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035A - 특징적 구조의 전기자를 갖춘 모터 및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특징적 구조의 전기자를 갖춘 모터 및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035A
KR20030009035A KR1020010086701A KR20010086701A KR20030009035A KR 20030009035 A KR20030009035 A KR 20030009035A KR 1020010086701 A KR1020010086701 A KR 1020010086701A KR 20010086701 A KR20010086701 A KR 20010086701A KR 20030009035 A KR20030009035 A KR 20030009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motor
yoke
cylindrica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155B1 (ko
Inventor
가쿠타쓰요시
오오와키히로히코
후쿠다겐세이
후루카와후미노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깅(cogging)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얇은 크기를 가지며, 강한 토크(torque)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한다.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후방 요크(back yoke)와, 권선 코일과,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원통형 주변 표면 상의 다수의 자극(磁極)에 의해 자화(磁化)된 자석을 포함하는 전기자(電機子)를 갖춘 모터에서, 후방 요크는 코일의 전류 전환부의 자석을 향해 후방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모터를 사용하는 디스크(disc)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특징적 구조의 전기자를 갖춘 모터 및 디스크 장치{MOTOR HAVING CHARACTERISTIC STRUCTURE IN ARMATURE AND DISC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크와 같은 매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모터, 특히 회전 계자형(界磁形)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징적 구조의 전기자(電機子)를 갖춘 모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모터를 사용하는 디스크(disc)와 같은 매체, 예를 들면, 디스크 장치의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부 회전자형의 회전 계자형 모터는 부드러운 회전 및 단순한 구조로 인해서 디스크와 같은 매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모터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외부 회전자형 모터의 예시에 근거하여 종래 기술의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 디스크와 같은 매체는 중심 구멍을 갖는 동심(同心)의 디스크와 같은 매체를 나타내며, 예를 들면, 오래된 레코드 디스크(LP, EP 등) 뿐만 아니라, 플로피 디스크, MO(magneto-optical;광자기), MD, PD, CD(ROM, R 및 RW), 및 DVD(ROM, R, RW 및 RAM) 등과 같은 매체를 의미한다. 이들 매체는 다음에서 단순히 설명하는 디스크를 집합적으로 의미한다. 또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디스크가 재킷(jacket)에 수용되는 여부에 관계 없이 매체를 디스크라고 부른다.
우선, 종래의 모터 기술로서, 방사상 갭 모터 및 축방향 갭 모터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7은 종래의 방사상 갭 모터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의 사시도 및 도 18의 단면도에 근거하여 종래의 방사상갭 모터의 구조를 설명한다.
참조 숫자 (10)은 극(極)을 나타내며, 이것은 와전류(渦電流)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실리콘 강철판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적층 철심 극에 대응한다. 참조 숫자 (46)은 코일을 나타내며, 이것은 극(10) 주위에 감겨 있고, 이것에 구동 전류가 인가된다. 참조 숫자 (61)은 자석을 나타내며, 이것은 극(1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참조 숫자 (13)은 회전되기 위해 디스크가 장착되는 턴테이블(turn table)을 나타낸다. 참조 숫자 (21)은 베어링을 나타내며, 이것은 턴테이블(13)의 중심축을 유지시킨다. 참조 숫자 (15)는 디스크를 턴테이블(13)에 장착시키는 처킹 유닛을 나타내며, 이것은 디스크를 턴테이블(13)에 밀착시키도록 처킹 볼(chucking ball)(16)에 의해 디스크의 중심 위치를 결정하도록 일반적으로 구조되어 있다.
이어서, 도 19는 도 17에 나타낸 구조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9에서, 방사상 갭 모터의 자석(61)은 S 극 및 N 극이 내부 주변측 및 외부 주변측에 각각 분포되도록 자화된다. 코일(46)에 구동 전류가 인가될 때, 극(10)은 나사 법칙에 따라 자화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극(10)의 자극 및 자석(61) 사이에 반발력 또는 흡인력이 발생된다. 이 경우에 구조는 다수의 코일(46)에 인가되는 전류 및 그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61) 및 코일(46) 사이에서 발생되는 반발력 및 흡인력을 교대로 발생 및 전환시키도록 제조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연속적으로 고정 방향에서 추진력을 발생시켜서, 회전자 자석에 대응하는 턴테이블(13)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어서,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대응하는 축방향 갭 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20은 종래 축방향 갭 모터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Y-Y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구조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0의 사시도 및 도 21의 단면도에서, 참조 숫자 (47)은 구동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나타낸다. 이 구조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다수의 코일(47)을 형성하고, 그 후 코일 회로 기판(49)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도록 수지(樹脂) 등과 같은 절연 재료로써 코팅하여 제조하게 된다. 참조 숫자 (62)는 자석을 나타내며, 이것은 코일 회로 기판(49)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참조 숫자 (51)은 자석(62)에 근접하여 부착되도록 장착되는 강자성(强磁性) 요크이다. 참조 숫자 (34)는 디스크가 회전되도록 그 위에 올려 놓는 턴테이블이고, 참조 숫자 (22)는 턴테이블(34)의 중심축을 유지시키는 베어링을 나타낸다. 참조 숫자 (15)는 처킹 유닛을 나타내며, 이것은 처킹 볼 내의 디스크 중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크를 턴테이블(34)에 밀접하게 부착시킨다.
