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984B1 - 경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984B1
KR101686984B1 KR1020150153941A KR20150153941A KR101686984B1 KR 101686984 B1 KR101686984 B1 KR 101686984B1 KR 1020150153941 A KR1020150153941 A KR 1020150153941A KR 20150153941 A KR20150153941 A KR 20150153941A KR 101686984 B1 KR101686984 B1 KR 101686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banknote
regulated
bill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주
Original Assignee
비컴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컴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컴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06
    • G07D11/0084

Landscapes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경조 관리 시스템은 하우징과, 봉투 이송기구와, 프린터와, 스캐너, 및 단말기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지폐나 수표와 같은 경조금이 인출된 빈 상태의 경조 봉투를 투입 받는 봉투 투입부, 및 봉투 투입부로부터 이송된 경조 봉투를 적재하는 봉투 적재부를 구비한다. 봉투 이송기구는 봉투 투입부로 투입된 경조 봉투를 봉투 적재부로 이송시킨다. 프린터는 봉투 투입부로부터 봉투 적재부로 경조 봉투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경조 봉투로부터 인출된 경조금 금액을 해당 경조 봉투에 인쇄한다. 스캐너는 프린터를 거친 경조 봉투의 양쪽 면을 스캔해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기는 봉투 투입부로부터 봉투 적재부로 경조 봉투를 이송시키도록 봉투 이송기구를 제어하며, 입력 받은 경조금 금액을 경조 봉투에 인쇄하도록 프린터를 제어하며, 경조 봉투의 양쪽 면을 스캔해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스캐너를 제어한다.

Description

경조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본 발명은 경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조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경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결혼식이나 장례식 등과 같은 각종 경조사에는 하객 또는 조문객(이하 '방문자'라 함)이 혼주 또는 상주(이하 '주최자'라 함)에게 축의금이나 조의금과 같은 경조금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주최자는 지인을 관리자로 두어 방문자로부터 경조금을 수납하며, 수납 내역을 장부에 기록하는 등의 경조 관리를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따르면, 관리자는 경조금을 경조 봉투로부터 인출해서 일일이 계수한 후, 계수된 금액과 방문자 정보와 같은 수납 내역을 장부에 수기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경조 관리가 번거롭고, 수납 및 정산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9868호(2011. 03. 02)
본 발명의 과제는 경조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수납 및 정산을 정확히 할 수 있는 경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조 관리 시스템은 하우징과, 봉투 이송기구와, 프린터와, 스캐너, 및 단말기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지폐나 수표와 같은 경조금이 인출된 빈 상태의 경조 봉투를 투입 받는 봉투 투입부, 및 봉투 투입부로부터 이송된 경조 봉투를 적재하는 봉투 적재부를 구비한다. 봉투 이송기구는 봉투 투입부로 투입된 경조 봉투를 봉투 적재부로 이송시킨다. 프린터는 봉투 투입부로부터 봉투 적재부로 경조 봉투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경조 봉투로부터 인출된 경조금 금액을 해당 경조 봉투에 인쇄한다. 스캐너는 프린터를 거친 경조 봉투의 양쪽 면을 스캔해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기는 봉투 투입부로부터 봉투 적재부로 경조 봉투를 이송시키도록 봉투 이송기구를 제어하며, 입력 받은 경조금 금액을 경조 봉투에 인쇄하도록 프린터를 제어하며, 경조 봉투의 양쪽 면을 스캔해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스캐너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조금 및 방문자 정보와 같은 수납 내역을 기록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경조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수납 및 정산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 계수기를 더 구비하여 경조금 계수 및 정산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경조 관리 시스템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프린터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A 영역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 봉투 푸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어서, 지폐 계수기가 더 포함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지폐 계수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8에 있어서, 도어 구동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8에 있어서, 지폐 수납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9에 있어서, 지폐 푸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조 관리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경조 관리 시스템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프린터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A 영역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 봉투 푸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경조 관리 시스템(1000)은 하우징(1100)과, 봉투 이송기구(1200)와, 프린터(1300)와, 스캐너(1400), 및 단말기(1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0)은 일측에 봉투 투입부(1110)가 구비되고, 타측에 봉투 적재부(1120)가 구비된다. 하우징(1100)은 상면에 봉투 투입부(1110)로부터 스캐너(1400)까지 경조 봉투(10)의 하측 부위를 끼운 상태로 경조 봉투(10)의 이송을 안내하는 봉투 가이드 홈(1130)이 형성될 수 있다.
봉투 투입부(1110)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경조금이 인출된 빈 상태의 경조 봉투(10)를 투입 받는다. 관리자는 경조금이 담긴 경조 봉투(10)를 받게 되면, 경조 봉투(10)로부터 경조금을 인출한 후, 빈 상태의 경조 봉투(10)를 봉투 투입부(1110)로 투입할 수 있다.
