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275A - 공기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275A
KR20030015275A KR1020027016862A KR20027016862A KR20030015275A KR 20030015275 A KR20030015275 A KR 20030015275A KR 1020027016862 A KR1020027016862 A KR 1020027016862A KR 20027016862 A KR20027016862 A KR 20027016862A KR 20030015275 A KR20030015275 A KR 20030015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ration
filter
plate
half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0718B1 (ko
Inventor
헤르베르트 쉔크
토마스 라인홀트
마뉴엘 아이자
Original Assignee
필터벨크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454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1527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필터벨크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필터벨크 만 운트 훔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1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19Means upstream of the fuel injection system, carburettor or plenum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02M35/0245Pleated, folded, corrugated filter elements, e.g. made of pa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91Flat filter elements, e.g.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13Means upstream of the air filter; Connection to the ambien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14Materials for intake systems
    • F02M35/10321Plastics; Composites; 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47Moulding, cast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1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inserts in the air intake flow path, e.g. baffles, throttles or orifices; Flow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4Combined air cleaners and silen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28Carburetor attach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0Exhaust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류, 특히 내연기관의 흡입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공기여과장치는 장치판(10), 여과전방측(13) 필터요소(16)를 가지는 필터하우징(12), 그리고 여과후방측(19)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요소(16)는 여과전방측(13)을 여과후방측(19)으로부터 밀봉하면서 분리한다. 여과전방측(13)의 장치판(10)과 밀봉하면서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첫번째 반부쉘(11)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은 마찬가지로 고정이 되게 장치판과 결합되어 있다. 첫번째 반부쉘(11)과의 상기 장치판(10)의 밀봉하는 고정적인 결합에 의하여 이 공기여과장치는 밀봉과 결합요소들, 그리고 또 그의 조립작업이 없어질 수도 있으므로, 더 간단하고 빠르며 그리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여과 장치{AIR-FILTRATION SYSTEM}
흡수모듈이 예를 들면, 여과전방 공기흡수개구, 여과전방 흡수채널, 공기필터, 여과전방 공기채널, 그리고 여과전방 공기접합단편 등과 같은 다수의 일체로 된 구성부품들을 사용 할 수 있는 그러한 내연기관용 흡수 모듈이 DE 198 02 074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흡수모듈은 그의 칫수들에서 이것이 내연 기관을 완전히 커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위하여는 편평하게 형성된 하나의 판이 설치되며, 이 판은 그의 하부측에 접설된 연결형상체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판의 하측면 상으로는 하나의 하측부분이 올려 놓여지며, 이 하측부분은 상기한 연결형상체들 위에도 올려놓여지며, 그리고 다수의 나사들을 가지고 판과 결합 되어진다. 상기한 하부 부분과 판의 밀폐된 결합을 위하여 판과 하부부분 사이에는 밀봉물이 들어가 있다.
그러나, 하부부분과 상부부분의 나사체결 그리고 또 밀봉물의 집어넣음은 상당한 재료 비용 및 조립 비용을 필요로 한다. 나아가서는 접설된 연결형상체들에 의한 상기한 판은 대단히 비용이 많이 들고, 그래서 생산하기에 곤란한 구조 부품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상위 개념에 의한 공기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공기여과 장치,
도 2는 도 1에 의한 A-A절단선에 따르는 공기여과장치의 단면도,
도 3은 하나의 변형 상태의 공기 여과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의한 B-B 절단선에 따르는 공기여과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의한 C-C 절단선에 따르는 공기여과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의한 D-D 절단선에 따르는 공기여과 장치의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적은 재료비용과 조립비용을 가지고 간단히 제조되어질 수 있는, 특히 내연기관을 위한 공기여과장치를 창안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는 특허 청구항 제 1항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기여과장치는 상부측과 하부측을 가지는 장치판을 가지며, 이 장치판은 예를 들면 내연기관과 같은 장치를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한다. 또 상기한 공기여과장치는 여과전방 공기입구와 여과전방측을 포함하며, 여과전방측은 필터공간 내에로 접합한다. 이 필터공간 내에는 필터요소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 필터요소는 여과후방 공기출구를 가지는 여과후방측으로부터 밀봉하면서 여과후방측을 분리한다. 이 필터요소는 주위에 둘러싸고 있는 밀봉물을 가진, 예를 들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진 필터매질에 의하여 또는 필터모피에 의하여 형성되어질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장치판의 상부측이 시각에 응답하면서 그리고 장치판의 하부측이 기능에 의하며 범위가 설정되면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과전방 공기입구는 장치판과 결합되어 있는 첫번째의 반부쉘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여과전방측 내에로 접합한다. 첫번째의 반부쉘은 장치판의 하부측과 밀봉하면서 결합되어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여과전방측이 한정된다. 특히 여과전방 공기입구의 범위에 있는 부분범위들에는 첫번째의 반부쉘이 하나의 폐쇄된 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는 예를 들면 여과전방 공기입구가 장치판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장치판의 하부측과의 첫번째 반부쉘의 결합은 열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예를 들면 부착의 의하여 생성되어 질 수 있는 해체가 안되는 결합이다. 이 경우에는 그 결합부 자체가 밀봉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밀봉물의 사용은 필요하지가 않다. 이 밀봉은 예를 들면 칠하여진 접착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첫번째의 반부쉘과의 장치판의 해체할 수 없는 결합은 기계적인 고정수단과 밀봉물들이 절약되어 질 수 있다.
