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255A -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255A
KR20200034255A KR1020180113801A KR20180113801A KR20200034255A KR 20200034255 A KR20200034255 A KR 20200034255A KR 1020180113801 A KR1020180113801 A KR 1020180113801A KR 20180113801 A KR20180113801 A KR 20180113801A KR 20200034255 A KR20200034255 A KR 20200034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s
coin
coin box
control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18011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4255A/ko
Publication of KR2020003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4Hand- or motor-driven devices for counting coi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2Coin hold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를 위한 시재 관리장치에 있어서: 정산모듈과 디스플레이를 지닌 본체; 상기 본체로 투입되는 동전함에 적재된 동전을 종류별로 계수하는 인식수단; 상기 본체에 다수의 동전함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설정된 경로 상으로 동전함의 이동을 유발하는 보관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과 보관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여 동전의 정산을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의 현금 출납에 수반되는 시재 처리에서 자투리 동전의 명확한 인식을 기반으로 일일 자동 정산과 담당 직원별 보관을 유도하여 업무 효율성과 보안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Cash Management Apparatus for automatic banking}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융 거래 과정에서 수반되는 동전의 일일 출납을 파악하여 정산하기 위한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거래의 자동화를 위한 ATM은 초기에 현금인출기로 시작했지만, 고객의 요구와 시장의 변화에 맞추어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ATM의 보급 확대는 은행 지점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여 수익성 제고에 일조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통상적으로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의 출납업무는 창구 직원과 모출납 관리자 간에 일일 시재를 통하여 정산된다. 시재와 같은 일상적인 업무가 ATM과 연계되어 생력화된다면 업무 효율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91303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86774호(선행문헌 2) 등의 특허문헌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직원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투입되는 현금을 종류별로 계수하여 계수정보를 생성하는 계수부, 시재보관부에 구비된 복수의 카세트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현금을 복수의 카세트 중 어느 하나에 보관시키고, 직원정보 및 계수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정산작업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시재를 관리를 도모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이는 현금 중에서 지폐의 정산을 요체로 하므로 자투리 동전의 시재가 여전히 생력화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선행문헌 2는 금전 출납장치의 동전 출납부와 관련하여, 동전을 분류 수납하는 호퍼; 각 호퍼에 장착되어 동전을 배출하는 회전판; 각 회전판에 장착되어 동전을 배출하는 지지판; 및 각 지지판에 장착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동전의 정확한 배출로 카운터의 업무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는 동전을 배출하는 ATM의 기본적 기능을 요체로 하므로 시재에 적용하기 한계성을 드러내어 개선의 여지가 크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91303호 "시재 보관 장치 및 방법" (공개일자 : 2014.05.0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86774호 "금전 출납장치" (공개일자 : 2004.10.2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투리 동전의 명확한 시재 인식을 통한 일일 자동 정산 기능과 담당 직원별 슬롯 저장을 통한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한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를 위한 시재 관리장치에 있어서: 정산모듈과 디스플레이를 지닌 본체; 상기 본체로 투입되는 동전함에 적재된 동전을 종류별로 계수하는 인식수단; 상기 본체에 다수의 동전함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설정된 경로 상으로 동전함의 이동을 유발하는 보관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과 보관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여 동전의 정산을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인식수단은 동전함의 권종별 동전 총액을 영상으로 계수하도록 촬영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촬영기는 촬영 자세와 위치의 변동을 유발하는 모션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인식수단은 레이저 또는 초음파로 동전함의 동전을 계수하도록 보조검출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보관수단은 복수의 트랙 상에 각각의 동전함을 수용하는 복수의 거치대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제어기, 제어기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I/D검출기, 제어기에 동전함의 이동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검출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기는 동전함의 종류별 적재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프로세스로 진행하면서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기관의 현금 출납에 수반되는 시재 처리에서 자투리 동전의 명확한 인식을 기반으로 일일 자동 정산과 담당 직원별 보관을 유도하여 업무 효율성과 보안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를 위한 시재 관리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금융자동화를 위한 ATM과 연계되어 시재를 관리하는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금융기관의 시재 관리 업무 중에서 자투리 동전의 계수와 정산 처리를 생력화함을 요체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정산모듈(12)과 디스플레이(15)를 지닌 구조이다. 