예컨대, 봉투 투입부(1110)는 봉투 안착 홈(1111) 및 봉투 푸셔(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봉투 안착 홈(1111)은 봉투 가이드 홈(1130)을 기준으로 전방 부위가 봉투 가이드 홈(1130)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방 부위가 수직되게 형성된다. 관리자는 봉투 안착 홈(1111)의 경사진 전방 부위를 통해 경조 봉투(10)를 봉투 가이드 홈(1130)에 손쉽게 투입할 수 있다. 봉투 투입부(1110)에는 봉투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봉투 투입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봉투 투입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는 단말기(1500)로 제공될 수 있다. 봉투 투입 센서는 광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봉투 푸셔(1112)는 봉투 안착 홈(1111)의 후방 부위에 경조 봉투(10)를 밀착시켜 수직으로 세운다. 따라서, 봉투 푸셔(1112)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봉투 가이드 홈(113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예컨대, 봉투 푸셔(1112)는 푸싱판(1113), 및 푸싱판 구동기(1114)를 포함한다.
푸싱판(1113)은 하단 부위가 하우징(1100)에 힌지 결합된다. 푸싱판(1113)은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봉투 안착 홈(1111)의 수직한 후방 부위에 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피벗 동작한다. 푸싱판 구동기(1114)는 솔레노이드 등의 선형 액추에이터(1114a), 및 선형 액추에이터(1114a)의 선형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 부재(1114b)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투 적재부(1120)는 봉투 투입부(1110)로부터 이송된 경조 봉투(10)를 적재한다. 예컨대, 봉투 적재부(1120)는 봉투 적재 홈(1121)과, 봉투 가이드 판(1122)과, 봉투 지지대(1123), 및 봉투 배출기구(1124)를 포함한다.
봉투 적재 홈(1121)은 하우징(1100)의 상면으로부터 봉투 가이드 홈(1130)의 저면까지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봉투 가이드 판(1122)은 스캐너(1400)를 거친 경조 봉투(10)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봉투 지지대(1123)로 안내한다. 봉투 지지대(1123)는 수직으로 세워진 경조 봉투(10)를 봉투 가이드 판(1122)과의 사이로 삽입시켜 지지한다. 봉투 지지대(1123)는 후방으로 1스텝씩 선형 이동하면서 봉투 가이드 판(1122)과의 사이로 경조 봉투(10)를 1장씩 삽입시킬 수 있다. 봉투 지지대(1123)는 선형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상태로 선형 액추에이터에 의해 선형 이동할 수 있다.
봉투 배출기구(1124)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100)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배출 롤러(1124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롤러(1124a)는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배출 롤러(1124a)들은 봉투 가이드 판(1122)의 통공을 통해 경조 봉투(10)와 맞닿게 배치된다.
봉투 이송기구(1200)는 봉투 투입부(1110)로 투입된 경조 봉투(10)를 봉투 적재부(1120)로 이송시킨다. 예컨대, 봉투 이송기구(1200)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100)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이송 롤러(1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롤러(1210)들 중 일부는 서로 맞물리게 배열될 수 있다. 이송 롤러(1210)는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이송 롤러(1210)들은 회전 모터에 의해 독립되게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이송 롤러(1210)들 중 하나는 봉투 투입부(1110)에서 봉투 푸셔(1112)의 푸싱판(1113)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경조 봉투(10)를 프린터(1300)로 진입시킬 수 있다.
프린터(1300)는 봉투 투입부(1110)로부터 봉투 적재부(1120)로 경조 봉투(10)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경조 봉투(10)로부터 인출된 경조금 금액을 해당 경조 봉투(10)에 인쇄한다. 또한, 프린터(1300)는 경조금 계수 작업 완료 후, 빈 봉투에 정산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예컨대, 프린터(1300)는 활자 원통(1310)과, 원통 구동기(1320)와, 잉크리본 공급기(1330)와, 인쇄키(1340), 및 인쇄키 구동기(1350)를 포함한다. 활자 원통(1310)은 원주 상에 활자가 배열된다. 활자는 경조금을 인쇄할 수 있는 숫자, 기호 등으로 구성된다.
원통 구동기(1320)는 활자 원통(1310)을 회전시킨다. 원통 구동기(1320)는 회전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잉크리본 공급기(1330)는 활자 원통(1310)과 경조 봉투(10) 사이로 잉크리본(1331)을 공급한다. 인쇄키(1340)가 경조 봉투(10)와 잉크리본(1331)을 사이에 두고 활자 원통(1310)의 활자를 타격할 때, 잉크리본(1331)은 인쇄키(1340)에 의해 타격되는 활자가 경조 봉투(10)에 인쇄되도록 한다.
