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566A - 재봉틀의 이송 기구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이송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566A
KR20030014566A KR1020020038652A KR20020038652A KR20030014566A KR 20030014566 A KR20030014566 A KR 20030014566A KR 1020020038652 A KR1020020038652 A KR 1020020038652A KR 20020038652 A KR20020038652 A KR 20020038652A KR 20030014566 A KR20030014566 A KR 20030014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differential
amount
shaft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나카마사미
세토요우지
Original Assignee
페가수스미싱세이죠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가수스미싱세이죠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페가수스미싱세이죠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8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with differential feed mo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틀 베드의 실린더부에 배치되는 메인 이송대 및 차동 이송대와, 양 이송대에 상하 운동을 전달하는 구동축 및 상하 이송축과, 구동축과 연동하여 요동하며 메인 이송대에 전후 운동을 전달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요동량을 조절하는 이송량 조절 기구와, 이송축과 연동하여 요동하며 차동 이송대에 전후 운동을 전달하는 차동 이송축과, 차동 이송축의 요동량을 조절하는 차동 이송량 조절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량 조절 기구가 베드 주요부 측면에 축지지되며 조작 노브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이송량 지침 레버와, 이송량을 표시하는 눈금을 붙인 눈금판을 갖는 재봉틀의 이송 기구에 있어서, 이송량 지침 레버 또는 눈금판이 실린더부에 통 형상 직물을 삽입할 때의 방해로 되지 않도록 한다.
베드 주요부(2)의 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송량 지침 레버(40) 또는 눈금판(41)을 오목부 내에 수납하여, 베드 주요부(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키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이송 기구{FEED ADJUST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 특히, 의복의 소매부 등의 통 형상 직물을 봉제할 수 있는 실린더부를 구비한 재봉틀의 이송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송 기구가 일본국 특개평9-14096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이송 기구는 재봉틀 베드 내에 재봉틀 주축, 상하 이송축, 이송축 및 차동 이송축을 배치하고, 재봉틀 베드는 한쪽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실린더부를 구비하고 있다.
재봉틀 주축은 재봉틀 베드로부터 실린더부까지 연장되고, 단부에 부착된 각형 부재를 메인 이송대 및 차동 이송대의 뒤쪽 두갈래부에 결합시켜 양 이송대에 상하 운동을 전달하며, 또한, 상하 이송축은 구동축과 연동하여 왕복 회동 운동하고, 단부에 부착된 각형 부재를 메인 이송대 및 차동 이송대의 앞쪽 두갈래부에 결합시켜 양 이송대에 상하 운동을 전달하며, 양 이송대의 전후의 상하 운동은 동기되어 있다.
이송축은 구동축과 연동하여 왕복 회동 운동하고, 그 운동량이 이송량 조절 기구에 의해 조절되며, 메인 이송축에 고착된 크랭크 및 상기 크랭크와 메인 이송대를 연결하는 링크를 통하여 메인 이송대에 전후 운동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차동 이송축에는 이송축의 왕복 회동 운동이 차동 이송 전달 기구를 통하여 전달되고, 차동 이송대에 전후 운동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전후 운동은 차동 이송 전달 기구에 의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송량 조절 기구는, 재봉틀 베드 측면에 축지지되는 이송 레버와, 이송 레버를 덮으며 눈금을 표시한 눈금판을 갖고, 재봉틀 베드의 앞쪽에 돌출 설치되는 조절 노브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이송량이 조절되는 동시에, 이송 레버가 회동하여, 이송 레버 선단이 가리키는 눈금으로 이송량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이송 기구에서는, 이송 레버 또는 눈금판이 재봉틀 베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통 형상 직물을 실린더부에 삽입할 때나 봉제 중에서의 직물 핸들링을 방해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한 재봉틀의 이송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재봉틀의 이송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재봉틀의 이송 기구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실린더부에 수납되는 메인 이송대와 그 관련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실린더부에 수납되는 차동(差動) 이송대와 그 관련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베드 주요부에 수납되는 이송량 조절 기구의 측면도.
도 6은 차동 이송 조절 기구의 요부 측면도.
도 7은 수동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이송량 조작 기구의 사시도.
