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156A - 박스류 발급기 - Google Patents

박스류 발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156A
KR20170030156A KR1020150127292A KR20150127292A KR20170030156A KR 20170030156 A KR20170030156 A KR 20170030156A KR 1020150127292 A KR1020150127292 A KR 1020150127292A KR 20150127292 A KR20150127292 A KR 20150127292A KR 20170030156 A KR20170030156 A KR 20170030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unit
type storage
box typ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원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0156A/ko
Publication of KR2017003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4Card magazines, e.g. pocket, hop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1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means for customization, e.g. being arranged for personalization in b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박스류 보관부와,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의 어느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박스류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박스류는 전방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박스류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박스류는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 측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배치부, 상기 배치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박스류 보관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박스류가 놓일 수 있는 수취부, 및 상기 수취부에 놓인 상기 박스류의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박스류 발급기에 관한 것으로, 박스류의 수용 개수를 획기적으로 늘리면서도 단순화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박스류 발급기{dispense for boxes and the like}
본 발명은 수용 박스류 개수를 획기적으로 늘리면서도 단순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박스류 발급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정보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실생활에서 각종 카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신용정보, 신상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종 용도로 적용 가능한 스마트 카드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들은 소정의 발권 장치를 통해 발권되는데, 발권 장치는 통상, 카드를 인식, 처리하는 카드 리더(card reader)와 카드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 등의 구성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카드 디스펜서는 세부적으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함을 구비하고 이송 롤러와 같은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1매씩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종래의 카드 발행장치는 하나의 적재함을 구비하여 티켓 또는 카드를 발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카드 발행장치 이외에도 최근에는 은행 등에서 온라인 뱅킹의 보안 키(KEY)가 저장된 USB와 같은 메모리 저장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박스류를 발급하는 발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박스류 발급기는 한 줄로만 박스류를 쌓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한 번의 박스류 보충으로 발급할 수 있는 박스류의 개수가 매우 제한되어 있으므로 틈틈이 박스류를 보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시간이 지체되어 고객에게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급된 박스류를 고객이 미수취하는 경우 미수취된 박스류를 회수하지 않으면, 보안이 필요한 박스류를 다른 고객이 가져가는 경우 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미수취 박스류를 회수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1-0011303호(2011. 12. 7, '무인 금융카드 발급장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09-0012080호(2009. 11. 26, '복수개의 카드 적재함을 구비한 카드 발행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용 박스류 개수를 획기적으로 늘리면서도 단순화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박스류 발급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수취된 박스류를 수취부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켜 별도의 박스류 보관함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박스류 발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는,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될 수 있는 제1박스류 보관부와,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의 어느 일측에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될 수 있는 제2박스류 보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박스류는 전방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박스류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박스류는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를 향하는 측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로부터 전방으로 이송된 박스류 또는 상기 제2박스류 보관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이송된 박스류가 놓일 수 있는 수취부와, 상기 수취부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수취부에 놓인 상기 박스류의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될 수 있는 제3박스류 보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박스류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박스류는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를 향하는 측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수취부는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의 하면 높이는 상기 제2박스류 보관부의 하면 높이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수취부는, 상기 제1 박스류 보관부의 하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에 있어서, 상기 수취부는 벨트 구동식으로 마련되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취부의 상면에 놓인 상기 박스류가 상기 수취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스류 발급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박스류는 어느 곳에 위치한 박스류 보관부에서 배출되더라도 수취부의 벨트 구동에 의해 스캔부가 스캔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박스류의 정보를 용이하게 스캔할 수 있다.