이어서, 도 22를 근거하여 축방향 갭 모터의 회전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석(62)은 S 극과 N 극이 상부 표면측 및 하부 표면측에 각각 분포하도록 자화되어 있다. 또한, 도 23은 자석의 자화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62)은 원주 방향에서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자화되어 있다. 그 다음,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62)이 턴테이블(34) 및 요크(51) 사이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자속(磁束)은 축방향(모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발생된다. 또한, 코일(47)에 구동 전류가 인가될 때, 코일 전류로 인한 자속은 나사 법칙에 따라 발생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방식으로, 반발력 또는 흡인력은 코일 전류 및 자석(62)으로 인한 자속 사이에서 발생된다. 이 경우에 다수의 코일(47)에 인가되는 전류 및 그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고정 방향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자석(62) 및 코일(47) 사이에서 발생되는 반발력 및 흡인력을 교대로 발생 및 전환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방사상 갭 모터의 그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축방향 갭 모터에서도 회전자 자석에 대응하는 턴테이블(34)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주변 대향의 경우 및 표면 대향의 경우 모두에서, 디스크는 턴테이블(34)을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장치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회전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방식으로 구조가 이루어진 종래 모터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사상 갭 모터는 회전되도록 계자(界磁)의 S 극과 N 극 사이의 자기 반발력 및 흡인력과, 전기자(코어)의 돌출 극을 활용하는 모터 동작 원칙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흡인 및 반발이 모터의 1 사이클 동안에 반복된다. 이 반복은 본질적으로 토크(torque) 변경 및 불균형 토크를 발생시킨다. 불균형 토크에 관하여는 전체 토크에 대한 불균형 토크 부분을 코깅(cogging)이라고 부른다. 위에서 언급한 동작 원칙에 근거하여, 방사상 갭 모터는 회전과 함께 발생되는 코깅을 피할 수 없다고 보편적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축방향 갭 모터에서, 요크, 코일 회로 기판, 및 회전자 자석이 축방향에서 적층되도록 구조를 제조하기 때문에 구조를 얇게 함에 있어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코일 회로 기판 및 코일 구조의 배열로 인해, 큰 토크가 발생된다는 관점에서는 주변 대향 구조를 갖는 모터와 비교해서 단점을 갖는다.
특히,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더욱 컴팩트한 크기를 가지며 강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가, 컴팩트한 특성을 잘 사용하는 목적을 위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깅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얇은 크기를 가지며, 강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 및 상기 전기자 요크의 원통형 주변 표면 주위에 권선된 전기자 코일을 갖춘 전기자; 및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원통형 주변 표면 상의 다수의 자극에 의해 자화되는 원통형 계자(界磁)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전기자 요크가, 전기자 코일의 전류 전환부에서 원통형 계자(界磁)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모터를 사용하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구조로 모터를 제조함으로써, 전력 소비에 대하여 높은 효율성을 가지며, 전류 소모에서 변경이 감소되고, 크기를 얇게 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
도 2는 인접 코일 간의 접속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코일 권선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도 1의 코일 접속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도 1의 모든 코일의 접속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6은 다른 코일을 갖는 모터의 사시도.
도 7은 인접 코일 간의 접속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8은 도 6의 코일 전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9는 도 6의 모든 코일의 접속에 대한 개략도.
도 10은 도 1의 볼록부의 상세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1은 자석 센서를 사용하는 모터의 사시도.
도 12는 자석 및 후방 요크 간의 흡인력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자기(磁氣) 회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4는 코일 권선 공정의 개략도.
도 15는 자석이 내부 및 외부 주변부에 배열된 구조의 개략도.
도 16은 온도 특성의 추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종래의 방사상 갭(gap) 모터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9는 도 17에 나타낸 구조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20은 종래의 축방향 갭 모터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Y-Y 선을 따른 단면도.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구조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3은 도 20에 나타낸 자석의 자화(磁化) 분포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축 2, 21 : 베어링
3 : 후방 요크 4, 46, 47 : 코일
5 : 요크 6, 61 : 자석
7 : 자석 센서 8 : 모터 베이스
9 : 코일훅(coil hook) 10 : 자극
13 : 턴테이블(turn table) 15 : 처킹 유닛(chucking unit)
16 : 처킹 볼 31 : 볼록부
32 : 오목부 41 : 단위 코일
42 : 코일 군(群) 49 : 코일 회로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1개 종류의 모터에 대응하는 디스크를 구동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예시함으로써, 본 발명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형태는 스핀들 모터의 사용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참조 숫자 (1)은 모터의 회전축을 나타낸다. 참조 숫자 (2)는 회전축(1)을 위한 베어링을 나타낸다. 참조 숫자 (3)은 후방 요크를 나타내며, 이것은 회전축(1)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열되어, 각각, 자석(6)이 존재하는 방향에(본 실시형태에서 후방 요크(3)의 외부 주변부 상에) 볼록부(31)가 구비되고, 자석(6)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에(본 실시형태에서, 볼록부(31)의 후방 표면에 대응하는 후방 요크(3)의 내부 주변부 상에) 오목부(32)를 구비하는 원통형 링(ring) 형상으로, 자성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되어 있다. 참조 숫자 (4)는 후방 요크(3)의 주위에 권선된 코일을 나타낸다.
