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766B1 -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766B1
KR100213766B1 KR1019920027283A KR920027283A KR100213766B1 KR 100213766 B1 KR100213766 B1 KR 100213766B1 KR 1019920027283 A KR1019920027283 A KR 1019920027283A KR 920027283 A KR920027283 A KR 920027283A KR 100213766 B1 KR100213766 B1 KR 10021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hassis
loading
guide
disc 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123A (ko
Inventor
이순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20027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766B1/ko
Publication of KR94001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8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consecutive-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수개의 트레이를 수납하는 매거진을 형성하고 메거진에 수납된 트레이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로딩샤시를 상하로 작동되는 상하작동부를 형성하며 상하작동부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부로 구성한 트래이 선택장치와, 상기 트레이 선택장치에 의하여 선택된 트레이를 인출하는 인출부를 형성하고 인출부에 의하여 인출된 트레이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를 형성하며 수평이동부에 의하여 이동되는 트레이가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형성하고 안내부에 의하여 이동된 트레이에서 인출부를 해제하는 해제부로 구성한 트레이 이송장치와, 상기 트레이 이송장치에 의하여 트레이샤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를 형성하고 상하 이동부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는 트레이샤시가 전후로 수평을 유지하여 주도록한 전후 수평유지부를 형성하며 트레이샤시가 좌우로 수평을 유지하는 좌우 수평유지부로 구성한 로딩장치와, 로딩된 트레이가 수평을 유지토록한 클램퍼를 형성하고 클램퍼가 구비된 홀더를 로딩샤시에 연결한 연결부을 형성하며 홀더를 항상 하향지게 밀어주는 탄지부를 구성한 클램핑장치와, 로딩 및 클램핑된 트레이의 디스크를 회전시켜주는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제1도는 종래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작동상태도.
제3도는 종래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작동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CD트레이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트레이 102 : 메거진
103 : 걸림홈 104 : 로딩샤시
105, 105' : 축 106 : 작동레버
107 : 안내봉 108, 108' : 지지편
109 : 랙크 110 : 피니온
201 : 걸림턱 202 : 캐리어
203 : 회전축 204 : 탄성부재
205 : 캐리어 홀더 206 : 나사공
207 : 나사봉 208 : 모터
210 : 트레이 샤시 211, 212 : 안내공
213 : 측면부 214 : 안내돌부
215 : 안내봉 216 : 안내장공
216' : 경사장공 217 : 안내홈
218 : 측벽 301 : 절곡레버
302 : 연결핀 303 : 탄성부재
304 : 연결핀 305 : 링크
307 : 탄성부재 308 : 연결봉
401 : 클램퍼 402 : 홀더
403 : 지지판 404 : 지지편
405 : 삽입공 406 : 압지판
407 : 지지돌편 408 : 연결편
409 : 결합판 410 : 탄성부재
411 : 통공 412 : 통공
501 : 턴테이블 502 : 픽업
503 : 지지판 504 : 고정편
본 발명은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매의 콤팩트 디스크(이하는 CD로 칭함)를 동시에 수납하여 단일매를 교환할때 생기는 연주의 끊김을 없애 연속 연주를 가능토록한 것이다.
종래의 CD플레이어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CD를 본체 내부의 클램프로 이송시키는 방식이 크게 두가지로 양분되는데, 하나는 트레이위에 CD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내부로 이송시키도록한것과 또하나는 CD를 캐디내에 수납시킨 상태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 캐디내에 CD를 수납시켜 이송시키는 로딩장치는 제1도와 같이 로딩장치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로딩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연동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의 회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회동을 상향 경사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슬라이딩 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의 상향 경사이동을 상향 수직 이동으로 전환하는 슬라이딩 이송부와 상기 슬라이딩 이송부의 상향 수직이동시 하향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이송 플레이트의 로딩 동작을 안내하는 픽업 베이스부로 구성되었는바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 내부의 메인 플레이트(11) 적소에 설치된 동력전달부는 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모터축에 워엄(21)을 구성하였다.
구동부는 동력 전달부의 워엄(21)과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2단기어(30)와 상기 2단기어(30)의 하측기어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31)로 구성되었다.
연동부는 구동부의 구동기어(31)와 치합되어 구동기어(31)의 회동에 따라 이송 플레이트(80)의 하향이동을 도모하는 이동홈(41)이 하단에 형성된 캠기어(40)로 구성되었다.
