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648Y1 -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 Google Patents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648Y1
KR200389648Y1 KR20-2005-0011908U KR20050011908U KR200389648Y1 KR 200389648 Y1 KR200389648 Y1 KR 200389648Y1 KR 20050011908 U KR20050011908 U KR 20050011908U KR 200389648 Y1 KR200389648 Y1 KR 200389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protrusion
protrusion button
butt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준
이동식
한중혁
황진용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1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카세트 각각에 포함된 지폐의 종류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수납 돌출 버튼을 구비하는 카세트 수납부 및 상기 카세트 수납부에 수납되고, 하나 이상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카세트 돌출 버튼을 구비하는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는 상기 수납 돌출 버튼이 설치된 상기 카세트 수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카세트의 위치에 상기 카세트 돌출 버튼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카세트 수납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금융 자동화 기기에 따르면, 카세트 수납부 및 카세트에 돌출 버튼을 위치와 개수를 달리하여 설치하는 물리적 동작만으로 각 카세트 수납부에 수납된 카세트의 권종 정보를 보다 간편하고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CASH TRANSACTION MACHINE OF HAVING DISCRIMINATIVE CASSETTE CONSTRUCTION BY KIND OF PAPER MONEY}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카세트 각각에 포함된 지폐의 종류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에서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용이 편리해짐에 따라 고객들도 점차 금융 자동화 기기를 자주 사용하게 되고, 매번 이용하는 금융거래의 금액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복수의 카세트(cassette)에 지폐가 보관될 수 있다. 각각의 카세트에는 동일한 종류의 지폐가 각각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세트 #01 에는 만원권이 보관될 수 있으며, 카세트 #02 에는 10만원권 수표가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카세트에는 동일한 종류의 지폐가 보관되고, 금융 자동화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금액에 대한 방출 명령을 수신할 경우, 각각의 카세트에 보관되어 있는 지폐의 종류를 인식하여 상기 금액에 대응하여 방출할 지폐의 종류 및 수량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지폐를 보관하고 있는 카세트를 제어하여 상기 금액에 대응하는 지폐 방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3만원에 대한 지폐 방출 명령을 수신한 경우, 메인보드(101)의 중앙처리장치(CPU)는 만원권을 포함하고 있는 카세트가 카세트 #01 및 카세트 #03 임을 인식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카세트 #01 또는 카세트 #03 중 하나의 카세트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카세트에 대응하는 피드 클러치(140)를 전송 모터(130)를 통해 제어하여 상기 카세트에서 만원권 3장이 방출구(150)를 통해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각각의 카세트에 설치된 피드 클러치(140)를 통해 카세트들은 서로 연결되고, 피드 클러치(140)에 의해 카세트 외부로 방출된 지폐는 리젝트 솔레노이드(Reject Solenoid)(120)를 통해 방출구(150)로 연결된 컨베이어 벨트에 따라 금융 자동화 기기의 방출구(150)로 전달된다. 상기 지폐는 셔터 모터(Shutter Motor)(141), 쓰로트(Throat) 전송 모터(142), 및 트레이 모터(Tray Motor)(143)에 의한 방출구(150 개폐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따른 일련의 동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금액에 대응하는 지폐의 종류 및 수량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복수의 카세트가 각각 포함하고 있는 지폐의 종류가 어떤 것인가를 정확하고 인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카세트에 포함된 지폐의 종류 인식 방법으로, 상기 카세트에 하나 이상의 리드 스위치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카세트에 투입하는 지폐의 종류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에 자석을 부착시키거나 탈착 시킴으로써,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가 상기 카세트에 포함된 지폐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리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자석의 잦은 부착 또는 탈착에 따라 리드 스위치에 마모가 생기거나, 금융 자동화 기기의 금속 소재로 인한 자기장 발생에 따라 권종 인식 동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리드 스위치에 부착되는 자석은 그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자성(Magnetic Field)이 약화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오래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 개폐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결국, 금융 자동화 기기는 사용자가 의도한 지폐의 종류를 그대로 인식 못하게 되어 금융 사고 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따라, 내구성의 단점을 보완하고, 별도의 전기적 장비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보다 간편하고 쉽게 카세트 권종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기적 장비 설치 및 상기 전기적 장비에 따른 복잡한 전기적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간단한 물리적 장비의 설치만으로 보다 간편하고 쉽게 카세트의 권종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수납 돌출 버튼을 구비하는 카세트 수납부 및 상기 카세트 수납부에 수납되고, 하나 이상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카세트 돌출 버튼을 구비하는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는 상기 수납 돌출 버튼이 설치된 상기 카세트 수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카세트의 위치에 상기 카세트 돌출 버튼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카세트 수납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200)는 하나 이상의 카세트(제1 카세트(210) 내지 제4 카세트(240)), 하나 이상의 카세트 수납부(제1 카세트 수납부(281) 내지 제4 카세트 수납부(284))를 포함하는 카세트 수용부(280), 제어부(250), 데이터베이스부(2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 클러치(251), 및 지폐 방출구(290)를 포함한다.
