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413Y1 - 브이자형 필기구 - Google Patents

브이자형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413Y1
KR200299413Y1 KR2020020028859U KR20020028859U KR200299413Y1 KR 200299413 Y1 KR200299413 Y1 KR 200299413Y1 KR 2020020028859 U KR2020020028859 U KR 2020020028859U KR 20020028859 U KR20020028859 U KR 20020028859U KR 200299413 Y1 KR200299413 Y1 KR 200299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cap
finger
hold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근
Original Assignee
김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근 filed Critical 김민근
Priority to KR2020020028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413Y1/ko
Priority to AU2003206162A priority patent/AU2003206162A1/en
Priority to PCT/KR2003/000123 priority patent/WO2004028830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는 필기용 물질을 포함하는 필심의 팁을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관통 구멍을 일단에 형성하며, 타단에 중공형의 삽입부를 형성한 팁홀더 및 상기 팁 홀더가 결합되며, 상기 필심을 수납하며, 일단에 적어도 두 개의 날개부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브이자형 필기구{V-SHAPE WRITING DEVICE}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필기구는 바(bar) 형상의 본체부에 잉크가 담겨 있는 필심을 갖고 있으며, 필심의 팁을 통해 흘러나오는 잉크로 종이에 글을 쓰는 도구이다.
이런 필기구에는 형식과 기능에 따라 만년필, 볼펜, 연필, 샤프, 매직펜, 네임펜 등과 같이 각양 각색의 종류가 존재하나, 대부분 그들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팔각형, 삼각형 단면의 막대 또는 바 형상의 본체부를 갖는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필기구는 바 형상의 본체부(1)와, 이런 본체부(1)의 상단 또는 하단에 끼워져서 필심(3)을 보호하는 캡(2)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부(1)의 하단에는 필심(3)의 팁홀더(4)가 나사 결합식으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파지시의 압박감 내지 하중을 덜어주기 위해서 부드럽고 탄력성 있는 재질의 핑거홀더(5)가 사용된다.
핑거홀더(5)는 부드럽고 탄력있는 소재로서 본체부(1)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 검지와 엄지 및 중지가 딱딱한 본체부(1)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편안한 파지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핑거홀더(5)는 일방적인 성인의 손가락 형상에 대응한 유선형 형상을 갖되, 필요에 따라 완만한 곡선의 사각형이나 삼각형을 갖고 있어서, 오랜 시간 동안 파지하여 사용시 손가락에 압박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종래의 막대형 필기구를 엄지와 검지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파지한 사용자는 중지의 첫 번째 관절 마디에 필기구를 지지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 끝에 힘을 주어 글씨를 쓰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필기구는 오랜 시간 동안 필기 작업을 하는 경우, 중지의 첫 번째 관절에 굳은살이 박히거나, 전체적으로 직선형 본체부를 엄지, 검지 및 중지로 감싼 후, 각각의 손가락 끝으로 꾹 눌러 잡고 사용하기 때문에, 접지면이 상대적으로 좁아서 손가락 끝에서 압박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움켜잡고 있던 손에 피로감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필기구는 핑거홀더를 구비하여 손가락 끝에 걸리는 압박감을 다소 해소시킬 수 있다손 치더라도, 막대형 본체부를 엄지와 중지의 끝으로 눌러 잡아 사용하기 때문에, 편안한 상태로 필기를 장시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필기구는 접지면이 상대적으로 매우 협소하여서, 유아, 학생, 노인, 장애인 등과 같이 필기에 익숙지 못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필기구는 제품 디자인 측면에서 단순히 막대형상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감성적이면서 외형면에서 돋보이는 디자인을 갖는 제품으로서의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새의 몸통과 날개를 연상시키는 유선형 형상으로 자연스러운 친밀감을 유도할 수 있고, 검지의 압박감 해소와 중지의 접지면적 확대에 따라 손가락에 굳은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포근하게 파지된 상태에서 편안하게 필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브이자형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브이자형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기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기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필기구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필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심 11 : 팁
20 : 캡 31 : 삽입부
30 : 팁홀더 40 : 메인프레임
41a, 41b, 51a, 51b : 날개부 49 : 몸체