회동부는 연동부의 캠기어(40)와 치합되어 캠기어(40)의 회동시 회동력을 전달받는 부채꼴형 치차(50)로 구성되었다.
슬라이딩 안내부는 상기 회동부의 치차(50)에 연결되어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향 경사이동하는 지지간(60)과 상기 지지간(6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캐디 상축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캐디를 상향안내하는 안내홈(64)이 형성된 안내돌기(61)와 상기 지지간(60)과 안내돌기(61)에 탄설되어 탄발력에 의해 안내돌기(61)가 원상복귀하는 것을 도모하는 스프링(62)으로 구성되었다.
슬라이딩 이송부는 메인플레이트(11)의 상축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의 상향 경사이동시 수직이동으로 변환시키는 판상의 무빙플레이트(70)와 무빙 플레이트(70)의 양단과 메인 플레이트(11)에 단설되어 상향 수직이동된 무빙플레이트(70)를 원상복귀 시켜주는 스프링(71)과 무빙 플레이트(70)의 상측 적소에는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의 안내돌기(61)가 지지설치되어 슬라이딩 이송부의 상향 경사이동을 상하 수직이동으로 변화시키는 일측에 반원형의 절곡홈(73)이 형성된 장방형 안내홈(72)을 구성하였다.
이송 플레이트부의 이송 플레이트(80)는 메인플레이트(11)의 하측에 설치되어 무빙플레이트(70)가 상향 이동시 하향이동되며 픽업베이스(90)로 구동하여 원할한 로딩동작을 안내하도록 양측 적소와 하측에 형성된 롤러(82)와 이송 플레이트(80)의 상측 적소에 돌출설치되며 상기 캠기어(40)의 하단에 형성된 이동홈(41)에 삽입되어 캠기어(40)의 회동시 이동홈(41)에 삽입되어 캠기어(40)의 회동시 이동홈(41)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편(81)으로 구성되었다.
픽업베이스부의 픽업베이스(90)는 도시하지 않은 광픽업과 클램프등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송플레이트부가 하측에 부착된 메인 플레이트(11)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플레이트(80)의 롤러(82)와 대응설치되어 구동되는 롤러(82)를 하향 안내하는 경사부(91)를 갖는 안착홈(92)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 CD플레이어의 로딩장치는 최초 메인플레이트(11)의 하측에 이송플레이트(80)가 부착설치된 상태에서는 이송플레이트(80)의 하측에 형성된 롤러(82)가 픽업베이스(90)에 형성된 안착홈(9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롤러(82)가 픽업베이스(90)의 상편에서 지지된 상태이며 픽업베이스(90)의 상면과 이송플레이트(80)의 하면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이다.
이상태에서 메인플레이트(11)의 상면에 캐디를 안착시킨후 상부로 상향 밀어넣으면 안내돌기(61)의 안내홈(61a)이 캐디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삽입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송부에 설치된 장방안내홈(72)의 절곡홈(72a)에 삽입되었던 안내돌기(61)는 좌회전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로딩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20)로 전원을 인가시키고 전원을 인가받는 모터(20)는 구동하며 축설된 워엄(21)이 회동하며 이에 치합된 2단기어(30), 구동기어(31), 캠기어(40), 부채꼴형 치차(50)를 순차회동시키면 부채꼴형 치차(50)에 결합된 지지간(60)은 상향이동하며 지지간(60) 일측에 설치된 안내돌기(61)는 무빙 플레이트(70)의 장방안내홈(72) 일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무빙플레이트(70)의 양단과 메인플레이트(11)에 탄설된 스프링(71)은 점차인장되며 무빙플레이트(70)는 상향수직이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캠기어(40) 하단의 이동홈(41)에 지지되며 이송플레이트(80)에 고정설치된 지지편(81)은 캠기어(40)의 이동홈(41)을 따라 하향 이동된다.
