 승강부(130)를 승하강시키며, 그에 따라 리프트 플레이트(131) 또한 카드 적재부(111)의 양측 브래킷(111S) 사이를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승강부(130)의 수직 프레임(135)에는 센서(137)들이 장착되어 리프트 플레이트(131)에 승하강되는 적재된 카드(1)의 수량을 확인하며, 센서(137)에서 측정한 카드의 장수와 설정한 카드(1)의 장수를 비교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카드 보급기(110)의 회전축(117)을 회전시켜 다른 카드 적재부(111)가 승강부(130)와 대응하도록 회전시키거나 경고신호를 발생하여 현 상태를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카드 승강기(130)가 카드(1)들이 들어올리면 최상단 카드는 카드 이송부(140)의 저면에 접하게 된다.
카드 이송부(14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최상단 카드(1)를 밀어내는 푸시부(141) 그리고 푸시부(141)에서 밀려 나온 카드를 카드 슬롯부(160)까지 이송하는 이송부(150)로 구분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부(141)는 적재된 카드들 중 최상단 카드(1)가 접하는 푸시부(141)의 바닥면(142)과, 바닥면(14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42H)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1장의 카드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높이의 후크(143H)가 바닥면(142)의 아래로 돌출된 랙(143)과, 바닥면(142)에 형성된 장공(142H)의 상면 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고정된 레일(146)과, 랙(143)의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양측 레일(146)에 형성된 장홈(146H)에 양단이 각각 삽입된 상태로 랙(143)이 장홈(146H)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핀(118P)과, 랙(143)의 상부에 위치하여 랙(143)과 치합하는 피니언(145)과, 피니언(145)과 연결되어 피니언(145)을 회전시키는 제3모터(20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시부(141)의 바닥면(142)에 형성된 장공(142H)은 카드 승강기(120)에 의해 밀려 올라온 카드(1)의 폭 중간에 카드(1)의 배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공(142H)에는 랙(143)이 위치하며 장공(142H)을 따라 이동하는데, 랙(143)의 저면에는 후크(143H)가 형성되며 후크(143H)는 바닥면(142)의 아래로 돌출되어 위치하되, 돌출된 후크(143H)의 높이는 1장의 카드의 두께와 같거나 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평상 시에 후크(143H)는 최상단 카드(1)의 후방에 위치한다. 즉 최상단 카드(1)가 푸시부(141)의 바닥면(142)에 접한 상태에서 후크(143H)는 카드(1)의 후단면 쪽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랙(143)이 장공(142H)을 따라 전진하면, 후크(143H)가 최상단 카드(1)의 후단과 접한 상태로 최상단에 위치한 카드(1)를 전방으로 밀어 배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재된 카드 중 최상단 카드(1)가 배출되면, 제2모터(202)가 작동하여 리프트 플레이트(131)를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리프트 플레이트(131)가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바닥면(142)과 최상단 카드(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데, 이는 회수된 카드가 카드 이송부(140)를 통해 카드 적재부(111)로 회수되었을 때에 적재된 카드의 최상단으로 유입되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푸시부(141)에서 전방으로 배출된 카드는 이송부(150)에 진입하여 컨베이어벨트(151)를 통해 카드 슬롯부(160)로 이송된다.
도 7A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50)는 푸시부(141)에서 전방으로 배출된 카드의 양측면을 감싸 카드 슬롯부(160)의 방향으로 카드를 이송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와, 각 컨베이어벨트(151)의 양단에 위치하여 컨베이어벨트(151)가 궤도 회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4개의 롤러(152A, 152B, 152C, 152D)와,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 중에서 후단에 위치한 2개의 롤러(152B, 152D)가 회전시키는 제4모터(204)와,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 중 어느 한 쪽의 컨베이어벨트의 끝단(카드 슬롯부 쪽의 끝단)에 위치한 롤러(152C)가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의 바깥방향으로 바닥면에 형성된 장공(142S)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롤러(152C)를 지지하는 선회 플레이트(157)와, 선회 플레이트(157)를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의 바깥방향으로 선회시키거나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가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선회 플레이트(157)를 선회시키는 제5모터(205)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송부(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부(141)의 후크(143H)에 밀려 전방으로 이동한 카드는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의 사이로 진입한다. 컨베이어벨트(151)는 카드의 양측면을 가압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51)가 궤도 회전함에 따라 카드가 전방인 카드 슬롯부(160)로 이동하고, 이동 중에 상부에 위치한 RF리더기(170)를 지나 카드 슬롯부(160)로 카드의 일부가 인출된다.
