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461Y1 - 유압 실린더 - Google Patents

유압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461Y1
KR200288461Y1 KR2020020015055U KR20020015055U KR200288461Y1 KR 200288461 Y1 KR200288461 Y1 KR 200288461Y1 KR 2020020015055 U KR2020020015055 U KR 2020020015055U KR 20020015055 U KR20020015055 U KR 20020015055U KR 200288461 Y1 KR200288461 Y1 KR 200288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oove
cylinder
ro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한
황명용
이근종
Original Assignee
민경한
황명용
이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한, 황명용, 이근종 filed Critical 민경한
Priority to KR2020020015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4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461Y1/ko
Priority to GB0310987A priority patent/GB2390644B/en
Priority to US10/437,702 priority patent/US6993905B2/en
Priority to CNB031454569A priority patent/CN1254429C/zh
Priority to DE10322222A priority patent/DE10322222B4/de
Priority to JP2003139366A priority patent/JP3779284B2/ja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18Combined units comprising both motor and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additional seat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height of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45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comprising toggle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F15B1/021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used for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8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tuator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승시 피가동체가 들썩거리는 요동이 없이 부드럽게 상승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가동체의 불필요한 회전이 없도록 한 유압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유압을 강제 발생시키는 압축봉, 피가동체에 연결 고정되어 피가동체를 상승, 정지 및 하강 동작시키는 동작봉 및 상기 동작봉의 상승, 정지 및 하강 등을 제어하는 조절봉 등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캡부와; 몸통케이스(31)의 내부에 상기 압축봉, 동작봉 및 조절봉 등과 연계되어 유압동작을 수행하는 다수개이 실린더 및 피스톤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에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압실린더{An oil pressure - cylinder}
본 고안은 산업용이나 의자 등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으로 인한 피가동체의 상승시 들썩거리는 요동이 없이 부드럽게 상승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가동체의 불필요한 회전이 없도록 한 유압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유압실린더, 즉 자동차용 잭이나 그 이외의 산업용, 또는미장원 등에서 사용하는 의자용 유압실린더는, 피가동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가 장착된 의자의 동작을 살펴보면, 피가동체인 의자의 안착부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조절레버를 반복해서 여러 번 누르게 된다. 보통 발을 이용하여 꾹꾹 눌러준다. 이와 같이 과정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이르면 조절레버의 동작을 중지하여 안착부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차후 안착부의 위치를 원위치로 하기 위해 조절레버를 최하단으로 동작(밟는다)시키면 안착부는 하강하여 원위치로 돌아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압실린더의 상승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의자의 안착부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조절레버를 한번 밟으면 안착부가 실린더 구조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한다. 그리고 조절레버에서 발을 떼어 조절레버가 상승하게 되면 다시 조절레버를 눌러주어 안착부가 일정높이 상승되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결국 안착부는 여러 번에 걸쳐 일정높이씩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은 의자가 꾹꾹 흔들리는 별로 좋지 않은 느낌을 받게 될 뿐 아니라 안착부 자체가 불필요하게 회전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의자인 경우는 그래도 나은 편이다. 만약 정밀을 요구하는 산업용 유압실린더나 자동차용 유압잭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산업재해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승시 피가동체가 들썩거리는 요동이 없이 부드럽게 상승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가동체의 불필요한 회전이 없도록 한 유압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캡부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캡부의 부분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4의 베이스부의 내부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조절구의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조립 개념 구성도,
