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173B1 -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경화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경화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173B1
KR100610173B1 KR1020000053912A KR20000053912A KR100610173B1 KR 100610173 B1 KR100610173 B1 KR 100610173B1 KR 1020000053912 A KR1020000053912 A KR 1020000053912A KR 20000053912 A KR20000053912 A KR 20000053912A KR 100610173 B1 KR100610173 B1 KR 10061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oin
hardening
ope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937A (ko
Inventor
하따히데까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with change-giv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2Change t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래쪽에 설치된 경화 방출구로부터 위쪽의 위치까지 경화를 리프트 업하는 기능을 경화 입출금기에 부가할 수 있는 경화 리프트 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는 외벽에 경화 방출구를 갖는 경화 입출금기에 접속된다.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는, 경화 입출금기의 외벽에 부착시킬 수 있고, 측면에 측면 개구부(38)가 설치된 하우징(30)과, 하우징(30) 내에 설치되고, 경화 입출금기의 경화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경화를 수취하기 위한 버킷(32)과, 버킷(32)이 경화 방출구로부터 측면 개구부(38)를 통하여 방출된 경화를 수취하기 위한 아래쪽 수취 위치와 버킷(32)으로부터 경화의 인출을 행하기 위한 위쪽 지급장치와의 사이에서 버킷(32)을 반송하는 반송수단에 의해 구성된다.
경화 리프트 업 장치, 경화 입출금기

Description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경화 입출금기{COIN LIFT UP SYSTEM AND COIN RECEIVING AND PAYING UNIT}
도 1은 경화(硬貨) 입출금기의 외벽에 접속된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를 나타낸 부분단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의 하우징(housing)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 4는 버킷(bucket)의 대기(待機)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버킷 및 그것을 지지하는 반송대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버킷 및 그것을 지지하는 반송대의 측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반송대에 지지된 버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버킷 회전수단의 상세한 사시도.
도 9는 버킷을 회전시키는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버킷의 융기부(隆起部)가 회전 롤러에 접촉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버킷을 회전시키는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버킷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버킷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승할 때의 버킷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3에 나타낸 개폐문의 개폐기구의 상측 부분의 확대상세도.
도 13은 도 3에 나타낸 개폐문의 개폐기구의 로크(lock)부재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화(硬貨) 입출금기 14 : 외벽(外壁)
24 : 경화 방출구 26 : 받이 접시
28 : 경화 리프트 업 장치 30 : 하우징(housing)
32 : 버킷(bucket) 34 : 측면 개구부
50 : 모터 52 : 벨트
본 발명은 경화 방출구를 갖는 경화 입출금기에 접속하기 위한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이러한 경화 리프트 업 장치를 구비한 경화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나 자동현금인출예금기 등에는 경화의 입금이나 지급을 행하기 위한 경화 입출금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경화의 진위 판정을 행하여, 진화(眞貨)로 판정된 경화의 종류를 선별하고, 선별된 경화를 종류별로 수납하여, 요구되는 금액의 경화의 지급을 행한다. 또한, 특히 자동현금인출예금기에 사용되는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는, 기계의 신뢰성의 문제를 위해, 경화를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렸을 때, 지급구에 잔류된 경화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화 입출금기를 구비한 자동판매기나 자동현금인출예금기는, 그의 내부에 수용되는 현금(경화)을 노려 파괴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견고하고 두꺼운 외벽을 갖는 금고형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화 입출금기에서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비용을 저감시키기 위해, 중력을 이용하여 경화를 반송하는 유형의 것이 많고, 이러한 유형의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는, 경화 방출구, 즉, 지급구가 아래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경화를 수취할 때에는 상반신을 앞으로 굽혀야만 하기 때문에, 정상인은 물론, 특히, 노인이나 신체가 부자유스러운 사람에게는 불편한 것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경화 입출금기가 갖는 이러한 결점을 해소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제2822636호 공보, 일본 특개평10-31770호 공보, 일본 실개평5-2277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특허 제2822636호 공보는, 경화 슈트(chute)와, 이 경화 슈트에 의해 안내되는 경화를 수취하여 위쪽에 위치하는 경화 반환구까지 리프트 업하는 경화 리프트 업부를 갖는 경화 반송 리프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화 반송 리프터에 있어서는 반송 벨트를 이용하여 경화를 리프트 업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10-31770호 공보는, 경화 반입 위치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그의 경화 반입 위치로부터 낙하시킨 경화를 수용하는 경화 호퍼(hopper)와, 그 경 화 호퍼 내의 경화를 요구량만큼 계수(計數)하여 경화 도출(導出) 위치로부터 도출하는 계수수단과, 그 요구량만큼의 경화를 수용하여 위쪽의 경화 받이 접시까지 반송하여 지급하는 버킷을 구비하는 경화 지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실개평5-2277호 공보는, 경화 거래구로부터 경화의 투입 및 인출을 할 수 있는 승강가능한 승강 버킷과, 승강 버킷의 승강 궤도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 승강 버킷의 요동에 의해 방출되는 저장 경화를 일괄적으로 받아들이는 동시에, 경화를 경화 분류통로에 차례로 보내거나 버킷에 경화를 일괄적으로 방출하는 경화 방출장치와, 경화 수납부로부터 투출(投出)된 경화를 버킷에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경화 거래구로부터의 경화의 투입, 인출의 거래 위치, 버킷으로부터 경화를 경화 방출장치 내에 방출하는 일괄방출 위치, 경화 방출장치의 경화의 수취 위치, 출금 경화의 출금 수취 위치에 버킷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 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경화 입출금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장치 또는 기계는 각각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갖고 있다.
