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335A -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335A
KR20030009335A KR1020027007975A KR20027007975A KR20030009335A KR 20030009335 A KR20030009335 A KR 20030009335A KR 1020027007975 A KR1020027007975 A KR 1020027007975A KR 20027007975 A KR20027007975 A KR 20027007975A KR 20030009335 A KR20030009335 A KR 20030009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isc
elevator
belt
disc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마사히로
니따이쿠오
다카하시유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33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1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 G11B17/223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in a vertical di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5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disks are transferred from a fixed magazine to a fixed playing unit using a moving carriage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디스크 오토-체인저는 디스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트레이를 갖추는 디스크 카트리지와,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측에 배치된 승강기와,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트레이를 승강기내로 인입하고 승강기에서 디스크 카트리지로 복귀하는 로딩기구를 갖추어 구성된다.
로딩기구는 트레이의 후크부와 결합된 트레이 결합부와, 트레이 결합부를 트레이 액세스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와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스크 오토-체인저의 로딩기구의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for disk}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디스크 오토-체인저가 알려져 있다. 디스크 오터-체인저(201)는 디스크 기록매체(이후 디스크로 칭함)가 설치된 복수의 트레이(203)를 계층적으로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204)와, 디스크 카트리지(204)의 개구부에 대향해서 배치된 승강기(205)와, 디스크 카트리지(204)에 포함된 원하는 트레이(203)의 위치로 승강기(205)를 승강 이동하게 하는 이동제어기구(206)와 디스크 카트리지(204)로부터 트레이(203)를 승강기(205) 내로 인입 또는 승강기(205)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204)로 복귀하는 로딩기구(207)를 포함한다. 로딩기구(207)는 승강기(205)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딩기구(207)는 트레이(203)에 설치된 후크부(203a)와 결합된 트레이 결합부(208)와 트레이 인입방향 또는 트레이 가압복귀방향(이후 트레이 로딩/언로딩 방향으로 칭함)으로 트레이 결합부(208)를 이동하게 하는 회전암(209)과 회전암(209)을 회전시키는 암회전기구(210)를 포함한다.
트레이 결합부(208)는 그 상부면에 설치된 핀(211)을 승강기(205)의 상부면에 설치한 가이드 슬롯(212)에 삽입함으로써 가이드 슬롯(212)을 따라서 이동한다.
회전암(209)은 축(213)에 의해 승강기(205)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암(209)은 상기 트레이 결합부(208)의 상부면에 핀(211)을 삽입하는 슬롯형의 축조작구멍(214)이 설치된 일단부와 축(213)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 랙(215)이 설치된 타단부를 갖는다.
암회전기구(210)는 원호형 랙(215)과 맞물리는 핀(216)과 기어 트레인(217)을 통해서 핀(216)을 회전시키는 모터(218)를 포함한다.
모터(218)로 핀(21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암(209)은 축(21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트레이 결합부(208)를 트레이 인입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모터(218)를 반대로 회전시켜 핀(21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암(209)은 축(21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부(208)를 트레이 가압 출력방향으로 이동시킨다. θ는 회전암(209)의 회전범위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트레이 결합부(208)가 회전암(209)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종래의 오토-체인저(201)의 로딩기구(207)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회전암(209)의 회전범위(θ)의 존재는 그 점유공간을 증가시켜서, 로딩기구(207)의 설치공간의 효율을 악화시킨다.
(2) 회전암(209)의 회전각을 변화시킴으로써, 결합부(208)에 작용하는 힘이 변화하고, 균일한 힘으로 트레이 결합부(208)를 움지기게 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설치공간의 효율을 향상시켜서 트레이 결합부의 이동범위 전체 걸쳐서 거의 균일한 힘으로 트레이 결합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 오토-체인저(auto-changer)와 같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선된 로딩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디스크 오토-체인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하부에서 본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트레이를 제거한 A-A'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C'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D-D'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트레이가 인출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E-E'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F-F'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G-G'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승강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7a는 상부 블록부의 평면도이며, 도 17b는 하부 블록부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승강 제어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강기가 가장 높은 트레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승한 때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승강기가 가장 낮은 트레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하강한 때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승강기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로딩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로딩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트레이가 승강기 측으로 인출된 때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디스크 척킹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디스크 척킹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척킹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척킹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척킹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척킹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종래의 디스크 오토-체인저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종래의 로딩기구의 평면도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디스크를 유지하는 복수의 트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와, 디스크 카트리지의 개구부에 대향해서 배치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부와, 디스크 카트리지에서 트레이를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부로 전달하고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부에서 디스크 카트리지에 트레이를 전달하는 로딩키구를 포함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는 트레이의 결합부와 결합된 트레이 결합부와, 트레이 결합부를 이동하게 하는 벨트와, 벨트를 구동하게 하는 벨트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결합부는 벨트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로딩기구의 설치공간의 효율이 회전암을 이용해서 트레이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종래의 경우와 비교해서 향상될 수 있다.
청구항 2는 청구항 1에 지정된 바와 같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엔드리스 벨트(endless belt)가 벨트로서 사용됨으로써 엔드리스 벨트의 회전에 의해 트레이 결합부를 이동하게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지정된 바와 같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트레이 결합부가 엔드리스 벨트의 직선운동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결합부의 이동방향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조작력이 트레이 결합부에 부여될수 있다.
