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878B1 - 카드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878B1
KR102346878B1 KR1020200100672A KR20200100672A KR102346878B1 KR 102346878 B1 KR102346878 B1 KR 102346878B1 KR 1020200100672 A KR1020200100672 A KR 1020200100672A KR 20200100672 A KR20200100672 A KR 20200100672A KR 102346878 B1 KR102346878 B1 KR 102346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frame
space
pressing
c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
Original Assignee
장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 filed Critical 장종
Priority to KR102020010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045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for sheet shaped or pliable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적으로 삽입 적재된 복수의 카드를 낱장씩 토출하는 카드 토출기 및 상기 카드 토출기의 일 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카드 토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카드의 배출 통로로 이용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카드 토출기는 서로 이격된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의 하부를 연결하는 몸체 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몸체 상부를 포함하는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는 제1 가압 부재 및 상기 제1 가압 부재 내에 수용 결합되는 제2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가압 구조체, 및 상기 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된 카드를 낱장 씩 이동시켜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로 토출시키는 이송 구조체를 포함하는 카드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드 배출 장치{Card discharge appararus}
본 발명은 카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평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고, 이를 낱장 씩 토출하는 카드 토출기 및 카드 토출기를 지지 고정하며 토출되는 카드를 안정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통로로 이용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무인 자동화 기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신분증, 출입증, 신용카드, 카드키 등 각종 기능을 담당하는 카드를 자동으로 발급하는 무인 카드 발급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카드키를 이용하는 사업장인 스터디카페, 숙박시설 등 다수의 방을 사용하는 사업장에서는 비대면 및 인건비 절감을 위해 무인화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인화 내지 자동화에 따라 전자 카드키를 필요로 하는 사업장 시설의 효과적인 관리시스템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카드 형태의 카드키를 제공하는 무인 자판기가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무인 카드 발급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는 적재함을 구비하고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1매씩 배출하는 카드 배출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카드 배출 장치는 롤러 방식 또는 랙기어 방식으로 이송 장치를 구현하고 있으나, 롤러 방식은 다수 개의 롤러의 배치로 부피가 커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며, 장시간 사용 시 롤러에 이물질이 묻어 카드와 롤러 사이의 마찰력을 감쇠시켜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미끄럼 현상으로 인해 카드가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랙기어 방식의 경우, 랙기어와 평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평기어의 원운동을 랙기어가 직선 이동에 의해 카드가 배출되는 구조 상 카드를 완전히 배출하기 위해서는 랙기어의 길이가 카드의 길이보다 길어야 하며, 이로 인해 카드 배출 장치의 부피가 크고, 장시간 사용 시 랙기어와 평기어가 마모되어 랙기어가 직선 이동을 못하는 현상으로 인해 카드가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시예는 장치의 복잡화를 회피할 수 없어 장치의 제조 단가 상승 및 구조의 복잡화에 따른 잔고장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실시예의 장치가 숙박시설의 객실용 카드 자판기에 사용되는 경우, 큰 부피로 인해 무인 자판기 1대에 보통 1대의 카드 배출 장치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여러 방의 카드를 방 번호가 없는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손님이 방 번호를 잊을 경우, 관리자와 손님 간에 불필요한 대면을 하게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8165호는 무인 자판기의 일 예로서, 소정의 객실 스크린을 선택하면 선택객실의 카드키가 인출되는 전자종이 카드키 발급기를 마련함으로써 고객이 방문할 때마다 객실에 대응하는 신규의 객실고유번호를 생성하여 자체 등록함과 동시에 고객에게 지급되는 전자종이 카드키에 저장하면서 객실 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자종이 카드 키의 개수를 호텔 등의 객실 수에 맞추지 않고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객실의 사용 및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객실용 카드키 자판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종이 카드키 자판기의 경우, 전자종이 카드키를 매번 충전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분실 또는 훼손 시 일반 카드키에 비해 수배 내지 수십배 이상의 손실 비용이 발생하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전자종이 카드키를 떨어뜨리거나 일정 각도 이상 휘어지게 하면 전자종이 카드 내부의 회로가 손상되어 고장이 빈번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순하고 소형화된 구조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고 이를 낱장 씩 안정적으로 배출함은 물론, 수직 및 수평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공급이 필요한 카드의 종류 수 또는 특정 카드의 종류 수 만큼 상호 결합됨으로써, 각 카드의 종류별로 각각이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여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카드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배출 장치는 수평적으로 삽입 적재된 복수의 카드를 낱장씩 토출하는 카드 토출기; 및 상기 카드 토출기의 일 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카드 토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카드의 배출 통로로 이용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카드 토출기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하고 토출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것으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적재된 카드를 지지하는 몸체 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및 제2 공간 구획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몸체 상부를 포함하는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된 카드를 제1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 부재, 및 상기 제1 가압 부재 내에 수용 결합되고 상기 적재된 카드를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가압 구조체; 및 상기 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된 카드를 낱장 씩 이동시켜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로 토출시키는 이송 구조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 하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하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제1 하부 만입홈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제2 하부 만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상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상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제1 상부 만입홈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상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제2 상부 만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하부의 상부면은 상기 적재된 카드를 지지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 구획부는 상기 지지면에 평행한 제1 수평 구획부 및 상기 제1 수평 구획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 구획부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는 하단을 갖는 제1 수직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간 구획부는 상기 지지면에 평행한 제2 수평 구획부 및 상기 제2 수평 구획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수평 구획부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는 