카세트 수용부(280)는 하나 이상의 카세트 수납부(281 내지 284)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 수납부(281 내지 284)에는 각각 카세트가 장착될 수도 있고, 탈착될 수도 있다. 카세트 수용부(280)는 금융 자동화 기기(200) 본체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카세트(210 내지 240)란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일종의 박스 형태의 지폐 보관기로서, 동일한 종류의 하나 이상의 지폐가 보관될 수 있다. 카세트는 지폐의 보충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금융 자동화 기기 외부로 출입될 수 있다. 카세트에 지폐가 충전되어 카세트 수용부(280)에 장착된 경우, 상기 카세트에 충전된 지폐는 제어부(250)의 클러치(251) 동작 제어에 따라 지폐 방출구(290)를 통해 금융 자동화 기기(20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카세트 수용부(280)가 4개의 카세트 수납부(제1 카세트 수납부(281) 내지 제4 카세트 수납부(284))를 포함하고, 각각의 카세트 수납부에 4개의 카세트(제1 카세트(210) 내지 제4 카세트(240))가 각각 수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카세트 수납부(281) 내지 제4 카세트 수납부(284)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수납 돌출 버튼(211)을 포함한다. 수납 돌출 버튼(211)은 제1 카세트 수납부(281) 내지 제4 카세트 수납부(284) 각각의 하나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양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수납 돌출 버튼(211)은 사용자에 의해 카세트 수납부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카세트(210) 내지 제4 카세트(240)는 제1 카세트 수납부(281) 내지 제4 카세트 수납부(284)에 각각 수납되고, 하나 이상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카세트 돌출 버튼(212)을 포함한다. 카세트 돌출 버튼(212)은 제1 카세트(210) 내지 제4 카세트(240) 각각의 하나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양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세트 돌출 버튼(212)은 사용자에 의해 카세트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수납 돌출 버튼(211) 및 카세트 돌출 버튼(212)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 돌출 버튼 및 카세트 돌출 버튼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카세트 수납부(310)에는 제1 카세트(320)가 수납될 수 있다. 제1 카세트 수납부(310)에는 좌측면 상단에 수납 돌출 버튼 1(311)이 설치될 수 있고, 우측면 하단에 수납 돌출 버튼 2(31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카세트(320)에는 좌측면 하단에 카세트 돌출 버튼 1(321)이 설치될 수 있고, 우측면 상단에 카세트 돌출 버튼 2(3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 돌출 버튼(311 및 312)과 카세트 돌출 버튼(321 및 322)이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제1 카세트(320)가 제1 카세트 수납부(310)로 수납될 수 있다. 만일, 카세트 돌출 버튼 1(321)이 좌측면 하단이 아니라 좌측면 상단에 설치되는 경우, 카세트 돌출 버튼 1(321)이 수납 돌출 버튼 1(311)와 충돌하게 되어 제1 카세트(320)는 제1 카세트 수납부(310)에 수납되지 못한다.