따라서, 이송플레이트(80)가 하향이송되면 이송플레이트(80)의 하측에 설치된 롤러(82)는 픽업베이스(90)의 안착홈(92)에 형성된 경사부(91)를 따라 점처 하향이도되며 롤러(82)가 안착홈(92)에 안착됨과 동시에 하측에 이송플레이트(80)가 부착설치된 메인플레이트(11)는 하향픽업베이스(90)에 지지되며 로딩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CD를 1매씩 수납할 수있기 때문에 다른 CD를 교환시에 연주가 끊김은 물론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수개의 트레이를 수납하는 매거진을 형성하고 매거진 수납된 트레이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로딩샤시를 상하로 작동되는 상하작동부를 형성하며 상하작동부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부로 구성한 트레이 선택장치와, 상기 트레이 선택장체에 의하여 선택된 트레이를 인출하는 인출부를 형성하고 인출부에 의하여 인출된 트레이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를 형성하며 수평이동부에 의하여 이동되는 트레이가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형성하고 안내부에 의하여 이동된 트레이에서 인출부를 해제하는 해제부로 구성한 트레이 이송장치와, 트레이 이송장치에 의하여 트레이 샤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를 형성하고 상하이동부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는 트레이샤시가 전후로 수평을 유지하여 주도록한 전후수평유지부를 형성하며 트레이 샤시가 좌우로 수평을 유지하는 좌우 수평유지부로 구성한 로딩장치와, 로딩된 트레이가 수평을 유지토록한 클램퍼를 형성하고 클램퍼가 구비된 홀더를 로딩샤시에 연결한 연결부를 형성하며 홀더를 항상 하향지게 밀어주는 탄지부를 구성한 클램핑장치와, 로딩 및 클램핑된 트레이의 디스크를 회전시겨는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로 구성함으로써 CD플레이어를 작동중 연주의 끊김이 발생치 아니하고 연속적으로 연주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 및 제5도와 같이 CD가 내장된 수개의 트레이(101)를 수납하는 매거진(102)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로딩샤시(104)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상하작동부와, 상기 상하 작동부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부로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선택정치를 구성하였다.
상기 메거진(102)과 트레이(101)에는 걸림홈(103)을 형성하였다.
상기 상하 작동부는 메거진(102)내에 수납된 트레이(101)를 인출하는 인출장치가 형성된 로딩샤시(104)와, 상기 로딩샤시(104)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단을 축(105)(105')의 로딩샤시(104)에 유착한 작동레버(106)와, 상기 작동레버(106)의 하단에 형성된 안내봉(107)이 삽입되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홈(108)을 지지편(108')에 형성하였다.
상기 구동부는 작동레버(106)의 하단에 안내봉(107)과 같이 고정된 랙크(109)와, 상기 랙크(109)를 수평이동 시키는 피니온(110)과 상기 피니온(110)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성하였다.
제5도 및 제8도와 같이 트레이 선택 장치에 의하여 선택된 트레이(101)를 인출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의하여 인출된 트레이(101)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와 상기 수평이동뷰에 의하여 이동되는 트레이(101)가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상기 안내부에 의하여 안내되어 이동된 트레이(101)에서 인출부를 해제시키는 해제부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장치를 구성하였다.
상기 인출부는 트레이 (101)의 걸림홈(103)에 걸리는 걸림턱(201)이 형성된 캐리어(202)와, 상기 캐리어(202)가 회동하도록 형성된 회전축(203)과, 상기 회전축(203)에 삽착되어 캐리어(202)를 탄지해주는 탄성부재(204)로 형성하였다.
상기 수평이동부는 캐리어(202)를 지지하여주는 캐리어 홀더(205)와, 상기 캐리어 홀더(205)를 이송시켜 주는 이송부로 구성되었다.
상기, 이송부는 캐리어 홀더(205)에 형성된 나사공(206)과 상기 나사공(206)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207)과 상기 나사봉(207)을 구동시켜주는 모터(208)로 형성하였다.
상기 안내부는 캐리어 홀더(205)의 선단에 형성된 절곡부(209)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로딩샤시(104)와 드레이 샤시(210)에 안내공(211)(212)과 로딩샤시(104)의 측면부(213)에 닿아 흔들리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돌부(214)를 형성하였다.
해제부는 캐리어(202)에 형성된 안내봉(215)과 상기 안내봉(215)이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로딩샤시(104)에 형성한 안내장공(216)과 상기 안내장공(216)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봉(215)의 방향을 바꾸어 주도록 형성된 경사장공(216')과 상기 경사장공(216')를 따라 이동하는 안내봉(215)은 캐리어(202)가 회전축(203)을 중심으로하여 회전되도록 하고, 따라서 캐리어(202)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201)이 트레이(101)의 걸림홈(103)에서 해제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캐리어(202)에 의하여 이동되는 트레이(101)를 안내하는 안내홈(217)을 트레이 샤시(210)의 측벽(218)내에 형성하였다.