여기에서 컨베이어벨트(151)의 외주면에는 카드 두께의 홈(151H)이 형성되어 푸시부(141)에 의해 밀러 나온 카드가 양측 컨베이어벨트(151)의 홈(151H)에 끼워진다.
홈(151H)은 컨베이어벨트(151)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컨베이어벨트(151)가 카드(1)의 폭 만큼의 간격을 두고 위치함에 따라 푸시부(141)에서 밀러 나온 카드는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에 형성된 홈(151H)에 양측이 각각 끼워진다. 따라서 컨베이어벨트(151)의 홈(151H)에 끼워진 카드(1)는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컨베이어벨트(15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카드 슬롯부의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푸시부(141)가 위치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송부(150)의 바닥면(142) 상면에는 제4모터(204)가 장착되며, 이송부(150)의 바닥면(142)에는 컨베이어벨트(151)를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가 각 컨베이어벨트(151)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 중 한 쪽의 컨베이어벨트는 바닥면(142)에 장착된 롤러(152A, 152B)에 의해 정위치에서 회전하지만 다른 한 쪽의 컨베이어벨트(151)는 바닥면(14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롤러(152C)와 바닥면(142)에 형성된 장공(142S)을 따라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152D)에 의해 컨베이어벨트(151)의 단부가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구성된다.
선회 가능한 컨베이어벨트(이하 '선회 컨베이어벨트(151S)'라 함)에 의해 두 컨베이어벨트(151) 상호 간격이 벌어지면 컨베이어벨트(151)를 통해 이송되는 카드가 컨베이어벨트(151)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아래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RF리더기(170)는 선회 컨베이어벨트(151S)가 선회하여 카드가 아래방향으로 떨어질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며, RF리더기(170)에서 오류카드가 인식되면 선회 컨베이어벨트(151S)가 선회하여 오류카드를 이송부(150)의 아래에 위치한 오류카드 수납부(180)로 떨어뜨려 오류카드를 수납한다.
아래에서는 컨베이어벨트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7C,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50)의 바닥면 상부에는 제4모터(204)가 장착된다. 제4모터(204)에는 구동 풀리(153)가 고정되고, 구동 풀리(153)와 2개의 종동 풀리(154A, 154B)이 삼각 구조로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 풀리(153)와 2개의 종동 풀리(154A, 154B)가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종동 풀리(154A, 154B) 중 제1종동풀리(154A)는 바닥면(142) 저면에 위치한 롤러(152B)와 연결되어 제1종동풀리(154A)와 함께 롤러(152B) 또한 회전한다.
그리고 제2종동풀리(154B)에는 제1평기어(155A)가 고정되고, 제1평기어(155A)의 측부에는 바닥면(142) 저면에 위치한 롤러(152D)와 연결된 제2평기어(155B)가 제1평기어(155A)와 치합한다. 따라서 제4모터(204)의 구동에 의해 종동풀리(154A, 154B)들은 구동 풀리(153)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제2종동풀리(154B)에 연결된 롤러(152D)는 제1종동풀리(154A)에 연결된 롤러(152B)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종동풀리(154A, 154B)와 연결된 2개의 롤러(152B, 152D)에는 각각 컨베이어벨트(151)가 장착되며, 제1종동풀리(154A)에 연결된 롤러(152B)에 결합되는 컨베이어벨트(151)는 바닥면(142)의 선단에 고정된 아이들 롤러(152A)에 결합되어 두 롤러(152A, 152B) 사이에서 궤도 회전한다.
반면에 제2종동풀리(154B)와 롤러(152D)를 연결하는 축에는 선회 플레이트(157)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롤러(152D)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한편, 선회 플레이트(157)의 타단에는 롤러(152C) 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롤러(152C)의 축은 바닥면(142)에 형성된 장공(142S)을 관통해 바닥면(142)의 저면에 롤러(152C)가 위치한다.
