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770B1 -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770B1
KR101772770B1 KR1020150170181A KR20150170181A KR101772770B1 KR 101772770 B1 KR101772770 B1 KR 101772770B1 KR 1020150170181 A KR1020150170181 A KR 1020150170181A KR 20150170181 A KR20150170181 A KR 20150170181A KR 101772770 B1 KR101772770 B1 KR 10177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support plate
media
integ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398A (ko
Inventor
배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17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7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65H1/0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for separation from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0Piling apparatus of which the discharge poin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to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 G07D11/002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65H2301/443246Rollers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처리함은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집적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집적공간 내에 구비되며, 제1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이격되며, 제2매체가 집적되는 제1가압판; 및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찰부가 구비되는 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매체 및 상기 제2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판은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제1매체를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가압한다.

Description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Medium handling box,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nd financial device}
본 발명은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는, 인입된 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매체 처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79525호에는 매체자동지급기가 개시된다.
상기 매체자동지급기는, 저장공간에 저장된 매체를 상방에서 가압하는 밀판이 구비된다. 그리고, 밀판에 의해서 하방으로 가압되는 매체를 픽업롤러가 픽업한다.
종래의 매체자동지급기의 경우, 저장공간에 매체 집적 시 정전기 등의 원인으로 인해 매체 간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체 집적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처리함은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집적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집적공간 내에 구비되며, 제1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이격되며, 제2매체가 집적되는 제1가압판; 및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찰부가 구비되는 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매체 및 상기 제2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판은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제1매체를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가압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 처리함은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집적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매체를 상기 집적공간으로 인입시키고 상기 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부; 상기 집적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집적공간으로 인입된 제1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집적된 제1매체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집적공간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를 분리할 경우, 상기 제1매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판이 상기 분리부 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상승 시킨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처리함의 제어방법은 매체가 매체 입구로 인입되는 단계; 제1이송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 입구로 인입된 매체를 지지판에 집적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판에 집적되는 매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지지판을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매체의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제1가압판을 하강시켜 매체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매체 입출부; 및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인입된 매체 또는 인출될 매체를 보관할 수 있는 매체 처리함을 포함하고, 상기 매체 처리함은,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집적공간; 상기 집적공간 내에 구비되며, 제1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이격되며, 제2매체가 집적되는 제1가압판; 및 외주면의 일부에 구비되는 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매체 또는 상기 제2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판은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제1매체를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매체 처리함의 매체 수용 한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처리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매체 처리함의 복수의 가압판 및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매체 집적 시 제1가압판이 하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제1가압판 하강 시 고정장치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매체 처리함에서 매체 인출 시 제1가압판이 매체를 가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매체 처리함의 매체가 전부 인출된 이후에 지지판이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가압판 상측에 매체가 집적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가압판 상측에 매체가 집적된 후 매체가 인출되는 경우 제2가압판이 매체를 가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제2가압판 하강 시 고정장치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1가압판 상측에 집적된 매체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매체가 입출을 위한 매체 입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다수 종류의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통 입출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낱장을 포함하는 번들 단위로 매체가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번들 단위로 매체가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의 종류에 