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684A -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684A
KR20030003684A KR1020020032008A KR20020032008A KR20030003684A KR 20030003684 A KR20030003684 A KR 20030003684A KR 1020020032008 A KR1020020032008 A KR 1020020032008A KR 20020032008 A KR20020032008 A KR 20020032008A KR 20030003684 A KR20030003684 A KR 20030003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version unit
converter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8222B1 (ko
Inventor
이인성
강문식
한송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2003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222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020731006 priority patent/EP1402310B1/en
Priority to JP2003511027A priority patent/JP2004533800A/ja
Priority to CNB028133552A priority patent/CN1278301C/zh
Priority to US10/479,814 priority patent/US7319600B2/en
Priority to PCT/KR2002/001090 priority patent/WO2003005110A1/en
Publication of KR2003000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684A/ko
Priority to US11/933,374 priority patent/US20090015068A1/en
Priority to KR1020080082267A priority patent/KR100872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222B1/ko
Priority to JP2009139278A priority patent/JP2009213350A/ja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specially adapted components in the load circuit, e.g. feed-back transformers, piezoelectric transformers; using specially adapted load circuit configur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Rectifi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c-Ac Conversion (AREA)

Abstract

대형 액정 표시 패널에서 채용하는 외장형 직류 전원 장치를 액정 표시 패널에 내장하므로써 원가 절감 및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제1 전원변환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원을 승압시켜 출력하고, 제2 전원변환부는 승압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승압시켜 로드에 출력한다. 전류검출부는 로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 검출 신호를 피드백시켜 정전압의 직류 전원의 출력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LCD 모듈의 원가 절감 및 효율 개선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모니터는 주로 노트북 컴퓨터용이고, 상기 노트북 컴퓨터용 LCD 모니터는 본체의 특성상 배터리나 외장형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밖에 없다.
도 1은 일반적인 데스크탑용 LCD 모니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데스크탑용 LCD 모니터는 AC 입력부(12), AC-DC 정류부(14) 및 DC-DC 컨버터(16)로 이루어진 전원 입력부(10)와, DC-AC 인버터(22), 백 라이트부(23), DC-DC 컨버터(24) 및 LCD 패널부(25)로 이루어진 LCD 모듈(2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데스크탑용 모니터를 구현할 때도 외장형 직류 전원, 즉 아답터(Adapter)를 채용하는 노트북용 LCD 모니터의 전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외장형 직류 전원을 데스크탑용 모니터로의 채용에 의해 외부에 별도의 전원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외장이 깔끔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로 구비된 전원 장치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이를 다시 상이한 레벨의 전원으로 변경하므로써 전원의 효율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답터 일체형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장형 직류 전원 장치를 LCD 패널에 내장시켜 집적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아답터 일체형 전원 공급 장치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데스크탑용 LCD 모니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한 도 2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상기한 도 2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한 도 6의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100 : AC 입력부14 : AC-DC 정류부
16, 24, 242 : DC-DC 컨버터20 : LCD 모듈
22, 220 : DC-AC 인버터23 : 백 라이트부
25 : LCD 패널부510 : 형광램프
300 : 제1 전원변환부400 : 제2 전원변환부
500 : 로드600 : 전류 검출부
700 : 제3 전원변환부800 : 액정 표시 모듈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 전원을 제1 승압시켜 출력하는 제1 전원변환부; 상기 제1 승압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제2 승압시켜 제1 로드에 출력하는 제2 전원변환부; 및 상기 제1 로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 검출 신호를 상기 제1 전원변환부에 제공하여 정전압의 직류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류검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원변환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직류 전원으로 제1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제1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2 직류 전원으로 제2 변환하고, 상기 제2 직류 전원을 상기 제2 전원변환부에 출력하는 직류-직류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직류-직류변환기는 상기 전류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직류 전원의 출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전원변환부는 로이어 인버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전원변환부는, 1차측이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차측이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된 변압기; LC 공진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변압기의 제1 권선의 양단간에 병렬 연결된 공진 캐패시터; 베이스가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상기 공진 캐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며, 에미터가 접지되어, 상기 변압기를 구동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베이스가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상기 공진 캐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며, 에미터가 접지되어, 상기 변압기를 구동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전원변환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제1 직류 전원보다는 낮은 직류 전원으로 제3 변환하고, 제3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2 로드에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1 전원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제3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제2 로드에 출력하는 제3 전원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LCD 패널 구동 드라이버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패널과, 상기 LCD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광을상기 LCD 패널에 제공하는 백 라이트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정류부; 상기 백 라이트부에 적응하도록 상기 AC-DC 정류부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백 라이트부에 출력하는 DC-AC 인버터; 및 상기 LCD 패널 구동 드라이버에 적응하도록 상기 AC-DC 정류부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을 복수의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LCD 패널 구동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DC-DC 전압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AC-DC 정류부는 역률 개선(PFC)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AC-DC 정류부는, 수동 다이오드 정류기(Passive Diode Rectifier), 능동 PWM 정류기(Active PWM Rectifi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DC-AC 인버터는, 벅 컨버터(Buck Converter), 부스트 컨버터(Booster Converter), 하프 브리지 컨버터(Half-Bridge Converter),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푸쉬풀 컨버터(Push-Pull Converter) 및 포워드 컨버터(Forward Convert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DC-DC 컨버터는, 로이어 인버터(Royer Inverter), 푸쉬-풀 인버터(Push-Pull Inverter), 하프 브리지 인버터(Half bridge Inverter) 및 풀 브리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복수의 구동 드라이버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제공하는 백라이트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소정의 승압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직류 전원을 제1 승압시켜 출력하는 제1 전원변환부; 상기 제1 승압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제2 승압시켜 상기 백라이트부에 출력하는 제2 전원변환부; 상기 백라이트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승압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전원변환부에 제공하는 전류검출부; 및 상기 제1 전원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복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 드라이버에 각각 제공하는 제3 전원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형광램프에 고전압을 제공할 수 있고, 대형 LCD 패널에서 채용되는 외장형 직류 전원 장치를 LCD 패널에 내장시키므로써 원가 절감 및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면,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AC 입력부(100)와 LCD 모듈부(200)를 포함한다.
