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449B1 -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449B1
KR101387449B1 KR1020120107682A KR20120107682A KR101387449B1 KR 101387449 B1 KR101387449 B1 KR 101387449B1 KR 1020120107682 A KR1020120107682 A KR 1020120107682A KR 20120107682 A KR20120107682 A KR 20120107682A KR 101387449 B1 KR101387449 B1 KR 10138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printing
media
picku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961A (ko
Inventor
김정훈
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to KR102012010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4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용지를 이송하며 판독, 인자, 분류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용지의 이송을 위한 제1구동모터(11)와 제2구동모터(12)를 지니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트레이(21)와 픽업커버(22)를 구비하고, 매체용지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픽업부(20); 상기 픽업부(20)의 하류측에 스캐너(32)를 구비하고, 제1구동모터(11)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판독부(30); 상기 판독부(30)의 하류측에 프린터(42)를 구비하고, 제2구동모터(12)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인자부(40); 상기 인자부(40)의 하류측에 분류판(52)을 구비하고, 제2구동모터(12)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분류부(50); 및 상기 픽업부(20), 판독부(30), 인자부(40), 분류부(50)에서 설정된 경로로 매체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안내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매수로 투입되는 매체용지를 판독하는 공정과 인자 후 분류하는 공정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이고 병렬적인 처리를 수행하여 처리속도를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Apparatus for reading, printing and sorting media paper}
본 발명은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크기와 매수로 투입되는 매체용지를 판독하는 공정과 인자 후 분류하는 공정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이고 병렬적인 처리를 수행하여 처리속도를 향상하는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 각 분야에서 자동화시스템의 도입이 증가되는 환경에 더하여 통신융합 기술이 발전되면서 금융서비스 분야에서 유가증권, 복권 등의 각종 매체용지를 취급하는 작업의 생력화 정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되는 국내 선행특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76617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79627호 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는 수납된 수표를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수표의 데이터를 읽어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기 위한 판독모듈과, 상기 수표를 이미지화시키기 위한 스캔모듈과, 상기 컨트롤러에 의한 분류에 따른 마크를 수표에 인쇄하기 위한 마킹모듈과, 상기 수표에 배서를 위한 배서날인부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한 분류에 따라 수표를 소팅하여 분리 수납시키기 위한 소팅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처리로 업무 능률을 향상과 업무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의 선행특허는 복권서버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통신모듈;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복권 구매선택사항을 상기 복권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요청하는 승인처리부; 복권용지에 복권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팅수단; 투입된 복권으로부터 복권정보를 판독한 후 당첨여부를 판정하는 판독처리부; 재발매, 계좌입금 혹은 포인트적립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환급처리를 수행하는 환급처리부;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즉석복권을 비롯하여 추첨식복권, 로또복권 등 각종의 복권에 대한 자동판매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수표나 복권을 하나의 구동원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므로 정산을 위한 통신 공정에서 대기하는 동안 다른 부분에서 정지되어 다량의 매체용지에 대한 신속한 처리에 한계를 보인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76617호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공개일자 : 2011. 10. 25.)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79627호 "복권의 발매 및 환급을 위한 복권자동판매기"(공개일자 : 2003. 10. 10.)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와 매수로 투입되는 매체용지를 판독하는 공정과 인자 후 분류하는 공정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이고 병렬적인 처리를 수행하여 처리속도를 향상하는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용지의 이동 도중에 잼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부분을 즉시 개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체용지를 이송하며 판독, 인자, 분류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용지의 이송을 위한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를 지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트레이와 픽업커버를 구비하고, 매체용지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픽업부; 상기 픽업부의 하류측에 스캐너를 구비하고, 제1구동모터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판독부; 상기 판독부의 하류측에 