하단을 갖는 제2 수직 구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된 카드는 상기 지지면과 상기 제1 및 제2 수평 구획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 구조체에 의해 낱장 씩 토출되는 카드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및 제2 수직 구획부들의 하단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수평 구획부들의 측면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스프링 부재를 통해 상기 적재된 카드를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가이드부; 상기 가압 가이드부의 전단이 하향 절곡된 형상의 가압 절곡부; 및 가압 가이드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한 쌍의 삽입 돌기들을 포함하는 가압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 가이드부는 하부면이 개방된 가압부 수용홈 및 상기 가압부 수용홈이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상기 가이드 개구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결합부; 및 상기 가압 결합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압부 수용홈 내로 연장되고, 제2 스프링 부재를 통해 상기 적재된 카드를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구조체는: 상기 몸체 하부 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 풀리와 제2 풀리; 상기 제1 및 제2 풀리들 상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 하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 절개홈을 통해 외주면이 노출되는 이송 벨트; 및 상기 제1 하부 만입홈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폴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벨트의 외주면에는 푸싱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모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벨트가 회전하면, 상기 푸싱 돌기가 상기 적재된 카드 중 최하단의 카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드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된 카드의 존부와 상기 토출되는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하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하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수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하부 만입홈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제2 수직 구획부와 평면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의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 하부 감지홀을 통해 카드가 적재 또는 토출되는 공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상부 만입홈에 구비되며, 상기 수광소자들은 상기 제2 수직 구획부에 인접한 상기 제2 수평 구획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상부 감지홀을 통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광소자, 및 상기 제2 수직 구획부의 하단에 형성된 제2 상부 감지홀을 통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일 단부가 수평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카드 토출기로부터 토출된 카드가 자유 낙하하는 배출 통로로 이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개방된 전면에 입접한 양 측면들에는 자유 낙하하는 카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 부재들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배출 가이드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가이드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 프레임은 서로 결합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의 하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제1 적재 지지부와, 상기 제1 적재 지지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제1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하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의 상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상기 제1 공간 구획부와, 상기 제1 공간 구획부의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제1 상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부;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제2 적재 지지부와, 상기 제2 적재 지지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제2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 하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상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상기 제2 공간 구획부와, 상기 제2 공간 구획부의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제2 상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 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 하부와 상기 제2 몸체 하부가 연결되어 상기 몸체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몸체 상부와 상기 제2 몸체 상부가 연결되어 상기 몸체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몸체 프레임의 몸체 상부와 몸체 하부 사이의 공간에 수평 삽입되어 적재된 복수의 카드는, 몸체 상부에 구비된 가압 구조체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평 적재되고, 몸체 하부에 구비된 이송 구조체에 의해 낱장 씩 안정적으로 토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몸체 프레임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이 수평 및 수직적으로 결합되어 복수의 지지 프레임들로 제공 가능함에 따라, 이에 결합된 카드 토출기들이 수평 및 수직적으로 배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이 필요한 카드의 종류 수 또는 특정 카드의 종류 수 만큼 복수의 카드 배출 장치들이 서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카드 배출 장치들은 해당 카드의 종류 별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순하고 소형화된 구조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고 이를 낱장 씩 안정적으로 배출함은 물론, 수직 및 수평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공급이 필요한 카드의 종류 수 또는 특정 카드의 종류 수 만큼 상호 결합됨으로써, 각 카드의 종류별로 각각이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여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카드 배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드 배출 장치의 카드 토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후단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카드 배출 장치의 카드 토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전단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카드 토출기의 제1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카드 토출기의 제2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압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압 구조체의 제2 가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토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카드 배출 장치의 지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4는 카드 토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카드가 토출되는 순서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15는 카드 적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카드가 적재되는 순서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16은 토출 후 배출되는 카드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카드가 낙하되는 것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17은 복수의 카드 배출 장치들이 결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배출 장치(1)는 수평적으로 삽입 적재된 복수의 카드를 낱장씩 토출하는 카드 토출기(10) 및 카드 토출기(10)의 일 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카드 토출기(10)로부터 토출되는 카드의 배출 통로로 이용되는 지지 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드 배출 장치(1)에 이용되는 카드는 표면에 기록 및/또는 표시 기호들이 제공되어 있는 얇은 직사각형의 물체들로서, 인쇄된 표시물(indicia) 유지성, 소정의 가요성 및 휴대형 크기를 갖는, 수지 재료, 종이 또는 금속 또는 유사한 물질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카드 배출 장치(1)는 카드키, 선불 신용 카드, 아케이드 게임 카드(arcade game card), 신형 캐릭터 카드(novelty character card), 전화 카드, 버스 카드 등을 적재하고 배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카드'는 일반적인 기술용어로서 통상 사용되며, 사용자가 카드 