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060B1 -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 Google Patents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060B1
KR100999060B1 KR1020080110822A KR20080110822A KR100999060B1 KR 100999060 B1 KR100999060 B1 KR 100999060B1 KR 1020080110822 A KR1020080110822 A KR 1020080110822A KR 20080110822 A KR20080110822 A KR 20080110822A KR 100999060 B1 KR100999060 B1 KR 10099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oller
ticketing
consolid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985A (ko
Inventor
이내학
송영우
Original Assignee
(주)키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키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11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0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3/00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 G07B3/04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from a st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함으로부터 카드를 1매씩 안정적으로 발권할 수 있는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적재 플레이트 상에 다수의 카드가 적재된 상태에서 압밀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를 1매씩 발권하는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카드가 발권된 후 카드 재정렬 과정이 진행되며, 상기 카드 재정렬 과정은, 카드와 상기 압밀 롤러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압밀 롤러를 발권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압밀 롤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일정 거리만큼 하강시켜 적재 플레이트 상의 카드들이 중력에 의해 재정렬되도록 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식, 카드디스펜서, 카드발권

Description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Method for card dispensing of elevating type card dispenser}
본 발명은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함으로부터 카드를 1매씩 안정적으로 발권할 수 있는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의 예로 공중 전화카드, 버스 카드, 주차 카드, 신용 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정보화 사회로의 진전에 따라 보다 다양한 카드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의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선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카드들은 발권 장치를 통해 발권되는데, 상기 발권 장치는 일반적으로 카드를 인식, 처리하는 카드 리더(card reader)와 카드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카드 디스펜서 는 세부적으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함을 구비하고 이송 롤러와 같은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를 1매씩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카드 디스펜서에 있어서 카드 발권시 2장 이상의 카드가 겹쳐 이송되는 중송 현상이 발생하거나 카드 적재함 내에서 카드가 일정하게 정렬되지 못하여 카드 발권시 오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카드 적재함으로부터 카드를 1매씩 안정적으로 발권할 수 있는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적재 플레이트 상에 다수의 카드가 적재된 상태에서 압밀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를 1매씩 발권하는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카드가 발권된 후 카드 재정렬 과정이 진행되며, 상기 카드 재정렬 과정은, 카드와 상기 압밀 롤러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압밀 롤러를 발권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압밀 롤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일정 거리만큼 하강시켜 적재 플레이트 상의 카드들이 중력에 의해 재정렬되도록 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드 발권 방향으로 제 1 이송 롤러, 제 2 이송 롤러, 제 3 이송 롤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압밀 롤러와 상기 제 1 이송 롤러 사이에 제 1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제 2 이송 롤러 사이에 제 2 카드 인식 센서 및 제 3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 사이에 제 4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3 이송 롤러의 후단에 제 5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압밀 롤러는 제 1 모터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제 1 이송 롤러, 제 2 이송 롤러 및 제 3 이송 롤러는 제 2 모터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일측에 발권 준비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적재 플레이트 상의 카드에 접촉된 압밀 롤러를 상승되도록 하여 상기 압밀 롤러의 일측에 구비된 피감지 브라켓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에 감지되도록 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피감지 브라켓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됨으로 인해 상기 제 1 모터가 구동되고 상기 압밀 롤러가 카드 발권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드가 이송되는 제 4 단계와, 제 1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상기 이송 중인 카드가 감지되면 상기 제 2 모터가 구동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카드 발권 방향으로의 동작을 통해 카드가 이송되는 제 5 단계와, 제 