잉크리본 공급기(1330)는 공급 릴에 감긴 잉크리본(1331)을 회수 릴에 회수시킴에 따라 잉크리본(1331)을 활자 원통(1310)과 경조 봉투(10) 사이로 공급할 수 있다. 회수 릴은 회전 모터 등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인쇄키(1340)는 경조 봉투(10)를 사이에 두고 활자 원통(1310)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활자 원통(1310)의 활자를 타격하도록 동작한다. 인쇄키 구동기(1350)는 인쇄키(1340)를 타격 동작시킨다. 인쇄키 구동기(1350)는 솔레노이드 등의 선형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린터(1300)에 의하면, 활자 원통(1310)의 활자가 경조금 금액에 맞게 원통 구동기(1320)에 의해 경조 봉투(10)에 차례로 위치될 때, 인쇄키(1340)가 활자를 타격함으로써, 경조 봉투(10)에 경조금 금액을 인쇄할 수 있다.
스캐너(1400)는 프린터(1300)를 거친 경조 봉투(10)의 양쪽 면을 스캔해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경조 봉투(10)는 관리자에게 전달되기 앞서,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방문자 정보가 기입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경조 봉투(10)는 관리자에게 전달된 후, 프린터(1300)에 의해 한쪽 면에 경조금 금액이 인쇄된다. 스캐너(1400)는 경조 봉투(10)의 양쪽 면을 스캔해서 방문자 정보와 경조금 금액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스캐너(1400)는 제1 지지 블록(1410)과, 제2 지지 블록(1420)과, 제1 이미지 센서(1430)와, 제2 이미지 센서(1440)와, 제1 지지 롤러 유닛(1450), 및 제2 지지 롤러 유닛(146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블록(1410)과 제2 지지 블록(1420)은 서로 간에 경조 봉투(10)를 끼우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2 지지 블록(1410, 1420)은 봉투 가이드 홈(1130)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110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1430)는 제1 지지 블록(1410)에 장착되어 경조 봉투(10)의 한쪽 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제1 이미지 센서(1430)는 센싱 부위가 경조 봉투(10)의 한쪽 면으로 노출되도록 제1 지지 블록(1410)에 장착된다. 제2 이미지 센서(1440)는 제1 이미지 센서(1430)와 어긋나게 위치된 상태로 제2 지지 블록(1420)에 장착되어 경조 봉투(10)의 반대쪽 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제2 이미지 센서(1440)는 센싱 부위가 경조 봉투(10)의 반대쪽 면으로 노출되도록 제2 지지 블록(1420)에 장착된다. 제1,2 이미지 센서(1430, 1440)는 CCD 등의 이미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롤러 유닛(1450)은 제1 지지 블록(1410)에 장착되어 경조 봉투(10)를 제2 지지 블록(1420)에 지지한다. 따라서, 경조 봉투(10)는 제2 지지 블록(1420)에 지지된 상태로 제2 이미지 센서(1440)에 의해 안정되게 스캔될 수 있다. 제2 지지 롤러 유닛(1460)은 제2 지지 블록(1420)에 장착되어 경조 봉투(10)를 제1 지지 블록(1410)에 지지한다. 따라서, 경조 봉투(10)는 제1 지지 블록(1410)에 지지된 상태로 제1 이미지 센서(1430)에 의해 안정되게 스캔될 수 있다. 제1,2 지지 롤러 유닛(1450, 1460)은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2 지지 블록(1410, 1420)에 장착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롤러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단말기(1500)는 봉투 투입부(1110)로부터 봉투 적재부(1120)로 경조 봉투(10)를 이송시키도록 봉투 이송기구(1200)를 제어하며, 입력 받은 경조금 금액을 경조 봉투(10)에 인쇄하도록 프린터(1300)를 제어하며, 경조 봉투(10)의 양쪽 면을 스캔해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스캐너(1400)를 제어한다. 예컨대, 단말기(1500)는 프로세서와, 디스플레이,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경조 관리 앱을 구동시킨다. 디스플레이는 경조 관리 앱의 실행시 경조 관리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터치 패널은 관리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터치해서 명령을 입력하게 한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경조 등록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경조명, 날짜, 장소 등을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수동 계수 입력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지폐나 수표를 수동으로 계수한 금액을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계수 진행 화면을 통해 경조 봉투(10)의 스캔 이미지와 해당 경조금 금액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조금 계수 작업이 완료된 후,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계수 정산 화면을 통해 정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빈 봉투를 봉투 투입부(1110)로 투입한 후, 계수 정산 화면에 표시된 확인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프린터(1300)에 의해 빈 봉투에 정산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단말기(1500)는 경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경조 관리 시스템(1000)은 USB 저장장치와 접속되는 USB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1500)의 메모리에 저장된 경조 정보는 USB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USB 저장장치에 저장된 경조 정보는 경조 서비스 앱에 사용될 수 있다. 경조 서비스 앱은 개인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다. 경조 서비스 앱은 경조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경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1500)는 경조 관리 시스템(1000)을 위한 전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기(1500)는 스마트 폰 또는 터치 패드 등과 같은 개인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경조 관리 시스템(1000)은 회로보드를 구비하며, 단말기(1500)는 통신 케이블에 의해 경조 관리 시스템(1000)의 회로 보드와 연결될 수 있다. 경조 관리 시스템(1000)은 전원 모듈을 구비하며, 전원 케이블에 의해 상용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조 관리 시스템(1000)은 지폐 계수기(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폐 계수기(1600)는 하우징(1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지폐 계수기(1600)는 경조 봉투(10)로부터 인출된 지폐(20)를 계수하며, 계수한 정보를 단말기(1500)로 제공한다. 관리자가 지폐(20)를 일일이 세지 않고, 지폐 계수기(1600)가 지폐(10)를 자동으로 계수해서 단말기(1500)로 제공하므로, 수납 및 정산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지폐 계수기(1600)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지폐 계수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8에 있어서, 도어 구동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8에 있어서, 지폐 수납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9에 있어서, 지폐 푸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폐 계수기(1600)는 케이스(1610)와, 투입구 도어(1620)와, 도어 구동기구(1630)와, 가압 블록(1640)과, 지폐 이송기구(1650)와, 지폐 인식기(1660), 및 지폐 적재부(1670)를 포함한다.
