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743B1 -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743B1
KR102347743B1 KR1020150161763A KR20150161763A KR102347743B1 KR 102347743 B1 KR102347743 B1 KR 102347743B1 KR 1020150161763 A KR1020150161763 A KR 1020150161763A KR 20150161763 A KR20150161763 A KR 20150161763A KR 102347743 B1 KR102347743 B1 KR 10234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se
cartridge
discharging means
cover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046A (ko
Inventor
이명철
Original Assignee
키오스크코리아(주)
이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오스크코리아(주), 이명철 filed Critical 키오스크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5016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7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0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magazine to conveying arrangement
    • G06K13/103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magazine to conveying arrangement using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4Card magazines, e.g. pocket, hop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는 복수의 카드케이스가 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이의 출구가 아래에 놓이도록 직립된 카트리지; 상기 직립된 카트리지의 출구로부터 하나씩 분리되는 카드케이스가 위치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상에서 전진 및 후진의 왕복운동을 하고, 전진하는 경우에 상기 수용부에 위치된 상기 카드케이스를 밀어주도록 구성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 및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윗면을 덮고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전진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과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전진 운동시 상기 전진방향으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된 이후 같이 전진운동을 하며,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후진 운동시 돌출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에 수용된 이후 같이 후진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CARD CASE FROM CARTRIDGE}
본 발명은 카드게이스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를 수용하는 복수의 카드케이스가 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로부터 카드케이스를 하나씩 배출시킬 수 있는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청, 회사 등과 같이 출입자의 관리가 필요한 경우, 출입 관리자는 출입자와 관련된 정보를 출입관리대장에 입력한 후 출입자의 신원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과 출입증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출입증 발급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출입관리대장은 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서류대장이거나 온라인 상에서 사용 가능한 출입관리대장 프로그램일 수 있다.
출입자는 소속, 직위, 성명, 주민등록번호, 출입기관, 출입목적 등을 기재한 출입신청서를 작성한다. 출입 관리자는 출입신청서를 토대로 출입증번호, 발급일자, 회수일자, 소속, 직위, 성명, 주민등록번호, 출입기관, 출입 목적 등을 출입관리대장에 입력한다. 출입관리대장에는 출입 사항을 관리, 통제하기 위해 발급한 출입증의 회수 여부도 기재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출입증 발급 방식은 출입자가 출입신청서를 작성하고 출입관리자가 출입관리대장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출입증 발급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출입증 발급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의 카드 배출 장치는 2매가 동시에 배출되거나 배출실패가 발생하여 신뢰성에 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카드케이스를 배출할 수 있고 카드케이스의 배출이 용이한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는 복수의 카드케이스가 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이의 출구가 아래에 놓이도록 직립된 카트리지; 상기 직립된 카트리지의 출구로부터 하나씩 분리되는 카드케이스가 위치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상에서 전진 및 후진의 왕복운동을 하고, 전진하는 경우에 상기 수용부에 위치된 상기 카드케이스를 밀어주도록 구성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 및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윗면을 덮고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전진방향으로 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과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전진 운동시 상기 전진방향으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된 이후 같이 전진운동을 하며,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후진 운동시 돌출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에 수용된 이후 같이 후진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는 카드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 카드가 삽입되어 카드가 카드케이스에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될 수 있는 카드에는 종류의 제한이 없지만, 기업 또는 공공기관 등을 출입하기 위한 출입카드가 카드케이스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는 GPS 모듈이 삽입되어 있을 수 있고, GPS 모듈을 통하여 카드케이스를 휴대한 출입자가 어느 장소에 방문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목걸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목걸이를 목에 걸어 편하게 카드케이스를 휴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에는 종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 배출수단과 마주하는 상기 덮개부의 일면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된 이후 같이 전진운동을 하는 동안 및 돌출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에 수용된 이후 같이 후진운동을 하는 동안, 상기 덥개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출구를 커버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카드케이스가 