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398Y1 - 차동제어기구 - Google Patents

차동제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398Y1
KR200450398Y1 KR2020080006709U KR20080006709U KR200450398Y1 KR 200450398 Y1 KR200450398 Y1 KR 200450398Y1 KR 2020080006709 U KR2020080006709 U KR 2020080006709U KR 20080006709 U KR20080006709 U KR 20080006709U KR 200450398 Y1 KR200450398 Y1 KR 200450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sewing
shaft pin
differenti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041U (ko
Inventor
만-추잉 첸
Original Assignee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80006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398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2Work-feeding means with means for setting length of stitc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20Control devices responsive to the number of stitches m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차동제어기구는 차동기구의 일측에 부가되는 것으로서, 축핀, 회전노브(knob), 지침조절판, 요동암, 복수개의 커넥팅로드 및 크랭크가 순서대로 연결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하며, 회전노브를 이용하여 축핀 및 요동암을 회전시키고, 복수개의 커넥팅로드와 크랭크가 순서대로 요동 및 회전되도록 하며, 차동기구의 요동폭을 연동되게 변경해줌으로써 재봉시의 봉목 간격을 변경하며, 또한 조절고정판을 통하여 요동기구의 운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재봉물의 급송 속도를 증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동제어기구{DIFFERENTIAL CONTROLLING MECHANISM}
본 고안은 재봉기에 사용되어 재봉시의 봉목(縫目) 간격 및 재봉물의 급송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동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봉기는 대체로 공업용 및 가정용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공업용 재봉기는 하나의 재봉기에 단일한 기능을 갖추고 있고, 다양한 등급이 있으며, 가정용 재봉기는 하나의 재봉기에 다양한 기능을 갖추어, 적어도 직선재봉, 곡선재봉, 가장자리 재봉, 블라인드 재봉, 삼중재봉, 일래스틱 재봉, 단추구멍 재봉, 밀도조정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공업용 또는 가정용 재봉기를 막론하고 재봉을 실시할 때, 일반적으로 바늘기구 하부에 재봉천을 급송하기 위한 재봉물이송기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재봉물이송기구는 동력장치의 작동력과 맞물려, 그것이 교차 요동하는 동작(이하 차동이라 칭함)을 이용하여 두 개의 톱니가 왕복 수평이동을 하도록 작동시키면, 톱니와 재봉물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재봉물이 재봉물이송기구를 따라 수평이동을 하면서 재봉물을 재봉할 때 봉목 간격을 조정해 줄 수 있으며, 매 번 재봉물을 급송함에 따라, 재봉물에 주름이 발생하게 되어, 탄성 벨트 또는 레이스 테이프를 제작하기 유리하다. 또한 차동기구 하방에 조절고정판이 설치되어, 재봉물이송기구의 동력축과 서로 연결됨으로써 차동기구의 운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차동기구는 프레임 내부에 덮여있고, 두 개의 톱니만 프레임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차동간격을 조정할 때 외부에서 직접 조정할 수 없고, 반드시 프레임을 탈거하여야만 하므로, 조정 시의 어려움이 증가되며, 게다가 조정시 차동 간격의 너비를 제어하기가 상당히 어려워, 반드시 전문 기사가 조정해야 하므로, 일반 조작자로서는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개선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조작이 간편한 차동제어기구를 제공하여, 차동 간격을 조정하고, 재봉물 급송시의 봉목 간격을 변경하기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동제어기구는 두 개의 축핀, 회전노브, 지침조절판, 요동암, 구동로드, 복수개의 커넥팅로드 및 하나의 크랭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노브는 축핀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고, 축핀은 또한 요동암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구동로드의 일단은 동력축에 관통 설치되고, 타단은 제 1 커넥팅로드 및 제 2 커넥팅로드와 축연결된다. 