따라서,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14)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장 입출부(14) 또는 카드 입출부(15)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라 이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객 정보 획득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RFID 태그 또는 USB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문 등을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금융기기(1)는, 매체처리장치(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6)는, 상기 매체입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6)는, 감별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20)는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6)는 매체가 임시로 집적되는 임시 집적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집적부(30)는 고객이 매체를 상기 금융기기(1)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 입출부(13)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임시 집적부(30)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할 매체 보관함(40)으로 이송된다. 또는 상기 임시 집적부(30)는 매체입출부로 인출될 매체를 임시 집적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집적부(30)를 매체 처리함(30)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6)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보관함(40)은, 하나 이상의 지폐 보관함(41, 42, 43)과, 하나 이상의 수표 보관함(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및 수표 보관함(4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른 예로서, 상기 매체 보관함(40)은 지폐 보관함 또는 수표 보관함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매체 보관함(40)에는, 이송된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매체입구와, 내부에 집적된 매체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box)의 상단에 상기 매체입구와 매체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내부에는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외부로부터 이송된 매체를 나란히 집적되도록 하고, 집적된 지폐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외부로 이송하는 매체분리수단이 구비될 수 잇다. 즉, 상기 매체 보관함(40)에 저장된 매체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입금된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함(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16)는, 입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1회수함(50)과, 출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2회수함(52)과, 회수 보충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 보충함(60)은 매체를 상기 매체 보관함(40)에 보충하거나, 상기 매체 보관함(40)으로부터 매체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는 출금을 위하여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된 매체를 고객이 미수취한 경우에 미수취 매체가 회수되는 제3회수함(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융기기(1)에서, 상기 회수함(50, 52) 및 회수 보충함(60)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수함(50, 52) 및 회수 보충함(60)의 개수에도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서 금융기기를 구성하는 각 모듈(매체 입출부, 감별부, 매체 보관함, 임시 집적부, 회수함 등)은 이송경로(19)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매체 처리함(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처리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매체 처리함의 복수의 가압판 및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처리함(30)은, 프레임(31: frame), 복수의 이송롤러(34, 37) 및 픽업롤러(36: pick-up 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에는 매체(M)가 인입되는 매체 입구(38)와,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32)과, 상기 집적공간(32)에 집적된 매체(M)가 인출되는 매체 출구(3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34, 37)는 제1이송롤러(34) 및 제2이송롤러(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롤러(34)는 상방 롤러(34a)와 하방 롤러(34b)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31)에 매체(M)를 인입시킨다. 상기 제1이송롤러(34)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매체(M)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매체(M)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이송롤러(34)의 표면에는 마찰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제1이송롤러(34)와, 상기 제1이송롤러(34)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송을 보조하는 하나의 종동 롤러(미도시)를 구비하여 매체(M)를 인입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이송롤러(34)는 상기 프레임(3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이송롤러(34)에 의해 상기 프레임(31)의 내부로 인입되는 매체(M)는,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여 집적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집적을 보조하기 위한 기타의 집적 보조 기구들이 추가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집적 보조 기구들은, 예를 들어, 상기 제1이송롤러(34)에 의해 이송되는 매체가 낙하하도록 매체를 타격하는 시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36)는 상기 집적공간(32) 집적된 매체(M)를 픽업하여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롤러(37)는 상기 픽업롤러(36)에 의해 방출되는 매체(M)를 상기 매체 출구(39)로 인출시킨다. 상기 제2이송롤러(37)는 상기 픽업롤러(36)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롤러(37)는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기 위한 피드롤러(37a)와 게이트롤러(37b)로 구성될 수 있다. 매체 분리 시에 상기 피드롤러(37a)는 상기 제1이송롤러 중 하방 롤러(34b)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게이트롤러(37b)는 상기 매체(M)를 낱장으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이 정지되거나 상기 피드롤러와 반대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제1이송롤러가 상기 집적공간(32)내부로 매체(M)를 인입 시키고 상기 집적공간(32)에 집적된 매체(M)를 픽업하여 방출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이송롤러(34)가 매체를 집적 및 분리 시키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이송롤러(37)는 생략될 수 있으며, 매체(M)분리 시 상방 롤러(34a)는 피드롤러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고 하방 롤러(34b)는 게이트 롤러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방 롤러(34a)와 실질적으로 수평한 연장선 상에 픽업롤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집적공간(32)에는 인입된 매체(M)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41)이 구비된다. 상기 매체 입구(38)를 통하여 인입된 매체(M)는 상기 지지판(141) 상에 집적된다.