자체 또는 카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게 하는 가치를 갖는 다른 배출 가능한 물체를 지칭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토출기에 대해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카드 배출 장치의 카드 토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후단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카드 배출 장치의 카드 토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전단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카드 토출기의 제1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카드 토출기의 제2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압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압 구조체의 제2 가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토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카드 토출기(10)는 몸체 프레임(100), 가압 구조체(200), 이송 구조체(300), 감지부(400) 및 구동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 프레임(100)은 카드 토출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복수의 카드를 수용하고 토출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몸체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은 적층된 복수의 카드가 수평적으로 삽입 적재되는 카드 수용 영역과, 적재된 카드를 가압 및 이송시키기 위한 부재들이 설치되는 부재 설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카드 수용 영역은 적층된 복수의 카드가 삽입되는 입구로서 이용되는 삽입 공간부(101s), 삽입 공간부(101s)를 통해 수평적으로 삽입된 카드가 적재되는 적재 공간부(102s) 및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가 수평 이동하여 낱장 씩 토출되는 출구로서 이용되는 토출 공간부(103s)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재 설치 영역은 가압 구조체(200)의 설치를 위한 제1 설치 공간부(104s) 및 이송 구조체(300)의 설치를 위한 제2 설치 공간부(105s)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 프레임(100)은 폭 방향(즉, 단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측면부(110a)와 제2 측면부(110b), 제1 및 제2 측면부들(110a, 110b)의 하부를 연결하며, 적재된 카드를 지지하는 몸체 하부(120), 및 제1 및 제2 측면부들(110a, 110b)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공간 구획부들(132a, 132b)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측면부들(110a, 110b)의 상부를 연결하는 몸체 상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 하부(120)의 상부면은 몸체 프레임(100) 내에 적재된 카드를 지지하는 지지면(121) 및 지지면(121)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22)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경사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 구조체(300)의 작동에 따라 지지면(121)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카드의 자유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
몸체 하부(120)의 바닥면은 단차를 가질 수 있으며, 경사면(122)을 갖는 몸체 하부(120)의 전단부에는 바닥면이 만입되어 형성된 끼움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 구획부들(132a, 132b)은 제1 측면부(110a)로부터 제2 측면부(110b)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공간 구획부(132a)와 제2 측면부(110b)로부터 제1 측면부(110a)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 공간 구획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공간 구획부들(132a, 132b)은 수평적으로 상호 이격되고, 수직적으로 몸체 하부(1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공간 구획부들(132a, 132b)의 각각은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공간 구획부(132a)는 지지면(121)과 평행한 제1 수평 구획부(HC1), 및 제1 수평 구획부(HC1)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1 수평 구획부(HC1)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는 하단을 갖는 제1 수직 구획부(VC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간 구획부(132b)는 지지면(121)과 평행한 제2 수평 구획부(HC2), 및 제2 수평 구획부(HCc)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 수평 구획부(HC2)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는 하단을 갖는 제2 수직 구획부(VC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적으로, 몸체 하부(120)의 상부면과 수평 구획부들(HC1, HC2) 사이에 적재 공간부(102s)가 정의되고, 몸체 하부(120)의 상부면과 수직 구획부들(VC1, VC2)의 하단 사이에 토출 공간부(103s)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공간부(101s)는 제1 및 제2 측면부들(110a, 110b) 사이에서 수평 구획부들(HC1, HC2)에 의해 노출되는 몸체 하부(120)의 후단 상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삽입 공간부(101s)의 일 측면 및 상면은 개방되고, 타 측면은 적재 공간부(102s) 및 제1 설치 공간부(104s)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삽입 공간부(101s)에 인접한 몸체 상부(130)의 상부면에는 수평 구획부들(HC1, HC2) 사이의 공간을 노출하는 상부 절개홈(131)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 공간부(101s)와 상부 절개홈(131)은 후술할 제1 가압 부재(2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계된 것 일 수 있다. 수평 구획부들(HC1, HC2)의 측면 상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봉들(15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연결봉들(153) 중 하나는 상부 절개홈(131)과 평면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평 구획부들(HC1, HC2)의 하부면의 높이에 따라 적재 공간부(102s)에 적층 삽입될 수 있는 카드의 수량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수직 구획부들(VC1, VC2)은 이송 구조체(300)의 동작에 따라 적재된 카드가 이동될 때, 최하단의 카드 외에 다른 카드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방지턱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구획부들(VC1, VC2)의 하단과 지지면(121)의 수평 연장면 사이에는 카드 한장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극이 형성되며, 이송 구조체(300)의 동작에 따라 최하층의 카드만 상기 간극을 통과하여 지지 프레임(20) 내로 토출되며, 나머지 카드는 수직 구획부들(VC1, VC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회의 선택 동작으로 카드 배출 장치(1)에서 2매 이상의 카드가 배출되는 것이 물리적으로 차단되어, 카드 배출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4는 카드 토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카드가 토출되는 순서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또한, 몸체 프레임(100)은 제1 및 제2 측면부들(110a, 110b)의 일부가 내측으로 만입된 형태의 복수의 만입홈들(111a, 111b, 112a, 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 프레임(100)은 제1 측면부(110a)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만입되어 형성된 제1 하부 만입홈(111a) 및 제1 상부 만입홈(112a)과, 제2 측면부(110b)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만입되어 형성된 제2 하부 만입홈(111b) 및 제2 상부 만입홈(112b)을 포함할 수 있다. 만입홈들(111a, 111b, 112a, 112b) 내에는 이송 구조체(300)의 구동 모터(340)와 감지부(400)의 인쇄회로기판들(410, 4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형화된 카드 토출기(10)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프레임(100)은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프레임들(100a, 100b)은 서로 결합하여 상술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프레임(100a)은 제1 측면부(110a), 제1 몸체 하부(120a) 및 제1 몸체 상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 하부(120a)는 제1 측면부(110a)의 하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제1 적재 지지부(125a)와, 제1 적재 지지부(125a)의 외주면이 제1 몸체 하부(120a)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하부 연장부(126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면부(110a)의 하부가 만입된 공간에 제1 하부 만입홈(111a)이 정의될 수 있다. 