필터공간은 장치판과 결합되어 있는 필터하우징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에 필터하우징은 예를 들면 개구들을 가지는 그 자체가 폐쇄된 필터하우징일 수 있으며, 이 개구는 여과 전방 공기를 필터 공간내에로 들여 보낼수 있고, 그리고 여과 후방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때 하우징측은 장치판과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 여과전방 공기의 유입을 위한 필터 하우징내에서의 개구는 여과 전방측을 둘러싸고 있는 첫번째 반부쉘과 해체 가능하게 또는 해체 될 수 없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과 후방측은 필터 요소의 하류측에서 필터공간과 결합되어 있으며, 여기서 이 여과 후방측은 예를 들면, 다만 필터 하우징과만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장치판에는 접촉부를 갖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여과 후방측은 예를 들면, 임의의 횡단면을 가지며, 직접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시작하는 접합단편으로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라서, 여과 후방측은 장치판과 연결상태에 있는 두번째의 반부쉘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두번째 반부쉘은 필터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일체로 만들어져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필터하우징 내에서 여과 후방 공기에 대한 개구에 접속하거나 또는 장치판에의 유일한 접촉에 의하여 하류측의 필터공간과 상통하며 이것으로 인하여 정화된 공기는 장치판에 있는 통공을 통하여 여과후방 공기출구에 유입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경우에 정화공기에 대한 개구는 이것이 장치판과 결합하여진 측면에 존재하며 그리고 장치판 내에 있는 통공을 덮는 그러한 방법으로 필터하우징에 접해서 배열되어 있다. 두번째 반부쉘은 그 다음에 장치판의 상측면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정화공기는 장치판의 상측면 위를 따라서 안내되어 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는 가장 협소한 구조공간에서 실현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공기 안내 변형들이 가능하여 진다.
두번째의 반부쉘이 필터하우징에도 장치판의 하부측에도 접속한다면 필터하우징에서 정화공기에 대한 개구는 이것이 두번째의 반부쉘 내에로 접합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로서는 여과전방 공기입구, 그리고 여과후방 공기출구가 장치판의 하부측상에 배열되어 있는 그러한 특별한 공기안내 가능성들이 실현될 수 있다.