케이스(1610)는 상부에 지폐 투입구(1611)가 형성된다. 지폐 투입구(1611)는 관리자로부터 지폐(20)를 투입 받는다. 지폐 투입구(1611)는 케이스(1610)의 상부 개구를 통해 삽입된 지폐 투입함(1612)에 형성될 수 있다. 지폐 투입구(1611)는 지폐 투입함(1612)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폐 투입함(1612)는 지폐 이송기구(1650)를 향한 부위에 지폐(20)를 배출하기 위한 홀을 갖는다.
지폐 투입구(1611)에는 지폐(20)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610)는 지폐 이송기구(1650)와 지폐 적재부(1670)와 대응되는 상면 부위가 개구되고, 그 개구 부위가 도어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투입구 도어(1620)는 지폐 투입구(1611)를 개폐하도록 동작한다. 투입구 도어(1620)는 후단 부위가 지폐 투입구(1611)의 주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투입구 도어(1620)는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피벗 동작함에 따라 지폐 투입구(1611)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 구동기구(1630)는 투입구 도어(1620)를 개폐 동작시킨다. 예컨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구동기구(1630)는 회전 모터(1631)와, 캠(1632)과, 가이드 블록(1633)과, 로드 부재(1634), 및 탄성부재(1635)를 포함할 수 있다.
캠(1632)은 회전 모터(1631)의 구동축에 고정된다. 가이드 블록(1633)은 캠(1632)에 편심되어 고정된다. 로드 부재(1634)는 한쪽 단이 투입구 도어(1620)에 힌지 결합된다. 로드 부재(1634)는 가이드 블록(1633)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끼워지며, 탄성부재(163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 모터(1631)에 의해 캠(1632)이 정,역 회전하면, 로드 부재(1634)가 가이드 블록(1633)을 따라 왕복 이동해서 투입구 도어(1620)를 개폐 동작시킬 수 있다. 투입구 도어(1620)에는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투입구 도어(1620)는 토션 스프링 등에 의해 지폐 투입구(1611)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가압 블록(1640)은 투입구 도어(1620)의 하측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지폐 투입구(1611) 내의 지폐를 가압한다. 즉, 투입구 도어(1620)가 지폐 투입구(1611)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압 블록(1640)은 지폐 투입구(1611) 내의 지폐를 탄성력에 의해 가압한다. 따라서, 맨 아래에 위치되는 지폐(20)는 지폐 투입구(1611)의 저면에 밀착되어 지폐 이송기구(1650)에 의해 원활히 이송될 수 있다. 가압 블록(1640)과 투입구 도어(1620)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1641)이 설치될 수 있다.