따라서 선회 플레이트(157)가 회전하면 롤러(152C) 또한 선회 플레이트(157)를 따라 선회하고, 제2평기어(155B)에 연결된 롤러(152D)와 선회 플레이트(157)에 장착된 롤러(152C)를 연결하는 선회 컨베이어벨트(151S)가 제2평기어(155B)로 전달된 동력에 의해 궤도 회전하며, 더불어 선회 플레이트(157)의 선회에 따라 선회 컨베이어벨트(151S)의 선단인 바깥방향으로 이동하여 간격이 벌어지거나 안쪽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가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선회 플레이트(157)를 회전하기 위해서, 바닥면(142)의 상부에는 제5모터(205)가 장착된다.
그리고 선회 플레이트(157)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57H)이 형성되며, 제5모터(205)의 편심축(159)이 선회 플레이트(157)의 장공(157H)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5모터(205)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편심축(159)이 장공(157A)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선회 플레이트(157)가 제5모터(205)의 작동에 의해 선회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회 플레이트(157)의 선회함에 따라 선회 컨베이어벨트(151S)의 선단이 벌어져 컨베이어벨트(151)를 따라 이동하던 카드가 아래에 위치한 오류카드 수납부(180)로 적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4개의 카드 적재부(111)에 카드를 적재한 상태에서 제1모터(201)가 작동하여 4개의 카드 적재부(111) 중 어느 한 카드 적재부가 카드 승강기(120)와 대응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카드 적재부(111)의 위치관계는 감지판(119P)에 형성된 감지홀(119H)을 감지센서(119S)에서 위치를 확인하고 제1모터(201)의 회전을 제어한다.
어느 한 카드 적재부가 카드 승강기(120)와 대응하게 위치한 경우 제2모터(202)가 작동하면서 타이밍벨트(122)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타이밍벨트(122)에 고정된 승강부(130)가 상승하면서 카드 적재부(111)의 양측 브래킷(111S)의 사이로 진입하여 적재된 카드를 상향으로 밀어올린다. 적재된 카드(1)들이 승강부(130)에 의해 밀려 올라가면 최상단 카드(1)가 카드 이송부(140)의 바닥면(142)의 저면과 접하면서 바닥면(142)의 아래로 돌출된 카드 감지센서(149)를 누르고, 카드 감지센서(149)에서 발생한 신호에 의해 제2모터(202)는 정지하게 된다.
카드 감지센서(149)는 바닥면(142)의 저면과 최상단 카드(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로서, 바닥면(142)의 저면과 최상단 카드(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차후에 설명하는 회수된 카드가 최상단 카드(1)의 상면으로 진입하여 재발행될 수 있게 위치한다. 회수된 카드가 최상단 카드(1)의 상부에 위치한 경우 카드 감지센서(149)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2모터(202)를 작동시키며 승강부(130)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바닥면(142)의 저면과 회수된 카드(최상단 카드)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유지하며, 이 상태에서 카드 발행이 이루어질 경우 제2모터(202)가 승강부(130)를 상승시켜 최상단 카드(1)가 바닥면(142)의 저면에 접하면 랙(143)이 전진하여 후크(143H)에 걸린 최상단 카드(1)를 이송부(150)로 밀어낸다.
이와 같이 최상단 카드(1)가 카드 이송부(140)의 바닥면(142)과 접함에 있어서, 최상단 카드(1)의 후방에 위치한 후크(143H)가 제3모터(203)의 작동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제3모터(203)에는 피니언(145)이 고정되고, 회전하는 피니언(145)에 치합된 랙(143)이 회전하면서 전진하면서 최상단 카드(1)를 카드 이송부(140)로 밀어낸다.
후크(143H)에 의해 밀려 전방으로 이동하면 카드는 카드 이송부(140)에 장착된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의 홈(151H)에 카드의 측부가 끼워진 상태가 되며, 제4모터(204)가 작동하면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가 제4모터(204)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카드를 카드 슬롯부(160) 방향으로 이동한다.
카드가 컨베이어벨트(151)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상부에 위치한 RF리더기(170)의 아래에 위치하면 제4모터(204)는 정지하고 RF리더기(170)와 카드(1)에 내장된 RF안테나에 유도전류가 형성되어 RF칩과 RF리더기(170)의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져 정보를 상호 교환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RF리더기(170)의 아래에 위치한 카드(1)에 정보가 저장되고, 이후 제4모터(204)가 작동하게 됨에 따라 카드(1)는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에 의해 카드 슬롯부(160) 밖으로 일부가 진출하게 된다.
한편, 카드가 RF리더기(170)의 아래에 위치하였을 때에 카드에 정보가 상호 교환되어야 하는데,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카드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5모터(205)를 작동시킨다.