2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이송 중인 카드가 감지되면 상기 제 2 모터는 구동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모터는 구동이 정지되는 제 6 단계 및 제 5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어 카드 이송이 중지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7 단계 이후에, 카드 리더기에 의한 카드 정보 분석 과정이 진행되며, 상기 카드 정보 분석 과정에 의해 해당 카드가 불량인 경우, 상기 제 2 모터의 동작이 재가동되어 상기 제 3 카드 인식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카드가 발권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제 8 단계를 통해,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모터가 카드 발권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여 해당 카드가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일측에 구비된 불량 카드 수납로 이동되는 제 9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7 단계 이후에, 카드 리더기에 의한 카드 정보 분석 과정이 진행되며, 상기 카드 정보 분석 과정에 의해 해당 카드가 양품인 경우, 상기 제 3 이송 롤러의 동작에 의해 카드가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카드 정보 분석 과정 후의 카드 양품 또는 불량에 대한 처리 후, 상기 카드 재정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각각의 카드 발권 후, 카드 재정렬 과정을 거침에 따라 중송 현상, 카드 오정렬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발권방법은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 상에서 구현되는 바, 카드 발권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구성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는 카드 적재부(100), 컨베이어부(200) 및 카드 이송부(3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드 적재부(100)는 다수의 카드를 적재하여 상기 카드 이송부(300)로 카드를 1매씩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카드 이송부(300)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로부터 카드를 1매씩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컨베이어부(200)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 내에 구비되는 적재 플레이트(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드 적재부(100), 컨베이어부(200) 및 카드 이송부(3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드 적재부(100)는 소정의 프레임들에 의해 그 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프레임들에 의해 정의되는 카드 적재부(100) 내에는 착탈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직육면체 형상의 카드 적재함(110)이 구비된다. 상기 카드 적재함(110) 내에는 적재 플레이트(120)가 구비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상에 복수의 카드가 적재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카드 적재함 감지센서(111)와, 상기 카드 적재함(110)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의 양을 감지하는 카드 적재량 감지센서(112)가 구비되며 상기 카드 적재부(100)의 하단에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를 감지하는 적재 플레이트 감지센서(1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카드 적재량 감지센서(112)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를 정의하 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일정량 이상의 카드가 적재된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상에 카드가 과적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 감지센서(113)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의 최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를 감지하여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카드 적재부(100)의 적재 플레이트(120)는 상기 컨베이어부(20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상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1매씩 상기 카드 이송부(300)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카드 이송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카드를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컨베이어부(200)는 크게 소정 길이의 폐루프를 형성하는 타이밍 벨트(220)와 상기 타이밍 벨트(220)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 수단(2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밍 벨트(220)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의 길이에 상응하는 만큼의 직선 구간을 구비하며, 복수의 풀리(230)를 통해 지지됨과 함께 풀리(230)의 회전에 따라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승강 수단(210)은 상기 카드 적재부(100)의 적재 플레이트(12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 수단(2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역시 함께 상하 이동된다.
상기 승강 수단(210)은 세부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밍 벨트(220)에 맞물려 상기 타이밍 벨트(220)의 구동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승강 기어(211)와, 상기 승강 기어(211)와 타이밍 벨트(220)가 맞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 부재(212)와,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부재(212)를 선택적으로 압밀하는 역할을 하는 밀착 부재(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 기어(211)의 기어 축 및 밀착 부재(213)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와 상기 승강 수단(210)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몸체부(121)가 상기 승강 수단(210)의 일 구성요소로 구비된다.
