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474A - 재생시스템, 전자기기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재생시스템, 전자기기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474A
KR20030009474A KR1020027014883A KR20027014883A KR20030009474A KR 20030009474 A KR20030009474 A KR 20030009474A KR 1020027014883 A KR1020027014883 A KR 1020027014883A KR 20027014883 A KR20027014883 A KR 20027014883A KR 20030009474 A KR20030009474 A KR 2003000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ver
closing
buckle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노가주요시
야부키게이코
하시모토다카아키
나카자와마사히데
다무라마사후미
히라노신페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975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00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145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859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145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85961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47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3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radio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매체에 기억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이 재생장치에 대하여 재생지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부와, 재생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재생시스템, 전지수납체와 개폐덮개를 가지며, 전지수납체가 개폐덮개와 일체적으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가 기억매체가 되는 디스크의 장착부와, 이 디스크장착부에 장착된 디스크에 대해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픽업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에서는, 기억매체에 기억된 자연화상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이 재생장치에 대하여 적어도 재생지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부와, 재생지시 제어신호에 따라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자연화상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그 자연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에 의하면, 재생장치와 제어장치를 접속함으로써, 제어장치로부터 재생지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재생장치를 구동함과 동시에,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자연화상정보를 제어장치로 수신하고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헤드폰 스테레오등과 마찬가지로 DVD재생기등의 재생시스템을 동작시켜, 종래에는 내부에서만 즐기는 것이 가능한 자연화상정보를 외부에서도 가볍게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재생시스템, 전자기기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Reproducing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종래, 일반적으로, 디스크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정보재생장치와, 이 정보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정보를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장치와, 이 제어장치와 정보재생장치의 사이를 접속 케이블의 선에 의해 접속되어 사용되는 전자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같은 전자기기의 제 1의 종래예로는, 예를 들면, 정보재생장치가 되는 DVD재생기와, 표시부로서 브라운관을 가지는 제어장치가 되는 TV와, 이 TV와 DVD재생기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나열할 수 있다.
이것은, TV가 충분히 큰 전자기기가 될 뿐만 아니라, DVD 재생기도 비교적 큰 전자기기였다. 이 때문에, 이러한 TV및 DVD재생기는 오로지 내부에서 고정적으로 사용되며, 이것을 외부로 가지고 나가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발상은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전자기기의 제 2의 종래예로서는, 예를 들면, PC를 열거할 수 있다. 이 PC에서는,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가지고 운반하기에도 편리하게 되었다. 그리고, 기능의 대폭적인 증가와 표시부의 칼라화등이 도모되는 반면, 장시간의 연속사용이 요망되고 있다. 이 때문에, 휴대용PC에 있어서는, 휴대용 전원장치의 대용량화, 사용시간의 장시간등이 요구되었다.
이와같은 PC 및 그 휴대용 전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한 바와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도 29에 있어서, 부호(301)는, PC(300)의 장치 본체이며, 이 장치 본체(301)의 상면에는 덮개본체를 겸하고 있는 액정 표시(302)가 힌지기구(302)에 의해 회동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301)의 측면에는, 휴대용전원(310)이 탈착자재하게 장착된 전원수납부(30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원수납부(304)에 휴대용전원의 일예를 나타내는 전지(310)가 장착됨으로써, 전지(310)의 전력에 의해 PC(300)가 구동된다. 이 PC(300)의 구동력은 전지(310)의 전력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와 장시간 사용하고 싶은 경우등에 있어서는, 전지(310)를 다수 사용할 필요가 있다.
더우기, 전자기기의 제 3의 종래예로서는, 예를 들면, CD재생기를 열거할 수있다. 이 CD재생기는, 광학디스크가 착탈자재하도록 장착된 디스크장착부를 가지는 재생기 본체와, 이 재생기 본체에 착탈자재하도록 장착된 디스크장착부를 덮고 있는 개폐덮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재생기 본체의 디스크장착부에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장치를 개폐덮개로 덮을 수 있도록 하여 먼지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속회전되는 광학디스크와 이용자의 보호가 도모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동시, 개폐덮개는 덮개폐쇄수단에 의해 닫혀지며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덮개폐쇄수단에는, 개폐덮개의 닫힌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해제버튼을 눌러 해제조작을 선택함으로써, 개폐덮개의 로크가 해제되며, 개폐덮개가 소정 각도만큼 열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개폐덮개가 소정 각도 열려지면, 개폐덮개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작동하여 검출신호가 출력되며, 이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 때,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스핀들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의 출력을 정지함과 동시에, 광학 픽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턴테이블의 회전이 정지되며, 광학 디스크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와 동시에 또는 전후하여, 광학 픽업장치에 의한 레이져 광의 조사가 정지된다. 그 후, 사용자가 개폐덮개를 손으로 잡아서 크게 열도록 함으로써, 디스크 장착부가 크게 노출되어 광학디스크의 교환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제 1의 종래예의 경우에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의 요망이 대단히 강하며, 또한,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가볍게 즐기고 싶은 희망도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헤드폰-스테레오와 마찬가지로, DVD재생기를 소형화, 경량화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어깨등에 걸친 상태로 사용가능하도록 된다면, 표시장치로서 소형화, 경량화가 실현되어 있는 액정표시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에 있어서도, 가볍게 즐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또한, 상술한 제 2의 종래예의 경우에는, 전지에는 용량에 대응하는 크기가 있으므로, 전지의 사용개수를 단순히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장치 전체가 필요 이상으로 대형화되어지며, 근년의 전자기기에 요구되는 소형화, 경량화의 경향에 반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우기, 상술한 제 3의 종래예의 경우에는, 개폐덮개의 개폐동작을 개폐검출수단으로 검출하므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턴테이블이 완전하게 정지하기 전에 개폐덮개가 열려지게 되는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억매체에 기억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이 재생장치에 대하여 재생지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부와, 재생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재생시스템, 전지수납체와 개폐덮개를 가지며, 전지수납체가 개폐덮개와 일체적으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가 기억매체가 되는 디스크의 장착부와, 이 디스크장착부에 장착된 디스크에 대해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픽업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에 관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DVD재생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DVD재생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전지수납체를 반분하여 절단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재생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전지수납체를 반분하여 절단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재생기 본체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재생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재생기 본체의 개폐덮개를 열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개폐덮개를 아래쪽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개폐덮개의 암편(arm piece)을 확대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개폐덮개와 재생기 본체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 1의 프리쿠션기구의 요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전지수납체를 열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전지수납체에 설치된 제 2의 프리쿠션기구의 요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0에 도시한 재생기 본체의 버클부분을 확대하여 우측에서 바라본 요부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0에 도시한 재생기 본체의 버클부분을 확대하여 위에서 바라본 요부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에 전력을 충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지지 스탠드의 일부를 절단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DVD재생기의 제어장치의 제 1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동일한 도면 A는 정면부, B는 측면도, C는 스프링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DVD 재생기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덮개본체를 열러 놓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도 2에 도시한 DVD 재생기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캐비넷의 중앙부를 단면으로 절단하여 요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DVD재생기의 제어장치의 제 1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덮개본체를 90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열어 놓은 상태의 측면도, B는 덮개본체를 거의 90도로 열어 놓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DVD재생기의 제어장치의 제 1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덮개본체를 거의 270도로 열어 놓아 스탠드로 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 B는 덮개본체를 360도로 열어 놓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DVD재생기의 제어장치의 제 2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덮개를 닫아 놓은 상태의 측면도, B는 덮개본체를 거의 90도로 열어 놓은 상태의 측면도, C는 덮개본체를 280도로 열어 놓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DVD재생기의 제어장치의 제 3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덮개본체를 닫아 놓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DVD재생기의 제어장치의 제 4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덮개본체를 닫아 놓은 상태의 측면도, B는 클릭원판을 확대하여 분해한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DVD재생기의 제어장치의 제 5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덮개본체를 닫아 놓은 상태의 측면도, B는 덮개본체를 거의 180도로 열어 놓은 상태의 측면도, C는 덮개본체를 360도로 열어 놓아 배면에 부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DVD재생기의 제어장치의 제 6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덮개본체를 닫아 놓은 상태의 정면도, B는 덮개본체를 닫아 놓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종래의 전자기기의 일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 1의 본 발명은, 재생장치와 제어장치를 별개로 설치함과 동시에, 이러한 재생장치 및 제어장치를 유선 또는 무선의 신호전달수단으로 연결함으로써, 종래에는 내부에서만 즐길 수 있었던 영화감상등을 외부에서도 가볍게 즐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 2의 본 발명은, 전지수납할 수 있는 한 쌍의 수납부를 힌지기구로 개폐자재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전력을 크게 하고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 3의 본 발명은, 방수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버클을 사용하여 개폐덮개를 견고하게 닫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폐덮개가 실제적으로 닫혀지고 버클에 의해 개폐덮개가 삽입되어질 때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구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폐덮개가 도중 반이 되는 부분에서 개방되는 상태에 있어서 턴테이블의 회전과 레이져광의 누설등의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등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출원의 재생시스템은, 기억매체에 기억된 자연화상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상기 재생장치에 대하여 적어도 재생지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부와, 당해 재생지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된 자연화상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당해 자연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전자기기는, 전지를 적어도 한 방향으로 수납하는 한 쌍의 수납부가 힌지기구에 의해 개폐자재하게 설치된 전지수납체와, 기억매체가 장착된 기억매체 장착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전지수납체는 상기 개폐덮개에 장착되며, 당해 개폐덮개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전지를 적어도 한 방향으로 수납하는 한 쌍의 수납부가 힌지기구에 의해 개폐자재하게 설치된 전지수납체와, 디스크가 장착된 디스크장착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디스크장착부에 장착된 상기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픽업장치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기구를 통해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장착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전지수납체는 상기 개폐덮개에 장착되며, 당해 개폐덮개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디스크가 장착된 디스크장착부를 개폐자재하도록 덮는 개폐덮개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디스크장착부에 설치되고, 당해 디스크가 재치되며 당해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상기 디스크에 대하여 레이져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반사광으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광학픽업장치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개폐덮개를 로크하는 버클과, 상기 개폐덮개의 개폐상태를 검출하여 제 1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 1의 개폐검출수단과,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의 로크상태를 검출하여 제 2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 2의 개폐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의 검출신호 및 제 2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덮개가 닫히게 되며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가 로크되어질 때에,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하여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장치가 디스크에 대하여 레이져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에 의해, 본 출원의 재생시스템에서는, 재생장치와 제어장치를 접속함으로써, 제어장치로부터 재생지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재생장치를 구동함과 동시에,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된 자연화상정보를 제어장치로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헤드폰-스테레오등과 마찬가지로, DVD재생기등의 재생시스템을 동작시켜, 종래에서는 내부에서만 즐길 수 있었던 자연화상정보를 외부에서도 가볍게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의 전자기기는, 개폐덮개를 개폐함으로써 전지수납체가 일체적으로 개폐되므로, 전지수납체를 착탈시키지 않고 개폐덮개의 개폐조작을 간단히 행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수의 전지를 수납한 상태에서 장치 전체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개폐덮개를 개폐함으로써 전지수납체가 일체적으로 개폐되므로, 디스크가 장착된 디스크장착부의 개폐조작이 용이하며, 개폐덮개를 개폐시킬 때에 전지수납체를 착탈시키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다수의 전지를 수납한 상태에서 장치 전체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제 1의 개폐검출수단의 제 1의 검출신호와 제 2의 개폐검출수단의 제 2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수단이, 개폐덮개가 닫히게 되며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가 로크되어질 때에만, 턴테이블이 회전구동되어 광학픽업장치가 디스크에 대하여 레이져광을 조사하므로,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시에 있어서 개폐덮개가 열려질 우려가 없게 되며, 사용자에게 레이져광을 조사할 염려가 없는 안전성이 높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재생 시스템으로서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휴대용 DVD재생기로서 구성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DVD재생기(1)는, 기억매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DVD용의 재생기 본체(6)와, 이 재생기 본체(6)의 조작을 원격제어하는 제어장치(2)와, 이 제어장치(2) 및 재생기 본체(6)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가 되는 전지수납체(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재생기 본체(6)와 제어장치(2)의 사이에서는, 신호전달수단이 되는 제 1의 접속 케이블(4)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재생기 본체(6)와 다른 전자기기(예를 들면, TV등)와 가정전원의 콘센트등의 사이는, 동일한 신호전달수단에 되는 제 2의 접속 케이블(5)에 의해 접속된다.