지폐 이송기구(1650)는 지폐 투입구(1611)로 투입된 지폐(20)를 1장씩 지폐 적재부(1670)로 이송시킨다. 지폐 이송기구(1650)는 인출 유닛(1651), 및 이송 유닛(165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출 유닛(1651)은 지폐 투입구(1611)로 투입된 지폐(20)를 맨 아래부터 1장씩 인출한다. 예컨대, 인출 유닛(1651)은 한 쌍의 이송 컨베이어(1651a)들, 및 한 쌍의 인출 롤러(1651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651a)들은 지폐(20)의 장변 부위들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송 컨베이어(1651a)들은 각 일부분이 지폐 투입구(1611) 내에 위치되어 지폐 투입구(1611) 내의 지폐(20)를 얹어서 인출시킬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651a)들은 연동축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인출 롤러(1651b)들은 이송 컨베이어(1651a)들의 각 상측에 위치된다. 인출 롤러(1651b)들은 이송 컨베이어(1651a)들과의 사이로 지폐(20)를 인출시킨다. 인출 롤러(1651b)들은 지폐(20)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맨 아래의 지폐(20)를 제외한 지폐(20)가 인출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인출 롤러(1651b)들은 연동축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651a)와 인출 롤러(1651b)는 회전 모터(1653)의 회전력을 기어 세트(1654)에 의해 전달받아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이송 유닛(1652)은 인출 유닛(1651)에 의해 인출된 지폐(20)를 지폐 적재부(1670)로 이송시킨다. 예컨대, 이송 유닛(1652)은 상측 이송 롤러(1652a, 1652b)들, 및 하측 이송 롤러(1652c)들을 포함한다. 상측 이송 롤러(1652a, 1652b)들은 인출 롤러(1651b)들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측 이송 롤러(1652a, 1652b)들은 지폐(20)의 장변 부위들에 각각 대응되게 2열로 배열된다. 한쪽 열의 상측 이송 롤러(1652a, 1652b)들은 다른 열의 상측 이송 롤러(1652a, 1652b)들과 연동축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상측 이송 롤러(1652a, 1652b)들 중 인출 롤러(1651b)들과 가장 가까운 제1 상측 이송 롤러(1652a)들은 이송 컨베이어(1651a)와의 사이에 지폐(20)를 끼워서 이송시키며, 나머지의 제2 상측 이송 롤러(1652b)들은 하측 이송 롤러(1652c)들과의 사이에 지폐(20)를 끼워서 이송시킬 수 있다.
제1 상측 이송 롤러(1652a)들은 이송 컨베이어(1651a)에 종속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2 상측 이송 롤러(1652b)들은 회전 모터(1653)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제2 상측 이송 롤러(1652b)들 중 하나는 회전 모터(1653)와 연결된 기어 세트(1654)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은 후, 벨트(1655a)와 풀리(1655b)에 의해 나머지 제2 상측 이송 롤러(1652b)들로 전달할 수 있다. 인출 롤러(1651b), 및 상,하측 이송 롤러(1652a, 1652b, 1652c)의 각 구름면은 고무나 우레탄 등의 재질로 감싸질 수 있다.
하측 이송 롤러(1652c)들은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하측 이송 롤러(1652c)들은 제2 상측 이송 롤러(1652b)들에 종속되어 회전할 수 있다. 한쪽 열의 하측 이송 롤러(1652c)들은 다른 열의 하측 이송 롤러(1652c)들과 연동축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지폐 인식기(1660)는 지폐 투입구(1611)로부터 지폐 적재부(167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지폐(20)의 수량 및 종류 정보를 인식해서 단말기(1500)로 제공한다. 지폐(20)는 종류에 따라 장변 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지폐 인식기(1660)는 지폐(20)의 장변 길이를 측정한 정보를 단말기(1500)로 제공해서 지폐(20)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지폐 인식기(1660)는 광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폐 인식기(1660)는 지폐(20)의 이송시 지폐(20)의 단변을 인식하도록 배치된다. 지폐 인식기(1660)는 지폐(20)의 이송시 지폐(20)의 한쪽 단변을 감지한 후 지폐(20)의 다른 쪽 단변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말기(15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500)는 지폐(20)의 양쪽 단변들을 감지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지폐(20)의 이송 속도를 기초로, 지폐(20)의 장변 길이를 산출하고 그에 따라 지폐(20)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500)는 지폐 인식기(1660)에 의해 지폐(20)의 이송 여부를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지폐(20)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기(1500)는 지폐(20)의 종류와 수량을 기초로 경조금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지폐 적재부(1670)는 지폐 투입구(1611)로부터 이송된 지폐(20)들을 적재한다. 예컨대, 지폐 적재부(1670)는 지폐 수납함(1671)과, 지폐 배출기구(1672), 및 지폐 푸셔(1673)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수납함(1671)은 상부 개구 주변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지폐(20)의 장변 부위들을 각각 얹어서 지지하는 가동 편(1671a)들이 구비된다. 가동 편(1671a)들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받을 수 있다. 가동 편(1671a)들은 수평 상태에서 하방으로만 젖혀지도록 구속된다. 지폐(20)가 가동 편(1671a)들에 얹어진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지폐 푸셔(1673)에 의해 눌러지면, 가동 편(1671a)들은 하방으로 젖혀져 지폐(20)가 지폐 수납함(1671)으로 수납되도록 한다.