청구항 4는 청구항 3에 지정된 바와 같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벨트 구동기구는 사슬톱니(sprocket)를 사용하고, 사슬톱니는 풀리 사이의 엔드리스 벨트의 직선부분과 접촉하여 엔드리스 벨트를 이동시키고, 적어도 상기 사슬톱니와 접촉하는 엔드리스 벨트의 직선부는 사슬톱니의 원주면에 배치된 돌출부와 결합된 구멍을 포함하여 엔드레스 벨트의 이동을 확실하게 수행하게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디스크 카트리지의 트레이 결합부와 결합하여 트레이의 반출 및 반입을 실행하는 트레이 결합부를 벨트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기구에 있어서, 트레이 결합부의 이동이 벨트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트레이 결합부가 회전암인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설치 공간의 관점에서 장점이 있고,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등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장치 전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다음에, 디스크 체인저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1) 디스크 체인저(2)의 개략적인 설명, (2) 디스크 카트리지(3)의 설명, (3) 승강부(승강기)의 설명, (4) 승강이동 제어기구의 설명, (5) 로딩기구의 설명, (6) 디스크 척킹기구의 설명, (7) 디스크 체인저 전체의 작용의 설명, (8) 승강이동 제어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 순으로 기술한다.
(1) 디스크 체인저의 개략적인 설명
도 1은 디스크 체인저(1)의 사시도이다. 디스크 체인저(1)는 기계샤시(2)의 카트리지 수용부(3)에 장전되는 복수의 디스크를 설치하기 위한 트레이(11, ,.....11)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4)와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3)의 일측에 설치된 승강부(이하 승강기로 칭함)(5)와, 카트리지 수용부(3)에 장전된 디스크 카트리지(4)의 개구부(36)를 따라서 승강기(5)를 승강시키는 승강이동 제어기구(6)와,디스크 카트리지(4)와 승강기(5) 사이에 트레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로딩기구(7)(도 23참조)와, 상기 로딩기구(7)에 의해 승강기(5)로 전달된 트레이 위의 디스크를 디스크 테이블에 척킹하는 디스크 척킹기구(8)(도 14참조)를 포함한다. 승강기(5)는 승강이동 제어기구(6)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4)의 원하는 트레이의 위치로 승강됨으로써 원하는 트레이(11)를 로딩기구(7)를 통해서 승강기(5)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1)에 설치된 디스크(D)는 디스크 척킹기구(8)에 의해 디스크 테이블 위에 척킹되어 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행한다.
(2) 디스크 카트리지의 설명
도 2는 디스크 카트리지(4)의 사시도이다. 디스크 카트리지(4)는 디스크(D)를 설치하는 복수의 트레이(11, ....11)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 트레이(11,...11)를 갖는 케이스(12)를 포함한다.
트레이(11)는 디스크(D)를 결합상태로 설치하는 디스크 위치결정 오목부(13)를 가지며, 오목부(13)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연장하는 디스크 테이블 도입용 절결부(14)와 픽업 이동용 절결부(15)를 포함한다. 트레이(11)의 전단측(인출측)의 일측에는 이후에 기술되는 트레이 결합부(이후 후크 결합부로 칭함)(91)와 결합하는 조작부(이후 후크부로 칭함)(16)가 설치된다.
각 트레이(11, ...11)의 후크부(16)의 상부면은 위에서(또는 아래에서) 트레이가 점유하는 어느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48)를 형성한다. 표시부(48)에는 가장 높은 트레이에서 순서대로 1부터 n까지의 일련 번호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2)의 가장 높은 트레이부터 가장 낮은 트레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일측면에도 트레이가 점유하는 어느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49)가 설치된다. 표시부(49)도 상기 트레이의 경우와 같이 1부터 n까지의 일련 번호가 제공된다.
도 3은 뒤에서 본 트레이(11)의 평면도이다. 트레이(11)는 배면의 좌우측부에 이후에 기술되는 케이스(12)에 설치된 한 쌍의 제 1 및 제 2선반형 트레이 지지부(42, 43)로 지지된 한 쌍의 제 1 및 제 2지지부(17, 18)를 갖춘다.
제 2지지부(18)와 이것을 지지하기 위한 제 2트레이 지지부(43) 사이에는 트레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 가이드(9)(도 4참조)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9)는 트레이(11)의 제 2지지부(18)의 하측에 설치된 긴 홈형의 오목부(19)와 케이스(12)의 제 2트레이 지지부(43)의 상부면에 설치된 가이드 돌기(46)를 포함한다. 긴 홈형의 오목부(19)는 트레이 액세스 방향(X-X')에 대해서 후크부(16)와 거의 동일한 선상에 형성된다.
긴 홈형의 오목부(19)에는 후크부(16)측의 단부에는 분기한 테이퍼면(20)과, 그 중심부의 제 1구멍(21)과 타단부의 제 2구멍(22)이 포함된다. 제 2지지부(18)에는 제 2구멍(22)의 측면상에는 아래로 향한 경사면(23)과 상기 경사면(23)과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제 1중공부(hollow portion)(24)와 상기 제 1중공부(24)와 연속적으로 접촉된 제 1정지부(25)가 포함된다.
제 2지지부(18)와 같이, 제 1지지부(17)에는 아래로 향한 경사면(26)과 상기 경사면(26)과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제 2중공부(27)와 상기 제 2중공부(27)와 연속적으로 접촉된 제 2정지부(28)가 포함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2)는 상부판(31), 하부판(32), 좌측판(33), 우측판(34) 및 배면판(35)에 의해 평평한 상자형태처럼 형성되어 전단개구부(36)를 통해서 트레이(11, ...11)의 로딩 및 언로딩시킨다.
