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917B1 - 박스류 발급기 - Google Patents

박스류 발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917B1
KR102441917B1 KR1020150189510A KR20150189510A KR102441917B1 KR 102441917 B1 KR102441917 B1 KR 102441917B1 KR 1020150189510 A KR1020150189510 A KR 1020150189510A KR 20150189510 A KR20150189510 A KR 20150189510A KR 102441917 B1 KR102441917 B1 KR 10244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es
unit
box
transfer uni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762A (ko
Inventor
장철원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917B1/ko
Priority to CN201621367678.4U priority patent/CN206331456U/zh
Publication of KR2017008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4Card magazines, e.g. pocket, h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되며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박스류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작동되는 적재부, 적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면에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박스류가 놓이며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작동되는 이송부,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박스류 발급기에 관한 것으로, 고객에게 전달되기까지 박스류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고 또한 박스류가 회수되는 보관함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스류 발급기{Dispenser for boxes and the like}
본 발명은 박스류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박스류 발급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정보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서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 적용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들은 소정의 발권 장치를 통해 발권되는데, 발권 장치는 통상, 카드를 인식, 처리하는 카드 리더(card reader)와 카드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 등의 구성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카드 디스펜서는 세부적으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부을 구비하고 이송 롤러와 같은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1매씩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종래의 카드 발행장치는 하나의 적재부을 구비하여 티켓 또는 카드를 발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카드 발행장치 이외에도 최근에는 은행 등에서 온라인 뱅킹의 보안 키(KEY)가 저장된 USB와 같은 메모리 저장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박스류를 발급하는 발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박스류 발급기는, 박스류가 적재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적재부의 전방에 배치된 이송부로 배출되고, 이송부로 배출된 박스류는 박스류 발급기의 전면에 형성되는 셔터를 통해 발급기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이송된다. 그리고 발급기 전방으로 노출된 박스류는 고객에 의해 수취된다.
그러나 종래의 박스류 발급기는 적재부의 박스류 배출 위치와 배출된 박스류가 안착되는 이송부의 위치 사이에 구조적인 이유로 인해 다소 긴 거리를 두고 있다.
이 때문에, 박스류는 이송부의 상면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고 옆으로 세워지거나 뒤집혀 놓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그로 인해, 박스류가 셔터를 통과하지 못함으로써 고객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또한, 적재부의 전방에는 박스류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스캔부가 마련될 수 있는데, 박스류가 이와 같이 틀어진 상태로 놓이거나 뒤집혀 놓임으로써 박스류의 정보가 제대로 스캔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발급기의 작동이 중단되기도 한다.
한편, 발급기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이송된 박스류를 고객이 수취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 경우 미수취된 박스류를 타인이 수취해 가지 못하도록 안전한 공간으로 회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박스류 발급기는 미수취 박스류를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구조가 부재하여 이러한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1-0011303호(2011. 12. 7, '무인 금융카드 발급장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09-0012080호(2009. 11. 26, '복수개의 카드 적재부을 구비한 카드 발행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류가 이송부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객에게 전달될 수 있는 박스류 발급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수해야 하는 박스류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박스류 발급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는, 내부에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되며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박스류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작동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면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박스류가 놓이며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작동되는 이송부, 및 상기 적재부 및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면에 놓인 박스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컨베이어 벨트식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놓인 박스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면에 놓인 박스류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결정된 경우에 상기 박스류가 제1 속도 또는 상기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하부이면서 상기 이송부의 후방 측에 박스류가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면에 놓인 박스류를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류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내에서 층을 이루어 보관되며,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중 최전방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에 보관된 박스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 카트리지에 보관된 박스류는 카트리지 사이에 형성된 통과부를 통해 전방 측의 카트리지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상면에 놓인 박스류의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상면에 박스류가 놓여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부가 승강되도록 작동됨에 따라, 배출구의 위치와 출구의 위치가 이격되는 구조에서도 적재부로부터 배출되는 박스류가 안정적으로 이송부의 상면으로 이동해 와 놓일 수 있다.
또한, 적재부에서 배출된 박스류를 회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박스류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이송부를 작동시켜 보관함으로 안전하게 박스류를 회수할 수 있다.