참조 숫자 (5)는 요크를 나타내고, 참조 숫자 (6)은 자석을 나타낸다. 자석(6)은 요크(5)에 밀접하게 부착되어 흡인됨으로써, 자석(6)이 유지되며, 방사상 방향의 편평한 표면은 턴테이블(13)의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에 턴테이블(13)에 구비되어 있는 처킹 유닛(15) 및 처킹 볼(16)은 종래 기술 분야에서 설명한 그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명칭 및 동일 참조 번호를 거기에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자석(6)은 원통 형상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수의 N 및 S 극은 원통형 주변 표면의 원주 방향에 교대로 자화되어 있다. 주위에 코일(4)이 권선되어 있는 후방 요크(3) 및 자석(6)은 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축(1)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다. 참조 숫자 (8)은 모터 베이스(base)를 나타내며, 이것에 베어링(2) 및 후방 요크(3)가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특징에 대응하는 전기자(고정자) 부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 전기자 부분은 후방 요크(3) 및 코일(4)에 의해 구성된다. 우선, 후방 요크(3)는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갖는 강자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 자성 재료로써 성형된다. 특히, 그것의 주변 표면 상에는 자석(6)이 존재하는 방향에(본 실시형태에서 후방 요크(3)의 외부 주변부 상에) 볼록부(31)가 성형되고, 자석(6)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에(본 실시형태에서, 후방 요크(3)의 내부 주변부 상에) 오목부(32)가 성형되는 원통형 링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쉽게 가공이 되고 쉽게 구해지는 자성 재료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탄소강, 자성강 및 실리콘 강철이 재료로서 사용된다. 후방 요크(3)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후방 요크(3)에 교대로 자속이 인가되기 때문에 박판 형상으로 성형된 강자성 재료를 와류 손실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적층 상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대량 생산에서 경제적 효율성을 고려하여, 후방 요크 재료로서 쉽게 형상이 될 수 있는 소결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페라이트 소결 재료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라, 후방 요크(3) 주위에 코일(4)을 권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 편의상 18개의 코일(4) 및 12개 극의 자석(6)에 의해 구성된 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18개의 모든 코일(4)은 동일한 A 방향에서 후방 요크(3) 주위에 권선되며, 이에 따라 권선 공정은 단순화된다. (모든 코일을 A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권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코일(4)이 최소 구성 단위이기 때문에 이후의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단위 코일(41)이라고 약하여 부른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코일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모든 코일의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접한 2개의 단위 코일(41)은 하나의 단위 코일의 권선 단부(端部)와 또다른 단위 코일의 권선 단부가 접속되도록 접속된다. 따라서, H 방향으로부터의 하나의 단위 코일(41)의 권선 시작부에 인가되는 전류가 단위 코일(41)의 I 방향에서 하향 방향으로부터 상향 방향으로 흐르고, 하나의 단위 코일의 단부로부터 J 방향의 인접 단위 코일(41)의 권선 단부로 흐르며, 단위 코일(41)의 권선 단부로부터 K 방향에서 권선 시작부에 상향 방향으로부터 하향 방향으로 흐르고, L 방향에서 단위 코일(41)의 권선 시작부로부터 흐른다. 따라서, 인접 코일(41)을 접속시킴으로써 9개의 코일들이 형성된다. 이들 접속된 인접 단위 코일(41)들을 이후의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코일 군(群)(42)이라고 약하여 부른다.
도 2 및 도 5에서, 이들 9개 코일 군(群)(42)은 접속된 중앙부가 후방 요크(3)에 구비된 오목부(32) 및 볼록부(31)를 각각 걸터 타도록 장착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단위 코일(41)에 인가된 전류는 볼록부(31)에 대하여 상호 대향 방향으로 흐른다. 즉, 코일 군(群)(42)의 전류 전환부는 볼록부(31)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단위 코일(41)은 코일 간에 공간이 없게, 거기에 밀접하게 부착되도록 후방 요크(3) 주위에 규칙적으로 권선된다. 따라서, 코일(41)은 볼록부(31) 및 오목부(32)의 영역에 배열되지 않으며, 코일(41)은 볼록부(31) 및 오목부(32)가 존재하지 않는 후방 요크(3)의 원통부 주위에 규칙적으로 권선된다.
도 5에서, 접속된 9개의 코일 군(群)(42)은 거기에 인접한 2개(즉, 3번째 코일)의 코일 군(群)(42)의 권선 시작부에 각각 직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9개의 코일 군(群)(42)은 3개의 코일 군(群)(42)을 직렬로 접속시킴으로써 얻어진 3개의 병렬 회로로서 이루어진다. 즉, 3상 전기자 코일이 형성된다. 각각의 직렬 접속 권선 단부의 모든 단자는 COM 단자(도면에서 참조 기호 C로서 나타냄)를 형성하도록 접속됨으로써, 모든 회로의 공통 전원(예를 들면, 0 V)에 접속된다. 각각의 직렬 접속 권선 시작부의 단자는 3상 중 각각의 위상(도면에서 참조 기호 U, V 및 W로서 나타냄) 전원에 접속된다. 이 경우에 도 5에 나타낸 회로 구조는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예시한 것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예를 들면, 직렬로 접속된 코일 군(群)(42)의 수는 1개 회로 또는 4개 회로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병렬 회로의 수는 3개 위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6개 위상일 수도 있다.
도 6은 또다른 코일을 갖는 모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인접 코일 간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들 도면은 코일(4)의 권선 단계를 단순화시키려고 의도하는 코일 권선 방법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서, 코일의 중앙부를 유지시키는 코일훅(coil hook)(9)이 후방 요크(3)의 볼록부(31)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중앙부는 코일훅(9)과 맞닿는다. 이어서, 코일(4)의 2개 단부는 B 방향 및 C 방향에서 회전되도록 후방 요크(3) 주위에 권선된다. 즉, 코일 중앙부는 고정되며, 코일의 2개 단부는 후방 요크(3)에 대하여 동일 방향에서 회전하도록 주위에 권선된다. 그러나, 코일은 동일 방향에서 권선되고, 코일 중앙부가 뒤로 접혀져 있기 때문에 좌우의 단위 코일(41)은 역으로 회전하도록 후방 요크(3) 주위에 권선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방식으로, 9개의 코일이 준비된다. 본 코일 권선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일(4)은 상기에서 언급한 코일 군(群)(42)에 상당하며, 상기 코일(4)을 중앙부로부터 2개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진 섹션(section)은 상기에서 언급한 단위 코일(41)에 상당한다. 즉, 상기 코일(4)은 코일 중앙부를 갖는 코일 군(群)(43)에 상당하며, 서로에 대하여 역으로 권선된 단위 코일(41)을 갖는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코일 전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권선된 코일 군(群)(43)에 전류를 인가할 때, P 방향으로부터 인가된 전류는 코일의 하향 방향으로부터 상향 방향에 대응하는 Q 방향에서 흐르고, R 방향에서 코일 중앙부를 통해 흐르며, 상향 방향으로부터 하향 방향에 대응하는 S 방향으로 흘러, 최종적으로 T 방향으로 흘러 나간다. 9개 코일 군(群)(43)의 각각은 중앙부가 후방 요크(3)에 구비된 오목부(32) 및 볼록부(31)를 걸터 타도록 장착된다. 또한, 단위 코일(41)은 코일 간에 공간이 없게, 거기에 밀접하게 부착되도록 후방 요크(3) 주위에 규칙적으로 권선된다. 도 6에 나타낸 또다른 권선 방법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볼록부(31)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흐른다. 즉, 코일 군(群)(43)의 전류 전환부는 볼록부(31)에 위치하고 있다.