장치판과 해체가 안되게 필터하우징을 결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는 필터하우징과 장치판 사이에 해체할 수 없게 결합하기 위하여 열적 또는 화학적인 결합방법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장치판과 필터하우징 사이의 결합은 첫번째 쉘과 장치판 사이의 결합과 동일한 결합방법을 가지고 제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서 첫번째 반부쉘과 필터하우징은 하나의 작업단계에서 장치판과 결합되어 질 수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공기여과 장치의 조립에서 시간 절약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의 경우에 해체할 수 없는 결합은 용접시임이다. 상기한 용접시임은 예를 들면 진동용접법 또는 초음파용접법에 의해서 제조되어 질 수 있다. 구조부품들의 상호용접시에는 용접시임을 형성하는 재료가 용해된다. 이로서 허용차들이 상쇄되어 질 수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는 밀봉이 되는 결합이 근소한 조립비용을 가지고 신속하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제작되어 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필터하우징은 하우징 커버를 가지는 하우징프레임과 장치판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프레임은 장치판의 하부측과 용접되어 있다. 이로서 장치판의 하부측은 필터하우징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이 하우징 커버는 밀봉하면서 하우징프레임과 결합되어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공기가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일출하거나 또는 필터하우징 내에로 들어 갈 수 있다. 하우징프레임과 하우징 커버사이의 밀봉되는 결합을 위하여 특히 고무밀봉물 등과 같은 밀봉 수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 하우징커버는 필터프레임과 해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는 필터 하우징내에 배열된 필터요소가 필요시에 교체되어 질 수 있다. 하우징커버는 유리한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하우징프레임과 해체가능하게 잠겨져 있을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하우징커버는 신속하게 그리고 간단히 하우징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장치판 면에 리브들을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장치판과 첫번째의 반부쉘 사이의 결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장치판의 하부측에 리브들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은 특히 좁고 평탄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이 리브들은 직선형으로또는 굴곡되게 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이들은 특별한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상기 장치판과 결합된 구조부품의 윤곽을 따를 수가 있다. 리브들의 형성에 의하여 이 장치판들은 예를 들면 용접시에 용융되어 질 수 있거나, 또는 부착시에 추가적인 접촉면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재료를 포함한다. 그 밖에 상기한 리브들은 추가적으로 장치판의 고유안정성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 따르면 여과 전방측은 음향적으로 효과적인 공기 안내 아아치형상들을 이용한다. 이 경우에 여과 전방측을 둘러싸는 첫번째 반부쉘은 이것이 진행에서 음향적으로 효과적인 공기안내 아아치형상들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류하고 있는 공기에 의하여 생성된 소음을 적극적으로 영향하는 역시 다수의 공기안내 아아치형상들이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여기서 소음 감소 또는 주파수 변동이 초래되어 질 수 있다. 공기안내 아아치부의 특별히 유리한 실시예는 오메가 아아치형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경우에 여과 전방측은 두번째의 여과전방 공기입구를 이용하며, 이것은 후랩을 사용하여 열 수가 있다. 이 구성에서 첫번째의 반부쉘은 이것이 추가적으로 두번째의 여과전방 공기입구를 형성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후랩이 반부쉘내에서 이것에 상응하는 스위칭위치들에 의하여 첫번째의 여과전방 공기입구 또는 두번째의 여과전방 공기입구를 단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첫번째 반부쉘내에 배열되어 있다. 그 밖에도 하나의 스위칭 위치에서 후랩이 양 여과전방 공기입구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해 주는 그러한 스위칭 위치가 생각될 수 있다. 상기후랩은 특히 첫번째 여과전방 공기입구로부터시작하는 여과전방측이 두번째의 여과전방 공기입구로부터 시작하는 여과전방측과 함께 만나는 곳인 범위에 배열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역시 2개의 별도의 후랩이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서 첫번째 후랩은 여과전방 공기출구의 폐쇄를 위하여 그리고 여기서 두번째의 후랩은 두번째의 여과전방 공기입구의 폐쇄를 위하여 사용된다. 양 후랩들은 이 후랩들을 상대편의 종속관계에서 제어하는 결합부를 이용할 수 있다. 열릴 수 있는 두번째의 여과전방공기의 사용에 의하여 공기는 다른 주변으로부터 흡수되어 질 수 있으며, 이것은 특히 자동차의 경우에 유리한데, 왜냐하면 첫번째의 여과전방 공기입구가 예를 들면 물 또는 눈과 접촉하게 된다면, 후랩이 상기한 여과전방 공기입구를 폐쇄하고 그리고 두번째의 여과전방 공기입구를 개방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더운 공기가 엔진공간으로부터 흡수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내연기관을 위험없이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구성은 접하고 있는 내연기관에 공기여과 장치의 고정을 위한 고정점들을 설치하고 있다. 이 고정점들은 장치판에 접하여 또는 장치판과 결합된 구조부품들에 접하여 배열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이 고정점들은 직접 접합되어서 또는 특히 고무로 된 별도의 구조부품으로서 만들어져 있을 수 있다. 공기여과장치위에 분포되어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는 다수의 고정점들을 설치할 수가 있다. 고정점들이 별도로 만들어져 있다면 이들은 고정기능 이외에 예를 들면 진동감쇄기로서 또는 내연기관과 공기여과 장치사이에 간격유지편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이 공기여과장치는 극단적인 기계적인 또는 열적인 부하들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의 경우에 반부쉘들과 장치판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되어있다. 이로서 이 공기여과장치의 개별적인 구조부품들은 간단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사출성형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 구조부품들의 조립은 예를 들면 마찰용접공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밖에도, 이 공기여과장치는 사용후에 간단히 폐기되거나 또는 재활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선적인 또 다른 형상들의 상기한 그리고 또 다른 특징들은 청구범위들 이외에도 역시 명세서와 도면에서 나타나며, 여기서 개별적인 특징들은 그때 그때마다 그 자체가 단독으로 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다른 영역들에서 세부조합의 형태에서 실현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에서 보호가 청구되어진 유리한 그리고 또 보호가능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상세들은 도면에서 개략적인 실시예들의 도움으로 기술되어진다.