이때, 박스류의 후방 이동 속도가 필요한 속도가 되도록 이송부를 제어함으로써, 박스류가 이송부로부터 먼 보관함의 가장자리로부터 차례대로 쌓이게 할 수 있어, 제한된 보관함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류 발급기에서 박스류가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박스류 발급기에서 박스류가 보관함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박스류 발급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류 발급기에서 박스류가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박스류 발급기에서 박스류가 보관함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박스류 발급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1)는 적재부(100), 이송부(200),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적재부(100)는 내부에 다수의 박스류(10)가 층을 이루며 보관되며, 보관된 박스류(10)가 적재부(10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01)를 통해 적재부(100)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작동된다.
도 1은 적재부(100)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를 제시한다. 적재부(100)는 내부에 전후방향(도 1을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서는 일례로서, 3개의 카트리지(110,120,130)를 포함하는 적재부(100)를 제시한다. 이들 카트리지(110,120,130)는 적재부(100)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재부(100)는 다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단일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이러한 단일의 박스 형태로 된 적재부(10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보았을 때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3개의 카트리지(110,120,130)의 내부에는 다수의 박스류(10)가 층을 이루며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박스류(10)는 온라인 뱅킹의 보안 키(KEY)가 저장된 USB가 내장된 박스류(10)일 수 있고, 또는 보안이 필요한 정보가 기록된 카드가 내장된 박스류(10)일 수도 있으며, 그 외 다른 종류의, 고객에게 전달되기 위한 물건이 내장된 박스류(10)일 수 있다.
그리고, 적재부(1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고객에게 카드 또는 USB 메모리 저장장치 등 서로 다른 종류의 물건을 발급할 필요가 있을 때에 하나의 박스류 발급기(1) 내에서 발급이 필요한 물건이 선택되어 발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적재부(100)는 다른 종류의 물건을 내장한 박스류(10)를 보관할 수도 있다.
적재부(100)가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구조에서는, 각 적재부(100) 내의 박스류(10)가 후술할 이송부(200) 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적재부(100)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 또는 이송부(200) 자체가 각 적재부(100)의 박스류(10) 배출 위치로 이동되는 구조, 또는 각 적재부(100)에서 이송부(200) 상으로 배출된 박스류(10)가 고객에게 발급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이송부(200) 상에서 이동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적재부(100) 내에 배치된 박스류(10)는 적재부(10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01)를 통해 적재부(100)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박스류(10)가 배출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트리지(110,120,130)의 하측에 컨베이어 벨트식의 벨트부(15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벨트부(150)의 상면에 배치된 박스류(10)는 벨트부(150)의 작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벨트부(150)의 작동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3개의 카트리지(110,120,130) 중 최전방에 배치된 제1 카트리지(110)의 내부에 적층된 박스류(10)는, 벨트부(150)의 작동에 따라 적재부(10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01)를 통해 적재부(10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110)의 후방에 차례대로 배치되는 제2 카트리지(120) 및 제3 카트리지(130)의 내부에 적층된 박스류(10)도, 제1 카트리지(110)와 제2 카트리지 (120)의 사이에 형성된 통과부(115), 제2 카트리지(120)와 제3 카트리지(130) 사이에 형성된 통과부(125)를 통해 현재의 카트리지 내에서 전방 측에 위치한 카트리지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110)의 박스류(10)가 모두 배출되면, 제2 카트리지(120)의 박스류(10)가 통과부(115)를 거쳐 제1 카트리지(110) 내로 이동된 후 벨트부(150)의 작동에 따라 배출구(101)를 통해 적재부(10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카트리지(120)의 박스류(10)가 모두 배출된 경우 제3 카트리지(130)의 박스류(10)가 2개의 통과부(125,115)를 차례대로 거친 후 배출구(101)를 통해 적재부(10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적재부(100)로부터 배출된 박스류(10)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는 위치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적재부(100)의 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작동된다. 이송부(200)는 적재부(100)에서 박스류(10)가 배출되는 배출구(101)에 대응되는 위치(이하, '제1 위치'라 한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부(200)가 이 위치에 배치되어, 배출구(101)를 통해 배출되는 박스류(10)는 벨트부(150)로부터 이송부(200)로 수평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된 후 이송부(20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박스류 발급기(1)에는 고객이 박스류(10)를 수취해 갈 수 있도록, 박스류(10)가 발급기(1)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영역이 형성되도록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급기(1)의 전면에는 박스류(10)가 통과될 수 있는 출구(5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 출구(50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셔터(50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 셔터(500)에 대응하는 위치(이하, '제2 위치'라 한다)와 전술한 제1 위치는 발급기(1) 구조의 설계상 이유 등으로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가 이와 같이 이격된 구조에서 이송부(200) 상으로 박스류(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는 이송부(20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승강되도록 작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송부(200)가 제1 위치까지 상승됨으로써, 박스류(10)는 카트리지(110) 내부에서 배출구(101)를 통해 배출될 때 수평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송부(200) 상으로 이동하여 놓일 수 있다.