도 1 -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생기 본체(6)는, DVD 재생기(1)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원반체의 주위방향의 일부에 테라스(terrace) 형상의 돌출부(6a)가 설치된 셸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이 재생기 본체(6)의 상면에는, 기억매체가 되는 디스크가 장착된 원형의 오목부로 구성되는 디스크장착부(기억매체 장착부)(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디스크장착부(7)는. 동일한 셸(shell)형상을 구성하는 개폐덮개(8)에 의해 개폐자재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재생기 본체(6)에는, 개폐덮개(8)를 닫아 놓은 상태에서 로크하는 버클(9)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생기 본체(6)의 디스크장착부(7)에는, 재생기본체(6)에 탄성지지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0)가 배설되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0)는, 재생장치가 되는 재생기 본체(6)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0)는, 디스크장착부(7)의 중앙부에 배치된 턴테이블(11)과, 이 턴테이블(11)에 장착된 디스크 형상을 구성하는 기억매체의 구체예를 도시한 DVD와 CD등의 광학 디스크(이하 디스크)의 정보기억면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재생(독출) 및 기록(서입)중 어느 한 기능 또는 양쪽을 행하는 광학 픽업장치(12)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턴테이블(11)은, 샤시에 고정부가 고정된 스핀들 모터의 회전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스핀들 모터와 턴테이블(11)에 의해, 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광학픽업장치(12)는, 디스크의 정보기억면으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고 재생하는 픽업장치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광학픽업장치(12)는, 샤시에 고정된 한 쌍의 안내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안내축은,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그 전단부는 스핀들 모터를 삽입하도록 배치되며, 또한 후단부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0)의 상면은 덮개판(13)에 의해 덮혀져 있다. 이 덮개판(13)에는, 원형의 중앙구멍(14a)과, 이 중앙 구멍(14a)에 연속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기다란 구멍형태의 개구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구멍(14a)으로부터 턴테이블(11)이 위로 돌출되어 있고, 개구부(14b)에는 광학픽업장치(12)의 광학헤더가 삽입되어 있다. 이 광학헤더의 대물렌즈(15)가,턴테이블(11)에 장착된 디스크의 정보기억면에 대향되어 있다.
디스크에는, 적어도 자연화상정보가 기억된 데이터 영역과, 이 데이터 영역내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데이터를 기억하는 관리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연화상정보라고 하는 것은, 실세계의 일부를 촬상함으로써 취득된 화상을 말하는 것이다. 이 자연화상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자연계의 풍경, 건물, 인간, 동물, 식물등을 촬영한 화상을 열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기억매체의 기억방식으로서는, 본 실시예와 같이 레이져를 이용하여 정보의 기억을 행하는 광학방식만이 아니라, 자기를 이용하여 기억하는 자기기억방식, 빛과 자기의 양자를 이용하여 기억하는 광자기 기억방식, 그 외에 기억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0)의 턴테이블(11)은, 디스크의 중앙구멍에 감합되는 감합부(11a)와, 이 감합부(1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디스크의 중앙구멍의 주변부가 재치된 재치부(11b)를 가지고 있다. 턴테이블(11)의 감합부(11a)에는, 주위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을 형성하여 복수의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각 결합부는, 재치부(11b)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항상 스프링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세된다.
이 스프링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결합부를 후퇴시킴으로써, 감합부(11a)를 디스크의 중앙구멍으로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감합상태에서는, 각 결합부가 스프링의 스프링힘에 의해 중앙구멍의 주변부에 결합고정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가 턴테이블(11)에 쳐킹되며, 이 디스크가 턴테이블(11)과 일체적으로 회전구동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생기 본체(6)의 상면에 중첩된 개폐덮개(8)에는, 재생기 본체(6)의 돌출부(6a)에 대응되는 돌출부(8a)와, 이 돌출부(8a)의 외주변에 연속하여 하면측으로 돌출하는 측면부(8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덮개(8)의 돌출부( 8a)에는, 하면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L자형을 구성하는 암편(arm piece)(17, 17)이 설치되어 있다. 각 암편(17)의 선단부에는, 재생기 본체(6)에 대한 개폐덮개(8)의 회동중심이 되는 축수구멍(17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암편(17)의 절곡부에는, 관통공(18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쪽의 암편(17)의 관통공(17a)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동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 철강제의 구체(100)는 가시메와 압입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감합고정되어 있다. 이 구체(100)의 직경은 암편(17)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며, 암편(17)의 양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한다.
한 쌍의 암편(17, 17)은, 가교판(101)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돌출부(8a)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암편(17, 17)은, 재생기 본체(6)의 돌출부(6a)에 설치된 슬리트 형상의 개구부(102, 102)를 관통하여 재생기 본체(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암편(17)의 축수부(17a)에는, 지지축(18)의 선단에 설치된 소경축부(18a)가 압입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감합되며, 각각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축(18)은, 축수 브래킷(bracket)(103)에 의해 회동자재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축수 브래킷(103)은, 고정나사(104)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재생기 본체(6)에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축(18, 18)은, 서로 대향하도록 측방으로부터 재생기 본체(6)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축(18)의 선단의 소경축부(18a)가, 각각 암편(17)의 축수구멍(17a)에 측방으로부터 감합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지지축(18, 18)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개폐덮개(8)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이 개폐덮개(8)에 의해 디스크장착부(7)가 개폐된다.
또한, 축수 브래킷(103)에는, 고정나사(105)에 의해 판 스프링(1060이 고정되어 있다. 판 스프링(106)은 ??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한 쪽의 고정편(106a)에 고정나사(105)가 관통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106)의 스프링편(106b)은, 구체(100)를 삽입하기 위해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스프링편(106b)이 구체(10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 구체(100)와 축수 브래킷(103)과 판스프링(106)에 의해 제 1의 프리쿠션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의 프리쿠션기구는, 재생기 본체(6)와 개폐덮개(8)와의 사이에 일정의 크기의 프리쿠션을 제공하고, 개폐덮개(8)가 일정의 강도(마찰력)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판스프링(106)의 스프링힘에 의해 구체(100) 및 축수 브래킷(103) 사이와 구체(100)의 스프링편(106b)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 마찰력에 의해 개폐덮개(8)를 소정이상의 힘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 1의 프리쿠션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지지축(18)을 회동중심으로 하여개폐덮개(8)를, 부앙각도의 크기에 관계되지 않고 일정의 힘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임의의 개폐각도에 있어서 개폐덮개(8)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개폐덮개(8)를 압도하여 재생기 본체(6)에 중첩시킴으로써, 디스크장착부(7)가 개폐덮개(8)에 의해 완전히 닫혀진다.