케이스(12)는 소위 둥근 상태로 절단되는 개구부(36)의 일측부를 갖는다. 각 트레이(11, ....11)의 후크부(16)는 둥근 부분에서 케이스(12)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 4는 디스크 카트리지(4)의 정면도이다. 케이스(12)는 인출방향으로 트레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크 하우징(41,...41)을 포함한다. 디스크 하우징(41)은 좌우측판(33, 34)의 내부면 상의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제 1 및 제 2선반형 트레이 지지부(42, 43)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5는 도 4의 트레이(11)가 제거된 A-A'의 단면도이다. 제 1 및 제 2트레이 지지부(42, 43)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지지부(17, 18)를 수평으로 지지하는데 사용한다.
제 1트레이 지지부(42)에는 긴 방향의 중심보다도 전단(개구부:36)에 더 가까운 위치에 제 1절결부(44)가 설치된다. 제 2트레이 지지부(43)에는 제 1절결부(44)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 2절결부(45)가 설치되고, 전단측의 내측에는 가이드 돌기(46)(이후 디스크 카트리지(4)의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 돌기로 칭함)를 설치함으로써 트레이(11)의 하부측에 설치된 긴 홈형의 오목부(19)로 들어오게 한다. 제 1가이드 돌기(46)는 상기 오목부(19)의 중심에 설치된 제 1구멍(21)과 결합시키지 않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지만, 제 2구멍(22)과는 결합시킨다.
도 6은 케이스(12)에 포함된 트레이(11)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4의 A-A'의 단면도이다)이다. 도 8은 도 6의 C-C'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D-D'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D-D'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케이스(12)에 포함된 트레이(11)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지지부(17, 18)는 케이스(12)의 제 1 및 제 2트레이 지지부(42, 43)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트레이 지지부(43)에 설치된 제 1가이드 돌기(46)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9)를 형성하는 트레이(11)에 설치된 긴 홈형의 오목부(19)와 결합된다.
도 6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1)의 후크부(16)에 손가락 끝을 걸거나 이후에 기술되는 로딩기구(7)의 후크 결합부(91)를 결합시켜서 트레이(11)를 끌어당기면, 트레이(11)는 긴 홈형 오목부(19)와 제 1가이드돌기(46)를 통해서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고 직선으로 케이스(12)에 인출된다.
도 10은 소정량 만큼 케이스(12)에서 인출된 도 6에 대응하는 트레이(1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E-E'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F-F'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G-G'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트레이(11)가 소정량 만큼 케이스(12)에서 인출될 때, 트레이(11)의 제 1 및 제 2정지부(25, 28)는 케이스(12)의 제 1 및 제 2트레이 지지부(42, 43)에 설치된 제 1 및 제 2절결부(44, 45)로 도입되고, 케이스(12)의 제 1 및 제 2절결부(44, 45) 전방의 제 1 및 제 2트레이 지지부(42, 43)는 제 1 및 제 2정지부(25, 28)에 연속적으로 접촉된 제 1 및 제 2중공부(24, 27)로 도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트레이 지지부(42, 43)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2중공부(24, 27)의 상부면이 지지된 상태로 트레이(11)가 되고, 케이스(12)에 설치된 가이드 돌기(46)가 상기 트레이(11)에 설치된 제 2구멍(22)과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11)가 케이스(12)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를 얻는다.
(3) 승강기의 설명
승강부 또는 승강기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개구부(36)에 대향에서 설치되고, 승강이동 제어기구에 의해 원하는 디스크 하우징의 위치로 승강되고, 로딩기구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된 트레이에 설치된 디스크는 척킹기구에 의해 디스크 테이블에 척킹되어 광픽업과 같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통해서 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행한다.
도 14는 승강기(5)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승강기의 정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승강기(5)를 구성하는 상부 블록부(51)와 하부 블록부(53)의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기(5)는 상부 블록부(51)와 제 1축(52)에 의해 상부 블록부(5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블록부(53)와 상부 블록부(51)의 양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및 제 2 하부 블록 회전부(54, 55)와 제 1 및 제 2 하부 블록 회전 조작부(54, 55)를 연결하여 이들을 동기시켜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연결레버(56, 57)를 포함한다. 제 1연결레버(56)의 일단부는 제 1축(58)에 의해 제 1하부블록 회전 개구부(54)에 연결되고, 중심부는 제 2축(59)에 의해 상부 블록부(5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타단부는 제 3축(이후 연결핀으로 칭함)(60)에 의해 제2링크레버(57)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제 2연결레버(58)의 중심부는 제 4축에 의해 상부 블록부(51)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 5축에 의해 제 2 하부 블록 회전 조작부(55)에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하부블록 회전 조작부(54, 55) 중 하나가 슬라이드 될 때, 다른 하나는 제 1 및 제 2 연결레버(56, 57)를 통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촉구된다.
제 1 및 제 2 하부블록 회전 조작부(54, 55)는 하부블록부(53)(제 1축(2)의 대향하는 단부)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 2축(64)이 삽입되는 경사진 조작홈(63)을 갖는다. 도 14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조정홈(63)의 하단측에 위치된 제 2축(64)에 있어서, 하부 블록부(3)의 자유단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축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로 경사진다. 그리고, 트레이의 삽입이 종료되면, 제 1 및 제 하부블록 회전조작부(54, 55)는 도 14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켜 경사진 조작홈(63)의 상단측에 제 2축을 위치시킴으로써 하부 블록부(53)를 거의 수평으로 올려서 유지시킨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블록부(15)는 좌우측에 한 쌍의 트레이 지지부(이후 승강기의 트레이 지지부를 제 3 및 제 4트레이 지지부로 칭함)(65, 66)를 갖춘다. 제 3 및 제 4트레이 지지부(65, 66)는 디스크 카트리지(4)에서 인출된 트레이(11)의 양측에 제 1 및 제 2지지부(17, 18)를 지지하는데 사용한다.