도 9는 도 6의 모든 코일의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접속된 9개의 코일 군(群)(43)은 거기에 인접한 2개(즉, 3번째 코일)의 코일 군(群)(43)의 권선 시작부에 각각 직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9개의 코일 군(群)(43)은 3개의 코일 군(群)(43)을 직렬로 접속시킴으로써 얻어진 3개의 병렬 회로로서 이루어진다. 즉, 3상 전기자 코일이 형성된다. 각각의 직렬 접속 권선 단부의 모든 단자는 COM 단자(도면에서 참조 기호 C로서 나타냄)를 형성하도록 접속됨으로써, 모든 회로의 공통 전원(예를 들면, 0 V)에 접속된다. 각각의 직렬 접속 권선 시작부의 단자는 3상 중 각각의 위상(도면에서 참조 기호 U, V 및 W로서 나타냄) 전원에 접속된다. 이 경우에 도 9에 나타낸 회로 구조는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예시한 것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예를 들면, 직렬로 접속된 코일 군(群)(43)의 수는 1개 회로 또는 4개 회로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병렬 회로의 수는 3개 위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6개 위상일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상당하는 볼록부를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의 볼록부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볼록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후방 요크(3)의 두께는 요크 두께 t로서 설정된다. 또한, 볼록부(31)에 대하여, 오목부(32)에 대항하는 숄더부(shoulder portion)는 숄더부 요크 두께 a 및 c로 설정되며, 볼록부(31) 및 오목부(32) 사이의 두께는 b로 설정된다. 후방 요크(3)의 원통형 주변 표면부로부터 볼록부(31)의 돌출 양(量)은 돌출부 높이 h로 설정된다. 후방 요크(3)의 원통형 주변 표면부 및 자석(6) 사이의 간극(間隙) 길이는 g로 설정된다.
우선, 요크 두께 t는 충분한 자속 밀도를 보장하고, 와전류 손실을 방지하며, 코일(4)의 저항 손실을 저감시키도록 설정된다. 전자의 2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t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t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 장치의 스핀들 모터에서, 요크 두께 t를 1.2 ≤t ≤2.0(㎜)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바람직한 낮은 손실 성능의 모터를 얻을 수 있다.
하기에 언급하는 자기 회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속은 볼록부(31)에 의해서 빔(beam)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동시에 자기 회로의 단면 영역이, 후방 요크(3)의 원통형 주변 표면부의 그것과 동일한 단면 영역을 유지함으로써, 자기 포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a, b 및 c ≥t의 관계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후방 요크(3) 작업 공정에서 숄더 요크 두께 a 및 c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어서, 볼록부 높이 h는 빔 형상의 자속을 좁게하여 얻어진 효과 및 허용 가능한 코깅의 범위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 장치의 스핀들 모터에서, 볼록부 높이 h를 0.1 ≤h ≤0.5(㎜)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요구되는 높은 토크 및 낮은 코깅 성능의 모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0(b)는 볼록부 각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θ는 볼록부 각도를 나타내며, 즉, 하나의 볼록부(31)가 후방 요크(3)의 모든 주변부를 점하는 각도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일(4)이 후방 요크(3)의 원통부 주위에 규칙적으로권선되고, 단위 코일(41)이 볼록부(31)를 걸터 타도록 배열되었기 때문에 볼록부(31)는 코일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상당한다. 따라서, 볼록부(31)의 영역은 자속을 빔 형상으로 형성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상기의 모든 것들은 턴테이블의 직경이 29 ㎜인 디스크 장치용 스핀들 모터에서, 3개의 코일 군(群)에 의해 3상 전기자를 구성하고 12 극(하기에서 설명하는 도 13 참조)에 의해 자석(6)을 구성할 때, θ= 5 ±0.5도의 범위에서, 요구되는 높은 토크 및 낮은 코깅 성능을 갖는 모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코일 군(群) 구조의 수를 2개 또는 4개로 변경하고, 극의 수에 대응하여 모터의 직경이 변경되도록 대응하는 방식으로 자석(6)의 극 수를 8개 또는 16개로 설정할 때, θ에 대하여 2도 및 8도로 할 수 있다. 즉, 2 ≤θ ≤8(도) 범위의 최적 조건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회전 상태(회전 중 자속의 변화, 회전 수등)를 감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그 대신의 감지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홀 소자 등과 같은 다수의 자기 센서가 다수의 부위에 장착됨으로써, 피드백(feed back) 제어를 실행하도록 회전 상태를 감지한다. 도 11은 자기 센서를 사용하는 모터의 사시도이다. 참조 숫자 (7)은 감지 수단에 상당하는 자기 센서이다. 자기 센서(7)는 계자 부분에 상당하는 자석(6) 및 모터 베이스(8)의 저부(底部) 사이의 틈에 배치되어 있다. 계자의 변화는 자석(6)으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활용함으로써 자기 센서(7)에 의해 검출된다. 코일 군(群)(42, 43)의 구동 전류는 검출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어된다. 자기 센서(7)는 자석(6) 및 모터 베이스(8)의 저부 사이의 틈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 간극을 넓히거나 또는 자기 간극 길이를 변경시킬필요는 없다. 따라서, 계자 부분 및 코일 군(群)(42, 43) 간의 공기 간극을 좁은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계자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석(6)은 원통 형상으로 강자성 재료를 형성하고 있다. 후방 요크(3)에 대향하는 원통형 주변 표면부는 외경 및 진원도에서 높은 정확도로써 정밀하게 가공된다. 따라서, 원통형 주변 표면부는 부드럽고 연속적인 주변 표면을 형성한다. 자석(6)의 원통형 주변 표면부는 원주 방향에서 N, S, N, S ...의 순서로 다수의 극에 의해 자화되며, 요크(5)는 자석(6)의 외부 주변 표면 상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요크(5)는 자석(6) 및 후방 요크(3) 사이의 간극 자속 밀도를 증가시키는 요크로서 기능한다.