달리 얘기하면, 제1 적재 지지부(125a)는 내부에 일 면이 개방된 제1 하부 만입홈(111a)을 구비하며, 제1 측면부(110a)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125a)의 외주면은 제1 하부 연장부(126a)의 외주면과 공면을 이루며 제1 몸체 하부(120a)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몸체 하부(120a)의 상부면은 수평면인 제1 지지면(121a)과 제1 지지면(121a)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1 경사면(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122a)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경사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면(121a)의 일 단부에는 제1 하부 만입홈(111a)을 노출하는 제1 하부 개구부(127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 연장부(126a)는 제1 적재 지지부(125a)의 측면으로부터 가장자리를 따라 폭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제1 하부 절개홈(128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적재 지지부(125a)의 측면에는 제1 하부 만입홈(111a)을 오픈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들은 후술할 하부 연결봉들(144)이 삽입되는 하부 연결홀들(141) 및 후술할 풀리의 결합을 위한 풀리 결합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적재 지지부(125a)의 측면에는 제1 하부 만입홈(111a)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340)의 측면을 노출하는 모터 연결 개구(143)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몸체 하부(120a)의 측면에는 제1 하부 절개홈(128a)과 평면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한 쌍의 삽입 가이드들(129a)이 수직 이격되게 구비되어, 후술할 벨트 지지부(129b)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 가이드홈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 하부(120a)의 바닥면은 단차를 가질 수 있으며, 경사면(122)을 갖는 제1 몸체 하부(120a)의 전단부에는 바닥면이 만입되어 형성된 제1 끼움홈(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 상부(130a)는 제1 측면부(110a)의 상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제1 공간 구획부(132a)와, 제1 공간 구획부(132a)의 외주면의 일부가 제1 몸체 상부(130a)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상부 연장부(133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면부(110a)의 상부가 만입된 공간에 제1 상부 만입홈(112a)이 정의될 수 있다. 달리 얘기하면, 제1 공간 구획부(132a)는 내부에 일 면이 개방된 제1 상부 만입홈(120a)을 구비하며 제1 측면부(110a)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공간 구획부(132a)의 외주면은 제1 상부 연장부(133a)의 외주면과 공면을 이루며 제1 몸체 상부(130a)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간 구획부(13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평 구획부(HC1) 및 제1 수직 구획부(VC1)를 포함하는 것으로,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공간 구획부(132a)의 수평적 길이는 제1 측면부(110a)의 수평적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달리 얘기하면, 제1 수평 구획부(HC1)의 일단은 제1 측면부(110a)의 상부를 노출할 수 있다.
제1 상부 연장부(133a)는 제1 수평 구획부(HC1)의 상부면 및 제1 수직 구획부(VC1)의 측면으로부터 가장자리를 따라 폭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1 수평 구획부(HC1)의 상부면과 연결되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제1 상부 절개홈(131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평 구획부(HC1)의 측면에는 제1 상부 만입홈(112a)을 노출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된다. 복수의 관통홀들은 상부 연결봉들(153)이 삽입되는 상부 연결홀들(151)과, 제1 가압 부재(210)의 결합을 위한 부재 결합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00b)은 제1 프레임(100a)와 유사하게, 제2 측면부(110b), 제2 몸체 하부(120b) 및 제2 몸체 상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 하부(120b)는 제2 측면부(110b)의 하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제2 적재 지지부(125b)와, 제2 적재 지지부(125b)의 외주면이 제2 몸체 하부(120b)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하부 연장부(126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측면부(110b)의 하부가 만입된 공간에 제2 하부 만입홈(111b)이 정의될 수 있다. 달리 얘기하면, 제2 적재 지지부(125b)는 내부에 일 면이 개방된 제2 하부 만입홈(111b)을 구비하며, 제2 측면부(110b)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125b)의 외주면은 제2 하부 연장부(126b)의 외주면과 공면을 이루며 제2 몸체 하부(120b)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몸체 하부(120b)의 상부면은 수평면인 제2 지지면(121b)과 제2 지지면(121b)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 경사면(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122b)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경사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지지면(121b)의 일 단부에는 제2 하부 만입홈(111b)을 노출하는 제2 하부 개구부(127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부 연장부(126b)는 제2 적재 지지부(125b)의 측면으로부터 가장자리를 따라 폭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제2 하부 절개홈(128b)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하부 연장부(126b)의 폭은 제1 하부 연장부(126a)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125b)의 측면에는 제2 하부 만입홈(111b)을 오픈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들은 풀리들의 결합을 위한 풀리 결합홀들(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적재 지지부(125b)의 측면에는 제2 하부 만입홈(111b)에 구비되는 하부 인쇄회로기판(410)의 측면을 노출하는 하부 기판 개구(146)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적재 지지부(125b)의 측면에는 하부 연결홀들(141)에 삽입되는 하부 연결봉들(144) 및 구동 모터(340)의 결합을 위한 모터 연결봉들(145)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연결봉들(145)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기들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적재 지지부(125b)의 경사면(122)에는 제2 하부 만입홈(111b)을 노출하는 하부 감지홀(147)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감지홀(147)은 평면적으로 제2 수직 구획부(VC2)와 중첩될 수 있다. 후술할 발광소자(420)는 하부 감지홀(147)을 통해 토출 공간부(103s) 및 적재 공간부(102s)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부 만입홈(111b)에는 하부 감지홀(147)에 대응되는 위치에 발광소자(420)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한 발광소자 가이드부(14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만입홈(111b)에는 하부 인쇄회로기판(410)의 설치를 위한 하부 기판 연결봉들(149)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 하부(120b)의 측면에는 제2 하부 절개홈(128b)과 평면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제2 적재 지지부(125b)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벨트 지지부(129b)가 구비될 수 있다. 벨트 지지부(129b)는 제2 설치 공간부(105s)에 구비되는 이송 벨트(33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벨트 지지부(129b)는 대체로 육면체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벨트 지지부(129b)의 상부면은 지지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또한, 벨트 지지부(129b)의 단부는 삽입 가이드홈(129h)에 삽입 가능한 두께의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몸체 하부(120b)의 바닥면은 단차를 가질 수 있으며, 경사면(122)을 갖는 제2 몸체 하부(120b)의 전단부에는 바닥면이 만입되어 형성된 제2 끼움홈(123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 상부(130b)는 제2 측면부(110b)의 상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 제2 공간 구획부(132b)와, 제2 공간 구획부(132b)의 외주면의 일부가 제2 몸체 상부(130b)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상부 연장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측면부(110b)의 상부가 만입된 공간에 제2 상부 만입홈(112b)이 정의될 수 있다. 달리 얘기하면, 제2 공간 구획부(132b)는 내부에 일 면이 개방된 제2 상부 만입홈(112b)을 구비하며 제2 측면부(110b)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공간 구획부(132b)의 외주면은 제2 상부 연장부(133b)의 외주면과 공면을 이루며 제2 몸체 상부(130b)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공간 구획부(132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수평 구획부(HC2) 및 제2 수직 구획부(VC2)를 포함하는 것으로,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공간 구획부(132b)는 제2 측면부(110b)의 짧은 수평적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달리 얘기하면, 제2 수평 구획부(HC2)의 일단은 제2 측면부(110b)의 상부를 노출할 수 있다.
