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761A - 박스류 발급기 - Google Patents

박스류 발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761A
KR20170080761A KR1020150189503A KR20150189503A KR20170080761A KR 20170080761 A KR20170080761 A KR 20170080761A KR 1020150189503 A KR1020150189503 A KR 1020150189503A KR 20150189503 A KR20150189503 A KR 20150189503A KR 20170080761 A KR20170080761 A KR 20170080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loading
carrier
unit
box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원
민승기
이상영
정윤석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0761A/ko
Priority to CN201621367615.9U priority patent/CN206331455U/zh
Publication of KR2017008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4Card magazines, e.g. pocket, h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되며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박스류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이 수용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적재부, 상기 캐리어가 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이동대, 및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박스류가 놓이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박스류 발급기에 관한 것으로, 박스류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송부로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스류 발급기{Dispenser for boxes and the like}
본 발명은 박스류의 개수가 확대되어 구비되는 박스류 발급기에 관한 것으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박스류를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박스류 발급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정보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서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 적용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들은 소정의 발권 장치를 통해 발권되는데, 발권 장치는 통상, 카드를 인식, 처리하는 카드 리더(card reader)와 카드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 등의 구성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카드 디스펜서는 세부적으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부을 구비하고 이송 롤러와 같은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1매씩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종래의 카드 발행장치는 하나의 적재부을 구비하여 티켓 또는 카드를 발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카드 발행장치 이외에도 최근에는 은행 등에서 온라인 뱅킹의 보안 키(KEY)가 저장된 USB와 같은 메모리 저장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박스류를 발급하는 발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박스류 발급기는, 박스류가 적재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적재부의 전방에 배치된 이송부로 배출되고, 이송부로 배출된 박스류는 박스류 발급기의 전면에 형성되는 셔터를 통해 발급기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이송된다. 그리고 발급기 전방으로 노출된 박스류는 고객에 의해 수취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박스류 발급기에서 구비될 수 있는 박스류의 개수는 적재부 내의 허용 공간에 따라 제한된다. 그로 인해 관리자는 박스류를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보충에 따른 시간 지연으로 고객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다.
다만, 박스류 발급기 내부에서 적재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적재부의 크기가 확장되도록 하고, 이로써 적재부 내 구비될 수 있는 박스류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급기 내부의 적재부 배치 공간에 좌우 방향으로 공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이 공간을 활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박스류의 층들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적재부의 구조를 확장하고, 이로써 적재부에 더 많은 박스류를 적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박스류 발급기는 적재부로부터 이송부로 박스류가 배출될 때 이송부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적재부의 구조를 상기와 같이 마련했을 때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박스류의 층들로부터 이송부의 위치로 어떻게 박스류를 전달할 것인지에 관한 구조적인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1-0011303호(2011. 12. 7, '무인 금융카드 발급장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09-0012080호(2009. 11. 26, '복수개의 카드 적재부을 구비한 카드 발행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부 내에 구비될 수 있는 박스류 개수를 늘릴 수 있는 박스류 발급기를 제공하되, 적재부로부터 이송부로 박스류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박스류 발급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는, 내부에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되며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박스류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이 수용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적재부, 상기 캐리어가 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이동대, 및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박스류가 놓이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다수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상기 적재함은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상기 캐리어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형성된 랙 기어(rack gear)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랙 기어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대 상측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면에 놓인 박스류가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전달 위치로 전달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박스류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부가 배치되는 발급기 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적재부가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적재함을 포함함으로써, 적재부 내에 구비될 수 있는 박스류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아울러, 적재부가 필요에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적재함 내 박스류를 이송부 상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점을 얻기 위한 적재부 자체의 구조, 그리고 적재부의 횡 방향 이동에 필요한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은 큰 상승없이 전술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류 발급기의 정면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적재부의 횡 방향 이동을 위한 구조를 알 수 있는 요부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박스류 발급기의 평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류 발급기의 정면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적재부의 횡 방향 이동을 위한 구조를 알 수 있는 요부 개략도,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박스류 발급기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박스류 발급기(1)는 적재부(100), 이동대(200), 및 이송부(300)를 포함한다.