또한, 자석(6) 및 코일 군(群)(42, 43)이 권선된 후방 요크(3)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자석 및 후방 요크 간의 흡인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자석(6)에 의해 야기된 흡인력은 자석(6) 및 후방 요크(3) 사이에서 발생된다. 자석(6) 및 후방 요크(3)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때, 자석(6) 및 후방 요크(3) 간의 흡인력을 극복하기 위해서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해 더 큰 토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반대로, 자석(6) 및 후방 요크(3) 간의 흡인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석(6) 및 후방 요크(3)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때, 코일(4)에 걸치는 자속은 감소되고, 발생되는 토크도 또한 감소된다. 따라서, 자석(6) 및 후방 요크(3) 간의 간극(간극 길이 g)은 자석(6) 및 후방 요크(3) 사이의 부분에 인가되는 흡인력을 최소화 시키고, 가능한 한 코일(4)에 걸쳐 오는 자속의 수를 증가시키며, 토크 발생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최적의 위치 관계로 설정된다.
다시 도 10(a)에서, 참조 기호 g는 간극 길이를 나타낸다. 최초에 언급한 재료의 후방 요크(3) 및 자석(6)을 제조할 때, 1.0 ≤g ≤1.5 (㎜)의 범위에서, 요구되는 높은 토크 및 낮은 코깅 성능을 갖는 모터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회전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자기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3(a)는 후방 요크(3)의 자속을 설명하고, 도 13(b)는 자석(6)의 자속을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에서(도 5 및 도 9 참조), 회전력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직류 모터와 같이 발생된다. 코일(4)(코일 군(群)(42))은 자석(6) 및 후방 요크(3) 간의 자속 내에 배치된다. 코일 군(群)(42)의 코일(4)에 전류가 인가될 때, 플레밍의 왼손 법칙의 기초하에 전자력이 코일(4)에 인가된다. 즉, 코일(4)의 동선(銅線)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축방향(모터축의 방향과 동일 방향) 구성품이 자석(6)으로부터 후방 요크(3)를 향해 통과하는 자속(방사상 방향에서)에 대하여 자속을 걸쳐 오기 때문에 전자력은 코일(4)의 직각 방향에서 발생되며, 즉, 그것의 회전 방향에서 발생된다.
또한, 코일(4)에 전류를 인가할 때, 자속의 흐름은 후방 요크(3) 내에서 발생된다. 후방 요크(3) 내에서 발생된 자속은 자석(6)에서 발생된 자속과 벡터 방향(도 13의 화살표 참조)에서 중첩된다. 결과적으로, 코일(4)에 걸쳐 오는 자속은 더 큰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추가로 강화된다. 특히, 볼록부(31)가 본 발명에 따라 후방 요크(3)에 형성되어 있고, 코일(4)의 전류 전환부(상기에서 언급한 단위 코일(41), 중앙부 및 중간부(43)의 접속점을 참조)가 볼록부(31)에 배치되어 있기때문에 자속은 볼록부(31) 및 자석(6) 사이에서 빔 형상으로 좁아져서, 자속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실제의 전기자 부분이 고정 측에 존재하기 때문에 자속 시스템부, 즉, 자석(6) 및 요크(5)는 반작용으로 인해 회전된다. 따라서, 구조는 회전 계자형의 것으로 된다. 회전력은 코일(4) 및 자석(6) 간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7)의 신호를 사용하여서 코일(4)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및 타이밍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발생되며, 따라서 모터는 연속하여 회전된다.
이어서, 코일(4)의 권선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코일 권선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도 1에 나타낸 후방 요크(3)를 사용하는 코일 권선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에서, 코일(4)은 도 1에 나타낸 링(ring)과 같은 후방 요크(3)에 적용되며, 후방 요크(3)의 저부(底部)로부터 삽입되어 수신되고(단계 1), 코일(4)은 후방 요크(3)의 상부에 수신되어 후방 요크(3) 주위에 권선됨으로써(단계 2), 코일 권선 공정이 실행된다.
