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475B1 - 통행권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통행권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475B1
KR102406475B1 KR1020210141489A KR20210141489A KR102406475B1 KR 102406475 B1 KR102406475 B1 KR 102406475B1 KR 1020210141489 A KR1020210141489 A KR 1020210141489A KR 20210141489 A KR20210141489 A KR 20210141489A KR 102406475 B1 KR102406475 B1 KR 102406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ss
housing
way
st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봉호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티 filed Critical (주)엠에스티
Priority to KR1020210141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 G07B11/02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for validating inserted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행권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행권 무인 수납기 내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통행권에 필요적 기재사항을 기재하고, 회수하는 통행권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 회수 장치는,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고 통행권이 투입되는 투입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 측 내장 공간에 구비되는 일 설치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복수의 이송 롤러,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의 둘레를 따라 감겨진 이송 벨트 및 상기 이송 벨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벨트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이송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 측 내장 공간에 구비되는 타 설치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통행권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의 일 측에는 상기 통행권에 표시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 및 판독된 상기 통행권에 통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와 이송부 사이, 그리고 상기 이송부와 상기 회수부 사이, 그리고 상기 회수부의 일 측에는 상기 통행권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다.

Description

통행권 회수 장치{ROAD TICKE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통행권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행권 무인 수납기 내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통행권에 통행 정보를 기재하고, 회수하는 통행권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의 입구측 톨 게이트와 출구측 톨 게이트가 설치된 폐쇄식의 유료 고속도로에서는 상기 입구측 톨 게이트에 고속도로 통행에 따른 요금 징수를 목적으로 통행권을 발행하는 통행권 발행기가 설치되고, 상기 출구측 톨 게이트에는 통행권에 기록되어 있는 요금 징수 정보를 판독하여 요금을 징수하는 통행권 확인기가 설치된다.
상기한 통행권을 발부받는 고속도로 이용자가 출구측 톨 게이트에 진입하면, 상기 통행권을 톨게이트 관리직원에게 제공하며, 상기 관리직원은 상기 통행권을 통행권 확인기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통행권 확인기는 상기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입구 정보와 미리 저장된 출구 정보를 토대로 고속도로 이용요금을 산정하여 고객 및 관리직원에게 표시하여 안내함과 아울러 출구 정보를 상기 통행권에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출구 정보는 차종, 출구 영업소 코드, 처리일자, 통행권 처리 요금소 번호, 처리 연번, 통행료를 고속도로 카드로 처리할 경우의 카드번호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5316호 등이 존재하는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여전히 톨게이트 출구 측에 요금 정산을 위한 요금 정산원이 필요하여 인력이 낭비, 자원 낭비 등이 유발되고 있다.
따라서 완전한 무인화를 실현할 수 있는 통행권 회수 장치에 대한 기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료 도로의 출구 측에서 완전한 무인화를 실현할 수 있는 통행권 회수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함체 내부의 고유의 구조 및 형상을 통해 유지/보수/교체가 간편한 통행권 회수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 회수 장치는,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고 통행권이 투입되는 투입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 측 내장 공간에 구비되는 일 설치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복수의 이송 롤러,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의 둘레를 따라 감겨진 이송 벨트 및 상기 이송 벨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벨트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이송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 측 내장 공간에 구비되는 타 설치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통행권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의 일 측에는 상기 통행권에 표시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 및 판독된 상기 통행권에 통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와 이송부 사이, 그리고 상기 이송부와 상기 회수부 사이, 그리고 상기 회수부의 일 측에는 상기 통행권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수부는 상기 통행권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을 구비하는 스태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는 상기 통행권이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부에 접촉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과 상기 스태커의 저면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 설치 플레이트의 일 측에는 상기 통행권의 높이를 감지하는 래칫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저면과 접촉하는 저면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프링에 걸어 맞출 수 있도록 발톱 형상을 갖는 고정 돌기, 그리고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스프링 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수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센서와 래칫은 상기 타 측 내장 공간과 상기 타 설치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유료도로의 출구 측에서 완전한 무인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함체 내부의 고유의 구조 및 형상을 통해 유지/보수/교체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 회수 장치가 무인 수납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 회수 장치의 내부 공간을 나타낸 도면.