수납 돌출 버튼(311 및 312)과 카세트 돌출 버튼(321 및 322)이 설치되는 위치는 소정의 권종 정보를 의미한다. 즉, 제1 카세트 수납부(310)에 수납되는 카세트에 포함된 지폐가 만원권인 경우, 상기 만원권의 권종 정보에 대응하는 수납 돌출 버튼의 위치는 상기와 같이 카세트 수납부의 좌측면 상단 및 우측면 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원권의 권종 정보에 대응하는 카세트 돌출 버튼의 위치는 카세트의 좌측면 하단 및 우측면 상단이 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권종 정보에 대하여 카세트 수납부의 수납 돌출 버튼 위치 정보와 카세트의 카세트 돌출 버튼 위치 정보는 서로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카세트 수납부(310)에는 만원권의 권종 정보에 대응하는 카세트 돌출 버튼 위치 정보에 따라 카세트 돌출 버튼이 설치된 제1 카세트(320)만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돌출 버튼 및 카세트 돌출 버튼의 위치 정보는 각 권종 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카세트 수납부(330)에 수납되어야 할 카세트의 권종 정보가 "천원권"인 경우, 제2 카세트 수납부(330)의 좌측면 하단에 수납 돌출 버튼 1(331)이 설치되고, 우측면 상단에 수납 돌출 버튼 2(33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권종 정보에 대응하여 제2 카세트(340)에서는 좌측면 상단에 카세트 돌출 버튼 1(341)이 설치되고, 우측면 하단에 카세트 돌출 버튼 2(34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카세트 수납부(330)에는 제2 카세트(340)와 같은 위치에 카세트 돌출 버튼이 설치된 카세트만 수납될 수 있다.
제3 카세트 수납부(350)에 수납되어야 할 카세트의 권종 정보가 "오천원권"인 경우, 제3 카세트 수납부(350)의 좌측면 상단에 수납 돌출 버튼 1(351)이 설치되고, 우측면 상단에 수납 돌출 버튼 2(35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권종 정보에 대응하여 제3 카세트(360)에서는 좌측면 하단에 카세트 돌출 버튼 1(361)이 설치되고, 우측면 하단에 카세트 돌출 버튼 2(362)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카세트 수납부(350)에는 제3 카세트(360)와 같은 위치에 카세트 돌출 버튼이 설치된 카세트만 수납될 수 있다.
제4 카세트 수납부(370)에 수납되어야 할 카세트의 권종 정보가 "십만원 수표"인 경우, 제4 카세트 수납부(370)의 좌측면 하단에 수납 돌출 버튼 1(371)이 설치되고, 우측면 하단에 수납 돌출 버튼 2(37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권종 정보에 대응하여 제4 카세트(380)에서는 좌측면 상단에 카세트 돌출 버튼 1(381)이 설치되고, 우측면 상단에 카세트 돌출 버튼 2(382)가 설치될 수 있다. 제4 카세트 수납부(370)에는 제4 카세트(380)와 같은 위치에 카세트 돌출 버튼이 설치된 카세트만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제1 카세트 수납부(310) 내지 제4 카세트 수납부(370)는 각각 소정의 가이드 레일(39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카세트(320) 내지 제4 카세트(380)는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카세트의 이동을 지원하는 소정의 가이드 홈(3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세트(320)가 제1 카세트 수납부(310)에 수납되는 경우, 가이드 홈(392)가 가이드 레일(391)에 삽입되어야만 제1 카세트(320)가 제1 카세트 수납부(310)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392)가 가이드 레일(391)에 삽입되는 경우, 제1 카세트(320)는 제1 카세트 수납부(310)에서 가이드 레일(391)에 따른 일정 경로로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카세트(320)가 제1 카세트 수납부(310)에 수납될 때, 제1 카세트(310)의 이동 경로가 불규칙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카세트 돌출 버튼(321 및 322)과 수납 돌출 버튼(311 및 312)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카세트(320)가 가이드 레일(391)에 따른 일정 경로로만 이동함으로써, 카세트 돌출 버튼(321 및 322)과 수납 돌출 버튼(311 및 3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 돌출 버튼 및 카세트 돌출 버튼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개수 및 위치를 서로 달리하여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카세트 수납부 및 카세트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세트 수납부 및 카세트의 하나의 측면에만 수납 돌출 버튼 및 카세트 돌출 버튼이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돌출 버튼 및 카세트 돌출 버튼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제1 카세트 수납부(410)의 제1 측면 상단에 수납 돌출 버튼(411)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카세트(420)에는 카세트 수납부(410)의 상기 제1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의 하단에 카세트 돌출 버튼(42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의 하단에 카세트 돌출 버튼(421)이 설치되지 않고, 상단에 설치되거나 반대 측면에 카세트 돌출 버튼(421)이 설치된 카세트는 제1 카세트 수납부(410)에 수납될 수 없다.