도 9는 이송량 조절 기구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봉틀 베드
2 : 베드 주요부
3 : 실린더부
4 : 구동축
5, 13 : 각형 부재
6 : 메인 이송대
7 : 차동(差動) 이송대
9 : 상하 이송축
14 : 전후 로드
15 : 이송축
19 : 차동 이송 링크
20 : 슬라이더
22 : 차동 이송축
23 : 이송량 조절 기구
24 : 조작 노브
25 : 스톱퍼 피스
26 : 스프링
27 : 벨 크랭크
32 : 수동 조작 기구
33 : 수동 레버
34 : 조작축
40 : 이송량 지침 레버
41 : 눈금판
43 : 차동 이송량 조절 기구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베드 주요부 및 상기 베드 주요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실린더부로 이루어진 재봉틀 베드와, 실린더부에 배치되며 메인 이송 톱니를 구비한 메인 이송대 및 상기 메인 이송대와 병설되며 차동 이송 톱니를 구비한 차동 이송대와, 베드 주요부로부터 실린더부까지 연장되며 메인 이송대 및 차동 이송대의 뒤쪽 두갈래부에 결합하는 각형 부재를 통하여 양 이송대에 상하 운동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동하며 메인 이송대 및 차동 이송대의 앞쪽 두갈래부에 결합하는 각형 부재를 통하여 양 이송대에 상기 상하 운동과 동기한 상하 운동을 전달하는 상하 이송축과, 구동축과 연동하여 왕복 회동 운동하며 메인 이송대에 전후 운동을 전달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왕복 회동 운동의 운동량을 조절하는 이송량 조절 기구와, 이송축과 연동하여 왕복 회동운동하며 차동 이송대에 전후 운동을 전달하는 차동 이송축과, 차동 이송축의 왕복 회동 운동의 운동량을 조절하는 차동 이송량 조절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량 조절 기구가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동 조작부와, 실린더부가 돌출되는 측의 베드 주요부 측면에 부착되며 이송량을 표시하는 눈금을 형성한 눈금판과, 상기 베드 주요부 측면에 축지지되어 상기 수동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눈금판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을 구비한 이송량 지침 레버를 갖는 재봉틀의 이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눈금판 및 이송량 지침 레버가 베드 주요부 측면에 형성되는 오목부 내에 베드 주요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복의 소매부 등의 통 형상 직물을 실린더부에 씌워 봉제할 때, 눈금판 또는 이송량 지침 레버가 베드 주요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통 형상 직물을 실린더부에 삽입할 때나 봉제 중에서의 직물 핸들링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눈금판과 이송량 지침 레버는, 베드 주요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으면, 어느 한쪽이 덮여지도록 하여 겹치거나, 또는 동일 레벨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차동 이송량 조절 기구가, 이송축과 차동 이송축 중의 한쪽에 고정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차동 이송 암과, 상기 차동 이송 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이송축과 차동 이송축 중의 다른쪽에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상기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링크로 이루어진 링크 기구와, 상기 슬라이더를 차동 이송 암을 따라 이동시키는 수동 조작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동 이송 암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를 빼냄으로써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틀 베드(1)는 베드 주요부(2)와 실린더부(3)로 이루어지고, 실린더부(3)는 베드 주요부(2)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동축(4)은 베드 주요부(2)로부터 실린더부(3)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그 선단은 각형 부재(5)를 축지지하기 위한 편심부(4a)를 갖고, 편심부(4a)에 축지지된 각형 부재(5)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이송대(6) 및 상기 메인 이송대(6)에 병설된 차동 이송대(7)의 대략 수평으로 형성된 뒤쪽 두갈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형 부재(5)는 구동축(4)의 회전에 의해 메인 이송대(6) 및 차동 이송대(7)의 뒤쪽 두갈래부에 상하 운동을 전달시킨다.
상하 로드(8)가 구동축(4)의 편심부(도시 생략)와 상하 이송축(9)에 고정된 레버(10)를 연결하고, 구동축(4)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송축(9)이 왕복 회동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하 이송축(9)은 선단에 요동 레버(11)를 고착하고, 요동 레버(11)의 자유단에 돌출된 핀(12)에 각형 부재(13)가 축지지되어 있다. 이 각형 부재(13)는 메인 이송대(6) 및 차동 이송대(7)의 대략 수평으로 형성된 뒤쪽 두갈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하 이송축(9)의 요동에 의해 각형 부재(13)는 메인 이송대(6) 및 차동 이송대(7)의 앞쪽 두갈래부에 상하 운동을 전달시키며, 이 상하 운동은 각형 부재(5)에 의한 상기 상하 운동과 동기되어 있다.
