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226A -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226A
KR20030015226A KR1020027013695A KR20027013695A KR20030015226A KR 20030015226 A KR20030015226 A KR 20030015226A KR 1020027013695 A KR1020027013695 A KR 1020027013695A KR 20027013695 A KR20027013695 A KR 20027013695A KR 20030015226 A KR20030015226 A KR 20030015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nails
biasing
front panel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노우에가츠유키
히라모토시게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5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2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2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to be used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20Clamps
    • Y10T292/225Cam-op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기기 본체와 프런트 패널의 결합이 걸이수단과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자재로 행해지고, 결합수단은 기기 본체에 매설된 브라켓 쇠붙이(22)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4)를 설치한 슬라이드 수단(33)과, 슬라이드 플레이트(24)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프런트 패널을 파지하는 파지수단(28)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착탈장치{Attaching and detaching mechanism}
근년, 기록 또는/ 및 재생장치인 카세트 플레이어나 CD(Compact Disc) 플레이어 등의 오디오 기기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에 있어서는 차재 사양의 것이 많이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재용 기기에 있어서는, 운전수가 차에서 떠난 때에 기기가 도난 당한다고 하는 것이 문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를 기기 본체와 조작부로 분할하고, 기기 본체에 대하여 조작부를 착탈자재의 구성으로 하고 있다. 운전자가 차에서 떠나는 때에는 조작부를 기기 본체에서 떼어내어 가지고 가고, 조작부가 없으면 기기 본체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기기 본체가 도난 당할 염려는 적었다.
상기와 같이 조작부를 떼어 내기 가능하게 한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기기 본체에 대하여 조작부를 착탈시키기 위한 착탈장치로서는, 종래 예에서는 일본국 특허 특개평 7-156719호 공보에 기재한 것이 있다. 즉,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10, 11, 12에 나타내는 것같이 오디오 기기(1)는 기기 본체(2)와 조작부로서의 프런트 패널(3)로 구성되어 있다. 프런트 패널(3)에는 조작 버튼(4), 디스플레이(5)가 설치되는 동시에, 기기 본체(2)의 카세트삽입구(6a)와 대응하는 카세트 삽입구(6b)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프런트패널(3)의 장착 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7a, 7b)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프런트 패널(3)을 착탈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기 본체(2)에는 프런트 패널(3)이 수납되도록 가림판(8)과 가림판(8)의 주변에 틀체(8a)가 형성되고, 프런트패널(3)의 일측부 즉, 우측을 거는 걸이수단(9)과 타측부 즉, 좌측을 결합하는 결합수단(10)이 설치되어 있다.
걸이수단(9)은 틀체(8a)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편(11)과, 프런트패널(3)에 형성된 한 쌍의 계착부(12)로 구성된다. 결합수단(10)은 도 12에 도시하는 부착지지판(13), 암(14), 홀더(15), 인장코일스프링(16), 상시 중앙 X방향에 탄성편기한 스프링(17)과, 도 11에 나타내는 결합오목부(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프런트패널(3)을 장착한 상태이다. 핀(14a), 이탈조작부(14b)를 일체로 설치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암(14)은 핀(13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자재이고, 스프링(16)의 가세력이 스프링(17)의 가세력보다도 크므로, 핀(1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자재로 암(14)에 부착된 홀더(15)의 결합부(15a)와 핀(13b)의 결합이 유지되고, 결합부(15b)가 결합오목부(18)내에 결합되어 프런트패널(3)의 장착상태가 유지된다.
프런트패널(3)을 떼어내는데는, 릴리스버튼(19)을 누른다. 그러면, 스프링(20)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릴리스버튼(19)은 프런트패널(3)의 배면측으로 돌출하여(도 13b의 상태), 이탈조작부(14b)를 가압한다. 그러면, 도 15에 나타내는 것같이 암(14)은 스프링(16)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배면측으로 눌러지고, 그것에 따라서 스프링(17)의 가세력에 의해 결합부(15a)가 핀(13b)에서 벗겨진다. 그리고, 스프링(17)의 가세력에 의해 프런트패널(3)이 바로 앞측으로 압출된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내는 것같이 스프링(17)의 작용에 의해, 프런트패널(3)이 또한 전방측으로 밀어내어진다.
도 16의 상태에서는 결합부(15b)가 결합오목부(18)에 결합하여 프런트패널(3)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프런트패널(3)을 손으로 잡고 결합부(15b)에서 결합오목부(18)를 벗겨내면, 프런트패널(3)을 기기본체(2)에서 완전히 떼어낼수 있다.