도 3, 4 및 6은 통행권 회수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통행권 회수 장치의 투입부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7b는 통행권 회수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통행권 회수 장치의 커버 플레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회수부의 스태커를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10b는 스태커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연결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스태커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스태커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가압 유닛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행권 회수 장치(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행권 무인 수납기 내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통행권에 필요적 기재사항을 기재하고, 회수하는 통행권 회수 장치(E)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 회수 장치(E)는 통행권 무인 수납기 내에 설치되며, 차종에 따라 각기 다른 높이가 형성되어 있는 통행권 무인 수납기에 복수로 구비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 회수 장치(E)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 공간(H1)을 구비하는 하우징(H)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H)의 내장 공간(H1)은 이송부(200)가 구비되는 일 측 내장 공간(H11) 및 회수부(300)가 구비되는 타 측 내장 공간(H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 측 내장 공간(H11) 및 타 측 내장 공간(H12)에는 상기 이송부(200)와 회수부(300)를 각각 하우징(H)에 결합시키기 위한 일 설치 플레이트(H21) 및 타 설치 플레이트(H22)가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이송부(200)와 회수부(300)는 각각 독립된 공간에 독립된 설치 플레이트(H2)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송부(200), 회수부(300) 또는 하우징(H)의 교체가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일 설치 플레이트(H21)만을 떼어서 교체한다든가 또는 타 설치 플레이트(H22)만을 떼어서 교체한다든가 또는 설치 플레이트(H2) 모두를 떼어서 교체함으로써 구성의 교체를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다수의 차량이 통행하는 고속도로의 경우에는 비산 먼지가 다량으로 발생하여 이에 의해 기기의 잔고장이 유발될 수 있는데, 이를 막기 위해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며, 이처럼 내부 부품의 청소 시에는 설치 플레이트(H2) 자체를 떼어내 청소가 가능한바 유지/보수에 상당히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H)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부(100)의 하부에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H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H3)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H)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경사로 인해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부피 감소로 경량화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H)을 옮길 때 손잡이(H4) 부분 이외에도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을 더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차량의 충돌이 상기 하우징(H)의 전면에서 일어날 확률이 높아 상기 경사부(H3)는 상기 하우징(H)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의 상면에는 손잡이(H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상기 손잡이(H4)의 회동 결합부(H5)를 가져 손잡이(H4)가 필요한 경우에만 손잡이(H4)를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 결합부(H5)는 상기 손잡이(H4)가 보관되는 손잡이(H4)의 보관홈의 내에서 상기 하우징(H)의 내측으로 치우쳐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정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정위치 감지 센서(S1)가 구비된다.