메인 이송 톱니(6a)가 부착되는 메인 이송대(6)는, 이송축(15)과 링크 기구에 의해, 즉, 이송축(15)의 단부에 고착된 요동 레버(15a)에 링크(4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차동 이송 톱니(7a)가 부착되는 차동 이송대(7)는, 상기와 동일하게 차동 이송축(22)과 링크 기구에 의해, 즉, 차동 이송축(22)의 단부에 고착된 요동 레버(22a)에 링크(3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로드(8)에 인접하여 전후 로드(14)가 구동축(4)의 편심부(4b)에 결합되고, 이송축(15)과 링크(16)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이송축(15)에는 도 5에 나타낸 이송량 조절 기구(23)가 부설되어 있다. 이 이송량 조절 기구(23)는 베드 주요부(2)의 좌단부에 배치되고, 이송량의 조절은 수동 조작부인 회동식 조작 노브(24)에 의해 행한다.
즉, 조작 노브(24)를 회동하면, 스톱퍼 피스(25)가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움직이고, 이것에 의해 벨 크랭크(27)가 수평축(27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 링크(29)가 핀(30)을 움직이게 한다. 그 결과, 이송축(15)과 핀(30)의 상대 위치가 변경되고, 이송축(15)의 요동량이 변경된다. 이송축(15)의 요동량이 변경되면, 이송축(15)의 요동 레버(15a)에 링크(44)를 통하여 연결된 메인 이송대(6)의 전후 운동이 변경된다.
조작 노브(24)는 그 선단에, 도 5,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퍼 피스(25)를 갖고 있다. 이 스톱퍼 피스(25)에는 재봉틀 베드(1) 아래에 배치된 스프링(26)에 의해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는 벨 크랭크(27)의 한쪽 끝이 결합되고, 벨 크랭크(27)의 다른쪽 끝은 핀(28)을 통하여 링크(29)와 연결되어 있으며, 링크(29)는 전후 로드(14)와 링크편(16)을 연결하는 핀(3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벨 크랭크(27)는 베드 주요부(2)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수평축(27a)에 고정되고, 수평축(27a)은 베드 주요부(2)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오목부(도시 생략) 내에 돌출되는 단부에 이송량 지침 레버(40)를 고착하고, 눈금판(41)이 이송량 지침 레버(40)에 덮여져 상기 오목부에 장착되며, 베드 주요부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베드 주요부 좌측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고 있다. 이 눈금판(41)은 활 형상의 창(41a)을 갖고, 창(41a)을 통하여 노출되는 이송량 지침 레버(40)의 지침이 창 테두리에 표시되는 눈금을 가리켜, 이송량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벨 크랭크(27)가 회동하면, 수평축(27a)에 고착된 이송량 지침 레버(40)도 회동하여, 그 지침이 가리키는 눈금으로 이송량이 표시된다.
또한, 이송축(15)의 요동은 요동 레버(17), 차동 이송 링크(19) 및 슬라이더(20)를 통하여 차동 이송축(22)에도 전달되기 때문에, 조작 노브(24)를 회동하면, 차동 이송대(7)의 전후 운동도 동시에 변경된다.
또한, 이송축(15)에는 차동 이송량 조절 기구(43)가 부설되어 있다. 이 차동 이송량 조절 기구(43)는, 도 1,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축(15)의 단부에 고착된 레버(17)를 갖고, 레버(17)는 핀(18)에 의해 링크(19)와 연결되며, 링크(19)는 차동 이송축(22)에 부착된 차동 이송 암(22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20)로부터 돌출되는 핀(2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레버(17), 링크(19) 및 차동 이송 암(22b)은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차동 이송 암(22b)은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그 형상은 만곡되어 있다.
