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4354A -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 Google Patents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4354A
KR20040074354A KR1020030009923A KR20030009923A KR20040074354A KR 20040074354 A KR20040074354 A KR 20040074354A KR 1020030009923 A KR1020030009923 A KR 1020030009923A KR 20030009923 A KR20030009923 A KR 20030009923A KR 20040074354 A KR20040074354 A KR 20040074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card
data
automat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승보
Original Assignee
심승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승보 filed Critical 심승보
Priority to KR102003000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4354A/ko
Publication of KR2004007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35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카드를 이용하여 놀이공원, 터미널등에서의 티켓발매, 영화관, 또는 백화점 등과 같은 다양한 시설들의 이용료나 상품에 대한 요금정산기능을 미리하는 티켓이나 선불용도의 PP(Prepaid)카드를 발행함으로서, 관련업체의 현금 리스크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정산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빠른 요금수납처리를 수행함으로서 고객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는, 티켓이나 PP카드를 발행하기 위한 자동발매장치에 있어서,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요금처리를 수행하고 티켓이나 선불처리된 카드를 인쇄하여 투출하며 티켓발행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발매기(1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발매기(10)에서 전송되는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업자들에게 정산된 내역, 사용금액을 지불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은행 또는 카드회사의 중앙정산장치(30)로 정산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수집장치(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System for printing the ticket and PP card automatically}
본 발명은 비접촉식 카드를 이용하여 놀이공원, 터미널등에서의 티켓발매, 영화관 또는 백화점 등과 같은 다양한 시설들의 이용료나 상품에 대한 요금정산기능을 할 수 있도록 티켓이나 선불용도의 PP(Prepaid)카드를 발행함으로서, 관련업체의 현금 리스크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정산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빠른 요금수납처리를 수행함으로서 고객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틱 스트립을 이용한 접촉식 카드를 대체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비접촉식 카드의 사용이 대중화되고 있다. 상기한 비접촉식 카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화폐에 이용되고 있어서 현금을 소지하지 않고서도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요금지불이 가능하며, 내장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신용카드, 신분증, 주민등록증, 공중전화카드, 전자지갑, 현금카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인 비접촉형 카드는 표면에 문자나 도안등이 인쇄된 카드상부시트와, 카드상부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칩모듈 안착홈에 수납된 칩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칩모듈은 통상 외부로 노출되는 기판과, 기판의 저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데이터의 처리 및 저장을 위한 반도체칩과, 상기 반도체 칩의 주위에 부착되는 테이프와, 상기 반도체 칩과 기판을 연결하는 동선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동선은 무선주파수신호를 수신받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안테나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칩모듈의 구조는 종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접촉형 카드는 별도의 전원없이 카드리더기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비접촉형 카드의 사용이 매우 제한된 형편이다. 다시말하여 비접촉형 카드는 교통카드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 이외에는 비접촉상태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종래의 마그네틱 카드와 같이 비접촉형 카드를 판매원에게 제시하면 판매원이 카드거래승인번호를 확인하고 판매원이 제시하는 영수증에 서명을 하는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용형태는 예를 들어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후에 구매대금의 지불등이 된다.
특히 백화점, 영화관, 버스터미널, 기차역, 또는 여객선터미널, 놀이공원 등과 같이 이용객이 많은 장소에서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요금을 지불하는 경우에는 복잡한 절차 때문에 신용카드를 이용한 거래자체를 반기지 않으며, 거래를 지연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또다른 사용방식은 무선상거래에서 사용하는 경우로서 신용카드의 번호를 판매인에게 알려주고 또한 비밀번호까지 공개하여야 한다. 특히 이 경우에는 불확실한 상대에게 비밀번호를 공개함으로서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 비접촉형 카드의 사용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으며, 또한 카드번호나 비밀번호와 같은 개인의 중요한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티켓발매나 상품의 구매 및 상거래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거래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접촉식 카드를 이용하여 영화관, 놀이공원, 터미널등에서의 탑승용 티켓발매, 백화점 등과 같은 다양한 시설들의 이용료나 상품에 대한 요금정산기능을 할 수 있도록 티켓이나 선불용도의 PP(Prepaid)카드를 용이하게 발행할 수 있는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속한 요금처리로 인하여 창구에서의 혼잡을 피할 수 있으며, 유인창구에 있어서 관리비, 인건비등을 감소시킴으로서 정산의 신뢰성 및 현금취급의 위험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고객에 대한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발매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발매기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앙수집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발매장치의 연결상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발매장치의 작동상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동발매기 20: 중앙수집장치
30: 중앙정산장치 40: 비접촉식 카드
100: 주제어부 102: 인쇄출력부
104: 화면출력부 106: 키입력부
108: 비접촉통신부 110: 데이터저장부
112: 음성출력부 114: SAM모듈부
116: 통신모듈부 118: 센서검출부
120: 히터 200: 수집장치제어부
202: 데이터저장부 204: 통신모듈부
206: 데이터처리부 208: 키입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은, 티켓이나 PP카드를 발행하기 위한 자동발매장치에 있어서,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요금처리를 수행하고 티켓이나 선불처리된 카드를 인쇄하여 투출하며 티켓발행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발매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발매기에서 전송되는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업자들에게 정산된 내역, 사용금액을 지불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은행 또는 카드회사의 중앙정산장치로 정산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수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발매기(10)의 정면도이다. 자동발매기(10)는 놀이공원, 도심지의 상가, 지하철역, 기차역 버스터미널 또는 여객선 터미널과 같은 교통시설, 백화점, 영화관, 또는 고속도로 톨게이트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서 티켓이나 PP(Pre Paid) 카드를 발행하는데 사용된다.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를 원하는 비접촉식 카드 소지자는 자동발매기(10)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카드리더창(108a)에 비접촉식 카드를 접근시켜 인식시킨 후에 상품의 대금 또는 서비스 요금에 대한 티켓이나 PP카드를 인쇄하여 발행한다.