또한, 박스류의 수용 개수를 획기적으로 늘리면서도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미수취된 박스류를 수취부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켜 별도의 박스류 보관함에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수취부는 제2박스류 보관부 및 제3박스류 보관부의 하면 높이와 제1박스류 보관부의 하면 높이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박스류 보관부 내의 박스류가 전방으로 이송될 때 수취부는 그 상면이 제1박스류 보관부의 하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상부로 이동할 수 있고, 이로써 제1박스류 보관부 내의 박스류는 단차없이 수취부의 상면으로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실시예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스류 발급기는 배치부(100)와 스캔부(300)와 수취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박스류(10)는 예컨대, 은행 등에서 온라인 뱅킹의 보안 키(KEY)가 저장된 USB와 같은 메모리 저장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종이 박스일 수 있으며, 이 종이 박스는 일례로, 무게 50g, 사이즈 가로 80mm, 세로 80mm, 높이 20mm 또는 가로 100mm, 세로 100mm, 높이 20mm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배치부(100)는 제1박스류 보관부(110),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일측에서 제1박스류 보관부(1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박스류 보관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타측에서 제1박스류 보관부(1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박스류 보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박스류 보관부(110, 120, 130) 내에는 다수의 박스류(10)가 층을 이루며 보관될 수 있다.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박스류 보관부(110)와 제2박스류 보관부(120)와 제3박스류 보관부(130)의 각 줄에는 도 2와 같이 다수의 단위 보관부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줄에 도 2와 같이 3개의 단위 보관부(111, 112, 113)가 일렬로 배치고, 각 단위 보관부(111, 112, 113) 내에는 12개의 박스류(10)가 보관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례에서는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줄에 총 36개의 박스류(10)를 보관할 수 있다.
제2박스류 보관부(120)의 줄에는, 일례로 도 2와 같이 4개의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각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 내에는 예컨대 15개의 박스류(10)를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례에서는 제2박스류 보관부(120)의 줄에 총 60개의 박스류(10)를 보관할 수 있다.
제3박스류 보관부(130)의 줄에도, 일례로 도 2와 같이 4개의 단위 보관부(131, 132, 133, 134)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단위 보관부(131, 132, 133, 134) 내에는 예컨대 15개의 박스류(10)를 보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일례에서 제3박스류 보관부(130)의 줄에는 총 60개의 박스류(10)를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제1박스류 보관부(110)와 제2박스류 보관부(120)와 제3박스류 보관부(130)로 구성된 배치부(100) 내에 총 156개의 박스류(10)가 보관될 수 있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11개의 단위 보관부 내에 총 156개의 박스류(10)를 보관할 수 있으므로 한 번에 156개의 박스류(10)를 보충함으로써, 한 번의 보충으로 156개의 박스류(10)를 발급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보관부 내의 바닥면에는 단위 보관부 내에 보관된 박스류(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벨트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줄에 배치된 각 단위 보관부(111, 112, 113) 내의 바닥면에는 각 단위 보관부(111, 112, 113) 내에 보관된 박스류(1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벨트부(115, 116, 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단위 보관부(111, 112, 113)의 전방은 보관된 박스류(10)가 단위 보관부(111, 112, 113)로부터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박스류 통과부(111a, 112a, 113a)가 마련되어 있다. 