제 3트레이 지지부(65)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4)로부터 인출된 트레이(11)의 긴 홈형 가이드부(19)로 들어가서 트레이(11)의 인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이후 승강기의 가이드 돌기를 제 2가이드 돌기로 칭함)(67)를 포함한다.
트레이(11)를 승강기(5)내로 가장 깊게 인입하면, 제 2가이드 돌기(67)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1)의 긴 홈형 오목부(19)의 중심에 설치된 제 2구멍(21)에 결합됨으로써 트레이(11)가 대략 1mm정도 하강되게 한다.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블록부(51)에는 로딩기구(7)와 디스크 척킹기구(8)가 갖추어 진다.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블록부(53)에는 디스크 테이블(68)과 이 디스크 테이블(68)을 회전 구동시키는 스핀들 모터(70)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 및 광픽업(69)과, 광픽업(69)이 갖추어진 캐리지(71)와 같은 광블록으로 이루지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부가 포함된다. 캐리지(71)는 가이드축(72)을 따라 광픽업(69)을 이동시킨다. 또한, 캐리지(71)는 캐리지 구동기구(73)에 의해 구동된다. 캐리지 구동기구(73)는 모터(74), 기어트레인(75) 및 가이드축(72)을 갖추고 있고, 모터(74)에서 기어트레인(75)을 통해서 리드 스크류(76)를 회전시킴으로써 캐리지(71)가 가이드축(72)을 따라 이동되고, 캐리지(71)에 장착된 광픽업(69)을 디스크 테이블(68)에 척크된 디스크(D)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기(5)는 일 측면에 제 1지지축(77)을 갖추고 다른 측면에 제 2 및 제 3지지축(78, 79)을 갖춘다. 제 1지지축(77)을 기계샤시(10)의 제 1측면(10a)에 설치된 승강 이동가이드홈(10b)에 삽입하고 제 2 및 제 3지지축(78, 79)을 기계샤시(10)의 제 2측면(10c)에 설치된 승강 이동가이드홈(10d, 10e)에 삽입함으로써, 승강기(5)는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동되도록 기계샤시(10)에 장착된다.
승강기(5)는 이후 기술되는 승강이동 제어기구(6)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4)내의 원하는 트레이(11)의 위치로 승강 이동되어 트레이(11)를 인출하고 디스크 테이블(68)상에 디스크(D)를 처크하여, 광픽업과 같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에 의해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한다.
(4) 승강이동 제어기구의 설명
승강이동 제어기구는 디스크 카트리지내의 원하는 트레이의 위치로 승강기를 승강이동시키는데 사용한다.
도 18은 승강이동 제어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승강기가 디스크 카트리지 내의 가장 높은 트레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승강기가 디스크 카트리지 내의 가장 낮은 트레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대기위치에 대기하는 승강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이동 제어기구(6)는 기계샤시(10)의 제 1측면(10a)의 외측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위치된 승강이동 조작판(81)과 기계샤시(10)의 제 2측면(10c)의 외측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위치된 제 2 승강이동 조작판(82)과 제 1 및 제 2승강이동 조작판(81, 82)을 연결하는 연결레버(83)와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을 슬라이드하기 위한 조작판 구동기구(84)를 포함한다.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은 기계샤시(10)의 제 1측면(10a)에 설치된 제 1승강기구 가이드홈(10b)과의 교점에서 승강기(5)의 제 1지지축(77)을 지지하는 제 1조작홈(85)을 포함한다.
제 1조작홈(85)에는 경사진 승강이동 조작홈부(85a)와 연결홈부(85b)를 통해서 승강이동 조작홈부의 하단부에 연결된 수평대기 홈부(85c)가 설치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승강이동 조작홈부(85a)의 상단부에 제 1지지축(77)을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은 디스크 카트리지(4)내의 가장 높은 트레이(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승강기(5)를 지지하게 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승강이동 조작홈부(85a)의 하단부에 제 1지지축(77)을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은 디스크 카트리지(4)내의 가장 낮은 트레이(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승강기(5)를 지지하게 한다. 이 경우에, 승강기(5)의 하단부는 기계샤시(10)의 하단부(10f)에서 돌출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대기 홈부(85c)에 제 1지지축(77)을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이후 기술되는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과 함게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은 승강기(5)를 가장 낮은 트레이(11)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승강기(5)의 하단부가 기계샤시(10)의 하단부에서 돌출하지 않는 위치(기계샤시(10)내에 포함된 위치)까지 상승시켜서 대기상태가 되게 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은 기계샤시(10)의 제 2측면(10c)에 설치된 제 2승강이동 가이드홈(10d)과의 교점에서 승강기(5)의 제 2지지축(78)을 지지하는 제 2조작홈(86)과 제 3승강이동 가이드홈(10e)과의 교점에서 승강기(5)의 지지축(79)을 지지하는 제 3조작홈(87)으로 이루어진다.
제 1조작홈(85)과 동일하게, 제 2조작홈(86)에는 경사진 승강이동 조작홈부(86a)와 연결홈부(86b)를 통해서 승강이동 조작홈부(86a)의 하단부에 연결된 수평대기 홈부(86c)가 설치되어 있다.