이어서, 코일(4)의 권선 공정을 쉽게 하기 위하여, 링과 같은 후방 요크(3)의 모든 주변부를 다수의 개수로 분리한다. 예를 들면,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주변부를 9개의 섹션(코일 군(群)(42)의 수에 대응하여)으로 주변 방향에서 분리하고, 분리된 후방 요크(3) 주위에 코일(4)을 권선시킨다. 주위에 코일(4)이 권선된 다수의 후방 요크(3)를 링과 같은 후방 요크(3)가 형성되도록 용접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해 접착시킨다. 즉,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요크 주위에 권선되도록 후방 요크(3)를 이송시키면서 코일(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도 14(c)에서, 미리 권선하여 단위 코일(41)을 형성하고, 분리된 후방 요크(3) 주위에 코일(4)을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방식으로, 코일 권선 공정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5는 자석이 내부 및 외부 주변부에 배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구조와 상이한 점은 자석(6)이 내부 및 외부 주변부 양측에 배치되고, 후방 요크(3) 및 코일(4)이 양쪽 자석(6) 사이에 유지되도록 배치되는 구조에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구조에 따르면, 전자력이 내부 주변부 및 외부 주변부 앙쪽으로부터 코일(4)에 인가되기 때문에 더욱 강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6은 온도 특성의 추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회전되도록 모터에 12 ㎝의 직경을 갖는 표준 디스크를 부착할 시의 모터의 전류 소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교를 위한 모터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7에서 설명한 모터이다. 물론,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는 동일 조건으로 설정한다.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는 모터는 0℃ 및 70℃ 의 범위에서 사실상 고정된 전류 소모(240 ㎃)를 갖고,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반대로, 종래의 모터는 360 (㎃)으로부터 411 (㎃)로 14.2%의 증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는 모터는 종래 모터의 것보다 상당히 작은 간극 길이를 갖고, 상기 간극 길이는 모터의 회전자의 모든 주변부 주위에서 사실상 고정되어(상기에서 언급한 볼록부에서만 변경됨)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우수한 온도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모터의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퍼미언스(permeance)는 온도로 인해 변화를 발생하지 않는다(환언하면, 모터의 자기 회로는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어떠한 소자도 포함하고 있지 않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우수한 온도 특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디스크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는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낮은 온도의 시간에 디스크 장치(예를 들면, 랩톱형 컴퓨터)의 축전지 능력이 감소될 때일지라도, 안정적인 장시간의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디스크 장치가 장시간 동안 사용되고, 내부의 온도가 증가될 때일지라도, 장시간의 안정적인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에서 언급한 설명은 회전 계자형 외부 회전자 모터의 실시형태에 주어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회전 계자형 외부 회전자 모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자가 내부 주변부 또는 외부 주변부에 배치되는 지의 여부는 본 발명의 주제가 아니며, 그러나 다만, 구조의 관점에서의 배치이며, 본 발명에 따라 구조를 잘 사용함으로써, 내부 회전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 측에 계자 부분을 배치하고, 회전 측에 전기자 부분을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것은 구조의 관점에서 자석 및 후방 요크 사이의 간극을 감소 시킬 수 있고, 높은 간극 자속 밀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구조의 관점에서, 모터를 회전시키는 전자력이 회전자의 제일 외부 주변부(계자 부분) 부근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큰 모멘트(moment)를 얻을 수 있어서, 모터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가 코일로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많은 코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자석이 외부 주변부에 배치되고, 자화된 극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크를 일정하게 개선시킬 수 있고, 모터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하가 동일 수준 이라면, 낮은 전력 소모를 갖춘 모터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는 모터는 코일의 후방 요크에 대한 기계적 고정으로 인해 강체(剛體)로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은 진동되기 어렵다. 또한, 후방 요크에 발생된 자속은 직접 코일에 인가되기 때문에 모터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신속한 가속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특징을 갖는 모터를 디스크 장치에 사용한다면, 접근 시간 및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얇은 두께를 갖도록 디스크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설명에서 사용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스핀들 모터의 사용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하여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라 회전축 방향에서 구조 중의 모터 전기자 및 회전 계자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작은 모터 직경에도 불구하고, 높은 토크, 작은 관성 및 낮은 전력 소모를 갖는 모터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낮은 전력 소모, 높은 효율, 온도 변화에 대한 감소된 전력 소모의 변화, 및 얇은 구조를 갖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소비에 대하여 높은 효율성을 가지며, 전류 소모에서 변화가 감소되고, 크기를 얇게 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사용하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4)

  1.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yoke) 및 상기 전기자 요크의 원통형 주변 표면 주위에 권선된 전기자 코일을 갖춘 전기자; 및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원통형 주변 표면 상의 다수의 자극(磁極)에 의해 자화되는 원통형 계자(界磁)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전기자 코일의 전류 전환부에서 상기 원통형 계자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오목부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자 요크의 후방 표면 상에 형성되는 모터.
  3.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 및 상기 전기자 요크의 원통형 주변 표면 주위에 권선된 전기자 코일을 갖춘 전기자; 및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원통형 주변 표면 상의 다수의 자극에 의해 자화되는 원통형 계자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전기자 코일의 전류 전환부에서 상기 원통형 계자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자 요크의 후방 표면 상에 형성되는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코일은 상기 전기자 요크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 상기 전기자 요크의 원통형 부분 주위에 규칙적으로 밀접하게 권선되는 모터.
  5.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 및 상기 전기자 요크의 원통형 주변 표면 주위에 권선된 전기자 코일을 갖춘 전기자; 및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원통형 주변 표면 상의 다수의 자극에 의해 자화되는 원통형 계자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원통형 계자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자 요크의 후방 표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전기자 코일은 상기 볼록부의 양측(兩側) 주위에 2개의 코일을 권선하여 일측(一側)의 권선 단부(端部)를 타측(他側)의 권선 단부에 접속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일군(一群)의 전기자 코일에 의해 구성되는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코일은 상기 전기자 요크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 후방 요크의 원통형 부분 주위에 규칙적으로 밀접하게 권선되는 모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요크 및 상기 원통형 계자 사이의 간극(間隙)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간극은 1.0 (㎜) 및 1.5 (㎜) 사이의 범위로설정되는 모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각도는 2 도 및 8 도 사이의 범위로 설정되는 모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0.1 (㎜) 및 0.5 (㎜) 사이의 범위로 설정되는 모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계자는 상기 전기자 요크의 외부 주변부에 배치되고, 제2의 원통형 계자는 상기 전기자 요크의 내부 주변부에 배치되는 모터.
