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611B1 - 유량조절기구 - Google Patents

유량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611B1
KR100777611B1 KR1020050064250A KR20050064250A KR100777611B1 KR 100777611 B1 KR100777611 B1 KR 100777611B1 KR 1020050064250 A KR1020050064250 A KR 1020050064250A KR 20050064250 A KR20050064250 A KR 20050064250A KR 100777611 B1 KR100777611 B1 KR 10077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rod
weight
passag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169A (ko
Inventor
윤영환
Original Assignee
윤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환 filed Critical 윤영환
Priority to KR102005006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611B1/ko
Priority to PCT/KR2006/002794 priority patent/WO2007011142A1/en
Publication of KR20070009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85Details for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속적인 유압의 입력에 대해 연속적인 유압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유압실린더에 있어, 유압실린더가 상승시키고자 하는 중량체의 중량의 대소에 각각 대응하여 효과적이며 연속적인 유압의 토출를 가능케하고, 또한 각종 불순물 혹은 오염된 유액의 슬러지등에 의해 유량 조절구가 막히는 현상을 해결하는 유량조절기구(600)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유액통로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핀봉(300),일정 범위의 중량에 대응하는 강도의 탄성부재봉1(320a), 또 다른 일정범위의 중량에 대응하는또 다른 강도의 탄성부재봉2(320b),앞선 탄성부재와 다른 일정 범위의 중량에 대응하는 또 다른 강도의 탄성부재봉3(320c)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봉들(320a,320b,320c)과 핀봉(300)과의 중간에 삽입하는 워셔(310), 핀봉(300)과 워셔(310)그리고 탄성부재봉들(320a,320b,320c)을 삽입할수 있고 외경에 오링이 안착할수 있는 다수의 오링홈(330)이 있고 몸체(181)에 형성된 나사부와 맞물리는 나사부(340)가 있고 한 측면에 공구삽입홈(174b)이 형성된 조절몸체(345)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막(401)을 삽입한 필터부(400)와, 상기 돌출부(50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81)에 나사물림할수 있는 나사부(501a)가 있으며, 상기 유액통로(50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삽입홈(502)이 설치된 필터고정부(5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량조절기구{Device for flow control}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유압실린더의 동작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몸통케이스와 베이스부를 제외한 유압실린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는 종래의 유압실린더를 도시한 조립 개념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베이스부를 도시한 내부 평면도
도 5는 종래의 유량조절기구(17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실시에 따른 유압실린더가 평행링크에 조합된 설치를 도시한 개념 구성도
도 7a에서 도 7e까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00)와 필터고정부(500),유량조절기구(600)의 설치상태 및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8a에서 도 8e까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00)와 필터고정부(500),유량조절기구(600)의 설치상태 및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종래의 유량조절기구 : 170 오링홈 : 330
베이스부(180)의 경사면 : 172 나사부 : 340
공구삽입홈 : 174b 개구공 : 341
오링 : 178 조절몸체 : 345
베이스부 : 180 필터부 : 400
몸체 : 181 필터막 : 401
제3관통로 : 182c 경사면b : 402
제4관통로 : 182d 경사면a : 403
핀봉 : 300 필터고정부 : 500
조절세부 : 305 나사부 : 501a, 501b
워셔 : 310 공구삽입홈 : 502
탄성부재봉1 : 320a 유액통로 : 503
탄성부재봉2 : 320b 개량된 유량조절기구 : 600
탄성부재봉3 : 320c
본 발명은 산업용이나 의자등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의 유량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속적인 유압의 입력에 대해 연속적인 유압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유압실린더에 있어 유압실린더가 상승시키고자 하는 중량체의 중량의 대소에 각각 대응하여 효과적이며 연속적인 유압의 토출을 가능케하고, 또한 각종 불순물 혹은 오염된 유액의 슬러지등에 의해 유량 조절구가 막히는 현상을 해결하는 유량조절기구(600)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량조절기구(170)를 장착한, 단속적인 유압의 입력에 대해 연속적인 유압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유압실린더 기술을 이용한 리프트및 이미용의자 등의 경우는, 크게 유압을 강제 발생시키는 압축수단, 피가동체에 연결 고정되어 피가동체를 상승, 정지 및 하강 동작시키는 동작수단 및 상기 동작수단의 상승, 정지 및 하강을 제어하는 조절수단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캡부와, 몸통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압축수단, 동작수단 및 조절수단과 연계되어 유압동작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실린더 및 피스톤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유로가 형성된 베이 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내에 형성된 유로에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구와, 상기 캡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수단, 동작수단 및 조절수단을 동시에 제어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하는데 첨부 도면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종래의 기술설명에 있어서,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6은 대한민국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89420(유압실린더) 와 대한민국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4-0090668(유압실린더)의 공지된 기술을 말한다.
도 1a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압 실린더는 크게 유압을 강제 발생시키는 압축수단(120), 피가동체에 연결 고정되어 피가동체를 상승, 정지 및 하강 동작시키는 동작수단(130) 및 상기 동작수단(130)의 상승, 정지 및 하강 등을 제어하는 조절수단(140) 등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캡부(150)와, 몸통케이스(161)의내부에상기 압축수단(120), 동작수단(130) 및 조절수단(140) 등과 연계되어 유압동작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실린더및 피스톤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부(160)와, 상기 몸통부(16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유로가 형성된 베이스부(180)와, 상기 베이스부(18) 내에 형성된 유로에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구(170)와, 상기 캡부(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수단(120), 동작수단(130) 및 조절수단(140)을 제어하는조작수단(19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캡부(150)는 마개형상의 캡(151) 상부 중앙에 장공(152)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공(152)의 일측단에는 상부를 통해서 상기 동작수단(130)의 동작봉(131)이 돌설되도록 장공(152)의 폭보다 넓은 동작공(153)이 서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캡(151)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장공(152)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조절수단(140)의 조절봉(141)이 수직으로 안착되도록 조절공(154)이 형성되며, 상기 캡(151)의 둘레 측면 일측에는 상기 조작수단(190)의누름핀(191)이 상기 장공(152)을 가로질러 상기 조절공(154)까지 삽입 연결되도록 수평공(155)이 형성된다.