도 1에서 공기여과장치가 평면도로 표시되어 있다. 이 공기여과장치는 하나의 장치판(10)을 가지며 이 장치판은 하나의 첫번째 반부쉘(11)과 하나의 필터하우징(12)과 해체가 안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첫번째 반부쉘(11)은 장치판(10)과 연결하여 여과전방측(13)을 둘러싼다. 여과전방측(13)은 한편으로는 여과전방측 공기 입구(14)를 이용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필터하우징(12)과 연결되어 있다. 필터하우징(12)은 도 2에 따라서는 필터공간(15)을 둘러싸며, 이 필터공간은 필터요소(16)에 의하여 하나의 여과전방공간(17)과 하나의 여과후방 공간(18)으로 세분된다. 필터요소(16)는 밀봉하면서 필터하우징(12)내에로 들여보내어져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에 여과후방측공간(18)에는 여과후방측 공기출구(20)를 가지는 여과후방측(19)이 접속한다. 이 여과후방측(19)은 접합단편(21)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 접합단편은 필터하우징(12)과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필터요소(16)가 필요한 경우에 교체되어 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필터하우징은 2개 부분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여기서 양 하우징 부품들은 나사들(22)에 의하여 해체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공기 여과 장치는 공기를 주위로부터 흡수한다. 상기한 공기는 여과전방측 입구(14)를 통하여 여과후방측(13)에로 유입한다. 여과전방측(13)에 의하여 완전히 덮혀져 있는 필터하우징(12)내에 있는(도 2에 따른) 첫번째 개구(23)를 통하여 공기가 필터공간(15)의(도 2에 따른) 여과전방공간(17)에로 유입한다. 공기가(도 2에 따른) 여과후방측공간(18)에로 도달하기 위하여 이 공기는 필터요소(16)를 관류하지 않으면 안되며, 여기서 공기는 정화된다. 여과후방공간(18)으로부터 공기는 여과후방측(19)으로 흐르며 그리고 여과후방 공기출구(20)를 통하여 공기여과장치로부터 나간다.