  11.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 및 상기 전기자 요크의 원통형 주변 표면 주위에 권선된 전기자 코일을 갖춘 전기자; 및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원통형 주변 표면 상의 다수의 자극에 의해 자화되는 원통형 계자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원통형 계자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자 요크의 후방 표면 상에 형성되며, 전기자 코일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는 각각 상기 볼록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기자 코일은 상기 볼록부의 양측 주위에 권선되도록 상기 결합부와함께 미리 성형된 중앙부에 결합되는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코일은 상기 전기자 요크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 후방 요크의 원통형 부분 주위에 규칙적으로 밀접하게 권선되는 모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요크 및 상기 원통형 계자 사이의 간극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간극은 1.0 (㎜) 및 1.5 (㎜) 사이의 범위로 설정되는 모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각도는 2 도 및 8 도 사이의 범위로 설정되는 모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0.1 (㎜) 및 0.5 (㎜) 사이의 범위로 설정되는 모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계자는 상기 전기자 요크의 외부 주변부에 배치되고, 제2의 원통형 계자는 상기 전기자 요크의 내부 주변부에 배치되는 모터.
  17. 모터에 의해서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 및 상기 전기자 요크의 원통형 주변 표면 주위에 권선된 전기자 코일을 갖춘 전기자; 및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원통형 주변 표면 상의 다수의 자극에 의해 자화되는 원통형 계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모터에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전기자 코일의 전류 전환부에서 상기 원통형 계자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는 모터에 의해서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장치.
  18. 모터에 의해서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 및 상기 전기자 요크의 원통형 주변 표면 주위에 권선된 전기자 코일을 갖춘 전기자; 및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원통형 주변 표면 상의 다수의 자극에 의해 자화되는 원통형 계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모터에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전기자 코일의 전류 전환부에서 상기 원통형 계자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자 요크의 후방 표면 상에 형성되는 모터에 의해서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장치.
  19. 모터에 의해서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 및 상기 전기자 요크의 원통형 주변 표면주위에 권선된 전기자 코일을 갖춘 전기자; 및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원통형 주변 표면 상의 다수의 자극에 의해 자화되는 원통형 계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모터에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원통형 계자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자 요크의 후방 표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전기자 코일은 상기 볼록부의 양측 주위에 2개의 코일을 권선하여 일측(一側)의 권선 단부(端部)를 타측(他側)의 권선 단부에 접속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일군(一群)의 전기자 코일에 의해 구성되는 모터에 의해서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장치.
  20. 모터에 의해서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 및 상기 전기자 요크의 원통형 주변 표면 주위에 권선된 전기자 코일을 갖춘 전기자; 및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원통형 주변 표면 상의 다수의 자극에 의해 자화되는 원통형 계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모터에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원통형 계자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자 요크의 후방 표면 상에 형성되며, 전기자 코일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는 각각 상기 볼록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기자 코일은 상기 볼록부의 양측 주위에 권선되도록 상기 결합부와함께 미리 성형된 중앙부에 결합되는 모터에 의해서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장치.
  21.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 주위에 전기자 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원통형 계자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전기자 코일은 상기 볼록부의 양측 주위에 동일 방향에서 2개의 코일을 권선하여, 일측(一側)의 권선 단부(端部)를 타측(他側)의 권선 단부에 접속시킴으로써 일군(一群)의 전기자 코일을 형성하는 권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볼록부를 중심으로 설정하여 다수의 부분에서 미리 분리하고, 미리 권선하여 형성된 전기자 코일은 상기 볼록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전기자 요크에 부착시키며, 상기 분리된 전기자 요크를 일측(一側)의 권선 단부(端部) 및 타측(他側)의 권선 단부를 상호 접속함과 동시에 접착하는 권선 방법.
  23.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전기자 요크 주위에 전기자 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원통형 계자를 향해 상기 전기자 요크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 및 전기자 코일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각각 형성하고, 또한,
    접혀진 중앙부는 상기 전기자 코일에 미리 구비하며, 상기 중앙부는 동일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의 양측 주위에 권선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는 권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요크는 상기 볼록부를 중심으로 설정하여 다수의 부분에서 미리 분리하고, 접혀진 중앙부는 상기 전기자 코일에 미리 구비하며, 상기 중앙부는 동일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의 양측 주위에 권선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분리된 전기자 요크를 접착하는 권선 방법.