지폐 수납함(1671)은 내부에 지폐 받침 판(1671b)을 갖는다. 지폐 받침 판(1671b)은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지폐(20)는 지폐 받침 판(1671b)에 적재된 상태에서 지폐 수납함(1671)의 상부 개구에 가깝게 정렬되므로, 관리자가 지폐(20)를 손쉽게 꺼낼 수 있다. 지폐 수납함(1671)은 케이스(1610)의 앞면 개구를 통해 수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케이스(1610)는 여분의 지폐 수납함이 앞면 개구를 통해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폐 배출기구(1672)는 지폐 이송기구(1650)로부터 이송된 지폐(20)를 지폐 수납함(1671)의 상측으로 배출한다. 지폐 배출기구(1672)는 배출된 지폐(20)의 장변 부위들을 각각 지지한다. 예컨대, 지폐 배출기구(1672)는 지지 편(1672a)들, 및 배출 컨베이어(1672b)들을 포함한다.
지지 편(1672a)들은 지폐(20)의 장변 부위들을 각각 얹어서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지지 편(1672a)들에 얹어진 지폐(20)는 지폐 푸셔(1673)에 의해 상부로부터 눌러지면 지폐 수납함(1671) 쪽으로 낙하할 수 있다. 배출 컨베이어(1672b)들은 지지 편(1672a)들의 각 상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배출 컨베이어(1672b)는 지지 편(1672a)과의 사이로 지폐(20)를 유입시켜 지폐 수납함(1671)의 상측으로 배출시킨다. 배출 컨베이어(1672b)는 지폐 이송기구(16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지폐 배출기구(1672b)는 지폐 이송기구(1650)로부터 이송되는 지폐(20)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지폐 푸셔(1673)는 지폐 수납함(1671)의 상측으로 지폐(20)가 이송될 때마다 지폐(20)를 푸싱하여 지폐 배출기구(1672)로부터 가동 편(1671a)들 상으로 1장씩 적재한다. 또한, 지폐 푸셔(1673)는 지폐 수납함(1671)의 상측으로 최종 지폐(20)가 배출되면 최종 지폐(20)를 푸싱하여 가동 편(1671a)들 상의 지폐(20)와 함께 지폐 수납함(1671)에 수납한다. 예컨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푸셔(1673)는 푸싱 부재(1674), 및 한 쌍의 푸싱 구동기구(1675)들을 포함한다.
푸싱 부재(1674)는 지폐 배출기구(1672)의 중앙을 통해 승강 동작한다. 푸싱 부재(1674)는 지폐 수납함(1671)의 상부 개구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푸싱 구동기구(1675)들은 제1 레버(1675a)와, 제2 레버(1675b), 및 제1 레버 구동기를 각각 포함한다. 제1 레버(1675a)는 제2 상측 이송 롤러(1652b)와 가까운 제1 단이 케이스 브래킷(1613)의 수평 장홀(1613a)에 끼워져 선형 이동하도록 안내되며, 반대쪽 제2 단이 푸싱 부재(1674)에 힌지 결합된다. 제1 레버(1675a)의 중앙이 제2 레버(1675b)의 중앙에 힌지 결합된다. 제2 레버(1675b)는 제2 상측 이송 롤러(1652b)와 가까운 제1 단이 푸싱 부재(1674)의 수평 장홀(1674a)에 끼워져 선형 이동하도록 안내되며, 반대쪽 제2 단이 케이스 브래킷(1613)에 힌지 결합된다.
제1 레버 구동기는 링크 부재(1675c) 및 회전 롤러(1675d)를 포함한다. 링크 부재(1675c)는 제1 단이 회전 샤프트를 통해 제1 레버(1675a)의 제1 단에 동축으로 힌지 결합되며, 제2 단이 회전 롤러(1675d)에 편심된 상태로 힌지 결합된다. 회전 롤러(1675d)가 회전 구동하면, 링크 부재(1675c)는 제1 레버(1675a)의 제1 단을 케이스 브래킷(1613)의 수평 장홀(1613a)을 따라 선형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1 레버(1675a)의 제2 단이 하강하고, 제2 레버(1675b)의 제1 단이 푸싱 부재(1674)의 수평 장홀(1674a)을 따라 선형 이동하면서 하강한다. 그 결과, 푸싱 부재(1674)가 하강 동작할 수 있다.
회전 롤러(1675d)는 회전 모터(1653)로부터 제2 상측 이송 롤러(1652b)를 거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롤러(1675d)는 원웨이 베어링을 장착할 수 있다. 회전 모터(1653)가 지폐(20)를 이송시키는 회전력 방향을 정방향이라고 정의한다면, 원웨이 베어링은 회전 모터(1653)가 역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때만 회전 롤러(1675d)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기어 세트(1654)에는 클러치(1657)가 포함될 수 있다. 클러치(1657)는 회전 모터(1653)가 정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때 이송 컨베이어(1651a)와 인출 롤러(1651b)로 회전 모터(1653)의 회전력을 전달하지만, 회전 모터(1653)가 역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때 이송 컨베이어(1651a)와 인출 롤러(1651b)로 회전 모터(1653)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클러치(1657)는 통상적인 전자식 클러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경조 관리 시스템(1000)의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리자는 단말기(1500)의 경조 관리 앱을 실행시킨 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경조 등록 화면에 경조명, 날짜, 장소 등을 입력해 둠으로써, 방문자로부터 경조금을 받을 준비를 한다. 이때, 지폐 투입구(1611)는 투입구 도어(1620)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방문자가 방문자 정보가 기입된 경조 봉투(10)에 경조금을 넣어서 관리자에게 전달하면, 관리자는 경조 봉투(10)로부터 경조금을 인출한 후, 빈 상태의 경조 봉투(10)를 봉투 투입부(1611)에 투입한다.