이 경우, 개폐덮개(8)에 설치된 개폐검출편(19)에 의해 제 1의 개폐검출수단(제 1의 검출기)이 되는 덮개 개폐스위치가 조작되며, 개폐덮개(8)를 닫혀진 상태를 검출하는 제 1의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개폐검출편(19)은, 개폐덮개(8)의 측면부(8b)의 자유단측(암편(17)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개폐검출편(19)에 대응하여 재생기 본체(6)의 디스크장착부(7)에는, 개폐덮개(8)용의 검출구멍(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구멍(20)의 내부측에 덮개 개폐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재생기 본체(6)의 돌출부(6a)와 반대측의 전면부에는, 버클(9)이 회동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같이, 버클(9)은 재생기 본체(6)의 측면부에 장착가능하도록 그 측면형상에 마주보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주위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한 측에 있어서 재생기 본체(6)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즉, 버클(9)의 폭방향의 한 측에는 축수부(9a)가 설치되며, 이 축수부(9a)가 재생기 본체(6)의 한 쌍의 축수 볼록부(6b, 6b)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축수 볼록부(6b, 6b)및 축수부(9a)에 회동축(21a)을 관통시킴으로써 힌지기구를 구성하는 힌지부(21)가 구성되어 있다. 이 힌지부(21)와 반대측의 재생기본체(6)의 상면에는, 버클(9)의 자유단측이 착탈자재하게 장착된 절결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버클(9)의 거의 중앙부에는 개구창(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창(24)에는, 재생기 본체(6)의 절결부(22)의 거의 중앙부에 설치된 후술하는 원격장치의 수광부(23)가 삽입된다. 이 수광부(23)는, 재생기 본체(6)의 정면 및 상면의 2면에 수광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정면측의 수광면이 개구창(24)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더우기, 버클(9)에는, 개구덮개(8)를 결합유지하기 위한 결합체(9b)가 진퇴동작기구에 의해 진퇴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진퇴동작기구는, 결합체(9b)를 항상 외측으로 가세하는 탄성부재가 되는 스프링(150)과, 이 스프링(150)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결합체(9b)를 진퇴동작시키는 슬라이드 부재(151)와, 이 슬라이드 부재(151)를 되돌아오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 부재(152)와, 이것을 보존하는 홀더(153)와, 이 홀더(153)를 버클(9)의 내면으로 부착하는 복수의 부착나사(154)등을 가지고 있다. 그라고, 결합체(9b) 및 슬라이드 부재(151)에는,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캠부(155a, 155b)가 설치되어 있다.
버클(9)의 결합체(9b)에 대응되는 개폐덮개(8)의 자유단측의 거의 중앙부에는, 결합체(9b)가 착탈자재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수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덮개(8)의 결합수부(26)는, 디스크장착부(7)를 닫아 놓은 상태에서는 절결부(22)의 거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결합수부(26)와 버클(9)의 결합체(9b)에서는, 재생기 본체(6)에 개폐덮개(8)를 중첩시킨 상태에서는 서로의선단들이 당접한다. 그리고, 버클(9)을 그대로 가압함으로써, 스프링(150)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결합체(9b)가 후퇴하며, 그 결합체(9b)가 결합수부(26)의 선단부를 넘어가도록 되어 있다. 그 후, 결합체(9b)를 결합수부(26)에 결합함으로써, 버클(9)에 의해 개폐덮개(8)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로크된다.
그러므로, 스프링 부재(152)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부재(151)를, 도 17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부재(151)에 설치된 캠부(155b)가 결합체(9b)에 설치된 캠부(155a)를 후퇴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결합체(9b)가 홀더(153)의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후퇴하며, 이 결합체(9b)와 개폐덮개(8)의 결합수부(26)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 후, 슬라이드 부재(151)를 떨어지게 함으로써, 스프링 부재(152)의 스프링힘으로 슬라이드 부재(151)가 좌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에 의해, 캠부(155b)가 캠부(155a)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스프링(150)의 스프링힘에 의해 결합체(9b)가 당초의 상태로 복귀하여 돌출된다.
이 버클(9)에 의한 개폐덮개(8)의 로크상태는, 다음의 두 개의 모양에 의해 간단하게 해제하는 갓이 가능하다. 제 1의 로크해제조작은, 슬라이드 부재(151)를 주변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경우이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151)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스프링(150)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결합체(9b)가 후퇴한다. 이에 의해, 결합체(9b)에 의한 결합수부(26)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 결과, 버클(9)의 상승조작이 가능하게 되며, 이 상승조작에 의해결합체(9b)가 결합수부(26)로부터 분리되며, 개폐덮개(8)의 일으켜 세우는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버클(9)의 상승조작을,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그리고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폐덮개(8)의 로크상태의 제 2의 로크해제조작은, 슬라이드부재(151)의 슬라이드 조작을 생략하고, 직접 버클(9)을 상승시키는 것을 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 버클(9)을 상승시키면, 스프링(150)과 스프링 부재(152)의 스프링힘 및 슬라이드 부재(151)의 이동이 저항력이 되므로, 제 1의 로크해제조작의 경우에 비해, 커다란 상승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스프링(150)과 스프링 부재(152)의 스프링힘을 적절한 강도로 설정함으로써, 버클(9)의 상승조작을 비교적 간단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버클(9)의 개폐동작을 검출하기 위해서, 버클(9)의 내면에는 개폐돌기(15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돌기(156)에 대응하여 재생기 본체(6)의 절결부(22)의 전면에는, 버클용의 검출구멍(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구멍(27)의 내측에, 버클(9)의 개폐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제 2의 개폐검출수단(제 2의 검출기)이 되는 버클개폐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버클(9)을 완전하게 장착하여 개폐덮개(8)를 로크함으로써, 개폐돌기(156)가 검출구멍(27)내에 삽입된다. 그 결과, 개폐돌기(156)에 의해 버클개폐 스위치가 조작되며, 버클(9)을 로크한 상태를 검출하는 제 2의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도 1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생기 본체(6)의 측면부에는, 제 1의 소케트부(28) 및 제 2의 소케트부(29)와 이어폰 잭(30)과, 충전램프(31a)와전원램프(31b)등의 표시램프와, 재생버튼과 볼륨 스위치, 그 외에 본체측의 조작수단(32)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의 소케트부(28, 29) 및 이어폰 잭(30)은 재생기 본체(6)의 좌측면부에 배치되며, 표시램프 및 조작수단(32)은 재생기 본체(6)의 우측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재생기 본체(6)에는, 전원장치가 되는 전지수납체(3)가 착탈자재하게 장착된다. 도 1 및 도 14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지수납체(3)는, 한 쌍의 수납부가 되는 제 1의 전지케이스(34)와 제 2의 전지케이스(35)를 가지며, 양 케이스(34, 35)가 서로 회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전지케이스(34, 35)는, 각각 장방형을 형성하는 평판형상의 용기체로 구성되며, 그 평면형상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그 장수방향에는 제 1의 전지케이스가 되는 상측 전지케이스(34)보다도 제 2의 전지케이스가 되는 하측 전지케이스(35)쪽이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양 전지케이스(34, 35)의 폭은, 재생기 본체(6)의 돌출부(6a) 및 개폐덮개(8)의 돌출부(8a)의 폭보다도 작고 넓게 설정되어 있다.
도 2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전지케이스(34, 35)의 장수방향의 일단부에는, 각각 폭방향의 양측에 돌출하는 연결부(34a, 35a)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의 전지케이스(34, 35)는, 서로 연결부(34a, 35a)를 연결함으로써 회동자재하도록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지수납체(3)에는, 제 2의 프리쿠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 2의 프리쿠션기구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의 전지케이스(34,35)의 연결부(34a, 35a)사이에 개재된 마찰판의 일구체예를 도시한 링크 형상을 형성하는 마찰링(110)과, 상측 전지케이스(34)의 상측 연결부(34a)에 당접되며 동일한 마찰판이 되는 금속와셔(111)와, 하측 전지케이스(35)의 하측 연결부(35a)를 마찰링(110)에 가압함과 동시에 금속와셔(111)를 상측 전지케이스(34)의 상측 연결부(34a)에 가압하는 스프링(11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찰링(110)과 금속와셔(111)와 상측 연결부(34a)의 관통공(114)은, 하측 연결부(35a)에 설치된 축부(113)가 회동자재하게 삽통되어 있다. 이 축부(113)의 선단면에는 나사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나사구멍에 고정되어 고정나사(116)에 의해 축부(113)의 선단에 좌금(115)이 고정되어 있다. 좌금(115)에는 스프링(112)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으며, 압축된 상태에서 스프링(112)의 다른 쪽이 금속와셔(111)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2의 프리쿠션기구에 의하면, 스프링(112)의 스프링힘에 의해, 마찰링(110)의 일면에 상측 연결부(34a)의 일면이 가압 접속되며 마찰링(110)의 타면에 하측 연결부(35a)가 압착 접속되어지고, 금속와셔(111)가 상측 연결부(34a)의 타면에 압착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상측 연결부(34a)와 마찰링(110) 및 금속와셔(111)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며, 동시에, 하측 연결부(35a)와 마찰링(110)과의 사이에서도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와같은 마찰력에 의해, 재생기 본체(6)에 대해서 회동되어 개폐덮개(8)에 프리쿠션이 발생한다. 이 프리쿠션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전지수납체(3)를 개폐하기 위한 힘의 정도를 적절한 크기로 설정가능하며, 무거운 전지가수납된 전지케이스(34)를 임의의 개폐각도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그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전지수납체(3)는, 상하의 전지케이스(34, 35)를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거의 평행이 되도록 닫아 놓은 상태와, 하측 전지케이스(35)에 대해서 상측 전지케이스(34)를 임의각도(예를 들면, 30도, 45도, 60도등) 경사지도록 열어 놓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하의 전지케이스(34, 35)가 거의 평행이 되도록 닫혀진 경우 전지케이스(34, 35) 사이의 간격은 재생기 본체(6)의 두께이며, 상하의 전지케이스(34, 35) 사이에 재생기 본체(6)가 삽입된다.
이와같이 삽입된 재생기 본체(6)의 위치결정을 하기 위해서, 상측 전지케이스(34)의 선단부에는 결합요철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요철부(36)에 대응하여 개폐덮개(8)에는, 단면 L자 형상을 이루는 후크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크부(37)는 개폐덮개(8)의 결합수부(26)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후크부(37)에 결합요철부(36)를 결합함으로써, 개폐덮개(8)에 대한 상측 전지케이스(34)의 위치결정과, 개폐덮개(8) 및 상측 전지케이스(34)간의 결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측 전지케이스(35)에는, 고정나사(38)가 회동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고정나사(38)는, 하측 전지케이스(35)의 재생기 본체(6)의 돌출부(6a)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나사(38)에 대응하여 재생기 본체(6)의 이면에는 나사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나사구멍에 고정나사(38)를 결합시킴으로써 하측 전지케이스(35)가 재생기 본체(6)에 고정된다.