그 다음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의 전면에 구비되고 통행권이 투입되는 투입부(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부(100)는 상기 하우징(H)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100)의 상측 전면에는 통행권이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투입구(110)로 상기 통행권이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투입구(110)의 주변은 상기 투입구(11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10)의 하부에는 상기 투입구(110)를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120)는 판 형상의 셔터(121), 그리고 상기 셔터(1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122), 그리고 일 측이 상기 리니어 모터(122)와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셔터(121)와 연결되어 상기 셔터(121)를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 로드(1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안내 로드(123)가 상기 리니어 모터(122)에 의해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안내로드의 타 측과 연결되어 있는 셔터(121)가 상기 투입구(11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셔터(121)가 상기 하우징(H)으로부터 돌출된 정도는 상기 투입구(110)가 상기 하우징(H)으로부터 돌출된 정도보다 적게 구성되고, 이에 상기 셔터(121)가 상기 투입구(110)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투입구(110)는 외측에 상기 셔터(121)가 관통할 수 있는 슬릿홈(111)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10)의 외측에는 상기 안내 로드(123)가 상기 투입구(110)의 외측면을 지나갈 수 있도록 안내 로드(123) 형성과 상응하는 형상의 안내홈(11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안내 로드(123)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안내홈(112) 또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부(100)는 상기 투입구(110)와 개폐 부재(120)를 덮어주는 덮개(13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130)는 상기 투입부(100)의 하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H)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31)는 상기 경사부(H3)와는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이처럼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서 상기한 충격 분산 기능을 한 층 더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도 5b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입구(110)로부터 이송부(200) 측으로 형성된 도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어(140)는 일단은 이송부(200)에 거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이송롤러(21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부는 도어(140)와 안내홈(11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행권이 이송롤러(210)에 터치되면, 이송롤러(210)가 회전하면서 통행권을 하우징의 내부로 이송시킨다. 이와 동시에 통행권이 원활하게 내부로 이송되기 위해 도어(140)의 일단이 들릴 수 있다.
이러한, 도어(140)는 빗물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에 대한 오류 횟수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의 일 측면에는 상기 내장 공간(H1)을 개폐시키는 개폐 도어(H6)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예시적으로 상기 개폐 도어(H6)는 상기 하우징(H)의 상/하에 각각 구비되어 분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H)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경첩 및 상기 경??에 각각 개폐 도어(H6)가 결합된다.
상기 개폐 도어(H6)가 분체화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H)의 상/하 중 필요한 개소만 개폐시킬 수 있게 되며, 특히 상/하로 분체화되는 이유는 상측에는 이송부(200)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기판이 구비되므로 이송부(200) 및 기판 각각을 따로 취급하는 경우에 필요한 개소만을 개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H)의 외측 하부에는 상기 통행권 무인 수납기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결합홈(H71)을 포함하는 결합면(H7)이 하우징(H)의 측면보다 바깥 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H71)은 일 측은 원형의 홈을 갖고, 상기 원형의 홈의 일 단부에서 타 측으로 장공 형상의 홈을 가져 열쇠 모양과 같이 형성된다.
그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의 일 측 내장 공간(H11)에 구비되는 일 설치 플레이트(H21)에 설치되고, 복수의 이송 롤러(210),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210)의 둘레를 따라 감겨진 이송 벨트(220) 및 상기 이송 벨트(22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벨트(220)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 유닛(230)을 포함하는 이송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복수의 이송 롤러(210)는 상기 일 설치 플레이트(H21)의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240)에 의해 구동되며, 아이들러(2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210)는 이송 방향을 따라 단순하게 일렬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는 이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되, 이송 방향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이송 롤러(210)를 포함하여, 이송 벨트(220)를 감았을 때, 단순히 타원 형상이 아니라 한 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타원 형상을 갖게 된다. 이는 상기한 통행권이 이송부(200)에 이송되다가 어딘가에 걸렸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빼내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200)의 일 측에는 상기 통행권에 표시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250) 및 판독된 상기 통행권에 통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60)가 구비된다.