그리고, 관리자는 인출된 경조금이 지폐(20)인 경우, 지폐(20)를 지폐 계수기(1600)의 지폐 투입구(1611)에 투입한다. 그러면, 지폐 투입구(1611)는 투입구 도어(1620)에 의해 폐쇄된다. 이후, 지폐 투입구(1611) 내의 지폐(20)는 지폐 이송기구(1650)에 의해 지폐 적재부(1670)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지폐 인식기(1660)에 의해 지폐(20)의 종류와 수량이 인식되어 경조금 금액이 계수된다. 이후, 지폐 적재부(1670)로 이송되어 지폐 수납함(1671)에 수납된다. 만일, 경조금이 수표인 경우,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에 수동 계수 입력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 후, 수동으로 계수한 금액을 단말기(1500)에 입력한다.
그러면, 봉투 투입부(1110)에 투입된 경조 봉투(10)는 봉투 이송기구(1200)에 의해 프린터(1300)와 스캐너(1400)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프린터(1300)는 단말기(1500)로 입력된 경조금 금액을 경조 봉투(10)에 인쇄한다. 스캐너(1400)는 경조 봉투(10)의 양쪽 면을 스캔해서 방문자 정보와 경조금 금액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면, 단말기(15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계수 진행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계수 진행 화면에는 경조 봉투(10)의 스캔 이미지와 해당 경조금 금액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관리자는 방문자로부터 경조금을 전달받을 때마다, 전술한 작업을 반복 수행한다. 이후, 경조금 계수 작업이 완료되면,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에 계수 정산 화면이 표시되게 한다. 그리고, 관리자는 빈 봉투를 봉투 투입부(1110)로 투입한 후, 계수 정산 화면에 표시된 확인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프린터(1300)에 의해 빈 봉투에 정산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0..하우징 1110..봉투 투입부
1120..봉투 적재부 1130..가이드 홈
1200..봉투 이송기구 1300..프린터
1400..스캐너 1500..단말기
1600..지폐 계수기 1610..케이스
1620..투입구 도어 1630..도어 구동기구
1640..가압 블록 1650..지폐 이송기구
1660..지폐 인식기 1670..지폐 적재부

Claims (10)

  1. 지폐나 수표를 포함하는 화폐 형태의 경조금이 인출된 빈 상태의 경조 봉투를 투입 받는 봉투 투입부, 및 상기 봉투 투입부로부터 이송된 경조 봉투를 적재하는 봉투 적재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봉투 투입부로 투입된 경조 봉투를 상기 봉투 적재부로 이송시키는 봉투 이송기구;
    상기 봉투 투입부로부터 상기 봉투 적재부로 경조 봉투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경조 봉투로부터 인출된 경조금 금액을 해당 경조 봉투에 인쇄하는 프린터;
    상기 프린터를 거친 경조 봉투의 양쪽 면을 스캔해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스캐너; 및
    상기 봉투 투입부로부터 상기 봉투 적재부로 경조 봉투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봉투 이송기구를 제어하며, 입력 받은 경조금 금액을 경조 봉투에 인쇄하도록 상기 프린터를 제어하며, 경조 봉투의 양쪽 면을 스캔해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스캐너를 제어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경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경조 봉투로부터 인출된 지폐를 계수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지폐 계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계수기는,
    상부에 지폐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지폐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투입구 도어와,
    상기 투입구 도어를 개폐 동작시키는 도어 구동기구와,
    상기 투입구 도어의 하측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상기 지폐 투입구 내의 지폐를 가압하는 가압 블록과,
    상기 지폐 투입구로부터 이송된 지폐들을 적재하는 지폐 적재부와,
    상기 지폐 투입구로 투입된 지폐를 1장씩 상기 지폐 적재부로 이송시키는 지폐 이송기구, 및
    상기 지폐 투입구로부터 지폐 적재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지폐의 수량 및 종류 정보를 인식해서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지폐 인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인식기는,
    지폐의 장변 길이를 측정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해서 지폐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이송기구는,
    상기 지폐 투입구로 투입된 지폐를 맨 아래부터 1장씩 인출하는 인출 유닛, 및
    상기 인출 유닛에 의해 인출된 지폐를 상기 지폐 적재부로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 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적재부는,
    상부 개구 주변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지폐의 장변 부위들을 각각 얹어서 지지하는 가동 편들이 구비된 지폐 수납함;
    상기 지폐 이송기구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상기 지폐 수납함의 상측으로 배출하며, 배출된 지폐의 장변 부위들을 각각 얹어서 지지하는 지폐 배출기구; 및
    상기 지폐 수납함의 상측으로 지폐가 이송될 때마다 지폐를 푸싱하여 상기 지폐 배출기구로부터 상기 가동 편들 상으로 1장씩 적재하며, 상기 지폐 수납함의 상측으로 최종 지폐가 배출되면 최종 지폐를 푸싱하여 상기 가동 편들 상의 지폐와 함께 상기 지폐 수납함에 수납하는 지폐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에 상기 봉투 투입부로부터 상기 스캐너까지 경조 봉투의 하측 부위를 끼운 상태로 경조 봉투의 이송을 안내하는 봉투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봉투 투입부는,