본체(10)는 정산모듈(12)을 탑재하고 공지의 ATM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정산모듈(12)은 투입되는 지폐와 동전의 진위를 파악하는 기능을 지닌다. 디스플레이(15)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구성이 선호되며, 외부의 입력을 받고 입출금을 비롯한 작동 상태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10)는 후술하는 인식수단(20), 보관수단(30), 제어수단(40)을 수용하고 시재를 처리한다. 시재 관리는 본체(10)에 수용된 지폐함(11) 및 동전함(21)을 계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식수단(20)은 상기 본체(10)로 투입되는 동전함(21)에 적재된 동전을 종류별로 계수하는 구조이다. 인식수단(20)은 본체(10)에서 동전함(21)이 출입되는 투입셔터(13)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동전함(21)은 500원, 100원, 50원, 구화 10원, 신화 10원을 구분하여 수용한다. 동전함(21)은 출납 업무시 수평으로 유지되지만 시재 업무시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이에 동전함(21)은 잠금과 개방이 가능한 덮개(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덮개(22)에는 적재된 모든 동전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개구(23)가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는 지폐함(11) 및 동전함(21)의 출입을 위한 투입셔터(13)를 구비한다. 투입셔터(13)는 담당 직원의 신분 증명을 거쳐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인식수단(20)은 동전함(21)의 권종별 동전 총액을 영상으로 계수하도록 촬영기(25)를 구비한다. 인식수단(20)의 촬영기(25)는 CCD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영상처리를 보조하는 램프, 렌즈 등을 부가할 수 있다. 촬영기(25)는 본체(10)에서 동전함(21)이 투입되는 영역에 설치되고, 동전함(21)의 개구(23)로 노출된 동전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동전함(21)은 적어도 하나의 적재공간에 동일 권종의 동전이 적재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적재공간에 각각 다른 권종의 동전들이 적재될 수 있다. 또한, 동전함(21)의 개구(23)의 일측으로 눈금(2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기(25)는 적재된 동전과 눈금(27)을 동시에 촬영하여 동전 계수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인다.
한편, 인식수단(20)은 비전센서, 칼라센서를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고, CCD카메라와 연계하면 적재된 동전에 대한 인식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촬영기(25)는 촬영 자세와 위치의 변동을 유발하는 모션기(26)를 더 구비한다. 동전함(21)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촬영기(25)의 동전 영상은 중심과 주변에서 차이를 나타낸다. 모션기(26)는 촬영기(25)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지닌다. 경우에 따라 모션기(26)는 촬영기(25)의 촬영 각도를 틸팅하는 구성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인식수단(20)은 레이저 또는 초음파로 동전함(21)의 동전을 계수하도록 보조검출기(28)를 더 구비한다. 보조검출기(28)는 동전함(21)의 상면 형성된 또 다른 개구(도시 생략)를 통하여 동전의 적재된 높이를 검출한다. 레이저 또는 초음파 신호로 생성되는 동전의 적재 높이 데이터는 후술하는 제어수단(40)에서 정산 금액 데이터로 변환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수단(30)은 상기 본체(10)에 다수의 동전함(21)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설정된 경로 상으로 동전함(21)의 이동을 유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관수단(30)은 최대 8개의 동전함(21)을 수용하는 상태를 예시하지만 9개 이상의 동전함(21)도 수용할 수 있다. 다수의 동전함(21)은 투입셔터(13)에 근접한 기준점에서 설정된 경로로 동시에 이동하므로 순차적으로 기준점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관수단(30)은 복수의 트랙(32) 상에 각각의 동전함(21)을 수용하는 복수의 거치대(36)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8개의 거치대(36)가 상측과 하측의 트랙(32)을 개재하여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다. 상측의 트랙(32)은 내부 트랙과 외부 트랙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거치대(36)를 지지한다. 거치대(36)의 저면에는 이동의 원활성을 위한 볼캐스터를 설치할 수 있다. 트랙(32)은 다수의 벨트를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며, 이 경우 벨트를 지지하는 안내기(34)는 풀리와 가이드롤러를 사용하고, 구동기(38)는 일측의 풀리에 구동모터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거치대(36)는 각각의 동전함(21)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외에 상호 구분을 위한 식별부재를 갖출 수 있다. 식별부재의 예시로서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마킹 또는 RFID 태그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36)는 동전함(21)이 정상적으로 장착되거나 탈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장착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되나, 트랙(32)의 다른 예로서 가이드레일과 같은 정치식으로 구성하고 주행휠을 맞물리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40)은 상기 인식수단(20)과 보관수단(30)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여 동전의 정산을 처리한다. 제어수단(40)은 본체(10)의 ATM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적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제어수단(40)은 투입되는 낱장의 지폐 및 동전함(21)의 금액을 확인하여 정산하고, 동전함(21)이 설정된 순서대로 기준점을 통과 가능하도록 보관한다.