제4도 및 제6도와 제7도같이 트레이 이송장치의 캐리어 홀더(205)에 의하여 이송된 트레이(101)가 안착된 트레이샤시(2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와 상기 상하 이동부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는 트레이샤시(210)가 전, 후로 수평을 유지하여주는 전후 수평유지부와 좌우로 수평을 유지해주는 좌우 수평유지부로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를 구성하였다.
상기 상하이동부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캐리어 홀더(205)에 의하여 일단이 밀리도록한 절곡레버(301)와 상기 절곡레버(301)가 로딩샤시(104)에 축설된 축(105)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절곡레버(301)의 하단이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절곡레버(301)의 하단에 따라 하강하도록 트레이샤시(210)와 연결한 연결핀(302)과 하강된 트레이샤시(210)와 연결한 연결핀(302)과 하강된 트레이샤시(210)를 상승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트는 복귀부로 형성하였다.
상기 복귀부는 축(105)에 삽설된 탄성부재(303)와 상기 탄성부재(303)의 일단은 로딩샤시(104)에 고정되고 타단은 절곡레버(301)에 고정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전후 수평유지부는 절곡레버(301)의 하단에 연결핀(302)으로 일단이 연결된 연동레버(310)와 상기 연결핀(32)이 삽입되어 수평이동하는것을 안내하는 안내장공(309)과 상기 연동레버(310)의 타단이 연결핀(304)으로 연결된 링크(305)와 상기 링크(305)의 일단을 로딩샤시(104)에 연결한 축(105')에 삽착되어 일단은 로딩샤시(104)에 고정되고 타단은 링크(305)에 고정된 탄성부재(307)로 형성하였다.
상기 좌우 수평유지부는 로딩샤시(104)의 양축부에 연결핀(105)으로 연결된 절곡레버(301)의 상단을 연결한 연결봉(308)에 의하여 동시에 작동하도록 형성하였다.
제5도 내지 제8도와 같이 로딩장치에 의하여 로딩된 트레이(101)가 수평을 유지하여주도록한 클램퍼(401)와 상기 클램퍼(401)가 구비된 홀더(402)와 상기 홀더(402)를 로딩샤시(104)에 연결한 연결부와 상기 홀더(402)를 항상 하향으로 밀어주는 탄지부로 멀티 체이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였다.
상기 클램퍼(401)는 로딩된 트레이(101)의 수평을 유지하도록한 지지판(403)을 하단에 형성하였다.
그리고, 홀더(402)는 클램퍼(401)를 지지하는 지지편(404)과 로딩샤시(404)과 로딩샤시(104)에 압지해주는 압지판(406)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연결부는 지지편(404)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돌편(407)과 상기 지지돌편(407)과 연결하는 연결편(408)과 상기 지지돌편(407)과 연결편(408)은 결합핀(408)에 의하여 결합하였다.
탄지부는 결합핀(409)에 삽착한 탄성부재(410)와 상기 탄성부재(410)의 일단은 지지편(404)을 밀어주고 타단은 로딩샤시(104)에 탄지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클램퍼(401)는 로딩샤시(104)에 형성된 통공(411)과 트레이샤시(210)에 형성된 통공(412)내에서 상하작동하도록 형성하였다.
제5도 내지 제7도와 같이 로딩 및 클램핑된 트레이의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501)과 상기 턴테이블(501)이 형성된 지지부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턴테이블 지지장치를 구성하였다.
상기 지지부는 턴테이블(501)과 픽업(502)을 구비한 지지판(503)과 상기 지지판(503)에 형성된 고정판(504)과 상기 고정편(504)을 로딩샤시(104)에 고정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작용효과를 설면 다음과 같다.
CD가 내장된 수개의 트레이(101)가 수납된 메거진(102)에서 듣고전하는 CD를 선택하여 연주코저할때는 선택보턴을 눌러주면 마이콤에 의하여 모터가 피니온(110)을 회동시켜준다.
상기 피니온(110)이 회동하는 방향에 따라 피니온(110)에 결합된 랙크(109)가 좌우 수평운동을 하게된다.
따라서 랙크(109)의 일단에 형성된 안내봉(107)이 지지편(108')에 형성된 장홈(108)을 따라 수평으로 좌우이동을 하게된다.