    상기 봉투 가이드 홈을 기준으로 전방 부위가 상기 봉투 가이드 홈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방 부위가 수직되게 형성된 봉투 안착 홈, 및
    상기 봉투 안착 홈의 후방 부위에 경조 봉투를 밀착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봉투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서로 간에 경조 봉투를 끼우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지지 블록 및 제2 지지 블록과,
    상기 제1 지지 블록에 장착되어 경조 봉투의 한쪽 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와 어긋나게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2 지지 블록에 장착되어 경조 봉투의 반대쪽 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1 지지 블록에 장착되어 경조 봉투를 상기 제2 지지 블록에 지지하는 제1 지지 롤러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블록에 장착되어 경조 봉투를 상기 제1 지지 블록에 지지하는 제2 지지 롤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원주 상에 활자가 배열된 활자 원통과,
    상기 활자 원통을 회전시키는 원통 구동기와,
    상기 활자 원통과 경조 봉투 사이로 잉크리본을 공급하는 잉크리본 공급기와,
    경조 봉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활자 원통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상기 활자 원통의 활자를 타격하도록 동작하는 인쇄키, 및
    상기 인쇄키를 타격 동작시키는 인쇄키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경조 관리 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서와, 상기 경조 관리 앱의 실행시 경조 관리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관리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터치해서 명령을 입력하게 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 관리 시스템.
KR1020150153941A 2015-11-03 2015-11-03 경조 관리 시스템 KR101686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941A KR101686984B1 (ko) 2015-11-03 2015-11-03 경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941A KR101686984B1 (ko) 2015-11-03 2015-11-03 경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984B1 true KR101686984B1 (ko) 2016-12-15

Family

ID=5757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941A KR101686984B1 (ko) 2015-11-03 2015-11-03 경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9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800A (ko) * 2001-02-28 2002-09-05 주식회사 제일컴테크 다량 기록관리 우편물의 자동지원 접수처리 장치
KR100629008B1 (ko) * 2005-07-01 2006-09-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봉투입금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110019868A (ko) 2009-08-21 2011-03-02 김철중 경조사비 수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조사비 수납방법
KR101102886B1 (ko) * 2011-09-27 2012-01-10 이제혁 경조금 정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800A (ko) * 2001-02-28 2002-09-05 주식회사 제일컴테크 다량 기록관리 우편물의 자동지원 접수처리 장치
KR100629008B1 (ko) * 2005-07-01 2006-09-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봉투입금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110019868A (ko) 2009-08-21 2011-03-02 김철중 경조사비 수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조사비 수납방법
KR101102886B1 (ko) * 2011-09-27 2012-01-10 이제혁 경조금 정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165B2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CN100507957C (zh) 纸币处理装置及其控制系统
US8016186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a cassette apparatus
KR101911711B1 (ko) 자동 금융거래 단말기를 위한 코어 모듈
JP5632092B2 (ja) 紙葉類取扱装置搬送機構
KR100711316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장치
JP4545575B2 (ja) 紙幣取込装置
JP6259602B2 (ja) 紙葉類結束装置
KR101686984B1 (ko) 경조 관리 시스템
CN115188126A (zh) 信息终端
KR20060024553A (ko) 무인 우편물 접수기
JP5216258B2 (ja) 景品読取装置
JP4230415B2 (ja) カード受け入れ収納装置
KR101435746B1 (ko)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KR101387449B1 (ko)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JP6152780B2 (ja) 小束収納庫及び小束処理装置
KR20100038698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2525381B2 (ja) 紙幣循環装置
KR10169963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JP4114997B2 (ja) 多種紙葉類の搬入、分納、排出装置
KR101772770B1 (ko)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JP5226254B2 (ja) 景品読取装置
KR101616963B1 (ko)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JP6206170B2 (ja) 小束処理装置
JPS58161077A (ja) カ−ド取引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