이에 부가하여, 상기 고정 부재(212) 및 밀착 부재(213) 각각의 일측에는 제 1 스프링(214), 제 2 스프링(216)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216)의 다른 일측은 각각 제 1 스프링 지지대(215), 제 2 스프링 지지대(217)에 지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 지지대(217)는 상기 몸체부(121)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프링(214)은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2 스프링(216)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밀착 부재(213)는 고정 축(218)에 의해 몸체부(121)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축(218)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밀착 부재(213)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 축(218)의 일단에는 고정 축(218)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원 형상의 손잡이(21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부재(213)는 한 면(제 2 면)의 길이가 다른 한 면(제 1 면)의 길이보다 작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면이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면에 밀착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축(218)의 회전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갖는 제 1 면이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도 5a 참조)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를 갖는 제 2 면이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면에 밀착되는 상태(도 5b 참조)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면에 밀착된 밀착 부재(213)의 접촉면이 제 1 면에서 제 2 면으로 변경되면, 상기 제 1 면의 길이에서 상기 제 2 면의 길이를 뺀 만큼의 길이가 여유 공간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212)의 일측에 연결된 제 1 스프링(214)이 인장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여유 공간만큼 즉, 상기 제 1 면의 길이에서 상기 제 2 면의 길이를 뺀 길이 만큼 상기 고정 부재(212)가 상기 밀착 부재(213)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 부재(212)가 상기 밀착 부재(213)를 향하여 이동함은 상기 고정 부재(212)와 승강 기어(211) 사이의 밀착 상태가 해제됨을 의미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승강 기어(211)는 상기 타이밍 벨트(220)에 맞물려 고정되지 않고 상기 타이밍 벨트(220)의 톱니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200)는 직육면체 형상을 정의하는 소정의 프레임들에 의해 그 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승강 수단(2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수직 방향을 따라 가이드 부재(2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수단(2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31)를 따라 이동되는 승강 바퀴(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카드 적재부(100)와 컨베이어부(2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았는데 마지막으로 카드 이송부(3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카드 이송부(300)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카드 이송부(300)는 상기 카드 적재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카드를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카드 이송부(300)는 세부적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밀 롤러(310), 보조 이송 롤러(320), 제 1 이송 롤러(330), 제 2 이송 롤러(340), 제 3 이송 롤러(350)가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압밀 롤러(310)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는 카드 배출되는 쪽에 배치된다.
상기 압밀 롤러(310),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는 각각 구동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구동축은 상기 카드 이송부(300)의 공간을 정의하는 소정의 프레임에 고정,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구동축의 일단에는 풀리가 구비되고 해당 풀리들은 구동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인가받게 되는데, 상기 압밀 롤러(310)에 연결된 풀리는 제 1 구동벨트(51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에 연결된 풀리들은 제 2 구동벨트(52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 1 구동벨트(510)는 제 1 모터(410)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제 2 구동벨트(520)는 제 2 모터(420)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압밀 롤러(310)가 구비되는 구동축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의 구동축과는 달리,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며 상기 압밀 롤러(310)의 구동축이 고정, 지지된 프레임은 설명의 편의상 이하, 압밀 부재(360)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압밀 부재(360)는 힌지(361)를 매개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의 구동축이 장착된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힌지(361)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압밀 부재(360) 및 상기 압밀 부재(360)에 고정, 지지된 압밀 롤러(310)는 소정 거리만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압밀 롤러(310)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와 실질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컨베이어부(200)에 의한 적재 플레이트(12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밀 롤러(310)의 구동축 상에는 토션 스프링(362)이 구비되어 상기 압밀 롤러(310)가 일정 거리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압밀 부재(360)의 일측 정확히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을 향하는 상기 압밀 부재(360)의 일측에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 내에 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카드 존재 감지센서(36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는 각각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를 이루는 각 쌍의 롤러의 접점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 역시 상기 각 쌍의 롤러의 접점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카드 이송이 동일 평면 상에서 진행된다. 반면, 상기 압밀 롤러(310)의 하부면은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이 위치하는 수평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
상기 압밀 롤러(310)의 하부면이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이유는 카드 발권시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를 따라 상승된 카 드가 상기 압밀 롤러(310)를 상부로 밀어내도록 함과 함께 상승된 카드가 상기 압밀 롤러(310)에 의해 압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카드 발권시 상기 카드 이송부(300)로 전달되는 카드가 이탈되지 않고 상기 압밀 롤러(310)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압밀 가이드 부재(3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드 발권에 관련된 압밀 롤러(3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카드 이송부(300)에는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가 구비된다.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는 상기 카드 적재함(110)으로부터의 발권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밀 부재(360)의 일단에는 피감지 브라켓(365)이 구비되어 상기 압밀 부재(360)의 상승 또는 하강시 그에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카드 이송부(300)를 정의하는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감지하는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가 구비된다.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는 상승된 피감지 브라켓(365)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에 의해 카드 발권의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에 의해 카드 발권을 위한 카드 이송이 진행되는데, 카드 이송을 위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의 동작은 다음과 같은 제 1 내지 제 5 카드 인식센서(301)(302)(303)(304)(305)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5 카드 인식센서(301)(302)(303)(304)(305)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각각의 이송 롤러를 통과하는 카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301)는 제 1 이송 롤러(330)의 전단 즉, 상기 압밀 롤러(310)와 상기 제 1 이송 롤러(33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302) 및 제 3 카드 인식센서(303)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330)와 제 2 이송 롤러(34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 4 카드 인식센서(304)는 상기 제 2 이송 롤러(340)와 제 3 이송 롤러(3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305)는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의 후단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303)와 제 5 카드 인식센서(305) 사이의 거리는 카드의 길이보다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카드 적재함 내에 적정량의 카드를 적재한다(S901)(도 10a 참조). 이어,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동작을 통해 적재 플레이트(120)를 상승시킨다(S902). 이에 따라,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상의 카드는 궁극적으로 상기 압밀 롤러(310)와 접촉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적재 플레이트(120)의 계속적인 상승에 의해 상기 압밀 롤러(3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기 압밀 부재(36) 역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압밀 부재(360)가 상승되면, 상기 압밀 부재(360)의 일측에 구비된 피감지 브라켓(365) 역시 함께 상승되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에 의해 감지 된다(도 10b 참조).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에 의해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이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동작을 정지되며 이를 통해 카드 발권 준비가 완료된다(S903).