이러한 티켓이나 PP카드는 자동발매기(10)가 설치된 장소, 예를 들어 놀이공원에서는 놀이시설의 이용을 위한 티켓을 발매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심지에서는 자동발매기(10)가 설치된 장소에 인접한 상점 또는 서비스 제공업소등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자동발매기(10)를 이용하여 놀이시설에서 티켓이나 PP카드를 요금을 미리 정산하고 발급받은 후에 해당 놀이시설을 이용할 경우 자신이 지불한 요금에 대한 놀이시설을 현금대신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 또는 날자를 미리 지정하여 예약할 수 있다. 예약된 내용은 중앙수집장치(20)에 의하여 수집된 후에 각 업소로 미리 통보할 수 있다.
이렇게 자동으로 발매되는 티켓이나 PP카드를 이용함으로서 상품판매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상인들은 별도의 광고비나 인건비를 들이지 않고서도 광고를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자동발매기(10)에 특정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광고를 수행함으로서 추가적인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자동발매기(10)는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티켓이나 PP카드의 발매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104a)과, 특정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버튼(106a)과, 구매요금을 지불하는데 사용되는 비접촉식 카드(40)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카드리더창(108a)과, 발매된 티켓이나 PP카드를 구매자에게 인쇄하여 투출하는 투출구(102a)가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먼저 입력버튼(106a)을 이용하여 특정한 상품구매를 위한 티켓이나 PP카드를 선택하고 해당요금이 산출되면 자동발매기(10)의 요구에 의하여 카드리더창(108a)에 자신의 비접촉식 카드(40)를 접근시킨다. 자동발매기(10)에서는 비접촉식 카드(40)의 접근이 검출되면 해당 비접촉식 카드(40)를 이용하여 요금을 정산하고 그에 해당되는 티켓이나 PP카드를 인쇄하여 투출구(102a)를 통하여 투출시킨다.
상기한 비접촉식 카드(40)는 2가지 방식으로 요금이 정산된다. 첫 째는 비접촉식 카드를 후불정산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통상의 신용카드와 같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둘 째는 비접촉식 카드가 직불카드인 경우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직불방식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정금액을 미리 카드에 저장하였다가 잔액의 범위내에서 요금을 정산한다.
본 발명의 자동발매기(10)에서는 2가지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티켓이나 PP카드를 선택하고 티켓의 매수와 구매금액이 산출된 후에 요금정산을 위한 메뉴화면에서 지불방식을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자동발매기(1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식으로 요금지불을 처리한다.
또는 비접촉식 카드(40)를 자동발매기(10)에 요금정산을 위하여 접근시키면 자동발매기(10)에서 접근된 비접촉식 카드가 신용카드인가 직불카드인가를 확인하고, 확인된 비접촉식 카드의 종류에 따라서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할 수 있다.
특히 비접촉식 직불카드에 요금을 정산한 후에는 비접촉식 직불카드에 잔액을 다시 기록하도록 자동발매기(10)에서 신호를 출력한다.