도 2에서는 도 1에 따른 A-A 절단선에 따르는 공기여과 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도 1에 상응하는 구조부품들은 동일한 부재번호를 가지고 표시되어 있다. 첫번째 반부쉘(11)은 장치판(10)과 밀봉이 되게 용접되어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여과전방측(13)이 형성된다. 필터하우징(12)은 하나의 하부부분(24)과 그리고 하우징커버(25)로부터 되어있다. 하우징커버(25)는 해체가 가능하게 나사들(22)을 가지고 하부부분(24)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부분(24)은, 장치판(10)과 해체가 안되게 결합되어 있는 하우징저면(26)을 가지며, 나아가서 이 하부부분(24)은 여과전방공간(17)을 둘러싸며, 여기서 하부부분(24)에서는 첫번째 개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장치판(10)과 함께 첫번째 반부쉘(11)에 의하여 둘러싸여져 있다. 상기한 첫번째 개구(23)를 통하여 공기는 여과후방측(13)으로부터 여과전방공간(17)내에로 유입한다. 필터하우징(12)은 또 하나의 두번째 개구(27)를 가지며 이 두번째 개구는 하우징커버(25)내에 배열되어 있다. 그 다음에 상기한 두번째 개구(27)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는 하우징커버(25)에 의하여 형성된 여과후방공간(18)으로부터, 접합단면(21)에 의하여 형성된 여과후방측(19)내에로 유입할 수 있다. 필터요소(16)는 구형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리고 여과전방공간(17)을 여과후방공간(18)으로부터 밀봉하면서 분리하며, 여기서 이것은 필터하우징 내에서 장치판(10)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도 3에는 변형된 공기여과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이 공기여과 장치는 합성수지로 된 장치판(10)을 가지며 이 장치판은 시각적으로 응답하면서 형성된 상부측(28)과 기능에 의하여 방위가 설정된 하부측(29)을 가진다. 이 장치판(10)은 용이하게 아아치형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리고 밑으로 구부려진 가장자리들을 가진다. 이 장치판의 상부측(28)은 예를 들면 연마되어서 또는 구조형상으로 만들어져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예를 들면 회사 로고와 같은 심볼들이 올려질 수 있다. 하부측(29)은 리브들(30)이 이용되며, 이들은 안정성을 위하여도 장치판(10)에 배열된 구조부품들과의 결합을 위하여도 사용될 수 있다. 리브들(30)은 직선적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서 이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에 예를 들면 첫번째의 반부쉘(11)의 또는 필터하우징(12)의 형상에 따를 수 있다. 또 이 장치판(10)은 빈 공극부(31)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빈 공극부를 통하여 예를 들면 접속구조부품들이 돌출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아래에 배열된 내연기관에서 보수작업들이 실시되어 질 수 있다.
장치판(10)의 하부측(29) 상으로는 진동용접공법으로 첫번째 반부쉘(11)이 밀봉하면서 올려져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여과후방측(13)이 형성된다, 상기한 첫번째 반부쉘(11)은 여과전방측 공기입구(14)를 완전히 둘러싸며, 이것으로 인하여 여과전방측 공기입구(14)는 역시 장치판(10)으로부터 분리되어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여과전방측(13)은 하나의 부분 범위에서 오메가자형으로 아아치부(33)를 가지며 이것으로 인하여 공기 안내가 영향받게 되며 그리고 음향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여과전방측(13)에로는 접속부(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로는 예를 들면(표시되지 않은) 배기도관이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에 첫번째반부쉘(11)은 이것이 두번째의 여과전방측 공기입구(34)를 둘러싸는 그러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두번째의 여과전방측 공기입구(34)는 마찬가지로 여과전방측(13)에로 접합하며, 여기서 후랩(35)은 여과전방측 공기입구들(14,34)의 분리 또는 연결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을 위하여 상기 후랩(35)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된 여과전방측(13)의 범위에 배열되어 있다. 첫번째 종단위치에서 이 후랩은 뒤따르는 필터하우징(12)으로부터 두번째의 여과전방측 공기입구(34)를 분리하며 그리고 (점선으로 표시된) 두번째의 종단위치에서 후랩(35)은 뒤따르는 필터하우징(12)으로부터 첫번째의 여과전방측 공기입구(14)를 분리한다. 이로써 상기한 후랩(35)에 의하여 공기는 여러가지 범위들로부터 흡수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여과전방측(13)은 필터하우징(12)에 의하여 형성된 필터공간(15)에로 접합한다. 이 필터공간(15)에는 (표시되지 않은) 필터요소(16)가 배열되어 있다. 이 필터하우징(12)은 하나의 하우징커버(25)와 하나의 하부부분(24)을 가지며, 여기서 하우징커버(25)는 스냅결합부(36)를 가지고 하부부분(24)에 고정되어 있다. 여과전방측(13)은 해체가능한 결합부를 거쳐서 하우징커버(25)와 또는 해체할 수 없는 결합부를 거쳐서 하부부분(24)과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하부부분(24)은 장치판(10)과 밀봉이 되게 용접되어 있다. 이 필터공간(15)에는 여과후방 공기측에서 두번째의 반부쉘(37)이 접속하며 이 반부쉘(37)은 여과후방측(19)을 둘러싼다. 두번째 반부쉘(37)에는 접속부(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을 통하여는 예를 들면 배기가스들을 공기여과장치 내에로 도입되어 질 수 있다. 두번째 반부쉘(37)은 별도의 구조부품으로 만들어져 있는 접합단편(21)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접합단편(21)은 장치판(10)을 접촉하지 않는 여과후방 공기출구(20)를 둘러싼다.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에 하부부분(24)은 두번째 반부쉘(37)과 한부품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부품수가 감소되어져 있다.