적재부(100)는, 내부에 다수의 박스류(10)가 층을 이루며 보관되며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15,125)를 통해 박스류(10)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함(110,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어느 하나의 적재함(110)에 관하여 그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를 제시하고 있다. 적재함(110)은 내부에 전후방향(도 1을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서는 일례로서 3개의 카트리지(111,112,113)를 포함하는 적재함(110)을 제시한다. 이들 카트리지(111,112,113)는 적재함(110)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3개의 카트리지(111,112,113)의 내부에는 다수의 박스류(10)가 층을 이루며 보관된다. 여기서 박스류(10)는 온라인 뱅킹의 보안 키(KEY)가 저장된 USB가 내장된 박스류(10)일 수 있고, 또는 보안이 필요한 정보가 기록된 카드가 내장된 박스류(10)일 수도 있으며, 그 외 다른 종류의, 고객에게 전달되기 위한 물건이 내장된 박스류(10)일 수 있다.
적재함(110) 내에 배치된 박스류(10)는 적재함(11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15)를 통해 적재함(110)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박스류(10)가 배출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트리지(111,112,113)의 하측에 컨베이어 벨트식의 벨트부(1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벨트부(130)의 상면에 배치된 박스류(10)는 벨트부(130)의 작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벨트부(130)의 작동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3개의 카트리지(111,112,113) 중 최전방에 배치된 제1 카트리지(111)의 내부에 적층된 박스류(10)는, 벨트부(130)의 작동에 따라 적재함(11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15)를 통해 적재함(11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111)의 후방에 차례대로 배치되는 제2 카트리지(112) 및 제3 카트리지(113)의 내부에 적층된 박스류(10)도, 제1 카트리지(111)와 제2 카트리지(112)의 사이에 형성된 통과부(116), 제2 카트리지(112)와 제3 카트리지(113) 사이에 형성된 통과부(117)를 통해 현재의 카트리지 내에서 전방 측에 위치한 카트리지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111)의 박스류(10)가 모두 배출되면, 제2 카트리지(112)의 박스류(10)가 통과부(116)를 거쳐 제1 카트리지(111) 내로 이동된 후 벨트부(130)의 작동에 따라 배출구(115)를 통해 적재함(11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카트리지(112)의 박스류(10)가 모두 배출된 경우 제3 카트리지(113)의 박스류(10)가 2개의 통과부(117,116)를 차례대로 거친 후 배출구(115)를 통해 적재함(11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발급기(1) 내부에서 적재부(100)가 배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수의 적재함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적재부(100) 내에 구비되는 박스류(10)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다수의 카트리지가 내장된 박스 형태의 적재함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보았을 때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일례에서는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적재함(110,120)을 포함하는 적재부(100)를 제시하고 있다.
적재함이 도 2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적재함(110)과 제2 적재함(120)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서, 그리고 후술할 이송부(300)가 제1 적재함(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제1 적재함(110)의 박스류(10)는 이송부(300)가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벨트부(130)의 작동에 따라 배출구(115)를 통해 배출된 직후에 이송부(30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그러나, 제2 적재함(120)에 배치된 박스류(10)는 배출구(125)를 통해 배출되더라도 이송부(300)의 상면에 놓일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1)는 제1 적재함(110) 내의 박스류(10)가 모두 배출되는 등 제2 적재함(120)의 박스류(10)가 이송부(300) 상으로 배출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 때에, 제2 적재함(120)의 박스류(10)가 배출구(125)를 통해 이송부(300)의 상면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적재함(120)이 이송부(300) 쪽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실현하고자, 적재부(100)는 전술한 적재함(110,120)이 수용되는 캐리어(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캐리어(150)는 후술할 이동대(200)의 상측에서 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 캐리어(150)는 적재함(110,12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또한 이들 적재함(110,120)이 일체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캐리어(150)에 수용된 다수의 적재함(110,120)은 캐리어(150)의 횡 방향 이동에 따라 캐리어(150)와 함께 횡 방향으로 이동된다.