도 10a, 10b 및 10c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봉의 동작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캡부 11: 캡
12: 지지부 30: 몸통부
31: 몸통케이스 32: 압축봉
34: 제1피스톤 38: 제1실린더
41,47,69: 탄성부재 44: 제2실린더
48: 제1피스톤패드 52: 이동봉
56: 제3실린더 61: 조절봉
62: 제어봉 71: 결합부
80: 베이스부 81: 몸체
82: 수평부 100: 유량조절구
101: 관통부 102: 튜브
111: 핀봉 115: 손잡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마개형상의 캡과, 상기 캡의 상부에 고정 형성된 사각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동작공과, 상기 동작공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에 삽입 고정되는 걸림편과, 상기 지지부의 일측 양단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봉과, 상기 캡의 상부에 형성된 조절공, 압착공 및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조절공이 형성된 캡의 외주연에 형성된 조절부로 이루어진 캡부와; 몸통케이스와, 상기 캡의 압착공에 삽입되고 하부에는 고정링이 설치 고정된 압축봉과, 상기 압축봉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복수개의 오링과 고정와셔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단일개 오링이 형성된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이 삽입되고 하부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일측이 상기 제1피스톤의 고정와셔에 걸림되는 탄성부재와, 개구공이 형성된 마개와, 상기 마개와 나사부를 통해 결합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도록 제2실린더에 삽입 설치되는 제1피스톤패드와, 상기 캡의 동작공에 삽입되며, 일측에 일정길이의 절삭면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복수개의 오링이 설치된 제2피스톤패드가 형성된 동작봉과, 상기 동작봉이 삽입되며 상단에 절개부를 가지는 제3실린더와, 상기 캡의 조절공에 삽입되며, 중상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중앙부위에는 고정링이 고정 설치되는 조절봉과, 상기 조절봉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단에 고정링이 고정 설치되고 하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2조절홈과 제1조절홈이 형성되는 제어봉과, 상기 제어봉의 고정링 및 와셔를 통해 끼워지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어봉의 하단이 삽입공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몸통부; 및 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제1실린더가 나사 결합되는 제1홈부와, 상기 제2실린더가 나사 결합되는 제2홈부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3홈부와, 상기 제3실린더가 장착되는 제4홈부와, 상기 제1홈부의 일측면에 돌출 설치된 제1체크밸브와, 상기 제1홈부와 제1체크밸브 사이에 형성된 제1관통로와, 상기 제1홈부와 제2홈부 사이에 형성된 제2관통로와, 상기 제2관통로 사이에 형성된 제2체크밸브와, 상기 제2홈부와 제3홈부 사이의 제3관통로 및 제4관통로 사이에 형성된 유량조절구와, 상기 제3홈부 및 제4홈부 사이에 형성된 제5관통로로 이루어진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실린더는 크게 유압을 강제 발생시키는 압축봉(32), 피가동체에 연결 고정되어 피가동체를 상승, 정지 및 하강 동작시키는 동작봉(52) 및 상기 동작봉(52)의 상승, 정지 및 하강 등을 제어하는 조절봉(58) 등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캡부(10)와, 몸통케이스(31)의 내부에 상기 압축봉(32), 동작봉(52) 및 조절봉(58) 등과 연계되어 유압동작을 수행하는 다수개이 실린더 및 피스톤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부(30)와, 상기 몸통부(3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에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100)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8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캡부(10)는, 마개형상의 캡(11) 상부에 사각형상의 지지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의 상부를 통해서는 동작봉(52)이 돌설되는 동작공(13)이 마련되고, 상기 동작공(13)의 일측에는 사각형상의 걸림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4)에는 걸림편(15)이 삽입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12)의 일측 양단에는 힌지봉(16)(16)이 각각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캡(11)의 상부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봉(58)이 돌설되는 조절공(19)과, 압축봉(32)이 돌설되는 압착공(21)과,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두 개의 결합공(18)(22)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힌지봉(16)(16)에는 