상기 지지판(141)은 상기 매체 입구(38)를 통해 매체(M)가 인입될 경우 상승하여 상기 제1이송롤러(34)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1)이 상기 제1이송롤러(34)로부터 너무 멀리 이격될 경우 매체(M)의 집적 상태가 나빠질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지지판(141)이 상기 제1이송롤러(34)와 가까울 경우 상기 매체 입구(38)로 인입되는 매체(M)들이 서로 간섭되어 집적 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체 입구(38)로 매체(M)가 인입될 때 상기 지지판(141)을 기 설정된 높이에 위치 시킨 후 매체(M)가 인입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41) 위에 매체(M)가 집적된 상태에서는 상기 집적된 매체(M)의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지지판(141)을 위치시킨 후 매체(M)가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1)은 매체(M)가 집적될수록 하강하며, 상기 지지판(141)이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게 되거나 및/또는 매체가 상기 집적공간 내 기설정된 높이보다 높게 집적되면 매체(M)의 집적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집적공간(32)에는 상기 지지판(141)에 집적된 매체(M)를 픽업하는 과정에서 매체(M)를 상기 픽업롤러(36) 측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판(143, 1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처리함(30)은 상기 복수의 가압판(143, 145)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150)는 상기 프레임(31)의 상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판(143, 145)은 상기 집적 공간(32)의 상방에서 상기 고정장치(150)에 의해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고정장치(150)은 상기 복수의 가압판(143, 145)을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장치(150)는 상기 복수의 가압판(143, 145) 중 하측에 배치된 것부터 하나씩 하강시킬 수 있으며, 전부 하강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고정장치(150)가 상기 복수의 가압판(143, 145)을 하강시키는 방법에는 기구적, 전자적 방식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장치(15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압판(143, 145)을 하강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고정장치(150)는 상기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장치(150)에는 상기 프레임(31)에 연결되는 회전축(1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51)에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150)는 도면상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150)는 제1고정부(153)와 제2고정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53)는 상기 제1가압판(143)을 고정하며, 상기 제2고정부(155)는 상기 제2가압판(145)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판(143)에는 상기 제1고정부(153)에 체결되는 제1결합부(144)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가압판(145)에는 상기 제2고정부(155)에 체결되는 제2결합부(1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53)와 상기 제2고정부(155)는 도시된 것과 같이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매체 집적 시 제1가압판이 하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제1가압판 하강 시 고정장치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매체(M)가 상기 지지판(141)의 상측에 일정 수준 이상 집적되면 상기 제1가압판(143)이 하강하여 상기 지지판(141)의 상측에 집적된 매체(M)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141)에 집적된 다수의 매체(M)들 사이의 간격이 좁혀짐으로써 매체(M) 뭉치의 부피가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판(143)은 상기 고정장치(150)와의 고정이 해제되어 낙하함으로써 상기 지지판(141) 상측의 매체(M)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판(143)과 상기 고정장치(150)와의 고정은 상기 고정장치(150)가 상기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함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판(143)을 고정하는 상기 제1고정부(153)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고정장치(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53)와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압판(143)은 하강하여 매체(M)를 가압한다.
한편, 상기 고정장치(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가압판(145)도 상기 제2고정부(155)와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장치(150)는 상기 제1가압판(143)의 고정이 해제된 이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가압판(145)은 상기 제1고정부(153)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판(141)에 일정 수준 이하의 매체(M)만이 집적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가압판(143)이 상기 지지판(141)에 집적된 매체(M)를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압판(143)은 상기 지지판(141)에 일정 수준 이상의 매체(M)가 집적되는 경우에만 상기 매체(M)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체 처리함(30)에는 상기 지지판(141)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1)은 집적되는 매체(M)의 양이 증가할수록 하강한다. 상기 지지판(141)이 하강하여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경우, 상기 제1가압판(143)을 하강시킨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매체 처리함(30)은 상기 집적공간(32)에 집적된 매체(M)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141)에 집적된 매체가 기 설정된 높이에 도달할 경우 상기 제1가압판(143)을 하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매체 처리함에서 매체 인출 시 제1가압판이 매체를 가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매체 처리함의 매체가 전부 인출된 이후에 지지판이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매체(M)의 픽업이 수행되면 상기 제1가압판(143)은 상기 매체(M)를 상기 픽업롤러(36)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1가압판(143)이 상기 지지판(141)에 집적된 매체(M)를 상기 픽업롤러(36)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픽업롤러(36)가 상기 지지판(141)에 집적된 매체(M)를 한 장씩 픽업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1)에는 상기 픽업롤러(3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36)는 상기 지지판(141) 상측의 매체(M)를 픽업하는 경우, 상기 픽업롤러(36)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판(141)에 구비된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매체(M)를 픽업한다.