이때 안내봉(107)에 일단이 결합되어져 있는 작동레버(106)가 따라서 수평이동하게 되는데, 작동레버(106)의 상단이 로딩샤시(104)에 축(105)(105')으로 축설되어져 있기 때문에 작동레버(106)의 하단이 오므라지면 작동레버(106)의 상단에 결합된 로딩샤시(104)가 상승되고, 작동레버(106)의 하단이 벌어지게되면 로딩샤시(104)가 하강되는 운동을 한다.
이와같이 작동레버(106)의 상단에 결합된 로딩샤시(104)가 상하로 이동하면 선택보턴에 의하여 선택된 트레이(101)의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로딩샤시(104)가 일정위치에 정지하게 되면 로딩샤시(104)의 일측면에 형성된 인출부의 걸림턱(201)이 선택된 트레이(101)의 걸림홈(103)에 걸린다.
즉, 인출부의 캐리어 홀더(205)에 회전축(203)으로 축설되고 탄성부재(204)로 탄지된 캐리어(202)의 걸림턱(201)이 트레이 (101)의 걸림홈(103)에 걸리게 된다.
이때 마이콤에 의하여 모터(208)를 구동시키면 모터(208)에 의하여 나사봉(207)이 회동된다.
따라서 나사봉(207)에 캐리어 홀더(205)에 형성된 나사공(206)이 결합되어져 있기 때문에 캐리어 홀더(205)가 나사봉(207)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캐리어 홀더(205)가 이동되기 때문에 캐리어 홀더(205)에 회전축(203)으로 축설된 캐리어(202)가 로딩샤시(104)에 형성된 안내공(211)과 트레이샤시(210)에 형성된 안내공(212)을 따라 이동되면서 캐리어(202)에 형성된 걸림턱(201)에 의하여 트레이(101)가 이송된다.
이송되는 트레이(101)는 트레이샤시(210)의 측벽내에 형성된 안내홈(217)을 따라 이송된다.
이와같이 캐리어(202)가 이동될때 캐리어(202)에 형성된 안내봉(215)이 로딩샤시(104)에 형성된 안내장공(216)을 따라 이동하다가 경사장공(216')에 이르게되면 탄성부재(204)로 탄지된 캐리어(202)는 회전축(20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캐리어(202)에 형성된 걸림턱(201)이 트레이(101)의 걸림홈(103)에서 해제된다.
이와같이 트레이(101)의 걸림홈(103)에서 캐리어(202)의 걸림턱(201)이 해제되기 때문에 트레이(101)의 이송은 중단이 된다.
또한 트레이(101)의 이송이 중단된 상태에서 캐리어 홀더(205)가 계속 전진하면서 절곡레버(301)의 상단부가 제6도와 같이 주게되면 절곡레버(301)가 축(105)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한다.
이와같이 축(105)을 중심으로 절곡레버(301)가 회전하여 절곡레버(301)의 하단이 하강하게된다.
따라서 절곡레버(301)가 로딩샤시(104)의 양측단에 축(105)으로 각각 축설되고 연결봉(308)에 연결되어져 있기 때문에 로딩샤시(104)의 양측단에 축(105)으로 축설된 절곡레버(301)가 같이 작동되기 때문에 로딩샤시(104)의 좌우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절곡레버(301)가 축(105)을 중심으로하여 회동할때 절곡레버(301)의 하단에 연결핀(302)으로 연결된 연동레버(310)으로 연결된 연동레버(310)의 선다이 링크(305)의 하단에 연결핀(304)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305)는 로딩샤시(104)에 연결된 축(105')을 중심으로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링크(305)의 하단도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핀(302)(304)이 트레이샤시(210)의 측벽(218)에 형성된 안내장공(309)에 삽입되어져 있기 때문에 트레이샤시(210)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같이 트레이 샤시(210)가 하강할때 로딩샤시(104)에 축(105)(105')으로 결합된 작동레버(301)와 링크(305)를 연동레버(310)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레버(301)와 링크(305)의 작동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트레이샤시(210)가 전후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하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트레이샤시(210)가 하강됨과 더불어 트레이샤시(210)의 측벽(218)내에 형성된 안내홈(217)에 삽입되어져 있는 트레이(101)가 하강하여 턴테이블(501)위에 얹혀지므로 로딩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트레이샤시(210)가 하강하게되면 트레이샤시(210)에 의하여 밀려있던 홀더(402)의 압지판(406)이 트레이샤시(210)에서 떨어지게된다.
트레이샤시(210)에서 압지판(406)이 떨어지게되면 탄성부재(410)에 의하여 홀더(402)에 형성된 지지편(404)의 선단이 하강된다.