제2 상부 연장부(133b)는 제2 수평 구획부(HC2)의 상부면 및 제2 수직 구획부(VC2)의 측면으로부터 가장자리를 따라 폭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수평 구획부(HC2)의 상부면과 연결되는 상부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제2 상부 절개홈(131b)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상부 연장부(133b)의 폭은 제1 상부 연장부(133a)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 수평 구획부(HC2)의 측면에는 제2 상부 만입홈(112b)을 노출하는 복수의 관통홀들과 상부 연결홀들(151)에 삽입되는 상부 연결봉들(15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들은 제1 가압 부재(210)의 결합을 위한 부재 결합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직 구획부(VC2)에 인접한 제2 수평 구획부(HC2)의 하면에는 제1 상부 감지홀(154)이 형성되고, 제2 수직 구획부(VC2)의 하단에는 제2 상부 감지홀(15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 만입홈(112b)에는 제1 상부 감지홀(15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수광소자(442)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한 제1 수광소자 가이드부(156)가 형성되고, 제2 상부 감지홀(15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수광소자(444)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한 제2 수광소자 가이드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부 만입홈(112b)에는 상부 인쇄회로기판(430)의 설치를 위한 상부 기판 연결봉(158)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연결봉들(144)과 상부 연결봉들(153)이 각각 하부 연결홀들(141)과 상부 연결홀들(15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1 프레임(100a)과 제2 프레임(100b)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들(100a, 100b)의 결합에 따라, 제1 몸체 하부(120a)와 제2 몸체 하부(120b)가 연결되어 몸체 하부(120)를 형성하고, 제1 몸체 상부(130a)와 제2 몸체 상부(130b)가 연결되어 몸체 상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 공간 구획부들(132a, 132b) 사이에 제1 설치 공간부(104s)가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 제1 및 2 하부 연장부들(126a, 126b) 사이에 제2 설치 공간부(105s)가 형성된다. 이 때, 제1 및 제2 상부 절개홈들(131a, 131b)은 상부 절개홈(131)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하부 절개홈들(128a, 128b)은 하부 절개홈(128)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끼움홈들(123a, 123b)은 끼움홈(123)을 형성한다.
가압 구조체(200)는 몸체 상부(130)에 설치되어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를 가압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압을 통해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를 수평적으로 안정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구조체(200)는 서로 다른 회전 방향으로 적재된 카드를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210)와 제2 가압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압 부재(210)는 몸체 프레임(100)의 제1 설치 공간부(104s)에 설치되고, 제1 회전 방향(예컨대, 반 시계반향)으로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압 부재(220)는 제1 가압 부재(210) 내에 수용 결합되어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를 가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가압 부재(210)는 수평 구획부들(HC1, HC2)의 측면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스프링 부재(230)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를 제1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가이드부(212), 가압 가이드부(212)의 전단이 하향 절곡된 형상의 가압 절곡부(214) 및 가압 가이드부(212)의 후단에 연결되고, 한 쌍의 삽입 돌기들(217)을 포함하는 가압 돌기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가이드부(212)는 제1 폭을 가지며 가압 절곡부(214)에 인접한 제1 부분(212a) 및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며 가압 돌기부(216)에 인접한 제2 부분(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폭은 제1 설치 공간부(104s) 폭(즉, 수평 구획부들(HC1, HC2) 사이의 간격)에 상응할 수 있다.
제1 부분(212a)의 양 측면에는 제1 결합돌기들(21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들(213)의 각각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2단의 원형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원형 돌기들은 수평 구획부들(HC1, HC2)의 측면에 형성된 부재 결합홀들(152)에 삽입 결합되어 가압 가이드부(212)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단 원형 돌기들에는 제1 스프링 부재들(230)이 삽입 결합되어 제1 회전 방향(예컨대, 반 시계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가압 가이드부(212)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프링 부재(230)는 두 개의 다리를 구비한 집게 형상의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스프링 부재(230)의 스프링 부분은 하단 원형 돌기에 삽입되고, 그의 상부 다리는 제1 설치 공간부(104s)에 노출된 몸체 상부(130)의 하부면과 접하며, 하부 다리는 제2 부분(212b)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틈(215)에 끼워질 수 있다. 그 결과, 제1 가압 부재(210)가 카드의 적재를 위해 제2 회전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수직 회전되는 경우, 제1 스프링 부재들(230)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제1 가압 부재(210)는 제1 회전 방향(예컨대, 반 시계 방향)으로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 가이드부(212)의 상부면에는, 상부면이 만입되어 형성된 가이드 만입홈들(219)이 구비될 수 있다. 카드의 적재를 위해 제1 가압 부재(210)를 수직 회전시킬 때, 상부 연결봉들(153)은 가이드 만입홈들(219)에 삽입되어 가압 가이드부(212)와 접할 수 있다. 또한, 가압 가이드부(212)는 하부면이 개방된 가압부 수용홈(212h) 및 가압부 수용홈(212h)이 제2 부분(212b)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 개구(212t)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개구(212t)에 노출된 제2 부분(212b)의 양 측면에는 제2 가압 부재(220)의 결합을 위한 가압부 결합홀들(218)이 형성된다.