상기 매체(M)의 인출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지지판(141)이 상승하여 상기 제1가압판(143)을 상기 고정장치(150)에 다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53)는 하측이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가압판(143)이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150)가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제1결합부(144)가 상기 제1고정부(153)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가압판(143)이 상기 제1고정부(15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판(143)이 상기 제1고정부(153)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가압판(143)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가압판(143)은 상승하여 상기 제2고정부(155)에 체결된다.
도 10은 제1가압판 상측에 매체가 집적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매체(M) 집적 시 상기 제1가압판(143)이 상기 지지판(141)의 상측에 집적된 매체(M1)를 가압한 이후 상기 제1가압판(143)의 상측에 매체(M2)가 추가적으로 집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체 집적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판(141)의 상측에 집적되는 매체(M1)를 제1매체(M1)라 이름하고, 상기 제1가압판(143)의 상측에 집적되는 매체(M2)를 제2매체(M2)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판(143)에 의해 상기 제1매체(M1)가 가압된 후, 상기 제1가압판(143)의 상측에 제2매체(M2)가 집적될 경우, 상기 제1가압판(143)에 의해 가압된 제1매체(M1)의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지지판(141)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2매체(M2)가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제1가압판 상측에 매체가 집적된 후 매체가 인출되는 경우 제2가압판이 매체를 가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제2가압판 하강 시 고정장치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가압판(143)의 상측에 제2매체(M2)가 집적된 이후에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2가압판(145)이 하강하여 상기 제2매체(M2)를 상기 픽업롤러(36)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2가압판(145)과 상기 고정장치(150)와의 고정은 상기 고정장치(150)가 상기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함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53)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가압판(145)을 고정하는 상기 제2고정부(155)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고정장치(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53)와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판(145)이 하강한 이후, 상기 고정장치(150)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한다.
도 14는 제1가압판 상측에 집적된 매체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매체(M)인출 시, 상기 지지판(141) 상측의 제1매체(M1)가 전부 인출된 이후에는 상기 제1가압판(143)의 상측에 집적된 제2매체(M2)가 인출된다.
상기 제1가압판(143)에는 상기 지지판(141)과 마찬가지로 상기 픽업롤러(3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36)는 상기 제1가압판(143) 상측의 제2매체(M2)를 픽업하는 경우, 상기 픽업롤러(36)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판(141) 및 상기 제1가압판(143)에 구비된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2매체(M2)를 픽업한다.
상기 픽업롤러(36)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지판(141) 및 상기 제1가압판(143) 각각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141)과 상기 제1가압판(143)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판(143)의 상측에 집적된 제2매체(M2)까지 전부 인출되면 도 9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판(141)이 상승하여 상기 제1가압판(143)과 상기 제2가압판(145)을 동시에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압판(143)과 상기 제2가압판(145)이 상기 고정장치(15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롤러(34)가 상기 집적공간(32)내부로 매체(M)를 인입 시키고 상기 집적공간(32)에 집적된 매체(M)를 픽업하여 방출 할 수도 있도록 구비된 경우, 상기 집적공간(32)내로 매체를 집적할 때에는 상기 제1 가압판(143) 및 상기 제2가압판(145)이 모두 상기 지지판(141) 상에 집적되는 매체를 가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집적공간(32)에 집적된 매체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지지판(141)을 상승시켜 상기 제1 가압판(143), 상기 제2가압판(145) 및 집적된 매체가 상기 제1이송롤러 측으로 상승하여 가압되도록 하고, 상기 제1이송롤러(34)를 매체 집적 시 방향과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집적된 매체를 분리 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압판(143) 및 상기 제2가압판(145)에는 상기 제1이송롤러(34)의 픽업롤러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처리함(30)은 매체 집적 시 제1가압판(141)을 이용하여 상기 집적공간(32)에 집적되는 매체(M)를 중간에 가압함으로써 매체(M) 집적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 매체 처리함 34: 이송롤러
36: 픽업롤러 141: 지지판
143: 제1가압판 145: 제2가압판
150: 고정장치

Claims (12)

  1.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집적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집적공간 내에 구비되며, 제1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이격되며, 제2매체가 집적되는 제1가압판; 및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찰부가 구비되는 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매체 및 상기 제2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판은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제1매체를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가압하고,
    매체 인출 시, 상기 제2매체를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판과
    상기 제1가압판 및 상기 제2가압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매체 처리함.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가압판 또는 상기 제2가압판은 상기 고정장치의 회전에 의해 고정이 해제되는 매체 처리함.