또, 상기 장공(152) 내부에서 타측단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압축수단(120)의 압축봉(121)이 삽입되도록 장공(152)의 폭보다 넓은 압축공(156)이 형성되고, 상기 캡(151)의 상부에는 상기 수평공(155)의 연결되도록핀공(157)이 형성되며, 상기 캡(151)의 상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결합봉(78,79)이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다수의 결합공(15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통부(160)는 몸통케이스(161) 내부에는 압축수단(120)이 설치되는 바, 먼저 상기 캡(151)의 압축공(156)에 삽입되는 압축수단(120)의 압축봉(121)의 하부 외주에는 고정링(122)이 설치되고, 상기 압축봉(121)의 하방에는 상 부 외주에 복수개의 오링(123)과 고정와셔(124)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하부 외주에 오링(125)이 설치된 제1피스톤(126)과, 상기 제1피스톤(126)이 삽입되게 하면서 하부 외주에 나사면(127a)이 형성된 제1실린더(127)와, 상기제1실린더(127)의 외주에 끼워지고 일측이 상기 제1피스톤(126)의 고정와셔(124)에 걸림되는탄성부재(128)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압축봉(121)의 상하 동작에 의하여 제1피스톤(126)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캡(151)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부(미도시)에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 등의 공구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면 중앙에 개구공(20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주에 나사면(200b)이 형성된 마개(200)가 삽입되며, 상기 마개(200)의 나사면(200b)과 결합되어 마개(2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도록 내주 상단에서 일정 깊이까지에 나사면(201a)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단 외주에 나사면(201b)이 형성된 제2실린더(201)와, 상기 제2실린더(201)의 내부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접하도록 삽입되어 각기 다른 탄성력을 가하며 또한 상기 마개(200)의 높이에 따라 동시 탄성력이 조절되도록 상부 및 하부측 탄성부재(202,203)와, 상기 제2실린더(201)의 하부를 통해 긴밀하게 삽입되어 상부 및 하부측 탄성부재(202,203)를 가압하도록 외주에 오링(204)이 설치된 제1피스톤패드(205)가 서로 결합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측 탄성부재(202)는 상기 하부측 탄성부재(203) 보다 탄성력이 높도록 예를 들어 강선의 지름을 굵게하거나 또는 코일의 자유길이를 길하는 것 중 선택된 그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상부측 탄성부재(202)는 하 부측 탄성부재(203)와 동시 연동되면서 예를 들어 남자 몸무게에 대응하도록 강한 탄성력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측 탄성부재(203)는 예를 들어 여자 몸무게에 대응하도록 약한 탄성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캡(151)의 동작공(153)에 삽입되는 동작수단(130)의동작봉(131)은 그 하부 외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132)이 설치된 제2피스톤패드(13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동작봉(131)의 하부에는 상기 제2피스톤패드(133)가 오링(132)을 매개로 긴밀하게 삽입되어 유압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상단 외주 일측에 바이패스공(134a)이 형성된 제3실린더(134)가 서로 결합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동작봉(131)의 상단에는 예를 들어 피가동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테이퍼 진 단차면(131a)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면(131a)의 외주 일측에는 동작봉(131)과 피가동체와의 결합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핀(135)이 삽입되는 핀공(13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피스톤패드(1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 중간 높이에 상기 오링(132)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오링홈부(133a)가 형성되고, 그 하면에 대하여 다수 곳에는 상기 오링홈부(133a)와 직각으로 유로가 연결되도록 바이패스공(13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링홈부(133a)는 상기 동작봉(131)이 제3실린더(134)내에서 최고상단까지 상승 동작된 후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는 단계에 도달될 때 제3실린더(134)내의 유압에 의해 수축되는 오링(132)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피스톤패스(133)의 바이패스공(133b)과 제3실린더(134)의 바이패스홀(134a)과의 유로를 연결시킴으로써 제3실린더(134)내의 유압이배출되어 동작봉(131)에 압력을 주지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캡(151)의 조절공(154)에 삽입되는 조절수단(140)의 조절봉(141)은 그 상단에 예를 들어 쐐기모양으로 접촉면(141a)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부에 나사면(141b)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봉(141)의 하부에 상기 나사면(141b)과 결합되 도록 상면 중앙에 나사면(142a)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 외주에 육각모양의 플랜지면(142b) 및 하단 중앙에 끝단이 뾰족한 쐐기면(142c)이 형성된 제어봉(142)과, 상기 제어봉(142)의 하부를 통해 외주에 끼워져 상기 플랜지면(142b)에 걸림되는 탄성부재(143)와, 상기 제어봉(142)이 탄성부재(143)를 매개로 삽입되어 상향되게 탄발 지지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18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단차면(부호미도시)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단 외주에 나사면(144a) 및 상기 나사면(144a)의 상단 높이에 바이패스공(144b)이 형성된 결합부(144)와, 상기 결합부(144)의 하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80)의몸체(181) 내부에 형성된 제4관통로(182d)와 제5관통로(182e)와의 사이에 삽입되는 볼(145)과, 상기 볼(146)의 하부에 설치되어 볼(146)을 상향되게 탄발 지지하는 탄발부재(146)가 서로결합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145)은 상기 조절봉(141)이 하강동작될 때 동시 연동되는 제어봉(142)의 쐐기면(142c)에 의해 하강동작되면서 상기 제4관통로(182d)와 제5관통로(182e)의 유액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몸체(181)와, 상기 몸체(18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수평부(189)와, 상기 몸체(181)와 수평부 (189) 사이에 장착된 오링(188)과, 상기 몸체(181)의 측면에 삽입 구성된 유량조절기구(1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189)에는 상기 제1실린더(127)가 나사 결합되는 제1홈부(183a)와, 상기 제2실린더(201)가 나사 결합되는 제2홈부(183b)와, 상기 결합부(144)가 삽입 고정되는 제3홈부(183c)와, 상기 제3실린더(134)가 장착되는 제4홈부(183d)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189)에는 상기 제1홈부(183a)의 일측면에 돌출 설치된 제1체크밸브(184a)와, 상기 결합봉(78,79)과 나사 결합되도록 대칭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186,187)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홈부(183a)에는 유출공(185a)이 형성되고, 제1관통로(182a)를 통해 제1체크밸브(184a)와 연결되고, 상기 제1체크밸브(184a)에는 유입공(185b)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홈부(183a)와 제2홈부(183b) 사이의 제2관통로(182b)에는 제2체크밸브(184b)가 설치된다.
상기 제2홈부(183b)에는 유출입공(185c)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홈부(183b)와 제3홈부(183c) 사이의 제3관통로(182c) 및 제4관통로(182d) 사이에는 유량조절기구(170)가 형성되며, 상기 제3홈부(183c) 및 제4홈부(183d) 사이에는 제5관통로(182e)가 형성되고, 상기 제4홈부(183d)에는 유출공(185d)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유량조절기구(170)는 상기 베이스부(180)의 제3관통로(182c)에서 제4관통로(182d)로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관통로(182c) 보다 직경이 크도록 관통부(171)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부 (171)와 제3관통로(182c)가 접하는 경계부분에 경사면(172)을 형성하고, 선단부에 개구공(173a)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공(173a)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둘레 일측에 유출공(173b)이 형성된 튜브(173)를 상기 관통부(171)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한다.