AC 입력부(100)는 100 내지 240 볼트의 범용 교류 전압을 LCD 모듈부(200)에직접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소정의 플러그를 콘센트 등에 플러그-인(Plug-in)함으로써 LCD 모듈부(200)에 범용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LCD 모듈부(200)는 AC-DC 정류부(210), DC-AC 인버터(220), 백 라이트부(230), DC-DC 전압변환부(240) 및 LCD 패널부(250)로 이루어져, AC 입력부(100)로부터 범용 교류 전압을 제공받아 외부의 그래픽 콘트롤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히는, AC-DC 정류부(210)는 역률 보정(PFC) 기능을 구비하여 100 내지 240 볼트 범위에 있는 범용 교류 전압을 고압의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직류 전압을 DC-DC 전압변환부(240)와 DC-AC 인버터(220)에 각각 제공한다.
상기한 AC-DC 정류부(210)는 다이오드 정류기(Diode Rectifier)나 액티브 PWM 정류기(Active PWM Rectifier) 등을 통해서 구현이 가능하다.
DC-AC 인버터(220)는 AC-DC 정류부(210)에서 생성된 고전압, 예를 들어 500 내지 600 볼트의 고전압의 직류 전원을 백 라이트에 맞는 교류 전압(221)으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DC-AC 인버터(220)는 기존의 5 내지 12 볼트 내외의 저전압에서 구동되는 인버터를 제외한 고전압, 예를 들어 500 내지 600 볼트 정도로 발생된 고전압을 이용한 모든 인버터류를 통해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로이어 인버터(Royer Inverter), 푸쉬풀 인버터(Push-Pull Inverter), 하프 브리지 인버터(Half-Bridge Inverter), 풀 브리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er) 등을 통해서 구현이 가능하다.
여기서, 고전압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경하는 DC-AC 인버터(220)를LCD 모듈부(200)에 직접 채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턴수가 많은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채용한 LCD 모니터와 비교할 때, 턴수가 적고, 보다 효율적인 트랜스포머로 대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한 트랜스포머를 제거한 DC-AC 인버터를 채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트랜스포머를 제거한 DC-AC 인버터의 채용에 의해 LCD 모니터의 단가를 저감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백 라이트부(230)는 일반적으로 LCD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소정의 형광등으로 이루어져, DC-AC 인버터(220)로부터 제공되는 전류 전압(221)을 근거로 형광등의 출력 광 레벨을 조정하여 LCD 패널 후면에 조사한다.
DC-DC 전압변환부(240)는 DC-DC 컨버터(242), 공통 전극 전압 발생부(244) 및 감마 전압 발생부(246)로 이루어져, AC-DC 정류부(210)에서 생성된 고전압, 예를 들어 500 내지 600 볼트의 고전압의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LCD 패널부(250)를 구성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부나 스캔 드라이버, LCD 패널 등을 구동하기 위한 직류 전원으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보다 상세히는, DC-DC 컨버터(242)는 AC-DC 정류부(210)로부터 제공되는 고전압의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공통 전극 전압 발생부(244)와 감마 전압 발생부(246) 및 LCD 패널부(250)에 제공한다.
상기한 DC-DC 컨버터(242)는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벅 컨버터(Buck Converter), 하프 브리지 컨버터(Half-Bridge Converter),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풀 브리지 컨버터(Full-Bridge Converter), 푸쉬풀 컨버터(Push-Pull Converter), 포워드 컨버터(Forward Converter) 등을 통해서 구현이 가능하다.
공통 전극 전압 발생부(244)는 DC-DC 컨버터(242)로부터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근거로 공통 전극 전압(VCOM)을 발생하여 LCD 패널부(250)에 제공한다. 이때 공통 전극 전압 발생부에 제공되는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은 공통 전극 전압 발생부의 신호 전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마 전압 발생부(246)는 DC-DC 컨버터(242)로부터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근거로 감마 전압(VDD)을 발생하여 LCD 패널부(250)에 제공한다. 이때 감마 전압 발생부에 제공되는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은 감마 기준 전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DC-DC 전압 발생부에 공통 전극 전압 발생부와 감마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LCD 패널부(250)에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스크탑용 LCD 모니터를 구현할 때 종래의 노트북용 LCD 모니터에서 채용하는 외장형 직류 전원 장치를 그대로 채용하지 않고, 외장형 직류 전원 장치를 LCD 모듈에 직접 채용하므로써 데스크탑용 LCD 모니터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원 변환 단계와 비교할 때 전원 변환 단계를 줄일 수 있어 전원부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상기한 도 2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AC 입력부(100)는 100 내지 240 볼트의 범용 전압을 AC-DC 다이오드 정류부(210)측에 제공한다.
AC-DC 다이오드 정류부(210)는 병렬 연결된 두개의 다이오드 열로 이루어져, 100 내지 240 볼트의 범용 전압을 제공받아 이를 정류한 후 정류 전압을 제1 DC-DC 컨버터(242-a)에 제공한다.
제1 DC-DC 컨버터(242-a)는 역률 보정(PFC; Power Factor Correction) 기능을 구비하는 부스트(Boost) DC-DC 컨버터로서, 보다 상세히는 일단이 AC-DC 다이오드 정류부의 일단에 연결된 인덕터(L)와,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를 통해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 단자가 인덕터의 타단에 연결되며, 소스 단자가 AC-DC 다이오드 정류부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절연 게이트형 FET(이하 MOSFET)(Q1)와, 일단이 다이오드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 MOSFET(Q1)의 소스 단자에 연결된 커패시터(C)로 이루어져, AC-DC 다이오드 정류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정류 전압을 승압하고, 승압된 전압을 DC-AC 인버터(220) 및 제2 DC-DC 컨버터(242-b)에 제공한다.
DC-AC 인버터(220)는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를 통해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된 4개의 MOSFET(Q2, Q3, Q4, Q5)와, 제1 트랜스포머(T1)로 이루어져, CCFL 백 라이트용 전압을 출력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한 DC-AC 인버터(220)는 드레인 단자를 통해 캐패시터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를 통해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된 제2 MOSFET(Q2)와, 드레인 단자를 통해 상기 제2 MOSFET(Q2)의 소스 단자에 직렬 연결되고, 소스 단자를 통해 상기 캐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를 통해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된 제3 MOSFET(Q3)와, 상기 제2 MOSFET(Q2)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와 베이스 단자를 통해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된 제4 MOSFET(Q4)와, 드레인 단자를 통해 상기 제4 MOSFET(Q4)의 소스 단자에 직렬 연결되고, 소스 단자를 통해 상기 제3 MOSFET(Q3)의 소스 단자에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와 베이스 단자를 통해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된 제5 MOSFET(Q5)와, 상기 제2 MOSFET(Q2)와 제3 MOSFET(Q3)와의 공통단과 제4 MOSFET(Q4)와 제5 MOSFET(Q5)와의 공통단이 1차측 코일에 각각 연결되고, 2차측 코일은 형광램프에 연결되어, 코일의 턴수에 따라 1차측 코일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DC 전원을 승압하여 형광램프에 제공한다.