특허 제2822636호 공보에 기재된 경화 반송 리프터는 반송 벨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괄적인 리프트 업이 불가능하며, 경화 막힘이 발생하기 쉬운 결점을 갖는다. 또한, 경화를 지급구(방출구)에 방출하는 기능만을 갖고, 지급구(방출구)에 방출된 경화를 회수할 수 없다.
일본 특개평10-31770호 공보에 기재된 경화 지급장치는, 버킷을 이용하여 반송한 경화를 받이 접시에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림 으로써 받이 접시에 잔류된 경화를 회수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림으로써 받이 접시가 가득 차게 되어 연속 운용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2개의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는, 모두 지급구 또는 받이 접시에 경화의 잔류가 발생한다. 그러나, 특히 자동현금인출예금기에 있어서는, 경화가 받이 접시에 잔류될 경우, 다음 이용자가 정규의 수취액보다도 많은 금액의 경화를 수취하게 되어, 장치 또는 기계에 대한 이용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받이 접시에 있어서의 경화의 잔류는 회피되어야만 한다.
한편, 일본국 실개평5-2277호 공보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화의 회수가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으나, 경화 방출장치 등의 경화 입출금기와 경화 리프트 업 장치가 일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 방출구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기존의 경화 입출금기에 리프트 업 기능을 부가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경화 입출금기는, 현금을 보호하기 위해 견고하며 두꺼운 벽을 갖는 금고형 하우징에 둘러싸인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일본 실개평5-2277호 공보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서는, 경화 리프트 업 장치가 경화 입출금기와 함께 금고형 하우징에 수용되기 때문에, 경화 막힘 등과 같이 경화 리프트 업 장치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금고형 하우징의 문을 개방해야만 하기 때문에, 방범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여, 경화 방출구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기존의 경화 입출금기에 변경을 행하지 않고, 아래쪽의 경화 방출구로부터 위쪽의 위치까지 경화를 리프트 업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경화 수취 시에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 지급구에 잔류된 경화를 회수할 수 있게 하는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이러한 경화 리프트 업 장치를 구비한 경화 입출금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벽에 경화 방출구를 갖는 경화 입출금기에 접속하기 위한 경화 리프트 업 장치로서,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상기 외벽에 부착시킬 수 있고, 측면에 측면 개구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경화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경화를 수취하기 위한 버킷과, 상기 버킷이 상기 경화 방출구로부터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된 경화를 수취하기 위한 아래쪽 수취 위치와 상기 버킷으로부터 경화의 인출을 행하기 위한 위쪽 지급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버킷을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 리프트 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위쪽 지급 위치와 상기 아래쪽 수취 위치와의 사이에 회수상자를 더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위쪽 지급 위치에 개폐문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문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버킷의 이동경로 내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버킷이 상기 이동경로 내를 상승할 때, 상기 버킷이 상기 다리부에 맞닿아 상기 다리부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문을 개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底面)에 저면 개구부가 더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벽에 경화 방출구를 갖고, 상기 경화 방출구의 아래쪽에 받이 접시가 배치된 본체와, 경화 리프트 업 장치를 구비한 경화 입출금기로서, 상기 경화 리프트 업 장치가 상기 본체의 상기 외벽에 부착되고, 상기 경화 방출구에 인접하도록 측면 개구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경화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경화를 수취하기 위한 버킷과, 상기 버킷이 상기 경화 방출구로부터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된 경화를 수취하기 위한 아래쪽 수취 위치와 상기 버킷으로부터 경화의 인출을 행하기 위한 위쪽 지급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버킷을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저면 개구부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상기 경화 방출구로부터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된 경화가 상기 버킷이 아래쪽 