그 후 이송부(200)가 제2 위치까지 하강됨으로써, 박스류(10)는 놓인 상태를 유지한 채로 출구(501)까지 하강될 수 있으며, 이송부(200)의 작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고객이 수취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한편, 적재부(100)로부터 이송부(200)로 배출된 박스류(10)가 고객에 의해 수취되지 못한 경우 또는 기타 이유로 이송부(200) 상에 머물게 된 박스류(10)는, 다음 박스류(10)의 배출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후술할 보관함(600)으로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류(10)가 회수되지 못하고 이송부(200) 상에 계속 머물게 된다면, 다음 박스류(10)의 배출 직전까지 이송부(200) 상에 박스류(10)가 존재함을 감지하여 다음 박스류(10)의 배출을 위한 작동 과정에 고려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조의 일례로서, 박스류 발급기(1)는 배출구(101)를 마주하는 위치 또는 감지가 용이한 적절한 위치에 센서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200)가 다음 박스류(10)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1 위치로 상승했을 때, 이송부(200) 상에 미수취된 박스류(10)가 여전히 머물러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센서부(400)가 이 박스류(10)를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300)는 벨트부(150)의 작동이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등, 미수취된 박스류(10)가 회수되기까지 발급기(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발급기(1)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발급기(1) 내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를 따라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될 수 있는 등, 승강 작동되도록 하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송부(200)의 승강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상면에 놓인 박스류(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되도록, 이송부(200)는 예컨대 컨베이어 벨트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박스류(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면에 박스류(10)가 놓인 상태에서 제2 위치로 하강된 이송부(200)는 셔터(500)가 상승하여 출구(501)가 개방될 때 정방향 작동되어 박스류(1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송부(200)와 셔터(500)가 이와 같이 작동됨으로써, 박스류(10)는 출구(501)를 통해 발급기(1)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고, 그 후 고객에 의해 수취될 수 있다.
고객이 박스류(10)를 수취하지 않거나 박스류(10)의 정보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등과 같이, 박스류(10)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박스류(10)는 안전하게 회수되어 보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는 적재부(100)의 하부이면서 이송부(200)의 후방 측에 박스류(10)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함(600)은 예컨대 서랍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급기(1)에서 빼내거나 다시 끼워질 수 있다. 관리자는 필요한 경우에 보관함(600)을 빼내어 보관된 박스류(10)를 회수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제2 위치로 이동해 온 상태에서 박스류(10)를 보관함(600)으로 회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 이송부(200) 상의 박스류(1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결정된 경우에 박스류(1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박스류(10)의 후방 이동이 필요한지는 박스류(10)의 미수취 감지, 스캔 오류 감지 등의 정보를 획득한 제어부(300)가 판단하여 박스류(1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박스류(1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결정된 경우에, 제어부(300)는 이송부(200)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박스류(1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송부(200)가 역방향으로 작동됨으로써 박스류(10)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송부(200)의 후단부에서 보관함(600) 내 공간으로 낙하되어 보관함(600) 내에서 보관된다.
한편, 박스류(10)를 보관함(600)으로 회수할 때에, 회수되는 박스류(10)는 이송부(200)로부터 가장 먼 가장자리 영역부터 쌓이면서 이송부(200)에 가까운 쪽으로 차례대로 쌓여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함(600) 내부에서 이송부(200)로부터 가장 먼 가장자리 영역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영역(610)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영역(610)으로부터 이송부(200) 쪽으로 가까워지는 영역을 차례대로 제2 영역(620), 제3 영역(63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박스류(10)가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제3 영역(630),.. 순으로 차례대로 쌓여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보관함(600)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관리자는 보관함(600)을 비우기 위해 빈번하게 보관함(600)을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300)는 박스류(10)의 후방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이송부(200)의 역방향 작동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박스류(10)의 후방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박스류(10)의 이동 속도는 일례로서 제시되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송부(2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컨베이어 벨트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송부(200)를 구성하는 벨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00)에 포함될 수 있는 모터부(22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감지센서에 의하거나 또는 보관함(60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방법으로 우선 보관함(600)이 완전히 비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첫번째의 박스류(10) 회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제어부는 모터부(220)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최초 속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최초 속도는 이송부(200)의 벨트의 회전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는 박스류(10)가 제1 영역(610)까지 도달하는 속도에 이르도록 하는 속도일 수 있다.
