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049A -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049A
KR20170058049A KR1020150161769A KR20150161769A KR20170058049A KR 20170058049 A KR20170058049 A KR 20170058049A KR 1020150161769 A KR1020150161769 A KR 1020150161769A KR 20150161769 A KR20150161769 A KR 20150161769A KR 20170058049 A KR20170058049 A KR 20170058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se
card
cartridge
cas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614B1 (ko
Inventor
이명철
Original Assignee
키오스크코리아(주)
이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오스크코리아(주), 이명철 filed Critical 키오스크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50161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6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0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magazine to conveying arran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4Card magazines, e.g. pocket, hop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는 카드케이스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된 카드케이스가 이동하는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 상기 카드케이스 내에 수용된 카드의 정보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상기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의 이동통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 상기 이동통로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카드케이스를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카드케이스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을 통하여 이동된 상기 카드케이스를 지지하는 카드케이스 지지수단; 상기 카드케이스 지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카드케이스가 지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카드케이스 감지센서; 상기 카드케이스가 투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투입된 카드케이스가 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상기 카드케이스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기 카드케이스를 상기 카트리지 내부로 투입시키는 카드케이스 투입수단; 및 상기 카드 리더기를 통하여 인식된 인식정보에 따라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지를 판단하고,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 경우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방하여 상기 카드케이스 이동수단이 상기 카드케이스를 이동시켜 상기 카드케이스 지지수단에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카드케이스 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카드 지지수단에 상기 카드케이스가 지지되고 있는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카드케이스 투입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카드케이스가 투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CARD CASE INTO CARTRIDGE}
본 발명은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로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지 확인하고, 자동으로 확인된 카드케이스만 카트리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카트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청, 회사 등과 같이 출입자의 관리가 필요한 경우, 출입 관리자는 출입자와 관련된 정보를 출입관리대장에 입력한 후 출입자의 신원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과 출입증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출입증 발급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출입관리대장은 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서류대장이거나 온라인 상에서 사용 가능한 출입관리대장 프로그램일 수 있다.
출입자는 소속, 직위, 성명, 주민등록번호, 출입기관, 출입목적 등을 기재한 출입신청서를 작성한다. 출입 관리자는 출입신청서를 토대로 출입증번호, 발급일자, 회수일자, 소속, 직위, 성명, 주민등록번호, 출입기관, 출입 목적 등을 출입관리대장에 입력한다. 출입관리대장에는 출입 사항을 관리, 통제하기 위해 발급한 출입증의 회수 여부도 기재되고, 출입자가 용무를 마친 후에는 다시 출입증을 반납하고 신분증을 돌려받아 나가게 되고, 출입자와 경비원이나 안내원 간의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출입증은 종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사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위하여 카드 형태로 발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발급된 카드 형태의 출입증은 목줄을 포함하는 별도의 카드케이스에 수용되어 출입자가 휴대할 수 있다.
출입자가 출입증을 반납하는 경우 반납된 출입증을 따로 보관하여야 하고, 특히 별도의 카드케이스에 수용되는 카드 형태의 출입증인 경우에는 카드 형태의 출입증과 카드케이스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출입자가 많은 경우에는 경비원이나 안내원이 회수되는 출입증을 일일히 수작업으로 따로 보관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회수된 출입증이나 카드케이스를 분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출입증과 같은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케이스가 카트리지에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만 카트리지에 자동으로 회수시킬 수 있는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는 카드케이스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된 카드케이스가 이동하는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 상기 카드케이스 내에 수용된 카드의 정보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상기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의 이동통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 상기 이동통로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카드케이스를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카드케이스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을 통하여 이동된 상기 카드케이스를 지지하는 카드케이스 지지수단; 상기 카드케이스 지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카드케이스가 지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카드케이스 감지센서; 상기 카드케이스가 투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투입된 카드케이스가 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상기 카드케이스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기 카드케이스를 상기 카트리지 내부로 투입시키는 카드케이스 투입수단; 및 상기 카드 리더기를 통하여 인식된 인식정보에 따라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지를 판단하고,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 경우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방하여 상기 카드케이스 이동수단이 상기 카드케이스를 이동시켜 상기 카드케이스 지지수단에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카드케이스 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카드 지지수단에 상기 카드케이스가 지지되고 있는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카드케이스 투입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카드케이스가 투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의 이동통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카드케이스 거치판;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과 결합하고,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축;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카드케이스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영역과 상기 카드케이스가 거치되지 않는 비거치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거치영역의 무게가 상기 거치영역보다 무거우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거치영역에 상기 카드케이스가 거치된 경우 상기 카드케이스와 상기 