제 2조작홈(86)과 동일하게, 제 3조작홈(87)에는 경사진 승강이동 조작홈부(87a)와 연결홈부(87b)를 통해서 승강이동 조작홈부(87a)의 하단부에 연결된 수평대기 홈부(87c)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및 제 3지지축(78, 79)이 제 2 및 제 3조작홈(86, 87)의 경사진 승강이동 조작홈부(86a, 87a)의 상단부에 위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과 함께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은 승강기(5)를 디스크 카트리지(4)내의 가장 높은 트레이(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한다. 승강기(5)의 제 2 및 제 3지지축(78, 79)이 승강이동 조작판(82)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은 디스크 카트리지(4) 내의 가장 낮은 트레이(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승강기를 지지한다. 그리고 승강기의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이 수평대기 홈부(86c, 87c)에 위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은 승강기(5)를 가장 낮은 트레이(11)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승강기(5)의 하단부가 기계샤시(10)의 하단부에서 돌출하지 않는 위치(기계샤시내에 포함된 위치)까지 이동시켜셔 대기상태로 한다.
제 2 및 제 3조작홈(86, 87)은 제 1조작홈(85)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과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승강이동한다.
연결레버(83)는 축(83a)에 의해 기계샤시(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중심부를 가지며, 그 일단은 제 1핀(83b)과 슬롯(83c)에 의해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2핀(83d)과 슬롯(83e)에 의해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에 연결된다.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을 조작판 구동기구(84)에 의해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연결레버(83)는 축(83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과 동기하여 반대방향으로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을 슬라이드 시킨다.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이동 조작기구(6)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이 가장 좌측으로 이동될 때,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이 기계샤시(10)의 측면(10c) 측의 가장 오른쪽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의 제 1조작홈(85)의 경사진 승강이동 조작홈부(85a)의 상단부에 승강기(5)의 제 1지지축(77)을 지지하고 또한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의 제 2 및 제 3지지축(78, 79)을 지지함으로써 승강기(5)를 디스크 카트리지(4) 내의 가장 높은 트레이(1)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이동 조작판(81)을 소정량 만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은 이것과 동기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승강기(5)를 디스크 카트리지(4)의 상부에 제 2트레이, 제 3트레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기(5)의 제 1지지축(77)이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의 제 1조작홈(85)의 경사진 승강이동 조작홈부(85a)의 하단부에 지지되면, 승강기(5)의 제 2 및 제 3지지축(78, 79)은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의 제 2 및 제 3조작홈(86, 87)의 경사진 승강이동 조작홈부(86a, 87a)의 하단부에 지지됨으로써 승강기(5)는 가장 낮은 트레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된다.
도 20에 나타낸 상태에서 제 1승강이동 조작판(81)을 소정량 만큼 우측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제 2승강이동 조작판(82)은 이것과 동기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1, 제 2 및 제 3지지축(77, 78, 79)은 제 1, 제 2 및 제 3조작홈(85, 86, 87)의 대기홈부(85c, 86c, 87c)로 돌출되어 승강기(5)의 하단부(5a)는 적어도 기계샤시(10)의 하단부 위의 대기위치에 지지된다.
(5) 로딩기구의 설명
로딩기구는 디스크 카트리지에서 트레이(디스크)를 승강기로 반송하는데 사용하고, 승강기에서 트레이를 디스크 카트리지로 반송 또는 복귀하는데 사용한다.
도 22는 로딩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분배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트레이의 인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딩기구(7)는 트레이(11)의 후크부(16)와 결합된 후크 결합부(91)와 후크 결합부(91)를 트레이 액세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92)와 벨트(92)를 구동하는 벨트 구동기구(93)를 포함한다. 후크결합부(91)는 승강기(5)의 상부 블록부(51)의 제 3트레이지지부(65)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벨트(92) 및 벨트구동기구(93)는 제 3트레이지지부(65)의 하부측에 배치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 결합부(91)는 벨트(92)를 갖춘 결합부(91a)를 갖는다. 결합부(91a)는 제 3트레이 지지부(65)에 설치된 가이드구멍(65a)을 통해서 제 3트레이지지부(65)의 하측으로 돌출하고, 핀(91b)에 의해 벨트(92)에 장착된다.
벨트(92)는 이음새가 없는 형태 또는 엔드리스 형태와 같이 형성된다(이후 벨트(92)를 엔드리스 벨트로 칭함). 엔드리스 벨트(92)는 제 1풀리(94)와 제 2풀리(95) 사이에 둘러지고, 이들 사이에 적어도 한 쪽의 직선부는 트레이 액세스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후크결합합부(91)는 한 쪽의 직선부에 장착되고 엔드리스 벨트(92)의 회전으로 가이드구멍(65a)을 따라서 트레이 액세스 방향으로 이동된다. 엔드리스 벨트(92)는 그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다수의 절결홈(92a,....92a)으로 형성된다.
벨트구동기구(93)는 엔드리스 벨트(92)를 구동하는 사슬톱니(100)과 사슬톱니(100)와 동축으로 배치된 제 1기어(101)와 제 1기어(101)와 맞물린 제 2기어(102)와, 제 2기어(102)와 맞물린 제 3기어(103)와, 제 3기어(103)와 동축으로 배치된 제 4기어(104)와, 제 4기어(104)와 맞물린 제 5기어(105)와 제 5기어(105)를 회전시키는 로딩모터(106)로 이루어진다.
사슬톱니(100)는 엔드리스 벨트(92)의 다른 쪽 직선부에 배치된다. 사슬톱니(100)의 주위에는 엔드리스 벨트(92)의 절결홈(92a,....92a)과 결합된 돌기(100a,....100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기어(101)는 스페이서(107)를 통해서 사슬톱니(1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스페이서(107)에는 원호형 절결부(108)가 설치된다.