특히, 가운데 배치되어 있는 단위 보관부(112)에는 단위 보관부(112)의 전방과 후방에 박스류 통과부(112a, 113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최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단위 보관부(111) 내의 박스류는 벨트부(115)의 구동에 의해 박스류 통과부(111a)를 통하여 전방으로 배출된다. 최전방에 배치된 단위 보관부(111) 내의 박스류(10)가 다 소진되는 경우 가운데 배치되어 있는 단위 보관부(112) 내의 박스류(10)가 벨트부(116)의 구동에 의해 박스류 통과부(112a)를 통하여 전방의 단위 보관부(111) 내로 이동하고, 다시 벨트부(115)의 구동에 의해 박스류 통과부(111a)를 통하여 전방으로 배출된다. 가운데 배치되어 있는 단위 보관부(112) 내의 박스류(10)가 다 소진되는 경우 최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단위 보관부(113) 내의 박스류(10)가 벨트부(117)의 구동에 의해 박스류 통과부(113a)를 통하여 가운데 배치된 단위 보관부(112) 내로 이동하고, 다시 벨트부(116)의 구동에 의해 박스류 통과부(112a)를 통하여 전방의 단위 보관부(111) 내로 이동하고, 또다시 벨트부(115)의 구동에 의해 박스류 통과부(111a)를 통하여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줄에 배치된 각 단위 보관부(111, 112, 113)에 보관된 박스류(10)는 전방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2박스류 보관부(120)의 줄에 배치된 각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 내의 바닥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 내에 보관된 박스류(10)가 제1박스류 보관부(100)를 향하는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부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최전방의 단위 보관부(121)의 바닥면에 마련된 벨트부(125)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의 측면은 보관된 박스류(10)가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로부터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박스류 통과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최전방의 단위 보관부(121)의 측면에 마련된 박스류 통과부(121a)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각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 내에 보관된 박스류(10)는 벨트부의 구동에 의해 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박스류 통과부를 통하여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로부터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3박스류 보관부(130) 내에도 제2박스류 보관부(120)과 마찬가지로 제1박스류 보관부(110)를 향하는 측방향으로 박스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각 단위 보관부(131, 132, 133, 134)의 바닥면에 벨트부가 마련되며, 또한 각 단위 보관부(131, 132, 133, 134)의 측면에 박스류 통과부가 마련된다. 도 1에서는 최전방의 단위 보관부(131)에 마련되는 벨트부(135)와 박스류 통과부(131a)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제2박스류 보관부(120)와 제3박스류 보관부(1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운데 위치한 제1박스류 보관부(110)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줄에는 3개의 단위 보관부(111, 112, 113)가 배치되어 있고, 양측의 제2박스류 보관부(120)와 제3박스류 보관부(130)의 줄에는 각각 4개의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 131, 132, 133, 134)가 배치되어 있어, 제2박스류 보관부(120)와 제3박스류 보관부(130)는 한 개의 단위 보관부 크기 만큼 제1박스류 보관부(110)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가운데 위치한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하면 높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위치한 제2박스류 보관부(120)와 제3박스류 보관부(130)의 하면 높이보다 더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하면 높이와 제2박스류 보관부(120)[또는 제3박스류 보관부(130)]의 하면 높이 사이에는 높이차가 생길 수 있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일례에서,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단위 보관부(111, 112, 113) 내에는 12개의 박스류(10)가 층을 이루며 보관되고, 제2박스류 보관부(120)와 제3박스류 보관부(130)의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 131, 132, 133, 134) 내에는 15개의 박스류(10)가 층을 이루며 보관되므로,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하면과 제2박스류 보관부(120)와 제3박스류 보관부(130)의 하면 사이에는 3개의 박스류(10) 높이 만큼의 높이차가 생기게 된다.