한편, 상기 압밀 롤러(310)의 상승시 상기 압밀 롤러(310)의 하부면이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는 위치까지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압밀 롤러(310)가 상기 보조 이송 롤러(320)의 하부면이 이루는 수평면 위치를 초과하게 되어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 상부에 구비된 과상승 방지센서(368)가 이를 감지한다. 상기 과상승 방지센서(368)에 의해 피감지 브라켓(365)이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된다.
카드 발권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본격적인 카드 발권을 위한 카드 이송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가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을 감지하면, 상기 제 1 모터(410)가 구동되어 상기 압밀 롤러(310)가 카드 발권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S904). 상기 압밀 롤러(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 상의 카드(C)는 카드 발권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301)가 이송 중인 카드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제 2 모터(420)가 구동된다(S905)(S906)(도 10c 참조).
상기 제 2 모터(4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는 카드 발권 방향으로 동작하며(S906), 이에 따라 상기 제 1 카드 인식센서(301)에 인식된 카드는 제 1 이송 롤러(330)에 의해 전진 이동하게 된 다. 이어, 상기 제 1 이송 롤러(330)를 통과한 카드는 제 1 이송 롤러(330) 후단에 구비된 제 2 카드 인식센서(302)에 의해 감지되는데(도 10d 참조), 상기 제 2 카드 인식센서(302)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모터(420)는 구동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모터(410)는 구동이 정지된다(S907)(S908). 즉, 상기 압밀 롤러(310)의 동작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적재 플레이트(120) 상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의 추가 배출이 억제된다.
한편, 상기 제 2 모터(420)의 구동 즉,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330)(340)(350)의 동작에 의해 카드는 발권 방향으로 계속 이송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305)에 의해 감지되는데,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305)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모터(420)의 구동이 정지되어 카드의 이송이 중지된다(S909)(S910)(도 10e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드 리더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카드 정보 분석 과정이 진행된다(S911). 상기 카드 정보 분석 과정에 의해 해당 카드의 불량 여부가 판단되며 정상 카드인 경우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의 동작에 의해 배출되나 불량 카드인 경우에는 불량 카드 수납부(630)에 캡쳐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 리더기에 의해 카드가 불량으로 판명이 되면(S910), 상기 제 2 모터(420)의 동작이 재가동되어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303)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카드가 카드 발권 방향으로 이동되며(S913)(S914)(도 10f 참조),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303)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모터(420)는 역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620) 가 동작하여 상기 캡쳐 가이드 부재(610)가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불량 카드 수납부(630)로 이동되는 통로로 개방된다. 해당 불량 카드는 최종적으로 상기 불량 카드 수납부(630)에 캡쳐된다(S915)(도 10g 참조).
한편, 상기 카드 리더기에 의해 카드가 양품으로 판명이 되면(S912), 상기 제 3 이송 롤러(350)의 동작에 의해 카드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제 5 카드 인식센서(305)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지 않으면 일련의 카드 발권 과정이 완료된다(S916).