가압 절곡부(214)는 가압 가이드부(212)의 전단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C)가 적재 공간부(102s)로 유입되는 동안 토출 공간부(103s)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최하층의 카드가 토출 공간부(103s)를 통과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5는 카드 적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카드가 적재되는 순서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카드의 적재를 위해 제1 가압 부재(210)는 제2 회전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삽입 공간부(101s)가 개방되어 수평적으로 카드(C)의 삽입이 가능하고, 가압 절곡부(214)는 토출 공간부(103s)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카드(C)의 적재도중 최하단의 카드가 외부로 이탈될 수 있는 가능성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가압 돌기부(216)는 가압 가이드부(21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압 돌기부(216)의 폭은 삽입 공간부(101s)의 폭(즉, 제1 및 제2 측면부들(110a, 110b)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며, 가압 가이드부(212)의 수직 회전에 따라 적재 공간부(102s)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가압 돌기부(216)의 삽입 돌기들(217)은 가압 가이드부(212)의 가동 범위를 넓히고, 적재된 카드가 삽입 공간부(101s)를 통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공간부(102s)에 카드가 미 적재된 상태에서 몸체 하부(120)의 제1 및 제2 하부 개구부들(127a, 127b)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카드가 적재된 상태에서, 제1 스프링 부재(230)와 제2 스프링 부재(240)에는 탄성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다.
제2 가압 부재(220)는 제1 가압 부재(2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 가압 부재(210)와 반대 회전 방향으로 적재된 카드를 가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2 가압 부재(220)는 가압 가이드(212)의 가이드 개구(212t)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결합부(222) 및 가압 결합부(222)의 일단으로부터 가압부 수용홈(212h) 내로 연장되고, 제2 스프링 부재(240)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를 제2 회전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연장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결합부(222)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양 측면에는 원통형의 제2 결합돌기들(223)이 구비될 수 있다. 가압 결합부(222)의 관통공은 제2 결합돌기들(223) 내로 연장된다.
가압 연장부(224)의 단부에는 상부면이 만입된 스프링 만입홈(226)이 형성된다. 제2 스프링 부재(240)의 스프링 부분들이 제2 결합돌기들(223)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 결합부(222)의 관통공과 가압부 결합홀들(218)을 통과하는 결합핀(225)에 의해 가압 결합부(222)는 가이드 개구(212t)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가압 연장부(224)는 가압부 수용홈(212h)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스프링 부재(240)는 각각이 두 개의 다리를 갖는 한 쌍의 토션 스프링들이 하부 다리가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한 쌍의 스프링 부분들이 각각 제2 결합돌기들(223)에 삽입되고, 상부 다리들은 가압부 수용홈(212h)에 노출된 하부면에 접하고, 연결된 하부 다리는 스프링 만입홈(226)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압 부재(220)가 카드의 적재 동안 제1 회전 방향(예컨대, 반 시계 방향)으로 수직 회전되면, 제2 스프링 부재(240)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제2 가압 부재(220)는 제2 회전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를 가압할 수 있다.
이송 구조체(300)는 몸체 하부(120)에 설치되어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를 지지 프레임(20) 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적재된 카드 중 최하단의 카드만 이동시켜 낱장 씩 카드를 토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송 구조체(300)는 몸체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 풀리(310)와 제2 풀리(320), 제1 및 제2 풀리들(310, 320) 상에 위치하는 이송 벨트(330), 및 이송 벨트(330)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풀리(310), 제2 풀리(320) 및 이송 벨트(330)는 제2 설치 공간부(105s)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340)는 제1 하부 만입홈(111a)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풀리(310)는 구동 모터(34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이송 벨트(330)를 통해 제2 풀리(320)와 회전 동작이 일체화 될 수 있다.