제2 DC-DC 컨버터(242-b)는 다중 출력 기능을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로서, 제1 DC-DC 컨버터(242-a)로부터 승압된 전압을 제공받아 복수의 전압을 출력한다.
특히, 제2 DC-DC 컨버터(242b)는 드레인 단자와 베이스 단자를 통해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된 제6 MOSFET(Q6)와, 주전원을 생성하는 1차 권선과, 자기 코어와, 복수의 보조 전원을 생성하는 복수의 2차 권선을 구비하는 제2 트랜스포머(T2)를 포함하여 1차 코일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자기 코어를 통해 복수의 2차 코일로 직류 전원을 전달한다.
이때 1차 권선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은 많은 전력이 필요한 데이터 구동 전압으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차 코일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은 스캔 드라이버에 인가되어 TFT 스위칭 소자의 턴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온/오프 전압(Von/VOFF)과, 공통 전극 라인에 인가되는 공통 전극 전압(Vcom)의 기준 전압과, 감마 전압 발생을 위한 기준 전압 등으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한 도 2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AC 입력부(100)는 100 내지 240 볼트의 범용 교류 전원을 AC-DC 정류부(210)에 제공한다.
AC-DC 정류부(210)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ridge Diode)와, 인덕터(L), 상기 인덕터(L)의 타단을 통해 병렬 연결된 파워 트랜지스터(Q1), 제5 다이오드(D5) 및 캐패시터(C)로 이루어져 직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여, AC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범용 교류 전원을 정류 및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DC-AC 인버터(220) 및 DC-DC 컨버터(242)에 제공한다.
즉, 브리지 다이오드는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D1, D2, D3, D4)로 이루어져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와 제3 및 제4 다이오드(D3, D4)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정류된 교류 전원을 인덕터(L), 인덕터(L)의 타단을 통해 병렬 연결된 파워 트랜지스터(Q1), 제5 다이오드(D5) 및 캐패시터(C)로 이루어진 DC-DC 컨버터를 통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DC-AC 인버터(220) 및 DC-DC 컨버터(242)에 제공한다.
특히, 상기한 AC-DC 정류부(210)는 역률 보정(PFC; Power Factor Correction) 기능을 구비하는 부스트(Boost) DC-DC 컨버터이다. 보다 상세히는 일단이 브리지 다이오드의 일단에 연결된 인덕터(L)와,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를 통해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 단자가 인덕터(L)의 타단에 연결되며, 소스 단자가 브리지 다이오드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절연 게이트형 FET(이하MOSFET)(Q1)와, 일단이 제5 다이오드(D5)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 MOSFET(Q1)의 소스 단자에 연결된 커패시터(C)로 이루어져, 제1 MOSFET(Q1)의 게이트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브리지 다이오드로부터 제공되는 정류 전압을 승압하고, 승압된 전압을 DC-AC 인버터(220) 및 DC-DC 컨버터(242)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1 MOSFET(Q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는 형광램프에 흐르는 관전류에 응답하여 검출되는 제어신호로서 형광램프에 과전류가 흐르면 승압 레벨을 조정하는 신호이다.
DC-AC 인버터(220)는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를 통해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된 4개의 MOSFET(Q2, Q3, Q4, Q5)와, 제1 트랜스포머(T1)로 이루어져, 백 라이트용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한 DC-AC 인버터(220)는 상기한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DC-DC 컨버터(242)는 다중 출력 기능을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로서, AC-DC 정류부(210)로부터 승압된 전압을 제공받아 복수의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한 DC-DC 컨버터(242)는 상기한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LCD TV에 채용되는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냉음극선 형광램프(CCFL)에 대응하는 대체 광원으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 형광등 방식의 면광원은 하나의 구동 회로로도 전체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할 수 있고, 액정표시패널 전체에 걸쳐 직하형 방식의 CCFL 구동 백라이트보다 휘도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액정표시패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하나의 형광램프를 구부려 전체의 면을 커버하기 때문에 증가된 관길이에 비례하여 동작 전압이 2.5kV 이상, 심지어는 3.0kV 이상까지 상승한다. 상기한 동작 전압은 일반적인 CCFL의 동작 전압이 600 내지 800V인 점을 감안할 때 대략 2.5배에서 5배까지 높은 값으로, 이의 구동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형광램프 튜브의 양단에 내부전극을 각각 채용하는 CCFL에 대응하여 형광램프 튜브의 양단에 외부전극을 채용하는 관외전극 형광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이나 형광램프 튜브의 일단에 외부전극을 채용하고, 타단에 내부전극을 채용한 내외부전극 형광램프(EIFL; External In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외전극 형광램프나 내외부전극 형광램프도 역시 통상적인 CCFL 방식의 형광램프보다 고전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고전압이 요구되는 형광램프에 적합한 전원 공급 장치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고압이 요구되는 로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AC 입력부(100), 제1 전원변환부(300), 제2 전원변환부(400) 및 전류 검출부(600)를 포함한다.
AC 입력부(100)는 100 내지 240 볼트의 범용 교류 전원을 제1 전원변환부(300)에 제공한다.
제1 전원변환부(300)는 정류부(310)와 DC-DC 컨버터(320)로 이루어지는 아답터(Adapter)로서, 범용 교류 전원(101)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321)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직류 전원(321)을 제2 전원변환부(400)에 제공하며, 전류검출부(600)로부터 제공되는 전류 검출 신호(601)에 응답하여 제2 전원변환부(400)에 제공하는 직류 전원 레벨을 조정한다.