미도시된 회전 가능한 소정의 레버를 삽입 결합하여 이를 회동시킴으로서 압축봉(32) 및 조절봉(58)을 제어(누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걸림편(15)에 의해서 동작봉(52)의 절삭면(53)이 접면되어 상기 동작봉(52)은 상승 또는 하강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도 2a에는 핀(15a)과, 지지부(12)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핀공(15b)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12)에 걸림홈(14)과 걸림편(15)을 형성하지 않는 대신 상기 핀공(15b)에 핀(15a)을 삽입결합하여 동일한 효과를 구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절공(19)이 형성된 캡(11)의 외주연에는 조절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17)는 도 5의 부분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1)의 측면에 홀을 형성하고 볼(27)과 스프링(26)을 넣고 볼트(25)로 체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조절봉(58)의 걸림홈(59)이 상기 볼(27)에 의해 걸림 동작되도록 하여주며, 상기 볼트(25)를 이용하여 볼의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캡(11)의 저면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제3실린더(56)가 삽입되도록 상기 동작공(13) 보다 큰 반경의 이동홈(23)이 형성하고, 제2실린더(44)의 마개(42)가 위치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반경의 홈부(2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통부(30)는, 몸통케이스(31) 내부에 복수개의 실린더 및 피스톤 구조로 형성되는 바, 먼저 상기 캡(11)의 압착공(21)에 삽입되는 압축봉(32)의 하부에는 고정링(33)이 설치되고, 상기 압축봉(32)의 하방에는, 상부에는 복수개의 오링(35)과 고정와셔(36)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오링(37)이 형성된 제1피스톤(34)과, 상기 제1피스톤(34)이 삽입되고 하부 외주연에 나사부(39)가 형성된 제1실린더(38)와, 상기 제1실린더(38)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일측이 상기 제1피스톤(34)의 고정와셔(36)에 걸림되는 탄성부재(41)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압축봉(32)의 상하 동작에 의하여 제1피스톤(34)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캡(11)의 홈부(24)에는, 개구공(43)이 형성된 마개(42)가 삽입되며, 상기 마개(42)와 나사부(45)를 통해 결합되는 제2실린더(44)와, 상기 제2실린더(44)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47)와, 상기 탄성부재(47)를 가압하도록 제2실린더(44)에 삽입 설치되는 제1피스톤패드(48)가 결합 구성되며, 상기 제1피스톤패드(48)는 상부에 머리부(49)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복수개의 오링(51)이 형성된다.
상기 캡(11)의 동작공(13)에 삽입되는 동작봉(52)은, 일측에 일정길이의 절삭면(53)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복수개의 오링(55)이 설치된 제2피스톤패드(54)가 형성되며, 상단에 절개부(57)를 가지는 제3실린더(56)에 삽입되어 결합 구성된다.
상기 캡(11)의 조절공(19)에 삽입되는 조절봉(58)은, 그 중상단부에 걸림홈(59)이 형성되고, 중앙부위에는 고정링(61)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조절봉(58)의 하방에는, 상단에 고정링(63)이 고정 설치되고 하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2조절홈(64)과 제1조절홈(67)이 형성되는 제어봉(62)이 구성되며, 상기 제어봉(62)에는 고정링(63) 및 와셔(68)를 통해 탄성부재(69)가 끼워지고, 상기 제어봉(62)의 하단이 결합부(71)의 삽입공(72)에 삽입된다.
상기 제어봉(62)은 도 10a에 도시된 부분 단면도에서와 같이 제2조절홈(64)에는 수평통공(65)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통공(65)은 제어봉(62)의 중앙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수직통공(65a)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71)는 도 6a 및 6b에서와 같이 타원형 기둥 형상의 내부에 제어봉(62)이 삽입되는 삽입공(72)이 형성되고, 세측면을 절삭 가공한 절삭부(76)(77)(77)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의 절삭부(77)(77) 상부에는 유입공(73) 및 유출공(73b)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73) 및 유출공(73b)의 둘레에는 홈을 내어 오링(74)(74)을 장착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71)의 일측 절삭부(76) 하단에는 절개부(75)를 형성하여 유로로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80)는,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몸체(81)와, 상기 몸체(8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수평부(82)와, 상기 몸체(81)와 수평부(82) 사이에 장착된 오링(83)과, 상기 몸체(81)의 측면에 삽입 구성된 유량조절구(10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82)에는 상기 제1실린더(38)가 나사 결합되는 제1홈부(84)와, 상기 제2실린더(44)가 나사 결합되는 제2홈부(88)와, 상기 결합부(71)가 삽입 고정되는 제3홈부(91)와, 상기 제3실린더(56)가 장착되는 제4홈부(9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82)에는 상기 제1홈부(84)의 일측면에 돌출 설치된 제1체크밸브(86)와, 결합봉(78)(79)과 나사 결합되게 대칭으로 형성된 결합공(87)(92)이 형성된다.