이 하측 전지케이스(35)의 고정상태에 있어서, 상측 전지케이스(34)는 개폐덮개(8)와 일체적으로 회동된다. 즉, 개폐덮개(8)는, 상측 전지케이스(34)를 부착한 상태에서 디스크장착부(7)를 자유롭게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상측 전지케이스(34)에는, 충전조작이 가능한 적당한 수의 2차전지(40)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하측 전지케이스(35)에는, 동일한 충전조작이 가능한 적당한 수의 2차전지(40)와, 출력회로(41)가 수납되어 있다. 출력회로(41)는, 2차전지(40)로부터 공급된 전력의 전류 또는 전압의 이상을 검출하고 소정의 전력을 재생기 본체(6)등에 공급하는 회로이다. 즉, 출력회로(41)는, 전지수납체(31)로부터 정격이상의 대전류가 흐르게 되며, 전압이 설정치 이하로 저하하는 등의 전력에 대한 이상을 검출하는 안전회로의 역할을 겸하고 있는 회로이다.
이 경우, 출력회로(41)가 대전류를 검출하며, 전압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하의 전지케이스(34, 35)에 수납되어 있는 것중에서 어느 것의 2차전지(40)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판단하며,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경고표시와 전류의 커트(cut)와 다른 필요한 대책을 취하도록 한다. 한편, 각 2차전지(40)에는 온도휴즈를 부착하며, 각 2차전지(40) 마다 온도관리등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출력회로(41)가, 도 4 및 도 14에 도시한 커넥터(42)에 접속되어 있다. 소케트(42)는 하측 전지케이스(35)의 배면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소케트(42)에는, 재생기 본체(6)의 배면부에 설치된 플러그(43)가 착탈자재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전지수납체(3)를 재생기 본체(6)에 장착함으로써, 소케트(42)가 재생기 본체(6)의 플러그(43)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며, 전지수납체(3)로부터 재생기 본체(6)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재생기 본체(6), 개폐덮개(8), 버클(9) 및 상하의 전지케이스(34, 35)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ABS, POM 및 다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과 그 외의 금속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장치(2)는, 도 1 및 도 19a - c등에 도시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제어장치(2)는, 캐비넷(50)과, 표시부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 액정표시(51)와, 이 액정표시(51)의 표시면을 개폐하는 덮개본체(52)와, 각종 형식의 스위치 수단과 조절수단등으로 구성되는 조작부(53)와, 캐비넷(50)내에 수납된 전자회로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캐비넷(50)은 거의 사각형을 구성하는 중공의 광체로 구성되며, 가로방향으로 된 장수방향의 한 쪽에 약간 기울어져 개구창(54)이 설치되어 있다. 더우기, 캐비넷(50)의 장수방향의 다른 쪽에는, 폭방향내에서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3개) 개구 구멍(55)a, 55b, 55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창(54)에는 액정표시(51)가 감입되며, 또한, 복수의 개구 구멍(55a - 55c)에는 조작부(53)의 각종의 조작버튼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측에 있는 제 1의 개구 구멍(55a)에는, 재생, 빨리 전송하기 및 되감기의 기본조작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본조작 스위치의 조작버튼(56a)이 장착되어 있다. 이 조작버튼(56a)은, 예를 들면, 중앙부를 가압함으로써 재생의 온/오프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양측의 측부를 가압함으로써, 빨리 보내기 및 되감기 조작을 선택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앙이 되는 제 2의 개구 구멍(55b)에는, 모드의 선택 및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모드선택 스위치의 선택버튼(56b)이 장착되어 있다. 이 선택버튼(56b)은, 예를 들면, 상하좌우의 사방을 가압함으로써 각종의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선택후에 중앙부를 가압함으로써, 선택된 모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측이 되는 제 3의 개구 구멍(55c)에는, 전원스위치의 전원버튼(56c)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전원버튼(56c)을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원의 온/오프가 행해진다.
더우기, 캐비넷(50)의 개구 구멍(55a - 55c)측의 측면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기다란 구멍(55d)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다란 구멍(55d)에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스위치의 2개의 조절버튼(56d, 56e)이 장착되어 있다. 한 개의 조절버튼(56d)은 음량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다른 조절버튼(56e)은 음량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0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캐비넷(50)의 상면에는, 덮개본체(52)의 연결부(5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58)는, 캐비넷(50)의 상면에 설치된 2개의 돌조부(59a, 59b)와, 덮개본체(52)의 상부에 설치된 돌조부(60a, 60b)와, 이러한 돌조부(59a, 59b) 및(60a, 60b) 사이에 개재된 연결블록(61)과, 저항수단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 2개의 스프링핀(62, 63)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돌조부(59a, 59b) 및(60a, 60b)는, 거의 동일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동일축심 선상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한 쪽의 돌조부(59a, 59b)의 내측의 단면에는, 각각 스프링핀(62, 63)의 축방향의 일단이 압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핀(62, 63)은, 도 19c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같이, 금속제 원통관에 슬리트(62a, 63a)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스프링핀(62, 63)의 각 슬리트(62a, 63a)는, 원통관의 일단으로부터 다른 단까지 연통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 슬리트(62a, 63a)의 폭만큼 직경을 탄성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탄성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스프링핀(62, 63)의 각 슬리트(62a, 63a)의 형상은, 도시 실시예에 도시한 파형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직선 형상, 곡선 형상, 톱니 형상 혹은 각 톱니 형상 및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스프링핀(62, 63)의 재질로서는, 스프링 강, 스테인레스 강등의 금속이 적당하지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돌조부(59a, 59b)의 내측의 단면에는, 스프링핀(62, 63)측에 돌출하는 축 볼록부(62b, 63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축 볼록부(62b, 63b)의 직경은, 스프링핀(62, 63)의 외경과 거의 동일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2 개의 축 볼록부(62b, 63b)와 2개의 스프링핀(62, 63)의 돌출부가 연결블록(61)에 의해 덮혀져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블록(61)은, 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 1의블록(61a) 및 제 2의 블록(61b)과, 양 블록(61a, 61b)을 결합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64)의 결합에 의해 구성된다. 제 1의 블록(61a)의 거의 중앙부에는 광통공(65)이 설치되어 있고, 제 2의 블록(61b)의 내면의 거의 중앙부에는 보스부(boss section)(6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66)에는 고정나사(64)의 나사부가 결합되는 나사공(66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의 블록(61b)을 2 개의 스프링핀(62, 63)의 돌출부와 축 볼록부(62b, 63b)의 일 측에 접하며, 다른 측에서는 제 1의 블록(61a)을 덮는다. 그 후에, 양 블록(61a, 61b)에 고정나사(64)를 관통시키고, 선단의 보스부(66)의 나사공(66a)에 결합시켜 부착시킨다.
이에 의해, 연결블록(61)을 통해 캐비넷(50)과 덮개본체(52)가, 2개 의 장소에 힌지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58)에 의해 회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나사(64)의 결합력을 조절함으로써, 스프링핀(62, 63)의 직경의 축소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스프링핀(62, 63)의 직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연결블록(61)과 스프링핀(62, 63)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약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덮개본체(52)를 개폐하는 경우의 마찰력을 변화시키고, 덮개본체(52)의 조작시에 조작력을 적절한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본체(52)는, 도 19a, b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캐비넷(50)의 액정표시(51)를 포함하는 표시면의 거의 전체를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의 판체로 구성된다. 덮개본체(52)의 상단주위에는, 상술한 돌조부(60a, 60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본체(52)는, 2개소에 힌지구조를 가지는 연결부(58)에 의해 캐비넷(0)과 회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본체(52)는, 표시면이 되는 액정표시(51)에 대하여 최대로 거의 360도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거의 360도 회동시켜 덮개본체(52)를 배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덮개본체(52) 자체를 캐비넷(50)의 스탠드와 같이 동작시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제 1의 스프링핀(62)과 캐비넷(50) 측의 축 볼록부(62b)에 의해 표시부와 평행한 제 1의 회동축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캐비넷(50)과 연결블록(61)이 회동자재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2의 스프링핀(63)과 덮개본체(52)측의 축 볼록부(62b)에 의해 제 2의 회동축이 구성된다. 제 2의 회동축은 제 1의 회동축과 평행을 이루며, 제 2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덮개본체(52)와 연결 블록(61)이 회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회동축에 있어서, 연결블록(61)과 스프링핀(61) 또는 (63)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덮개본체(52)를 임의의 위치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캐비넷(50)의 내부에 수납된 전자회로는, 제어장치(2)의 제어는 물론, 재생기 본체(6)도 동시에 원격제어하는 것이다. 즉, 전자회로는, 디스크에 기억된 자연화상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지시 제어신호를 재생기 본체(6)에 송신하는 원격제어부와, 이 재생지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재생기 본체(6)에 의해 재생된 자연화상정보를 수신하며, 그 자연화상정보를 액정표시(51)에 의해 표시된다.
그 때문에, 전자회로는, 그 구성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정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 미리 소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장치(RAM), 임의의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기억장치(ROM), 그 외에 전자부품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어장치(2)의 캐비넷(50), 덮개본체(52) 및 연결블록(61)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ABS, POM, 그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알루미늄 합금과 그외의 다름 금속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캐비넷(50)의 제 1의 측면으로서의 하면의 한 쪽의 모서리부에는, 제어장치(2)를 재생기 본체(6)와 접속하기 위한 제 1의 접속 케이블(4)의 일단이 회동지지부(160)에 의해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회동지지부(160)에 의해 회동동작을 학보하기 위해서, 캐비넷(50)의 하면의 한 측의 모서리부에는, 하면 및 상면과 직교하는 제 2의 측면으로서의 우측면에 개구하는 개구부(168)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케이블(4)의 다른 단에는, 재생기 본체(6)와 접속하기 위한 제 1의 플러그(70)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제 1의 플러그(70)는, 단면 사각형의 중공체로 구성되는 플러그 본체(71)와, 이 플러그본체(71)의 배면측에 결합된 반원형을 이루는 캡 본체(72)와, 플러그본체(71)의 선단측으로부터 돌출된 단자덮개(73)등을 가지고 있다.