수취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버킷에서 수취되며, 상기 버킷이 아래쪽 수취 위치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받이 접시에서 수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킷은 그것을 지지하는 것, 예를 들어, 반송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는 경화 방출구가 설치된 경화 입출금기의 외벽에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경화 입출금기에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화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경화를 버킷에서 수취하여, 경화 입출금기의 조작면의 위치 등의 위쪽 지급 위치까지 경화를 리프트 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는, 경화 방출구가 아래쪽에 설치된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경화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화의 인출은 버킷으로부터 직접 행하기 때문에, 만일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렸을 경우에도, 버킷 내에 잔류된 경화는 리프트 업 장치 내에 회수할 수 있고, 잔류된 경화가 다음 이용자에 대한 출금액에 영향을 주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이 위쪽 지급 위치와 아래쪽 수취 위치와의 사이에 회수상자를 구비할 경우, 버킷에 잔류된 경화를 회수상자에 회수할 수 있고, 나중에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린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버킷이 가득 차게 되는 것과 같이 잔류된 경화가 다음 이용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위쪽 지급 위치에 개폐문을 가짐으로써, 이용자가 버킷으로의 불필요한 액세스를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센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위쪽 지급 위치에 있을 때에만 버킷으로의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의 저면에 저면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버킷이 아래쪽 수취 위치보다 위쪽의 위치에 있을 때는, 경화는 버킷에 수취되지 않고 저면 개구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에 방출되고, 경화 입출금기에 원래 설치되며 아래쪽 수취 위치의 아래쪽에 위치한 받이 접시에 수용된다. 따라서, 위조 경화 등과 같이 받아들여서는 안되는 경화를 경화 입출금기의 투입구로부터 투입한 후, 즉시 받이 접시에 반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방출 장소를 구별하여, 지급되는 경화와 반환되는 경화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이러한 경화 리프트 업 장치를 구비한 경화 입출금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의 경화 입출금기는 경화를 취급하는 자동판매기, 은행의 유인점포 또는 무인점포나 편의점 등에 설치되고, 지폐와 함께 경화를 취급하는 자동현금인출예금기(ATM), 현금지급장치(CD), 이용자에게 거스름돈 등으로 경화를 되돌려줄 필요가 있는 그 밖의 장치 등을 포함하며,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외벽에 경화 방출구를 갖는 경화 입출금기에 접속된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를 나타낸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경화 입출금기(10)는 자동현금인출예금기(ATM)이며, 경화 및 지폐를 포함한 현금의 입금처리 및 출금처리를 행하기 위한 경화 처리장치(12) 및 지폐 처리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화 처리장치(12) 및 지폐 처리장치는 입금된 경화 및 지폐를 분류하여 그의 내부에 수납하고 있다. 따라서, 그 경화 및 지폐를 보호하기 위해, 경화 처리장치(12) 및 지폐 처리장치는 견고하며 두꺼운 외벽(금고형 하우징)(1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경화 처리장치(12)는 투입구(16)로부터 투입된 경화를 감정(鑑定) 및 분류하는 감별부(18)와, 감별부(18)에 의해 분류된 경화를 종류별로 나누어 수용하는 수용부(20)를 그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투입구(16)로부터 투입된 경화 중에서 변형된 경화나 위조 경화 등과 같이 감별불가능한 경화는 경화 처리장치(12)의 하부 에 설치된 슈트(22)를 거쳐 경화 입출금기(10)의 외벽(14)에 설치된 경화 방출구(24)로부터 방출된다.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경화는 경화 방출구(24)의 아래쪽에 설치된 받이 접시(26)에 의해 수취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는 경화 입출금기(10)의 외벽(14)에 부착되는 하우징(30)을 구비하고 있고, 그의 내부에 도 1에 나타낸 경화 입출금기(10)의 경화 방출구(24)로부터 방출된 경화를 받기 위한 버킷(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설명을 위해, 대표적인 위치에 있어서의 버킷(32)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에 있어서는, 경화를 반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버킷(32)이 사용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가 막히는 일이 방지되어, 경화의 일괄적인 반송이 가능하다. 버킷(32)은 내부에 수용된 경화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0)은 세로로 길고 큰 직육면체 형상 부분(34)의 측면에 작은 직육면체 형상 부분(36)이 부가된 형상이다.