48 : 안착홈 50 : 핑거홀더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기용 물질을 포함하는 필심의 팁을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관통 구멍을 일단에 형성하며, 타단에 중공형의 삽입부를 형성한 팁홀더 및 상기 팁 홀더가 결합되며, 상기 필심을 수납하며, 일단에 적어도 두 개의 날개부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기구는 상기 두 개의 날개부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날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날개부를 형성하는 핑거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날개부는 비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단에 캡 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필심의 팁을 보호하기 위한 캡이 상기 캡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고정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 단부를 기준으로 좌측 하향쪽에 편심되게 돌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캡은 원심을 중심으로 좌측 하향에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표면에 상기 두 개의 날개부 사이를 지나 하표면으로 연장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핑거 홀더가 상기 안착홈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핑거 홀더는 상기 안착홈에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 측부에 형성된 물결 형상부, 검지 형상부 및 하부 받침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이자형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이자형 필기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이자형 필기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이자형 필기구의 조립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이자형 필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브이자형 필기구는 전체적으로 새의 몸통과 날개를 연상시키는 유선형 형상을 갖도록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방법으로 제작되며, 자연스러우면서 사용자로부터의 친밀감을 유발시킬 수 있는 외형상을 갖는다. 상기 브이자형 필기구는 필심(10), 상기 필심(10)의 팁(11)을 수납하는 팁 홀더(30), 상기 필심(10)을 수납하며 상기 팁 홀더(3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메인 프레임(40), 상기 캡 홀더(30)의 외관을 감싸며 끼움 결합하는 캡(20) 및 상기 메인 프레임(40)과 끼움 결합하며 적어도 2개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핑거 홀더(50)를 포함한다.
필심(10)은 필기용 용액, 필기용 흑연 등을 함유할 수 있는 형상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브이자형 필기구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와 필기용 용액(예를 들어, 잉크)의 용량을 갖는 통상적인 볼펜심, 일회용 만년필심, 화이트액심, 샤프 조립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캡(20)은 필심(10)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 유선형 라인에 상응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캡(20)은 메인 프레임(40)의 캡 고정부(45)와 나사 결합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캡(20)은 메인 프레임(40)의 캡 고정부(45)에 탈부착 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결합이라도 무방하다.
팁 홀더(30)는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캡 고정부(45)에 결합될 때, 캡(20)의 내부에서 필심(10)의 팁(11)만을 외부로 돌출시키고 필심(10)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팁 홀더(30)는 콘(cone)형 케이싱으로서 일측 단부에 필심(10)의 팁(11)을 체결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일단에 형성하고, 타단에 중공형의 삽입부(31)를 형성하고 있다.
메인 프레임(40)은 유선형의 역삼각 형상의 몸체(49)와, 상기 몸체(49)에서 후방으로 완만하게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날개부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49)의 후단은 'V'자형의 제 1, 제 2날개부(41a, 41b)를 형성하고 있다.
핑거 홀더(50)는 고무, 우레탄과 같이 탄성력 있고 부드러운 소재나, 메인 프레임(40)과 동일 소재이지만 외표면에 우레탄 코팅을 한 소재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한다. 상기 핑거 홀더(50)는 메인 프레임(40)의 제 1, 제 2날개부(41a, 41b)의 사이에 접착 방식으로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인 검지를 부드러운 곡면으로 접지시킴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넓은 접지면과 내츄럴한 촉감으로 지지하는 제 3, 제 4날개부(51a, 51b)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상기 제 1, 제 3날개부(41a, 51a)는 결합된 경우에 편의상 '우측 날개부'라 하고, 제 2, 제 4날개부(41b, 51b)도 결합시 편의상 '좌측 날개부'라 하며, 이들 모두를 편의상 양측 날개부(41a, 41b, 51a, 51b)로 통칭하겠다.
이런 본 고안은 'V'자형인 양측 날개부(41a, 41b, 51a, 51b)의 사이에 걸쳐 쓰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신 개념의 필기구이다.
여기에서, 검지를 걸쳐 쓰는 방식이란, 사용자의 검지를 중심으로 좌, 우측에 자연스럽게 중지와 엄지가 위치하게 하고,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손등 방향으로 좌측 날개부(41b, 51b)를 중지와 검지에 끼우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검지가 메인 프레임(40)의 상부에 걸쳐지게 되어 편안하게 필기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메인 프레임(40)은 양측 날개부(41a, 41b, 51a, 51b)와 함께 전체적으로 매우 세련되고 모던(modern)한 디자인으로서, 검지의 하면과, 엄지 및 중지 각각의 측면에 상대적으로 넓은 접지면을 제공할 수 있는 다이내믹한 외형상을 갖는다.