제 2 커넥팅로드는 또한 크랭크와 서로 축연결되고, 크랭크는 프레임에 축설치되며, 크랭크의 타단은 제 3 커넥팅로드와 연결되고, 제 3 커넥팅로드는 차동기구의 크랭크축과 서로 축연결된다. 크랭크축의 타단은 이동블록과 연결되고, 이동블록의 상부에 후방이송톱니가 설치된다. 또한 차동기구의 일측에 요동기구가 설치되어, 요동기구가 회전할 때, 두 개의 요동축에서 발생되는 교차 요동동작을 이용하여 각각의 요동축 일단에 설치된 작동블록이 왕복 이동되며, 또한 두 개의 작동블록 사이에 하나의 이동블록이 설치되고, 이동블록 상부에 전방이송톱니가 설치된다.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노브를 돌리면(숫자가 큰 방향으로 돌리면), 요동암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요동암 일단의 제 1 커넥팅로드를 연동시키며, 제 1 커넥팅로드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움직일 때, 제 2 커넥팅로드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연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역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크랭크 타단의 제 3 커넥팅로드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방향을 바꿔 작동함과 아울러 크랭크축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블록이 내측을 향해 수평 이동을 하게 되어, 후방이송톱니 사이의 요동 폭이 커지고, 전방이송톱니와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봉목의 간격 너비가 늘어난다. 반대로, 회전노브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즉 숫자가 작은 방향으로 돌리면), 이동블록은 외측을 향해 수평 이동을 하게 되어, 후방이송톱니의 요동폭이 좁아지고, 전방이송톱니와의 간격이 커지면서 봉목 간격 너비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고안은 이동블록이 이동할 때 후방이송톱니가 수평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전, 후방 이송톱니 사이의 왕복이동 폭 및 그 간격을 변경해주고, 재봉물 급송시의 봉목 간격을 변경하게 된다. 또한 차동기구의 일측에 조절고정판이 설치되어, 재봉기의 동력축과 동력이 연결됨으로써, 재봉물의 급송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지침조절판 일측에 각도판이 설치되어, 요동폭 및 차동 간격을 더욱 정확히 조절할 수 있어, 재봉 후의 제품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내용을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2,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치도, 입체분해도 및 조정설명도로서, 본 고안의 차동제어기구(1)는 재봉기(2)의 프레임(21) 내부에 설치되며, 그 일단은 동력축(22)에 설치된다. 동력축(22)은 차동기구(3) 및 요동기구(4)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차동기구(3)는 또한 크랭크축(31), 크랭크축(31)의 일단에 연결되는 이동블록(32), 및 이동블록(32) 상부의 후방이송톱니(33)가 포함된다. 요동기구(4)는 두 개의 요동축(41) 및 요동축(41)의 일단에 설치되는 작동블록(42)이 포함되며, 두 개의 작동블록(42) 사이에 이동블록(43)이 설치되고, 이동블록(43) 상부에 전방이송톱니(44)가 설치된다. 차동제어기구(1)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프레임(21) 내부에 설치되는 축핀(11)의 일단은 프레임(21)에 위치하는 슬리브(111)를 관통하여, 축핀(11)이 프레임(21) 내부에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축핀(11)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노브(12)는 프레임(21) 표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축핀(11)과 연동되는 상태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회전노브(12)를 돌리면, 축핀(11)이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회전노브(12)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침조절판(13)은 가장자리에 고정로드(131)가 뻗어 나와 있고, 고정로드(131)의 일단에 고정노브(132)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 노브(132)를 통하여 지침조절판(13)을 고정할 수 있으며, 지침고정판(13)에는 고정로드(131)와 대향하여 지침부(133)가 설치되고, 지침부(133)의 일측에 각도판(134)이 설치되며, 상기 각도판(134)에 사용자가 조정 상태를 조절하거나 식별하기 편리하도록 작은 수부터 큰 수로 배열되는 숫자가 설치된다.
축핀(11)에 축설되는 요동암(14)은 역U자 형태로서, 요동암(14)의 양단에 각 각 핀조인트구멍(141)이 설치되며, 또한 요동암(14)의 일단에 핀조인트부(142)가 경사지게 뻗어 나오도록 설치된다.