경화 입출금기(10)의 외벽(14)에 당면한 하우징 측면에는, 경화 입출금기(10)의 경화 방출구(24)로부터 방출된 경화가 하우징(30)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경화 방출구(24)에 인접하는 위치에 측면 개구부(38)가 설치되어 있다. 경화 입출금기(10)의 경화 방출구(24)로부터 방출된 경화를 경화 리 프트 업 장치(28)의 하우징(30) 내부로 확실하게 유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경화 방출구(24)로부터 하우징(30)의 측면 개구부(38)를 통하여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의 하우징(30) 내부로 뻗은 경사판(40)이 설치된다.
경화 방출구(24)로부터 측면 개구부(38)를 통하여 하우징(30)의 내부에 방출된 경화는, 하우징(30)에 설치된 측면 개구부(38)의 아래쪽 위치, 즉, 아래쪽 수취 위치에 있는 버킷(32)에 의해 수취된다.
하우징(30)의 상면에는 상면 개구부(42)가 더 설치되어 있고, 이 상면 개구부(42)를 덮는 개폐문(44)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개폐문(44)은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통상적으로는 폐쇄되어 있어, 하우징(30)의 외부로부터 하우징(30)의 내부로의 액세스를 방지한다. 버킷(32)이 하우징(30)의 최상부에 위치할 때에만 개폐문(44)은 개방되어, 상면 개구부(42)를 통하여 버킷(32)으로부터 경화의 인출을 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하우징(30)의 최상부는 버킷(32)으로부터 경화의 인출을 행하기 위한 위쪽 지급 위치로 된다.
하우징(30)의 저면에는 저면 개구부(46)가 더 설치되어 있다. 버킷(32)은 대기 중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측면 개구부(38)의 위쪽의 대기 위치에서 정지되고 있다. 따라서, 버킷(32)이 대기 위치에 있을 때, 경화 입출금기(10)의 경화 방출구(24)로부터 방출된 경화는, 하우징(30)의 내부로는 유도되지만 버킷(32)에 들어가지는 않고, 저면 개구부(46)를 통하여 하우징(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경화 입출금기(10)의 경화 방출구(24)로부터 방출된 경화는, 경화 입출금기(10)의 외벽(14)에 부착된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 의 하우징(30)의 저면 개구부(46)로부터 배츨되고, 경화 입출금기(10)의 외벽(14)에 설치된 받이 접시(26)에 의해 수취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감별불가능한 경화 등과 같이 경화 입출금기(10)의 투입구(16)로부터 투입된 것 중의 거절된 경화가 버킷(32)에 수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경화 입출금기(10)로부터 새롭게 지급된 경화를 버킷(32)에 넣어 이용자에게 전달하고, 투입구(16)로부터 투입된 것 중의 반환되는 경화를 받이 접시(26)에 배출하여 이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양자의 경화를 구별하여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개폐문(44)은 버킷(32)이 위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개폐문(44)이 개방되도록 한 개폐기구를 갖고 있다. 개폐기구는 버킷(32)이 위쪽 지급 위치에 있을 때에만 개폐문(44)을 개방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기능을 갖는다. 이 개폐기구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버킷(32)은 상세하게는 반송대(4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반송대(48)가 반송수단에 의해 도면에 있어서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반송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수단으로서 모터(50)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52)가 사용되고 있고, 벨트(52)의 일부에 반송대(48)가 고정되며, 벨트(52)의 이동에 따라 반송대(48) 및 그것에 지지된 버킷(32)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버킷(32)의 상하방향(수직방향)의 위치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하기 위해, 스텝 모터 등과 같이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한 모터(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52)는 하우징(30)의 내부의 뒷면 측(경화 입출금기 측)에 배치된다. 또한, 모터(50)는 하우징(30) 의 작은 직육면체 형상 부분에 수용된다.
