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101Y1 - 손가락 필기도구 - Google Patents

손가락 필기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101Y1
KR200422101Y1 KR2020060010633U KR20060010633U KR200422101Y1 KR 200422101 Y1 KR200422101 Y1 KR 200422101Y1 KR 2020060010633 U KR2020060010633 U KR 2020060010633U KR 20060010633 U KR20060010633 U KR 20060010633U KR 200422101 Y1 KR200422101 Y1 KR 200422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finger
writing instrument
pen body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이 filed Critical (주)디에이
Priority to KR2020060010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1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가락의 저부에 간편하게 장착되어 필기도구를 잡지 않더라도 필기동작을 보다 더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가락에 통증이나 피로감이 유발되지 않으며, 필기속도가 매우 빠르고 필기동작 중에도 다른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기동작에 유희적 기능이 부여되고 유아의 지능발달에 도움이 되도록 한 손가락 필기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200)는, 손가락의 저면이 안착되고 내부에 필기구삽입홀(240)이 형성된 안착부(212)와 이 안착부(212)의 대략 중앙부에 손가락이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214)가 형성된 펜몸체(210)와, 상기 펜몸체(210)의 필기구 삽입홀(240)에 삽입되는 필기구(220)와, 상기 펜몸체(210)의 후단에 필기구삽입홀(240)를 개폐시키도록 결합되는 홀개폐커버(250)와, 상기 필기구(220)를 전후진 시키도록 펜몸체(210)상에 삽입 설치되는 필기구조절부재(260)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손가락 필기도구 {A FINGER PEN }
도 1은 종래 손가락 필기도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손가락 필기도구,
110,220:필기구,
130,230:미끄럼방지편,
250:홀개폐커버,
260:필기구조절부재,
270:보호커버.
본 고안은 손가락 필기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단부의 저면상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필기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손가락 필기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필기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엄지, 검지 및 중지 세 손가락으로 필기도구를 잡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이 매우 불편하고, 장시간 필기를 하게 될 경우에는 통증이 발생되거나 쉽게 피곤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필기시에 항상 세 손가락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필기중에는 손가락을 이용한 다른 일을 수행할 수 없고, 상기 세 손가락 중에 일부 손가락에 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필기동작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종래 필기도구는 비교적 크기가 크고 항상 세 손가락을 사용하여 필기도구를 잡고 손 바닥 부분을 용지면에 밀착시켜 지지하여야 하므로 필기동작이 부자연스럽고 필기속도가 느려서 빠른 필기가 요구되는 강사 등과 같은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필기도구는 여러 가지 색상을 번갈아 가며 사용하고자 할 경우 매번 서로 다른 펜을 찾아서 세 손가락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사용하여야 하므로 필 기동작이 매우 번거롭고 느리며 또한 필기동작이 항상 일정하므로 유희적 기능이 없고 유아의 지능이나 EQ발달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가락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손가락 필기도구를 안출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09779호로 출원 하였는데, 이에 따른 핑거 펜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필기도구로서,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삽입구가 형성된 필기구설치몸체(12)와, 상기 필기구설치몸체(12)에 장착되어 그 선단부가 손가락의 손톱의 부분에 위치되는 필기구(1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핑거 펜(10)에 따르면 필기도구를 잡지 않더라도 필기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므로 종래의 필기구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지만, 필기구설치몸체(12)가 손가락의 등 부분에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필기시에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이 구속되어 필기동작이 다소 불편하고, 필기구설치몸체(12)의 형상이 만곡된 구조이므로 필기구(14)의 잉크봉을 만곡되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작성이 저하되고 제작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잉크봉의 교체가 매우 어려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필기동작시에 손톱의 끝 부분에 힘을 주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 통증이 유발되고, 착용자 마다 손가락의 끝부분 형상이 서로 다르므로 동일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모든 사용자가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손가락의 저부에 간편하게 장착되어 필기도구를 잡지 않더라도 필기동작을 보다 더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착용감과 및 사용상에 편의성이 보다 더 향상된 손가락 필기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손가락 필기도구는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손가락 필기도구에 있어서, 손가락의 저면이 안착되고 내부에 필기구 