도 7은 상기 몸체(8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 제1홈부(84)에는 유출공(85)이 형성되고, 제1관통로(84a)를 통해 제1체크밸브(86)와 연결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86)에는 유입공(86a)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홈부(84)와 제2홈부(88) 사이의 제2관통로(84b)에는 제2체크밸브(95)가 설치된다. 상기 제2홈부(88)에는 유출입공(89)이 형성되며, 상기 제2홈부(88)와 제3홈부(91) 사이의 제3관통로(89a) 및제4관통로(91a) 사이에는 유량조절구(100)가 형성된다. 상기 제3홈부(91) 및 제4홈부(93) 사이에는 제5관통로(91b)가 형성되며, 상기 제4홈부(93)에는 유출공(94)이 마련된다.
상기 유량조절구(100)는 제3관통로(89a)에서 제4관통로(91a)로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관통로(89a) 보다 직경을 크게 하여 관통부(101)를 형성하고, 선단부에 개구공(107)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유출공(106)이 형성된 튜브(102)를 상기 관통부(101)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고, 상기 튜브(102)의 내측으로, 선단부에는 조절세부(11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손잡이(115)가 형성된 핀봉(111)을 삽입 나사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115)의 조절에 의하여 제3관통로(89a)로부터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세부(112)를 통해 조절하여 유출공(106)을 거쳐 제4관통로(91a)로 유출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튜브(102)와 몸체(81), 상기 핀봉(111)과 튜브(102) 사이에는 다수개의 오링(103)(104)(114)을 설치하여 완전 밀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내부 결합 구성을, 도 9에서는 평면으로 펼쳐 도식적으로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A)부분은 압축봉(32)과, 제1피스톤(34) 및 제1실린더(38)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압축봉(32)을 누르면 제1피스톤(34)이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제1체크밸브(86)는 닫히고(Close) 제2체크밸브(95)는 열려(Open) 유액은 제2관통로(84b)로만 흐르고, 상기 제1피스톤(34)이 이완(상승)시에는 제1체크밸브(86)가 열려 몸통케이스(31) 내부에 충전된 유액이 유입되고제2체크밸브(95)는 닫혀 제2관통로(84b)에 있는 유액이 역류하지 않게 된다.
(B)부분은 제2실린더(44) 및 제1피스톤패드(48)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2관통로(84b)를 통해 유입되는 유액에 의해 제1피스톤패드(48)가 상승되며, 이때 유액은 제2실린더(44)에 유입됨과 동시에 제3관통로(89a), 유량조절구(100) 및 제4관통로(91a)를 통해 (C)부분인 결합부(71) 및 제어봉(62)으로 흘러간다.
여기서, 상기 (B)부분은 상기 (A)부분의 제1피스톤(34)의 가압시에 제2피스톤패드(48)가 상승하면서 제2실린더(44) 내부의 탄성부재(47)를 압박하게 되고, 상기 제1피스톤(34)의 이완시에는 제2피스톤패드(48)가 상기 탄성부재(47)의 탄지력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실린더(44)의 제1피스톤패드(48)는 상기 제1피스톤(34)의 가압시는 물론 이완 동작시에도 유액을 제3관통로(91a)로 흘려 보내주게 된다. 이는 피가동체의 상승시 매끄러운(Smooth) 동작을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유량조절구(100)는 제3관통로(89a)에서 제4관통로(91a)로 흐르는 유량(유압)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유량의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제3관통로(89a)를 통해 제4관통로(91a)로 유입되는 유량에 따라 제1피스톤패드(48)를 통해 제2실린더(44)에 축적되는 에너지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상기 유량이 보다 적게 흐르도록 유량조절구(100)를 조절하면 상기 제2관통로(84b)를 통해서 대부분 제2실린더(44)에 유입될 것이고, 반대로 유량이 보다 많게 흐르도록 유량조절구(100)를 조절하면 제2관통로(84b)를 통한 유액이 대부분 제3관통로(89a) 및 제4관통로(91a)로 흘러나가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유량조절구(100)의 조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5)를 돌려(조절) 핀봉(111)의 조절세부(112)와 튜브(102)의 개구공(107) 사이의 틈을 조절하는 것이다.