상기 동력축(22)에 관통 설치되는 구동로드(15)의 타단은 축핀(19)을 이용하여 제 1 커넥팅로드(161) 및 제 2 커넥팅로드(162)와 축연결되고, 제 1 커넥팅로드(161)의 타단은 요동암(14)의 핀조인트부(142)와 축연결된다. 구동로드(15)는 상기 동력축(22)에 관통 설치되어, 축핀(19) 상의 제 1 커넥팅로드(161) 및 제 2 커넥팅로드(162)를 지탱하면서 연동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복수개의 상호 축연결되는 커넥팅로드(16) 중, 제 1 커넥팅로드(161)의 일단은 축핀(19)에 관통 설치되고, 타단은 요동암(14)의 핀조인트부(142)에 축연결되며, 제 2 커넥팅로드(162)의 일단은 축핀(19)에 관통설치되고, 타단은 크랭크(17)와 축연결된다. 따라서, 요동암(14)이 회전할 때 제 1 커넥팅로드(161)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축핀(19)을 움직이며, 제 2 커넥팅로드(162)는 축핀(19)의 회전을 따라 제 2 커넥팅로드(162)에 요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 3 커넥팅로드(163)의 일단은 크랭크(17)의 타단과 축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동기구(3)의 크랭크축(31)과 서로 축연결된다.
제 2 커넥팅로드(162)와 제 3 커넥팅로드(163) 사이에 축연결되는 크랭크(17)는 L자 형태를 띠면서, 양단에 각각 핀조인트부(171)가 설치되고, 굽어진 부위에 지지구멍(172)이 구비되어, 크랭크(17)가 지지구멍(172)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할 때, 각각 크랭크(17) 양단에 핀조인트되는 제 2 커넥팅로드(162)와 제 3 커넥팅로드(163)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사용자는 프레임(21) 외부에서 차동간격의 조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또한 조작이 상당히 편리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노브(12)을 돌리면(각도판의 숫자가 큰 방향으로 돌리면), 축핀(11)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요동암(14)에 시계반대방향의 요동이 발생하고, 아울러 제 1 커넥팅로드(161)와 축핀(19) 상의 제 2 커넥팅로드(162)가 동시에 시계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크랭크(17)의 타단에 연결된 제 3 커넥팅로드(163) 역시 마찬가지로 시계반대방향으로 바뀌어 회전한다. 따라서 제 3 커넥팅로드(163)에 의해 크랭크축(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크랭크축(31)의 타단에 연결되는 이동블록(32)이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블록(32)의 요동폭이 커지고, 재봉시의 봉목 간격이 넓어진다. 반대로, 회전노브(12)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각도판의 숫자가 작은 방향으로 돌리면), 이동블록(32)은 외측을 향하여 수평 이동하고, 아울러 후방이송톱니(33)가 외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이동블록(32)의 요동폭이 작아짐으로써, 재봉시의 봉목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동제어기구(1)는 회전노브(12)를 돌리면, 요동암(14), 복수개의 커넥팅로드(16), 크랭크(17) 및 크랭크축(31)이 작동되도록 연동됨으로써 두 개의 이동블록(32, 43)이 대향으로 이동할 때의 간격 너비를 변경해주어, 봉목 간격을 조정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요동기구(4)의 일측에 조절고정판(18)이 설치되어, 재봉기(2)의 동력축(22)과 동력이 연결되어 전방이송톱니(44)의 왕복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재봉물의 급송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노브(12)의 일측에 설치된 각도판(134)은 차동 간격을 더욱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재 봉 후의 제품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속동작 설명도로서, 차동제어기구(1)가 조정을 실시할 때, 도 2, 3을 동시에 참조하면, 다음 단계를 거친다(본 실시예에서는 그 차동 간격을 확대하는 경우이다).