그 후 두번째 또는 그 이상의 횟수째 박스류(10) 회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제어부(300)는 최초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되도록 모터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최초 속도보다 느린 속도는 박스류(10)가 제2 영역(620)까지 도달하는 속도에 이르도록 하는 속도일 수 있다.
그 후 다시 박스류(10) 회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제어부(300)는 전술한 속도보다 더 느린 속도로 회전되도록 모터부(2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느린 속도는 박스류(10)가 제3 영역(630)까지 도달하는 속도에 이르도록 하는 속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되는 박스류(10)의 속도 중 어느 하나의 속도를 "제1 속도"로 정의한다면,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박스류(10)의 속도 중 제1 속도보다 느린 속도는 "제2 속도"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의할 때, 박스류(10)의 제1 영역(610)까지 도달하는 속도와 제2 영역(620)까지 도달하는 속도 사이에서 전자는 "제1 속도"로, 그리고 후자는 "제2 속도"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박스류(10)의 제2 영역(620)까지 도달하는 속도와 제3 영역(630)까지 도달하는 속도 사이에서도 전자는 "제1 속도"로, 그리고 후자는 "제2 속도"로 나타낼 수 있다.
박스류(10)가 제1 속도 또는 이보다 느린 제2 속도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이송부(200)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보관함(600)으로 회수되는 박스류(10)는 보관함(600) 내부 공간 중 이송부(200)로부터 가장 먼 제1 영역(610)에서 또는 제1 영역(610)으로부터 이송부(200)에 가까운 제2 영역(620), 또는 더 가까운 제3 영역(630)에서 쌓이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박스류(10)의 후방 이동 속도가 이와 같이 제어됨으로써, 제한된 보관함(600) 내부 공간에서 가능한 많은 박스류(10)가 보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관리자는 보관함(600)을 비우는 횟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발급기(1)의 관리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박스류(10)의 이동 속도가 제1 속도에서 제2 속도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때인 박스류(10) 회수 상황의 발생 횟수는, 박스류(10)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600) 내부 공간을 고려하여 선택하여 정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박스류(10)가 이송부(200) 상에 놓인 상태에서, 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롤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롤러(210)는 예컨대 이송부(200)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박스류(10)의 높이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지지롤러(210)는 이송부(200)의 상면에 놓인 박스류(10)의 상면 일측을 지지하여 박스류(10)가 안정적으로 놓이게 하며, 이송부(200)의 작동에 따라 박스류(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때에도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이송부(200)의 상부이면서 적재부(10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는 스캔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박스류(10)의 정보는 스캔부(700)에 의해 스캔될 수 있다.
스캔부(700)는 박스류(10)의 겉면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기일 수 있고, 박스류(10)의 외관을 촬영하는 비전 카메라 등일 수도 있으며, 그 외 박스류(10)의 정보를 스캔할 수 있는 장치이면 두루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1)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00)의 카트리지(110,120,130) 내 보관된 박스류(10)는 벨트부(150)의 작동에 따라 배출구(101)를 통해 적재부(100)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박스류(10)는 배출구(101)의 전방에 위치하는 이송부(200)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이송부(200)의 상면에 놓인 박스류(10)의 정보는 스캔부(700)에 의해 스캔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00)는 하강되어 셔터(500)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셔터(500)가 상승하여 출구(501)가 개방됨과 아울러, 박스류(1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이송부(200)가 작동됨으로써, 박스류(10)는 출구(501)를 통해 발급기(1)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출된 박스류(10)를 고객이 수취하지 않거나 또는 스캔부(700)에서 스캔 오류가 발생한 경우 등 박스류(10)를 회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제어부(300)는 이송부(200)가 역방향 작동되도록 이송부(200)를 제어한다.