(C)부분은 결합부(71)와 조절봉(58)에 의해 3단 동작되는 제어봉(62)의 조작에 따라 (D)부분의 동작봉(52)을 상승, 정지 및 하강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3관통로(91a)를 통해 유입되는 유액을 제4관통로(91b)로 보내는 유로를 제어하는 것이다.
(D)부분은 동작봉(52) 및 제3실린더(56)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4관통로(91b)로 유입되는 유액제어에 따라, 피가동체와 연결되는 상기 동작봉(52)이 상승, 정지 및 하강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시켜서된 본 고안 유압실린더의 동작을 도 10a, 10b 및 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동작봉(52)의 상승시, 압축봉(32)을 푸쉬(가압 및 이완 반복동작)한다. 이때 조절봉(58)과 연결된 제어봉(62)의 위치는 도 10a와 같은 상태(초기 상태)로 제1조절홈(67)이 결합부(71)의 유입공(73) 및 유출공(73b)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봉(32)의 가압시 제1피스톤(34)이 하강되어, 제1실린더(38) 내부에 있던 유액이, 제1홈부(84)의 유출공(85)→제2체크밸브(95)→제2관통로(84b)→제2홈부(88)의 유출입공(89)을 통해 제2실린더(44) / 제3관통로(89a)→유량조절구(100)→제4관통로(91a)→결합구(71)의 유입구(73)→제어봉(62)의 제1조절홈(67)→제5관통로(91b)→제4홈부(93)의 유출공(94)→제3실린더(56)로 흘러 상기 제3실린더(56)의 동작봉(52)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축봉(32)의 이완시에는 제1피스톤(34)이 상승되어, 제1실린더(38)의 내부에는 제1체크밸브(86) 및 제1관통로(84a)를 통해 몸통케이스(31) 내에 충진된 유액이 유입되고, 동시에 제2실린더(44)의 제1피스톤패드(48)가 탄성부재(47)의 탄지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2실린더(44) 내에 있던 유액이, 제2홈부(88)의 유출입공(89)→제3관통로(89a)→유량조절구(100)→제4관통로(91a)→결합구(71)의 유입구(73)→제어봉(62)의 제1조절홈(67)→제5관통로(91b)→제4홈부(93)의 유출공(94)→제3실린더(56)로 흘러 상기 제3실린더(56)의 동작봉(52)이 상승되도록 하여준다. 결국 상기 동작봉(52)은 상기 압축봉(32)의 하강 및 상승 작동시에 모두 상승동작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동작봉(52)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절봉(58)을 약간 눌러준다. 이때 상기 조절봉(58)의 걸림홈(59)이 도 5에서와 같이 조절부(17)의 볼(27)에 걸려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같이 동작되는 제어봉(62)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의 유액의 흐름은, 상기 제어봉(62)에 의해 그 유출입공(73)(73b)이 닫히게 되어, 더 이상 유액의 흐름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3실린더(56)의 동작봉(52)은 그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봉(58)을 약간 더 누른 후 놓아주면 하방의 탄성부재(69)의 탄지력으로 상기 조절봉(58)이 튀어 올라(걸림홈(59)이 볼(27)을통과함) 초기상태인 도 10a와 같은 위치가 된다. 따라서 동작봉(58)의 상승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작봉(52)을 하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조절봉(58)을 하방으로 완전히 눌러준다. 이때의 제어봉(62)의 위치는 도 10c와 같이 된다.
따라서, 이때의 유액은, 제4관통로(91a)를 통해 유입된 유액은 제어봉(62)의 제2조절홈(64)→수평통공(65)→수직통공(65a)을 통해 결합부(71)의 절개부(75) 및 절삭부(76)를 거쳐 몸통케이스(31) 내부로 흘러나오게 되며, 동시에 제3실린더(56) 내에 충진되어 있어 유액은 제5관통로(91b)를 통해 역류되고, 마찬가지로 제어봉(62)의 제2조절홈(64)→수평통공(65)→수직통공(65a)을 통해 결합부(71)의 절개부(75) 및 절삭부(76)를 거쳐 몸통케이스(31) 내부로 흘러나오게 되어, 상기 동작봉(52)은 하강하게 된다.