반송수단으로서 상기 모터(50) 및 벨트(52)의 조합 이외에,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송대(48)에는 안내 롤러(54)가 더 부착되어 있고, 이 안내 롤러(54)가 하우징(30)의 측벽을 따라 상하로 뻗은 한쌍의 안내 레일(56)에 결합되며, 반송대(48)가 안내 레일(56)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에 있어서는, 생략하여, 안내 레일(56)의 일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안내 레일(56)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의 둥근막대이다. 또한, 안내 롤러(54)는 그의 외주면이 안내 레일(56)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우묵해져 있고, 안내 롤러(54)가 용이하게 안내 레일(56)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는, 하우징(30)의 측면 개구부(38)의 아래쪽의 아래쪽 수취 위치와 하우징(30)의 최상부의 위쪽 지급 위치와의 사이에서, 반송수단에 의해 안내 레일(56)을 따라 반송대(48) 및 그것에 지지된 버킷(32)을 반송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의 하우징(30)은 위쪽 지급 위치와 아래쪽 수취 위치와의 사이의 회수 위치에 회수상자(58)를 더 구비한다. 이 회수상자(58)는 하우징(30)의 작은 직육면체 형상 부분(36)에 수용되어 있고, 위쪽 수취 위치에서 이용자가 버킷(32)으로부터 경화를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렸을 때, 버킷(32) 내에 잔류된 경화를 회수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버킷(32)이 위쪽 지급 위치로부터 아래쪽 수위 위치로 향할 때만, 회수 위치에서 버킷(32)이 회전되어, 버킷(32) 내에 잔류되어 있는 물체(주로 경화이지만, 다른 것이 투입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를 회수상자(58)로 이동시켜, 회수한다. 따라서, 버킷(32)이 아래쪽 수취 위치에 있을 때는 버킷(32)은 항상 비어 있고, 경화 입출금기(10)의 경화 방출구(24)로부터 방출된 경화가 버킷(32) 내에 잔류되어 있던 물체와 혼합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의 각 부분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버킷(32) 및 그것을 지지하는 반송대(48)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반송대(48)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반송대(48)에 지지되는 버킷(32)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반송대(48)는 바닥판(60)과, 바닥판(60)의 한쪽 단부의 양측부로부터 대향하여 위쪽으로 뻗은 한쌍의 버킷 지지판(62)과, 바닥판(60)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뻗은 안내 롤러 지지판(64)과, 안내 롤러 지지판(64)과 근접하여 설치되며, 바닥판(60)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여 뻗은 벨트 고정판(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향하여 뻗은 버킷 지지판(62)의 선단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버킷(32) 표면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뻗은 축봉(軸棒)이 상기 구멍에 결합되며, 버킷 지지판(62)의 사이에 버킷(3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버킷(32)이 회전된 후, 도 5에 나타낸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하기 위해, 버킷(32)에는 리턴(return) 스프링(70)이 부착되며, 리턴 스프링(70)의 한쪽 단부 는, 예를 들어, 반송대(48)의 바닥판(60)에 고정된다.
버킷(32)의 입구 부분의 엣지는, 적어도 도 7에 있어서의 왼쪽 부분(입구 부분의 엣지부에 있어서, 양 축봉을 통하여 뻗은 버킷(32)의 회전축선(72)으로부터 가장 멀리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돌출된 입술형상 부분(74)을 구비하고 있고, 버킷(32)의 정지 시(비회전 시)에는, 이 입술형상 부분(74)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롤러 지지판(64)의 상단부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기부(76)가 버킷(32)의 표면에 설치되고, 버킷(32)의 상측 부분의 축봉(68)으로부터 버킷(32)의 바닥부로 향하여 경사방향으로 뻗어 있다. 융기부(76)는 경사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뻗은 후, 수직방향으로 위쪽으로 더 뻗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안내 롤러 지지판(64)에는 안내 롤러(54)가 부착된다.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왼쪽에 상하로 정렬하여 배치된 2개의 안내 롤러(54a)와, 횡방향으로 이간(離間)하여 배치된 1개의 안내 롤러(54b)가 하우징(54)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뻗은 2개의 안내 레일(56a, 56b)과 각각 결합되고, 반송대(48)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고 있다.
벨트 고정판(66)에 벨트(52)를 고정시킬 때에는, 보조판(78)을 사용하여 보조판(78)과 벨트 고정판(66)과의 사이에 벨트(52)를 끼우고, 벨트 고정판(66)과 보조판(78)을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벨트(52)를 벨트 고정판(66)에 접합시킬 수도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수 위치의 하우징(30)의 측벽의 내측에는 도 8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은 버킷 회전수단(80)이 부착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버킷 회전수단(80)은 지지부분(82)과, 그곳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선단부에 회전 롤러(86)가 부착된 접촉부분(84)과, 지지부분(82)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뻗어 굴곡부(90)를 구비한 탈주(escape) 부분(8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탈주 부분(88)의 굴곡부(90)는 회전 롤러(86)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된다.