제5모터(205)가 작동하면 선회 컨베이어벨트(151S)에 연결된 선회 플레이트(157)가 제5모터(205)의 편심축(159)에 의해 바깥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선회 컨베이어벨트(151S)가 측방향으로 선회하여 RF리더기(170)의 아래에 위치한 카드(1)가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아래로 떨어진 카드는 오류카드 수납부(18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오류카드 수납부(180)에 카드가 떨어져 저장된 경우 카드 적재부(111)의 최상단 카드가 앞서 설명한 순서에 따라 발행된다.
이와 같이 1장의 카드가 카드 슬롯부(160)를 통해 발행되면, 제2모터(202)가 작동하여 승강부(130)를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최상단 카드(1)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바닥면(142)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대기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카드 발생이 이루어질 경우, 승강부(130)가 승강하여 최상단 카드(1)를 발행하고,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된 카드(1)가 회수될 경우 회수된 카드가 바닥면(142)과 최상단 카드(1)의 사이로 진입하여 최상단 카드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최상단 카드는 바닥면(142)에 장착된 카드 감지센서(149)에 의해 감지된다.
아래에서는 카드 회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한 카드를 사용자가 카드 슬롯부(160)에 인입시키면, 삽입된 카드의 양측부는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151)의 홈(151H)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하고, 제4모터(204)의 작동에 의해 카드는 컨베이어벨트(151)를 따라 사이에 카드 적재부(111)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카드가 RF리더기(170)의 아래에 위치할 경우, 제4모터(204)를 정지시켜 카드(1)와 RF리더기(170)의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고 저장한다. 이후 제4모터(204)를 작동하여 카드를 카드 적재부(111)로 이송한다.
이송된 카드는 바닥면(142)과 최상단 카드(1)의 사이로 진입하여 최상단 카드(1)의 상면에 안착되며, 카드 1장이 카드 적재부(111)로 인입된 경우 인입된 카드가 바닥면(142)에 장착된 카드 감지센서(149)에 의해 감지될 경우 승강부(130)를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부(130)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카드 감지센서(149)에서 카드를 감지하지 못하면, 제2모터(202)는 정지한다.
한편, 적재된 카드를 모두 발행한 카드 적재부(111)의 경우, 카드 감지센서(149)에 의해 카드가 모두 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부(130)를 하향 이동시켜 카드 적재부(111)의 아래에 위치시키고, 제1모터(201)를 작동한다. 제1모터(201)가 작동하면 제네바 기어의 원동차(115)와 종동차(116)가 연동하면서 회전축(117)이 회전하고, 회전축(117)의 회전에 의해 다른 카드 적재부가 카드 승강기(130)와 대응하게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승강부(130)가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카드 적재부(111)에 적재된 카드를 밀어올려 카드 발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100)는 4개의 카드 적재부(111)에 카드를 다량 보관한 상태에서 카드를 발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시로 카드를 보급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한 카드를 회수하여 재발행하는 리사이클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이 또한 사용자가 수시로 카드를 보급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는 후크를 이용하여 카드를 발생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롤러를 이용하여 카드를 발생하는 것에 비해 신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카드 처리장치(100)에 있어서 카드 이송부(140)에는 카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되며, 각 센서에서 카드를 감지함에 따라 제3모터(203) 내지 제5모터(205)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진행된다. 센서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카드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RF리더기(170)를 바코드리더기로 대신하여 카드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정보를 획득 처리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카드는 통상적인 두께 1mm미만의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 뿐만 아니라, 커버가 씌워진 상태의 카드를 포함한 것으로 카드의 두께 및 카드의 면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100 : 카드 처리장치
110 : 카드 보급기
111 : 카드 적재부
111S : 양측 브래킷
111F : 전방 브래킷
113 : 베이스 플레이트
201 : 제1모터
201S : 평기어
115 : 원동차
115R : 링기어
118P : 핀
117 : 회전축
116 : 종동차
118H : 핀홈
119P : 감지판
119H : 감지홀
119S : 감지센서
120 : 카드 승강기
120C : 케이스
202 : 제2모터
121H : 상부 풀리
121L : 하부풀리
122 : 타이밍벨트
130 : 승강부
131 : 리프트 플레이트
132 : 잠금 풀리
133 : 래치 휠
134 : 레버
135 : 수직 프레임
137 : 센서
140 : 카드 이송부
141 : 푸시부
142 : 바닥면
142H : 장공
142S : 장공
143 : 랙
143H : 후크
143P : 가이드 핀
145 : 피니언
146 : 레일
146H : 장홈
149 : 카드 감지센서
203 : 제3모터
150 : 이송부
151 : 컨베이어벨트
152 : 홈
151S : 선회 컨베이어벨트
152A ~ 152D : 롤러
157 : 선회 플레이트
157A : 장공
159 : 편심축
204 : 제4모터
205 : 제5모터
153 : 구동풀리
154A : 제1종동풀리
154B : 제2종동풀리