즉 지지편(404)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돌편(407)이 로딩샤시(104)에 형성된 연결편(408)에 결합핀(409)으로 연결되고 지지편(404)의 후단이 탄성부재(410)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402)에 형성된 지지편(404)의 선단이 하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편(404)의 선단이 하강함에 따라 지지편(404)에 결합된 크램퍼(401)가 하강하여 크램퍼(401)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판(403)이 턴테이블(501)위에 올려진 트레이(101)를 눌러 지지함으로써 클램핑 작용을 하게된다.
따라서 턴테이블(501)에 의하여 회전되는 CD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턴테이블(501)과 픽업(502)에 형성된 지지판(503)의 고정편(504)이 로딩샤시(10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판(503)의 로딩샤시(104)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하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과정에 의하여 로딩 및 클램핑작용이 완료된다.
그리고 로딩된 CD의 연주가 끝나고 언로딩을 하고저 할때는 턴테이블(50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모터(208)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나사봉(207)이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나사봉(207)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캐리어홀더(205)가 캐리어(202)들이 내장되어 메거진(102)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절곡레버(301)를 밀고 있던 캐리어홀더(205)가 절곡레버(301)에서 해제되기 때문에 절곡레버(301)는 탄지되어있는 탄성부재(303) 및 링크(305)는 탄성부재(307)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절곡레버(301)와 링크(305)의 하단과 연결핀(302)(304)으로 연결된 트레이샤시(210)가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트레이샤시(210)가 홀더(402)의 압지판(406)을 밀어준다.
이때 압지판(406)이 상부로 밀리면서 홀더(402)의 선단은 연결부의 결합핀(409)을 중심으로하여 상승된다.
이와같이 홀더(402)의 선단이 상승함과 더불어 홀더(402)에 형성된 클램퍼(401)가 상승하기 때문에 트레이(101)를 누르고 있던 클램퍼(401)의 압지판(403)이 상승하여 트레이(101)가 압지판(403)으로부터 해제된다.
이와같이 된 상태에서 캐리어 홀더(205)가 메거진(102) 쪽으로 이동하면서 캐리어(202)에 형성된 안내봉(215)이 경사장공(216')으로 진입함과 더불어 캐리어(202)는 회전축(203)을 중심으로하여 회전되는데 이때 탄성부재(204)에 의하야 회동이 원할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202)가 회전축(20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되면 캐리어(202)에 형성된 걸림턱(201)이 트레이(101)의 걸림홈(103)에 삽입되어 트레이(101)를 밀어준다.
따라서 캐리가 홀더(205)가 이동함에 따라 트레이(101)는 트레이샤시(210)의 안내홈(217)을 따라 이송되어 메거진(102)내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CD 1매의 수납에서 오는 연주의 끊김과 교환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연주의 연속성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Claims (24)

  1. 수개의 트레이를 수납하는 메거진과, 상기 메거진에 수납된 트렝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로딩샤시를 상하로 작동하는 상하작동부와, 상기 상하 작동부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선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메거진과 트레이에는 트레이를 인출할때 걸리는 걸림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선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하 작동부는 트레이를 인출하는 인출장치가 형성된 로딩샤시와, 상기 로딩샤시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로딩샤시에 상단을 축으로 유착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하단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작동레버의 하단에 형성된 안내봉이 삽입되는 장홈을 지지편에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선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작동레버의 하단에 안내봉과 같이 고정된 랙크와, 상기 랙크를 수평이동시키는 피니온과 상기 피니온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선택장치.
  5. 트레이 선택장치에 의하여 선택된 트레이를 인출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의하여 인출된 트레이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와, 상기 수평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되는 트레이가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의하여 이동된 트레이에서 인출부를 해제하는 해제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인출부는 트레이의 걸림홈에 걸리는 걸리턱이 형성된 캐리어와,상기 캐리어가 회동되는 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삽착되어 캐리어를 탄지해주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수평 이동부는 캐리어를 지지해주는 캐리어 홀더와 상기 캐리어홀더를 이송시켜 주는 이송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이송부는 캐리어 홀더에 형성된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안내부는 캐리어 홀더의 선다에 형성된 절곡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로딩샤시와 트레이샤시에 형성한 안내공과, 로딩샤시의 측면부에 닿아 흔들리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돌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해제부는 캐리어에 형성된 안내봉과 상기 안내봉이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로딩샤시에 형성한 안내장공과, 상기 안내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봉의 방향을 바꾸어 주도록 경사장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캐리어에 의하여 이동되는 트레이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트레이 샤시의 측벽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프레이어의 트레이 이송장치.