도 4에서는 공기여과장치가 도 3에 의한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상응하는 구조부품들이 동일한 부재부호를 가지고 있다. 첫번째 반부쉘(11)은 밀봉하면서 장치판(10)과 용접되어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여과전방측(13)이 둘러싸여져 있다. 장치판(10)을 첫번째 반부쉘(11)과 결합하는 용접시임(38)은 예를 들면 마찰용접 또는 초음파용접에 의하여 생성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반부쉘(11)이 정확하게 장치판(10)상에 위치하여 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장치판(10)의 하부측(29)은 (표시되지 않은) 흠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 홈들은 예를 들면 첫번째의 반부쉘(11)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용접과정이 단순화 되어 질 수 있다.
도 5에는 공기여과 장치가 도 3에 의한 C-C 절단선에 따른 단면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상응하는 구조부품들이 동일한 부재부호를 가지고 있다.두번째 반부쉘(37)이 밀봉하면서 장치판(10)과 용접되어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여과후방측(19)이 형성되어 있다. 정화된 공기는 여과후방측(19)으로부터, 두번째의 반부쉘(37)과 밀봉하면서 결합되어 있는 접합단편(21)내에로 도달한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이 접합단편(21)은 두번째의 반부쉘(37)과 역시 일체로 만들어져 있을 수도 있다. 여과후방 공기출구(20)를 통하여, 상기한 여과된 공기는 공기여과 장치로부터 나올 수 있으며, 그리고 (표시되지 않은) 예를 들면 내연기관 내에로 들어갈 수 있다.
도 6에는 공기 여과 장치가 도 3에 의한 D-D 절단선에 따른 단면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상응하는 구조부품들이 동일한 부재부호를 가지고 있다. 필터공간(15)내에는 필터요소(16)가 들어가 있으며, 이 필터요소(16)는 하우징커버(25)와 하부부분(24)사이에서 밀봉하면서 들어가 있다. 하부부분(24)은 저면을 가지지 않으며, 이것은 프레임으로서 만들어져 있다. 이것으로 인하여 여과후방 공간(18)은 장치판(10)에 직접 접촉을 가진다. 이 하우징커버(25)는 하나의 첫번째 개구(23)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하여는 여과하고자 하는 공기가 여과전방 공간(17)내에로 들어갈 수 있다. 첫번째 개구(23)는 필터하우징(12)의 외부에서 첫번째의 반부쉘(11)에 의하여 둘러 싸여 있다.
본 발명은 근소한 재료비용과 조립비용을 가지고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내연기관을 위한 공기여과장치를 만들 수 있다.

Claims (10)

  1. 여과전방 공기입구(14)와, 필터공간(15)내에로 접합하고 있는 여과 전방측(13)과, 필터요소(16)와, 필터후방측(19)과 필터후방공기출구(20)를 가지며,
    - 여기서 필터요소(16)는 필터공간(15)내에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여과전방공기입구(14)를 밀봉하면서 여과전방공기출구(20)로부터 분리시키며,
    - 여기서 여과전방측(13)은 장치판(10)과 연결하고 있는 첫번째 반부쉘(11)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 여기서 필터공간(15)은 장치판(10)과 결합하고 있는 필터하우징(12)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내연기관을 위한 공기여과장치에 있어서,
    첫번째의 반부쉘(11)은 해체할 수 없는 결합에 의하여 밀봉하면서 장치판(10)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여과후방측(19)은 장치판(10)과 연결되어 있는 두번째의 반부쉘(37)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필터하우징(12)은 장치판(10)과 해체가 안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여과장치.
  4. 전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체할 수 없는 결합은 용접시임(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장치.
  5. 전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하우징(12)은 하우징커버(25)를 가지는 하우징프레임과 장치판(10)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하우징프레임은 장치판(10)과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장치.
  6. 전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판에는 리브들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장치.
  7. 전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과전방측(13)은 음향적으로 작용하는 공기안내 아아치형상부(33)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장치.
  8. 전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과전방측(13)은 후랩(35)에 의하여 열 수 있는 두번째의 여과전방 공기입구(34)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장치.