이와 같은 일련의 카드 발권 과정이 완료되면, 카드 재정렬 과정이 진행된다(S917). 먼저, 일련의 카드 발권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모터(410)를 역회전 구동시켜 상기 압밀 롤러(310)가 발권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압밀 롤러(310)를 발권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유는, 카드 발권시 압밀 롤러(310)에 의해 2개 이상의 카드가 중송되거나 압밀 롤러(310)와 접촉하지 않았던 카드가 다소간 전진 이송된 경우 이들 카드를 카드 적재함(110)의 후단에 이동시켜 카드 적재 상태를 최초 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이다(도 10h 참조).
이어, 상기 제 1 모터(41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컨베이어부(200)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가 일정 거리만큼 하강되도록 한다(도 10i 참조). 이 때,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가 하강하는 거리는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를 벗어나도록 하강하는 거리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를 일정 거리만큼 하강시키는 이유는, 상기 압밀 롤러(310)를 발권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유의 연장선상으로 적재 플레이트(120) 상에 적재 되어 있는 카드들을 중력에 의해 정렬되도록 하여 최초 정렬 상태로 회복하기 위함이다.
적재 플레이트(120) 상의 카드들의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적재 플레이트(120)는 재차 상승하여 상기 피감지 브라켓(365)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366)에 의해 감지되며, 궁극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카드 발권 준비 완료 상태를 이룬다. 카드 발권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S903∼S917의 단계를 반복하여 카드 발권 과정이 진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전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 수단의 확대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승강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이송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이송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이송부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a 내지 도 10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카드 적재부 110 : 카드 적재함
111 : 카드 적재함 감지센서 112 : 카드 적재량 감지센서
113 : 적재 플레이트 감지센서 120 : 적재 플레이트
121 : 몸체부 200 : 컨베이어부
210 : 승강 수단 211 : 승강 기어
212 : 고정 부재 213 : 밀착 부재
214 : 제 1 스프링 215 : 제 1 스프링 지지대
216 : 제 2 스프링 217 : 제 2 스프링 지지대
218 : 고정 축 219 : 손잡이
220 : 타이밍 벨트 230 : 풀리
231 : 가이드 부재 232 : 승강 바퀴
300 : 카드 이송부 301 : 제 1 카드 인식센서
302 : 제 2 카드 인식센서 303 : 제 3 카드 인식센서
304 : 제 4 카드 인식센서 305 : 제 5 카드 인식센서
310 : 압밀 롤러 320 : 보조 이송 롤러
330 : 제 1 이송 롤러 340 : 제 2 이송 롤러
350 : 제 3 이송 롤러 360 : 압밀 부재
361 : 힌지 362 : 토션 스프링
363 : 카드 존재 감지센서 364 : 압밀 가이드 부재
365 : 피감지 브라켓 366 : 발권 준비 감지센서
368 : 과상승 방지센서 410 : 제 1 모터
420 : 제 2 모터 510 : 제 1 구동벨트
520 : 제 2 구동벨트 610 : 캡쳐 가이드 부재
620 : 솔레노이드 스위치 630 : 불량 가드 수납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적재 플레이트 상에 다수의 카드가 적재된 상태에서 압밀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를 1매씩 발권하는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에 있어서,
    카드 발권 방향으로 제 1 이송 롤러, 제 2 이송 롤러, 제 3 이송 롤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압밀 롤러와 상기 제 1 이송 롤러 사이에 제 1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제 2 이송 롤러 사이에 제 2 카드 인식센서 및 제 3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2 이송 롤러와 제 3 이송 롤러 사이에 제 4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3 이송 롤러의 후단에 제 5 카드 인식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압밀 롤러는 제 1 모터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제 1 이송 롤러, 제 2 이송 롤러 및 제 3 이송 롤러는 제 2 모터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일측에 발권 준비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며,
    각각의 카드가 발권된 후 카드 재정렬 과정이 진행되며, 상기 카드 재정렬 과정은,