상기 튜브(173)의 내측으로는 선단에 안착홈(174a)이 형성됨과 동시에 후단에 공구삽입홈(174b)이 형성된 핀봉(174)을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고, 상기 핀봉(174)의 안착홈(174a)에 탄성부재(175)를매개로 볼(176)을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볼(176)이 상기 경사면(172)에 안착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75)는 예를 들어 렌치 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삽입되는 상기 공구삽입홈(174b)을 이용하여 핀봉(174)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핀봉(174)이 튜브(173) 내에서 나사 결합에 의해 전후이동되는 조절량에 따라 탄성 강약이 조절되면서 볼(176)의 압력을 조절하게 되고, 이 볼(176)은 제3관통로(182c)에서 제4관통로(182d)로 흐르는 유압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튜브(173)와 상기 베이스부(180)측 몸체(81)와의 조립 틈새, 상기 핀봉(174)과 튜브(173)와의 조립 틈새에는 유액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다수개의 오링(177,178)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수단(190)은 상기 캡(151)의 수평공(155)을 통해 조절공(154)까지 삽입되어 그 선단이 조절공(154)측에 삽입된 조절봉(141)의 접촉면(141a)과 직각되게 대향되도록 선단에 예를 들어 쐐기모양의 접촉면(191a)이 형성된 누름봉(191)과, 상기 수평공(155)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그 내부로 상기 누름봉(191)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봉(192)과, 상기 캡(151)의 장공(152)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봉(192)의 선단 외주에 키이(193)를 매개로 동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캡(151)의 압축공(156)에 삽입된 압축봉(121)에 누름력을가하거나 또는 해제하도록 일측 편심 위치에 누름돌기(194a)이 돌설된 캠부(194)와, 상기 캡(151)의 핀공(157)을 통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공(155)에 삽입된 회전봉(192)의 외주 링모양으로 형성된 오목홈(192a)과 접면결합되어 회전봉(192)이 회전 가능하게 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잡아주는 결합핀(195)과, 상기 캡(151)의 장공(152)에 대하여 상기 동작봉(131)과 캠부(194)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캠부(194)의 회동 편심각에 따라 동작봉(131)이 회전되지 않게 표면 마찰력을 가하거나 또는 해제하는 마찰부재(196)와, 상기 회전봉(192)의 외측단에 절개홈(192b)에 삽입됨과 동시에 회전봉(192)의 외주 편심 위치에 형성된 핀공(192c)을 통해 삽입되는 힌지핀(197)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하 왕복동작에 의해 회전봉(192)을 정역 회전시키거나 또는 좌우 회동에 의해 누름봉(191)을 전진 이동시키는 조절레버(198)와, 상기 조절레버(198)와 회전봉(192)과의 사이에 대하여 상기 힌지핀(197)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개재되어 조절레버(198)와 누름봉(191)과의 누름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조절레버(198)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199)로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2는 상기 몸통케이스(161) 내에서 제1체크밸브(184a)의 유액 유입공(185b)에 설치되는 여과필터를 나타낸 것이고, 180a은 상기 베이스부(180)와 결합되는 의자의 다리부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유압 실린더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조절레버(198)를 도 1a 및 도1b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왕복 동작시키면, 이 조절레버(198)와 요철모양으로 끼워 맞춤됨과 동시에 힌지핀(197)에 의해 서로 결합된 회전봉(192)이 동시 회전되면서 회전봉(192)의 끝단에 키이(193)를 매개로 결합된 캠부(194)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캠부(194)는 회전될 때 그 일측에 일체로 돌설된 누름돌기(194a)가 하부방향으로 회전 동작되면서 그 하부에 위치된 압축봉(121)을 눌러줌으로써 압축봉(121)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된 제1피스톤(126)을 가압하게되고, 이 압축봉(121)는 상기 누름돌기(194a)에 의해 눌러졌다가 탄성부재(128)의탄성력에 의해 제1피스톤(126)이 상승 동작되려는 작용에 의해 초기 상태로 상승 동작되면서 상기 누름돌기(194a)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캠부(194)를 회전시킴으로써 캠부(194)와 순차적으로 결합된 회전봉(192)과 조절레버(198)를 초기 상태로 상승 동작시키게 된다.
이러한, 조절레버(198)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의해 압축봉(121)은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몸통케이스(161) 내의 유액을 제1체크밸브(184a)를 통해 베이스부(180)의 제1관통로(182a)로 흡입시키게 된다.
이때, 조절레버(198)를 상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이 조절레버(198)에 연결된 회전봉(192)이 동시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캠부(194)를 동시 회전 동작시키게 되고, 이 캠부(194)는 상부방향으로 회전될 때 그 누름돌기(194a)의 끝단이 캡(151)의 장공(152)을매개로 캠부(194)와 동작봉(131)과의 사이에 개재된 마찰부재 (196)를누름으로써 마찰부재(196)는 동작봉(131)의 외주 표면에 강하게 되면서 동작봉(13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게된다.
한편, 조절레버(198)를 도 9b와 같이 가로방향 바깥으로 잡아당기면, 이 조절레버(198)와 회전봉(192)을 힌지하는 힌지핀(197)을 회전 중심으로 조절레버(198)가 제쳐지면서 그 끝단부분이 안쪽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봉(192)의 내주에 삽입된 누름봉(191)을 밀게 되고, 이 누름봉(191)은 이동될 때 그 선단측 접 촉면(191a)이 캡(151)의 조절공(154)에 수직으로 삽입된 조절봉(141)의 상단측 접촉면(141a)을 누름으로써 조절봉(141)은 하강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조절레버(198)를 놓게 되면, 이 조절레버(198)의 끝단과 회전봉(192)와의 사이에 대하여 상기 누름봉(191)을 사이에 두고 힌지핀(197)의 반대편에 개재된 탄성부재(199)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레버(198)가 도9a와 같이 힌지핀(197)을 회전 중심으로 초기상태로 복귀되고, 상기 누름봉(191)은 제어봉(142)이 탄성부재(143)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부(144) 내에서 상승 동작됨과 동시에 조절봉(141)을 상승 동작시키는 작용에 의해 초기 상태로 밀리게 된다.
다음은, 유압 실린더의 내부 결합 구성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3는 유압 실린더를 도시한 조립 개념 구성도로서, (A)부분은 압축봉(121), 제1피스톤(126), 제1실린더(127) 및 탄성부재(128)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압축봉(121)을 누르면 제1피스톤(126)이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제1체크밸브(184a)는 닫힘과 동시에 제2체크밸브(184b)는 열림으로써 유액은 제2관통로(182b)로만 흐르고, 상기 제1피스톤(126)이 이완(상승)시에는 제1체크밸브(184a)가 열려 몸통케이스(161) 내부에 충전된 유액이 유입됨과 동시에 제2체크밸브(184b)는 닫힘으로써 제2관통로(182b)에 있는 유액이 역류하지 않게 된다.
(B)부분은 마개(200), 제2실린더(201), 상부 및 하부측 탄성부재(202,203) 및 제1피스톤패드(205)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제2관통로(182b)를 통해 유입되는 유액에 의해 제1피스톤패드(205)가 상승되는데, 이때 유액은 제2실린더(201)에 유입됨과 동시에 제3관통로(182c), 유량조절기구(170) 및 제4관통 로(182d)를 통해 제5관통로(182e)로흘러간다.