다음에, 프런트패널(3)을 장착하는데는, 도 11에 있어서의 한쌍의 계착부(12)를 한쌍의 돌기편(11)에 결합시킨 후에 프런트패널(3)의 좌측을 억지로 들어가게 한다. 그러면, 결합부(15b)가 결합오목부(18)에 끼워 넣어지고, 도 14와 같이 프런트패널(3)이 기기본체(1)에 장착된다.
그런데, 도 14에서 알 수 있는 것같이, 결합수단(10)에 의한 결합은 결합부(15b)를 결합오목부(18)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양자의 사이에 여유가 크면 프런트패널(3)이 떼어지기 쉽기 때문에 낙하시키게 될 염려가 있고, 역으로 여유가 작으면, 결합부(15b)와 결합오목부(18)를 파손하게 될 염려가 있고, 프런트패널(3)의 금형을 시작할 때마다 미소한 조합검증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번잡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한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재용(車載用)의 오디오 기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기기의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의 프런트패널을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기기의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의 결합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의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의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의 프런트패널을 장착한 상태에 관하고, 4A는 정면도, 4B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착탈장치의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의 프런트패널의 타단측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의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의 프런트패널의 타단을 인출하여 프런트패널의 타단을 한쌍의 손톱에서 벗겨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기기의 실시의 형태2에 있어서의 결합수단에 관하고, 7A는 정면도, 7B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기기의 실시의 형태3에 있어서의 결합수단에 관하고, 8A는 정면도, 8B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기기의 실시의 형태4에 있어서의 결합수단에 관하고, 9A는 정면도, 9B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의 프런트패널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의 결합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의 릴리스버튼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의 프런트패널 장착시의 작용설명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의 릴리스버튼을 누른 때의 작용설명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착탈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의 프런트패널의 타단을 열은 때의 작용설명도이다.
청구항 1에 관계되는 발명은 기기본체에 대하여조작부를 착탈시키기 위해 조작부의 한편 측을 걸이수단을 끼워서 걸은 상태로 조작부의 타측 편을 착탈자재로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설치한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한 슬라이드수단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전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부를 파지하는 파지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관계되는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전방으로 가세하는 제 1가세수단과, 당해 제 1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부재를 후퇴시킨 상태로 구속하는 락수단과, 당해 락수단에 의한 락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관계되는 발명은,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슬라이드부재의 전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파지하는 이 한쌍의 손톱과, 상기 조작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한쌍의 손톱에 의해 파지되는 피파지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관계되는 발명은, 상기 한쌍의 손톱 중의 적어도 어느 한편의 손톱은 피파지부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 가세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관계되는 발명은 상기 한쌍의 손톱중 어느 한편을 회동자재한 가동손톱으로 하고, 상기 피파지부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가동손톱을 가세하는 제 2가세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관계되는 발명은 상기 한쌍의 손톱의 쌍방을 회동자재한 가동손톱으로 하고, 상기 피파지부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가동손톱을 가세하는 제 2가세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관계되는 발명은 상기 한쌍의 손톱의 쌍방을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손톱이 휘어져서 변형하여 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를 오디오 기기에 적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실시의 형태1
먼저, 실시의 형태1을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의 기기본체(2)와 프런트패널(3)을 착탈자재로 결합하기 위한 걸이수단(9)과 결합수단(10)중 결합수단(10)만을 변경한 것이므로, 결합수단(10)에만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것같이, 결합수단(10)은 슬라이드 수단(33)과 파지수단(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수단(33)은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것같이, 단면 ⊃ 자형의 브라켓 쇠붙이(22)가 기기본체(1)의 가림판(8)의 내측에 부착부(22b, 22c)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고, 상하의 측판 부분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서 돌출하는 한쌍의 핀(23)을 돌출 설치하고, 이 한쌍의 핀(23)이 수지제의 슬라이드 플레이트(슬라이드부재)(24)의 상하부분에 각각 설치한 한쌍의 홈(24a)에 결합하고,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4)가 브라켓 쇠붙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4)를 전방으로 가세하기 위한 인장 스프링(제1가세수단)(25)이 스프링 걸이부(22a, 24e)간에 설치되어 있다. 