    카드와 상기 압밀 롤러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압밀 롤러를 발권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압밀 롤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일정 거리만큼 하강시켜 적재 플레이트 상의 카드들이 중력에 의해 재정렬되도록 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적재 플레이트 상의 카드에 접촉된 압밀 롤러를 상승되도록 하여 상기 압밀 롤러의 일측에 구비된 피감지 브라켓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에 감지되도록 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피감지 브라켓이 상기 발권 준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됨으로 인해 상기 제 1 모터가 구동되고 상기 압밀 롤러가 카드 발권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드가 이송되는 제 4 단계와,
    제 1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상기 이송 중인 카드가 감지되면 상기 제 2 모터가 구동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이송 롤러의 카드 발권 방향으로의 동작을 통해 카드가 이송되는 제 5 단계와,
    제 2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이송 중인 카드가 감지되면 상기 제 2 모터는 구동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모터는 구동이 정지되는 제 6 단계 및
    제 5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어 카드 이송이 중지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7 단계 이후에,
    카드 리더기에 의한 카드 정보 분석 과정이 진행되며, 상기 카드 정보 분석 과정에 의해 해당 카드가 불량인 경우,
    상기 제 2 모터의 동작이 재가동되어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카드가 발권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제 8 단계를 통해, 상기 제 3 카드 인식센서에 의해 카드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모터가 카드 발권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여 해당 카드가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일측에 구비된 불량 카드 수납부로 이동되는 제 9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제 7 단계 이후에,
    카드 리더기에 의한 카드 정보 분석 과정이 진행되며, 상기 카드 정보 분석 과정에 의해 해당 카드가 양품인 경우,
    상기 제 3 이송 롤러의 동작에 의해 카드가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정보 분석 과정 후의 카드 양품 또는 불량에 대한 처리 후, 상기 카드 재정렬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KR1020080110822A 2008-11-10 2008-11-10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KR10099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822A KR100999060B1 (ko) 2008-11-10 2008-11-10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822A KR100999060B1 (ko) 2008-11-10 2008-11-10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985A KR20100051985A (ko) 2010-05-19
KR100999060B1 true KR100999060B1 (ko) 2010-12-07

Family

ID=4227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822A KR100999060B1 (ko) 2008-11-10 2008-11-10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0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161B1 (ko) 1998-09-15 2000-11-01 윤종용 원고의 선단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0753112B1 (ko) * 2007-02-26 2007-08-29 (주)고려다이나믹스 카드 발권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161B1 (ko) 1998-09-15 2000-11-01 윤종용 원고의 선단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0753112B1 (ko) * 2007-02-26 2007-08-29 (주)고려다이나믹스 카드 발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985A (ko)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34815A (ja) カード発行装置
KR100999060B1 (ko)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의 카드 발권방법
KR200401525Y1 (ko) 카드 디스펜서
KR100962477B1 (ko) 카드 발권 및 회수 장치
KR102441917B1 (ko) 박스류 발급기
KR20170080761A (ko) 박스류 발급기
KR100999062B1 (ko) 승강식 카드 회수기의 카드 회수방법
KR2010007743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취출장치 및 방법
KR100835902B1 (ko) 카드 디스펜서
KR200420085Y1 (ko) 카드 디스펜서
CN102089787B (zh) 带式纸币计数器
KR100897384B1 (ko) 승강식 카드 디스펜서
KR100631491B1 (ko) 카드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카드 배출 방법
KR20090092638A (ko) 종이매체 저장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00063351A (ko) 카드 디스펜서
JP5216258B2 (ja) 景品読取装置
KR100753112B1 (ko) 카드 발권 시스템
KR102234922B1 (ko) 대용량 카드 처리장치
KR100767057B1 (ko) Ic 카드 인식이 가능한 카드 디스펜서
JP4050957B2 (ja) 紙幣収納装置
CN109598841B (zh) 模块化的票据受理系统及票据回收鉴伪方法
KR101212109B1 (ko) 지폐 처리 장치
KR101686984B1 (ko) 경조 관리 시스템
KR20170030155A (ko) 박스류 발급기
JP5496384B2 (ja) 景品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