요금이 정산된 후에 구매자는 해당 티켓이나 PP카드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품의 구매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한 비접촉식 카드(40)를 이용하여 수행된 티켓발행관련데이터(PP카드관련데이터포함)들은 자동발매기(10)의 저장수단에 저장된다. 상기 입력버튼(106a)에는 비상연락용의 호출용 버튼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티켓발행관련데이터들은 도 4를 참고하면 중앙수집장치(20)에 의하여 지역별로 수집된 후에 최종적으로 중앙정산장치(30)로 전달된다. 상기 중앙수집장치(20)들은 지역단위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수집장치(20)는 티켓발행관련데이터들을 수집하는 역할과 함께 수집된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상품판매별로 판매액집계, 일매출액, 월매출액, 각 판매업자별로의 총매출액, 일매출액, 월매출액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정산기능을 이용하면 상품별, 판매업자별로 별도의 추가적인 비용없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앙수집장치(20)는,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자동발매기(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204)과, 상기 통신모듈(204)을 통하여 입력되는 티켓발행관련데이터들을 각 자동발매기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202)와, 상기 통신모듈(204)을 통하여 중앙정산장치(30)로 정산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티켓발행관련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206)와, 중앙수집장치(20)의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208)와, 메뉴화면과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출력부(210), 예를 들어 모니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중앙수집장치(20)는 통상 사용되는 서버용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중앙정산장치(30)는 신용카드를 발행하고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은행의 서버 또는 신용카드회사의 서버로서, 중앙수집장치(20)로부터 전송된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이용하여 요금을 정산처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중앙수집장치(20)가 사설형태로 중앙정산장치(3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와 같이 자동발매기(10)와, 중앙수집장치(20)와, 중앙정산장치(30)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발매기(1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의 전송 뿐만 아니라, 중앙수집장치(20)로부터 데이터의 갱신을 위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통신모듈은 무선인터넷, 유선인터넷, PSTN, 전용선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발매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티켓이나 PP카드를 발매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과 제어데이터를 내장하는 주제어부(100)와, 상기 주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티켓이나 PP카드를 인쇄하여 투출하는 인쇄출력부(102)와, 사용자의 입력정보, 카드의 처리상황, 요금내역, 자동발매기 상태등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출력부(104)와, 티켓발매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입력장치인 키입력부(106)와, 카드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무선으로 판독하고 정보를 저장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접촉통신부(108)와, 판매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10)와, 판매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12)와, 발생된 거래에 대한 인증값을 구하거나 비접촉식 카드를 판독하고 기록하는데 필요한 액세스키값 및 거래인증값을 구하기 위한 SAM모듈부(114)와, 외부장치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부(116)와, 그리고 발매기내부의 온도, 도어열림상태, 램프온/오프제어, 발매된 티켓 또는 PP카드의 존재유무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검출부(11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주제어부(100)는 자동발매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과 제어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성능의 중앙처리장치(CUP)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어프로그램과 제어데이터들은 주제어부(100)에 접속된 메모리소자등에 저장된다.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구매자가 요구하는 특정한 티켓 및 또는 PP카드를 판매하고 사용자가 제시하는 비접촉식 카드(40)를 이용하여 해당 요금을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등으로) 정산한 후에 티켓발행관련데이터들은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데이터들은 티켓이나 PP카드에 대한 상품 또는 서비스 종류, 판매업자, 상품 또는 서비스 요금데이터 등이 된다. 또한 주제어부(100)의 제어데이터들은 구매과정에서 사용되는 화면출력데이터들을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티켓발행관련데이터가 발생된 경우에는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수집장치(20)로 전송한다.
상기 인쇄출력부(102)는 주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서 특정 티켓이나 PP카드를 인쇄하기 위한 것이다. 인쇄출력부(102)는 열전사(Thermal) 또는 도트매트릭스(Dot Matrix) 인쇄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104)는 주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작동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특정내용, 비접촉식 카드의 처리상황, 비접촉식 카드의 요금내역, 자동발매기(10)의 상태정보 등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화면출력부(104)는 터치스크린, LCD, 7-세그먼트 LED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환경 및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출력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06)는 다수의 입력버튼(106a)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티켓이나 PP카드의 발매를 요청할 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입력버튼 이외에도 터치스크린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입력버튼(106a)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티켓이나 PP카드의 매수, 종류, 기타 선택사항이 된다.
상기 비접촉통신부(108)는 비접촉식 카드(40)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장비이다. 이것은 특히 카드리더창(108a)을 통하여 비접촉식 카드(40)와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비접촉식 카드(40)를 카드리더창(108a)에 접근시키면 카드리더창(108a)을 통하여 고주파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서 비접촉식 카드(40)에 전원이 공급되어서 비접촉식 카드(40)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가 판독된다. 판독된 정보는 주제어부(100)에서 판독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된다. 주제어부(100)에서는 입력되는 정보를 판독하여 구매요금을 정산하고, 필요하면 그 결과를 비접촉식 카드(40)에 저장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한다. 한편, 구매시에 발생되는 제반 티켓발행관련데이터는 자동발매기(10)에 저장되었다가 온라인상태가 되면 중앙수집장치(20)로 전송된다.