캡 본체(72)의 선단측에는 미세한 폭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 본체(72)의 미세한 폭부의 일면에, 재생기 본체(6)의 제 1의 소케트부(28)에 삽입된 경우의 삽입방향을 규제하는 안내돌조(74)가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돌조(74)에 대응하여 제 1의 소케트부(28)에는, 접동가능하게 감합하는 한 쌍의 안내홈(28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본체(71)의 넓은 폭측의 일면의 선단부에는, 전방으로 원호 형상으로 돌출하는 오류 삽입방지용의 볼록부(74a)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과 대칭을 이루는 플러그 본체(71)의 넓은 폭측의 선단부에는, 선단 주위에 개구하는 원호 형상의 절결로 구성되는 오류 삽입방지용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플러그 본체(71)의 삽입측의 선단부에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제 1의 플러그(70)의 오삽입에 의해 단자덮개(73)의 내측에 설치된 다수의 단자가 파손될 우려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플러그 본체(71)에 한 쌍의 안내돌조(74, 74)를 설치함으로써, 제 1의 플러그(70)를 비틀도록하여 뽑아내는 방향에서 인장외력에 대해, 단자덮개(73)내의 단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의 플러그(70)의 단자 덮개(73)는, 단면사각형의 가늘고 기다란 프레임 본체로 구성되며, 그 내측에서 장수방향에 따라 다수의 단자가 일렬(복수열이라도 좋다.)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캡 본체(72)의 후부에는, 경사진 측방으로 연장된 피복부재(7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피복부재(75)의 내부에 다수의 선재가 삽통되며, 이러한 선재에 의해 제어장치(2)와 재생기 본체(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같이 선재의 인출방향을 경사진 측방으로 설정함으로써, 접속 케이블(4)의 도출방향을 전지수납체(3)의 장수방향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접속 케이블(4)의 제 1의 플러그(70)의 접속부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하며, 단락과 단선등의 불편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 1의 플러그(70)의 플러그 본체(71)는, 안내돌조(74)의 근원 부분까지 삽입된다.
또한, 제 2의 소케트부(29)에는, 재생기 본체(6)를 다른 전자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제 2의 접속 케이블(5)의 일단에 설치된 제 2의 플러그(77)가 착탈자재하도록 장착된다. 제 2의 플러그(77)는, 삽입측이 되는 선단부로부터 돌출된 단자 덮개(78)를 가지고 있다. 이 단자 덮개(78)는, 단면사각형의 가늘고 기다란 프레임 본체로 구성되며, 그 내측에 장수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자가 일렬(복수열이라도 좋다.)로 배치되어 있다.
제 2의 플러그(77)의 배면에는 선재(79)의 일단이 접속되며, 이 선재(79)의 타단은 접속기(80)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기(80)는, 재생기 본체(6)를 다른 전자기기(예를 들면, TV등)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 2의 플러그(77)와 선재(79)와 접속기(80)에 의해 제 2의 접속 케이블(5)이 구성된다.
접속기(80)는, 편평하게 되어 있는 종공의 광체로 구성되며, 한 쪽의 단면측에 선재(79)가 접속되어 있다. 접속기(80)의 다른 측의 단면에는, 복수의 단자(81)가 가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단자(81)로서는, 예를 들면, 영상단자, S1영상단자, 좌우의 음성단자등을 열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기기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사용하는것이 가능하다. 전지수납체(3)는, 미리 재생기 본체(6)에 장착하여 일체적으로 조립하도록 한다. 즉, 전지수납체(3)의 상측 전지케이스(34)와 하측 전지 케이스(35)와의 사이에 재생기 본체(6)의 돌출부( 6a)측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측 전지케이스(34)의 결합오목부(36)를 개폐덮개(8)의 후크부(37)에 결합시킨다.
이 때, 재생기 본체(6)를 소정위치까지 삽입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생기 본체(6)에 설치된 플러그(43)가 상측 전지케이스(35)에 설치된 소케트(42)에 감합된다. 그 결과, 재생기 본체(6)와 전지수납체(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후, 하측 전지케이스(35)의 고정나사(38)를 재생기 본체(6)의 나사구멍에 결합시켜 고정한다. 이에 의해, 재생기 본체(6)에 대한 전지수납체(3)의 조립이 완료한다.
다음에, 제 1의 접속케이블(4)의 제 1의 플러그(70)를 재생기 본체(6)의 제 1의 소케트부(28)에 삽입하고, 제 1의 접속케이블을 통해 제어장치(2)를 재생기 본체(6)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재생기 본체(6)와 전지수납체(3)와 제어장치(2)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DVD재생기(1)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제 1의 접속케이블(4)에 의해 제어장치(2)와 재생기 본체(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그 선재를 통해 원격제어부가 되는 제어장치(2)로부터 재생기 본체(6)에 재생지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장치(2)로부터 송신된 재생지시 제어신호에 따라 재생기 본체(6)가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자연화상정보를 재생하면, 그 재생신호가 제 1의 접속케이블(4)을 통해 제어장치(2)에 송신된다.
이 재생신호를 수신한 제어장치(2)에서는, 수신된 재생신호를 액정표시(51)에 자연화상정보로서 표시한다. 이 자연화상정보를 사용자가 관찰함으로써, 미리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자연화상정보를 재생하여 액정표시에 의해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재생기 본체(6)에 이어폰을 접속함으로써, 그 이어폰을 통해 소리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즐기는 것도 가능하다.
이 DVD재생기(1)와 재생기 본체(6)에 디스크를 장착하는 작업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버클(9)을 일으켜 세우고, 이 버클(9)에 의해 개폐덮개(8)의 로크를 해제한다. 이것은, 버클(9)에 손가락을 걸고, 스프링 부재(152)의 스프링힘에 저항하여 버클(9)을 일으켜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151)를 슬라이드 동작시키지 않고, 버클(9)을 직접 일으켜 세워 간단하게 로크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버클(9)의 일으켜 세우는 동작에 대해서 스프링 부재(152)의 스프링힘이 저항력으로 되므로, 비교적 커다란 힘을 버클(9)에 작용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는 달리, 작은 힘으로 버클(9)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부재(151)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결합체(9b)를 후퇴시키고, 결합체(9b)에 의해 결합수부(26)와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버클(9)의 로크가 해제되므로, 힌지부(21)를 중심으로 버클(9)을 회동시킴으로써 작은 힘으로 간단하게 일으켜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하여 버클(9)을 일으켜 세우면, 버클(9)의 내면에 설치된 개폐돌기(156)가 재생기 본체(6)의 정면에 설치된 검출구멍(27)으로부터 인출된다.이에 의해, 버클(9)의 로크를 검출하는 제 2의 검출기가 오프가 되며, 그 제 2의 검출신호가 제어장치(2)로 송출된다.
다음에, 버클(9)의 일으켜 세움에 의해 노출된 결합수부(26)등을 손가락 끝으로 보존하여, 개폐덮개(8)의 전방측을 임의의 높이까지 끌어올린다. 이에 의해, 재생기 본체(6)의 상면에 설치된 디스크장착부(7)가 개방되며,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0)가 노출된다.
이 때, 개폐덮개(8)의 개폐검출편(19)이 재생기 본체(6)의 덮개용의 검출구멍(20)으로부터 인출된다. 이에 의해, 개폐덮개(8)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제 1의 검출기가 오프로 되며, 그 제 1의 검출신호가 제어장치(2)로 송출된다. 이 개폐덮개(8)의 개방신호와, 상술한 버클(9)의 해제를 검출하는 제 2의 검출신호의 양자가 함께 제어장치(2)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 즉, 개폐덮개(8)가 개방되어 있거나, 또는 버클(9)이 열려 있을 때에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0)가 구동되지 않는다.
한편, 전지수납체(3)의 상측 전지케이스(34)는 개폐덮개(8)와 일체적으로 이동되며, 개폐덮개(8)와 함께 상측으로 튀어오른다.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크장착부(7)가 개방되며,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0)의 턴테이블(11)이 노출된다. 그 후, 턴테이블(11)에 소망의 디스크를 장착함으로써, 그 디스크의 쳐킹이 행해진다.
다음에, 상측 전지케이스(34)와 함께 개폐덮개(8)를 아래로 누르고, 디스크장착부(7)를 개폐덮개(8)로 닫는다. 이 때, 개폐덮개(8)를 완전히 닫음으로써,개폐검출편(19)이 덮개용 검출구멍(20)에 삽입된다. 그 결과, 개폐덮개(8)의 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제 1의 검출기가 옴으로 되며, 제 1의 검출신호가 제어장치(2)로 공급된다. 단지 이 제 1의 검출신호에서만,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0)의 구동이 개시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버클(9)의 상측으로 가압하여 결합체(9)를 결합수부(26)에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버클(9)을 통해 개폐덮개(8)를 재생기 본체(6)에 견고하게 로크시킨다. 이 때, 버클(9)을 완전하게 닫아놓음으로써, 개폐돌기(156)가 버클용 검출구멍(27)에 삽입된다. 그 결과 버클(9)의 로크상태를 검출하는 제 2의 검출기가 온으로 되며, 제 2의 검출신호가 제어장치(2)로 공급된다. 이 제 2의 검출신호와 제 1의 검출신호가 함께 제어장치(2)로 공급되어짐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장치(10)의 구동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사용준비가 완료된 DVD 재생기(1)는, 내부에 있어서도 사용가능하지만, 외부에 있어서도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 경우, DVD재생기(1)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스트랩(strap)을 사용하여 매달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머리등에 걸어 놓고 가지고 운반하기에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장치(2)를 손으로 조작함으로써, 외부에서도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자연화상정보의 화상을, 제어장치(2)의 액정표시(51)에 의해 가볍게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음성은, 이어폰 잭(30)에 접속된 이어폰에 의해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제어장치(2)의 조작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2a는, 사용자가 제어장치(2)를 손으로 가지고, 덮개본체(52)를 캐비넷(50)의 표시면이 되는 액정표시(51)에 대하여 90도보다 약간 작은 각도를 가지고 열러 놓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의 회동축의 스프링핀(62)과 연결블록(61)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도 제 2의 회동축의 스프링핀(63)과 연결블록(61)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작게 되는 것으로 가정한다(예를 들면, 스프링핀(62)의 두께를 스프링핀(63)의 두께보다도 크게 하고, 스프링핀(62)의 탄성을 스프링핀(63)의 탄성보다도 강하게 설정한다.)