또한, 제2 카세트 수납부(430)의 제1 측면에 하나의 수납 돌출 버튼(44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카세트 수납부(430)에는 카세트 돌출 버튼이 설치되지 않은 카세트(제2 카세트(430))만 수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 돌출 버튼 및 카세트 돌출 버튼은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되어 카세트 수납부 및 카세트의 권종 정보를 상징할 수 있다. 즉, 카세트 수납부의 수납 돌출 버튼이 상징하는 권종 정보에 대응하여 카세트 돌출 버튼이 위치하지 않는 카세트는 상기 카세트 수납부에 수납될 수가 없다. 따라서, 카세트 수납부에 원하지 않는 권종의 지폐를 포함하는 카세트가 수납되는 것을 원천 봉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부(260)는 하나 이상의 카세트 수납부 식별자, 상기 카세트 수납부 식별자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 수납 돌출 버튼 정보, 및 카세트 돌출 버튼 정보를 유지한다. 상기 카세트 수납부 식별자는 각 카세트 수납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권종 정보는 상기 각각의 카세트 수납부에 부여된 지폐의 권종 정보이다. 수납 돌출 버튼 정보는 상기 권종 정보에 따라 설정된 수납 돌출 버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카세트 돌출 버튼 정보는 상기 수납 돌출 버튼 정보에 대응하는 카세트 돌출 버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260)에 기록되는 상기 카세트 수납부 식별자, 권종 정보, 수납 돌출 버튼 정보, 및 카세트 돌출 버튼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금액 방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소정의 키패드를 포함하거나 터치 스크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연산 수행을 담당하는 일반적인 컴퓨터용 CPU, 즉, MPU (Micro processor unit) 및 메모리 액세스 로직(Memory Access Logic)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금액에 대한 방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금액에 따른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3만 5천원에 대한 금액 방출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250)는 만원권 3장, 5천원권 1장에 대한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데이터베이스부(260)에 기록되어 있는 각 카세트 수납부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금액에 따른 지폐를 보유한 카세트에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 카세트 수납부(281)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가 "천원권", 제2 카세트 수납부(282)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가 "오천원권", 제3 카세트 수납부(283)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가 "만원권", 제4 카세트 수납부(284)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가 "만원권" 인 경우, 제어부(250)는 제3 카세트(230)로 "만원권 3장" 이라는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클러치(251)로 전송하고, 제2 카세트(220)로 "오천원권 1장" 이라는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클러치(25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카세트(230)에 보관된 만원권이 모두 방출되어 제3 카세트(230)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50)는 이를 감지하고, 제3 카세트(230)의 권종 정보와 동일한 권종 정보를 갖는 카세트가 제4 카세트(240)임을 식별하고, 제4 카세트(240)로 상기 "만원권 3장" 이라는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클러치(25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3 카세트(230)에 만원권이 1장만 존재하는 경우, 제3 카세트(230)를 통해 만원권 1장이 방출된 후, 제4 카세트에 "만원권 2장"이라는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원래 목표인 만원권 3장 방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250)는 각각의 카세트에 구비된 클러치(251)에 지폐 방출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클러치(251)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지폐를 지폐 방출구(290)를 통해 방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적 장비의 설치 및 동작의 필요 없이, 카세트 수납부 및 카세트에 소정의 돌출 버튼을 개수 및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하는 것만으로, 각 카세트에 포함된 지폐의 권종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권종이 상이한 지폐를 포함하는 카세트가 카세트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의 금융 자동화 기기에 따르면, 카세트 수납부 및 카세트에 돌출 버튼을 위치와 개수를 달리하여 설치하는 물리적 동작만으로 각 카세트 수납부에 수납된 카세트의 권종 정보를 보다 간편하고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 돌출 버튼 및 카세트 돌출 버튼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돌출 버튼 및 카세트 돌출 버튼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금융 자동화 기기 210 내지 240 : 카세트
250 : 제어부 251 : 지폐 방출구
260 : 데이터베이스부 27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80 : 카세트 수용부 281 내지 284 : 카세트 수납부