티켓이나 PP카드의 발매과정에서 발생되는 티켓발행관련데이터는 데이터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저장부(11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하드디스크 또는 불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출력부(112)는 티켓 또는 PP카드의 구매과정시에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음성출력에 필요한 정보들은 모두 제어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 음성출력부(112)는 종래 사용되는 음성변환모듈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발매기(10)에는 또한 거래상의 비밀유지를 위하여 SAM모듈부(114)(Secure Access Module)가 설치된다. 상기 SAM모듈부(114)는 발생된 거래에 대한 인증값을 구하거나, 비접촉식 카드를 읽고 쓰는데 필요한 액세스키값을 구하기 위한 암호화된 모듈이다. 이러한 SAM모듈부(114)를 이용하여 암호화처리를 수행함으로서 거래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부(116)는 자동발매기(10)에 저장되어 있는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티켓발행관련데이터는 온라인 상태에서 중앙수집장치(20)로 전송되며, 통신모듈부(116)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선통신망, RS-422,RS-485방식, 전용선, PSTN, 또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안테나(116a)를 이용하며, 유선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용선을 이용한다. 각각의 통신망에 대하여 통신모듈부(116)는 해당되는 모듈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각각 적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상위제어부인 중앙수집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도 통신모듈부(116)를 통하여 전송된다.
본 발명의 자동발매기(10)에는 또한 센서검출부(118)와 히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검출부(118)는 자동발매기(10)의 상태를 상위제어부인 중앙수집장치(20)에서 검출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이다. 자동발매기 내부의 온도검출 및 제어, 도어의 오픈 및 클로우즈 검출, 내부 램프의 온/오프 제어, 발매된 티켓 또는 PP카드의 존재유무 검출등을 센서를 이용하여 체크하고 필요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센서검출부(118)를 이용함으로서 각 지에 산재하여 설치되어 있는 자동발매기(10)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중앙수집장치(20)에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무정전 전원장치(UPS)를 구비함으로서 정전시에도 안정적으로 전원공급을 일정시간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터(120)는 자동발매기(10)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5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자동발매기(10)와 중앙수집장치(20)와 중앙정산장치(3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초기화된 후에, 자동발매기(10)에서는 비접촉식 카드(40)의 접근상태를 검출한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하여 티켓 또는 PP카드에 대한 구매자료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한다. 비접촉식 카드(40)가 접근되지 않으면 오프라인상태에서 발생된 구매관련 거래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가를 확인한 후에 거래자료가 있으면 저장된 거래자료를 판독한 후에 중앙수집장치(20)로 전송한다.
티켓이나 PP카드의 요금지불시에 사용자는 비접촉식 카드(40)를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 중의 어느 한 모드로 사용할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소지한 비접촉식 카드(40)가 직불카드인가 신용카드인가에 달려 있다.
구매요금의 산출이 종료된 후에 대기상태에서 비접촉식 카드(40)의 접근이 감지되면 자동발매기(10)에서는 잔액이 충분한 가를 확인한 후에 잔액이 모자라면 처리불가표시를 출력하고 잔액이 충분하면 해당 정보를 수정하고 금액을 차감한다. 상기와 같이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티켓 또는 PP카드를 인쇄하여 투출구를 통하여 투출한다. 그러나 카드처리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으면 처리불가를 표시하고 장비오류인가 아닌가를 판독하여 장비오류로 판독되면 장비에 에러가 발생됨을 중앙수집장치(20)로 전송하고 가동을 중지한다.
그 후에 온라인으로 연결된 상태인가를 확인하여 온라인상태이면 오프라인 상태에서 먼저 발생된 티켓발행관련데이터가 있는 가를 확인한 후에 오프라인 상태의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먼저 전송하고 후에 발생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거래를 종료한다.
자동발매기(10)에서 발생된 티켓발행관련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항상 온라인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중앙수집장치(20)로 티켓발행관련데이터가 전송되면 거래를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하나의 자동발매기(10)에서의 구매가 종료된다.