  12. 캐리어 홀더에 의하여 이송된 트레이샤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상기 상하 이동부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는 트레이 샤시가 전후로 수평을 유지하여 주도록한 전후 수평유지부와 트레이샤시가 좌우로 수평을 유지해주는 좌우 수평유지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하이동부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캐리어 홀더에 의하여 일단이 밀리도록 로딩샤시에 축으로 축설된 절곡레버와, 상기 절곡레버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하강되도록 하단을 트레이샤시와 연결한 연결핀과, 하강된 트레이 샤시를 상승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복귀부는 일단은 로딩샤시에 고정되고 타단은 절곡레버에 고정되도록한 축에 삽설된 탄성부재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전후 수평유지부는 절곡레버의 하단에 연결핀으로 일단이 연결된 연동레버와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어 수평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장공과 상기 연동레버의 타단이 연결핀으로 연결된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을 로딩샤시에 연결한 연결핀에 삽착되어 일단은 로딩샤시에 고정되고 타단은 링크에 고정된 탄성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좌우 수평유지부는 로딩샤시의 양측에 축설된 절곡레버의 상단을 연결봉으로 연결하여 동시에 작동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17. 로딩된 트레이가 수평을 유지토록한 클램퍼와, 상기 클램퍼가 구비된 홀더와, 상기 홀더를 로딩샤시에 연결한 연결부와 상기 홀더를 항상 하양지게 밀어주는 탄지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클램퍼는 로딩된 트레이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판을 하단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홀더는 클램퍼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로딩샤시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트레이샤시를 압지해주는 압지판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지지편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돌편과 상기 지지돌편과 연결하는 연결핀과 상기 지지돌편과 연결핀은 결합핀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탄지부는 일단을 지지편을 밀어주고 타단은 로딩샤시에 탄지되도록 결합핀에 삽착한 탄성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클램퍼는 로딩샤시에 형성된 통공과 트레이샤시에 형성된 통공내에서 상하 작동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하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장치.
  23. 로딩 및 클램핑된 크레이의 디스크를 회전시켜주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턴테이블 지지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턴테이블과 픽업을 구비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을 로딩샤시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턴테이블 지지장치.
KR1019920027283A 1992-12-31 1992-12-31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1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283A KR100213766B1 (ko) 1992-12-31 1992-12-31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283A KR100213766B1 (ko) 1992-12-31 1992-12-31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23A KR940016123A (ko) 1994-07-22
KR100213766B1 true KR100213766B1 (ko) 1999-08-02

Family

ID=1934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283A KR100213766B1 (ko) 1992-12-31 1992-12-31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1575B2 (en) * 2001-09-19 2003-12-30 Mid21 Corp. Apparatus for storing disc-type recording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23A (ko) 199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1783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5153862A (en) Cassette for storing, moving and loading optical storage disk cartridges
CN100437795C (zh) 光盘驱动装置
EP0145051B1 (en) Disc holder for a rigid optically readable disc
EP0168107A2 (en) Magazine for a plurality of disc-shaped information carriers contained in holders and combination of a disc-player with such a magazine
EP0146179B1 (en) Disc player
KR960008043B1 (ko) 미니디스크겸용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
EP0109710A1 (en) Loading device for a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KR0158055B1 (ko) 디스크 재생 장치
KR100213766B1 (ko) 멀티 체인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EP0174590B1 (en) Mode switching device in a disc playback device
EP1482496B1 (en) Disc device with disc changer
US7047538B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for disk
EP0755053B1 (en) Disk loading apparatus
US6337843B2 (en) Disc changer for a disc player
US5828647A (en) Disk changer with reduced driving time
JP2665689B2 (ja) 車載用ディスクプレーヤ
KR960014397B1 (ko)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언로딩장치
JP265471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572306B2 (ja) ディスク選択機能を有するディスクプレーヤ
KR950010967B1 (ko) 콤팩트 디스크 오토체인저 플레이어
KR970000914B1 (ko) 카형 멀티 씨디 플레이어
JP2572303B2 (ja) ディスク選択機能を有するディスクプレーヤ
JP2670712B2 (ja) ディスク選択機能を有するディスクプレーヤ
JPS63217561A (ja) ディスクプレ−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