290 : 지폐 방출구

Claims (4)

  1. 하나 이상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수납 돌출 버튼을 구비하는 카세트 수납부; 및
    상기 카세트 수납부에 수납되고, 하나 이상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카세트 돌출 버튼을 구비하는 카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는 상기 수납 돌출 버튼이 설치된 상기 카세트 수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카세트의 위치에 상기 카세트 돌출 버튼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카세트 수납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돌출 버튼은 상기 카세트 수납부에 부여된 소정의 권종 정보에 따라 개수 또는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카세트 수납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세트 돌출 버튼은 상기 카세트에 포함된 지폐의 권종 정보에 따라 개수 또는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카세트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돌출 버튼은 상기 카세트 수납부의 제1 측면 및/또는 제2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세트 돌출 버튼은 상기 카세트 수납부의 제1 측면 및/또는 제2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카세트의 각각의 측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수납부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수납부에서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005-0011908U 2005-04-28 2005-04-28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200389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08U KR200389648Y1 (ko) 2005-04-28 2005-04-28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08U KR200389648Y1 (ko) 2005-04-28 2005-04-28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480A Division KR20060112827A (ko) 2005-04-28 2005-04-28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648Y1 true KR200389648Y1 (ko) 2005-07-14

Family

ID=4369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908U KR200389648Y1 (ko) 2005-04-28 2005-04-28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6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480B1 (ko) 2005-08-19 2012-02-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보관 박스의 식별자를 이용한 금융 자동화 기기 제어방법 및 금융 자동화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480B1 (ko) 2005-08-19 2012-02-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보관 박스의 식별자를 이용한 금융 자동화 기기 제어방법 및 금융 자동화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384B2 (en) Bill handl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a bill handling machine
KR10042942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지폐 처리 장치
KR101412393B1 (ko) 매체 수납 장치
WO2013145600A1 (ja) 貨幣処理装置
US20180211468A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6369196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US20090260948A1 (en) Money handling machine
EP3308364B1 (en) Core module for a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JP5107542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2358556A (ja) 媒体計数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20060112827A (ko)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200389648Y1 (ko)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WO2014065305A1 (ja) 紙幣取扱装置および紙幣検出方法
JP2013205908A (ja) 貨幣処理装置
KR102002947B1 (ko) 금융기기
JP6241363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収納カセット
JP2686576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4110289A (ja) 壁埋め込み型の紙幣取扱装置
JP2015125624A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収納カセット
JP6409525B2 (ja) 帯電防止機構及び媒体取引装置
US20050159095A1 (en) Spacer for coin storage device, coin storage device, and coin processing device
KR200199846Y1 (ko) 지폐계수장치를 구비한 현금자동인출기용 지폐수납함
KR200379133Y1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권종 인식 장치
JP4854155B2 (ja) 非接触式トークンを用いた改札システム
KR20070071826A (ko) 금융 자동화기기에서 지폐 권종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