중앙수집장치(20)는 전송되는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일정기간동안 축적한 후에 일단위 보고서, 주단위 보고서, 월단위 보고서, 또는 관리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보고서로서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판매를 위탁한 상인이나 서비스업자는 별도의 회계관리자를 고용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매출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현금을 직접적으로 취급하지 않으므로 현금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접촉식 카드를 이용하여 티켓이나 다양한 시설의 요금정산 기능을 할 수 있는 선불용도의 PP(Prepaid) 카드를 발행함으로서, 이용자 및 관련업체의 현금 리스크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정산의 신뢰성, 빠른 처리를 수행함으로서 고객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소규모의 상인들의 영업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광고효과와 함께, 보다 빠른 요금처리로 인하여 창구에서의 혼잡을 피할 수 있으며, 유인창구에 있어서 관리비, 인건비등을 감소시킴으로서 정산의 신뢰성 및 현금취급의 위험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티켓이나 PP카드를 발행하기 위한 자동발매장치에 있어서,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요금처리를 수행하고 티켓이나 선불처리된 카드를 인쇄하여 투출하며 티켓발행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발매기(1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발매기(10)에서 전송되는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티켓발행관련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업자들에게 정산된 내역, 사용금액을 지불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은행 또는 카드회사의 중앙정산장치(30)로 정산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수집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발매기(10)가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티켓이나 PP카드를 발매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과 제어데이터를 내장하는 주제어부(100)와, 상기 주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티켓이나 PP카드를 인쇄하여 투출하는 인쇄출력부(102)와, 사용자의 입력정보, 카드의 처리상황, 요금내역, 자동발매기 상태등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출력부(104)와, 티켓발매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입력장치인 키입력부(106)와, 카드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무선으로 판독하고 정보를 저장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접촉통신부(108)와, 판매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10)와, 판매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12)와, 발생된 거래에 대한 인증값을 구하거나 비접촉식 카드를 판독하고 기록하는데 필요한 액세스키값을 구하기 위한 SAM모듈부(114)와, 외부장치와의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부(116)와, 그리고 발매기내부의 온도, 도어열림상태, 램프온/오프제어, 발매된 티켓 또는 PP카드의 존재유무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검출부(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수집장치(20)가 상기 자동발매기(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204)과, 상기 통신모듈(204)을 통하여 입력되는 티켓발행관련데이터들을 각 자동발매기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202)와, 상기 통신모듈(204)을 통하여 중앙정산장치(30)로 정산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티켓발행관련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처리부(206)와, 중앙수집장치(20)의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208)와, 메뉴화면과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출력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발매기(10)가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요금을 정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발매기(10)가 중앙수집장치(20)에서 상기 자동발매기(10)의 작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센서들로부터의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센서검출부(1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정산장치(30)가 신용카드 회사 또는 은행의 요금정산용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KR1020030009923A 2003-02-17 2003-02-17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KR20040074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923A KR20040074354A (ko) 2003-02-17 2003-02-17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923A KR20040074354A (ko) 2003-02-17 2003-02-17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354A true KR20040074354A (ko) 2004-08-25

Family

ID=3736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923A KR20040074354A (ko) 2003-02-17 2003-02-17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43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80B1 (ko) * 2007-12-18 2010-04-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발매 처리장치
KR20150078426A (ko)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에이텍 고속버스 승차권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80B1 (ko) * 2007-12-18 2010-04-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발매 처리장치
KR20150078426A (ko)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에이텍 고속버스 승차권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62066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for transit application
KR101742448B1 (ko) 환급 시스템 및 방법
US7079832B2 (en) Electronic device cover with embedded radio frequency (RF) read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7774231B2 (en) Electronic payment methods for a mobile device
RU2484528C2 (ru) Продажа и покупка входных биле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латеж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оплатой
US20040139019A1 (en) Money transfer system and method with added security features
JP2003512686A (ja) 運賃カードに値を迅速に分配し付加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110087537A1 (en) Refund system and method
WO2001011857A1 (en) Pre-paid mobile telephone air-time replenishing system and method
KR102096692B1 (ko) 방법 및 시스템
WO2021025637A1 (en) Vending machine payment and remote management system
GB2482659A (en) Tax refund system for purchase transactions
MXPA04009704A (es) Sistemas y metodos para realizar transacciones en un punto de venta.
US200401994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electronic account transactions
RU2171495C1 (ru) Способ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варианты),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RU73106U1 (ru) Торгово-платежный автомат
CN109583884A (zh) 非交易启用数据安全性
KR20040074354A (ko) 무인티켓 자동발매장치
KR100407654B1 (ko) 버스/택시 요금 자동 징수를 위한 광결제시스템
JP2002109425A (ja) 電子マネ−、電子販売店及び電子銀行
KR100407656B1 (ko) 지하철 요금 자동 징수를 위한 광결제시스템
WO2002039402A1 (en) Financial transaction method
CA22835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associated service
KR20050024007A (ko) 소액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ES2371052T3 (es) Aparato de control de vent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