프린터를 구비하고, 제2구동모터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인자부; 상기 인자부의 하류측에 분류판을 구비하고, 제2구동모터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분류부; 및 상기 픽업부, 판독부, 인자부, 분류부에서 설정된 경로로 매체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안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픽업부의 픽업커버는 레버와 힌지축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는 로크편에 의하여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독부는 레버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판독커버를 구비하고, 레버는 로크링크와 로크핀에 의해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자부는 레버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인자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로크링크와 로크핀에 의해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류부는 레버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분류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로크링크와 로크핀에 의해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안내수단은 픽업부의 픽업롤러를 구동하는 픽업벨트, 판독부에 설치되는 판독벨트, 인자부에 설치되는 인자벨트, 분류부에 설치되는 배출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구동모터의 제1구동벨트는 제1구동핸들에 의하여 수동 구동이 가능하고, 제2구동모터의 제2구동벨트는 제2구동핸들에 의하여 수동 구동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와 매수로 투입되는 매체용지를 판독하는 공정과 인자 후 분류하는 공정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이고 병렬적인 처리를 수행하여 처리속도를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측면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타측면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매체용지의 이송경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픽업부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판독부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인자부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분류부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매체용지를 이송하며 판독, 인자, 분류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매체용지는 현금, 수표와 같은 유가증권은 물론 로또 복권, 스포츠 복권, 마권 등의 복권류를 포함한다. 특히 후자의 복권류는 OCR 방식으로 번호를 기록하는 마크시트와, 마크시트의 정보에 의하여 발행되는 티켓에 대한 처리를 요한다. 유가증권은 정산을 위해 외부와의 통신처리를 수반하고, 복권류는 당첨 확인을 위해 외부와의 통신처리를 수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체용지의 이송을 위한 제1구동모터(11)와 제2구동모터(12)를 프레임(10) 상에 지닌다. 프레임(10)은 경박단소의 설계를 지향하여 후술하는 주요 작동부를 밀집적으로 구비한다. 제1구동모터(11)는 프레임(10)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고, 다수의 풀리를 개재하여 제1구동벨트(13)를 구동한다. 제2구동모터(12)는 프레임(1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고, 다수의 풀리를 개재하여 제2구동벨트(14)를 구동한다. 여기서, 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은 매체용지가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용지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픽업부(20)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트레이(21)와 픽업커버(22)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트레이(21)는 프레임(10)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고, 다수의 매체용지를 수납한 상태로 픽업롤러(25)로 낱장 이송한다. 픽업롤러(25)는 트레이(21)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픽업커버(2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픽업롤러(25)는 매체용지의 정확한 급지를 위해 별도의 모터(도시 생략)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구동모터(11)의 제1구동벨트(13)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픽업부(20)의 픽업커버(22)는 레버(24)와 힌지축(23)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24)는 로크편(27)에 의하여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픽업커버(22)가 전방으로 개폐되도록 힌지축(23)은 픽업커버(22)의 후방에 배치한다. 픽업커버(22)의 상면에는 원형봉 구조의 레버(24)를 전후방 운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레버(24)의 양단은 트레이(21)를 수용한 프레임(10)의 로크편(27) 상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정상작동시 레버(24)의 양단이 로크편(27)에 맞물려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레버(24)를 전방으로 당기면 로크편(27)을 이탈하여 픽업커버(22)의 개방이 가능하다. 픽업커버(22)를 개방하면 트레이(21)를 비롯한 주요부에 대한 점검과 매체용지의 걸림해소가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구동모터(11)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판독부(30)가 상기 픽업부(20)의 하류측에 스캐너(32)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픽업부(20)가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반면, 판독부(30)는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판독부(30)의 스캐너(32)는 매체용지의 전면과 이면을 동시에 판독하도록 설치된다. 판독부(30)에서 제1구동모터(11)에 의한 매체용지 이송은 후술하는 이송안내수단(60)을 참조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판독부(30)는 레버(34)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판독커버(31)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34)는 로크링크(36)와 로크핀(37)에 의해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독커버(31)가 상방으로 개폐되도록 힌지축(33)은 하단에 배치한다. 