보다 상세히는, 정류부(310)는 AC 입력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범용 교류 전원(101)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311)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원(311)을 DC-DC 컨버터(32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정류부(310)는 AC-DC 다이오드 정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DC-DC 컨버터(320)는 정류부(31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311)의 레벨을 변환하고,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321)을 제2 전원변환부(400)에 제공하며, 전류검출부(600)로부터 제공되는 전류 검출 신호(601)에 응답하여 직류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이때 직류 전원의 레벨을 승압 또는 강압시킬 수 있을 것이며, 바이패스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류 검출 신호(601)에 응답하여 직류 레벨을 조정하는데, 만일 로드(500)에 일정 폭의 임계치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DC-DC 컨버터(32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레벨보다 낮은 직류 레벨을 출력하도록 조정하고, 일정 폭의 임계치보다 적은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DC-DC 컨버터(32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레벨보다 높은 직류 레벨을 출력하도록 조정하여 정전압 출력을 제어한다.
제2 전원변환부(400)는 DC-AC 인버터로서, DC-DC 컨버터(32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321)을 승압 또는 강압한 후 교류 전원(401)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401)을 로드(500)에 제공한다.
전류 검출부(600)는 로드(500)에 흐르는 전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 레벨에 대응하는 전류 검출 신호(601)를 제1 전원변환부(300)에 구비되는 DC-DC 컨버터(320)에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AC 입력부(100), 제1 전원변환부(300), 제2 전원변환부(400), 형광램프(510), 전류 검출부(600), 제3 전원변환부(700) 및 액정 표시 모듈(800)을 포함하고, 상기한 도 5와 비교할 때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AC 입력부(100)는 100 내지 240 볼트의 범용 교류 전원을 제1 전원변환부(300)에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소정의 플러그를 콘센트 등에 플러그-인(Plug-in)함으로써 범용 교류전압을 제공한다.
제1 전원변환부(300)는 정류부(310)와 제1 DC-DC 컨버터(320)로 이루어지는 아답터(Adapter)로서, AC 입력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범용 교류 전원을 정류 및 직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2 전원변환부(400) 및 제3전원변환부(700)에 각각 제공한다. 여기서, 정류부(310)는 AC-DC 다이오드 정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전원변환부(400)는 DC-AC 인버터로 이루어져, 제1 전원변환부(300)의 DC-DC 컨버터(32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형광램프(510)에 제공한다.
형광램프(510)는 제2 전원변환부(40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에 응답하여 액정 표시 모듈(800)에 광을 출사한다.
전류 검출부(600)는 형광램프(510)에 흐르는 관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관전류를 제1 전원변환부(300)의 DC-DC 컨버터(320)에 제공한다.
제3 전원변환부(700)는 DC-DC 컨버터로 이루어져, 제1 전원변환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복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각각의 직류 전원을 액정 표시 모듈(800)에 제공한다. 이때 DC-DC 컨버터는 플라이백 컨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 모듈(800)은 공통 전극 전압 발생부(810), 감마 전압 발생부(820), 데이터 드라이버(830), 게이트 드라이버(840) 및 액정 표시 패널(850)로 이루어져, 제3 전원변환부(70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에 응답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히는, 공통 전극 전압 발생부(810)는 제3 전원변환부(70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근거로 공통 전극 전압(VCOM)을 생성하고, 생성된 공통 전극 전압(VCOM)을 액정 표시 패널(850)에 출력한다.
감마 전압 발생부(820)는 제3 전원변환부(70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근거로 감마 전압(VDD)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마 전압(VDD)을 데이터 드라이버부(830)에 출력한다.
데이터 드라이버부(830)는 감마 전압 발생부(820)로부터 제공되는 감마 전압을 근거로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상 신호를 감마 보정하고, 감마 보정된 화상 신호를 액정 표시 패널(850)에 출력한다.
게이트 드라이버(840)는 제3 전원변환부(70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 바람직하게는 게이트 온/오프 신호(VON/VOFF)를 근거로 스캔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스캔 신호를 액정 표시 패널(850)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액정 표시 패널(850)은 게이트 드라이버(840)로부터 제공되는 스캔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드라이버부(8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며 게이트 라인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되며 각각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TFT)를 가지는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동작시,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온 신호가 인가되어 스위칭 소자(TFT)가 턴 온되면, 데이터 라인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Vd)이 스위칭 소자(TFT)를 통해 각 화소 전극에 인가된다. 그러면,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과 공통 전극 전압 발생부(810)로부터 제공되는 공통 전극 전압(VCOM)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계가 액정 커패시터에 인가되어 상기 전계의 세기에 대응하는 투과율로 빛이 투과되므로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을 소비하는 형광램프에서 고전압을 요구하는 경우 일반적인 인버터 회로에서는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벅 인버터를 이용하여 재차 승압한 후 승압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을 변환하는 2-스테이지를 구비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벅 인버터를 배제하더라도 형광램프에서 요구하는 고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인버터 회로를 2-스테이지 형식에서 1-스테이지 형식으로 변경하므로써, 형광램프 구동의 편의와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인버터 회로에서 로이어 블록만 남기고 전단에 배열되는 DC-DC 컨버터, 즉 벅(BUCK) 블록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형광램프 구동의 편의와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7은 상기한 도 6의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전원변환부(300)는 AC-DC 다이오드 정류부(310)와 DC-DC 컨버터(320)로 이루어져, AC 입력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범용 교류 전원을 정류 및 직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2 전원변환부(400) 및 제3 전원변환부(700)에 각각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는, AC-DC 다이오드 정류부(310)는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D1, D2, D3, D4)로 이루어지는 브리지 다이오드(Bridge Diode)로 이루어져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와 제3 및 제4 다이오드(D3, D4)를 통해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정류하여 DC-DC 컨버터(320)에 제공한다.
DC-DC 컨버터(320)는 AC-DC 다이오드 정류부(310)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된 인덕터(L), 인덕터(L)의 타단을 통해 병렬 연결된 파워 트랜지스터(Q1), 제5 다이오드(D5) 및 제1 캐패시터(C1)로 이루어져, AC-DC 다이오드 정류부(310)로부터 정류된 직류 전원을 스무딩(Smoothing)시켜 제3 전원변환부(700)에 제공한다.