여기서 판독부(250)는 상기 통행권에 새겨진 마그네틱 정보를 읽어내는 부분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60)는 판독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통행권에 통행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며, 캠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60)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독부(250)와 표시부(26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추가 실시예로서 상, 하, 전, 후로 각각 4개씩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통행권이 다른 방향으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판독과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통행 정보는 통행권을 어디에서 뽑았는지, 주행 거리는 얼마나 되는지, 그에 따른 요금은 얼마나 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들이 기재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유닛(230)은 상기 복수의 롤러 중 하나인 구동 롤러와 함께 연결되어 구비되는데, 여기서 구동 롤러는 구동 모터(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롤러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가압 유닛(23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송 벨트(220)가 유격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240)는 그 외측에 수동 회전 레버(241)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 회전 레버(241)는 전기적인 연결이 문제가 있다거나 수동으로 구동력을 전달해야하는 경우에 필요한 구성이며, 특히 통행권이 이송부(200)에 걸렸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240)의 하부에는 카운터 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부재(270)는 후술할 센서(S)에 의해 카운터될 수 있게 되며, 자명하게도 센서(S) 및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100)와 이송부(200) 사이, 그리고 상기 이송부(200)와 상기 회수부(300) 사이, 그리고 상기 회수부(300)의 일 측에는 상기 통행권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S)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S)에 의해 상기 통행권의 투입 여부가 감지되어 작동이 필요할 때에만 작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S)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할 스태커(3000)에 통행권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 적재되는 경우를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알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알림부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일 설치 플레이트(H21)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커버 플레이트(2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참고적으로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280)는 하우징(H)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는 상기 하우징(H)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280)는 상기 이송부(200)의 일부를 덮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며, 이는 자명하게도 이송부(200) 측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송부(200)가 제대로 구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특징적인 점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80)는 개방 시에 그 내측면이 상측으로 향하면서 일 설치 플레이트(H21) 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80)의 하부가 상기 일 설치 플레이트(H21) 측을 향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80)의 상부가 상기 일 설치 플레이트(H21)의 바깥 측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개방 시에 상기 일 설치 플레이트(H21)의 상부와 하부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어 넓은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일 설치 플레이트(H21)의 하부에는 전선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홈(H211)을 구비한다. 상기 인입홈(H211)을 따라 인입된 전선들은 기판에 연결되거나 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특징적인 점은 전선이 중구난방으로 산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인입홈(H211)의 둘레만큼으로는 집중시킬 수 있어 일 설치 플레이트(H21)를 정돈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유지/보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부(200)의 회수부(300) 측 단부에 연결되는 안내 부재(2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 부재(29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에 소정의 경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8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안내 부재(290)의 상측에 이격되어 부착되며, 스태커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2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291)는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되고, 스태거의 가로방향으로 진행되면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탈방지부재(291)의 끝면은 스태커(3000)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형성된 기울기는 통행권이 스태커(3000)로 적재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한 기울기로 형성된다. 즉, 이탈방지부재(291)가 형성됨으로써, 통행권이 이송부(200)를 통해 스태커(3000) 측으로 배출되는 속도를 감소시켜 회부수(300)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탈방지부재(291)의 끝면이 수직으로 형성됨으로써, 통행권 배출시 내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8a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의 타 측 내장 공간(H12)에 구비되는 타 설치 플레이트(H22)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 상기 통행권을 회수하는 회수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부(300)는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 통행권이 회수되는 곳인데, 상기 회수부(300)는 상기 통행권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을 구비하는 스태커(3000)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커(3000)는, 적재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스태커(3000)의 내부 구성들을 내장하는 스태커 함체(3100), 그리고 상기 통행권이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3200), 그리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3200)의 하부에 접촉하는 스프링(3300) 및 상기 스프링(3300)과 상기 스태커(3000)의 저면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3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스태커(3000)의 저면이라고 함은 더 정확히는 스태커 함체(3100)의 저면을 의미한다.