거치영역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거치영역으로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이동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영역에 거치된 상기 카드케이스가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을 이동시켜 상기 저지판이 상기 비거치영역을 지지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이 거치영역쪽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통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카트리지가 둘레를 따라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의 개구가 상기 카드케이스 투입수단과 마주보게 배치하는 카트리지 회전수단; 및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에 카드케이스가 수용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공간 확인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 중 카드가 수용될 공간이 없는 카트리지의 개구가 상기 카드케이스 투입수단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트리지 회전수단을 회전시켜 카드케이스가 수용될 공간이 있는 카트리지의 개구가 상기 카드케이스 투입수단과 마주보게 배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카드케이스 이동수단은, 상기 카드케이스의 양 측면과 각각 접촉된 상태로 서로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카드케이스가 상기 케이스 지지수단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카드케이스가 투입되었는지 감지하는 투입 감지센서; 및 상기 카드케이스가 상기 카트리지에 투입된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출입증과 같은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케이스가 카트리지에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특정한 카드케이스만 선별하여 카트리지에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계장치를 통하여 자동으로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할 수 있어 카드케이스 또는 카드케이스를 수용하는 카드의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카드케이스를 회수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이 이동통로를 개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 투입수단이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에 투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이 이동통로를 개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 투입수단이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에 투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1000)는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110), 카드 리더기(120), 개폐수단(130), 카드케이스 이동수단(140), 카드케이스 지지수단(150), 카드케이스 감지센서(미도시), 카트리지(170), 카드케이스 투입수단(18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110)는 카드케이스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된 카드케이스(10)가 이동하는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로는 아래에서 설명할 개폐수단(13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고, 상기 이동통로가 개폐수단(130)에 의하여 폐쇄되는 경우에는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110)에 삽입된 카드케이스(1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이동통로 내에 거치될 수 있다.
카드 리더기(120)는 카드케이스의 카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 리더기(120)는 카드케이스(10)가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110)에 거치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카드 리더기(120)는 상기 이동통로 내에 거치된 카드케이스(10) 내에 수용된 카드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10)에 수용된 카드는 IC 칩이 내장되어 있는 카드일 수 있으며, 카드 리더기(120)는 IC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 리더기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카드케이스(10)에 수용된 카드는 NFC 칩이 내장되어 있는 카드일 수 있으며, 카드 리더기(120)는 NFC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 리더기일 수 있다.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 리더기라면 카드 리더기(120)로 사용될 수 있는 리더기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카드 리더기(120)가 가드케이스(10) 내에 수용된 카드의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카드 정보의 인식오류 또는 인식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드 리더기(120)가 배치되는 면과 마주하는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110)의 영역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카드케이스(10)와 카드 리더기(120) 사이에 방해물이 없도록 하여 카드 리더기(120)가 카드케이스(10)의 카드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개폐수단(130)은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110)의 이동통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는 개폐수단(130)이 상기 이동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카드케이스(10)의 카드 정보를 인식한 후 상기 이동통로를 개방함으로써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10)만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위함이다.
일 예로 개폐수단(130)은 카드케이스 거치판(132), 회전축(134), 지지판(136) 및 이동수단(138)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은 상기 이동통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134)은 카드케이스 거치판(132)과 결합하고,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축(134)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가게 세워져 있는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미도시)에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110)의 이동통로에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이 위치하는 영역과 마주하는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110)의 영역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은 회전축(134)을 기준으로 카드케이스(1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영역과 카드케이스가 거치되지 않는 비거치영역을 포함하고, 비거치영역의 무게가 거치영역보다 무겁게 구성될 수 있다. 비거치영역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은 비거치영역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지지판(136)은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을 지지할 수 있고, 이동수단(138)은 지지판(13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판(136)은 상기 거치영역에 카드케이스(10)가 거치된 경우 카드케이스(10)와 상기 거치영역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거치영역으로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이동통로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판(136)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거치영역에 카드케이스(10)가 거치되게 되면 카드케이스(10)의 무게와 상기 거치영역의 무게를 합한 무게가 비거치영역의 무게보다 크게되며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이 기울어져 결국에는 상기 이동통로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판(136)이 비거치영역의 상부면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이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드케이스(10)가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의 거치영역 상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치영역에 카드케이스(10)가 거치된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거치영역에 거치된 카드케이스(10)가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 경우에는 이동수단(138)을 제어하고 지지판(136)을 이동시켜 지지판(136)이 상기 비거치영역을 지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지지판(136)이 상기 비거치영역을 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드케이스 거치판(132)이 거치영역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통로가 개방될 수 있다.