또한, DC-DC 컨버터(320)는 스위칭 소자(Q7), 트랜스포머(T3), 제6 다이오드(D6) 및 제2 캐패시터(C2)를 더 포함하여, AC-DC 다이오드 정류부(310)로부터 정류된 직류 전원을 스무딩(Smoothing)시킨 직류전원을 승압시켜 제2 전원변환부(4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Q7)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미터 단자는 캐패시터(C1)의 타단에 연결되고, 컬렉터 단자는 트랜스포터(T3)의 1차 권선에 연결되며, 베이스 단자는 전류 검출부(60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류 검출 신호(601)에 응답하여 트랜스포머(T3)의 승압 동작을 조정한다.
제2 전원변환부(400)는 로이어(Royer) 타입의 DC-AC 인버터로 이루어져, DC-DC 컨버터(32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을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형광램프(510)에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는, DC-DC 컨버터(320)에 의해 변환된 DC 전원은 병렬 연결된 저항(R1, R2)을 경유하여 제2 전원변환부(400)의 입력측인 트랜지스터(Q7, Q9)의 베이스단자에 각각 접속된다. 변압기의 중간탭을 갖는 1차 권선(T4)은 각각의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Q8, Q9)의 컬렉터단자들 사이에 병렬 접속되고, 또한 공진 커패시터(CR)가 병렬 접속된다.
또한 DC 전원은 제2 전원변환부(4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정전류로 변환하기위한 쵸크 코일(choke coil)을 포함한 인덕터(L)를 직렬로 거쳐서 변압기(T4)의 1차 권선의 중간 탭에 접속된다.
변압기(T4)의 2차 권선은 1차 권선보다도 많은 감기로 형성되어 1차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승압하여 2차 권선의 양단에 연결된 형광램프(510)에 승압된 정전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정전압은 승압된 교류 전원의 정극성과 부극성 레벨이 동일한 전압일 수도 있고, 승압된 교류 전원의 최고치 레벨과 최저치 레벨간의 간격이 동일한 레벨의 전압일 수도 있다.
한편, 변압기(T5)를 구성하는 1차 권선의 일단은 제1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단자와 연결되며, 변압기(T5)의 1차 권선에 여기된 전압을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8, Q9)의 베이스단자에 각각 인가시킨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라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DC-AC 인버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펄스 변환된 DC 전원, 즉 펄스 전원이 인가되면 인덕터(L)를 통하여 변압기(T4)의 1차 권선으로 전류가 흐르고, 이와 동시에 펄스 전원이 제1 저항(R1)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고, 제2 저항(R2)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변압기(T4)를 구성하는 1차 권선의 리액턴스와 공진 커패시터(CR)에 의해 LC 공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변압기(T4)의 2차 권선의 양단자들간에는 1차 권선 대 2차 권선의 권수비(TURN RATIO)만큼 승압된 전압이 발생된다. 이와 동시에, 변압기(T5)를 구성하는 1차 권선에는 변압기(T4)의 1차 권선의 전류 흐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후, 변압기(T4)의 1차 권선 대 변압기(T5)의 1차 권선(T5)의 권수비만큼 전압이 높아져서 변압기(T4)의 1차 권선에 대향하는 2차 권선으로부터 주파수와 위상이 동기되는 고전압 파형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주파수와 위상이 동기되는 고전압은 형광램프(510)에서 발생되는 플리커를 제거할 수 있다.
형광램프(510)는 제2 전원변환부(40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원에 응답하여 액정 모듈측에 광을 출사한다. 여기서, 형광램프는 냉음극선 형광 램프가 요구하는 600 내지 800V의 동작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 즉 2.5kV 이상, 심지어는 3.0kV 이상까지 동작 전압을 요구하는 형광램프이다. 즉, 하나의 형광램프를 구부려 액정 표시 패널의 전체면을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의 형광램프, 관외전극 형광램프(EEFL) 또는 내외부전극 형광램프(EIFL)이다.
전류 검출부(600)는 형광램프(510)에 흐르는 전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 레벨에 대응하는 전류 검출 신호(601)를 제1 전원변환부(300)에 구비되는 DC-DC 컨버터(320)에 피드백한다.
보다 상세히는 전류 검출부(600)는 일단이 형광램프(51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저항(R3)과, 캐소드가 형광램프(510)의 타단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접지된 제7 다이오드(D7)와, 캐소드가 DC-DC 컨버터(320)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형광램프(510)의 타단에 연결된 제8 다이오드(D8)로 이루어진다.
동작시, 전류 검출부(600)는 형광램프(510)의 타단을 통해 출력되는 관전류를 감지하여 DC-DC 컨버터(320)에 구비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 단자에 제공하여 직류 전압의 승압 정도를 조정하도록 요청한다. 즉, DC-DC 컨버터(320)에서는 관전류 감지부(600)로부터 제공되는 전류 검출 신호(601)를 근거로 현재 출력되는 출력 전압의 레벨을 승압 또는 강압 조정하여 DC-AC 인버터(400)를 경유하여 형광램프(510)에 제공할 것이다.
제3 전원변환부(700)는 상기한 도 4에서 설명한 DC-DC 컨버터(242)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전원변환부(300), 즉 아답터에서 AC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150 내지 250V의 직류 전원과 12V의 직류 전원으로 각각 변환하고, 변환된 150 내지 250V의 직류 전원을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그리고 변환된 12V의 직류 전원을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각각 이용한다.