제 2기어(102)의 상반부에는 칩-티스부(chipped-teeth portion)(109)가 설치되고, 칩-티스부(109)에 대응하는 제 2기어(12)의 상부면의 부분에는 스페이서(107)의 절결부(108)에 대향하는 원호형 리브(110)가 설치된다. 제 1기어(101)는 제 1기어(101)는 칩-티스부(109)를 가지는 제 2기어의 상반부와 맞물린다. 제 3기어(103)는 제 2기어(102)의 상반부와 하반부 양쪽과 맞물린다. 스크류 기어(헬리컬 기어)는 제 4기어(104)로서 사용하며 웜기어는 제 5기어(105)로서 사용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결합부(91)가 승강기(5)의 트레이 액세스로 향해 가장 전진한 상태로 하여 디스크 카트리지(4)가 화살표 A방향으로부터 기계샤시의 카트리지 하우징(3) 내로 삽입되면, 트레이(11)의 후크부(16)는 자동적으로 후크결합부(91)와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모터(106)가 한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로켓트(100)는 제 5기어(105) 내지 제 1기어(101)를 통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엔드리스 벨트(9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1)를 승강기(105)내로 인입한다. 트레이(11)가 소정의 위치까지 인입되면, 제 2기어(102)와 제 1기어(101)의 결합이 풀려서 사슬톱니(100)와 엔드리스 벨트(92)를 중지시킨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기어(102)의 상부면에는 로딩기구(7)와 동기하여 승강기(5)의 하부 블록부(53)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6기어(111)가 설치된다.
제 6기어(111)는 칩-티스부(111a)를 갖는다. 제 6기어(111)는 승강기(5)의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5)의 하단에 장착된 랙부재(112)의 랙(112a)과 맞물린다. 랙부재(112)의 일측에는 승강기(5)의 하부블록부(53)의 일측에는 제 2축(64)이 삽입된 경사진 조작홈(63)이 설치된다. 랙부재(112)는 승강기(5)의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5)의 하단부에 있는 장착부(55a)에 장착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트레이(11)가 소정의 위치까지 승강기(5)로 인입되어 제 2기어(102) 및 제 1기어(101)의 결합을 풀면, 제 6기어(111)와 랙부재(112)는 서로 맞물려 랙부재(112)와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5)를 도 23의 좌측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축(64)을 경사진 조작홈(63)의 상단부까지 밀어 올린다. 반면,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5)의 이동에 의해 제 1하부블록 회전조작부(54)는 제 1 및 제 2연결레버(56, 57)를 통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블록부(53)의 다른 측면의 제 2축(64)을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5)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회전조작부(55)의 상단부까지 밀어 올리고, 하부블록부(53)를 위로 행해서 회전시킴으로써 트레이(11)에 의해 지지된 디스크(D)를 디스크 테이블(68)에 장착한다.
또한, 하부블록부(53)가 위로 향해서 회전된 상태에 있어서 로딩모터(106)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랙부재(112)와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5)는 트레이가 인입시와 반대로 이동된다. 이들과 동기하여, 제 1하부블록 회전조작부(54)는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부블록부(3)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디스크 테이블(68)을 트레이(11)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제 2기어(102) 및 제 1기어(101)는 서로 맞물려서사슬톱니(100)와 엔드리스벨트(92)를 트레이 인입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후크결합부(91)에 의해 트레이(11)를 디스크 카트리지(4) 내로 밀어 내린다.
(6) 디스크 척킹기구의 설명
디스크 척킹기구는 디스크를 디스크 테이블 상에 눌러서 디스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디스크 테이블과 디스크를 함께 회전시켜서, 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확실하게 실행하게 한다.
도 26은 승강기의 상부면에 장착된 디스크 척킹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디스크 척킹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척킹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척킹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척킹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1은 척킹상태의 정면도이다.
디스크 척킹기구(8)는 디스크를 유지하는 척킹판(121)과, 척킹판(121)을 지지하는 척킹판 지지부재(122)와, 척킹판 지지부재(132)를 통해서 척킹판(121)에 대해서 디스크를 누르는 조작부(123)를 포함한다.
척킹판(121)은 디스크 테이블(68)과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과 같이 형성되고, 중심부를 축(131)에 의해 다소 수직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척킹판 지지부재(122)에 의해 지지된다.
척킹판 지지부재(122)는 판스핑링 재질에 의해 좁은 직사각형 형태와 같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일단부와 타단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슬롯(132, 133)을 가지며, 제 1 및 제 2슬롯(132, 133) 내측에는 하측면을 향해서 돌출하는 소위 잘라서 세우는 방법으로 제 1 및 제 2돌출부(134, 135)가 형성된다.
척킹판 지지부재(122)는 제 1 및 제 2슬롯(132, 133)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 1 및 제 2슬롯(132, 133)에 삽입된 제 1 및 제 2축(136, 137)에 의해 승강기(5)의 상부블록부(51)의 상부면에 장착된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킹판 지지부재(122)는 아래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디스크 테이블(68)에 대해서 척킹판(121)을 누르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부가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123)는 베이스(141)와 베이스(141)의 선단에서 나누어진 제 1 및 제 2암(142, 143)을 포함한다.
베이스(141)에는 제 1 및 제 2슬라이드-가이드 슬롯(144, 145)과 제 1 및 제 2슬라이드-가이드 슬롯(144, 145) 사이에 배치된 접속핀 수취슬롯(146)이 설치된다.
제 1 및 제 2슬라이드 가이드 슬롯(144, 145)을 이용해서, 베이스(141)는 제 1 및 제 2슬라이드 가이드 부재(147, 148)에 의해 승강기(5)의 상부 블록부(51)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제 1 및 제 2슬라이드-가이드 슬롯(144, 145)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상부 블록부(51)의 상부면에 배치된 제 1연결레버(56) 및 제 2연결레버(57)를 위한 연결핀(60)이 접속핀 수취슬롯(146)에 느슨하게 끼워진다.