도 11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다른 구조의 제어봉(62A)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봉(62A)은 제2조절홈(64)의 바로 하부에 제1조절홈(67A)을 구성함으로써, 동작봉(52)의 제어시 초기상태가 정지, 그 다음이 상승, 그리고 하강 등으로 그 순서를 달리하여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동작 및 효과는 동일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산업용, 자동차용 잭 또는 의자 등에 있어서, 피가동체가 상승시 들썩거리는 요동이 없이 부드럽게 상승됨과 동시에 불필요한 회전이 없도록 하여, 의자인 경우 좋지 않은 느낌을 배제하고 동시에 산업용인 경우 정밀도를 높인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마개형상의 캡(11)과, 상기 캡(11)의 상부에 고정 형성된 사각형상의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상부에 형성된 동작공(13)과, 상기 동작공(13)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걸림홈(14)과, 상기 걸림홈(14)에 삽입 고정되는 걸림편(15)과, 상기 지지부(12)의 일측 양단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봉(16)(16)과, 상기 캡(11)의 상부에 형성된 조절공(19), 압착공(21) 및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결합공(18)(22)과, 상기 조절공(19)이 형성된 캡(11)의 외주연에 형성된 조절부(17)로 이루어진 캡부(10);
    몸통케이스(31)와, 상기 캡(11)의 압착공(21)에 삽입되고 하부에는 고정링(33)이 설치 고정된 압축봉(32)과, 상기 압축봉(32)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복수개의 오링(35)과 고정와셔(36)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오링(37)이 형성된 제1피스톤(34)과, 상기 제1피스톤(34)이 삽입되고 하부 외주연에 나사부(39)가 형성된 제1실린더(38)와, 상기 제1실린더(38)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일측이 상기 제1피스톤(34)의 고정와셔(36)에 걸림되는 탄성부재(41)와, 개구공(43)이 형성된 마개(42)와, 상기 마개(42)와 나사부(45)를 통해 결합되는 제2실린더(44)와, 상기 제2실린더(44)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47)와, 상기 탄성부재(47)를 가압하도록 제2실린더(44)에 삽입 설치되는 제1피스톤패드(48)와, 상기 캡(11)의 동작공(13)에 삽입되며, 일측에 일정길이의 절삭면(53)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복수개의 오링(55)이 설치된 제2피스톤패드(54)가 형성된 동작봉(52)과, 상기 동작봉(52)이 삽입되며 상단에 절개부(57)를 가지는 제3실린더(56)와, 상기 캡(11)의 조절공(19)에 삽입되며, 중상단부에 걸림홈(59)이 형성되고 중앙부위에는 고정링(61)이 고정 설치되는 조절봉(58)과, 상기 조절봉(58)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단에 고정링(63)이 고정 설치되고 하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2조절홈(64)과 제1조절홈(67)이 형성되는 제어봉(62)과, 상기 제어봉(62)의 고정링(63) 및 와셔(68)를 통해 끼워지는 탄성부재(69)와, 상기 제어봉(62)의 하단이 삽입공(72)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71)로 이루어진 몸통부(30); 및
    원형의 몸체(81)와, 상기 몸체(8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수평부(82)와, 상기 제1실린더(38)가 나사 결합되는 제1홈부(84)와, 상기 제2실린더(44)가 나사 결합되는 제2홈부(88)와, 상기 결합부(71)가 삽입 고정되는 제3홈부(91)와, 상기 제3실린더(56)가 장착되는 제4홈부(93)와, 상기 제1홈부(84)의 일측면에 돌출 설치된 제1체크밸브(86)와, 상기 제1홈부(84)와 제1체크밸브(86) 사이에 형성된 제1관통로(84a)와, 상기 제1홈부(84)와 제2홈부(88) 사이에 형성된 제2관통로(84b)와, 상기 제2관통로(84b) 사이에 형성된 제2체크밸브(95)와, 상기 제2홈부(88)와 제3홈부(91) 사이의 제3관통로(89a) 및 제4관통로(91a) 사이에 형성된 유량조절구(100)와, 상기 제3홈부(91) 및 제4홈부(93) 사이에 형성된 제5관통로(91b)로 이루어진 베이스부(80);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봉(16)(16)에는 회전 가능한 소정의 레버를 삽입 결합하여 이를 회동시킴으로서 압축봉(32) 및 조절봉(58)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10)의 조절부(17)는 캡(11)의 측면에 홀을 형성하고 볼(27)과 스프링(26)을 넣고 볼트(25)로 체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10)의 지지부(12)에는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핀공(15b)과, 상기 핀공(15b)에 삽입 고정된 핀(15a)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1)의 저면에는 상기 동작공(13) 보다 큰 반경의 이동홈(23)과, 제2실린더(44)의 마개(42)가 삽입되는 소정 반경의 홈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압실린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30)의 제1피스톤패드(48)는 상부에 머리부(49)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복수개의 