즉,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DC-AC 인버터(400)에 직접 인가되므로 DC-AC 인버터(400)에 구비되는 로이어 단에서는 150 내지 250V의 고전압의 직류 전원을 승압하여 고전압을 요구하는 형광램프의 구동 전압인 AC 3㎸대의 고전압으로 만들게 된다. 이때 형광램프 전류는 아답터의 출력 전압인 150 내지 250V의 전압을 가변시켜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은 상대적으로 고압의 직류 전원을 고압의 교류 전원으로 만들기 때문에 DC-AC 인버터(400)에 구비되는 로이어 단의 트랜스포머, 즉,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선비가 수십 배면 충분하므로 트랜스포머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라인이 상대적으로 고압인 150 내지 250V이므로 전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발열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전류 피드백을 아답터에 구비되는 DC-DC 컨버터에서 직접 받기 때문에 인버터 회로에 구비되는 DC-AC 인버터는 남겨두고, 벅크 단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전원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을 소비하는 로드에서 고전압을 요구하더라도 전원 효율의 저하없이 로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내의 회로 구성을 벅 블록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LCD 모니터의 외부에 장착되는 직류 전원 장치를 제거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치 및 이동하기에 간편하며, 사용자의 업무 환경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데스크탑용 LCD 모니터를 구현할 때 노트북용 LCD 모니터의 전원 체계를 그대로 채용하는 종래의 전원 변환 단계보다 전압 변환 단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원부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전원을 인버터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턴수가 많은 트랜스포머를 보다 효율적이고 턴수가 적은 트랜스포머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를 제거한 인버터의 구현을 현실화시킬 수 있고, 기존이 DC-DC 파워 모듈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고압의 직류 전원을 고압의 교류 전원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DC-AC 인버터에 구비되는 로이어 단의 트랜스포머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2)

  1.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 전원을 제1 승압시켜 출력하는 제1 전원변환부;
    상기 제1 승압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제2 승압시켜 제1 로드에 출력하는 제2 전원변환부; 및
    상기 제1 로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 검출 신호를 상기 제1 전원변환부에 제공하여 정전압의 직류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류검출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변환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제1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제1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2 직류 전원으로 제2 변환하고, 상기 제2 직류 전원을 상기 제2 전원변환부에 출력하는 직류-직류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직류-직류변환기는 상기 전류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직류 전원의 출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변환부는 로이어 인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변환부는,
    1차측이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차측이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된 변압기;
    LC 공진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변압기의 제1 권선의 양단간에 병렬 연결된 공진 캐패시터;
    베이스가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상기 공진 캐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며, 에미터가 접지되어, 상기 변압기를 구동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베이스가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상기 공진 캐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며, 에미터가 접지되어, 상기 변압기를 구동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변환부는 일단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변환부는 일단이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은 상용교류 전원이고, 상기 승압된 직류 전원은 150 내지 250볼트 중 어느 하나의 직류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변환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제1 직류 전원보다는 낮은 직류 전원으로 제3 변환하고, 제3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2 로드에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1 전원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제3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제2 로드에 출력하는 제3 전원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액정표시패널구동부와, 상기 액정표시패널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제공하는 백 라이트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여 제1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전원변환부;
    상기 백 라이트부에 적응하도록 상기 제1 전원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백 라이트부에 출력하는 제2 전원변환부;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구동부에 적응하도록 상기 제1 전원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직류 전원을 복수의 제2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구동부에 출력하는 제3 전원변환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변환부는 역률 개선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변환부는 수동 다이오드 정류기 및 능동 PWM 정류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변환부는 벅 컨버터, 부스트 컨버터, 하프 브리지 컨버터, 플라이백 컨버터, 푸쉬풀 컨버터 및 정방향 컨버터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원변환부는 로이어 인버터, 푸쉬-풀 인버터, 하프 브리지 인버터 및 풀 브리지 인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변환부는 상기 백라이트부에 흐르는 전류에 응답하는 전류검출신호를 피드백받아 상기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복수의 구동 드라이버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제공하는 백라이트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소정의 승압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직류 전원을 제1 승압시켜 출력하는 제1 전원변환부;
    상기 제1 승압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제2 승압시켜 상기 백라이트부에 출력하는 제2 전원변환부;
    상기 백라이트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승압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전원변환부에 제공하는 전류검출부; 및
    상기 제1 전원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복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 드라이버에 각각 제공하는 제3 전원변환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변환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제1 변환하고, 제1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부; 및
    상기 승압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1 승압하고, 제1 승압된 직류 전원을 상기 제2 전원변환부에 출력하는 직류-직류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변환부는 로이어 인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변환부는
    1차측이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차측이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된 변압기;
    LC 공진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변압기의 제1 권선의 양단간에 병렬 연결된 공진 캐패시터;
    베이스가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상기 공진 캐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며, 에미터가 접지되어, 상기 변압기를 구동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베이스가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상기 공진 캐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며, 에미터가 접지되어, 상기 변압기를 구동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변환부는 일단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변환부는 일단이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전원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은 상용교류 전원이고, 상기 제2 전원변환부에 인가되는 직류 전원은 150 내지 250볼트 중 어느 하나인 고압의 직류전압이며, 상기 제3 전원변환부에 인가되는 직류 전원은 상기 제2 전원변환부에 인가되는 직류 전원보다는 작은 직류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20032008A 2001-07-03 2002-06-07 액정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KR10087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008A KR100878222B1 (ko) 2001-07-03 2002-06-07 액정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JP2003511027A JP2004533800A (ja) 2001-07-03 2002-06-10 電源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CNB028133552A CN1278301C (zh) 2001-07-03 2002-06-10 用于提供电源的设备和具有该设备的液晶显示器
US10/479,814 US7319600B2 (en) 2001-07-03 2002-06-10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EP20020731006 EP1402310B1 (en) 2001-07-03 2002-06-10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PCT/KR2002/001090 WO2003005110A1 (en) 2001-07-03 2002-06-10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11/933,374 US20090015068A1 (en) 2001-07-03 2007-10-31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20080082267A KR100872467B1 (ko) 2001-07-03 2008-08-22 액정 표시 장치