한편, 제1 풀리(310)와 제2 풀리(320)의 각각은 한 쌍의 서브 풀리들(SP)이 결합된 것으로, 제1 풀리(310)를 구성하는 서브 풀리들(SP)의 일 측면에는 몸체 하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풀리 결합홀(142)에 삽입되는 풀리 결합돌기 혹은 구동 모터(340)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모터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풀리(320)를 구성하는 서브 풀리들(SP)의 일 측면에는 몸체 하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풀리 결합홀(142)에 삽입되는 풀리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이송 벨트(330)의 외주면은 몸체 하부(120)의 하부 절개홈(128)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되는 이송 벨트(330)의 외주면에는 푸싱 돌기(3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40)의 구동력을 풀리들(310, 320)을 통해 전달받아 이송 벨트(330)가 회전하면, 푸싱 돌기(332)가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최하단의 카드(Ca)를 토출 공간부(103s)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재 공간부(102s)의 카드를 낱장 씩 지지 프레임(20) 내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감지부(400)는 빛의 조사를 통해 카드를 존부를 인식하기 위한 구성으로,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의 존부와 적재 공간부(102s)의 카드가 정상적으로 토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400)는 하부 인쇄회로기판(410) 및 하부 인쇄회로기판(410)상에 실장된 발광소자(420, 도 14 참조)를 포함하는 발광부(400a)와, 상부 인쇄회로기판(430) 및 상부 인쇄회로기판(430) 상에 실장된 수광소자들(442, 444)을 포함하는 수광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광소자들(442, 444)은 적재 공간부(102s)의 카드 적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광소자(442, 도 14 참조)와, 적재 공간부(102s)에 적재된 카드가 토출 공간부(103s)를 통해 토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수광소자(444, 도 1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인쇄회로기판(410)은 제2 하부 만입홈(111b)에 구비되며, 발광소자(420)는 하부 감지홀(147)을 통해 카드가 적재 또는 토출되는 공간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부 인쇄회로기판(430)은 제2 상부 만입홈(112b)에 구비되며, 수광소자들(442, 444)은 제2 공간 구획부(132b)에 형성된 상부 감지홀들(154, 155)을 통해 발광소자(4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수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수광소자(442)는 제2 수직 구획부(VC2)에 인접한 제2 수평 구획부(HC2)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상부 감지홀(154)을 통해 발광소자(420)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으며, 제2 수광소자(444)는 제2 수직 구획부(VC2)의 하단에 형성된 제2 상부 감지홀(155)을 통해 발광소자(420)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다. 즉, 제1 수광소자(442)와 제2 수광소자(444)는 카드의 존부에 따라 발광소자(420)로부터 조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부(400)는 빛의 수광 여부에 따라 카드의 적재 혹은 토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인쇄회로기판(410)에는 구동 제어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500)는 입력 받은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제어부(500)는 카드 선택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340)를 작동시키고, 감지부(400)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신호에 카드 투입 혹은 고장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500)0)는 하부 인쇄회로기판(410) 상에 실장되는 구동 회로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로소자들은 콘트롤러, 메모리, 수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 프레임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카드 배출 장치의 지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과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20)은 대체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카드 토출기(10)가 삽입 결합되고 카드 토출기(10)로부터 토출된 카드의 배출 통로로 이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20)은 전면이 개방되어 몸체 프레임(100)의 일 단부가 수평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지지 프레임(20)의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카드 토출기(10)로부터 토출된 카드의 배출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의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는 몸체 프레임(100)의 끼움홈(123)에 삽입되는 결합턱(2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과 몸체 프레임(100)은 끼움홈(123)과 결합턱(21)의 끼움 결합에 더해 나사 체결 방식을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의 개방된 전면에 인접한 측면들에는 카드 토출기(10)로부터 토출되어 자유 낙하하는 카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 부재들(22)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 가이드 부재들(22)은 하향 경사진 가이드 경사면(23)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토출기(10)로부터 토출된 카드가 자유낙하 도중 카드 토출기(10) 측으로 유입되어 배출 통로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6은 토출 후 배출되는 카드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카드가 낙하되는 것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카드(Ca)는 정상적으로 낙하하는 카드의 모습을 나타내고, 카드(Cb)는 기울어져 낙하하는 카드의 모습을 나타낸다. 카드가 기울어져 낙하하는 경우라도, 배출 가이드 부재들(22)에 의해 카드(Cb)가 몸체 프레임(100)의 토출 공간부(103s) 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결과적으로 카드가 배출 통로 상에 걸려 배출되지 못하는 배출 불량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20)은 한 쌍의 카드 토출기들(10)이 동시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지지 프레임(20)의 전면에는 두 개의 카드 토출기들(10)이 삽입 결합되는 두 개의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격벽(24)이 형성되어 각각의 카드 토출기들(10)로부터 토출되는 카드의 배출 통로로 이용되는 두 개의 내부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20)은 상하 또는 좌우로 다른 지지 프레임(20)과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지지 프레임들(20)이 상하 및 좌우로 결합되어 이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고 토출할 수 있는 카드 토출기들(10)이 수평 및 수직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급이 필요한 카드의 종류 수 또는 특정 카드의 종류 수 만큼 상호 결합된 카드 배출 장치들(1)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7은 복수의 카드 배출 장치들이 결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카드 배출 장치들(1)이 객식용 카드키 공급을 위한 무인 자판기에 적용되는 경우, 2차원적으로 배열된 카드 토출기들(10)은 각각의 객실에 해당하는 객실용 카드키를 복수개로 적재 및 토출할 수 있으므로, 각 객실의 객실용 카드키를 재투입하는 주기가 길어져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객실용 카드키의 투입 방향도 필요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선택할 수 있어, 본 장치의 사용자(예컨대, 손님)와 비대면 상태로 객실용 카드키의 투입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카드 배출 장치 10: 카드 토출기
20: 지지 프레임 100: 몸체 프레임
100a: 제1 프레임 100b: 제2 프레임
200: 가압 구조체 210: 제1 가압 부재
220: 제2 가압 부재 300: 이송 구조체
400: 감지부 400a: 발광부
400b: 수광부 500: 구동 제어부

Claims (7)

  1. 수평적으로 삽입 적재된 복수의 카드를 낱장씩 토출하는 카드 토출기; 및
    상기 카드 토출기의 일 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카드 토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카드의 배출 통로로 이용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카드 토출기는:
    복수의 카드를 수용하고 토출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것으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적재된 카드를 지지하는 몸체 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및 제2 공간 구획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몸체 상부를 포함하는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된 카드를 제1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 부재, 및 상기 제1 가압 부재 내에 수용 결합되고 상기 적재된 카드를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가압 구조체; 및