버킷 회전수단(80)이 하우징(30)에 부착되었을 때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91)에 의해 힘이 가해져, 접촉부분(84)의 회전 롤러(86)는 하우징(30) 내를 상하방향으로 뻗은 버킷(32) 및 그의 반송대(48)의 이동경로 내에 돌출되어, 버킷(32)의 융기부(76)의 경사방향으로 뻗은 부분과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탈주 부분(88)도 굴곡부(90)를 정점으로 하여 버킷(32) 및 그의 반송대(48)의 이동경로 내에 돌출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기 버킷 회전수단(80)이 버킷(32)의 융기부(76)와 함께 작용함으로써 달성되는 버킷(32)의 동작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버킷(32)이 위쪽 지급 위치로부터 하강할 때는, 최초로 버킷(32)의 융기부(76)의 경사방향으로 뻗은 부분이 버킷(32)의 이동경로 내에 돌출된 버킷 회전수단(80)의 회전 롤러(86)에 접촉한다. 버킷(32)이 더 아래쪽으로 이동할 경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32)이 회전되어, 버킷(32)에 수용된 물체가 회수 위치(버킷이 회전되는 위치)에 설치된 회수상자(58)에 회수된다. 버킷(32)이 더 아래쪽으로 이동할 경우, 융기부(76)는 회전 롤러(86)와 접촉하지 않게 되고, 리턴 스프링(70)의 작용에 의해, 버킷(32)은 입구 부분이 위쪽으로 향한 초기 상태(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버킷의 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버킷(32)이 아래쪽 수취 위치로부터 상승할 때는, 최초로 버킷(32)의 입구 부분의 엣지가 도 8에 나타낸 버킷 회전수단(80)의 탈주 부분(88)에 접촉한다. 버킷(32)이 더 상승할 경우, 버킷(32)의 입구 부분의 엣지가 탈주 부분(88)을 버킷(32)의 이동경로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고, 지지부분(82)을 통하여 접촉부분(84)도 버킷(32)의 이동경로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시킨다. 버킷(32)이 더 상승할 경우, 탈주 부분(88)이 버킷(32)의 표면형상을 따라 버킷(32)의 이동경로 내로 되돌아가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 회전수단(80)의 회전 롤러(86)가 버킷(32)의 표면의 융기부(76) 위쪽으로 뻗은 부분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회전 롤러(86)가 버킷(32)을 회전시키는 힘을 버킷(32)의 융기부(76)에 작용시키지는 않는다.
여기서, 버킷(32)의 표면에 설치된 융기부(76)는, 그의 경사방향으로 뻗은 부분의 선단부가 회전 롤러(86)의 중심을 지나가는 수직선 상에서 실질적으로 종단(終端)되어 있고, 융기부(76)의 위쪽으로 뻗은 부분은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선을 따라 뻗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버킷(32)은 아래쪽 수취 위치로부터 위쪽 지급 위치로 상승할 때에는 회전되지 않는 반면, 위쪽 지급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하강할 때에는 회수상자(58)가 설치된 위치, 즉, 회수 위치에서 버킷(32)이 버킷 회전수단(80)에 의해 회전되어 버킷(32) 내에 잔류되어 있는 물체를 회수상자(58)로 이동시키고, 버킷(32) 내에 잔류된 물체(주로 경화)가 아래쪽 수취 위치까지 잔류되는 것을 방 지한다. 즉, 만일 앞의 이용자가 버킷(32) 내의 경화를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렸을지라도, 버킷(32) 내에 잔류된 경화가 다음 사용까지 버킷(32) 내에 잔류되어 있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이용자가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린 것을 알아차렸을 경우에는,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화를 회수상자(58)로부터 인출하여 전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특별히 다른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개폐문(44)의 개폐기구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2는 도 3에 나타낸 개폐문(44)의 개폐기구의 상측 부분의 확대상세도이고, 설명을 위해 벨트(52)나 안내 레일(56) 등이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13은 도 3에 나타낸 개폐문(44)의 개폐기구의 로크부재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개폐기구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문(44)의 다리부로서 기능하는 대략 L자 형상을 한 부재(이하, L자형상 부재라고 칭한다)(92)와 로크부재(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L자형상 부재(92)의 한쪽 단부에는 L자형상 부재(92)를 아래쪽으로 밀어붙이는 리턴 스프링(96)이 접속되어 있고, L자형상 부재(92)의 다른쪽 단부에는 위쪽으로 향하여 개구된 대략 원호(圓弧) 형상의 홈(9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L자형상 부재(92)의 수직방향으로 뻗은 부분의 상단부에는 버킷(32)의 이동경로에 돌출되는 돌출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문(44)은 상면 개구부(42)에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개폐문(44)은 버킷(32)의 이동경로 내에 돌출되어 있으며, L 자형상 부재(92)의 대략 원호 형상의 홈(98)과 결합되는 홈 결합부를 회전축선 부근에 구비하고 있다.