또, 스프링(25)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24)를 배면측으로 누른 상태로 락하기 위한 락레버(락수단)(26)가 설치되어 있다. 락레버(26)는 브라켓 쇠붙이(22)에서 상하 측판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핀(27)을 끼워서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락레버(26)에 있어서의 한쌍의 핀(27)을 잇는 회동축심으로부터 떠난 위치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4)와 대향하는 면에 락오목부(26a)가 형성되는 한편, 슬라이드 플레이트(24)에는 락오목부(26a)와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부(24b)가 형성되고, 스프링 걸이부(26b, 22d)간에는 락오목부(26a)를 돌출부(24b)로 향하여 가세하는 인장스프링(32)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4)의 전단에는 파지수단(28)이 설치되어 있다. 파지수단(28)은 고정 손톱과 가동 손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4)의 하부에 일체의 L자형의 고정손톱(29)이 설치되고, 선단에는 상방으로 향하여 볼록부(29a)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4)의 상부에는 가동 손톱(30)이 설치된다. 가동 손톱(30)은 가동손톱(30)과 일체의 회동축(30c)을 통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24)에 회동자재로 부착되어 있고, 스프링걸이부(30b, 24c)간에 설치한 인장코일 스프링(제 2가세수단)(34)을 끼워서 파지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손톱(30)을 가장 닫은 상태로 멈추기 위해, 스토퍼(24d)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손톱(30)의 하면에도 볼록부(30a)가 형성되고, 파지수단(28)으로 향하여 프런트패널(3)을 가압한 때에 회동축(30c)을 중심으로 가동 손톱(30)의 볼록부(30a)가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해, 볼록부(30a)의 전면측에는 테퍼면(30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런트패널(3)에 있어서의 배면측에는 파지수단(28)에 의해 파지되는파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피파지부(31)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4A에 나타내는 것같이, 피파지부(31)는 프런트패널(3)에서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약 L자형의 돌출부(31a)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손톱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오목부(31b)가 상하의 돌출부(31a)의 상측,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돌출부(31a)의 배면측에는 프런트패널(3)을 배면측으로 누른 때에 고정손톱(29), 가동손톱(30)의 간격이 열려서 파지할 수 있도록 테퍼면(31c, 31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측의 돌출부(31a)의 전면측에는 적은 힘을 더하면 파지수단(28)에 파지되어 있는 피파지부(31)가 벗겨지도록 하기 위해, 테퍼면(31d)이 형성되어 있다.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것같이 본 발명에서도 종래와 동일의 릴리스 버튼(해제수단)(19), 스프링(20)이 설치되어 있고, 릴리스 버튼(19)의 선단이 배면측으로 눌러짐으로써 스프링(32)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락레버(26)를 핀(23)을 중심으로 하여 적게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락레버(26)를 회동시켜서 돌출부(24b)에서 락오목부(26a)를 벗겨냄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24)의 구속을 벗기기 위한 원호부(26c)가 락레버(2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러한 착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프런트패널(3)을 장착한 상태로 릴리스 버튼(19)을 누르면, 스프링(20)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릴리스 버튼(19)이 배면측으로 눌러지고, 원호부(26c)를 가압한다(도 4b의 상태). 이것에 의해 락레버(26)가 적게 회동하고, 락레버(26)의 락오목부(26a)와 돌출부(24b)와의 결합이 벗겨지고, 스프링(25)의 가세력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4)가 전면측을 향하여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도 5에 나타내는 것같이, 프런트패널(3)의 타단측이 압출되게 도고, 프런트패널(3)은 일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적게 회동한다.
이 상태에서, 손으로 프런트패널(3)의 타단측을 잡아서 당기면, 가동손톱(30)에 작은 회전모멘트가 증가하고, 가동손톱(30)이 스프링(34)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여는 방향으로 회동시켜진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것같이 가동손톱(30)에서 프런트패널(3)을 벗길 수 있고, 도 1의 (9)의 부분을 벗기면 프런트패널(3)의 전체를 떼어낼수 있다.
다음에, 기기본체(2)에 프런트패널(3)을 부착하는데는, 기기본체(2)와 프런트패널(3)과의 일단 끼리를 결합시키고, 즉 걸이수단(9)을 결합하고, 프런트패널(3)의 타단을 기기본체(2)로 향하여 가압한다.
그러면, 프런트 패널(3)의 피파지부(31)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상하의 테퍼면(31c, 31c)과 가동손톱(30)의 테퍼면(30b)이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가동손톱(30)을 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이것과 동시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4)에는 배면측으로 밀어 넣는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스프링(34)의 스프링정수가 스프링(25)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작기 때문에, 가동손톱(30)이 열려서 가동손톱(30) 및 고정손톱(29)이 한쌍의 돌출부(31a)를 넘은 후에 가동 손톱(30)이 닫혀서 파지수단(28)에 의해 피파지부(31)를 파지하고, 그 후에 스프링(25)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4)가 후퇴하고, 프런트 패널(3)이 확실히 장착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스프링(32)의 가세력에 의해 락레버(26)가 회동하여 락오목부(26a)가 돌출부(24b)의 이동을 구속하고, 스프링(25)이 축세된 상태로 슬라이드 플레이트(24)가 락된다.