먼저 안착 플레이트(3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플레이트(3200)의 측부 측 중앙이 움푹 들어간 중앙홈(32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3200)의 안착면 상에 후술할 가이드 부재(3430)의 중심과 일치하는 곳에 대응홈(3220)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3200)가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 부재(3430)와 대응홈(3220)이 서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3200)는 상기 중앙홈(3210)의 일 측에 상기 스태커 함체(3100)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 부재(3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태커 함체(3100)는 상기 스태커 함체(3100)를 개폐하는 스태커 도어(3120)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태커 도어(3120)의 전면에는 상기 돌출 부재(3230)가 상기 스태커 함체(3100)의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 부재(3230)가 구비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전면홈(3121)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전면홈(3121)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안착 플레이트(3200)가 평형 상태일 때의 높이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3200)가 최대로 수축했을 때의 높이의 차이만큼은 갖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34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3400)는 상기 저면과 접촉하는 저면 플레이트(3410), 그리고 상기 저면 플레이트(341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330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프링(3300)에 걸어 맞출 수 있도록 발톱 형상을 갖는 고정 돌기(3420), 그리고 상기 저면 플레이트(3410)의 상면에 상기 스프링(3300) 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3300)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3430)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돌기(3420)의 발톱 부분이 상기 스프링(3300)의 최하부 코일을 걸어 맞추게 되어 상기 스프링(3300)이 고정될 수 있게 되며,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3430)에 의해 상기 스프링(3300)이 안정적으로 상/하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발톱 형상 내지는 발톱 부분이라고 함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돌기(3420)가 디귿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예시적으로 상기 고정 돌기(3420)는 상기 스프링(3300)의 외측 네 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스프링(330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3430)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3430)와 상기 스프링(3300)의 내측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데, 이격 공간 확보에 따라 상기 스프링(3300)이 더 유연하게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면 플레이트(3410)와 상기 스태커 함체(3100)의 저면 사이에는 볼트와 너트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 돌기(3420)의 회동축(3421)이 상기 스태커 함체(3100)의 저면과도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발톱 부분에 상기 스프링(3300)의 최하부 코일을 걸었을 때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커 함체(3100)의 저면은 그 중앙이 내측 방향으로 움푹 패여지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커 도어(3120)의 하부에는 보강 플레이트(3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3130)는 상기 스태커 함체(3100)와 볼트 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특징적인 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태커 함체(3100)와 보강 플레이트(3130)는 볼트 결합을 하고 있으므로, 이 둘을 서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스프링(3300) 등 상기 스태커 함체(3100) 내에 내장된 구성들을 바깥으로 빼내어 작업을 하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3130)는 상기 스태커 함체(3100)와 볼팅 결합되는 면의 측부에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절곡된 부분은 상기한 볼팅 결합되는 면 바깥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하게 된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 설치 플레이트(H22)의 일 측에는 상기 통행권의 높이를 감지하는 래칫(3100)이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회수부(300)의 일 측에 구비되는 센서(S)와 래칫(3100)은 상기 타 측 내장 공간(H12)과 상기 타 설치 플레이트(H22)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센서(S)는 타 설치 플레이트(H22)에 구비되지 않고, 타 측 내장 공간(H12)과 타 설치 플레이트(H22)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통행권이 회수되는 부분과 이를 감지하는 부분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물리적으로 분리하였을 때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스태커 함체(3100) 내의 구성이 교체를 요한다거나 보수를 요하는 경우에 스태커 함체(3100)만을 분리하면 되므로 불필요하게 래칫(3100)과 센서(S)를 함게 분리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특히 센서(S)의 경우에는 기계적으로만 이루어진 구성은 아니라는 점에서 상기한 교체 과정에서 잔고장에 취약하므로 상기한 효과는 더욱 부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커 함체(3100)의 내 측면에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3200)가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딩 홈(3111), 및 상기 가이딩 홈(3111)의 중앙에 돌출되는 가이딩 돌기(3112)를 포함하는 가이딩 부재(3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딩 부재(3110)는 상기 스태커 함체(3100)의 내측에 볼트 결합으로 결합된다. 즉,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태커 함체(3100)와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이딩 홈(3111)과 가이딩 돌기(3112)에 접촉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3200)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플레이트(3200)의 일 측에는 디귿자 형상의 가이딩 대응 부재(3240)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이딩 시에 유격 없이 가이드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커 함체(3100)의 외측면은 디귿자 형상으로 벤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태커 함체(3100)의 전면의 일 측과 타 측에는 각각 손잡이(31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3140) 위에 상기 스태커 함체(3100)의 개폐를 위한 스태커 도어(3120)의 손잡이(3122)가 결합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E: 통행권 회수 장치 R: 무인 수납기