JP2009139278A JP2009213350A (ja) 2001-07-03 2009-06-10 電源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48 2001-07-03
KR20010039548 2001-07-03
KR1020020032008A KR100878222B1 (ko) 2001-07-03 2002-06-07 액정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267A Division KR100872467B1 (ko) 2001-07-03 2008-08-22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684A true KR20030003684A (ko) 2003-01-10
KR100878222B1 KR100878222B1 (ko) 2009-01-13

Family

ID=266391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008A KR100878222B1 (ko) 2001-07-03 2002-06-07 액정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KR1020080082267A KR100872467B1 (ko) 2001-07-03 2008-08-22 액정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267A KR100872467B1 (ko) 2001-07-03 2008-08-22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319600B2 (ko)
EP (1) EP1402310B1 (ko)
JP (2) JP2004533800A (ko)
KR (2) KR100878222B1 (ko)
CN (1) CN1278301C (ko)
WO (1) WO2003005110A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8320A1 (en) * 2003-06-04 2005-01-27 Seongju Lee Inverter for eefl and backligth
KR100475448B1 (ko) * 2002-07-12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공급회로
KR100696754B1 (ko) * 2004-04-26 2007-03-19 델타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시.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
KR100833764B1 (ko) * 2007-01-22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910505B1 (ko) * 2007-11-26 2009-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외부 전극 형광 램프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구동 시스템
US7663322B2 (en) 2007-07-20 2010-02-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Backlight driving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84813B1 (ko) * 2003-06-24 2010-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US7869227B2 (en) 2004-08-27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KR101018114B1 (ko) * 2008-12-22 2011-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KR101030542B1 (ko) * 2003-12-30 2011-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방법
KR101043403B1 (ko) * 2004-08-27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US7990372B2 (en) 2006-09-27 2011-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142468B1 (ko) * 2004-05-17 2012-05-16 소니 주식회사 전원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KR101152118B1 (ko) * 2005-02-16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및 dc-dc 변환 장치
KR101252088B1 (ko) * 2006-06-03 2013-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70118331A (ko) * 2016-04-15 2017-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22B1 (ko) * 2001-07-03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JP4794826B2 (ja) * 2003-06-06 2011-10-19 ソニー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0497393B1 (ko) * 2003-06-20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시스템의 고효율 전원 공급 장치 및그 설계 방법
TWI277282B (en) * 2004-04-26 2007-03-21 Delta Electronics Inc New structured power supply system for a LCD apparatus
TWI281772B (en) * 2004-05-04 2007-05-21 Beyond Innovation Tech Co Ltd Synchronous operation device
US7512422B2 (en) * 2004-05-28 2009-03-31 Ixys Corporation RF generator with commutation inductor
CN100428322C (zh) * 2004-09-29 2008-10-22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抑制电力传导干扰的反流器电路
US7710744B2 (en) * 2004-10-11 2010-05-04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for controlling a full bridge converter with a current-doubler
TWI336876B (en) * 2004-11-10 2011-02-01 Himax Tech Inc Data driving system and display having adjustable common voltage
KR101101791B1 (ko) * 2004-12-30 2012-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버터 구동회로
KR101119782B1 (ko) * 2004-12-31 2012-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의 균일도가 향상된 백라이트
US20070247087A1 (en) * 2006-04-21 2007-10-25 Marketing Displays Inc. Lamp power supply and protection circuit
KR20070002615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구동장치
KR20070082230A (ko) * 2006-02-15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KR200416914Y1 (ko) * 2006-02-22 2006-05-23 김두일 고분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TW200807369A (en) * 2006-07-28 2008-02-01 Innolux Display Corp Driving system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0811789A (en) * 2006-08-16 2008-03-0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capable of reducing leakage current
KR101215513B1 (ko) * 2006-10-17 201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온 전압/발광 다이오드 구동전압 발생부와, 이를포함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와,액정표시장치의 에이징 테스트 장치
KR101287801B1 (ko) 2006-11-02 2013-07-17 한국과학기술원 램프구동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044984A (ko) * 2006-11-17 2008-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구동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20080116812A1 (en) * 2006-11-20 2008-05-22 Il-Woon Lee Plasma display device and power supply thereof
US8009452B1 (en) * 2007-03-03 2011-08-30 Sadwick Laurence P Multiple driver power supply
TWI332646B (en) * 2007-04-03 2010-11-01 Au Optronics Corp Lcd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80316188A1 (en) * 2007-06-20 2008-12-25 Tovi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driving circuit unit
US7773397B2 (en) * 2007-06-29 2010-08-10 Dell Products L.P.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a power inverter
KR100889690B1 (ko) 2007-08-28 2009-03-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N101399015B (zh) * 2007-09-26 2010-09-15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直流模拟电源装置
TWI424675B (zh) * 2007-12-25 2014-01-21 Spi Electronic Co Ltd Pre-level voltage converter
JP2009237200A (ja) * 2008-03-27 2009-10-15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JP4930522B2 (ja) * 2009-02-03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電源回路、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1826803B (zh) * 2009-03-06 2012-09-05 华映视讯(吴江)有限公司 液晶显示器的独立式电源供应模组
KR101695419B1 (ko) * 2009-04-15 2017-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581429B1 (ko) * 2009-05-25 2015-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611387B1 (ko) * 2010-01-18 2016-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회로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083389B1 (ko) 2010-06-15 2011-11-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진형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976958B (zh) * 2010-11-10 2012-08-01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功率因素校正的高效调功装置
JP5878129B2 (ja) * 2010-12-13 2016-03-08 ローム株式会社 電源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TW201246774A (en) * 2011-05-02 2012-11-16 Motech Ind Inc Circuit for converting a direct current voltage to an alternating current voltage
CN102612224B (zh) * 2012-03-01 2015-09-23 杭州乐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mr16led灯驱动电路、驱动方法以及应用其的mr16led灯照明系统
WO2013180500A1 (ko) * 2012-06-01 2013-12-05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백라이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JP5701283B2 (ja) * 2012-12-25 2015-04-15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充電装置
CN103078549A (zh) * 2013-01-10 2013-05-01 浙江中碳科技有限公司 一种交直流通用的交流适配器
US9236035B1 (en) 2013-03-14 2016-01-12 Iml International Operating multiple DC-to-DC converters efficiently by using predicted load information
KR20140144885A (ko) * 2013-06-12 2014-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회로부, 그 전원공급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2277986B1 (ko) * 2013-09-26 2021-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3560575B (zh) 2013-11-12 2015-10-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供电装置和电子设备