카드케이스 이동수단(140)은 상기 이동통로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카드케이스(10)를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 이동수단(140)은 카드케이스의 양 측면과 각각 접촉된 상태로 서로 반대로 회전하여 카드케이스가 케이스 지지수단(150)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롤러부(142)는 카드케이스(10)를 사이에 두고 카드케이스(10)의 양 측면과 각각 접촉할 수 있는 제1 롤러(21) 및 제2 롤러(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21) 및 제2 롤러(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카드케이스 지지수단(150)이 위치한 방향으로 카드케이스(1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카드케이스 시시수단(150)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롤러(21) 및 복수 개의 제2 롤러(22)가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롤러(21) 및 제2 롤러(22) 간의 간격은 카드케이스(10)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드케이스(10)를 먼저 이동시킨 제1 롤러(21) 및 제2 롤러(22)가 카드케이스(10)의 양 측면과 접촉되지 않기 전에 그 다음에 배치된 제1 롤러(21) 및 제2 롤러(22)가 카드케이스(10)의 양 측면과 접촉하여 연속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카드케이스 이동수단(140)에 의하여 이동된 카드케이스(10)는 지지수단(15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카드케이스 감지센서(미도시)는 카드케이스 지지수단(150)에 의하여 카드케이스(10)가 지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 감지센서로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센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170)는 카드케이스(10)가 투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투입된 카드케이스(10)를 적층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카드케이스 투입수단(180)은 카드케이스 지지수단(15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카드케이스(10)를 카트리지(170) 내부로 투입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 투입수단(180)은 전진 및 후진의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카트리지(170)의 개구가 카드케이스 투입수단(180)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 투입수단(180)이 카드케이스(10)를 밀어주어 카트리지(170)의 개구를 통하여 카트리지(170) 내부로 카드케이스(10)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 투입수단(180)은 모터(181),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볼트(182), 볼트와 체결되고 볼트 회전에 의하여 왕복이동이 가능한 이동축(183) 및 이동축(183)과 결합하고 카드케이스(10)의 일 면과 접촉하여 카드케이스(10)를 밀어주는 카드케이스 이동판(18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81)가 회전하면 볼트(182)가 회전하게 되고, 볼트(182)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축(183)은 볼트(182)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이동축(183)이 카드케이스(1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 카드케이스(10)가 카드케이스 이동판(184)에 의하여 밀리게 됨으로써 카트리지(17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실린더가 카드케이스 이동판(184)와 직접 결합되고 실린더가 카드케이스(1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전진함으로써 카드케이스(10)가 카트리지(17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드 리더기(120)를 통하여 인식된 인식정보에 따라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10)인지를 판단하고,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10)인 경우 개폐수단(130)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방하여 카드케이스 이동수단(140)이 카드케이스(10)를 이동시켜 카드케이스 지지수단(150)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드케이스 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카드 지지수단(150)에 카드케이스가 지지되고 있는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 카드케이스 투입수단(180)을 제어하여 카트리지(170)에 카드케이스(10)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1000)는 카트리지 회전수단(190) 및 공간 확인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회전수단(190)은 회전축(19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170)가 둘레를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회전수단(190)은 회전축(19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장착된 카트리지(170)의 개구가 카드케이스 투입수단(180)과 마주보게 배치할 수 있다. 카트리지 회전수단(190)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192)는 회전축(192)를 회전시키는 모터(194)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리지 회전수단(190)에는 둘레를 따라 카트리지(170)가 장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카트리지(170)가 끼움 결합되어 카트리지(170)가 카트리지 회전수단(190)에 장착될 수 있다.
공간 확인센서는 카트리지 회전수단(190)에 장착된 카트리지(170)에 카드가 수용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간 확인센서로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센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카트리지 회전수단(190)에 장착된 카트리지(170) 중 카드케이스(10)가 수용될 공간이 없는 카트리지(170)의 개구가 카드케이스 투입수단(180)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트리지 회전수단(190)을 회전시켜 카드케이스가 수용될 공간이 있는 카트리지의 개구가 상기 카드케이스 투입수단과 마주보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1000)는 투입 감지센서(미도시) 및 알림 수단(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입 감지센서는 카트리지(170)에 카드케이스가 투입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투입 감지센서로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센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림 수단(220)은 카드케이스(10)가 카트리지(170)에 투입된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알림 수단(220)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카드케이스(10)가 카트리지(170)에 투입된 결과를 영상 또는 음향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110: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 120: 카드 리더기
130: 개폐수단 140: 카드케이스 이동수단
150: 카드케이스 지지수단 170: 카트리지
180: 카드케이스 투입수단 190: 카트리지 회전수단
220: 알림 수단

Claims (5)

  1. 카드케이스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된 카드케이스가 이동하는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
    상기 카드케이스 내에 수용된 카드의 정보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상기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의 이동통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
    상기 이동통로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카드케이스를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카드케이스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을 통하여 이동된 상기 카드케이스를 지지하는 카드케이스 지지수단;