155A : 제1평기어
155B : 제2평기어
160 : 카드 슬롯부
170 : RF리더기
180 : 오류카드 수납부

Claims (23)

  1. 카드가 적재된 복수의 카드 적재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카드 보급기와,
    복수의 카드 적재부 중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 내부의 카드를 밀어올리는 카드 승강기와,
    카드 승강기의 상단에 장착되며 카드 승강기에 의해 상부로 올려진 적재된 카드들 중 최상단 카드를 전방으로 밀어 내는 푸시부와,
    푸시부에서 밀려 나온 1장의 카드를 전방에 위치한 카드 슬롯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이송하거나 카드 슬롯부로 인입된 회수 카드를 푸시부 쪽으로 이송하여 적재된 카드의 최상단에 위치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카드 승강기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고정된 수직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상부 풀리와,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된 하부 풀리와,
    상부 풀리와 하부 풀리에 결합되어 궤도 회전하는 벨트와,
    벨트에 고정되어 벨트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부와,
    상부 풀리와 하부 풀리 중 어느 한 풀리에 연결되어 연결된 풀리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며,
    숭강부는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의 내부로 진입하여 내부에 적재된 카드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거나 하향으로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카드 보급기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며,
    제1모터의 동력을 회전축에 전달하여 회전축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카드 적재부가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어느 한 카드 적재부가 카드 승강기와 마주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카드 적재부는 적재되는 카드의 양측면과 마주하는 양측 브래킷을 포함하며,
    양측 브래킷의 하단은 안쪽으로 절곡되어 양측 브래킷의 안쪽에 위치한 적재된 카드를 받쳐주며, 양측 브래킷의 후단은 안쪽으로 절곡되어 적재된 카드가 양측 브래킷의 후단으로 쏟아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양측 브래킷의 전방에는 전방 브래킷이 고정되며, 전방 브래킷은 회전축을 향해 위치하도록 회전축 둘레에 카드 적재부들이 등각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제너바 기어의 원동차와 종동차가 장착되며, 원동차는 제1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종동차는 회전축이 연결되어 제1모터의 동력이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회전축에는 4개의 카드 적재부가 장착되며, 원동차의 반바퀴 회전에 종동차는 9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회전축에는 감지판이 고정되고, 감지판의 원주에는 90도 간격으로 감지홀들이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감지센서는 감지홀을 감지하여 카드 승강기와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제1모터의 축에는 평기어가 고정되고, 원동차에는 링기어가 장착되며, 평기어가 링기어의 내륜에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승강부는,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의 양측 브래킷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승하면서 양측 브래킷의 사이로 진입하거나 아래로 하향 이동하는 리프트 플레이트와,
    벨트를 감싸는 잠금 풀리와,
    잠금 풀리와 결합된 래치 휠과,
    래치 휠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레버에 의해 래치 휠이 잠금되면 잠금 풀리가 벨트에 고정되어 벨트의 궤도 회전에 따라 승강부가 상하방향을 이동 가능하며, 래치 휠이 잠금해제되면 잠금 풀리는 벨트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벨트는 타이밍 벨트이며, 상부 풀리와 하부 풀리 및 잠금 풀리는 타이밍 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에는 마주하는 카드 적재부에 적재된 카드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푸시부는,
    카드 승강기에 의해 밀어 올려진 적재된 카드들 중 최상단 카드와 접하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저면에 접한 최상단 카드를 이송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게 이송부를 향해 형성된 장공과,
    장공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며 1장의 카드 두께와 같거나 작은 높이로 바닥면의 아래로 돌출된 후크를 포함하며,
    후크는 최상단 카드 후방에 위치하며 후크의 전진에 의해 최상단 카드가 이송부로 밀려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후크는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랙의 저면에 형성되며, 랙의 상면에는 피니언이 치합되며 피니언은 제3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바닥면의 상면에는 장공의 양측으로 한 쌍의 레일이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되며, 한 쌍의 레일의 사이에 위치한 랙을 관통한 가이드 핀의 양단이 장홈에 각각 위치하여 랙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면의 아래방향으로 카드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바닥면의 저면과 최상단 카드의 사이에 공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이송부는,
    푸시부에서 밀려 나온 1장의 카드를 카드 슬롯부로 이송하거나 카드 슬롯부에서 인입된 1장의 회수 카드를 푸시부 쪽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며,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한 쪽의 컨베이어벨트가 선회하여 카드를 아래로 떨어뜨릴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에는 푸시부에서 밀려나온 카드의 양측에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푸시부는,