여기서, 상기 (B)부분은 상기 (A)부분의 제1피스톤(126)의 가압시에제1피스톤패드(205)가 상승하면서 제2실린더(201) 내부에 2단으로 상하부에 접하도록 설치된 상부 및 하부측 탄성부재(202,203)를 압박하게 되고, 상기 제1피스톤(126)의 이완시에는 제1피스톤패드(205)가 상기 상부 및 하부측 탄성부재(202,203)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측 탄성부재(202)와 하부측 탄성부재(203)는 상기 제2실린더(201) 내에 나사 결합된 마개(200)를 상부방향으로 높게 조절할 경우 탄성력이 약하게 조절되고, 마개(200)를 하부방향으로 낮게 조절할 경우 탄성력이 강하게 조절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상부측 탄성부재(202)가 상기 하부측 탄성부재(203) 보다 강선의 지름이 굵거나 또는 코일의 자유길이를 길도록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몸무게 높은 남자가 피가동체에 앉을 경우 상술한 제1피스톤패드(205)에 압력을 가하는 유압작용에 대응하여 하부측 틴성부재(203)와 상부측 탄성부재(202) 가 동시 압축되고, 예를 들어 몸무게가 낮은 여자가 피가동체에 앉을 경우 제1피스톤패드(205)에 압력을 가하는 유압작용이 남자의 몸무게 보다 약하므로 하부측 탄성부재(203) 만이 압축된다.
즉, 제1피스톤패드(205)의 상승 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상부측 탄성부재(202)와하부측 탄성부재(203)가 서로 다른 압력변화에 대응하게 되므로 보다 부드럽게 유압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실린더(201)의 제1피스톤패드(205)는 상기 제1피스톤(126)의 가압시는 물론 이완 동작시에도 유액을 제3관통로(182c)로 흘려 보내주게 됨으로써 피가동체의 상승시 부드러운(Smooth) 동작을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기구(170)는 제3관통로(182c)에서 제4관통로(182d)로 흐르는 유량(유압)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량의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제3관통로(182c)를 통해 제4관통로(182d)로 유입되는 유량에 따라 제1피스톤패드(205)를 통해 제2실린더(201)에 축적되는 에너지가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유량이 보다 적게 흐르도록 유량조절기구(170)를 조절하면 상기 제2관통로(182b)를 통해서 대부분 제2실린더(201)에 유입되고, 반대로 유량이 보다 많게 흐르도록 유량조절기구(170)를 조절하면 제2관통로(182b)를 통한 유액이 대부분 제3관통로(182c)및 제4관통로(182d)로 흘러나가게 된다.
또, 상기 유량조절기구(170)의 조절은 도 4, 도5a, 도5b에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핀봉(174)을 회전시키면 핀봉(174)의 선단에 탄성부재(175)를 매개로 장착된 볼(176)이 경사면(172)과의 면촉 압력이 조절 되고, 제3관통로(182c)에서 볼(176)을 밀치고 관통부(171)를 걸쳐 제4관통로(182d)로 흘러가려는 유압의 흐름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C)부분은 조절봉(141), 제어봉(142), 탄성부재(143), 결합부(144), 볼(145)및 탄성부재(146)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는 조절봉(141)을 눌러서 제어봉(142)을 하강 동작시킬 때 볼(145)이 하강 동작되면서 제4관통로(182d)과 제5관통로(182e)로 흐르는 유압이 결합부(144)의 바이패스공(144b)을 통해 배출되고, 조절봉(141) 을 누르지 않을 경우 제어봉(142)이 탄성부재(143)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 동작됨과 동시에 볼(145)이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동작됨으로써 제4관통로(182d)를 흐르는 유액이 제5관통로(182e)로 직접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D)부분은 동작봉(131), 제2피스톤패드(133) 및 제3실린더(134)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제4관통로(182d)로 유입되는 유액제어에 따라 피가동체와 연결되는 상기 동작봉(131)이 상승, 정지 및 하강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또다른 기술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앞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및 동일명칭을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또 다른 기술은 유압 실린더와 평행 링크를 조합하여 피가동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는 앞서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몸통케이스(161)와 (A)(B)(C)구성을 베이스부(부호미도시)의 일측에 예를 들어 세우거나 또는 눕히도록 설치하고, (D)구성을 공지의 평행링크수단(210)과 연계 동작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D)구성의 하단측 유압 유로를 상기 (C)구성의 하단측 유압 유로와 서로 연결하고, 상기 (D)구성의상단측 유압 유로를 상기 몸통케이스(161)의 일측 유압 유로와 서로 연결함으로써 유압이 바이패스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압실린더의 상승동작을 자세히 살펴보면, 동작봉(131)위에 얹혀지는 의자부와 의자부에 앉은 중량물을 합한 총 중량으로, 일반적인 최소중량인 의자부만의 14Kg부터 일반적인 최고 중량인 150Kg까지의 전 중량에 걸쳐 상승이 부드럽지 못하다는 결함이 있으며,
상기 종래의 기술에 대해 실험한 결과 최소 중량 14Kg에서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도록 유량조절기구(170)를 조정해 두면, 최고 중량 150Kg에서는 연속적인 상승이 불가능할 뿐더러 조절레버(198)을 밟는데 엄청난 저항이 뒤따르므로 계속 펌핑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엄청난 부하에 의해 관련된 부품들의 조기 마모문제 및 충격문제가 발생도 한다.
반대로 최고 중량 150Kg에서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도록 유량조절기구(170)를 조정해 두면, 최소중량 14Kg에서는 연속적인 상승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중량의 변화에 따라 유량조절기구(170)를 계속하여 재조정을 해야 한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다음의 도시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 명한다.
사람이 조절레버(198)를 밟아 펌핑하여 동작봉(131)이 상승하게 되는 전체적인 작동 및 유액흐름은 종래의 기술에서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제 유량조절기구(170)와 관련한 작동 및 유액흐름의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사람이 조절레버(198)를 밟아 펌핑하여 발생한 유압은 제3관통로(182c)를 지나게 되며, 이때 유량조절기구(170)는 이미 14Kg의 중량이 연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제3관통로(182c)의 크기 조정을 해 두었다고 하면 볼(176)은 제3관통로(182c)를 거의 막아 약간의 틈새 만 있을 것이다. 도5에서 보이는 탄성부재(175)는 볼(176)이 제3관통로(182c)의 출구에 위치하게 하는 지지역활만을 할 뿐 제3관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액을 전혀 제어하지 못하고, 상기 도면상에는 탄성부재(175)가 더 압축될 수 있는 상태의 그림이지만 이는 유량조절기구(170)의 조정 전의 모습이며, 결국 탄성부재(175)의 탄력성은 볼(176)의 지지역활 뿐이다.
그러나 이 조정상태에서 중량을 변경하여 90Kg을 중량으로 올려 놓으면 발생하는 문제를 설명한다.
중량 14Kg을 올려 놓았을때와 같이 펌핑하여 발생한 유압은 제3관통로(182c)를 지나게 되며, 이때 상승시켜야할 중량은 14Kg보다 더 무거운 90Kg이 될 것이다.
상기 제4관통로(182d) 로 흘러 가야할 일정량의 유액은 유량조절기구(170)에서 조정해놓은 14Kg에 맞는 틈새가 너무 작아서 결국 제2실린더(201)로 많은 양이 흘러 들어가 탄성부재(202,203)을 압축시킨다.