그러면, 최초에는 제 1의 회동축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되며, 제 2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 후, 제 1의 회동축의 회동량이 최대로 되므로, 다음에 제 1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우선, 덮개본체(52)의 자유단측에 손가락 끝을 걸고, 덮개본체(52)를 일으켜 세운다. 이에 의해, 제 1의 회동축의 스프링핀(62)에 의한 마찰력이 제 2의 회동축의 스프링핀(63)에 의한 마찰력보다도 크기 때문에, 덮개본체(52)는, 제 2의 회동축이 되는 스프링핀(63) 및 제 2의 축 볼록부(63b)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도 22a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본체(52)를 90도 보다 좁게 임의의 각도에서 중지하면, 스프링핀(63)의 마찰력에 의해 덮개본체(62)가 그 정지시의 각도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액정표시(51)의 표시내용을 보는 것이 가능하지만, 타인에 대해서는 보는 것이 어려우며, 주위로부터 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b는, 사용자가 제어장치(2)를 손으로 가지고, 덮개본체(52)를 캐비넷(50)의 액정표시(51)에 대해서 90도 각도로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90도 근방의 각도에서 덮개본체(52)를 멈춤으로써, 덮개본체(52)를 차양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3a는, 덮개본체(52)를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해서 270도 이상의 임의의 각도만큼 회동하고, 캐비넷(50) 및 덮개본체(52)의 각 자유단측을 책상등의 평면(P)(재치면)상에 재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도 22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제 1의 회동축이 되는 스프링핀(62) 및 제 1의 축 볼록부(62b)를 중심으로 연결블록(61)을 180도 회동시킨 것이다.
이어서, 제 2의 회동축이 되는 스프링핀(63) 및 제 2의 축 볼록부(63b)를 중심으로 덮개본체(52)를, 90도 이내의 각도만큼 회동한다. 이에 의해, 도 23a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본체(52)를 캐비넷(50)의 스탠드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캐비넷(50)에 대해 덮개본체(52)의 경사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액정표시(51)의 표시면을 보기 쉬운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3b는, 덮개본체(52)를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해 360도의 각도만큼 회동하고, 그 덮개본체(52)를 캐비넷(50)의 배면에 중첩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제어장치(2)를 손으로 가지고 표시면을 볼 때에, 덮개본체(52)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a는, 상술한 제어장치(2)에 사용되는 2개의 스프링핀(62, 63)중에서,제 2의 회동축의 스프링핀(63) 대신에 회전축(67)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67)에 의해 덮개본체(52)와 연결블록(61)과의 사이를 회동자재하게 연결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캐비넷(50)의 돌조부와 연결블록(61)과의 사이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프링핀(62)의 탄성에 의한 마찰력을 동반하여 회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덮개본체(52)와 캐비넷(50)의 각 자유단에는, 각각 원활멈춤부재로서의 원활멈춤고무(68a, 68b)가 점착되어 있다.
도 24b는, 도 24a에 도시한 제어장치(2)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어장치(2)를 손으로 가지고, 덮개본체(52)를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해 90도 각도로 열어 놓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덮개본체(52)를 차양으로서 사용하며, 표시면을 보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회전축(67)을 스프링핀(62)의 경사진 후방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회전축(67)이 덮개본체(52)와 연결블록(61)의 사이를 마찰력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회동자재하게 연결하는 것에 상관없이, 스프링핀(62)과 연결블록(61)의 사이의 탄성에 의한 마찰력만이 덮개본체(52)를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해 거의 90도 로 회동시키는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c는, 덮개본체(52)를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해 270도 이상의 임의의 각도만큼 회동하고, 이 캐비넷(50) 및 덮개본체(52)의 각 자유단을 책상등의 평면(P)(재치면)상에 재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해, 덮개본체(52)를 스탠드로서 이용하며, 캐비넷(50)을 수평면상에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캐비넷(50)에 대한 덮개본체(52)의 경사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캐비넷(50)의 표시면을 보기 쉬운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캐비넷(50) 및 덮개본체(52)의 각 자유단에는 원활멈춤고무(68a, 68b)가 점착되어 있으므로, 제어장치(2)가 책상등의 평면(P)상을 원활하게 하는 것은 없다. 따라서, 한 쪽의 회동축에 회전축(67)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덮개본체(52)를 스탠드로서 이용하여 캐비넷(50)의 경사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5는, 2개의 스프링핀(62, 63)의 직경을 변경하여 그러한 탄성을 달리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스프링핀(62, 63)중에서, 제 1의 스프링핀(62)의 직경을 작게 하고, 제 2의 스프링핀(63)의 직경을 크게 하고, 제 1의 스프링핀(62)의 마찰력보다도 제 2의 스프링핀(63)의 마찰력을 크게 설정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술한 도 22a, b등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이 약한 스프링핀(62)을 우선적으로 회동시키고, 그 스프링핀(62)의 회동량이 최대로 되므로 탄성이 강한 스프링핀(63)의 회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덮개본체(52)를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해 개방될 때와 닫혀져 있을 때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최초에 탄성이 약한 스프링핀(62)에 있는 제 1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이어서 탄성이 강한 스프링핀(63)에 있는 제 2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즉, 덮개본체(52)를 개폐조작함으로써, 우선, 스프링핀(62)을 중심으로 캐비넷(50)에 대하여 연결블록(61)이 회동된다. 이어서, 스프링핀(63)을 중심으로연결블록(61)에 대해 덮개본체(52)가 회동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평행으로 배치된 제 1 및 제 2의 회동축중에서, 탄성이 약한 스프링핀(62)이 개재되어 있는 회동축이 우선적으로 회동되며, 캐비넷(50)에 대해 덮개본체(52)의 회동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a는, 상술한 2개의 스프링핀의 한 쪽, 예를 들면, 스프링핀(63) 대신에, 저항수단으로서 클릭판(69)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도시한 제어장치(2)에서는,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해 덮개본체(52)의 각도를 소정각도 마다 다단계(본 실시예에서는, 90도 마다 의 4단계)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클릭판(69)의 마찰력과 스프링핀(63)의 마찰력은, 양자를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도 좋으며, 또한, 양자간에 차이를 설정하여 강약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6b는, 도 26a의 클릭원판(69)을 분해 및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덮개본체(52)의 기부(a)에는 클릭 볼록원판(b)이 접착제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클릭 볼록원판(b)에는, 동일 원주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볼록부(69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릭 볼록원판(b)에는, 클릭 오목판(c)이 대향되어 있다.
클릭 오목원판(c)의 일면에는, 4개의 볼록부(69a)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어 각 볼록부(69a)와 결합 및 이탈가능하게 되어 있는 1개의 오목부(69b)가 설치되어 있다. 클릭 오목원판(c)의 타면에는, 링크 형상을 이루는 웨이브 판 스프링(d)의 일면이 용접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웨이브 판 스프링(d)의 타면은, 연결블록(61)의 기부(e)에 접착제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클릭원판(69)은, 클릭 볼록원판(b)과 클릭 오목원판(c)과 웨이브 판 스프링(d)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클릭원판(69)이, 덮개본체(52)의 기부(a)와 연결블록(61)의 기부(e)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리하여, 덮개본체(52)를 회동시키면, 클릭 오목원판(c)의 오복부(69b)로부터 클릭 볼록원판(b)의 4개의 볼록부(69a)중 어느 1개가 튀어나와 인접한 다른 볼록부(69a)가 갑합되기까지, 웨이브 판 스프링(d)의 탄성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 마찰력에 의해 덮개본체(52)가,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가지고 유지된다.
또한, 클릭 볼록원판(b)의 볼록부(69a)가 클릭 오목원판(c)의 오복부(69b)에 감합됨으로써, 덮개본체(52)가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로크된다. 그 후, 덮개본체(52)를 회동시켜 볼록부(69a)를 오목부(69b)로부터 인출함으로써, 덮개본체(52)의 회동시에 클릭감을 발생한다. 이와같이, 오목부(69b)에 대하여 볼록부(69a)가 출입되는 경우의 클릭감에 의해, 덮개본체(52)의 각도변화를 손의 감촉에 의해 확실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7a는, 상술한 클릭판(69)의 클릭위치를 2개소에 설정함과 동시에, 제 1의 회동축에 클릭판(69)을 설치하고, 제 2의 회동축에 스프링핀(630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클릭판(69)에는, 동일 원주상에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2개의 볼록부(69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클릭 오목원판(c)과 웨이브 판 스프링(d)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경우, 클릭판(69) 및 스프링핀(63)의 각 마찰력은, 양자를 동등하게 설정하여도 좋으며, 또한, 양자간에 차이를 정해 설정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핀(63)의 마찰력에 의해서도 클릭판(69)의 마찰력을 크게 설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b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본체(52)를 열어 놓을 때에는, 우선, 마찰력이 작은 제 2의 회동축이 먼저 회동하고, 다음에, 마찰력이 큰 제 1의 회동축이 회동한다. 덮개본체(52)의 자유단에 상승력을 가하면, 우선, 제 2의 회동축이 되는 스피링핀(63)을 회동중신으로 하여 덮개 본치(52)가,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하여 180도 까지 개방된다. 이 때, 스프링핀(63)과 연결블록(61)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며, 덮개본체(52)는 스프링핀(63)의 탄성에 의해 마찰력을 따라 회동된다.
이어서, 도 27c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본체(52)를 열면, 제 1의 회동축이 되는 클릭판(69)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행해지며, 클릭판(69) 및 연결블록(61)이 180도 회동된다. 그 결과 덮개본체(52)가 캐비넷(50)의 표시면에 대하여 360도까지 개방되며, 덮개본체(52)가 캐비넷(50)의 배면에 부착되게 된다.
이 때, 클릭판(69)에 의해, 회동초기와 회동종기에 클릭감이 발생하며, 또한, 회동도중에는 웨이브 판 스프링(d)의 스프링힘에 의해 덮개본체(52)가 마찰력을 따라 회동된다. 이와같이 하여 덮개본체(52)는, 클릭감과 마찰력을 따라 회동된다.