판독커버(31)의 상단 후방으로 레버(34)가 설치되고, 레버(34)의 회전축의 단부에 로크링크(36)가 연동하도록 설치된다. 로크링크(36)는 정상작동시 프레임(10) 상의 로크핀(37)에 탄성적으로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판독부(30)에 매체용지의 걸림이 발생하면 레버(34)를 후방으로 밀어 로크링크(36)와 로크핀(37)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한편, 판독부(30)는 매체용지의 2매 이송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2매 이상의 매체용지가 검출되면 후속된 처리에 에러가 발생하므로 이송을 정지하고 경보를 출력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2구동모터(12)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인자부(40)가 상기 판독부(30)의 하류측에 프린터(42)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인자부(40)는 전술한 판독부(30)에서 배출된 매체용지를 수평상태로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인자부(40)에 설치되는 프린터(42)는 써멀프린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자부(40)에서 제2구동모터(12)에 의한 매체용지 이송은 후술하는 이송안내수단(60)을 참조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인자부(40)는 레버(44)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인자대(41)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44)는 로크링크(46)와 로크핀(47)에 의해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자대(41)가 전방으로 개폐되도록 힌지축(43)은 후방에 배치한다. 인자대(4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크링크(46)는 상단으로 레버(44)를 구비하고 하단으로 로크핀(47)에 맞물린다. 정상작동시 로크링크(46)는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로크핀(47)과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인자부(40)에서 매체용지의 걸림이 발생하면 레버(44)를 후방으로 밀어 로크링크(46)와 로크핀(47)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2구동모터(12)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분류부(50)가 상기 인자부(40)의 하류측에 분류판(52)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분류부(50)는 전술한 인자부(40)에서 배출된 매체용지를 수직으로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분류부(50)는 별도의 모터(도시 생략)로 구동되는 분류판(52)에 의하여 매체용지를 도 3처럼 다수의 경로(P1)(P2)(P3) 중의 하나로 배출한다. 각각의 배출경로(P1)(P2)(P3)는 당첨 티켓, 낙첨 티켓, 불량 티켓을 구분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에 국하되지 않고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분류부(50)에서 제2구동모터(12)에 의한 매체용지 이송은 후술하는 이송안내수단(60)을 참조한다.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분류부(50)는 레버(54)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분류대(51)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54)는 로크링크(56)와 로크핀(57)에 의해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류대(51)가 전방으로 개폐되도록 힌지축(53)은 후방으로 배치한다. 힌지축(53)은 매체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고무롤러(66)(67)의 회전축을 사용한다. 레버(54)의 내단에는 로크링크(56)를 연동하도록 연결하고, 로크링크(56)에 맞물리는 로크핀(57)을 프레임(10) 상에 설치한다. 분류부(50)에서 매체용지의 걸림이 발생하면 레버(54)를 들어 로크링크(56)와 로크핀(57)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동일한 도면부호에 표시된 "′"는 픽업커버(22), 판독커버(31), 인자대(41), 분류대(51)의 개방후 상태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안내수단(60)이 상기 픽업부(20), 판독부(30), 인자부(40), 분류부(50)에서 설정된 경로로 매체용지의 이송을 안내한다. 이송안내수단(60)은 도 3의 투입경로(P0)에서 배출경로(P1)(P2)(P3)에 이르기까지 매체용지의 안정적 이송을 유도한다.
이때, 상기 이송안내수단(60)은 픽업부(20)의 픽업롤러(25)를 구동하는 픽업벨트(62), 판독부(30)에 설치되는 판독벨트(63), 인자부(40)에 설치되는 인자벨트(64), 분류부(50)에 설치되는 배출벨트(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픽업벨트(62)는 전방과 후방의 픽업롤러(25) 사이에 연결된다. 판독벨트(63)는 상측의 벨트와 하측의 벨트를 인접하여 배치하고, 하측의 벨트는 제1구동벨트(13)와 하나의 풀리를 공유한다. 인자벨트(64)는 상측의 벨트와 하측의 벨트를 인접하여 배치하고, 하측의 벨트는 제2구동벨트(14)와 하나의 풀리를 공유한다. 배출벨트(65)는 전방의 벨트와 후방의 벨트를 인접하여 배치하고, 후방의 벨트는 제2구동벨트(14)와 하나의 풀리를 공유한다. 이에 따라, 제1구동모터(11)의 구동력은 제1구동벨트(13)를 통하여 판독벨트(63)에 전달되고, 제2구동모터(12)의 구동력은 제2구동벨트(14)를 통하여 인자벨트(64)와 배출벨트(65)에 동시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매체용지의 이송이 제1구동모터(11)와 제2구동모터(12)에 의하여 병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픽업부(20)에서 매체용지가 낱장으로 이송되고 판독부(30)를 거치면서 판독이 이루어지며, 판독 과정에서 외부와 통신하는 대기 시간동안 이전에 인자부(40)로 이송된 매체용지는 분류부(50)를 거쳐 배출된다. 종래의 경우 판독을 위한 통신 중에 매체용지가 전체적으로 정지되므로 결국 처리속도를 향상하는데 한계성을 보인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구동모터(11)의 제1구동벨트(13)는 제1구동핸들(15)에 의하여 수동 구동이 가능하고, 제2구동모터(12)의 제2구동벨트(14)는 제2구동핸들(16)에 의하여 수동 구동이 가능하다. 도 2에서, 제1구동핸들(15)은 제1구동벨트(13)를 이루는 풀리 중의 하나에 연결하고, 제2구동핸들(16)은 제2구동벨트(14)를 이루는 풀리 중의 하나에 연결한다. 제1구동핸들(15)과 제2구동핸들(16)은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하기 편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하여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된 위치에 설치한다.