    각 컨베이어벨트의 후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2개의 구동롤러들과,
    각 컨베이어벨트의 선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2개의 아이들 롤러들과,
    2개의 구동롤러를 구동시키는 제4모터와,
    2개의 구동롤러가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 중 선회 가능한 선회 컨베이어벨트는,
    1개의 아이들 롤러와 1개의 구동롤러에 의해 궤도 회전함에 있어 후단이 구동롤러의 축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선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선회 플레이트의 선단에 장착된 1개의 아이들 롤러의 축은 바닥면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해 선회 플레이트의 선회에 따라 장공을 따라 아이들 롤러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선회 플레이트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에는 편심축의 단부가 삽입되며, 편심축은 제5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선회 컨베이어벨트의 아래에는 오류카드 수납부가 형성되며,
    선회 컨베이어벨트가 선회하여 벌어지면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에 위치한 카드가 아래의 오류카드 수납부로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는 RF리더기 또는 바코드리더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장치.
KR1020190131472A 2019-10-22 2019-10-22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72A KR102234924B1 (ko) 2019-10-22 2019-10-22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72A KR102234924B1 (ko) 2019-10-22 2019-10-22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924B1 true KR102234924B1 (ko) 2021-04-05

Family

ID=7546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472A KR102234924B1 (ko) 2019-10-22 2019-10-22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9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611B1 (ko) * 2008-09-19 2009-05-15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KR20090012080U (ko)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복수개의 카드 적재함을 구비한 카드 발행장치
WO2013114611A1 (ja) * 2012-02-03 2013-08-08 富士通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収納装置及び搬送装置
KR20130139563A (ko) 2012-06-13 2013-12-23 (주)키트로닉스 카드 회수기
KR101448707B1 (ko) 2013-10-10 2014-10-08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KR101828827B1 (ko) * 2016-12-09 2018-02-13 문병철 카드 인출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080U (ko)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복수개의 카드 적재함을 구비한 카드 발행장치
KR100897611B1 (ko) * 2008-09-19 2009-05-15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WO2013114611A1 (ja) * 2012-02-03 2013-08-08 富士通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収納装置及び搬送装置
KR20130139563A (ko) 2012-06-13 2013-12-23 (주)키트로닉스 카드 회수기
KR101448707B1 (ko) 2013-10-10 2014-10-08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KR101828827B1 (ko) * 2016-12-09 2018-02-13 문병철 카드 인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611B1 (ko)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JP3832176B2 (ja) カード発行装置
KR102234924B1 (ko) 대용량 리사이클 카드 처리장치
JPWO2009069765A1 (ja) 片道券icカード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そのための共通券箱、券売機および改札機
CN101655999B (zh) 用于自动取款机的大额出钞装置
CN1166444A (zh) 游乐场的纸币处理系统
KR101342898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JP6051060B2 (ja) 紙幣取扱装置
KR102234923B1 (ko)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CN100562888C (zh) 记录媒体处理装置
JPH0928915A (ja) 物品投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物品投出機
KR102234922B1 (ko)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2234921B1 (ko) 카드 처리장치
CN211294069U (zh) 证件保管设备
JP2008079758A (ja) 景品払出機
JP3027245B2 (ja) 紙幣両替システム
KR100897384B1 (ko)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
JPH1196440A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JP3664949B2 (ja) 硬貨処理機
KR100954480B1 (ko) 티켓 발매 처리장치
JPH1196441A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JP3705845B2 (ja) 物品投出機における物品の一時保留装置
JP3664948B2 (ja) 硬貨処理機
JPH0938328A (ja) 物品投出装置
KR100610173B1 (ko)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경화 입출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