상기 탄성부재(202,203)가 압축되는 동안 90Kg의 중량은 상승하질 못하고, 탄성부재(202,203)만 압축되므로 동작봉이 상승하지 못하면서 헛펌핑이 발생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상기 탄성부재(202,203)가 충분히 압축되면 이제 복원력이 높아져서 14Kg중량에 맞게 조정한 유량조절기구(170)의 작은 틈새로 유액이 흘러 들어가 90Kg중량은 상승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는 14kg 중량을 상승시키는 펌핑력보다 더 큰 펌핑력이 필요하게 되어 펌핑에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상기 동일한 조건에서 150Kg의 중량을 얹혀보면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발생되는 결과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상기 조건과 마찬가지로 중량 14Kg을 올려 놓았을때와 같이 펌핑하여 발생한 유압은 제3관통로(182c)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승시켜야할 중량은 90Kg보다 더 무거운 150Kg이 될 것이다.
상기 제4관통로(182d) 로 흘러 가야할 일정량의 유액은 유량조절기구(170)에서 조정해놓은 14Kg에 맞는 틈새가 너무 작아서 결국 제2실린더(201)로 모두 흘러 들어가 탄성부재(202,203)만을 압축시키고, 상기 탄성부재(202,203)가 압축되는 동안 150Kg의 중량은 상승하질 못하고, 상기 탄성부재(202,203)만 압축되므로 더 많은 헛펌핑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02,203)가 완전히 압축되어 더 이상 압축될 수 없을 때 비로서 14Kg 중량에 맞게 조정한 유량조절기구(170)의 작은 틈새로 유액이 흘러 들어가 150Kg중량은 상승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는 90Kg 중량을 상승시키는 펌핑력보다 더욱 더 큰 펌핑력이 필요하게 되며 사실상 펌핑이 불가능해진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202,203)의 압축 허용 한계를 넘어서게 되므로 탄성부 재(202,203)는 복원력을 잃어 탄성재로서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유량조절기구(170)에서 조정해 놓은 14Kg에 맞는 틈새는 너무 작아서 오염된 유액 슬러지 혹은 각종 불순물등에 의해 틈새가 막혀 1회의 펌핑도 불가능할 경우도 발생한다. 상기 탄성부재(202,203)는 완전히 압축 되었고, 상기 유량조절기구(170)에서 조정한 틈새는 완전히 막혀 단 1회의 펌핑도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유량조절기구(170)를 재조정하여 틈새를 크게해서 오염된 유액 슬러지 혹은 각종 불순물등을 흘러가게 할 수 있지만, 그 후에 유량조절기구(170)를 재조정 해야하는 문제점은 계속 발생할 것이다.
한편, 상기 유량조절기구(170)를 조정하여 150Kg의 중량에, 큰 펌핑력이 아닌 알맞은 펌핑력으로 연속적인 토출이 되도록 제3관통로(182c)를 볼(176)로 유액이 많이 흐를수 있도록 틈새를 크게 한다면,
이런 조정하에서는 150Kg의 중량은 헛펌핑없이 연속적으로 알맞은 펌핑력으로 상승한다.
그러면, 상기 조건하에 중량을 90Kg으로 변경을 하면, 마찬가지로 중량 150Kg을 올려 놓았을때와 같이 펌핑하여 발생한 유압은 제3관통로(182c)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승시켜야할 중량은 150Kg보다 더 가벼운 90Kg이 될 것이다.
상기 제2실린더(201)로 흘러 가야할 일정량의 유액은 유량조절기구(170)에서 조정해놓은 150Kg에 맞는 틈새가 너무 커서 결국 제4관통로(182d)로 많은 양이 흘 러 들어가 90Kg의 중량을 상승시킨다. 상기 제2실린더(201)내의 탄성부재(202,203)를 압축시켜서, 충분한 탄성을 축적해야하는데, 상기 제4관통로(182d)로 유액의 많은 양이 흘러 들어가 충분한 탄성은 축적되지 못하며, 결국 펌핑후 재 펌핑하기 위한 동작때에 축적한 충분한 탄성이 없으므로 부족한 탄성만으로 90Kg의 중량을 상승시키므로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상승의 효과를 얻기에 미흡하다.
그러면, 중량을 14Kg으로 변경을 하면 마찬가지로 중량 150Kg을 올려놓았을때와 같이 펌핑하여 발생한 유압은 제3관통로(182c)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승시켜야할 중량은150Kg보다 훨씬 더 가벼운 14Kg인 것이다.
상기 제2실린더(201)로 흘러 가야할 일정량의 유액은 유량조절기구(170)에서 조정해놓은 150Kg에 맞는 틈새가 너무 커서 결국 제4관통로(182d)로 모두 다 흘러 들어가 14Kg의 중량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2실린더(201)내의 탄성부재(202,203)를 압축시켜서, 충분한 탄성을 축적해야 하는데, 상기 제4관통로(182d)로 유액이 모두 다 흘러 들어가 탄성은 전혀 축적되지 못하며, 결국 펌핑후 재 펌핑하기 위한 동작때에 축적된 탄성이 전혀 없으므로 14Kg의 중량은 완전히 단속적인 상승이 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기구(170)를 1회 조정후 14Kg의 중량에서부터 150Kg까지의 전 중량에 걸쳐 연속적인 상승이 불가능하며, 탄성부재(202,203)의 탄성 복원력이 없어지며, 유액통로(503) 막힘현상이 문제점으로 발생하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조절기구(600)의 1회 조정만으로 유압 실린더가 상승시켜야 할 일정 총범위의 중량물을 알맞은 펌핑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상승시키며, 오염된 유액의 슬러지 및 각종 불순물 등에 의한 유액통로(503) 막힘현상을 해소하며 탄성부재(202, 203)의 복원력 상실 문제를 방지하는 핵심 기능을 하는 유량조절기구(600)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게 유압을 강제 발생시키는 압축수단(120), 피가동체에 연결 고정되어 피가동체를 상승, 정지 및 하강 동작시키는 동작수단(130) 및 상기 동작수단(130)의 상승, 정지 및 하강 등을 제어하는 조절수단(140) 등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캡부(150)와, 몸통케이스(161)의내부에 상기 압축수단(120), 동작수단(130) 및 조절수단(140) 등과 연계되어 유압동작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실린더및 피스톤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부(160)와, 상기 몸통부(16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유로가 형성된 베이스부(180)와, 상기 베이스부(18) 내에 형성된유로에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구(170)와, 상기 캡부(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수단(120), 동작수단(130) 및 조절수단(140)을 제어하는 조작수단(190)을 포함하는 공지된 유압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기구(600)를 한번만 조정해 놓은 후에도 유압실린더가 상승시키고자 하는 중량체의 중량의 대소에 각각 대응하여 효과적이며 연속적인 유압의 토출을 가능케하고, 또한 각종 불순물 혹은 오염된 유액의 슬러지등에 의해 유량 조절구가 막히는 현상을 해결하며, 탄성부재(202,203)의 복원력 상실 문제를 방지하는 핵심 기능을 갖춘 유량조절기구(600)에 관한 것으로서, 유액통로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핀봉(300);과,
상기 핀봉의 일측 상단부에 일정 범위의 중량에 대응하는 강도와 탄성을 가진 나일론, 우레탄 및 실리콘 등 합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핀봉의 일측 상단부에 일정 범위의 중량에 대응하는 강도와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봉1(320a);과,
상기 탄성부재봉1(320a)보다 강도와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봉2(320b);와,