제 1 및 제 2암(142, 143)은 각각 제 1 및 제 2돌출부(134, 135)의 하부측에 인접하고 제 1 및 제 2돌출부(134, 135)와 척킹판 지지부재(122)를 스프링력에 대향해서 밀어올려서 디스크 테이블(68) 상의 디스크(D)로부터 척킹판(121)을 분리하는 척킹판 지지부재 푸시업부(pushing-up portion)(151)와, 아래로 향하는 경사면(152)을 거쳐서 푸시업부(151)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척킹판 지지부재 하강 허용부(153)를 포함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123)를 화살표 A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한 상태로 하면, 제 1 및 제 2암(142, 143)의 척킹판 지지부재 하강허용부(153)는 척킹판 지지부재(122)의 제 1 및 제 2돌출부(134, 135)의 하부측에 위치된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킹판 지지부재(122)는 자신의 스프링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변형하고 척킹판(121)을 디스크 테이블(68)로 하강시키고, 척킹판(121)과 디스크 테이블(68) 사이에 디스크(D)를 척킹시킨다(이 때, 승강기(5)의 하부 블록부(53)는 조작부(123)의 조작과 동기하여 위로 향해서 회전시켜서 디스크 테이블(68)을 위로 상승시킨다).
도 30 내지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123)를 화살표 B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면, 제 1 및 제 암(142, 143)의 척킹판 지지부재 푸시업부(151, 151)는 척킹판 지지부재(122)의 제 1 및 제 2돌출부(134, 135)의 하부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척킹판 지지부재(122)는 자신의 스프링력에 대향해서 위로 밀려서 디스크 테이블(68) 상의 디스크로부터 척킹판(121)을 분리한다(이 때, 승강기(5)의 하부블록부(53)는 회전부(123)의 조작과 동기해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고 디스크 테이블(68)을 하강시킨다).
조작부(123)와 하부블록부(53)의 동기 조작은 승강기(5)의 상부 블록부(51)의 하부측에 설치된 제 1 및 제 2링크레버(56, 57)를 통해서 실행된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1)가 로딩기구에 의해 승강기(5)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면, 승강기(5)의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5)는 로딩기구(7)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된다(상세한 설명은 (2)승강기의 설명을 참조).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5)를 화살표 A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면, 축(62)에 의해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5)에 연결된 일단을 가지는 제 2연결레버(57)는 제 4축(61)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연결레버(56)는 제 2축(59)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 1축(58)을 통해서 제 1연결레버(56)의 일단에 연결된 제 1하부블록 회전조작부(54)는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5)와 제 1하부블록 회전조작부(54)는 화살표 A방향으로 동기하여 미끄러져 제 1 및 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4, 55)의 하부에 설치된 경사진 조작홈(63)의 상단 위에 하부 블록부(53)의 제 2축(64)을 위치시키고 제 1축(52)에 대해서 하부 블록부(53)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테이블(68)을 상승시킨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 2연결레버(57)가 제 4축(61)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작부(123)는 제 1 및 제 2연결레버(56, 57)의 접속핀(60)과 접속핀 수취슬롯(146)을 통해서 화살표 B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제 1 및 제 2암(142, 143)의 척킹판 지지부재 하강허용부(153, 153)는 척킹판 지지부재(122)의 제 1 및 제 2돌출부(134, 135)의 하부에 위치되어 그 자신의 스프링력에 의해 척킹판 지지부재(122)를 변형시키고 척킹판(121)에 의해 디스크 테이블(68)에 대해서 디스크(D)를 누름으로써 디스크(D)를 척킹한다.
트레이의 언로딩시에, 제 1 및제 2하부블록 회전조작부(54, 55) 및 조작부(123)는 로딩시와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척킹판 지지부재(122)를 밀어 올려서 척킹판(121)을 척킹 해제위치로 상승시키는 동시에 하부블록부(53)를 회전시켜 디스크 및 트레이로부터 디스크 테이블(68)을 분리시킨다.
(7) 디스크 체인 전체의 설명
디스크(D)가 디스크 카트리지(4)의 트레이(11, ....11)에 배치되어 디스크 카트리지(3)의 디스크 카트리지(4)에 장착되면, 트레이(11,...11)의 후크부(16) 및 승강기(5)에 설치된 로딩기구(7)의 후크결합부(91)는 서로 결합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승강기(5)는 승강이동 제어기구(6)에 의해 대기위치에서 원하는 디스크가 설치된 트레이(11)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상승된다. 그리고, 로딩기구(7)는 설치된 원하는 디스크를 갖는 트레이(11)를 디스크 카트리지(4)에서 승강기(5)로 인입한다.
트레이(11)가 소정의 위치까지 승강기(5)내로 인입되면, 로딩기구(7)에 의해 하부블록부(53)가 위로 향해서 회전되고, 하부블록부(53)에 장착된 디스크 테이블(68)을 상승시켜 디스크 테이블(68)에 트레이(11)의 디스크(D)를 설치한다. 하부블록부(53)의 회전조작과 동기하여, 디스크 척킹기구(8)가 작동하여 척킹판(121)이 하강하고 트레이(11)를 디스크(D)의 하부측에서 분리한 상태로 디스크(D)를 디스크 테이블(68)에 척킹함으로써 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행하게 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처리를 종료한 후에 다시 로딩기구(7)를 구동시키면, 승강기(5)의 하부블록부(53)는 로딩기구(7)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크(D)와 트레이(11)를 분리한다. 또한, 하부블록부(3)의 회전과 동기하여 디스크 척킹기구(8)가 구동하고 척킹판(121)을 상승시킴으로써 디스크의 척킹을 해제한다.