상기 카트리지의 출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덮개부의 양 측면에는 각각 이동휠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 상부면에는 상기 덮개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레일이 이격된 상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휠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는 출입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출입정보를 상기 카드케이스에 수용된 카드에 저장시키는 출입정보 저장부; 및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된 카트케이스를 보관하는 카드케이스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카드를 수용하고 있는 복수의 카드케이스가 적층되어 있는 카트리지로부터 하나의 카드케이스를 배출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케이스를 배출함으로써 카드케이스를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키오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카드케이스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어 카드케이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덮개부가 카드케이스가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나의 카드케이스가 배출되로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 배출수단 및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 배출수단 및 덮개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 배출수단 및 덮개부의 이동과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이 카드케이스를 밀어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 배출수단 및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 배출수단 및 덮개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 배출수단 및 덮개부의 이동과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이 카드케이스를 밀어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1000)는 카트리지(100), 수용부(200),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 및 덮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에는 복수의 카드케이스(10)가 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100)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복수의 카드케이스(10)는 하나씩 카트리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케이스(10)는 일 예로 사용자에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에는 카드케이스(10)가 투입되거나 카트리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구가 아래에 놓이도록 카트리지(100)가 직립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복수의 카드케이스(10) 중 하나의 카드케이스(10)를 카트리지(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출구를 개폐하여 주는 개폐수단(미도시)이 상기 출구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개폐수단을 통하여 상기 출구가 개방되어 하나의 카드케이스(10)가 분리된 후에는 상기 개폐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구가 패쇄되는 방식을 통하여 하나의 카드케이스(10)가 카트리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수용부(200)에는 직립된 카트리지(100)의 출구로부터 하나씩 분리되는 카드케이스(10)가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리지(100)의 출구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수용부(200)가 배치될 수 있고, 카트리지(100)의 출구와 수용부(200) 사이의 간격은 하나의 카드케이스(10)의 높이보다 조금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드케이스(10)가 카트리지(100)와 수용부(200) 사이에서 원할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용부(200)에는 위치된 카드케이스(10)가 수용부(200)로부터 이탈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카드케이스 이탈감지센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10)가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에 의하여 배출되어 더 이상 수용부(200)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탈감지센서(210)는 카드케이스(10)가 수용부(200)로부터 이탈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이 후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은 수용부(200) 상에서 전진 및 후진의 왕복운동을 하고, 전진하는 경우에 수용부(200)에 위치된 카드케이스(10)를 밀어주도록 구성된다.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크기는 카드케이스(10)보다 약간 작게 구성되고 카드케이스(10)의 일 측면의 중심에 힘이 작용하도록 카드케이스(10)를 밀어주어 수용부(200)에 위치된 카드케이스(10)가 위치된 상태 그대도 밀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은 돌출된 일부가 카드케이스(10)가 수용부(200)에 위치되어 있던 영역보다 전진방향으로 더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드케이스(10)를 확실하게 밀어주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은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과 결합하고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을 전진 및 후진의 왕복운동시키는 이동축(310), 이동축(310)과 체결된 볼트(320) 및 볼트(32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30)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의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이동축(310)과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이 분리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동축(310)과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이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동축(310)은 볼트(320)와 체결될 수 있고, 볼트(320)가 모터(330)에 의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볼트(320)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축(310)이 이동함에 의하여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전진 및 후진의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일 예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이 실린더와 결합되고, 실린더를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이 전진 및 후진의 왕복이동도 가능하다.