또한, 메인 프레임(40)의 유선형 형상에 대응하는 핑거 홀더(50)는안착홈(48)에 대응하게 양 측부에 형성된 물결 형상부(52, 53)와 검지 형상부(54)를 구비함으로써, 검지를 포근하게 받쳐줌과 동시에 외형적으로 자유로운 곡선의 편안함을 더해주는 하이테크 제품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40)에 핑거 홀더(50)가 결합시, 좌측 날개부(41b, 51b)의 가로 방향의 두께는 검지와 중지 사이의 틈새에 대응한 두께로서 대체적으로 매우 얇고, 이에 비해 우측 날개부(41a, 51a)는 상대적으로 약간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도 3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캡(20)은 부드럽게 뾰족한 끝단이 형성된 쪽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뾰족한 끝단은 반대쪽 단부의 원심을 기준으로 좌측 하향쪽에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새의 부리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또한, 메인 프레임(40)의 몸체(49)는 새의 몸뚱이 부위와 유사하게 부드러운 역삼각형 단면을 갖고 있고, 캡(20)과 함께 좌측 하향으로 휨 변형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막대형 필기구와 동일한 방향으로 필심을 위치시킬 수 있는 편심된 디자인임을 알 수 있다.
도면 좌측으로, 메인 프레임(40)과 핑거 홀더(50)의 좌측 날개부(41b, 51b)는 몸체(49)로부터 부드럽고 완만하게 바깥쪽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완만한 곡면을 이루되, 약간 상향의 끝단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점 좁아지면서 상부 라운드 곡선보다 하부 라운드 곡선이 더욱 크게 꺾여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형성된 메인 프레임(40)의 좌측 날개부(41b, 51b)는 엄지와 중지 사이에 편안하게 밀착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이에 따라 검지쪽 중지의 측면에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 면적을제공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메인 프레임(40)을 매끄러우면서도 포근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우측으로, 메인 프레임(40)과 핑거 홀더(50)의 우측 날개부(41a, 51a)는 몸체(49)로부터 후방향으로 약간의 물결 형상을 가지면서 연장되어 완만한 곡면을 이루되, 역시 약간 상향의 끝단으로 갈수록 좌측 날개부(41b, 51b)와 거의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서, 우측 날개부(41a, 51a)의 라운드형 표면은 엄지를 부드럽고 편안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엄지로 하여금 안정감있고 이상적으로 메인 프레임(40)을 지지하게 한다.
도 4에 보이듯이, 핑거 홀더(50)의 제 3, 제 4날개부(51a, 51b)의 사이 곡면에는 실제로 손가락 중 검지가 포근하게 파지되는 유선형 안착 표면(56a, 56b, 56c)을 형성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곡면의 정점인 중앙 유선형 안착 표면(56b)을 기준으로 좌측 상향에는 완곡하게 경사지면서 검지의 하면 곡면 기울기에 대응하게 약간 파여 있는 상부 유선형 안착 표면(56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유선형 안착 표면(56a)은 핑거 홀더(50)의 제 3날개부(51a)와 제 4날개부(51b)의 라운드 곡선과 자연스럽게 만나게 된다. 또한, 우측 하향에는 검지와 중지 사이를 따라 핑거 홀더(50)의 제 3 날개부(51a)와 제 4날개부(51b)의 라운드 곡선과 자연스럽게 만나는 하부 유선형 안착 표면(56c)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핑거 홀더(50)는 검지를 핑거 홀더(50)의 유선형 안착 표면(56a, 56b, 56c)에 자연스럽게 걸쳐 사용케 한다. 이때, 유선형 안착표면(56a, 56b, 56c)을 갖는 제 3날개부(51a)와 제 4날개부(51b)는 'V'자 형상이기 때문에, 손가락의 굵기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유아나 또는 성인의 검지 손가락을 파지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본 고안의 브이자형 필기구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에 보이듯이, 메인 프레임(40)은 상표면에 제 1, 제 2날개부(41a, 41b)의 사이를 지나 다시 하표면으로 연장되는 안착홈(48)을 형성하고 있으며, 핑거 홀더(50)를 안착홈(48)에 끼워 긴밀하게 접착시킨다.