슬라이더(20)는 수동 조작 기구(32)에 연결되어 있다. 이 수동 조작 기구(32)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드 주요부(2)에 축지지된 조작축(34)과 상기 조작축(34)에 고착된 수동 조작 부재로서의 수동 레버(33)를 갖고, 수동 레버(33)는 베드 주요부(2)의 우측단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축(34)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레버(35)가 고착되고, 레버(35)는 베드 주요부(2) 내에 축지지된 벨 크랭크 레버(36)의 한쪽(36a)에 링크(37)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벨 크랭크 레버(36)의 다른쪽(36b)은 링크(38)를 통하여 슬라이더(20)로부터 돌출되는 핀(2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차동 이송량의 변경은 수동 레버(33)를 회동시킴으로써 행한다. 즉, 페달 또는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수동 레버(33)를 조작축(34) 둘레로 회동시키면, 레버(35)가 링크(37)를 통하여 벨 크랭크 레버(36)를 회동시킨다. 벨 크랭크 레버(36)가 회동하면, 슬라이더(20)가 차동 이송축(22)의 차동 이송 암(22b)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이것에 의해 이송축(15)의 요동에 따른 차동 이송축(22)의 요동량이 변경된다.
메인 이송 톱니(6a)와 차동 이송 톱니(7a)는, 상하 운동 및 전후 운동에 따른 양 이송대(6, 7)의 타원 운동에 의해 실린더부(3) 위에 부착된 바늘판(39)으로부터 출몰하고, 바늘판(39) 위에 위치된 직물의 아래쪽에 간헐적으로 결합한다. 양 이송 톱니(6a, 7a)에 간헐적으로 결합된 직물은 도 1에 나타낸 직물 이송 방향 F로 보내진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재봉틀의 이송 기구에 의하면, 베드 주요부 측면에 설치되는 눈금판 또는 이송량 지침 레버가 베드 주요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이 통 형상 직물을 실린더부에 삽입할 때에 방해하지 않고, 통 형상 직물을 베드 주요부 측면에 닿을 때까지 실린더부에 깊게 삽입하여 봉제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직물 핸들링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차동 이송 암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분해 시에 슬라이더를 떼어내는 것이 용이해진다.

Claims (2)

  1. 베드 주요부 및 상기 베드 주요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실린더부로 이루어진 재봉틀 베드와, 실린더부에 배치되며 메인 이송 톱니를 구비한 메인 이송대 및 상기 메인 이송대와 병설되며 차동 이송 톱니를 구비한 차동 이송대와, 베드 주요부로부터 실린더부까지 연장되며 메인 이송대 및 차동 이송대의 뒤쪽 두갈래부에 결합하는 각형 부재를 통하여 양 이송대에 상하 운동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동하며 메인 이송대 및 차동 이송대의 앞쪽 두갈래부에 결합하는 각형 부재를 통하여 양 이송대에 상기 상하 운동과 동기한 상하 운동을 전달하는 상하 이송축과, 구동축과 연동하여 왕복 회동 운동하며 메인 이송대에 전후 운동을 전달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왕복 회동 운동의 운동량을 조절하는 이송량 조절 기구와, 이송축과 연동하여 왕복 회동 운동하며 차동 이송대에 전후 운동을 전달하는 차동 이송축과, 차동 이송축의 왕복 회동 운동의 운동량을 조절하는 차동 이송량 조절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량 조절 기구가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동 조작부와, 실린더부가 돌출되는 측의 베드 주요부 측면에 부착되며 이송량을 표시하는 눈금을 형성한 눈금판과, 상기 베드 주요부 측면에 축지지되어 상기 수동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눈금판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을 구비한 이송량 지침 레버를 갖는 재봉틀의 이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눈금판 및 이송량 지침 레버가 베드 주요부 측면에 형성되는 오목부 내에 베드 주요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이송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동 이송량 조절 기구가, 이송축과 차동 이송축 중의 한쪽에 고정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차동 이송 암과, 상기 차동 이송 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이송축과 차동 이송축 중의 다른쪽에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상기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링크로 이루어진 링크 기구와, 상기 슬라이더를 차동 이송 암을 따라 이동시키는 수동 조작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이송 기구.