도 28에는, 덮개본체(52)의 회동시에 부하를 제공하는 저항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도시한 저항수단은, 기어장치(83)와 댐퍼장치(87)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 도시한 제어장치(2)에서는, 상술한 2개의 스프링핀 중 한 개, 예를 들면, 스프링핀(62) 대신에, 저항수단으로서 2매의 기어(84a, 84b)를 가지는 기어장치(83)와 댐퍼장치(87)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2)에는, 제 1의 회동축으로서 회전축(85)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85)의 축방향 중도부에 연결블록(61)이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85)의 일단은, 캐비넷(50)을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부에 소직경의 기어(84a)가 고정되어 있다. 소직경의 기어(84a)에는 대직경의 기어(84b)가 맞물려 있으며, 그 대직경의 기어(84b)에는 일면측으로 돌출하는 축부(88)가 설치되어 있다.
대직경의 기어(84b)의 축부(88)는, 캐비넷(50)의 측면에 회동자재하게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88)의 선단은, 캐비넷(50)의 내부에 수납된 댐퍼장치(87)에 삽입되어 있다. 댐퍼장치(87)는, 축부(88)의 회동시에 점착력과 마찰력등의 저항력을 부여하므로, 예를 들면, 액체의 점성을 이용한 액정댐퍼, 그 외의 형식의 댐퍼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86은, 대직경의 기어(84a, 84b)를 덮고 있는 기어박스이다.
소직경의 기어(84a)가 실시예에서는, 덮개본체(52)를 일으켜 세워 연결블록(61)을 회동시키면, 연결블록(61)과 일체로 회전축(85) 및 소직경의 기어(84a)가 회전된다. 소직경의 기어(84a)에는 항상 대직경의 기어(84b)가 맞물려 있으므로, 양 기어(84a, 84b)의 감속비에 대응하는 양만큼 축부(88)가 회동된다. 이 축부(88)의 회동량에 따라 댐퍼장치(87)에 저항력이 발생하고, 그 저항력을 따라 연결블록(61)이 캐비넷(50)에 대하여 회동된다. 이에 의해, 덮개본체(52)를, 적당한 저항력을 가지고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 회동 도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덮개본체(52)를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어장치(2)의 사용은, 본 실시예의 DVD재생기(1)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PDA, 소형 워드프로세서, 소형 마이크로컴퓨터, 전자사서, 휴대용 TV수상기, 소형 전자시계등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더우기, 이러한 전자기기의 탁상용의 것, 그 외 전자기기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18에는, DVD 재생기(1)와 도시하지 않은 가정 전원등을 접속하고, 전원장치가 되는 전지수납체(3)에 충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 있어서, 부호(90)는, 재생기 본체(6)를 보관유지하기 위한 유지 스텐드이다. 이 보존 스탠드(90)는, 상면에 보존홈이 형성된 보존부(90a)와, 이 보존부(90a)의 하부에 연속하는 보존대(90b)로 구성된다. 보존 스탠드(90)의 보존대(90b)는, 충분히 커다란 재치면을 확보가능하도록 전개되어 확대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존부(90a)의 보존홈 방향의 양측에는, 재생기 본체(6)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91, 92)이 설치되어 있다. 한 쪽의 지지편(91)의 선단부에는, 재생기 본체(6)의 측면에 설치된 오목부에 결합된 편부(9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편부(91a)를 설치함으로써, 전지수납체(3)를 장착하여 원주방향의 중량균형이 불균일하게 되는 DVD 재생기(1)를, 전지수납체(3)를 가로방향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도 회전하지 않고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8에 도시한 부호 93은, 가정용 콘센트등의 전원과 재생기 본체(6)와의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제 3의 접속케이블이다. 이 접속케이블(93)의 일단에, 충전용의 플러그(94)가 부착되어 있다. 이 충전용의 플러그(94)는, 재생기 본체(6)의 제 2의 소케트부(29)에 대하여 착탈자재하게 되어 있다. 이 충전용의 플러그(94)의 중앙의 반원형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단자부가 후퇴동작하여 제 2의 소케트부(29)와의 접속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을 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에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생 시스템으로서 DVD재생기(1)를 예로 들었으며, 그 액정표시 부착 원격제어장치(2)를 전자기기로 하는 에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휴대용 CD재생기, 휴대용 디스크 드라이브장치와 그 외 다른 장치를 재생 시스템으로 하여 적용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보신호의 재생만을 행하는 재생전용의 디스크 재생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정보신호의 재생뿐만아니라, 새로운 정보신호의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정보신호의 기록만을 전용으로 하는 기록전용의 디스크 기록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생기 본체(6)와 제어장치(2)와의 사이를 유선으로 접속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신호전달수단으로서 무선을 적용하고,재생기 본체(6)와 제어장치(2)와의 사이를 무선으로 접속하여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는 것은 물론이다. 더우기, 기억매체로서는, 디스크 형상 기록매체만이 아니라, 테이프 형상 기록매체, 드럼형상 기록매체, 반도체 기억매체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출원의 재생시스템에 의하면, 일반적인 헤드폰 스테레오등과 마찬가지로 DVD재생기등의 재생시스템을 동작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에는 내부에서만 즐기는 것이 가능한 자연화상정보를 외부에서도 가볍게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의 전자기기에 의하면, 전지수납체를 착탈시키지 않고 개폐덮개의 개폐조작을 간단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수의 전지를 수납한 상태에서 장치 전체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의하면, 디스크가 장착된 디스크장착부의 개폐조작이 용이하며, 개폐덮개를 개폐시킬 때에 전지수납체를 착탈시키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다수의 전지를 수납한 상태에서 장치 전체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의하면,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시에 있어서 개폐덮개가 열려지는 염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레이져광을 조사할 우려가 없으며 안전성이 높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6)

  1. 기억매체에 기억된 자연화상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상기 재생장치에 대하여 적어도 재생지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부와, 당해 재생지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된 자연화상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당해 자연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는, 상기 자연화상정보가 기억된 데이터 영역과, 당해 데이터 영역내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데이터를 기억하는 관리영역을 가지며,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기억매체의 데이터영역으로부터 상기 자연화상정보를 재생하고,
    상기 제어장치의 표시부는, 상기 재생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영역으로부터 재생된 상기 자연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재생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기억매체가 되는 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와, 당해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구동된 당해 디스크의 정보기억면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당해 정보기억면으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고 재생하는 픽업장치를 구비하는 재생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기억매체가 되는 디지털 버써타일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 : DVD)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와, 당해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구동된 당해 디지털 버써타일 디스크의 정보기억면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당해 정보기억면으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고 재생하는 픽업장치를 구비하는 재생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당해 재생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재생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기억매체가 수납된 기억매체 장착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가지며,
    상기 전원장치는, 복수의 전지가 수납된 전지수납체를 가지며 상기 개폐덮개에 장착되고, 상기 개폐덮개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재생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납체에는, 상기 수납된 전지에 접속된 소케트 및 플러그 중에서 어느 한 개가 한 쪽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덮개가 부착된 재생장치에는, 당해 재생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에 접속된 소케트 및 플러그 중에서 어느 한 개가 다른 쪽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덮개에 상기 전지수납체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소케트 및 플러그가 접속되며,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구동수단에 전원공급되는 재생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납체는, 상기 수납된 전지와 접속되며, 당해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류 또는 전압의 이상을 검출함과 동시에 소정의 전력을 상기 전지수납체의 상기 소케트 및 플러그의 어느 한 쪽으로 공급하는 출력회로를 구비하는 재생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가 소정의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프리쿠션 제어하는 제 1의 프리쿠션기구와,
    상기 전지수납체는 힌지기구를 삽입하여 한 쌍의 수납부에 의해 구성되며, 당해 한 쌍의 수납부가 소정의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프리쿠션 제어하는 제 2의 프리쿠션기구를 구비하는 재생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프리쿠션기구는, 상기 개폐덮개에 설치된 접동체와, 상기 재생장치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접동체에 압착접속됨으로써 마찰력을 발생시켜 소정의 프리쿠션을 발생시키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재생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프리쿠션기구는, 상기 한 쌍의 수납부의 양 쪽의 부재 사이에 삽입된 마찰판과, 상기 마찰판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수납부의 한 쪽의 부재를 다른 쪽의 부재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는 재생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적어도 상기 재생지시 제어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조작부와,
    상기 표시부를 개폐함과 동시에, 개방시에 당해 제어장치의 스탬드를 형성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재생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어장치에 다른 단이 접속되며, 상기 재생지시 제어신호 및 상기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된 정보를 전송하는 접속케이블을 구비하는 재생시스템.
  14. 상기 재생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기억매체가 되는 디스크가 장착된 디스크장착부와,
    상기 디스크장착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와,
    상기 재생장치에 대하여 상기 개폐덮개를 로크하는 버클과,
    상기 개폐덮개의 개폐상태를 검출하여 제 1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 1의 개폐검출수단과,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의 로크상태를 검출하여 제 2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 2의 개폐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의 검출신호 및 제 2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덮개가 닫히게 되며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가 로크되어질 때에,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하여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장치가 디스크에 대하여 레이져광을 조사하는 재생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개폐검출수단은, 상기 개폐덮개에 설치된 개폐검출편과, 상기 재생장치에 설치된 제 1의 검출기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덮개에 의해 상기 디스크장착부를 닫을 때에 상기 개폐검출편에 의해 상기 제 1의 검출기를 동작시켜 상기 제 1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제 2의 개폐검출수단은, 상기 버클에 설치된 개폐돌기와, 상기 재생장치에 설치된 제 2의 검출기로 구성되며,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를 로크할 때에 상기 개폐돌기에 의해 상기 제 2의 검출기를 동작시켜 상기 제 2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시스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일단이 상기 재생장치에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다른 단은 상기 개폐덮개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체를 가지며, 당해 버클이 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다른 단이 상기 개폐덮개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폐덮개를 로크하는 재생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상기 결합체는, 탄성부재에 의해 가세되어 돌출함으로써 상기 개폐덮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버클은, 슬라이드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결합체를 진퇴동작시키는 슬라이드부재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스프링 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상기 결합체의 상기 개폐덮개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버클이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로크가 해제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조작없이, 상기 탄성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버클이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로크가 해제가능하게 되는 재생시스템.