  5. 제 1 항에 있어서,
    매체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판이 상승하여 상기 제1가압판 및 상기 제2가압판을 상기 고정장치에 체결시키는 매체 처리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제1가압판에는 상기 픽업롤러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매체 처리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공간 내에 집적된 매체의 높이 및 상기 지지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매체 및 상기 지지판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 될 경우 상기 제1가압판이 하강하는 매체 처리함.
  8.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집적공간;
    상기 집적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이격되며,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매체를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판; 및
    상기 복수의 가압판이 순차적으로 상기 지지판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의 가압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함.
  9. 매체가 매체 입구로 인입되는 단계;
    상기 매체 입구로 인입된 매체를 지지판에 집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매체를 향하여, 고정장치에 고정된 복수의 가압판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함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판에는 제1가압판이 포함되고,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매체의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가압판을 하강시켜 매체를 가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매체 처리함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판에는 제2가압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매체 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매체를 상기 제1가압판의 상측에 집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가압판에 집적된 매체의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제 2가압판을 하강시켜 매체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 처리함의 제어방법.
  12. 매체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매체 입출부; 및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인입된 매체 또는 인출될 매체를 보관할 수 있는 매체 처리함을 포함하고,
    상기 매체 처리함은,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집적공간;
    상기 집적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매체가 집적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이격되며, 상기 지지판에 집적된 매체를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판; 및
    상기 복수의 가압판이 순차적으로 상기 지지판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의 가압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KR1020150170181A 2015-12-01 2015-12-01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KR10177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181A KR101772770B1 (ko) 2015-12-01 2015-12-01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181A KR101772770B1 (ko) 2015-12-01 2015-12-01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398A KR20170064398A (ko) 2017-06-09
KR101772770B1 true KR101772770B1 (ko) 2017-09-12

Family

ID=5922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181A KR101772770B1 (ko) 2015-12-01 2015-12-01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7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573A (ja) 2000-08-30 2002-03-08 Omron Corp 紙葉類集積装置及び取引装置
KR101432927B1 (ko) 2013-02-28 2014-09-2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픽업 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573A (ja) 2000-08-30 2002-03-08 Omron Corp 紙葉類集積装置及び取引装置
KR101432927B1 (ko) 2013-02-28 2014-09-2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픽업 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398A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0273B (zh) 媒体处理装置及媒体处理方法
EP3101632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KR20120007701A (ko) 지폐 입출금 장치 및 지폐 입출금 방법
TWI389056B (zh) 紙幣集聚裝置
KR101772770B1 (ko) 매체 처리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KR101657764B1 (ko) 매체보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매체처리장치
KR101965857B1 (ko) 매체 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682834B1 (ko) 매체 집적장치 및 금융기기
KR101775779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48060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69963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83449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280691B1 (ko)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금융기기 및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
KR101892478B1 (ko)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집적장치
KR101793333B1 (ko) 매체 감지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557569B1 (ko) 매체 처리함 및 금융기기
KR101609455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652182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751645B1 (ko) 매체집적장치 및 금융기기
KR101815385B1 (ko) 매체집적장치,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932189B1 (ko) 매체 입금장치 및 금융기기
KR10216575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1965858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2030518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101618960B1 (ko)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