KR102193574B1 (ko) * 2014-01-20 2020-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9863584B (zh) 2016-06-15 2023-05-26 沃特洛电气制造公司 用于热系统的功率转换器
CN107482905A (zh) * 2017-07-19 2017-12-15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直流电压转换电路及直流电压转换方法与液晶显示装置
CN107567132A (zh) * 2017-08-30 2018-01-09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驱动电路、控制方法及投影机
WO2019113823A1 (zh) * 2017-12-13 2019-06-2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驱动方法
KR102532036B1 (ko) * 2018-03-05 2023-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7047B1 (ko) * 2018-05-04 2024-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댑터, 전원 공급 시스템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EP3921152A1 (en) * 2019-02-08 2021-12-15 Cardinal Ig Company Low power driver for privacy glazing
CN113253079A (zh) * 2021-07-06 2021-08-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中山供电局 一种微机型直流系统绝缘监测试验装置及方法
WO2023229147A1 (ko) * 2022-05-23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장치
WO2024019295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938A (en) * 1975-07-04 1977-01-19 Hitachi Ltd Transistor invertor circuit
JPS5515575A (en) * 1978-07-19 1980-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wer supply circuit
GB8308100D0 (en) * 1983-03-24 1983-05-05 Rca Corp Regulated power supply
JPH0357118Y2 (ko) * 1985-05-28 1991-12-25
FR2649277B1 (fr) * 1989-06-30 1996-05-31 Thomson Csf Procede et dispositif de gradation de lumiere pour lampe fluorescente d'eclairage arriere d'ecran a cristaux liquides
JPH03293320A (ja) * 1990-04-11 1991-12-25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5142562A (ja) * 1991-11-26 1993-06-1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029728B2 (ja) * 1992-02-28 2000-04-04 太陽誘電株式会社 ランプ点灯回路
US5418707A (en) * 1992-04-13 1995-05-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High voltage dc-dc converter with dynamic voltage regulation and decoupling during load-generated arcs
JPH06327261A (ja) * 1993-05-14 1994-11-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源装置
JPH07181913A (ja) * 1993-12-22 1995-07-21 Canon Inc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H07211476A (ja) * 1994-01-17 1995-08-11 Hitachi Ltd 蛍光ランプ用点灯回路
JPH07327376A (ja) * 1994-05-30 1995-12-12 Tec Corp 電力変換装置
KR0133633B1 (ko) 1994-07-21 1998-04-23 이형도 출력전압 제어 및 과전류 보호 기능을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회로
JPH0945489A (ja) * 1995-08-03 1997-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蛍光灯インバータ回路
JPH09163742A (ja) * 1995-12-01 1997-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源点灯回路を具備した映像表示装置
US5747942A (en) * 1996-07-10 1998-05-05 Enersol Systems, Inc. Inverter for an electronic ballast having independent start-up and operational output voltages
CA2198173A1 (en) * 1997-02-21 1998-08-21 Exacta Transformers Of Canada Ltd. Micro-controller-operated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ballast system and method
JPH11275854A (ja) * 1998-03-19 1999-10-08 Sony Corp バックライト駆動回路
US5969484A (en) * 1998-05-14 1999-10-19 Optimum Power Conversion, Inc. Electronic ballast
DE19903015A1 (de) * 1999-01-26 2000-08-03 Vogt Electronic Ag Dimmbares Vorschaltgerät für Kaltkathoden-Fluoreszenzlampen
JP2000243589A (ja) * 1999-02-17 2000-09-0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00340991A (ja) * 1999-05-31 2000-12-08 Sony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GB2353150A (en) * 1999-08-03 2001-02-14 Excil Electronics Ltd Fluorescent lamp driver unit
JP2001159881A (ja) * 1999-12-02 2001-06-12 Nec Corp 液晶表示コントローラ並びに液晶表示装置
US6329636B1 (en) * 2000-03-31 2001-12-11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universal input voltage in a welding plasma or heating power source
US6597593B1 (en) * 2000-07-12 2003-07-22 Sun Microsystems, Inc. Powering IC chips using AC signals
KR100878222B1 (ko) * 2001-07-03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US6538909B2 (en) * 2001-12-13 2003-03-25 Enova Systems Universal high efficiency power converter
JP3661650B2 (ja) * 2002-02-08 2005-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48B1 (ko) * 2002-07-12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공급회로
WO2005008320A1 (en) * 2003-06-04 2005-01-27 Seongju Lee Inverter for eefl and backligth
KR100984813B1 (ko) * 2003-06-24 2010-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030542B1 (ko) * 2003-12-30 2011-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방법
KR100696754B1 (ko) * 2004-04-26 2007-03-19 델타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시.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
USRE47794E1 (en) 2004-05-17 2019-12-31 Saturn Licensing Llc Power suppl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RE47993E1 (en) 2004-05-17 2020-05-12 Saturn Licensing Llc Power-suppl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KR101142468B1 (ko) * 2004-05-17 2012-05-16 소니 주식회사 전원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US7869227B2 (en) 2004-08-27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KR101043403B1 (ko) * 2004-08-27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KR101152118B1 (ko) * 2005-02-16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및 dc-dc 변환 장치
KR101252088B1 (ko) * 2006-06-03 2013-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7990372B2 (en) 2006-09-27 2011-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8334824B2 (en) 2007-01-22 2012-12-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DC-DC converter
KR100833764B1 (ko) * 2007-01-22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류-직류 컨버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7663322B2 (en) 2007-07-20 2010-02-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Backlight driving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10505B1 (ko) * 2007-11-26 2009-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외부 전극 형광 램프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구동 시스템
US8203278B2 (en) 2008-12-22 2012-06-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supply for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018114B1 (ko) * 2008-12-22 2011-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KR20170118331A (ko) * 2016-04-15 2017-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부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45584A1 (en) 2004-07-29
JP2004533800A (ja) 2004-11-04
EP1402310A4 (en) 2010-02-17
EP1402310A1 (en) 2004-03-31
CN1522382A (zh) 2004-08-18
WO2003005110A1 (en) 2003-01-16
CN1278301C (zh) 2006-10-04
JP2009213350A (ja) 2009-09-17
KR100878222B1 (ko) 2009-01-13
KR100872467B1 (ko) 2008-12-05
US7319600B2 (en) 2008-01-15
EP1402310B1 (en) 2012-03-07
US20090015068A1 (en) 2009-01-15
KR20080080272A (ko)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467B1 (ko) 액정 표시 장치
US8625310B2 (en) Method of supplying power, power suppl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apparatus
US8390561B2 (en) Apparatus for driving lamp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6969958B2 (en) Square wave drive system
US8242712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7109667B2 (en) Discharge lamp driving apparatus
US7525820B2 (en) Inverter
WO2005112245A1 (ja) 電源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80111496A1 (en) Driving circuit for multi-lamps
KR100735466B1 (ko) 유도방식의 전류검출기능을 갖는 백라이트 인버터
US20070103942A1 (en) Backlight module, inverter, and DC voltage generating method thereof
KR100953161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WO2007055289A1 (ja) 蛍光灯の点灯装置
JPH1126181A (ja) 冷陰極管点灯装置
KR100677967B1 (ko) 액정표시장치용 전원공급회로
JP2000133484A (ja) 放電管駆動回路
KR20010028013A (ko) 압전 인버터를 이용한 냉음극관 구동장치
US20110103109A1 (en) Ac power source apparatus
JP2001238469A (ja) 圧電トランスイ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