이에 따라, 픽업부(20)에서 분류부(50)에 이르는 과정에서 매체용지의 걸림이 발생하면 해당 부분의 픽업커버(22), 판독커버(31), 인자대(41), 분류대(51) 중 하나를 신속하게 개방하고 제1구동핸들(15) 또는 제2구동핸들(16)을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매체용지를 인출한다. 특히 경박단소 설계의 프레임(10)에 있어서 전체적인 개폐보다 부분적인 개폐가 적절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1, 12: 구동모터
13, 14: 구동벨트 15, 16: 구동핸들
20: 픽업부 21: 트레이
22: 픽업커버 23, 33, 43, 53: 힌지축
24, 34, 44, 54: 레버 25: 픽업롤러
27: 로크편 30: 판독부
31: 판독커버 32: 스캐너
36, 46, 56: 로크링크 37, 47, 57: 로크핀
40: 인자부 41: 인자대
42: 프린터 50: 분류부
51: 분류대 52: 분류판
60: 이송수단 62: 픽업벨트
63: 판독벨트 64: 인자벨트
65: 배출벨트 66, 67: 고무롤러
P0, P1, P2, P3: 경로

Claims (7)

  1. 매체용지를 이송하며 판독, 인자, 분류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용지의 이송을 위한 제1구동모터(11)와 제2구동모터(12)를 지니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트레이(21)와 픽업커버(22)를 구비하고, 매체용지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픽업부(20);
    상기 픽업부(20)의 하류측에 스캐너(32)를 구비하고, 제1구동모터(11)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판독부(30);
    상기 판독부(30)의 하류측에 프린터(42)를 구비하고, 제2구동모터(12)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인자부(40);
    상기 인자부(40)의 하류측에 분류판(52)을 구비하고, 제2구동모터(12)로 매체용지를 이송하는 분류부(50); 및
    상기 픽업부(20), 판독부(30), 인자부(40), 분류부(50)에서 설정된 경로로 매체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안내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자부(40)는 레버(44)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인자대(41)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44)는 로크링크(46)와 로크핀(47)에 의해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20)의 픽업커버(22)는 레버(24)와 힌지축(23)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24)는 로크편(27)에 의하여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30)는 레버(34)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판독커버(31)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34)는 로크링크(36)와 로크핀(37)에 의해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50)는 레버(54)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분류대(51)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54)는 로크링크(56)와 로크핀(57)에 의해 맞물림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안내수단(60)은 픽업부(20)의 픽업롤러(25)를 구동하는 픽업벨트(62), 판독부(30)에 설치되는 판독벨트(63), 인자부(40)에 설치되는 인자벨트(64), 분류부(50)에 설치되는 배출벨트(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모터(11)의 제1구동벨트(13)는 제1구동핸들(15)에 의하여 수동 구동이 가능하고, 제2구동모터(12)의 제2구동벨트(14)는 제2구동핸들(16)에 의하여 수동 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KR1020120107682A 2012-09-27 2012-09-27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KR10138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682A KR101387449B1 (ko) 2012-09-27 2012-09-27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682A KR101387449B1 (ko) 2012-09-27 2012-09-27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961A KR20140040961A (ko) 2014-04-04
KR101387449B1 true KR101387449B1 (ko) 2014-04-22

Family

ID=5065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682A KR101387449B1 (ko) 2012-09-27 2012-09-27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6393B (zh) * 2015-01-19 2017-09-12 哈尔滨市君诚信电子有限公司 扫描仪分拣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27A (ko) * 2002-04-06 2003-10-10 김보동 복권의 발매 및 환급을 위한 복권자동판매기
KR100885482B1 (ko) * 2007-06-05 2009-02-25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2포켓 지폐 계수기용 선별포켓의 지폐 배출장치
KR101076617B1 (ko) * 2010-08-26 2011-10-25 (주)한틀시스템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KR101183985B1 (ko) * 2006-02-10 2012-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27A (ko) * 2002-04-06 2003-10-10 김보동 복권의 발매 및 환급을 위한 복권자동판매기
KR101183985B1 (ko) * 2006-02-10 2012-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 구동장치
KR100885482B1 (ko) * 2007-06-05 2009-02-25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2포켓 지폐 계수기용 선별포켓의 지폐 배출장치
KR101076617B1 (ko) * 2010-08-26 2011-10-25 (주)한틀시스템 유가증권 자동 분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961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7719A (en) Document alignment system
US8018632B2 (en) Scanner/imager
US8436877B2 (en) Card printer and card printing/stacking device
JP2006099391A (ja) 紙葉類処理装置
KR20130011287A (ko)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
US8873828B2 (en) Device for processing paper sheets or the like
US8499918B2 (en) Paper treating apparatus
CN109416855B (zh) 用于使文件居中对准的对中去偏斜子组件
US8387977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1387449B1 (ko) 매체용지의 판독 인자 분류용 장치
US9016683B2 (en) Media item transportation
KR20130023914A (ko)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의 리트랙트 박스
JP5645721B2 (ja) 紙葉類入金機
KR20100030086A (ko) 반송로 오픈이 가능한 번들 수표 입금기
WO2015015535A1 (ja) 紙幣処理システム、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KR101183993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인자장치
JP3673052B2 (ja) 硬貨入出金機の取引口装置
US8333376B2 (en) Paper handling apparatus having first and second sensors
KR101686984B1 (ko) 경조 관리 시스템
JP2005339458A (ja) カード受け入れ収納装置
JP4727957B2 (ja) カード処理装置
JP3822036B2 (ja) 媒体搬送装置
KR101135261B1 (ko)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20060116379A (ko)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
JP4240483B2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