  9. 전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경하고 있는 내연기관에 공기여과장치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점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장치.
  10. 전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부쉘들(11,37)과 장치판(10)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장치.
KR1020027016862A 2000-06-16 2001-03-23 공기 여과 장치 KR100760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8956A DE10028956A1 (de) 2000-06-16 2000-06-16 Luftfiltersystem
DE10028956.8 2000-06-16
PCT/EP2001/003298 WO2001096729A1 (de) 2000-06-16 2001-03-23 Luftfilter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275A true KR20030015275A (ko) 2003-02-20
KR100760718B1 KR100760718B1 (ko) 2007-10-04

Family

ID=764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862A KR100760718B1 (ko) 2000-06-16 2001-03-23 공기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61748B2 (ko)
EP (1) EP1290332B1 (ko)
JP (1) JP2004520515A (ko)
KR (1) KR100760718B1 (ko)
AT (1) ATE336652T1 (ko)
BR (1) BR0112179B1 (ko)
CZ (1) CZ295403B6 (ko)
DE (3) DE10028956A1 (ko)
ES (1) ES2269364T3 (ko)
MX (1) MXPA02012310A (ko)
WO (1) WO20010967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220A (ko) * 2013-05-09 2018-09-1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공기 여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0844A1 (en) * 2002-02-14 2003-08-14 Siemens Vdo Automotiv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ser welding hoses in an air induction system
WO2005073545A1 (de) * 2004-02-02 2005-08-11 Daimlerchrysler Ag Luftfiltersystem
JP2005324609A (ja) * 2004-05-12 2005-11-24 Toyota Motor Corp レゾネータの取付構造
US20070186895A1 (en) * 2006-01-31 2007-08-16 Daisuke Ochi Air cleaner box, intake sound control apparatus, and intake sound control method
DE102006016433B4 (de) * 2006-04-07 2007-12-20 Dr.Ing.H.C. F. Porsche Ag Sauganlage mit Vorrichtung zur Vermeidung eines Wassereintritts
JP4462236B2 (ja) 2006-06-08 2010-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気体濾過装置
DE202006011994U1 (de) * 2006-08-03 2007-12-06 Mann + Hummel Gmbh Luftfiltergehäuse für ein zylindrisches Filterelement
US8313545B2 (en) * 2007-10-16 2012-11-20 Illinois Tool Works Inc. Air filter assembly for combustion tool
JP2009150240A (ja) * 2007-12-19 2009-07-09 Fuji Heavy Ind Ltd エアクリー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ンジン
JP5047105B2 (ja) * 2008-09-19 2012-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吸気装置
ITTO20110151U1 (it) 2011-12-23 2013-06-24 Cornaglia G Off Met Spa Cartuccia filtro aria a pannello in carta pieghettata a profondita' variabile per motori endotermici dotata di elemento convogliatore integrato ad elevata efficienza
US8978802B2 (en) * 2012-08-15 2015-03-17 Cnh Industrial America Llc Air intake configuration for an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KR101509703B1 (ko) * 2013-10-10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 클리너
US10300786B2 (en) 2014-12-19 2019-05-28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DE102015113002A1 (de) * 2015-08-07 2017-02-0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iltervorrichtung für das Filtern von Zuluft für ein Fahrzeug
CA3217821A1 (en) * 2016-04-28 2017-11-02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Air intake system for an off-road vehicle
CA3021945A1 (en) 2016-04-28 2017-11-02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Cooling system for a turbocharger and nearby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9742U (ko) * 1978-09-27 1980-04-01
JPS597575Y2 (ja) * 1978-11-13 1984-03-08 スズキ株式会社 エヤクリ−ナのエレメント取着装置
US4514201A (en) * 1983-02-18 1985-04-30 Brown Duane G Air intake anti-fouling stack