제 1 단계로, 고정노브(132)를 풀어준다: 시계반대방향으로 고정노브(132)를 돌려 풀어주면, 회전노브(12)와 지침조절판(13)이 활동 가능한 회전 상태가 된다.
제 2 단계로, 회전노브(12)를 돌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 노브(12)를 돌려(다시 말해 지침부(133)를 각도판(134)의 숫자가 큰 방향으로 돌린다), 축핀(11)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동시킨다. 축핀(11)이 회전하면, 요동암(14)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제 1 커넥팅로드(161)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제 1 커넥팅로드(161)와 동시에 축핀(19)에 설치된 제 2 커넥팅로드(162) 역시 동시에 시계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제 3 단계로, 연동 조정한다: 제 2 커넥팅로드(16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그것과 연결된 크랭크(1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크랭크(17)의 타단의 제 3 커넥팅로드(163)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바뀌어 회전됨과 아울러 크랭크축(3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제 4 단계로, 이동블록(32)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크랭크축(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후, 이동블록(32)은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어(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후방이송톱니(33)의 요동 폭이 커지면서, 전방이송톱니(44)와의 간격이 좁아지고, 봉목의 너비가 증가한다. 또한 조절고정판(18)을 통 하여 그 요동기구(4)의 운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어, 본 고안은 그 봉목 간격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봉물의 급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부합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동제어기구(이하 본 고안이라 칭함)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1. 도 1,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동제어기구(1)는 회전노브(12)를 이용하여 축핀(11)을 회전시킬 때, 복수개의 커넥팅로드(16), 크랭크(17) 및 크랭크축(31)이 각각 요동 및 회전하도록 연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요동 및 회전하는 방향이 각각 달라, 크랭크축(31) 일단의 이동블록(32)이 수평으로 이동할 때의 요동 폭을 변경해 줌으로써, 후방이송톱니(33)와 전방이송톱니(44)의 상대간의 간격을 증감시켜, 재봉물을 재봉할 때의 봉목 간격을 변경해줄 수 있으며, 프레임(21) 외부에서 조정이 가능하므로 상당히 편리하고,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본 고안은 회전 노브(12)의 일측에 설치된 각도판(134)으로 차동 간격을 더욱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어, 재봉 후의 제품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상에 설명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한 것으로서, 결코 본 고안의 실시 범위를 한정짓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커넥팅로드 형태, 커넥팅로드 재질 및 커넥팅로드의 수량 등의 변환 방식 역시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본 기술을 숙지한 자가 동등한 효과 또는 간단한 변화를 주는 경우, 3개의 커넥팅로드를 더 많은 커넥팅로드로 변경하거나 또는 그 사용 재질을 변경하는 등,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한 동등한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출원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고안의 차동제어기구는 신규의 창작성, 및 산업상의 이용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법의 규정에 의거하여, 실용신안등록을 출원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체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정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속동작 설명도(1),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속동작 설명도(2),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속동작 설명도(3) 및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속동작 설명도(4)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동제어기구 2: 재봉기
3: 차동기구 4: 요동기구
11: 축핀 12: 회전노브
13: 지침조절판 14: 요동암
15: 구동로드 16: 커넥팅로드
17: 크랭크 18: 조절고정판
19: 축핀 21: 프레임
22: 동력축 31: 크랭크축
32: 이동블록 33: 후방이송톱니
41: 요동축 42: 작동블록
43: 이동블록 44: 전방이송톱니
111: 슬리브 131: 고정로드
132: 고정 노브 133: 지침부
134: 각도판 141: 핀조인트구멍
142: 핀조인트부 161: 제 1 커넥팅로드
162: 제 2 커넥팅로드 163: 제 3 커넥팅로드
171: 핀조인트부 172: 지지구멍

Claims (4)

  1. 차동제어기구에 있어서,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축핀;
    상기 축핀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표면에 노출되는 회전노브;
    상기 회전노브의 일측에 관통 설치되면서, 가장자리에 고정로드가 뻗어 나오도록 설치되며, 고정로드의 일단에 고정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로드에 대향하는 부위에 지침부가 설치되는 지침조절판;
    동력축에 관통 설치되면서, 양단에 각각 핀조인트구멍이 설치되고, 일단에 핀조인트부가 경사지게 뻗어 나오도록 설치되는 요동암;
    상기 축핀에 관통 설치되면서 요동암 사이에 관통 설치되며, 일단이 동력축에 관통 설치되는 구동로드;
    제 1 커넥팅로드의 일단이 상기 축핀에 관통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요동암의 핀조인트부에 축연결되며, 제 2 커넥팅로드의 일단이 상기 축핀에 관통 설치되고, 제 3 커넥팅로드의 일단은 차동기구의 크랭크축과 축연결되며, 크랭크축은 이동블록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호 연결되는 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 2 커넥팅로드와 상기 제 3 커넥팅로드 사이에 축연결되는 크랭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제어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침부의 일측에 각도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제어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암은 역U자 형태를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제어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는 L자형태로서, 그 양단에 각각 핀조인트부가 설치되고, 구부러진 부위에 지지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제어기구.