  19. 전지를 적어도 한 방향으로 수납하는 한 쌍의 수납부가 힌지기구에 의해 개폐자재하게 설치된 전지수납체와,
    기억매체가 장착된 기억매체 장착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전지수납체는 상기 개폐덮개에 장착되며, 당해 개폐덮개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납체에는, 상기 수납된 전지에 접속된 소케트 및 플러그 중에서 어느 한 개가 한 쪽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덮개가 부착된 재생장치에는, 당해 재생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에 접속된 소케트 및 플러그 중에서 어느 한 개가 다른 쪽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덮개에 상기 전지수납체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소케트 및 플러그가 접속되며,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구동수단에 전원공급되는 전자기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납체는, 상기 한 쌍의 수납부의 적어도 한 쪽에 상기 전지와 접속되며, 당해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류 또는 전압의 이상을 검출함과 동시에 소정의 전력을 상기 전지수납체의 상기 소케트 및 플러그의 어느 한 쪽으로 공급하는 출력회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가 소정의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프리쿠션 제어하는 제 1의 프리쿠션기구와,
    상기 전지수납체는 힌지기구를 삽입하여 한 쌍의 수납부에 의해 구성되며, 당해 한 쌍의 수납부가 소정의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프리쿠션 제어하는 제 2의 프리쿠션기구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프리쿠션기구는, 상기 개폐덮개에 설치된 접동체와, 상기 재생장치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접동체에 압착접속됨으로써 마찰력을 발생시켜 소정의 프리쿠션을 발생시키는 판 스프링을 구성되는 전자기기.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프리쿠션기구는, 상기 한 쌍의 수납부의 양 쪽의 부재 사이에 삽입된 마찰판과, 상기 마찰판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수납부의 한 쪽의 부재를 다른 쪽의 부재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는 전자기기.
  25. 전지를 적어도 한 방향으로 수납하는 한 쌍의 수납부가 힌지기구에 의해 개폐자재하게 설치된 전지수납체와,
    디스크가 장착된 디스크장착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디스크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픽업장치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기구를 통해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장착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전지수납체는 상기 개폐덮개에 장착되며, 당해 개폐덮개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납체에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전지에 접속된 소케트 및 플러그 중에서 어느 한 개가 한 쪽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덮개가 부착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픽업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에 접속된 소케트 및 플러그 중에서 어느 한 개가 다른 쪽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덮개에 상기 전지수납체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소케트 및 플러그가 접속되며,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구동수단에 전원공급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납체는, 상기 한 쌍의 수납부의 적어도 한 쪽에 상기 전지와 접속되며, 당해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류 또는 전압의 이상을 검출함과 동시에 소정의 전력을 상기 전지수납체의 상기 소케트 및 플러그의 어느 한 쪽으로 공급하는 출력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힌지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덮개가 소정의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프리쿠션 제어하는 제 1의 프리쿠션기구와,
    상기 전지수납체는 힌지기구를 삽입하여 한 쌍의 수납부에 의해 구성되며, 당해 한 쌍의 수납부가 소정의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프리쿠션 제어하는 제 2의 프리쿠션기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프리쿠션기구는, 상기 개폐덮개에 설치된 접동체와, 상기 재생장치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접동체에 압착접속됨으로써 마찰력을 발생시켜 소정의 프리쿠션을 발생시키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프리쿠션기구는, 상기 한 쌍의 수납부의 양 쪽의 부재 사이에 삽입된 마찰판과, 상기 마찰판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수납부의 한 쪽의 부재를 다른쪽의 부재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1. 디스크가 장착된 디스크장착부를 개폐자재하도록 덮는 개폐덮개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디스크장착부에 설치되고, 당해 디스크가 재치되며 당해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상기 디스크에 대하여 레이져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반사광으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광학픽업장치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개폐덮개를 로크하는 버클과,
    상기 개폐덮개의 개폐상태를 검출하여 제 1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 1의 개폐검출수단과,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의 로크상태를 검출하여 제 2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 2의 개폐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의 검출신호 및 제 2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덮개가 닫히게 되며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가 로크되어질 때에,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하여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장치가 디스크에 대하여 레이져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의 로크가 해제될 때, 상기 광학 픽업장치에 의해 레이져광의 조사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개폐검출수단은, 상기 개폐덮개에 설치된 개폐검출편과, 상기 재생장치에 설치된 제 1의 검출기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덮개에 의해 상기 디스크장착부를 닫을 때에 상기 개폐검출편에 의해 상기 제 1의 검출기를 동작시켜 상기 제 1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4. 제 31항에 있어서,
    제 2의 개폐검출수단은, 상기 버클에 설치된 개폐돌기와, 상기 재생장치에 설치된 제 2의 검출기로 구성되며,
    상기 버클에 의해 상기 개폐덮개를 로크할 때에 상기 개폐돌기에 의해 상기 제 2의 검출기를 동작시켜 상기 제 2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일단이 상기 재생장치에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다른 단은 상기 개폐덮개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체를 가지며, 당해 버클이 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다른 단이 상기 개폐덮개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폐덮개를 로크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상기 결합체는, 탄성부재에 의해 가세되어 돌출함으로써 상기 개폐덮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버클은, 슬라이드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결합체를 진퇴동작시키는 슬라이드부재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스프링 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상기 결합체의 상기 개폐덮개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버클이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로크가 해제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조작없이, 상기 탄성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버클이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로크가 해제가능하게 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20027014883A 2001-03-22 2002-03-22 재생시스템, 전자기기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20030009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3321 2001-03-22
JPJP-P-2001-00083321 2001-03-22
JPJP-P-2001-00197542 2001-06-28
JP2001197542A JP4720031B2 (ja) 2001-03-22 2001-06-28 電子機器
JP2001214553A JP2003085957A (ja) 2001-06-28 2001-07-13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JP-P-2001-00214554 2001-07-13
JP2001214554A JP2003085961A (ja) 2001-06-28 2001-07-13 電子機器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JP-P-2001-00214553 2001-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474A true KR20030009474A (ko) 2003-01-29

Family

ID=2748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883A KR20030009474A (ko) 2001-03-22 2002-03-22 재생시스템, 전자기기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005138A1 (ko)
EP (1) EP1372153A1 (ko)
KR (1) KR20030009474A (ko)
CN (1) CN1462450A (ko)
WO (1) WO2002077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1894B (en) * 2004-02-25 2005-05-01 Tatung Co Ltd Height adjustment structure for a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20050275360A1 (en) * 2004-06-09 2005-12-15 Mccord Charles F Jr Motor with mechanism for storing mechanical energy for portable applications
JP2006134514A (ja) * 2004-11-08 2006-05-25 Sony Corp 防水型電子機器
US7398535B2 (en) * 2004-12-10 2008-07-08 Coby Electronics Corporation Portable media player
CN2807403Y (zh) * 2005-07-06 2006-08-16 广州矽金塔电子有限公司 内置电池式便携dvd播放机
JP4696763B2 (ja) * 2005-08-02 2011-06-08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ダ内蔵パネル型テレビ装置
CN101588684B (zh) * 2008-05-20 2011-09-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7738238B2 (en) * 2008-10-03 2010-06-15 Keng-Yuan Liu Portable audio/video playing device disposing structure
US8164619B2 (en) * 2009-09-25 2012-04-24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WO2016187213A1 (en) * 2015-05-19 2016-11-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attery control methods and circuits, and energy storage to grid connection systems
US9672844B2 (en) 2015-07-21 2017-06-06 Love Turntable, Inc. Portable turnt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US9583122B2 (en) 2015-07-21 2017-02-28 Love Turntable, Inc. Portable turnt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295B2 (ja) * 1987-04-18 1995-05-2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テ−プレコ−ダ
JPH0855615A (ja) * 1994-08-10 1996-02-27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JP2950433B2 (ja) * 1995-07-10 1999-09-20 インターナシヨ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ヨン バッテリ収納装置
WO1997007504A1 (fr) * 1995-08-21 1997-0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que optique multimedia capable de creer des situations tout a fait inattendues sur la base de l'interactivite, appareil et procede de reproduction de ce disque
JPH1045152A (ja) * 1996-07-30 1998-02-17 Kokusai Electric Co Ltd 筐体のクランプ構造
US6181103B1 (en) * 1997-05-27 2001-01-30 Shu-Chin Chen Advanced intelligent computer power management system
JP2000029395A (ja) * 1998-05-01 200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ニタ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059047A (ja) * 1998-08-06 2000-02-25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の開閉機構
JP2000090563A (ja) * 1998-09-11 2000-03-31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の再生装置
JP2000293948A (ja) * 1999-02-01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0250146A (ja) * 1999-03-02 2000-09-14 Toshiba Corp 画像読取装置
JP2001237932A (ja) * 2000-02-21 2001-08-31 Nec Corp 携帯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装置
JP2001268659A (ja) * 2000-03-22 2001-09-28 Funai Electric Co Ltd 遠隔操作システム、映像出力装置、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遠隔操作方法
US6933928B1 (en) * 2000-07-18 2005-08-23 Scott E. Lilienthal Electronic book player with audio synchronization
CN2807403Y (zh) * 2005-07-06 2006-08-16 广州矽金塔电子有限公司 内置电池式便携dvd播放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62450A (zh) 2003-12-17
US20040005138A1 (en) 2004-01-08
WO2002077997A1 (fr) 2002-10-03
EP1372153A1 (en) 200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9490B2 (en)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system
KR20030009474A (ko) 재생시스템, 전자기기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JP2008243369A (ja) 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997669B2 (ja) 表示装置
JP4720031B2 (ja) 電子機器
JP2003151255A (ja) 電子機器
JP4356744B2 (ja) 電子機器
JP2003085957A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898174B1 (ko) 휴대용 디브이디 플레이어
JP4158215B2 (ja) 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6186635A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並びにクレードル
JP2003085961A (ja) 電子機器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5135492A (ja) スタンド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6166505A (ja) 電子機器及び充電スタンド
JP2005135493A (ja) 電気機器の保持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3249063A (ja) 記録再生装置
KR19980083130A (ko) 휴대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JPH11186746A (ja) 開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H10209657A (ja) 電子機器
JP2003178506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H0877665A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