상기 탄성부재봉2(320b)보다 강도와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봉3(320c)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봉1,2,3(320a, 320b, 320c);과,
상기 탄성부재봉1,2,3(320a,320b 320c)과 핀봉(300)의 중간에 삽입하는 워셔(310);와,
상기 핀봉(300)과 워셔(310) 그리고 탄성부재봉들(320a,320b,320c)을 삽입할수 있는 개구공이 구비되고, 외경에 오링이 안착할수 있는 다수의 오링홈(330)이 있고 몸체(181)에 형성된 나사부와 맞물리는 나사부(340)가 있고 한측면에 공구삽입홈(174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조절몸체(345);를 포함하고,
상기 핀봉(300)의 하단부에 돌출부(50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81)에 나사 물림할수 있는 나사부(501a)가 있으며, 유액통로(50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삽입홈(502)이 설치된 필터고정부(500);와
상기 필터고정부(500) 하단부에 구비되고, 필터막(401)을 삽입한 필터부(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7a에서 도 7e까지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는 유량조절기구(600)의 각 부품들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기구(600)는 제3관통로(182c)에서 제4관통로(182d)로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부(400)의 선단 개구부내에는 필터막(401)이 형성되며, 경사면a(403)는 필터고정부(500)의 돌출부(504) 외경과 물림작용을 한다. 상기 경사면b(402)는 베이스부(180)의 경사면(172)과 압착되며, 상기 필터고정부(500)의 외경이 나사부(501a)를 형성하고, 베이스부나사부(501b)와 나사물림을 하여 고정되며, 일정 내경의 관통된 유액통로(503)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단면에 공구삽입홈(502)을 형성한다
내부에 개구공(341)이 일정 깊이와 일정 내경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렌치 혹은 각종형태의 드라이버등의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174b)이 형성되고, 베이스부(180) 몸체(181)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340)와 나사 체결할수 있도록 상단부의 외경 일정부위에 나사부(340)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외경 일정부위에 다수개의 오링홈(33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조절몸체(345)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몸체(345)의 개구공(341)내에 개구공(341) 내경보다 작은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가진 일정 강도와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봉3(320c)를 제일 먼저 삽입하고,
다음 상기 개구공(341)내경보다 약간 작고 탄성부재봉3(320c)외경보다 더 큰 워셔(310)를 일정두께로 형성하여 삽입하고,
다음 상기 조절몸체(345)의 개구공(341)내에 개구공(341) 내경보다 작은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가진 다른 강도와 다른 탄성을 지닌 탄성부재봉2(320b)를 삽입하고,
다시 같은 워셔(310)를 일정두께로 형성하여 삽입하여 상기 조절몸체(345)의 개구공(341)내에 개구공(341) 내경보다 작은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가진 또 다른 강도와 또 다른 탄성을 지닌 탄성부재봉1(320a)를 삽입하고, 다시 같은 워셔(310)를 일정두께로 형성하여 삽입되고,
다음으로 상기 필터고정부(500) 하단부에 형성된 유액통로(503)보다 직경을 작게 시작해서 결국 유액통로(503)보다 큰 직경을 가진 조절세부(305)가 있고, 전체 외경은 조절몸체(345)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단부는 평편한 형상의 핀봉(300)을 삽입한 후,
상기 조절몸체(345)에 형성된 다수의 오링홈(330)에 오링(178)들을 장착한 후 베이스부(180) 몸체(181)의 나사부(340)와 맞물려 나사체결을 하여 핀봉(300)이 유액통로(503)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형상이 되도록 제공한다.
도 7b에서 도 7e까지는 도 7a의 유량조절기구 각 부품들을 조립설치한 도시된 그림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의 유량조절기구(6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7b에서 도 7e까지의 필터부(400)와 필터고정부(500)의 작용과 효과는 모두 동일하다.
동일한 필터부(400)와 필터고정부(500) 조합의 작용 및효과를 먼저 설명한다.
펌핑시 오염된 유액이나 각종 불순물등은 핀봉(300)이 후진되며 유액통로(503)가 더욱 크게 열리므로써 통과되므로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경 ,길이등의 크기가 아주 큰 각종 불순물등이 발생하여 제3관통로(182c)를 통해 제4관통로(182d)로 이동하려고 할때 핀봉(300)의 조절세부(305)의 표면과 필터고정부(500)의 유액통로(503)와의 기 조정된 틈새를 통과할 수 없을 경우를 예상한다.이를 막기 위해 나일론,우레탄,실리콘등의 합성재질인 필터부(400)와 선단 개구부내에는 필터막(401)이 형성되며 필터고정부(500)를 유량조절기구(600)와 조합하면 필터막에 의해 직경 ,길이등의 크기가 아주 큰각종 불순물등은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막(401)의 성김정도는 거르고자 하는 각종 불순물등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이루어지며, 당연히 필터막(401)을 통과하는 작은 크기의각종 불순물등은 핀봉(300)이 후진하며 제4관통로(182d)로 빠져 나간다.
상기 필터부(400)가 나일론,우레탄,실리콘등의 합성재질이므로 상기 합성재질은 금속재질의 베이스부(180)보다 무르기 때문에 필터부(400) 외경을 나사부로 형성하여 베이스부의 나사부(501b)와 나사물림할 수 없다.
그러므로 필터부(400)의 경사면b(402)와, 베이스부(180)의 경사면(172)을 압착 하려면 동이나 철등 금속재질의 필터고정부(500)가 필요할 것이며, 이에 따라 필터고정부(500)의 돌출부(504)를 필터부(400) 경사면a(403)에 압입하여 일체화 조립한 후, 필터고정부(500) 하단외경에 형성된 나사부(501a)를 이용하여베이스부(180) 나사부(501b)와 나사물림을 하면 필터부(400)의 경사면b(402)와, 베이스부(180)의 경사면(172)을 압착되는 것이다.
상기 압착은 필터고정부(500) 후단부에 렌치 혹은 각종형태의 드라이버등의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502)을 이용한다.
상기 필터고정부(500)에는 일정 내경의 관통된 유액통로(503)를 형성하였고 이 유액통로(503)의 크기를 핀봉(300)이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링(178)은 제3관통로(182c)에서 제4관통로(182d)로 흐르는 유액의 누유를 방지함은 당연하다.
도 7b에서 도시된 것은 동작봉(131)상부에 의자부자체중량인 최소중량 14Kg을 부하로 걸어두었고, 유액이 제4관통로(182d)를 지나 최종적으로 최소중량 14Kg의 연속적인 상승에 적합하게 유량조절기구(600)를 조정한 도면이다.
사람이 펌핑하여 발생한 유압은 도3에 보이는 탄성부재(202,203)를 압축시키며 탄성력을 축적함과 동시에 유량조절기구를 거쳐 제4관통로(182d)로 유액을 내 보낸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봉1(320a)은 예를 들어 5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하지 않고 변형이 없음은 물론 탄성부재봉1(320a)는 수축후에는 복원이 가능하다.