제어수단(40)의 알고리즘은 동전함(21)의 동전 계수를 실행하기 위한 다수의 서브루틴 프로그램을 갖춘다. 이는 촬영기(25)를 통한 권종별 적재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금액을 인식하는 서브루틴 프로그램, 보조검출기(28)를 통한 권종별 적재 높이 정보와 눈금(27)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금액을 인식하는 서브루틴 프로그램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된 식별정보(마킹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거치대(36)를 인식하는 서브루틴 프로그램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40)은 제어기(42), 제어기(42)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I/D검출기(44), 제어기(42)에 동전함(21)의 이동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검출기(46)를 구비한다. 제어기(4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 구동부(48)를 탑재한 마이컴 회로로 구성된다. 제어기(42)의 메모리는 실행 프로그램 외에 동전별 두께, 동전 테두리 톱니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물론 제어기(42)는 정산모듈(12)과 연계하여 동전에 대한 여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I/D검출기(44)는 담당 직원의 신분을 증명하는 I/D카드, 신체정보 등을 확인한다. 위치검출기(46)는 트랙(32) 상의 특정 거치대(36)가 투입구의 기준점에 도달한 상태를 확인한다. 물론 제어기(42)는 사전에 디스플레이(15) 등을 통하여 각각의 거치대(36)에 할당된 직원의 정보를 활용한다.
작동의 일예로서, 특정의 담당 직원이 자신의 I/D카드를 I/D검출기(44)에 접촉하면 투입셔터(13)가 개방되고, 제어기(42)는 구동기(38)를 가동하여 해당 거치대(36)가 투입구의 기준점에 오도록 하고, 담당 직원은 동전함(21)을 자신에게 할당된 거치대(36)에 밀어 넣는다. 본체(10)에 지폐함(11)을 투입하는 과정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 가능하다. 이후 제어기(42)는 전술한 서브루틴 프로그램에 따라 촬영기(25)를 가동하여 동전을 계수하고 지폐에 대한 카운트와 더불어 전체 금액을 연산으로 산정하여 시재를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기(42)는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동전함에 적재된 동전이 권종별로 스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제어기(42)는 인식된 동전함(21)의 금액과 투입된 지폐의 금액을 권종별로 디스플레이(15)에 표시한다. 담당 직원 등의 사용자가 표시된 금액을 확인하고 저장명령을 입력한다. 제어기(42)는 사용자 식별정보, 동전함이 투입된 거치대 식별정보, 입금된 동전함(21)의 금액정보 및 입금된 지폐 정보를 매칭시켜 보관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지폐도 적어도 권종별 매수가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동전함(21) 촬영 이미지 및 입금된 지폐의 이미지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표시된 금액과 투입된 금액이 다를 경우 투입된 지폐함(11) 및 동전함(21)을 인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기(42)를 통한 출금명령 입력 시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고, 해당 사용자와 매칭되면, 저장된 동전 및 지폐 정보에 기초하여 동전 및 지폐를 출금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기(42)는 동전함(21)의 종류별 적재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프로세스로 진행하면서 디스플레이(15) 상으로 표시한다. 만일 동전함(21)의 동전 중에서 일부가 다른 금액의 영역에 혼재된 경우에는 정산 오류가 발생한다. 제어기(42)는 촬영기(25)의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여 정상적 영상과 대비하며, 동전의 너비, 두께, 테두리 톱니 여부 등으로 오류 동전을 발견하면 디스플레이(15)로 표시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기(42)는 모션기(26)를 가동하여 오류 동전이 발견된 위치로 촬영기(25)를 이동하여 재차 촬영하거나 보조검출기(28)를 가동하여 다시 확인을 거치는 또 다른 서브루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지폐함
12: 정산모듈 13: 투입셔터
15: 디스플레이 20: 인식수단
21: 동전함 22: 덮개
23: 개구 25: 촬영기
26: 모션기 28: 보조검출기
30: 보관수단 32: 트랙
34: 안내기 36: 거치대
38: 구동기 40: 제어수단
42: 제어기 44: I/D검출기
46: 위치검출기 48: 구동부

Claims (7)

  1. 금융자동화를 위한 시재 관리장치에 있어서:
    정산모듈과 디스플레이를 지닌 본체;
    상기 본체로 투입되는 동전함에 적재된 동전을 종류별로 계수하는 인식수단;