캐리어(150)는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로서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일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격벽(151)이 형성되어 격벽(151)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양쪽 공간으로 전술한 적재함(110,120)이 수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캐리어(150)는 적재함(110,120)을 수용한 상태에서 적재함(110,12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15,12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방된 영역(152; 도 1 및 도 4 참조)을 갖는다. 이 개방된 영역(1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캐리어(150)의 측벽이 배출구(115,125)에 이르지 않는 높이까지만 형성됨으로써 배출구(115,125)의 전방을 폐쇄하지 않는 영역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캐리어(150)는 이동대(200)의 상측에서 배치된다. 그리고 캐리어(150)는 횡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이동대(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동대(200)는 캐리어(150)가 이동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박스류 발급기(1) 내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캐리어(150)와 이동대(200)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과 이 일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일측면이 서로 접촉되는 구조로써,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이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구조로써, 캐리어(150)가 이동대(200)의 상측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동대(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이 가이드 돌기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등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1)는 이동대(200)의 상측에서 이와 같이 배치된 캐리어(150)가 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캐리어(150)의 횡 방향 이동을 위한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기어(rack gear, 153)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 210)를 포함하는 구조가 제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50)의 하면에는 랙 기어(153)가 형성될 수 있다. 랙 기어(153)는 그 길이 방향이 캐리어(150)의 이동 방향, 즉 횡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동대(200)에는 이동대(200)의 하면을 관통하는 피니언 기어(2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피니언 기어(210)는 랙 기어(153)와 결합되며, 예컨대 모터부(22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0)의 회전에 따라 랙 기어(153)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며, 랙 기어(153)의 이동에 따라 캐리어(150)가 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터부(220)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 적재함(110) 내의 박스류(10)가 모두 배출된 경우 등, 제2 적재함(120)이 이송부(300) 쪽으로 이동될 필요가 있는 때에, 제어부(50)에 의해 모터부(220)가 구동됨으로써 캐리어(150)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인 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캐리어(150)의 횡 방향 이동에 따라 제2 적재함(120)은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25)가 이송부(300)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오도록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적재함이 전술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로 이루어진 구조에서, 고객에게 카드 또는 USB 메모리 저장장치 등 서로 다른 종류의 물건이 내장된 박스류를 선택하여 발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발급이 필요한 물건이 선택되어 발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적재함은 서로 다른 종류의 물건을 내장한 박스류(10)를 보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적재함(110)은 USB가 내장된 박스류(10)를, 그리고 제2 적재함(120)은 카드 종류가 내장된 박스류(10)를 적재할 수 있다.
다수의 적재함에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박스류(10)를 적재한 상태에서, 고객에게 필요한 박스류(10)가 선택되어 배출되도록, 제어부(50)는 필요한 때에 캐리어(150)가 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송부(300) 상으로 제1 적재함(110)의 박스류(10) 또는 제2 적재함(120)의 박스류(10)가 선택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송부(300)는 적재함(110,120)으로부터 배출된 박스류(10)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는 위치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송부(300)는 적재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이송부(300)와 마주하는 제1 적재함(110) 또는 제2 적재함(120)의 배출구(115,125)를 통해 배출된 박스류(10)가 상면에 놓인다. 이와 같이 놓인 박스류(10)는 이송부(300)의 작동에 따라 고객에게 전달될 수 있는 전달 위치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전달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5)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P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위치(P2)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달 위치(P2)가 하방으로 이격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전달 위치(P2)의 전방으로서 발급기(1)의 전면에는 셔터(60)가 구비될 수 있다. 셔터(60)는 상하방향 이동될 수 있고, 이동에 따라 이 전달 위치(P2)의 전방에 형성된 발급기(1)의 출구가 개방된다.
박스류(10)는 발급기(1)의 출구를 통해 발급기(1)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이송될 수 있고, 노출된 후 고객에 의해 수취될 수 있다.
이송부(300)는 박스류(10)를 전달 위치(P2)로 전달하도록 작동하는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이송부(300)의 작동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송부(300)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로서, 이송부(300)는 힌지 회동하도록 작동하는 구조일 수 있고, 전달 위치(P2)에는 컨베이어 벨트식으로 된 전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이송부(300)가 전방 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힌지 회동함으로써, 상면에 놓인 박스류(10)는 전달 위치(P2)에 구비된 전달부 상으로 낙하하면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부는 정방향 벨트 구동에 의해 박스류(10)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고, 이송되는 박스류(10)는 발급기(1)의 출구를 통해 발급기(1)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구조의 예로서, 이송부(300)는 승강되도록 작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이송부(300)가 배출구(115)에 대응되는 위치(P1)로부터 전달 위치(P2)까지 하강되도록 작동됨으로써 박스류(10)를 전달 위치(P2)까지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300)가 컨베이어 벨트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강 후 정방향 벨트 구동에 의해 박스류(10)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1)는 이송부(300)의 상부이면서 적재부(10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는 스캔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박스류(10)의 정보는 스캔부(70)에 의해 스캔될 수 있다.