KR10-2001-0086701A 2000-12-28 2001-12-28 특징적 구조의 전기자를 갖춘 모터, 디스크 장치 및 상기 모터에 사용되는 코일 권선방법 KR100460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400464 2000-12-28
JP2000400464 2000-12-28
JP2001307268 2001-10-03
JPJP-P-2001-00307268 2001-10-03
JPJP-P-2001-00309883 2001-10-05
JP2001309883 2001-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035A true KR20030009035A (ko) 2003-01-29
KR100460155B1 KR100460155B1 (ko) 2004-12-04

Family

ID=2734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701A KR100460155B1 (ko) 2000-12-28 2001-12-28 특징적 구조의 전기자를 갖춘 모터, 디스크 장치 및 상기 모터에 사용되는 코일 권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84914B2 (ko)
KR (1) KR100460155B1 (ko)
CN (1) CN1189992C (ko)
SG (1) SG108289A1 (ko)
TW (1) TW5488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0079B2 (en) * 2000-06-05 2005-08-16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treating a lipophilic fluid
WO2004030187A1 (en) * 2002-09-27 2004-04-08 Yun-Hyun Cho A flat board type brushless dc motor
US7119467B2 (en) * 2003-03-21 2006-10-10 Pratt & Whitney Canada Corp. Current limiting means for a generator
US6920023B2 (en) * 2003-03-21 2005-07-19 Pratt & Whitney Canada Corp. Current limiting means for a generator
US7583063B2 (en) 2003-05-27 2009-09-01 Pratt & Whitney Canada Corp. Architecture for electric machine
US6965183B2 (en) * 2003-05-27 2005-11-15 Pratt & Whitney Canada Corp. Architecture for electric machine
US7262539B2 (en) * 2004-11-26 2007-08-28 Pratt & Whitney Canada Corp. Saturation control of electric machine
US7545056B2 (en) * 2003-05-27 2009-06-09 Pratt & Whitney Canada Corp. Saturation control of electric machine
US7253548B2 (en) 2003-06-16 2007-08-07 Pratt & Whitney Canad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ic machine
US20050073210A1 (en) * 2003-10-02 2005-04-07 Rocky Drew M. Permanent magnet motor
JP2006325279A (ja) * 2005-04-21 2006-11-30 Nippon Densan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US20070210657A1 (en) * 2006-03-07 2007-09-13 Jian-Yeu Chen Brushless DC motors and systems using the same
US7948139B2 (en) 2006-05-19 2011-05-24 Pratt & Whitney Canada Corp. Magnetic control circuit separation slit
JP2009044880A (ja) * 2007-08-09 2009-02-26 Jtekt Corp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7773333B2 (en) * 2007-08-10 2010-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rding data simultaneously at two depths of a tilted magnetic medium
DE102009028196A1 (de) * 2009-08-04 2011-02-10 Robert Bosch Gmbh Luftspulenwicklung für HVAC-Gebläse
CN102948046B (zh) * 2010-03-16 2017-05-17 旋风能源公司 用于发电机的构件、它们的用途以及定子安装
US10172237B1 (en) * 2017-08-28 2019-01-01 Osram Sylvania Inc. Space-efficient PCB-based inducto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8524A (en) * 1929-06-26 1931-03-31 Palma Thomas Di Windshield
US2717036A (en) * 1952-11-04 1955-09-06 Estelle F Harris Automobile window screen
US3237778A (en) * 1964-05-04 1966-03-01 Hoodis Marvin Sweater and clothes dryer
US3588888A (en) * 1969-07-02 1971-06-28 Bowmar Instrument Corp Electromagnetic indicating apparatus
JPS4934082A (ko) 1972-07-31 1974-03-29
US3956651A (en) * 1974-11-05 1976-05-11 General Electric Company Wire stator structure
JPS5492305U (ko) * 1977-12-14 1979-06-29
JPS5574347A (en) 1978-11-25 1980-06-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al rotary machine
US5229677A (en) * 1991-09-18 1993-07-20 Newport News Shipbuilding And Dry Dock Company Electric propulsion motor for marine vehicles
JPH0659961A (ja) * 1992-08-05 1994-03-04 Nec Corp ファイル管理方式
US5783894A (en) * 1995-10-31 1998-07-21 Wither; Thomas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US5675196A (en) * 1995-11-20 1997-10-07 Quantum Corporation High speed ten pole/twelve slot D.C. brushless motor with minimized net radial force and low cogging torque
US5861696A (en) * 1996-09-04 1999-01-19 Quantu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DC motors and magnetic clutches
DE19643561C1 (de) * 1996-10-22 1998-01-15 Wolfgang Hill Elektrische Maschine mit einer Einzelpolwicklung
JP3495549B2 (ja) 1997-03-14 2004-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永久磁石モータ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エレベーター
JP3300808B2 (ja) 1997-03-26 2002-07-08 株式会社鷹山 π/nシフトPSK復調器
US6211595B1 (en) * 1997-07-18 2001-04-03 Sankyo Seiki Mfg. Co., Ltd. Armature structure of toroidal winding type rotating electric machine
JP3182125B2 (ja) * 1998-06-09 2001-07-0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空気軸受けモータ
JP2000245124A (ja) 1999-02-23 2000-09-08 Yaskawa Electric Corp 平滑電機子巻線形モータ
US6206447B1 (en) * 1999-09-23 2001-03-27 Annwil, Inc. Golf cart frame enclosure attachment device
SI20497B (sl) * 2000-01-14 2008-08-31 Harmonic Drive Systems Sinhronski hibridni elektriäśni stroj s toroidnim navitjem
US6617746B1 (en) * 2001-10-01 2003-09-09 Wavecrest Laboratories, Llc Rotary electric motor having axially aligned stator poles and/or rotor po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9992C (zh) 2005-02-16
US20020084715A1 (en) 2002-07-04
KR100460155B1 (ko) 2004-12-04
US6984914B2 (en) 2006-01-10
SG108289A1 (en) 2005-01-28
TW548891B (en) 2003-08-21
CN1366374A (zh)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155B1 (ko) 특징적 구조의 전기자를 갖춘 모터, 디스크 장치 및 상기 모터에 사용되는 코일 권선방법
US6791222B1 (en) Rotary electric motor having at least two axially air gaps separating stator and rotor segments
JP3745884B2 (ja) モータ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5033552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コアレス回転機
JPH09294365A (ja) モータ構造
US5952760A (en) Brushless DC motor
US6861773B2 (en) Stepping motor
US20020050760A1 (en) Brushless motor
JPH11187639A (ja) 磁石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CN102210087B (zh) 双激励单极型旋转电机
CN111030402B (zh) 方向性硅钢片轴向磁场电动机
JP3631788B2 (ja) モータ
JP3644424B2 (ja)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2004120932A (ja)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装置
WO2005069466A1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02027720A (ja)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装置
KR900003985B1 (ko) 인너로터 모터의 유철심형 전기자의 제조방법
WO2000051224A1 (en) Permanent magnet d.c. motor having a radially-disposed working flux gap
CN115507120A (zh) 一种磁悬浮主动式三自由度轴承、电机和压缩机
CN115654010A (zh) 一种磁悬浮主动式三自由度轴承、电机和压缩机
JP5228550B2 (ja) 交流ブラシレス電気機械
JPH07336989A (ja) 3相クローポール式永久磁石型回転電機
JPH0370460A (ja) 偏平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9017764A (ja) 電動機
JPH10172157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