DE3429633A1 (de) * 1984-08-11 1986-02-20 Ing. Walter Hengst GmbH & Co KG, 4400 Münster Schalldaempfendes luftansaugfilter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JPS60112663U (ja) * 1984-11-19 1985-07-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エアクリーナ
JPH0830453B2 (ja) * 1986-09-04 1996-03-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アクリ−ナ装置
US5089938A (en) * 1991-04-24 1992-0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ponent mounting assembly
SE9304305L (sv) * 1992-12-30 1994-07-01 Hyundai Motor Co Ltd Luftrenaranordning för fordon
DE9307147U1 (ko) * 1993-05-11 1993-07-08 Filterwerk Mann & Hummel Gmbh, 7140 Ludwigsburg, De
DE4403219A1 (de) * 1994-02-03 1995-08-10 Daimler Benz Ag Als Baueinheit vorfertigbares Saugmodul für eine Mehrzylnder-Brennkraftmaschine
JP3463892B2 (ja) * 1994-07-13 2003-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クリーナ
DE19539463B4 (de) * 1995-02-08 2005-07-14 Mann + Hummel Gmbh Gehäuse, insbesondere für ein Luftfilter für die Ansaugluft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604353A1 (de) * 1996-02-07 1997-10-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saugluftführ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DE19650806A1 (de) * 1996-12-06 1998-06-10 Bosch Gmbh Robert Luftführungsanlage
DE19802074A1 (de) * 1998-01-21 1999-07-22 Volkswagen Ag Ansaugmodul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29817853U1 (de) * 1998-10-07 1999-04-08 Kess Roland Luftfiltergrundplatte zur Verwendung bei Luftfilterkästen oder -Gehäusen an Vergasern und/oder Einspritzanlagen von Motorrädern
DE19940610A1 (de) * 1999-08-27 2001-03-01 Mann & Hummel Filter Luftfilter
DE19943467B4 (de) * 1999-09-10 2005-09-01 Mann + Hummel Gmbh Filter mit ebenem Filtereinsatz
JP3554527B2 (ja) * 2000-06-06 2004-08-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キャニスタの取付構造
DE10053148A1 (de) * 2000-10-26 2002-05-08 Mann & Hummel Filter Ansaug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220A (ko) * 2013-05-09 2018-09-1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공기 여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12179B1 (pt) 2010-11-16
BR0112179A (pt) 2003-05-20
US6761748B2 (en) 2004-07-13
DE20109702U1 (de) 2001-09-20
US20030126842A1 (en) 2003-07-10
EP1290332A1 (de) 2003-03-12
KR100760718B1 (ko) 2007-10-04
CZ20024099A3 (cs) 2004-08-18
CZ295403B6 (cs) 2005-08-17
ATE336652T1 (de) 2006-09-15
MXPA02012310A (es) 2005-07-25
EP1290332B1 (de) 2006-08-16
DE50110756D1 (de) 2006-09-28
DE10028956A1 (de) 2001-12-13
JP2004520515A (ja) 2004-07-08
WO2001096729A1 (de) 2001-12-20
ES2269364T3 (es) 200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5275A (ko) 공기 여과 장치
US6508851B2 (en) Housing for holding a filter cartridge having a deformable seal arranged within a joint between a housing shell and cover
JP4727536B2 (ja) エアクリーナ
RU23986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азового фильтра
US8252079B2 (en) Particle separating device for an aerosol stream
KR100846885B1 (ko) 필터 엘리먼트
USRE46182E1 (en) Filter device for filtration of gaseous fluids
CN1938512A (zh) 用于汽车内燃机的进气滤清器
CN103706157B (zh) 过滤器的扁平过滤元件、过滤器和过滤器的支撑装置
KR20040103472A (ko) 외부 유입 흐름 엔진 및 변속기 필터, 그 제조 방법
JP2001132563A (ja) 吸気システム
KR100485009B1 (ko) 필터 장치
KR20160102157A (ko) 내부 프레임 개구를 가진 필터
JP4849407B2 (ja) 二つの成形部品の連結部を気密にするシール
US7867311B1 (en) Filter assembly with trapped auxiliary flow component
EP1369578B1 (en) Air cleaner and resonator assembly
JP3569809B2 (ja) 自動2輪車のエアクリーナ
KR200471437Y1 (ko) 차량용 에어필터
EP0437511A1 (en) DISPOSABLE AIR FILTER.
CN101376075A (zh) 具有直接固定在其上的过滤元件的壳体盖
US10071329B2 (en) Air cleaner
CN216653856U (zh) 一种过滤器滤芯和过滤器装置
JP2004138045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3336551A (ja) エアクリーナおよびその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CN116792233A (zh) 空气滤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