KR1020020038652A 2001-08-08 2002-07-04 재봉틀의 이송 기구 KR20030014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0370A JP4078049B2 (ja) 2001-08-08 2001-08-08 ミシンの送り機構
JPJP-P-2001-00240370 2001-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66A true KR20030014566A (ko) 2003-02-19

Family

ID=1907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652A KR20030014566A (ko) 2001-08-08 2002-07-04 재봉틀의 이송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78049B2 (ko)
KR (1) KR20030014566A (ko)
CN (1) CN1407161A (ko)
TW (1) TW54366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25B1 (ko) * 2004-09-07 2007-05-30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미싱
KR200450398Y1 (ko) * 2008-05-23 2010-09-29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차동제어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5251B2 (ja) * 2003-12-11 2011-02-02 Juki株式会社 動作伝達機構
JP2006068262A (ja) * 2004-09-02 2006-03-16 Morimoto Mfg Co Ltd ミシンの送り装置
KR100597201B1 (ko) * 2005-02-25 2006-07-04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세퀸 공급장치
JP2006238905A (ja) * 2005-02-28 2006-09-14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の送り調節機構
JP2007111170A (ja) * 2005-10-19 2007-05-10 Shing Ray Sewing Machine Co Ltd シリンダーベッド式ミシンにおける前後送り歯差動送り機構
CN101792956B (zh) * 2009-02-02 2012-11-14 中国标准缝纫机公司上海惠工缝纫机三厂 具有缩缝功能的缝纫机上差动送料机构及使用该机构的上送料打皱机构
CN103668798A (zh) * 2013-12-19 2014-03-26 吴江市菀坪宝得利缝制设备机械厂 一种缝纫机上下送料机构
CN104313805B (zh) * 2014-10-21 2016-05-18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旋钮式差动调节机构
CN112941736B (zh) * 2021-01-29 2022-03-18 东莞市扬侨电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缝纫机及其控制方法
RU209791U1 (ru) * 2021-10-25 2022-03-23 Марат Надирович Хасянов Лейка душевая для минерализации вод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372A (ja) * 1990-05-14 1992-01-23 Brother Ind Ltd シリンダー型ミシン
JPH06292778A (ja) * 1993-04-08 1994-10-21 Brother Ind Ltd ミシン
JPH09140966A (ja) * 1995-11-28 1997-06-03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送り装置
JP3092151U (ja) * 2002-08-16 2003-02-28 星鋭縫▲じん▼機股▲ふん▼有限公司 前差動送り調整制御機構を具えたミシン
KR100440362B1 (ko) * 1996-05-15 2004-12-03 페가수스미싱세이죠가부시기가이샤 차동이송기구를구비한실린더베드재봉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372A (ja) * 1990-05-14 1992-01-23 Brother Ind Ltd シリンダー型ミシン
JPH06292778A (ja) * 1993-04-08 1994-10-21 Brother Ind Ltd ミシン
JPH09140966A (ja) * 1995-11-28 1997-06-03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送り装置
KR100440362B1 (ko) * 1996-05-15 2004-12-03 페가수스미싱세이죠가부시기가이샤 차동이송기구를구비한실린더베드재봉틀
JP3092151U (ja) * 2002-08-16 2003-02-28 星鋭縫▲じん▼機股▲ふん▼有限公司 前差動送り調整制御機構を具えたミシ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25B1 (ko) * 2004-09-07 2007-05-30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미싱
KR200450398Y1 (ko) * 2008-05-23 2010-09-29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차동제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3667U (en) 2003-07-21
JP4078049B2 (ja) 2008-04-23
CN1407161A (zh) 2003-04-02
JP2003047791A (ja) 200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4566A (ko) 재봉틀의 이송 기구
CN108754883B (zh) 送出臂型缝纫机的进给机构
KR100440362B1 (ko) 차동이송기구를구비한실린더베드재봉틀
KR100723025B1 (ko) 미싱
CN106948101B (zh) 一种送料机构及缝纫机
JP4702608B2 (ja) 穴かがり縫いミシン
US3605662A (en) Upper feed mechanism
JP4797518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2006191969A (ja) ミシンのプーラー装置
JPH0728966B2 (ja) シリンダ−ベツドミシンの差動送り装置
US4539925A (en) Bi-directional feed do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JP2650383B2 (ja) ジグザグミシン
JP2000154451A (ja) 細幅クロッシェ編機における緯糸ガイドバー及び2種類以上の経糸ガイドバーの駆動機構
CN210636178U (zh) 缝纫机的移送齿传动配置结构
JPH0420372A (ja) シリンダー型ミシン
JP2016185299A (ja) 上送り停止機構を備えたミシン
US3682118A (en) Adapter device for stitching letters
CN211339928U (zh) 缝纫机的进给机构
TWI796518B (zh) 縫紉機的進給機構
JP2002204898A (ja) 針送りミシン
JP3558206B2 (ja) ミシンの返し縫いレバー振動抑制機構
CN111926471B (zh) 针进给缝纫机
JP2521964Y2 (ja) ミシンの横送り機構
US2156525A (en) Feed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and the like
JP2952982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