스캔부(70)는 박스류(10)의 겉면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기일 수 있고, 박스류(10)의 외관을 촬영하는 비전 카메라 등일 수도 있으며, 그 외 박스류(10)의 정보를 스캔할 수 있는 장치이면 두루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고객이 박스류(10)를 수취하지 않거나 박스류(10)의 정보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등과 같이, 박스류(10)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박스류(10)는 안전하게 회수되어 보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 따른 박스류 발급기(1)는 적재부(100)의 하부에 박스류(10)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함(400)은 예컨대 서랍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급기(1)에서 빼내거나 다시 끼워질 수 있다. 관리자는 필요한 경우에 보관함(400)을 빼내어 보관된 박스류(10)를 회수할 수 있다.
전달 위치(P2)에서 박스류(10)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구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식으로 이루어진 예에서는, 박스류(10)를 보관함(400)으로 회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 구성의 역방향 벨트 구동에 의해 박스류(10)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그 후 보관함(400) 내 공간으로 낙하되어 보관함(400) 내에서 보관될 수 있다.
도 1에 표시되고 있으나 위에서 자세히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310으로 표시된 구성은, 이송부(300)에 포함되는 지지롤러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송부(300) 상면에 놓인 박스류(10)가 제위치를 유지하거나 이송부(300)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때 박스류(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1의 참조부호 80으로 표시된 구성은 이송부(300)의 상면에 박스류(10)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센서부(80)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나 개량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1: 박스류 발급기 10: 박스류
50: 제어부 60: 셔터
70: 스캔부 80: 센서부
100: 적재부 110: 제1 적재함
120: 제2 적재함 111,112,113: 카트리지
115,125: 배출구 116, 117: 통과부
130: 벨트부 150: 캐리어
151: 격벽 153: 랙 기어
200: 이동대 210: 피니언기어
220: 모터부 300: 이송부
310: 지지롤러 400: 보관함

Claims (5)

  1. 내부에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되며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박스류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이 수용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적재부;
    상기 캐리어가 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이동대; 및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박스류가 놓이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박스류 발급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다수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상기 적재함은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상기 캐리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형성된 랙 기어(rack gear)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랙 기어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대 상측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면에 놓인 박스류가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전달 위치로 전달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박스류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함을 더 포함하는 박스류 발급기.
KR1020150189503A 2015-12-30 2015-12-30 박스류 발급기 KR20170080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503A KR20170080761A (ko) 2015-12-30 2015-12-30 박스류 발급기
CN201621367615.9U CN206331455U (zh) 2015-12-30 2016-12-13 盒类物品发放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503A KR20170080761A (ko) 2015-12-30 2015-12-30 박스류 발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761A true KR20170080761A (ko) 2017-07-11

Family

ID=5928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503A KR20170080761A (ko) 2015-12-30 2015-12-30 박스류 발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80761A (ko)
CN (1) CN20633145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530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포스코 판 적치용 받침부재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판 적치방법
WO2021027418A1 (zh) * 2019-08-14 2021-02-18 江苏亨通精工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木托架自动发放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5471A (zh) * 2018-03-14 2018-07-1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编码式焊丝盘自动发放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530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포스코 판 적치용 받침부재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판 적치방법
WO2021027418A1 (zh) * 2019-08-14 2021-02-18 江苏亨通精工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木托架自动发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331455U (zh)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01531B (zh) 纸张处理装置
US20120173016A1 (en) Bottled water center
JP5774282B2 (ja) 商品搬出装置
CN102915593B (zh) 自动售票机循环式硬币处理机构
KR20170080761A (ko) 박스류 발급기
JP2007172036A (ja) 自動販売機
KR102441917B1 (ko) 박스류 발급기
CN210155773U (zh) 一种具有回收功能的自动售货机
KR101509170B1 (ko) 다기능 복합 카드 발급 장치
CN109272650B (zh) 商品排出装置
CN217443917U (zh) 一种彩票发放装置和彩票售卖机
JP4959281B2 (ja) 景品払出機
KR102234923B1 (ko)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KR20170095438A (ko) 박스류 발급기용 보관부
JP6845661B2 (ja) 払出装置
KR20170030155A (ko) 박스류 발급기
JP5163382B2 (ja) 新聞自動販売機
KR102234922B1 (ko)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2268131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 유닛
KR101033233B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카드처리장치
JP7012506B2 (ja) 図書保管装置
JP7447727B2 (ja) 硬貨処理装置及び貨幣取扱装置
JPH0938328A (ja) 物品投出装置
KR20170030156A (ko) 박스류 발급기
JP4936993B2 (ja) 棒金収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