100: 투입부 110: 투입구
120: 개폐 부재 130: 덮개
140: 도어
200: 이송부 210: 복수의 이송 롤러
220: 이송 벨트 230: 가압 유닛
240: 구동 모터 250: 판독부
260: 표시부 270: 카운터 부재
280: 커버 플레이트 290: 안내 부재
291: 이탈방지부재
300: 회수부 3000: 스태커
3100: 스태커 함체 3200: 안착 플레이트
3300: 스프링 3400: 연결 부재
3100: 래칫
H: 하우징 H1: 내장 공간
H2: 설치 플레이트 H3: 경사부
H4: 손잡이 H5: 회동 결합부
H6: 개폐 도어 H7: 결합면

Claims (4)

  1. 삭제
  2.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고 통행권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하우징의 일 측 내장 공간에 구비되는 일 설치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복수의 이송 롤러,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의 둘레를 따라 감겨진 이송 벨트 및 상기 이송 벨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벨트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 측 내장 공간에 구비되는 타 설치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통행권을 회수하는 회수부;
    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의 일 측에는 상기 통행권에 표시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 및 판독된 상기 통행권에 통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와 이송부 사이, 그리고 상기 이송부와 상기 회수부 사이, 그리고 상기 회수부의 일 측에는 상기 통행권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 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는 상기 통행권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을 구비하는 스태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는 상기 통행권이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부에 접촉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과 상기 스태커의 저면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통행권이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회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저면과 접촉하는 저면 플레이트,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프링에 걸어 맞출 수 있도록 발톱 형상을 갖는 고정 돌기 및,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스프링 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회수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센서는 상기 타 측 내장 공간과 상기 타 설치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회수 장치.
KR1020210141489A 2021-10-22 2021-10-22 통행권 회수 장치 KR10240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89A KR102406475B1 (ko) 2021-10-22 2021-10-22 통행권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89A KR102406475B1 (ko) 2021-10-22 2021-10-22 통행권 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475B1 true KR102406475B1 (ko) 2022-06-08

Family

ID=8198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489A KR102406475B1 (ko) 2021-10-22 2021-10-22 통행권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4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052Y1 (ko) * 2001-08-25 2001-11-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차량의 통행권 확인장치
KR100897611B1 (ko) * 2008-09-19 2009-05-15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052Y1 (ko) * 2001-08-25 2001-11-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차량의 통행권 확인장치
KR100897611B1 (ko) * 2008-09-19 2009-05-15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6442A (en) Coin Assorter
AU2005205357B2 (en) Validating removable fare collection system
US20060016737A1 (en) Return station for refundable or borrowed objects
US4372478A (en) Fare collect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20150194022A1 (en) Banking apparatus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KR102406475B1 (ko) 통행권 회수 장치
US5469783A (en) Collector for empty used recyclable beverage cans
CN102968848B (zh) 一种硬币处理机的钱箱
US7255266B2 (en) Check accepting and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KR102336222B1 (ko) 통행권 회수 장치
US4310749A (en) Fare collect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CN101964127B (zh) 感测编码记录的方法、感测编码记录上的磁性标记的方法
US7195152B2 (en) Check accepting and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CN113412503B (zh) 包括坏硬币分类单元的硬币计数装置
US4313700A (en) Fare collect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7284693B2 (en) Check accepting and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JP2001126090A (ja) 施設利用券、改札装置、施設利用券リサイクルシステム
CN210466477U (zh) 一种停车场便于收费用辅助箱
JP3944301B2 (ja) 料金収受装置および料金収受方法
JP3901833B2 (ja) 料金収受装置及び料金収受システム並びに料金収受方法
JPH05217043A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装置
JPH07325947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KR200249630Y1 (ko) 자동 계수장치
KR100385452B1 (ko) 통행권의 통합 처리 방법
KR20010035921A (ko) 전자 통행료 징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