그리고, 디스크 로딩기구(7)의 연속적이 조작을 통해서, 트레이(11)는 승강기(5)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4)로 복귀된다. 트레이(11)가 디스크 카트리지(4)로 완전히 복귀되면, 승강이동 제어기구(6)는 다시 기동하여 승강기(5)를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8) 로딩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엔드리스 벨트(93)는 제 1풀리(101)와 제 2풀리(102) 사이에 걸려있고, 트레이 결합부(91)는 제 1 및 제 2풀리(101, 102)사이의 한 쪽의 직선부에 장착되고 사슬톱니(94)는 다른 쪽 직선부와 접촉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사슬톱니(94) 대신에, 제 1풀리(101) 또는 제 2풀리(102)가 모터(100) 내지 기어 트레인 등에 의해 회전된 구동풀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슬톱니는 구동풀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엔드리스 벨트(93) 대신에 이음새가 있는 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로딩기구는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오토 체인저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디스크를 유지하는 복수의 트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개구부에 대향해서 배치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부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서 트레이를 상기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부로 전달하고 상기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부에서 디스크 카트리지에 트레이를 전달하는 로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로딩기구는 트레이의 결합부와 결합된 트레이 결합부와, 트레이 결합부를 이동하게 하는 벨트와, 벨트를 구동하게 하는 벨트구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도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엔드리스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리스 벨트가 풀리 사이에 걸려있고, 상기 트레이 결합부는 상기 트레이 반출 및 반입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엔드리스 벨트에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벨트 구동기구는 사슬톱니(sprocket)를 사용하고, 상기 사슬톱니는 풀리 사이의 엔드리스 벨트의 직선부분과 접촉하여 엔드리스 벨트를 이동시키고, 적어도 상기 사슬톱니와 접촉하는 엔드리스 벨트의 직선부는 사슬톱니의 원주면에 배치된 돌출부와 결합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 로딩기구에 있어서,
    벨트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트레이 피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트레이의 반출 및 반입을 행하는 트레이 결합부를 벨트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기구.
KR1020027007975A 2000-11-17 2001-11-07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20030009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0523A JP2002157811A (ja) 2000-11-17 2000-11-17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JP-P-2000-00350523 2000-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335A true KR20030009335A (ko) 2003-01-29

Family

ID=1882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975A KR20030009335A (ko) 2000-11-17 2001-11-07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47538B2 (ko)
EP (1) EP1335359A1 (ko)
JP (1) JP2002157811A (ko)
KR (1) KR20030009335A (ko)
CN (1) CN1395732A (ko)
WO (1) WO20020413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730B1 (ko) * 2002-05-01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로딩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0715B2 (ja) * 2002-07-30 2006-08-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EP1435616A1 (en) * 2003-01-06 2004-07-07 Thomson Licensing S.A. Medium changer with compact loading mechanism
EP1437731A3 (en) * 2003-01-06 2004-09-01 Thomson Licensing S.A. Medium changer with compact loading mechanism
US7383560B2 (en) * 2005-01-18 2008-06-03 Imation Corp. Multi-disk data cartridge
US20090133046A1 (en) * 2007-11-20 2009-05-21 Lite-On It Corporation Disc Guiding Apparatus having a Logic Apparatus
CN101587722B (zh) * 2008-05-21 2011-04-13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光驱进、退片的控制方法
JP5657978B2 (ja) * 2010-09-29 2015-01-21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ライブラ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6802B2 (ja) 1983-07-19 1995-07-1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電極の製造方法
JPS6023958U (ja) * 1983-07-25 1985-02-19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プレ−ヤ
JPH046851A (ja) 1990-04-24 1992-01-10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マスクパターンの基準寸法確認方法
JPH046851U (ko) * 1990-04-26 1992-01-22
JP2913447B2 (ja) * 1994-02-23 1999-06-28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集合型光ディスク装置
JPH07254206A (ja) * 1994-03-16 1995-10-03 Nec Eng Ltd カートリッジアクセスステーション
JPH07282519A (ja) * 1994-04-05 1995-10-27 Aiwa Co Ltd オートローダ
JP3163371B2 (ja) * 1995-10-31 2001-05-08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集合型光ディスク装置
JPH09259503A (ja) * 1996-03-19 1997-10-03 Hitachi Ltd カートリッジ搬送装置の位置決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730B1 (ko) * 2002-05-01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로딩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41314A1 (fr) 2002-05-23
US20020191500A1 (en) 2002-12-19
JP2002157811A (ja) 2002-05-31
EP1335359A1 (en) 2003-08-13
US7047538B2 (en) 2006-05-16
CN1395732A (zh)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12035B2 (ko)
JP301726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20030009335A (ko)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JP200215780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並びに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109813A (ja) ディス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再生方法
KR0158055B1 (ko) 디스크 재생 장치
US5796709A (en) Disk reproduc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onnection between the centering member and turntable
EP1246180B1 (en) Disc reproducing apparatus
JPH11213508A (ja) ディスク移送機構
US5933403A (en) Disk player having a magazin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disks
EP0962926A1 (en) Disc reproducing device
KR960011292B1 (ko) 정보기록매체의 자동 교환방법 및 그 장치
EP0955633A1 (en) Disc changer for a disc player
EP0755053A2 (en) Disk loading apparatus
JP2002157810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2157812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CN219018804U (zh) 一种方便退卡的sim卡卡座及移动终端
JP200213382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627020Y2 (ja) デイスクプレ−ヤ
JP2002157808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533727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KR100213766B1 (ko)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JPH04111266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333597B1 (ko) 디스크구동장치
JP3449916B2 (ja) ディスク演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