오링(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62)의 제2조절홈(64)에는 수평통공(65)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통공(65)은 제어봉(62)의 중앙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수직통공(65a)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1)는 타원형 기둥 형상으로, 세측면을 절삭 가공한 절삭부(76)(77)(77)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의 절삭부(77)(77) 상부에는 유입공(73) 및 유출공(73b)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73) 및 유출공(73b)의 둘레에는 홈을 내어 오링(74)(74)을 장착하고, 상기 절삭부(76) 하단에는 절개부(75)를 형성하여 유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30)의 제어봉(62A)은 제2조절홈(64)의 바로 하부에 제1조절홈(67A)을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80)의 유량조절구(100)는 제3관통로(89a) 보다 직경을 크게 하여 관통부(101)를 형성하고, 선단부에 개구공(107)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유출공(106)이 형성된 튜브(102)를 상기 관통부(101)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고, 상기 튜브(102)의 내측으로, 선단부에는 조절세부(11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손잡이(115)가 형성된 핀봉(111)을 삽입 나사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115)의 조절에 의하여 제3관통로(89a)로부터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세부(112)를 통해 조절하여 유출공(106)을 거쳐 제4관통로(91a)로 유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
KR2020020015055U 2002-05-17 2002-05-17 유압 실린더 KR200288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55U KR200288461Y1 (ko) 2002-05-17 2002-05-17 유압 실린더
GB0310987A GB2390644B (en) 2002-05-17 2003-05-13 Oil hydraulic cylinder
US10/437,702 US6993905B2 (en) 2002-05-17 2003-05-14 Oil hydraulic cylinder
CNB031454569A CN1254429C (zh) 2002-05-17 2003-05-16 油压缸
DE10322222A DE10322222B4 (de) 2002-05-17 2003-05-16 Ölhydraulikzylinder
JP2003139366A JP3779284B2 (ja) 2002-05-17 2003-05-16 油圧シリンダ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55U KR200288461Y1 (ko) 2002-05-17 2002-05-17 유압 실린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805A Division KR100504251B1 (ko) 2003-03-29 2003-03-29 유압 실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461Y1 true KR200288461Y1 (ko) 2002-09-10

Family

ID=3674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055U KR200288461Y1 (ko) 2002-05-17 2002-05-17 유압 실린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93905B2 (ko)
JP (1) JP3779284B2 (ko)
KR (1) KR200288461Y1 (ko)
CN (1) CN1254429C (ko)
DE (1) DE10322222B4 (ko)
GB (1) GB23906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11B1 (ko) 2005-07-15 2007-11-21 윤영환 유량조절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3764B2 (ja) * 2005-03-31 2010-06-02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椅子昇降用油圧装置
WO2007011142A1 (en) * 2005-07-15 2007-01-25 Young-Hwan Yoon The flow control mechanism and stopper mechanism of hydraulic device
EP3135946B1 (en) * 2015-08-24 2022-01-05 Nabtesco Corporation Caliper device and disc brak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D793786S1 (en) * 2016-01-22 2017-08-08 Ascion, Llc Leg assembly for support frame
USD800193S1 (en) 2016-03-19 2017-10-17 Mark F. Pelini Hydraulic cylinder with base tab
CN111059093A (zh) * 2019-12-19 2020-04-24 湖北三江航天万山特种车辆有限公司 一种紧凑型车载油缸回转装置
CN112249954B (zh) * 2020-10-16 2021-12-17 周建威 一种稳定性高且方便使用的新能源汽车用剪式千斤顶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641A (en) * 1896-01-22 1900-03-06 Gideon Sibley Dental chair.