일 예로 모터(330)와 결합된 모터풀리(340)와 볼트(320)와 결합된 볼트풀리(350)가 서로 벨트(360)로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330)가 회전하는 경우 모터풀리(340)가 회전함으로써 벨트(360)가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에 따라 볼트풀리(350) 및 볼트(320)가 회전함으로써 이동축(310)의 왕복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모터(330)가 직접 볼트(320)와 결합하여 볼트(32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축(310)의 왕복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덮개부(400)는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윗면을 덮고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일부가 전진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덮개부(400)는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전진 운동시 전진방향으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일부가 덮개부(400)로부터 돌출된 이후 같이 전진운동을 하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후진 운동시 돌출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일부가 덮개부(400)에 수용된 이후 같이 후진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에는 종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관통홀(302)이 형성되어 있고,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과 마주하는 덮개부(400)의 일면에는 관통홀(302)에 삽입되고, 관통홀(302)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돌기(40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이 전진 운동하여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일부가 덮개부(400)로부터 돌출되고 전진 방향의 관통홀(302)의 일 단부의 내주면과 돌기(402)가 접촉한 상태에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이 전진 운동하는 경우에 덮개부(400)는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과 같이 전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이 후진 운동하여 돌출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일부가 덮개부(400)에 수용되고 후진 방향의 관통홀(302)의 타 단부의 내주면과 돌기(402)가 접촉한 상태에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이 후진 운동하는 경우에 덮개부(400)는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과 같이 후진할 수 있다.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은 덮개부(4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고, 덮개부(400)의 돌기(402)와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관통홀(302)이 서로 접촉되는 영역을 제외하고는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과 덮개부(400)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과 덮개부(40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이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일부가 덮개부(400)로부터 돌출된 이후 같이 전진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덮개부(400)가 카트리지(100)의 출구를 커버하고, 돌출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일부가 덮개부(400)에 수용된 이후 같이 후진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덮개부(400)가 카트리지(100)의 출구를 커버하여 카트리지(100)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카드케이스(10)가 카트리지(100)의 출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400)가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과 같이 후진하여 덮개부(400)가 카트리지(100)의 출구를 커버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하나의 카드케이스(10)가 수용부(200)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덮개부(40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이동휠(404)이 결합되어 있고, 수용부(200) 상에는 덮개부(4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레일(202)이 이격된 상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휠(404)은 레일(20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동휠(404)을 통하여 덮개부(400)가 이동되기 때문에 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덮개부(400) 및 덮개부(400)와 결합되어 있는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이동도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의 원활한 이동에 의하여 카드케이스(10)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1000)는 입력부(500), 정보 저장부(미도시) 및 카드케이스 보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1000)는 무인정보 단말기인 키오스크(KIOSK)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입력부(500)는 출입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 예로 정보 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널이 입력부(500)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입력장치 예를 들면, 키보드, 마이크 등이 입력부(500)로 사용될 수 있다. 출입정보는 출입자의 성명, 직위, 소속, 출입 시간, 출입 목적, 출입 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정보 저장부는 입력부(500)를 통하여 입력된 출입정보를 상기 카드케이스(10)에 수용된 카드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카드는 IC 칩이 내장되어 있는 카드일 수 있고, 이러한 IC 칩에 입력부(500)를 통하여 입력된 출입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카드케이스 보관부(700)는 카드케이스 배출수단(300)을 통하여 배출된 카드케이스(10)를 보관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케이스 보관부(700)는 배출된 카드케이스(1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60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로(600)를 통하여 이동된 카드케이스(100)를 보관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카드케이스(10)가 배출되는 위치 아래에 카드케이스 보관부(700)가 배치되어 카드케이스(10)가 직접 카드케이스 보관부(700)로 떨어짐으로써 카드케이스를 보관할 수 있다. 카드케이스 보관부(700)에 보관된 카드케이스(10)를 출입자가 꺼내어 휴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100: 카트리지 200: 수용부
300: 카드케이스 배출수단 400: 덮개부
500: 입력부 600: 이동통로
700: 카드케이스 보관부

Claims (5)