이때 탄성부재봉2(320b)는 예를 들어 10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하지 않고 변형이 없음은 물론 탄성부재봉2(320b)도 수축 후에는 복원이 가능하다.
이때 탄성부재봉3(320c)은 예를 들어 15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하지 않고 변형이 없음은 물론 탄성부재봉3(320c)도 수축후에는 복원이 가능하다.
결국 상기의 예와 같이 탄성부재봉들(320a,320b,320c)은 수축하지 않으므로 14Kg 총중량은 유량조절기구(600))를 1회 조정한 그대로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다.
상기 워셔(310)는 핀봉(300)과 탄성부재봉(320a) 그리고 탄성부재봉(320a, 320b, 320c)의 각각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의 탄성부재봉(320a, 320b, 320c)의 개별적인 수축 및 복원작동을 보장하는 일종의 격리판이며 재질은 탄성부재봉(320a, 320b, 320c)의 수축 및 복원작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금속,합성수지,기타 모든 재료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7c 는 동작봉(131)상부에 총 중량 50Kg∼100Kg을 부하로 걸었지만, 최종적으로 최소중량 14Kg의 연속적인상승에 적합하게 유량조절기구(600)를 조정한 도면이다.
사람이 펌핑하여 발생한 유압은 도 3에 보이는 탄성부재(202,203)를 압축시 키며 탄성력을 축적함과 동시에 유량조절기구(600)를 거쳐 제4관통로(182d)로 유액을 내 보낸다.
이때 탄성부재봉1(320a)은 예를 들어 5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되는 변형이 생긴다..
이때 탄성부재봉2(320b)는 예를 들어 10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하지 않고 변형이 없다.
이때 탄성부재봉3(320c)은 예를 들어 15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하지 않고 변형이 없다.
결국 탄성부재봉1(320a)만 길이방향으로 0.2mm∼0.5mm 정도 수축하므로 결국 핀봉(300)도 밀려나서 제3관통로(182c)로부터 유입되는 유액의 양은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부하된 50Kg∼100Kg의 총중량은 유량조절기구(600)를 총중량 14Kg의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도록 1회 조정한 그대로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다.
도 7d는 동작봉(131)상부에 총 중량 100Kg∼150Kg을 부하로 걸었지만, 최종적으로 최소중량 14Kg의 연속적인 상승에 적합하게 유량조절기구(600)를 조정한 도면이다.
사람이 펌핑하여 발생한 유압은 도 3에 보이는 탄성부재(202,203)를 압축시 키며 탄성력을 축적함과 동시에 유량조절기구를 거쳐 제4관통로(182d)로 유액을 내 보낸다.
이때 탄성부재봉1(320a)은 예를 들어 5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되는 변형이 생긴다..
이때 탄성부재봉2(320b)는 예를 들어 10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되는 변형이 생긴다..
이때 탄성부재봉3(320c)은 예를 들어 15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하지 않고 변형이 없다.
결국 탄성부재봉1(320a)과 탄성부재봉2(320b)만 길이방향으로 0.2mm∼0.5mm 정도씩 수축하므로 결국 총 길이 방향으로 0.4mm∼1.0mm 정도 핀봉(300)도 밀려나서 제3관통로(182c)로부터 유입되는 유액의 양은 더욱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부하된 100Kg∼150Kg의 총중량은 유량조절기구(600)를 총중량 14Kg의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도록 1회 조정한 그대로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다.
도 7e는 동작봉(131)상부에 총 중량 150Kg이상을 부하로 걸었지만, 최종적으로 최소중량 14Kg의 연속적인상승에 적합하게 유량조절기구(600)를 조정한 도면이다.
사람이 펌핑하여 발생한 유압은 도4에 보이는 탄성부재(202, 203)를 압축시 키며 탄성력을 축적함과 동시에 유량조절기구(600)를 거쳐 제4관통로(182d)로 유액을 내 보낸다.
이때 탄성부재봉1(320a)은 예를 들어 5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되는 변형이 생긴다..
이때 탄성부재봉2(320b)는 예를 들어 10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되는 변형이 생긴다..
이때 탄성부재봉3(320c)은 예를 들어 150Kg 정도 이상의 중량물을 상승시킬 때 만 핀봉(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0.2mm∼0.5mm 정도 길이수축하는 강도와 탄성을 소유하므로 수축되는 변형이 생긴다..
결국 탄성부재봉1(320a)과 탄성부재봉2(320b) 그리고 탄성부재봉3(320c) 모두가 길이방향으로 0.2mm∼0.5mm 정도씩 수축하므로 결국 총 길이 방향으로 0.6mm∼1.5mm 정도 핀봉(300)도 밀려나서 제3관통로(182c)로부터 유입되는 유액의 양은 더욱 더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부하된 150Kg∼200Kg까지의 총중량은 유량조절기구(600)를 총중량 14Kg의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도록 1회 조정한 그대로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다.
만약 더 큰 중량을 연속적으로 상승할 필요가 있다면 , 탄성부재봉1(320a)과 탄성부재봉2(320b) 그리고 탄성부재봉3(320c) 이외에 더 큰 중량에 상응하는 다수의 탄성부재봉들과 워셔를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도 7a에서지 도7d까지는 서로 다른 수축 및 복원력을 소유한 3가지의 탄성부재봉들을 예시했지만 , 필요하다면 그 수량에는 제한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봉의 수량에 따라 본 발명이 제한 받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량조절기구(600)를 총중량 14Kg의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도록 1회 조정한 그대로 최소중량부하에서부터 최대 중량 부하까지 연속적인 상승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8a에서 도 8d까지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는 유량조절기구(600)의 각 부품들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기구(600)도 제3관통로(182c)에서 제4관통로(182d)로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부(400)과 필터고정부(500)의 설명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하단부에 도 8a에서와 같이 조절몸체(345)의 개구공(341)이 밀폐되고, 상기 밀폐된 조절몸체 하단부에 와셔(310)가 삽입된 탄성부재봉1, 2, 3(320a,320b,320c)과 핀봉(300)을 수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제공된다. 상단부에 렌치 혹은 각종형태의 드라이버등의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174b)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80) 몸체(181)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340)와 나사 체결할수 있도록 상부의 외경 일정부위에 나사부(340)가 형성되고, 하부의 외경 일정부위에 수개의 오링홈(330)이 형성되며 중앙부의 개구공(341)이 밀폐된 조절몸체(345)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조절몸체(345)의 하단부에 수용되는 구성을 살펴보면,
일정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가진 일정 강도와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봉3(320c) 과, 탄성부재봉3(320c)외경보다 더 큰 일정 두께의 워셔(310)와,
일정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가진 다른 강도와 다른 탄성을 지닌 틴성부재봉2(320b)와,
다시 같은 워셔(310)와,
일정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가진 또 다른 강도와 또 다른 탄성을 지닌 탄성부재봉1(320a)과,
다시 같은 워셔(310)와,
필터고정부(500)의 유액통로(503)보다 직경을 작게 시작해서 결국 경사면끝단(172)보다 큰 직경을 가진 조절세부(305)가 있고, 전체 외경은 조절몸체(345)의 선단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하단부는 평편한 형상의 핀봉(300)을 구성으로 하여,