    상기 본체에 다수의 동전함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설정된 경로 상으로 동전함의 이동을 유발하는 보관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과 보관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여 동전의 정산을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동전함의 권종별 동전 총액을 영상으로 계수하도록 촬영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기는 촬영 자세와 위치의 변동을 유발하는 모션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레이저 또는 초음파로 동전함의 동전을 계수하도록 보조검출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관수단은 복수의 트랙 상에 각각의 동전함을 수용하는 복수의 거치대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제어기, 제어기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I/D검출기, 제어기에 동전함의 이동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동전함의 종류별 적재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프로세스로 진행하면서 디스플레이 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KR1020180113801A 2018-09-21 2018-09-21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KR20200034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801A KR20200034255A (ko) 2018-09-21 2018-09-21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801A KR20200034255A (ko) 2018-09-21 2018-09-21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954A Division KR102181577B1 (ko) 2020-05-06 2020-05-06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55A true KR20200034255A (ko) 2020-03-31

Family

ID=7000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801A KR20200034255A (ko) 2018-09-21 2018-09-21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42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8348A (zh) * 2021-12-17 2022-03-25 江苏富山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搭载利用图像二值化进行财务处理的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774B1 (ko) 2003-04-15 2005-05-03 (주)엔앤피테크놀로지즈 금전 출납장치
KR101391303B1 (ko) 2013-01-15 2014-05-02 기산전자 주식회사 시재 보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774B1 (ko) 2003-04-15 2005-05-03 (주)엔앤피테크놀로지즈 금전 출납장치
KR101391303B1 (ko) 2013-01-15 2014-05-02 기산전자 주식회사 시재 보관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8348A (zh) * 2021-12-17 2022-03-25 江苏富山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搭载利用图像二值化进行财务处理的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0274B (zh) 具有托管装置的自动柜员机
US9466185B2 (en)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US20180211468A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S61276090A (ja) 循環式入出金装置
EP3101632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CN106934923B (zh) 兑换机以及兑换方法
KR102181577B1 (ko)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KR20200034255A (ko) 금융자동화 시재 관리장치
KR10154830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취출장치 및 방법
EP3543188A1 (en) Tray unit assembly
JP6874354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KR102122286B1 (ko)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JPH0981829A (ja) 紙幣入出金機及びその出金方法
JP2018081665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1283283A (ja) 紙幣束投出装置
KR10072287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의 현금회수방법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216575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US11514762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385878B1 (ko) 매체집적장치를 포함한 금융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3147B1 (ko) 매체 보관함 밀판의 비틀림 보정 장치 및 보정 방법
KR102160222B1 (ko) 두께 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JP3394319B2 (ja) 現金自動補充回収システム
KR101815385B1 (ko) 매체집적장치,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JPH11272911A (ja) 異物返却処理を行う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004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1217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50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