KR2020080006709U 2008-05-23 2008-05-23 차동제어기구 KR200450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709U KR200450398Y1 (ko) 2008-05-23 2008-05-23 차동제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709U KR200450398Y1 (ko) 2008-05-23 2008-05-23 차동제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41U KR20090012041U (ko) 2009-11-26
KR200450398Y1 true KR200450398Y1 (ko) 2010-09-29

Family

ID=4447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709U KR200450398Y1 (ko) 2008-05-23 2008-05-23 차동제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39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566A (ko) * 2001-08-08 2003-02-19 페가수스미싱세이죠가부시기가이샤 재봉틀의 이송 기구
JP2005334003A (ja) 2004-05-24 2005-12-08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ミシンの送り装置
JP2006068262A (ja) 2004-09-02 2006-03-16 Morimoto Mfg Co Ltd ミシンの送り装置
JP2007111170A (ja) 2005-10-19 2007-05-10 Shing Ray Sewing Machine Co Ltd シリンダーベッド式ミシンにおける前後送り歯差動送り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566A (ko) * 2001-08-08 2003-02-19 페가수스미싱세이죠가부시기가이샤 재봉틀의 이송 기구
JP2005334003A (ja) 2004-05-24 2005-12-08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ミシンの送り装置
JP2006068262A (ja) 2004-09-02 2006-03-16 Morimoto Mfg Co Ltd ミシンの送り装置
JP2007111170A (ja) 2005-10-19 2007-05-10 Shing Ray Sewing Machine Co Ltd シリンダーベッド式ミシンにおける前後送り歯差動送り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41U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0774B2 (ja) 送り出し腕型ミシンの送り機構
JP2017184980A (ja) ミシン
JP2009291491A (ja) ミシン
JP2017184983A (ja) ミシン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JP5957227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CN201180204Y (zh) 差动控制机构
KR200450398Y1 (ko) 차동제어기구
JP2003047791A (ja) ミシンの送り機構
TWI394875B (zh) Sewing machine feeding cloth drive device
JP2007029433A (ja) 穴かがり縫いミシン
KR102554632B1 (ko) 재봉틀 동작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
JP2012179091A (ja) 送り出し腕型ミシン
JP2017192794A (ja) 送り出し腕型ミシンの送り機構
US2976830A (en) Ornamental stitch sewing machine
JP2007111170A (ja) シリンダーベッド式ミシンにおける前後送り歯差動送り機構
JP2004147713A (ja) ミシン
JP2007222282A (ja) ミシン
US2713839A (en) Drive for sewing machine cloth feeders
JP3143512U (ja) ミシンに用いる差動制御装置
JP3205558U (ja) ミシンの布送り歯送り装置
TWI461583B (zh) On the stitching sewing machine
JPH08131678A (ja) 上送りミシン
JP3151578U (ja) ミシンの送り機構
KR101096723B1 (ko) 쌍침 사절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봉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