이때, 안착홈(48)은 핑거 홀더(50)의 검지 형상부(54)로부터 양 측부의 물결 형상부(52, 53) 및 하부 받침부(57)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검지 형상부(54), 물결 형상부(52, 53), 하부 받침부(57)의 두께 내지 내표면에 대응한 깊이와 곡면 기울기를 갖고 있어서, 결과적으로 핑거 홀더(50)가 안착홈(48)에 부착될 때 일체형으로 매끈하고 하이테크한 공기 역학적 몸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캡(20)을 탈부착 시키기 위해, 메인 프레임(40)의 일측 단부에는 일체형으로 캡 고정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캡 고정부(45)는 앞서 설명한 캡(20)의 형상에 대응하게 메인 프레임(40)의 일측 단부를 기준으로 좌측 하향쪽에 편심되게 돌출 성형되어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필기구를 사용자가 잡고 사용할 때, 필심(10)의 팁(11)이 향하는 방향을 일반적인 막대형 필기구와 동일하게 좌측 하향의 대각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캡 고정부(45)의 원형 테두리에는 캡(20)의 개구된 쪽 내표면의 홈(도시 안됨)에 가볍게 끼워맞춤식으로 체결시킬 수 있는 정도로 돌출된 걸림턱(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 고정부(45)의 측면에는 팁홀더(30)의 삽입부(31)의 외경에 대응한 직경과 필심(10)이 장착될 수 있는 깊이를 갖는 필심 조립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억지끼워맞춤 결합을 위해서 상기 삽입부(31)가 평활한 원주 표면을 가질 경우, 캡 고정부(45)의 내표면은 팁홀더(30)가 쉽게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기밀한 구멍 직경과 표면을 갖는다. 또한, 나사 결합을 위해서 상기 삽입부(31)가 나사산을 가질 경우, 캡 고정부(45)의 내표면은 나사골을 갖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캡 고정부(45)에는 팁 홀더(30)가 필심 조립 구멍(44)에 고착되며, 이때, 필심(10)의 팁(11)만을 외부로 돌출시키고 나머지 필심(10)의 몸체를 필심 조립 구멍(44)에 장착시킨다.
이후, 캡(20)은 메인 프레임(40)의 캡 고정부(45)에 체결시, 걸림턱(46)을 통해 끼워맞춰져 고정되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아주 작은 힘을 이용하여 캡(20)을 캡 고정부(45)로부터 분리 및 탈착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브이자형 필기구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메인 프레임(40)을 왼손으로 잡은 후, 캡(20)을 캡 고정부(45)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오른손의 검지를 양측 날개부(41a, 41b, 51a, 51b)사이에 끼운 후, 자연스럽게 검지의 하면을 검지 형상부(54)의 상면에 놓이도록 하여, 핑거 홀더(50)를 편안하게 파지한다.