이때, 박스류(10) 회수 상황 발생 횟수에 따라, 제어부(300)는 이송부(200)를 구성하는 벨트의 역방향 회전 속도가 크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이 속도보다 작도록 제어하여 박스류(10)가 보관함(600)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이송부(200)에 가까운 영역으로 차례대로 쌓여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보관함(600)에 박스류(10)가 충분히 채워진 경우에 관리자는 보관함(600)을 꺼내어 보관된 박스류(10)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나 개량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1: 박스류 발급기 10: 박스류
100: 적재부 110,120,130: 카트리지
101: 배출구 115, 125: 통과부
150: 벨트부 200: 이송부
210: 지지롤러 220: 모터부
300: 제어부 400: 센서부
500: 셔터 501: 출구
600: 보관함 700: 스캔부

Claims (9)

  1. 내부에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되며,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박스류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작동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면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박스류가 놓이며,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작동되는 이송부; 및
    상기 적재부 및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는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류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내에서 층을 이루어 보관되며,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중 최전방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에 보관된 박스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 카트리지에 보관된 박스류는 카트리지 사이에 형성된 통과부를 통해 전방 측의 카트리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면에 놓인 박스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컨베이어 벨트식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놓인 박스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면에 놓인 박스류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결정된 경우에 상기 박스류가 제1 속도 또는 상기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하부이면서 상기 이송부의 후방 측에 박스류가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6.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면에 놓인 박스류를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상면에 놓인 박스류의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더 포함하는 박스류 발급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상면에 박스류가 놓여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박스류 발급기.
  9. 삭제
KR1020150189510A 2015-12-30 2015-12-30 박스류 발급기 KR10244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510A KR102441917B1 (ko) 2015-12-30 2015-12-30 박스류 발급기
CN201621367678.4U CN206331456U (zh) 2015-12-30 2016-12-13 盒类物品发放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510A KR102441917B1 (ko) 2015-12-30 2015-12-30 박스류 발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762A KR20170080762A (ko) 2017-07-11
KR102441917B1 true KR102441917B1 (ko) 2022-09-08

Family

ID=5928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510A KR102441917B1 (ko) 2015-12-30 2015-12-30 박스류 발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1917B1 (ko)
CN (1) CN20633145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5108A (zh) * 2017-09-30 2018-01-09 深圳市奇旺科技有限公司 盒装物料的输送装置及盒装物料的供应机
CN109850584A (zh) * 2019-04-08 2019-06-07 重庆蜀记供应链管理有限公司 一种自动贩卖机及其餐碗储存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463B1 (ko) * 2007-05-02 2009-01-09 주식회사 유니빅 박스 보관 및 반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02B1 (ko) * 2005-09-01 2008-06-09 (주)키트로닉스 카드 디스펜서
ATE488681T1 (de) 2007-07-27 2010-12-15 Waertsilae Nsd Schweiz Ag Zweitakt-dieselbrennkraftmaschine
KR101105874B1 (ko) 2009-07-28 2012-01-16 최진국 롤러 제작용 폴리우레탄 코팅 장치
KR101178131B1 (ko) * 2010-07-30 2012-08-29 (주)진공플랜트 연속 박스 세척건조장치
KR101395561B1 (ko) * 2012-11-05 2014-05-1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유연 제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463B1 (ko) * 2007-05-02 2009-01-09 주식회사 유니빅 박스 보관 및 반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762A (ko) 2017-07-11
CN206331456U (zh)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01531B (zh) 纸张处理装置
KR101317300B1 (ko) 지폐 취급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폐 입금 방법
KR102441917B1 (ko) 박스류 발급기
KR101665609B1 (ko) 금융 자동화기기용 회수매체 저장 카세트
KR20170080761A (ko) 박스류 발급기
KR101140491B1 (ko)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035872A (ja) 景品払出機、景品管理機および景品払出システム
US10147261B2 (en) Medium handover device
KR102268131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트레이 유닛
KR100962477B1 (ko)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KR101165097B1 (ko)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
JP2006209274A (ja) 紙幣入出金機
JP6259725B2 (ja) 紙葉類分離集積装置
JP6763223B2 (ja) 媒体スタッカ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90093700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작동 방법
KR100897384B1 (ko)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
KR102519718B1 (ko) 트레이 유닛 어셈블리
KR100699034B1 (ko) 무인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걸림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999060B1 (ko)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KR101550129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637698B1 (ko) 매체 저장부
KR102094435B1 (ko) 금융 자동화기기
KR20170030155A (ko) 박스류 발급기
KR20180034129A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JP5265965B2 (ja) カード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