배치부(100)의 하부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수취부(500)가 배치된다. 도시된 바에서는 일례로서 수취부(500)가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최전방에 위치한 단위 보관부(111)로부터 전방으로 이송된 박스류(10)는 수취부(50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제2박스류 보관부(120)의 각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로부터 측방향으로 이송된 박스류(10)도 수취부(500)의 상면에 놓일 수 있으며, 제3박스류 보관부(120)의 각 단위 보관부(131, 132, 133, 134)로부터 측방향으로 이송된 박스류(10)도 수취부(50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하면과 제2, 제3 박스류 보관부(120, 130)의 하면과의 사이에 높이차가 있으므로, 수취부(500)가 제2, 제3박스류 보관부(120, 130)로부터 배출되는 박스류가 수취부(500)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는 위치로서 예컨대, 수취부(500)의 상면 높이가 제2, 제3 박스류(120, 130)의 하면 높이와 동일하게 되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박스류 보관부(110)로부터 다소 멀리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1박스류 보관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이송되는 박스류(10)는 그 이격된 거리만큼 수취부(500)로 수직 낙하하게 되어 수취부(500) 상에 안정적으로 놓이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수취부(500)는 제2박스류 보관부(120) 및 제3박스류 보관부(130)의 하면 높이와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하면 높이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수취부(500)가 그 상면이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하면과 근접하는 위치까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제1박스류 보관부(110) 내의 박스류(10)가 단차없이 수취부(500)의 상면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수취부(500)는 배치부(100)로부터 이동하여 고객에게 수취되기 전의 박스류(10)가 놓이는 부분으로 수취부(500) 전방의 상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시스템 셔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수취부(500)는 수취부(500)의 상면에 놓인 박스류(10)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예컨대 벨트 구동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벨트 구동식으로 마련된 수취부(500)는 정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수취부(500)의 상면에 놓인 박스류(10)가 수취부(500)의 전방측으로 이동하며, 수취부(500)가 역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수취부(500)의 상면에 놓인 박스류(10)가 수취부(500)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배치부(100)로부터 수취부(500) 상면의 어느 지점에 떨어진 박스류(10)는 수취부(500)의 정방향 구동에 따라 수취부(500)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시스템 셔터가 상부로 이동하여 수취부(500)의 전방이 개방되면, 고객이 수취부(500)상에 위치한 박스류(10)를 수취할 수 있다.
수취부(500)에 놓인 박스류(10)가 미수취되거나 또는 스캔 오류가 발생한 경우 등 수취부(500) 상의 박스류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경우, 수취부(500)가 역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도 4와 같이 박스류(10)가 수취부(50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박스류(10)는 수취부(500)의 후방으로 떨어진다.
이때, 수취부(500)의 하부 및 후방에는 박스류 보관함(7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수취부(500)의 후방으로 떨어진 박스류(10)는 박스류 보관함(700)에 보관된다. 박스류 보관함(700)은 일례로서 서랍식으로 마련될 수 있고, 시간이 흐른 후에 은행 직원이 박스류 보관함(700)을 열어 보관된 박스류(10)를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수취부(500)의 상면에 놓인 박스류(10)는 고객에게 전달되기 전 수취부(500)의 전방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취부(500)의 상부이면서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스캔부(300)에 의해 박스류(10)의 정보가 스캔될 수 있다. 스캔부(300)는 예컨대 박스류(10)의 겉면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기 일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박스류(10)의 외관을 촬영하는 비전 카메라 등도 될 수 있는 등 스캔부(300)는 박스류(10)의 정보를 스캔할 수 있는 장치이면 두루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스류(10)는 제1박스류 보관부(110)와 제2박스류 보관부(120)와 제3박스류 보관부(130) 중 어느 곳에 위치한 박스류 보관부(110, 120, 130)에서 배출되더라도 수취부(500)의 벨트 구동에 의해 스캔부(300)가 스캔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이하게 박스류(10)의 정보를 스캔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박스류 발급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박스류 보관부(110)의 최전방에 위치한 단위 보관부(111)의 전방으로 배출된 박스류(10)가 수취부(500)의 상면에 놓이거나, 제2, 또는 제3박스류 보관부(120, 130)의 각 단위 보관부(121, 122, 123, 124, 131, 132, 133, 134)의 측방향으로 배출된 박스류(10)가 수취부(50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이렇게 놓인 박스류(10)는 수취부(500)의 벨트 구동에 의해 스캔부(300)가 스캔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수취부(500)의 정방향 벨트 구동에 의해 스캔부(300)의 하부 위치까지 이동한 박스류(10)는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스캔부(300)에 의해 박스류(10)의 정보가 스캔된다.
이렇게 스캔부(300)에 의해 박스류(10)의 정보가 스캔된 다음, 수취부(500)의 정방향 벨트 구동에 의해 박스류(10)는 수취부(500)의 최전방으로 이동하고, 시스템 셔터(미도시)가 상부로 이동하여 수취부(500)의 전방이 개방되면, 고객이 수취부(500) 상에 위치한 박스류(10)를 수취할 수 있다.