삽입홀이 형성된 안착부와, 이 안착부의 중앙부 일측 및 타측에서 만곡되게 연장되는 탄성날개편으로 이루어진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된 펜몸체와; 상기 펜몸체의 필기구삽입홀에 삽입되는 필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기구삽입홀은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필기구가 삽입되도록 일정한 내경을 갖는 홀로 형성되고 이 홀의 내측 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필기구의 내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필기구삽입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손가락 필기도구는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손가락 필기도구에 있어서, 손가락의 저면이 안착되고 내부에 필기구삽입홀이 형성된 안착부와, 이 안착부에 손가락이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펜몸체와; 상기 펜몸체의 필기구삽입홀에 삽입되는 필기구와; 상기 펜몸체의 후단에 필기구삽입홀을 개폐시키도록 결합되는 홀개폐커버와; 상기 필기구를 전후진 시키도록 펜몸체상에 삽입 설치되는 필기구조절부재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펜몸체의 앞단 내면에는 착용자의 손가락 단부의 내면이 밀착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방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저면상에는 후단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필기구조절부재가 삽입 이동되도록 걸림홈을 갖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 및 타측에서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탄성날개편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기구조절부재는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대향되는 연결부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필기구가 삽입 고정되는 필기구고정부와; 상기 가이드공의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필기구의 조정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일측 면상에 탄성편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기구고정부는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일측에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필기구가 삽입 고정되도록 서로 다른 내경의 홈들이 형성된 고정홈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기구의 앞단부가 보호되도록 필기구의 앞단부에 해당되는 펜몸체상에 결합되는 보호커버가 더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100)는 손가락의 저면이 안착되고 내부에 필기구삽입홀(140)이 형성된 안착부(112)와 이 안착부(112)의 대략 중앙부에 손가락이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114)가 일체로 형성된 펜몸체(110)와, 상기 펜몸체(110)의 필기구삽입홀(140)에 삽입되는 필기구(120)로 구성된다.
상기 펜몸체(110)의 앞단 내면에는 미끄럼방지편(130)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손가락 단부의 내면이 밀착되면서 사용시에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된다.
상기 걸림부(114)는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부(112)의 일측 및 타측에서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탄성날개편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링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2)상에 형성되는 필기구삽입홀(140)은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필기구가 삽입되도록 일정한 내경을 갖는 홀로 형성되고 이 홀의 내측 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필기구의 내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필기구삽입홀의 내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15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필기구(120)의 앞단부가 보호되도록 필기구의 앞단부에 해당되는 펜몸체(110)상에는 보호커버(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기구(120)는 연필, 색연필, 보드마커, 볼펜 등 다양한 형태의 필기구가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펜몸체(110)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실리콘 또는 천연합성고무와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정한 탄성 및 신 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손가락 필기도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손가락 필기도구(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림부(114)의 홀부로 삽입하여 손가락 단부의 저면이 미끄럼방지편(130)에 안착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114)가 손가락의 등 부분에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면서 필기가 가능한 상태로 펜몸체(110)가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간단한 손가락 조작을 통해 희망하는 문자나 도안 등을 필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200)는 손가락의 저면이 안착되고 내부에 필기구삽입홀(240)이 형성된 안착부(212)와 이 안착부(212)의 대략 중앙부에 손가락이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214)가 형성된 펜몸체(210)와, 상기 펜몸체(210)의 필기구삽입홀(240)에 삽입되는 필기구(220)와, 상기 펜몸체(210)의 후단에 필기구삽입홀(240)를 개폐시키도록 결합되는 홀개폐커버(250)와, 상기 필기구(220)를 전후진 시키도록 펜몸체(210)상에 삽입 설치되는 필기구조절부재(26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기구(220)의 앞단부가 보호되도록 필기구의 앞단부에 해당되는 펜몸체(210)상에는 보호커버(270)가 더 구성된다.