로크부재(94)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형상 부재(92)의 수직방향으로 뻗은 부분과 평행하게 뻗은 본체 부분(104)과, 본체 부분(104)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L자형상 부재(92)를 넘어 버킷(32)의 이동경로에 돌출되는 캠 부분(106)과, L자형상 부재(92)에 형성된 구멍(110)과 결합되는 로크부분(1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크부재(94)는 하우징(3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로크부분(108)이 L자형상 부재(92)의 구멍(110)과 결합되도록 리턴 스프링(112)에 의해 힘이 부가되고 있다. 따라서, 통상, 로크부재(94)는 L자형상 부재(92)와 결합되어 있고, L자형상 부재(92)가 하우징(30)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개폐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버킷(32) 및 반송대(48)가 위쪽 지급 위치에 접근할 때, 최초로 버킷(32)의 표면 또는 반송대(48)의 측면이 로크부재(94)의 캠 부분(106)에 접촉하여 로크부재(94)를 L자형상 부재(92)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회전)시키고, 로크부재(94)의 로크부분(108)이 L자형상 부재(92)의 구멍(110)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것에 의해, L자형상 부재(92)는 하우징(3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반송대(48)의 안내 롤러 지지판(64) 또는 버킷(32)의 상단부가 L자형상 부재(92)의 돌출부(100)와 맞닿고, 반송대(48)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L 자형상 부재(92)가 위쪽으로 이동한다(도 12를 참조). 그리하면, 개폐문(44)의 홈 결합부(102)가 L자형상 부재(92)의 단부에 형성된 원호 형상 홈(98)을 따라 이동하고, 그 결과, 개폐문(44)이 개방된다.
버킷(32)이 위쪽 지급 위치로부터 하강할 경우, L자형상 부재(92)의 단부에 결합된 리턴 스프링(96)의 작용에 의해, L자형상 부재(92)가 하강한다. 따라서, 개폐문(44)의 홈 결합부(102)도 하강하고, 개폐문(44)이 폐쇄된다. 또한, L자형상 부재(92)가 하강함으로써, 리턴 스프링(112)에 의해 힘이 가해진 로크부재(94)의 로크부분(108)과 L자형상 부재(92)의 구멍(110)이 다시 결합되고, L자형상 부재(92)가 로크된다. 따라서, 버킷(32)이 위쪽 지급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을 때에 개폐문(44)이 개방되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버킷(32)을 회전시키는 기구 및 개폐문(44)을 개폐하는 기구의 실시형태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센서 및 별도의 모터 등을 설치하여,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개폐문(44)을 개폐하거나, 회수 위치에서 버킷(32)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버킷(3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센서를 복수 개 설치하고, 버킷(32)이 아래쪽 수취 위치 이외에 있을 때에, 경화 입출금기(10)의 투입구(16)에 설치한 셔터를 폐쇄하여 투입을 규제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경화 입출금기(10)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기구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의 광선이 버킷(32)을 통과할 수 있 도록, 버킷(32) 표면의 바닥부 부근에 대향하는 관통구멍(114)을 형성하고, 위쪽 지급 위치에 설치된 광학 센서에 의해 버킷(32) 내의 잔류 경화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쪽 지급 위치에 있어서의 잔류 경화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을 경우, 경보를 울려 잔류를 예방하거나, 잔류의 발생 횟수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경화 입출금기(10)의 일종인 자동현금인출예금기에 접속된 경화 리프트 업 장치(28)를 예로 든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를 설명했으나, 이 실시형태는 오로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제약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쪽 부분에 경화 방출구를 갖는 종래의 경화 입출금기의 외벽에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경화의 지급 위치를 위쪽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용자에 의한 경화의 수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 리프트 업 장치는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구성요소가 적고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으며,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Claims (7)

  1. 외벽에 경화(硬貨) 방출구를 갖는 경화 입출금기에 접속하기 위한 경화 리프트 업 장치로서,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상기 외벽에 부착시킬 수 있고, 측면에 측면 개구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경화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경화를 수취하기 위한 버킷과,
    상기 버킷이 상기 경화 방출구로부터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된 경화를 수취하기 위한 아래쪽 수취 위치와 상기 버킷으로부터 경화의 인출을 행하기 위한 위쪽 지급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버킷을 반송하는 반송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리프트 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위쪽 지급 위치와 상기 아래쪽 수취 위치와의 사이에 회수상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리프트 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위쪽 지급 위치에 개폐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리프트 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버킷의 이동경로 내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버킷이 상기 이동경로 내를 상승할 때, 상기 버킷이 상기 다리부에 맞닿아 상기 다리부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리프트 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저면 개구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리프트 업 장치.