    상기 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된 카드를 낱장 씩 이동시켜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로 토출시키는 이송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하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하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제1 하부 만입홈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제2 하부 만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상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상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제1 상부 만입홈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상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제2 상부 만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하부의 상부면은 상기 적재된 카드를 지지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 구획부는 상기 지지면에 평행한 제1 수평 구획부 및 상기 제1 수평 구획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 구획부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는 하단을 갖는 제1 수직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간 구획부는 상기 지지면에 평행한 제2 수평 구획부 및 상기 제2 수평 구획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수평 구획부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는 하단을 갖는 제2 수직 구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된 카드는 상기 지지면과 상기 제1 및 제2 수평 구획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 구조체에 의해 낱장 씩 토출되는 카드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및 제2 수직 구획부들의 하단 사이를 통과하는 카드 배출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수평 구획부들의 측면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스프링 부재를 통해 상기 적재된 카드를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가이드부;
    상기 가압 가이드부의 전단이 하향 절곡된 형상의 가압 절곡부; 및
    가압 가이드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한 쌍의 삽입 돌기들을 포함하는 가압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 가이드부는 하부면이 개방된 가압부 수용홈 및 상기 가압부 수용홈이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상기 가이드 개구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결합부; 및
    상기 가압 결합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압부 수용홈 내로 연장되고, 제2 스프링 부재를 통해 상기 적재된 카드를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연장부를 포함하는 카드 배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구조체는:
    상기 몸체 하부 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 풀리와 제2 풀리;
    상기 제1 및 제2 풀리들 상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 하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 절개홈을 통해 외주면이 노출되는 이송 벨트; 및
    상기 제1 하부 만입홈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풀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벨트의 외주면에는 푸싱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모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벨트가 회전하면, 상기 푸싱 돌기가 상기 적재된 카드 중 최하단의 카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드를 토출시키는 카드 배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카드의 존부와 상기 토출되는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하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하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수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하부 만입홈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제2 수직 구획부와 평면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의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 하부 감지홀을 통해 카드가 적재 또는 토출되는 공간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상부 만입홈에 구비되며,
    상기 수광소자들은 상기 제2 수직 구획부에 인접한 상기 제2 수평 구획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상부 감지홀을 통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광소자, 및 상기 제2 수직 구획부의 하단에 형성된 제2 상부 감지홀을 통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카드 배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일 단부가 수평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카드 토출기로부터 토출된 카드가 자유 낙하하는 배출 통로로 이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개방된 전면에 입접한 양 측면들에는 자유 낙하하는 카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 부재들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배출 가이드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가이드 경사면을 구비하는 카드 배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은 서로 결합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의 하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제1 적재 지지부와, 상기 제1 적재 지지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제1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하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의 상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상기 제1 공간 구획부와, 상기 제1 공간 구획부의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제1 상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부;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제2 적재 지지부와, 상기 제2 적재 지지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제2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 하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상부가 만입되어 형성된 형상의 상기 제2 공간 구획부와, 상기 제2 공간 구획부의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제2 상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 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 하부와 상기 제2 몸체 하부가 연결되어 상기 몸체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몸체 상부와 상기 제2 몸체 상부가 연결되어 상기 몸체 상부를 형성하는 카드 배출 장치.
KR1020200100672A 2020-08-11 2020-08-11 카드 배출 장치 KR102346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672A KR102346878B1 (ko) 2020-08-11 2020-08-11 카드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672A KR102346878B1 (ko) 2020-08-11 2020-08-11 카드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878B1 true KR102346878B1 (ko) 2022-01-03

Family

ID=7934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672A KR102346878B1 (ko) 2020-08-11 2020-08-11 카드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8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761A (ja) * 1991-06-10 1993-03-26 Nippon Conlux Co Ltd プリペイドカード販売機
JPH0816911A (ja) * 1994-06-30 1996-01-19 Fuji Electric Co Ltd カード搬出装置
KR20090012510U (ko) * 2008-06-03 2009-12-08 문병철 벨트형 지폐 계수기
JP2016062235A (ja) * 2014-09-17 2016-04-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761A (ja) * 1991-06-10 1993-03-26 Nippon Conlux Co Ltd プリペイドカード販売機
JPH0816911A (ja) * 1994-06-30 1996-01-19 Fuji Electric Co Ltd カード搬出装置
KR20090012510U (ko) * 2008-06-03 2009-12-08 문병철 벨트형 지폐 계수기
JP2016062235A (ja) * 2014-09-17 2016-04-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887B2 (en) Paper money guide apparatus
US20180025592A1 (en) Checkout unit assembly and base for checkout unit assembly
JP2005040572A (ja) 遊技機用の回収タンク
KR102346878B1 (ko) 카드 배출 장치
US10521972B2 (en) Information terminal
JP6126633B2 (ja) 情報端末
JP2009297402A (ja) 景品払出装置
CN108292458B (zh) 介质处理装置和介质交易装置
JP7098785B2 (ja) 物品払出装置
JP2006302236A (ja) 紙幣処理装置
JP4370675B2 (ja) 硬貨投入口及びそれを有する自動取引装置
KR200351395Y1 (ko) 자동 지폐 지출 장치
JP6637352B2 (ja) 自動釣銭機
CN210271061U (zh) 一种硬币处理设备
JP6560318B2 (ja) 景品払出装置
JP6240740B2 (ja) 景品払出装置
KR102379589B1 (ko) 금융 자동화기기
JP2024072507A (ja) カードリーダ
JP6211549B2 (ja) 情報端末
KR200389648Y1 (ko)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JP2005342241A (ja) 遊技台用台間機
JP2003030589A (ja) カードリーダライタ
JP2023128377A (ja) 媒体取扱装置
KR200360314Y1 (ko) 상품권을 화폐로 교환해주는 교환장치
KR101001759B1 (ko) 금융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