상기 펜몸체(220)의 앞단 내면에는 착용자의 손가락 단부의 내면이 밀착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방지편(23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2)의 저면상에는 후단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필기구조절부재(260)가 삽입 이동되도록 가이드공(21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걸림부(114)는 상기 안착부(112)의 일측 및 타측에서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탄성날개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216)은 펜몸체(210)의 안착부(212) 후단에서부터 전단을 향해 직선상으로 일정 범위만큼 절개되고 그 일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걸림홈(216a)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필기구조절부재(260)는 상기 홀개폐커버(25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공(216)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결부(262)와, 이 연결부(262)에 일체로 형성되어 펜몸체(2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264)와, 상기 손잡이부(264)의 타측에 해당되는 연결부(262)에 일체로 형성되어 필기구(220)가 삽입 고정되는 필기구고정부(26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기구고정부(266)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일측에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필기구가 삽입 고정되도록 서로 다른 내경의 홈들이 형성된 고정홈부(261)이 형성되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직경이 큰 필기구의 후단이 삽입되는 제1홈(261a)과, 직경이 작은 필기구가 삽입되는 제2홈(261b)이 형성되게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필기구조절부재(260)의 일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 (268)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공(216)에 형성된 걸림홈(216a)에 삽입되면서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되기 전에는 걸림홈(216a)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필기구(220)의 조정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핑커 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몸체(210)의 후부를 통해 필기구조절부재(260)를 삽입하고 홀개폐커버(260)를 결합한 상태에서 펜몸체(210)의 필기구삽입홀(240)를 통해 필기구(220)를 삽입하여 그 후단부가 필기구조절부재(260)의 고정홈부(261)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필기구(220)의 앞단이 보호되도록 보호커버(270)를 펜몸체(210)의 앞단에 결합시키게 되면 손가락 필기도구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손가락 필기도구(2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림부(214)의 홀부로 삽입하여 손가락 단부의 저면이 미끄럼방지편(230)에 안착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214)가 손가락의 등 부분에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면서 필기가 가능한 상태로 펜몸체(210)가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필기구의 앞쪽에 결합된 보호커버(270)를 분리시킨 후 간단한 손가락 조작을 통해 희망하는 문자나 도안 등을 필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필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색연필 및 연필 등과 같이 사용중에 필기구가 조금씩 마모되어 소모되는 경우 필기구를 조금씩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먼저 필기구조절부재 (260)의 손잡이부(264)에 가압력을 작용시키게 되면 가이드공(216)을 타고 전진 이동되는 바 필기구(220)의 돌출 길이가 적정한 상태로 되면 가압력을 해제시켜서 조절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때 필기구조절부재(260)의 일측에 돌출된 탄성편(268)이 특정 걸림홈(216a)에 삽입 고정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되기 전에는 걸림홈(216a)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안정된 필기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방식으로 필기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기구(22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홀개폐커버(250)를 제거하고 필기구조절부재를 펜몸체(21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상술한 조립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을 실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핑거펜에 따르면 손가락 하나만으로도 필기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필기시에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종래의 필기도구와 같이 손바닥의 일부분을 용지에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신속한 필기가 가능하게 되어 신속한 필기가 요구되는 직종의 종사원에게는 업무효율과 편이성이 보다 더 향상되며, 일부 손가락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도 손쉽게 필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손가락 필기도구를 손가락에 설치하게 되면 한 번에 여러 개의 필기가 가능하고, 다양한 색상을 번갈아 가며 필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각 손가락에 색상이 다른 손가락 필기도구를 설치한 상태에서 희망하는 색상의 손가락 필기도구가 장착된 손가락을 이용하여 필기를 할 수 있으므로 필기동작이 신속하고 간편할 뿐만 일종의 유희기능이 부여되어 유아의 지능 발달이나 EQ발달에도 유익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필기도구에 의하면, 필기도구를 잡지 않더라도 필기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펜몸체가 손가락의 등 부분이 아닌 손가락의 저면에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필기시에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이 원활하여 필기동작을 보다 더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펜몸체가 손가락의 저면에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그 형상이 단순화되어 제작성이 향상되고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필기구의 교체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손가락 필기도구가 필기동작시에 힘이 작용되는 손가락의 저면에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필기동작이 보다 자연스럽게 되어 장시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손가락 필기도구에 있어서,
    손가락의 저면이 안착되고 내부에 필기구삽입홀이 형성된 안착부와, 이 안착부의 중앙부 일측 및 타측에서 만곡되게 연장되는 탄성날개편으로 이루어진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된 펜몸체와;
    상기 펜몸체의 필기구삽입홀에 삽입되는 필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손가락 필기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삽입홀은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필기구가 삽입되도록 일정한 내경을 갖는 홀로 형성되고 이 홀의 내측 단부에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필기구의 내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필기구삽입홀의 내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필기도구.