또한, 상부를 고정 손톱으로 하고, 하부의 손톱을 가동손톱으로 하여도 좋다.
(b) 실시의 형태2
다음에, 실시의 형태2를 도 7A, 7B에 나타낸다. 이것은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 파지수단만을 변경한 것이다. 즉, 하부를 고정손톱을 대신하여 상부의 가동손톱과 동일의 구성으로 하고, 한쌍의 가동손톱(30)을 파지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단일의 인장코일스프링(35)을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착탈장치에 있어서는 쌍방의 손톱이 회동하므로, 파지수단에 의한 피파지부의 파지와 개방이 경쾌하게 소프트한 터치로 행해진다.
그 외의 구성, 작용은 실시의 형태(1)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c) 실시의 형태3
다음에, 실시의 형태3을 도 8A, 8B에 나타낸다. 실시의 형태2의 경우는 한쌍의 가동손톱에 스프링에 의해 가세력을 더한 것이지만,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한쌍의 손톱(36)을 슬라이드 플레이트(24)와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들을 에폭시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로 일체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수지가 갖는 탄성력을 스프링 대신에 이용하기 때문에, 한쌍의 손톱(36)은 휘기 쉽도록 횡단면적이 작게 설정된다.
이러한 착탈장치의 작용은 실시의 형태(2)와 동일하다.
(d) 실시의 형태4
최후에, 실시의 형태4를 도 9A, 9B에 나타낸다. 이 실시의 형태는 한쌍의 손톱이 탄성력의 작용으로 닫히도록 한 점은 실시의 형태 3과 동일하지만, 이 경우는 단일의 스테인레스나 링청동등의 탄성력에 많은 금속판으로 형성한 한쌍의 손톱(37a)으로 이루어지는 ⊃ 자형의 단일의 손톱유닛(38)을 도시하지 않은 비스를 통하여, 또는 수지의 용착 등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4)에 부착한 것이다. 금속판이 휜 때에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력이 파지력으로 되어 작용하므로, 실시의 형태 3의 경우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그 외의 구성, 작용은 실시의 형태1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 ∼ 4에서는 착탈장치를 차재용의 오디오 기기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일반 가정의 오디오 기기나 텔레비전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 알 수 있는 것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착탈장치는 차재용, 일반가정용의 오디오 기기등에 이용하기에 유용하고, 특히 소형 또한 필링이 좋은 파지·개방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Claims (7)

  1. 기기 본체에 대하여조작부를 착탈시키기 위해 조작부의 한편 측을 걸이수단을 끼워서 걸은 상태로 조작부의 타측 편을 착탈자재로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설치한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기기 본체에 설치한 슬라이드수단과,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전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부를 파지하는 파지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전방으로 가세하는 제 1가세수단과, 당해 제 1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부재를 후퇴시킨 상태로 구속하는 락수단과, 당해 락수단에 의한 락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슬라이드부재의 전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파지하는 한쌍의 손톱과, 상기 조작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이 한쌍의 손톱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손톱중 적어도 어느 한편의 손톱은 피파지부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 가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손톱중 어느 한편을 회동자재한 가동손톱으로 하고, 상기 피파지부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가동손톱을 가세하는 제 2가세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손톱의 쌍방을 회동자재한 가동손톱으로 하고, 상기 피파지부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가동손톱을 가세하는 제 2가세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손톱의 쌍방을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손톱이 휘어서 변형하여 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장치.