수취부(500)에 놓인 박스류(10)가 미수취되거나, 스캔 오류가 발생한 경우 등 수취부(500) 상의 박스류(10)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경우, 도 4와 같이 수취부(500)가 역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박스류(10)가 수취부(50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박스류(10)는 수취부(500)의 후방으로 떨어져 박스류 보관함(700) 내에 보관된다. 시간이 흐른 후에 은행 직원이 박스류 보관함(700)을 열어 보관된 박스류(10)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배치부 110 : 제1박스류 보관부
111, 112 113 : 단위 보관부 120 : 제2박스류 보관부
121, 122, 123, 124 : 단위 보관부 130 : 제3박스류 보관부
131, 132, 133, 134 : 단위 보관부 300 : 스캔부
500 : 수취부 700 : 미수취 박스류 보관함

Claims (5)

  1.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될 수 있는 제1박스류 보관부와,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의 어느 일측에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될 수 있는 제2박스류 보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박스류는 전방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박스류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박스류는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를 향하는 측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배치부;
    상기 배치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로부터 전방으로 이송된 박스류, 또는 상기 제2박스류 보관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이송된 박스류가 놓일 수 있는 수취부; 및
    상기 수취부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수취부에 놓인 상기 박스류의 정보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다수의 박스류가 층을 이루며 보관될 수 있는 제3박스류 보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박스류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박스류는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를 향하는 측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부는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박스류 보관부의 하면 높이는 상기 제2박스류 보관부의 하면 높이보다 높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부는 상기 제1 박스류 보관부의 하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부는 벨트 구동식으로 마련되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취부의 상면에 놓인 상기 박스류가 상기 수취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류 발급기.
KR1020150127292A 2015-09-08 2015-09-08 박스류 발급기 KR20170030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292A KR20170030156A (ko) 2015-09-08 2015-09-08 박스류 발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292A KR20170030156A (ko) 2015-09-08 2015-09-08 박스류 발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156A true KR20170030156A (ko) 2017-03-17

Family

ID=5850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292A KR20170030156A (ko) 2015-09-08 2015-09-08 박스류 발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015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080A (ko) 2007-07-27 2009-02-02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2행정 디젤 연소 엔진
KR20110011303A (ko) 2009-07-28 2011-02-08 최진국 롤러용 폴리우레탄 코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080A (ko) 2007-07-27 2009-02-02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2행정 디젤 연소 엔진
KR20110011303A (ko) 2009-07-28 2011-02-08 최진국 롤러용 폴리우레탄 코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34293B (zh) 媒介处理装置及金融设备
US7780076B2 (en) Paper currency handling apparatus
CN102956058B (zh) 纸页类输送装置及现金自动交易装置
US7922079B2 (en) Bulk check acceptor
CN104331979B (zh) 介质收纳装置和介质交易装置
KR101351653B1 (ko) 금융기기 및 입금 거래 처리 방법
KR102255918B1 (ko) 지폐번들용 입출금장치
CN206331455U (zh) 盒类物品发放机
KR101657764B1 (ko) 매체보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매체처리장치
KR20160066166A (ko) 이권종 환류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US20130214132A1 (en) Medium sen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20170030156A (ko) 박스류 발급기
JP6471496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AU2007219046A1 (en) A cash handling device and system
US20100059417A1 (en) Bill Storage Device in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Storing Bill in the Same
KR20170030155A (ko) 박스류 발급기
KR102399016B1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1609458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48060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KR20170095438A (ko) 박스류 발급기용 보관부
KR20170080762A (ko) 박스류 발급기
KR10183449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940733B1 (ko) 매체 저장함 및 금융기기
KR101979282B1 (ko) 금융 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30546B1 (ko) 동전 입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금융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