  3.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손가락 필기도구에 있어서,
    손가락의 저면이 안착되고 내부에 필기구삽입홀이 형성된 안착부와, 이 안착부에 손가락이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펜몸체와;
    상기 펜몸체의 필기구삽입홀에 삽입되는 필기구와;
    상기 펜몸체의 후단에 필기구삽입홀을 개폐시키도록 결합되는 홀개폐커버와;
    상기 필기구를 전후진 시키도록 펜몸체상에 삽입 설치되는 필기구조절부재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필기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펜몸체의 앞단 내면에는 착용자의 손가락 단부의 내면이 밀착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방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저면상에는 후단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필기구조절부재가 삽입 이동되도록 걸림홈을 갖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 및 타측에서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탄성날개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필기도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조절부재는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대향되는 연결부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필기구가 삽입 고정되는 필기구고정부와;
    상기 가이드공의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필기구의 조정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일측 면상에 탄성편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필기도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고정부는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일측에 직경이 서로 다른 여 러 가지 형태의 필기구가 삽입 고정되도록 서로 다른 내경의 홈들이 형성된 고정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필기도구.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의 앞단부가 보호되도록 필기구의 앞단부에 해당되는 펜몸체상에 결합되는 보호커버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필기도구.
KR2020060010633U 2006-04-20 2006-04-20 손가락 필기도구 KR200422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33U KR200422101Y1 (ko) 2006-04-20 2006-04-20 손가락 필기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33U KR200422101Y1 (ko) 2006-04-20 2006-04-20 손가락 필기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101Y1 true KR200422101Y1 (ko) 2006-07-24

Family

ID=4177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633U KR200422101Y1 (ko) 2006-04-20 2006-04-20 손가락 필기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10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44U (ko) 2019-04-05 2020-10-14 (주) 통큰아이 교육용 손가락펜
KR20200002322U (ko) 2020-06-19 2020-10-21 (주) 통큰아이 회전식 교육용 손가락펜
KR102186637B1 (ko) 2019-06-26 2020-12-03 (주) 통큰아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손가락펜
KR20220132167A (ko) 2021-03-23 2022-09-30 이미숙 손가락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44U (ko) 2019-04-05 2020-10-14 (주) 통큰아이 교육용 손가락펜
KR102186637B1 (ko) 2019-06-26 2020-12-03 (주) 통큰아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손가락펜
KR20200002322U (ko) 2020-06-19 2020-10-21 (주) 통큰아이 회전식 교육용 손가락펜
KR20220132167A (ko) 2021-03-23 2022-09-30 이미숙 손가락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07509A (ja) フィンガグリップ器具付きの筆記用具
CA1084447A (en) Pivotable writing instrument
US9352462B2 (en) Multipurpose finger embracing implement
US2709419A (en) Attachment for writing implements
KR200422101Y1 (ko) 손가락 필기도구
US9505259B2 (en) Grip for hand-held too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1539503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JP3987711B2 (ja) 筆記用具
US7484903B2 (en) Stylus holder
KR200419520Y1 (ko) 핑거 펜
US20060246404A1 (en) Device for teaching proper penmanship technique
US20090060621A1 (en) Ergonomic Pen with Convex Device for Index Finger Exerting Force Thereon
KR100707334B1 (ko) 지필보정기구(摯筆補正機構)
JP2008273030A (ja) 毛筆
US20050152736A1 (en) Offset pen
JP2001260592A (ja)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JP2001180174A (ja) 筆記具の握り部
JP5074633B1 (ja) 筆記具筒ホルダー
KR20100086759A (ko) 핑거 펜
KR20220132167A (ko) 손가락펜
KR200294803Y1 (ko) 지필보정기구(摯筆補正機構)
US20050069371A1 (en) Normally handheld instruments allowing normal fingertip activity
JPH11245583A (ja) 筆記具を人差し指の先端から第二関節の間で持たせる保持具
JPH0624226Y2 (ja) 運指時ペン固定用リング
KR200240349Y1 (ko) 핑거 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