이때, 좌측 날개부(41b, 51b)는 검지와 중지의 사이 틈새에 자연스럽게 배치되면서, 검지와 중지의 마주보는 측면에 좌측 날개부(41b, 51b)의 양 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포근한 느낌의 파지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거의 손가락과 일체의 느낌을 갖게 된다. 특히 중지는 상대적으로 넓은 접지면을 통해 메인 프레임(40)의 역삼각형 몸체(49)의 경사진 좌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편안하게 엄지를 역삼각형 몸체(49)의 경사진 우측면에 접촉시켜서 안정되게 메인 프레임(40)과 핑거 홀더(50)를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안한 촉감을 느끼면서 가볍게 검지와 엄지를 움직여서 글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브이자형 필기구는 편심된 디자인으로서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앞서 설명한 형상을 반대로 제작함으로써 외손잡이형 필기구로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브이자형 필기구는 일반적인 필기구 뿐만 아니라, 필기구 형상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브이자형 필기구는 인체공학적인 데이터를 토대로 종래에 잡아 쓰는 필기구 사용에 대한 문제점과 부작용을 개선한 필기구의 독창적인 아이디어 제품으로서, 필기구에 손가락을 걸쳐 사용토록 설계되어 있으며, 보다 편한 자세에서 가벼운 손가락 운동으로 필기가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중지에무리를 주지 않아 손에 피로감을 없애거나 굳은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브이자형 필기구는 제품의 기능적 효과와 함께 감성적 만족감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패턴 변화에 발맞춘 뛰어난 디자인으로서, 제품성과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브이자형 필기구는 검지가 걸쳐지는 날개부위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어린 학생이나, 노인, 장애인들에게 보다 편한 자세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브이자형 필기구는 단순한 미적 필기구를 떠나서, 기존 막대형 필기구를 사용함에 따라 변형되었던 손가락의 변형 등을 방지 및 교정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의 건강도 보호, 보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필기용 물질을 포함하는 필심의 팁을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관통 구멍을 일단에 형성하며, 타단에 중공형의 삽입부를 형성한 팁홀더; 및
    상기 팁 홀더가 결합되며, 상기 필심을 수납하며, 일단에 적어도 두 개의 날개부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을 포함하는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날개부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날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날개부를 형성하는 핑거 홀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날개부는 비대칭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단에 캡 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필심의 팁을 보호하기 위한 캡이 상기 캡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 고정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 단부를 기준으로 좌측 하향쪽에 편심되게 돌출 성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원심을 중심으로 좌측 하향에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표면에 상기 두 개의 날개부 사이를 지나 하표면으로 연장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핑거 홀더가 상기 안착홈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홀더는 상기 안착홈에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 측부에 형성된 물결 형상부, 검지 형상부 및 하부 받침부를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20020028859U 2002-09-26 2002-09-26 브이자형 필기구 KR200299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859U KR200299413Y1 (ko) 2002-09-26 2002-09-26 브이자형 필기구
AU2003206162A AU2003206162A1 (en) 2002-09-26 2003-01-21 V-shaped writing instrument
PCT/KR2003/000123 WO2004028830A1 (en) 2002-09-26 2003-01-21 V-shaped writing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859U KR200299413Y1 (ko) 2002-09-26 2002-09-26 브이자형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413Y1 true KR200299413Y1 (ko) 2002-12-31

Family

ID=3204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859U KR200299413Y1 (ko) 2002-09-26 2002-09-26 브이자형 필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99413Y1 (ko)
AU (1) AU2003206162A1 (ko)
WO (1) WO20040288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6543A (en) * 2006-03-31 2007-10-03 Paul Simon Green Finger support for a writing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517A (en) * 1988-08-11 1990-04-17 Smith & Nephew Rolyan, Inc. Combined hand support and writing instrument holder
US5626430A (en) * 1991-02-07 1997-05-06 Bistrack; Carl Adaptable pressuring writing instrument holder
JPH04324479A (ja) * 1991-04-24 1992-11-13 Kazuko Tanabe 書き方矯正具
KR200261344Y1 (ko) * 2001-10-04 2002-01-24 (주) 알포텍 삽지식 필기구
KR200294752Y1 (ko) * 2002-08-06 2002-11-16 김민근 삽지식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06162A1 (en) 2004-04-19
WO2004028830A1 (en)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2202B1 (en)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HU211386B (en) Writing device
US8926203B1 (en) Writing instrument gripping aid and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ame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JP3987711B2 (ja) 筆記用具
JP2006518679A (ja) 執筆校正具
KR200299413Y1 (ko) 브이자형 필기구
KR200422101Y1 (ko) 손가락 필기도구
KR200419520Y1 (ko) 핑거 펜
JP2010083076A (ja) 筆記補助具
JP2008273030A (ja) 毛筆
JP3985669B2 (ja) 軸体
KR200379249Y1 (ko)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JP2001260592A (ja)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JP2001180174A (ja) 筆記具の握り部
KR200300778Y1 (ko) 지필보정기구(摯筆補正機構)
KR200368914Y1 (ko) 필기보조기구
KR200218237Y1 (ko) 손가락끼우개붓
KR200488563Y1 (ko) 교정 필기구
KR100625257B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및 필기구용 홀더
JP3017069B2 (ja) 幼児用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0301882A (ja) 筆記具の軸筒
JP2006056035A (ja) 筆記具持ち方矯正具、および持ち方矯正機能付き筆記具
JP2008114574A (ja) バランスウエイト付筆記具
KR200348228Y1 (ko) 필기 도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