  1. 복수의 카드케이스가 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이의 출구가 아래에 놓이도록 직립된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의 출구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직립된 카트리지의 출구로부터 하나씩 분리되는 카드케이스가 위치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상에서 전진 및 후진의 왕복운동을 하고, 전진하는 경우에 상기 수용부에 위치된 상기 카드케이스를 밀어주도록 구성된 카드케이스 배출수단; 및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윗면을 덮고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전진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과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에는 종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과 마주하는 상기 덮개부의 일면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이 전진 운동하여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되고 전진 방향의 관통홀의 일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이 전진 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덮개부는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과 같이 전진 운동하며,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이 후진 운동하여 돌출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에 수용되고 후진 방향의 상기 관통홀의 타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이 후진 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덮개부는 카드케이스 배출수단과 같이 후진하고,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된 이후 같이 전진운동을 하는 동안 및 돌출된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에 수용된 이후 같이 후진운동을 하는 동안, 상기 덮개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출구를 커버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카드케이스가 상기 카트리지의 출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과 같이 후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출구를 커버하지 않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하나의 카드케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양 측면에는 각각 이동휠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 상에는 상기 덮개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레일이 이격된 상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휠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출입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출입정보를 상기 카드케이스에 수용된 카드에 저장시키는 출입정보 저장부; 및
    상기 카드케이스 배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된 카트케이스를 보관하는 카드케이스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KR1020150161763A 2015-11-18 2015-11-18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KR10234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63A KR102347743B1 (ko) 2015-11-18 2015-11-18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63A KR102347743B1 (ko) 2015-11-18 2015-11-18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46A KR20170058046A (ko) 2017-05-26
KR102347743B1 true KR102347743B1 (ko) 2022-01-06

Family

ID=5905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763A KR102347743B1 (ko) 2015-11-18 2015-11-18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855B1 (ko) * 2021-03-04 2023-01-3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방법
KR102493831B1 (ko) * 2021-03-04 2023-01-3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수납 방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62B1 (ko) * 2013-09-30 2015-03-05 아이디피 (주) 카드의 적재 및 공급을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085A (ko) * 2007-03-28 2008-10-02 (주) 케이브이씨 회전배출식 다종카드 디스펜서
KR101398771B1 (ko) * 2012-09-28 2014-05-30 권용민 카드 발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62B1 (ko) * 2013-09-30 2015-03-05 아이디피 (주) 카드의 적재 및 공급을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46A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9236B2 (en) RFID tag dispenser
ES2702959T3 (es) Aparatos de barajado de mazos de naipes que incluyen compartimentos de almacenamiento para múltiples naipes y métodos relacionados
US20170098947A1 (en) Battery handling apparatus
KR102347743B1 (ko)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는 장치
EP1815384A1 (fr) Equipement de transport de jetons et structure porteuse de jetons pour un tel equipement
WO2017154018A1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20120105215A1 (en) Portable reader
US20180369070A1 (en) Personalized, tamper-resistant pill dispenser device and method
KR102555321B1 (ko) 다회용 용기 수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회용 용기 수거 시스템
CN102106655B (zh) 药品存储装置
CN104851180A (zh) 具有溢出收集设备的硬币分拣设备
CN102599772B (zh) 一种药瓶存取机构
CN107085881B (zh) 硬币卷投出装置及硬币卷发放设备
CN114650899A (zh) 在自动化工具控制系统中使用屏幕上的内容标识符
CN110250757A (zh) 智能密集架及其控制方法
CN206331455U (zh) 盒类物品发放机
KR102391614B1 (ko)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US10482295B2 (en) Card counting systems and methods for same
CN202035732U (zh) 药品存储装置及其限制部件
US20190080522A1 (en) Water ingress protection for ticket entry slot
KR101343069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JP4599621B2 (ja) 非接触型icカード回収装置
CN216434937U (zh) 银行卡储存柜
KR20110007487U (ko) 안전성이 우수한 시약 수납장
NL2028765B1 (en) Device for filling a medicine-unit container for use in a medicine unit dispensing device, assembly of such device and a container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