US1964003A (en) * 1930-09-24 1934-06-26 Gerald S Carrick Hydraulic jack
US1999848A (en) * 1932-11-11 1935-04-30 Max Wocher & Son Company Hydraulic lift
US3146592A (en) * 1959-05-20 1964-09-01 F & F Koenigkramer Company Hydraulic lift with rotation lock for beauty chair
US3230712A (en) * 1963-03-21 1966-01-25 Emil J Paidar Company Manual hydraulic jack
FR1503659A (fr) * 1965-10-01 1967-12-01 Schwarzkopf Fa Hans Fauteuil de service avec siège montant et descendant
DE2164943C3 (de) * 1971-12-28 1981-03-19 Fritz Bauer + Söhne oHG, 8503 Altdorf Hydraulisch blockierbare Hubvorrichtung
US4384700A (en) * 1980-10-10 1983-05-24 Deere & Company Velocity sensitive seat damper system
JP2000014475A (ja) * 1998-07-02 2000-01-18 Ohiro Seisakusho:Kk 理美容椅子
JP3072541U (ja) * 2000-04-17 2000-10-20 株式会社大廣製作所 理美容椅子の脚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11B1 (ko) 2005-07-15 2007-11-21 윤영환 유량조절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13665A1 (en) 2003-11-20
JP3779284B2 (ja) 2006-05-24
GB2390644A (en) 2004-01-14
US6993905B2 (en) 2006-02-07
DE10322222B4 (de) 2007-04-19
CN1468570A (zh) 2004-01-21
GB2390644B (en) 2005-07-13
DE10322222A1 (de) 2003-12-04
JP2004003654A (ja) 2004-01-08
CN1254429C (zh) 2006-05-03
GB0310987D0 (en)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8461Y1 (ko) 유압 실린더
CN1034987A (zh) 抗冲击压力安全阀
US4784362A (en) Hydraulic automatically ascending apparatus with a volume-variable oil tank
CA1221554A (en) Regulation and control device for pressure cookers
KR100504251B1 (ko) 유압 실린더
US4022380A (en) Fluid flow control valve
KR20080097269A (ko) 변기용 세척밸브의 절수장치
GB2163531A (en) Apparatus for use in dispensing beverages
KR200309576Y1 (ko) 자전거 안장, 탁자, 의자 시트등의 높이조절장치
KR100569183B1 (ko) 유압 실린더
KR20060103060A (ko) 유로 차단 기능을 갖는 감압밸브장치
KR100616452B1 (ko) 의자의 원위치 복귀 기능을 구비한 가스 실린더
KR20220045855A (ko) 조정 편의성이 향상된 가변형 정압 레귤레이터
JPH07248067A (ja) リリーフ弁
US4750519A (en) Faucet valve for buffering high-pressure water
KR930000193B1 (ko) 유체용 감압조정변
US4520992A (en) Slow-closing valve mechanism
CN200989483Y (zh) 一种泵用泄压阀
KR0139804Y1 (ko) 유압에 의해 시트가 승,하강되는 의자
RU43050U1 (ru) Перепускной клапан
JP3928250B2 (ja) 手動ポンプ
KR200245492Y1 (ko) 컴퓨터 책상
KR200331321Y1 (ko) 의자용 안전승강장치
RU42615U1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SU1647523A1 (ru) Регул тор давлени пр мого действ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