    상기 카드케이스 지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카드케이스가 지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카드케이스 감지센서;
    상기 카드케이스가 투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투입된 카드케이스가 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상기 카드케이스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기 카드케이스를 상기 카트리지 내부로 투입시키는 카드케이스 투입수단; 및
    상기 카드 리더기를 통하여 인식된 인식정보에 따라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지를 판단하고,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 경우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방하여 상기 카드케이스 이동수단이 상기 카드케이스를 이동시켜 상기 카드케이스 지지수단에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카드케이스 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카드 지지수단에 상기 카드케이스가 지지되고 있는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카드케이스 투입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카드케이스가 투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카드케이스 이동 가이드부의 이동통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카드케이스 거치판;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과 결합하고,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축;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카드케이스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영역과 상기 카드케이스가 거치되지 않는 비거치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거치영역의 무게가 상기 거치영역보다 무거우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거치영역에 상기 카드케이스가 거치된 경우 상기 카드케이스와 상기 거치영역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거치영역으로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이동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영역에 거치된 상기 카드케이스가 수용이 허용된 카드케이스인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을 이동시켜 상기 저지판이 상기 비거치영역을 지지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카드케이스 거치판이 거치영역쪽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통로를 개방시키는,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카트리지가 둘레를 따라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의 개구가 상기 카드케이스 투입수단과 마주보게 배치하는 카트리지 회전수단; 및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에 카드케이스가 수용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공간 확인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 중 카드가 수용될 공간이 없는 카트리지의 개구가 상기 카드케이스 투입수단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트리지 회전수단을 회전시켜 카드케이스가 수용될 공간이 있는 카트리지의 개구가 상기 카드케이스 투입수단과 마주보게 배치하는,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케이스 이동수단은,
    상기 카드케이스의 양 측면과 각각 접촉된 상태로 서로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카드케이스가 상기 케이스 지지수단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카드케이스가 투입되었는지 감지하는 투입 감지센서; 및
    상기 카드케이스가 상기 카트리지에 투입된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KR1020150161769A 2015-11-18 2015-11-18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KR10239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69A KR102391614B1 (ko) 2015-11-18 2015-11-18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69A KR102391614B1 (ko) 2015-11-18 2015-11-18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49A true KR20170058049A (ko) 2017-05-26
KR102391614B1 KR102391614B1 (ko) 2022-04-28

Family

ID=5905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769A KR102391614B1 (ko) 2015-11-18 2015-11-18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074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125073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412A (ko) * 2004-09-13 2004-10-16 (주)유비시스템 스태커 기능이 구비된 카드 디스펜서
KR20050035992A (ko) * 2003-10-14 2005-04-20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무인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KR100836209B1 (ko) * 2007-06-29 2008-06-09 유석동 미디어 저장 디스크 무인 대여기의 디스크 인출입 장치
KR100897611B1 (ko) * 2008-09-19 2009-05-15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992A (ko) * 2003-10-14 2005-04-20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무인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KR20040088412A (ko) * 2004-09-13 2004-10-16 (주)유비시스템 스태커 기능이 구비된 카드 디스펜서
KR100836209B1 (ko) * 2007-06-29 2008-06-09 유석동 미디어 저장 디스크 무인 대여기의 디스크 인출입 장치
KR100897611B1 (ko) * 2008-09-19 2009-05-15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074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125073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614B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91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EP2994891B1 (en) Apparatus for reading and printing on a booklet
US86824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uplicating keys
RU242290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CN1787021A (zh) 防止在电子卡终端上使用套卡机的系统和方法
JP5898048B2 (ja) 鍵管理装置
KR20170058049A (ko)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KR102194334B1 (ko)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생체정보 인식 출입 통제 장치
US10482683B2 (en) Water ingress protection for ticket entry slot
JP6824335B2 (ja) 鍵管理装置
JP5986335B1 (ja) 鍵管理装置
JP2017004045A (ja) 媒体鑑別装置、及び、媒体取扱装置
JP5088009B2 (ja) 自動取引装置、その動作方法および自動取引装置運用システム
KR10216575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00034255A (ko)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JP2019095929A (ja) 入退出管理装置
KR200392079Y1 (ko) 출입카드 교환장치
KR20090015688A (ko) 보안기능 향상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
JP6218345B2 (ja) 鍵管理装置、鍵管理システムおよび鍵管理装置の鍵交換方法
JP6031628B2 (ja) 鍵管理装置
JP6235057B2 (ja) 鍵管理装置、鍵ホルダおよび連結部材
JP6495159B2 (ja) 媒体識別装置
KR200238815Y1 (ko) 출입카드 교환장치
TR201903939A1 (tr) Atm'ler için görüntü tabanli bir güvenlik tertibatı.
CN114742184A (zh) 卡片存储装置及金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