KR1020027013695A 2001-03-14 2002-03-12 착탈장치 KR200300152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71354A JP4618472B2 (ja) 2001-03-14 2001-03-14 着脱装置
JPJP-P-2001-00071354 2001-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226A true KR20030015226A (ko) 2003-02-20

Family

ID=1892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695A KR20030015226A (ko) 2001-03-14 2002-03-12 착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6904606B2 (ko)
JP (1) JP4618472B2 (ko)
KR (1) KR20030015226A (ko)
CN (1) CN1206891C (ko)
WO (1) WO2002074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936A (ja) * 2002-10-22 2004-05-20 Sony Corp 記録媒体ドライブ装置
US7808794B2 (en) * 2003-03-31 2010-10-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storage systems and control panel for use therewith
CN2689309Y (zh) * 2003-07-17 2005-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盘驱动器面板
TWM243689U (en) * 2003-07-23 2004-09-11 Hon Hai Prec Ind Co Ltd Computer panel securing device
JP4148237B2 (ja) * 2005-05-18 2008-09-1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7184472A (ja) * 2006-01-10 2007-07-19 Funa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キャビネット
US7733659B2 (en) * 2006-08-18 2010-06-08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JP2009076148A (ja) * 2007-09-21 2009-04-09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5112800B2 (ja) * 2007-09-28 2013-01-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機器セット
JP5115228B2 (ja) * 2008-02-07 2013-01-0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パネル着脱機構およびそれを有する車載装置
JP4626661B2 (ja) * 2008-03-19 2011-02-09 株式会社デンソー 固定部材
WO2010096500A2 (en) * 2009-02-18 2010-08-26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Fiber management shelf having removable door, push-push fastening elements, stackable side retainer rings and reduced profile front retainer rings
CN102054513A (zh) * 2009-11-04 2011-05-11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光盘机
JP5264005B2 (ja) * 2011-06-27 2013-08-14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用制御装置
CN102905480A (zh) * 2011-07-25 2013-0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
JP5874517B2 (ja) * 2012-04-27 2016-03-0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電子機器
CN103593013A (zh) * 2012-08-16 2014-02-19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机箱固定装置
JP2013121830A (ja) * 2012-10-10 2013-06-20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着装置
TWI631557B (zh) * 2017-12-07 2018-08-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快拆機構及其電子設備
CN114510125B (zh) 2020-11-16 2024-02-27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电子装置的机壳及填充面板的拆装模块
US11740667B2 (en) * 2021-07-07 2023-08-29 Quanta Computer Inc. Latch mechanism for securing an expansion card module in a computer chassi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8160U (ja) * 1982-03-31 1983-10-05 株式会社ニフコ ラツチ
JPH0341027Y2 (ko) * 1985-06-07 1991-08-28
JPH04221891A (ja) * 1990-12-21 1992-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筐体のフロントパネル取り付け装置
JP2547786Y2 (ja) * 1991-04-12 1997-09-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グリル着脱装置
JP2560562Y2 (ja) * 1991-11-26 1998-01-26 株式会社ニフコ 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の着脱構造
JPH0687386A (ja) * 1992-09-08 1994-03-29 Sony Corp 車載用電子機器
JPH07319500A (ja) * 1994-05-24 199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電子機器
KR100242773B1 (ko) * 1997-06-07 2000-02-01 전주범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JP2001015936A (ja) * 1999-07-02 2001-01-19 Alpine Electronics Inc 電子機器の着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59220A (zh) 2003-11-26
US6971112B2 (en) 2005-11-29
US6971113B2 (en) 2005-11-29
CN1206891C (zh) 2005-06-15
US20050183106A1 (en) 2005-08-18
US6904606B2 (en) 2005-06-07
US7007287B2 (en) 2006-02-28
US20050183105A1 (en) 2005-08-18
US7124417B2 (en) 2006-10-17
JP2002271042A (ja) 2002-09-20
WO2002074031A1 (fr) 2002-09-19
US20050204375A1 (en) 2005-09-15
JP4618472B2 (ja) 2011-01-26
US20030075931A1 (en) 2003-04-24
US20050204374A1 (en)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5226A (ko) 착탈장치
EP0658011B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detachable control panel
US5510957A (en) Locking and retaining mech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etachable control unit
JPH1128985A (ja) オーディオ装置の着脱装置
JP3268476B2 (ja) パネル着脱機構
US5967570A (en) Panel detaching apparatus for car-mounted audio system
KR20050003914A (ko) 하드디스크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컴퓨터
JP3630548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2908825B2 (ja) 車載音響機器の操作部着脱装置
JPH09321641A (ja) オーディオ装置
JP3600429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KR100595518B1 (ko) 차량용 정보기록재생장치의 프론트 판넬의 착탈 기구
JPH1051154A (ja) 押しボタン機構及びロック解除押しボタン機構
KR0127543B1 (ko) 착탈식 카오디오의 착탈 장치
JPH09251766A (ja) 車載用電子機器
JP4071216B2 (ja) 電子機器
JP3729223B2 (ja) 記録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0082351A (ja) 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JPH1059369A (ja) 装着部材付き容器
JPH10169287A (ja) 開閉蓋の開放機構
JPH1021678A (ja) 着脱自在な操作パネルを装備したオーディオ装置
JP2000222797A (ja) テープ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H11273324A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H079456A (ja) 成形用金型
JPH09158938A (ja) 車載用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23

Effective date: 2011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