상기 조절몸체(345)에 형성된 다수의 오링홈(330)에 오링(178)들을 장착한 후 베이스부(180) 몸체(181)의 나사부(340)와 맞물려 나사체결을 하여 핀봉(300)이 경사면 끝단(172) 일정 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형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의 유량조절기구(600)의 작용 및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내지 제2실시예에는 단속적인 유압의 유입에 대해 연속적인 유압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산업용 리프트, 자동차용잭 또는 이미용 의자 등에 있어서, 단 한번의 유량조절기구 조정으로 부하된 총중량의 대소에 관계없이 모든 원하는 총중량에 걸쳐 펌핑의 과도한 부하 없이 연속적인 상승을 가능케하며, 유랑조절구에 쌓일 수 있는 불순물로 인한 유량조절기구 막힘 현상을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고, 유압의 축적을 담당하는 탄성체의 훼손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크게 유압을 강제 발생시키는 압축수단(120), 피가동체에 연결 고정되어 피가동체를 상승, 정지 및 하강 동작시키는 동작수단(130) 및 상기 동작수단(130)의 상승, 정지 및 하강을 제어하는 조절수단(140)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캡부(150)와, 몸통케이스(161)의 내부에 상기 압축수단(120), 동작수단(130) 및 조절수단(140)과 연계되어 유압동작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실린더 및 피스톤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부(160)와, 상기 몸통부(16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유로가 형성된 베이스부(180)와, 상기 베이스부(18) 내에 형성된 유로에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구(170)와, 상기 캡부(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수단(120), 동작수단(130) 및 조절수단(140)을 제어하는 조작수단(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지된 유압 실린더로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성하는 유량조절기구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기구가 유액통로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핀봉(300);과,
    상기 핀봉의 일측 상단부에 일정 범위의 중량에 대응하는 강도와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봉1(320a);과,
    상기 탄성부재봉1(320a)보다 강도와 탄성이 큰 탄성부재봉2(320b);와,
    상기 탄성부재봉2(320b)보다 강도와 탄성이 큰 탄성부재봉3(320c)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봉1, 2, 3(320a, 320b, 320c);과,
    상기 핀봉(300)과 탄성부재봉(320a) 사이 그리고 적층된 탄성부재봉1, 2, 3(320a,320b 320c) 사이에 각각 삽입하는 워셔(310);와,
    상기 핀봉(300)과 워셔(310) 그리고 탄성부재봉1, 2, 3(320a,320b,320c)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공(341)이 구비되고, 외경에 오링이 안착할수 있는 다수의 오링홈(330)이 있고 몸체(181)에 형성된 나사부와 맞물리는 나사부(340)가 있고 한 측면에 공구삽입홈(174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조절몸체(345);를 포함하고,
    상기 핀봉(30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돌출부(50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81)에 나사물림할수 있는 나사부(501a)가 있으며, 유액통로(503)가 형성되어 구비되고, 공구삽입홈(502)이 설치된 필터고정부(500);와
    상기 필터고정부(500) 하단부에 구비되어 필터막(401)을 삽입한 필터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유량조절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몸체(345)의 개구공(341)이 밀폐되고, 상기 밀폐된 조절몸체(345)의 하단부에 와셔(310)가 삽입된 탄성부재봉1, 2, 3(320a,320b,320c)과 핀봉(300)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봉1, 2, 3(320a, 320b, 320c) 각각의 재질에 있어 나일론, 우레탄, 실리콘 중 택일(擇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기구
KR1020050064250A 2005-07-15 2005-07-15 유량조절기구 KR10077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250A KR100777611B1 (ko) 2005-07-15 2005-07-15 유량조절기구
PCT/KR2006/002794 WO2007011142A1 (en) 2005-07-15 2006-07-14 The flow control mechanism and stopper mechanism of hydraul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250A KR100777611B1 (ko) 2005-07-15 2005-07-15 유량조절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69A KR20070009169A (ko) 2007-01-18
KR100777611B1 true KR100777611B1 (ko) 2007-11-21

Family

ID=3801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250A KR100777611B1 (ko) 2005-07-15 2005-07-15 유량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6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461Y1 (ko) 2002-05-17 2002-09-10 민경한 유압 실린더
JP2002303345A (ja) 2001-04-05 2002-10-18 Kayaba Engineering & Service Kk ガススプリング
JP2003259929A (ja) 2002-03-12 2003-09-16 Ohiro Seisakusho:Kk 理美容室用椅子のストッパー機構
KR100569183B1 (ko) 2003-04-18 2006-04-07 이근종 유압 실린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345A (ja) 2001-04-05 2002-10-18 Kayaba Engineering & Service Kk ガススプリング
JP2003259929A (ja) 2002-03-12 2003-09-16 Ohiro Seisakusho:Kk 理美容室用椅子のストッパー機構
KR200288461Y1 (ko) 2002-05-17 2002-09-10 민경한 유압 실린더
KR100569183B1 (ko) 2003-04-18 2006-04-07 이근종 유압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69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513054B1 (de) Längenverstellbare Pleuelstange
DE4396844C2 (de)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Druck in den Zylinderkammern von hydraulischen Pumpen und Motoren
DE10244894A1 (de) Hydraulische Steuerkettenspannanordnung
DE4241344C2 (de) Sicherheitsventil für Hochdruckpumpen, Hochdruckwasserstrahlmaschinen o. dgl.
DE19530191A1 (de) Pleuelstange
DE3130830A1 (de) Federelement und dessen verwendung
US5755099A (en) Hydraulic circuit system for one-touch jack and its structure
WO2006010419A1 (de) Hydraulische steueranordnung
DE2704754C2 (ko)
KR100777611B1 (ko) 유량조절기구
DE10001826C1 (de) Vorrichtung zum Regeln der Leistung einer verstellbaren Kolbenmaschine
WO2008007209A2 (de) Zylinder-kolbenanordnung für eine fluidpumpe oder einen fluidmotor
EP1813823A2 (de) Klemmvorrichtung
EP0617758A1 (de) Einrichtung zur regelung des ausgangsdruckes einer verstellpumpe.
DE102006000078A1 (de) Fluideinspritzventil
JP3779284B2 (ja) 油圧シリンダー
DE1751703C3 (de) Regeleinrichtung im Arbeitskolben einer Brennkraftmaschine zur Veränderung der Kompression
KR100569183B1 (ko) 유압 실린더
DE10138504B9 (de) Vorfederrückschlagventil
DE10065718B4 (de) Vorrichtung zur Vermeidung von Wasserschlag
DE10343608B4 (de) Magnetbetätigtes Ventil
DE19630212C1 (de) Überdruckventil
DE10206667C1 (de) Pumpvorrichtung
DE102018104587A1 (de) Leitungsbruchsicherung für einen Hydraulikzylinder
DE20306821U1 (de) Künstliche Kniegelenksanordnung, welche geeignet ist, einen Kniewinkel zwischen einem Unterschenkel und einem Oberschenkel aufrecht zu erhalten, wenn die Anordnung auf einer horizontalen oder einer geneigten Oberfläche ste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