  6. 외벽에 경화 방출구를 갖고, 상기 경화 방출구의 아래쪽에 받이 접시가 배치된 본체와, 경화 리프트 업 장치를 구비한 경화 입출금기로서,
    상기 경화 리프트 업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기 외벽에 부착되고, 상기 경화 방출구에 인접하도록 측면 개구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경화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경화를 수취하기 위한 버킷과,
    상기 버킷이 상기 경화 방출구로부터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된 경화를 수취하기 위한 아래쪽 수취 위치와 상기 버킷으로부터 경화의 인출을 행하기 위한 위쪽 지급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버킷을 반송하는 반송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저면 개구부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상기 경화 방출구로부터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하여 방출된 경화가 상기 버킷이 아래쪽 수취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버킷에서 수취되며, 상기 버킷이 아래쪽 수취 위치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받이 접시에서 수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KR1020000053912A 2000-02-17 2000-09-14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경화 입출금기 KR100610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198 2000-02-17
JP2000039198A JP3929221B2 (ja) 2000-02-17 2000-02-17 硬貨リフトアップ装置及び硬貨入出金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937A KR20010081937A (ko) 2001-08-29
KR100610173B1 true KR100610173B1 (ko) 2006-08-09

Family

ID=1856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912A KR100610173B1 (ko) 2000-02-17 2000-09-14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경화 입출금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29221B2 (ko)
KR (1) KR100610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3989B (zh) * 2014-01-03 2016-06-1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硬币处理装置及方法
CN107301741A (zh) * 2017-08-15 2017-10-27 河南玩美互动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游戏币升降传输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77U (ja) * 1991-06-19 1993-01-14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JPH08243249A (ja) * 1995-03-10 1996-09-24 Amtex:Kk 定量硬貨自動補給装置
JPH1031770A (ja) * 1996-07-17 1998-02-03 Ikegami Tsushinki Co Ltd 硬貨払出装置
JPH1063908A (ja) * 1996-08-27 1998-03-06 Sanyo Electric Co Ltd 硬貨リフトアップ装置の硬貨リフトアップ方式
KR20000008007A (ko) * 1998-07-09 2000-02-07 이순 승강식 포장주화 인출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77U (ja) * 1991-06-19 1993-01-14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JPH08243249A (ja) * 1995-03-10 1996-09-24 Amtex:Kk 定量硬貨自動補給装置
JPH1031770A (ja) * 1996-07-17 1998-02-03 Ikegami Tsushinki Co Ltd 硬貨払出装置
JPH1063908A (ja) * 1996-08-27 1998-03-06 Sanyo Electric Co Ltd 硬貨リフトアップ装置の硬貨リフトアップ方式
KR20000008007A (ko) * 1998-07-09 2000-02-07 이순 승강식 포장주화 인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937A (ko) 2001-08-29
JP2001229432A (ja) 2001-08-24
JP3929221B2 (ja)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5728B1 (en) Money item dispensing apparatus
KR100796217B1 (ko) 지폐수납기구
WO2006070606A1 (ja) 硬貨入出金機
JPH0749977A (ja) ディスペンサに支払いとして投入される物品を分類及び貯蔵する装置
CN1941001B (zh) 硬币入款机
US4381445A (en) Cash dispenser with reject dump means
KR100610173B1 (ko) 경화 리프트 업 장치 및 경화 입출금기
JPH0928915A (ja) 物品投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物品投出機
JP3664949B2 (ja) 硬貨処理機
JP3664948B2 (ja) 硬貨処理機
JP4145521B2 (ja) 硬貨処理機
JP4034067B2 (ja) 硬貨処理機
JPH0928916A (ja) 物品投出機における物品の一時保留装置
JP3877938B2 (ja) 硬貨処理機
JPH0938328A (ja) 物品投出装置
JP3164317B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KR102117091B1 (ko) 무인 현금 수납기
JP3214841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3299412B2 (ja) 硬貨入出金筒装置
JP3664370B2 (ja) リフト駆動機構
JP3490199B2 (ja) 紙幣出金機
JP2589242Y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JP2001351147A (ja) 硬貨処理機
JP3754620B2 (ja) 紙葉取扱装置
JP3086681B2 (ja) 硬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