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131Y1 -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 Google Patents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131Y1
KR200288131Y1 KR2020020017100U KR20020017100U KR200288131Y1 KR 200288131 Y1 KR200288131 Y1 KR 200288131Y1 KR 2020020017100 U KR2020020017100 U KR 2020020017100U KR 20020017100 U KR20020017100 U KR 20020017100U KR 200288131 Y1 KR200288131 Y1 KR 200288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uminous
urethane
luminous urethane
reflec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규 김
Original Assignee
동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규 김 filed Critical 동 규 김
Priority to KR2020020017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131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광 및 야광 우레탄에 글라스 비드 또는 분쇄된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를 혼합하여 원하는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불빛이 없는 곳에서는 자체 야광 및 형광 기능에 의해 차선이나 안내표지를 나타내고, 차량 불빛이 비추면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에 의해 불빛을 반사시키도록 하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Fluorescent and Luminous Urethane Reflection Sheet}
본 고안은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광 및 야광 우레탄에 글라스 비드 또는 분쇄된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를 혼합하여 원하는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불빛이 없는 곳에서는 자체 야광 및 형광 기능에 의해 차선이나 안내표지를 나타내고, 차량 불빛이 비추면 글라스 비드 또는 분쇄된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에 의해 불빛을 반사시키도록 하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도로 교통용 표지물은 폴리우레탄이나 플라스틱으로 도로에 설치하기 적합한 형태로 성형한 후, 그 성형물의 일측 또는 전면에 반사시트 또는 반사판을 부착하여 야간에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이 반사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 교통 표지물들로는 도로표지병과 델리니에이터(차선규제봉) 등이 있다.
특히, 상기 도로 교통용 반사시트 또는 반사판은 산업 건설현장이나 도로등에 설치된 시설물들에 부착되며 교통 및 통행 안내 또는 차량의 주행 유도 등 안전사고 예방차원에서 반사성능을 갖는 물질로 생산 제조하여 부착 또는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반사시트 또는 반사판은 특히 야간과 같은 어두운 장소에서 조명기구를 구비한 작업자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고, 더욱이 도로를 운행중인 운전자가 야간에 도로 상황을 인지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적인 설비 또는 표지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반사시트 등은 빛에 의해서만 반사광을 비추기 때문에 차량의 전조등 빛이 비추지 않는 어두운 곳이나, 가로등이나 작업등이 없는 어두운 장소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보행자나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야간 도로교통 표지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1998년 9월 17일 출원되어 2000년 11월 9일자로 등록된 특허 제280232호의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 또는 축적한 후 어두운 곳에서도 빛을 발산하도록 하여 야간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이 없이도 그 형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수단을 소지하지 않은 보행자들이 용이하게 설치물이나 안내 표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을 이용하여 도로교통 표지 또는 시설물을 제조할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불빛에는 반사성능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도로 교통표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을 성형하면서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을 함침시킴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는 형광 및 야광 기능에 의해 시설물이나 안내표지가 인지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불빛이 비추는 곳에서는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에 의해 그 불빛을 반사하여 시설물이나 안내표지가 인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이 함침되어 있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판넬과, 상기 형광 야광 우레탄 판넬 밑면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와, 상기 양면 테이프 밑면에 부착된 부칠고무와, 상기 부칠고무 밑면에 부착된 접착수단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성형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성형물의 한 실시예로서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글라스 비드 12 : 형광 및 야광 우레탄
13 : 양면 테이프 14 : 부틸 고무
15 : 접착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성형물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소정의 온도로 용융시키고, 가소제와 형광안료, 축광안료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용융된 프리폴리머에 첨가한다. 상기와 같이 형광 및 야광 혼합안료가 첨가된 용융된 프리폴리머를 진공상태에서 탈포시켜 액상의 프리폴리머 내부에 있는 기포를 탈포시킨다. 다음에 상기 혼합안료가 첨가된 액상의 프리폴리머를 소정온도 상태에서 유지시키면서 글라스 비드나 분쇄된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 또는 글라스비드와 분쇄된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의 혼합물등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을 상기 액상의 프리폴리머와 같은 온도로 유지시킨 후 첨가한다. 다음에 상기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이 첨가된 액상 프리폴리머를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혼합교반하여 충분히 혼합되도록 한다. 다음에 경화제를 용융시키고 그 온도를 경화제보다 약간 높은 온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과 혼합안료가 충분히 혼합된 액상 프리폴리머에 첨가한 후, 혼합교반시켜 경화제가 충분히 혼합되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경화제와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 그리고 혼합안료가 첨가되고 소정의 온도로 유지된 액상 프리폴리머를 성형틀에 부어 성형한다. 이때, 상기 성형틀의 온도는 상기 액상 프리폴리머의 온도보다 높게 하여 성형틀 내에 부어진 프리폴리머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폴리올 혼합물인 프리폴리머를 80 내지 90℃에서 약 4시간 가량 용융시켜 액체상태로 만든 후, 100중량부의 가소제와 10 내지 20 중량부의 형광안료 그리고 25 중량부의 축광안료를 혼합하여 100 내지 110℃에서 약 1시간 정도 액상 혼합안료를 제조한 후 그 온도를 유지하여 첨가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혼합안료가 첨가된 액상 프리폴리머를 약 90 내지 100℃로 온도를 유지하면서 진공탈포시킨다. 다음에, 상기 진공탈포되고 혼합안료가 첨가된 액상 프리폴리머의 온도를 80 내지 90℃로 유지시킨 후 상술한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로 글라스비드를 첨가할 경우에는 20 내지 40 중량부를 첨가하고, 분쇄된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의 경우에는 10 내지 20 중량부를, 글라스비드와 분쇄된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의 혼합물을 첨가할 경우에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한다. 이때, 글라스비드와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 분쇄물의 크기는 2~3mm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의 첨가되는 양은 상기한 범위를 중심으로 필요에 따라 증감,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한정값보다 작을 경우 성형물의 반사기능이 저하되고, 초과할 경우 성형된 우레탄의 물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뭄에 상기 범위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기능을 갖는 갖는 물질의 온도를 진공탈포된 액상 프리폴리머의 온도보다 낮게 할 경우 프리폴리머내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의 온도를 액상의 프리폴리머와 같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다음에,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을 첨가한 후 교반기를 통해 약 1 내지 3분간 혼합교반시킴으로써 혼합안료가 첨가된 액상 프리폴리머에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이 충분히 혼합되도록 한다. 다음에, 경화제를 100 내지 120℃로 용융시킨 후 그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과 혼합교반된 액상의 프리폴리머에 첨가한 후 약 30 내지 60초간 혼합교반하여 충분히 혼합되도록 하고, 온도를 80 내지 90℃로 유지한다.
다음에 상기 경화제와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이 충분히 혼합된 액상의 프리폴리머를 약110℃ 정도로 온도가 유지된 성형틀에 부어 약 1시간 정도 경화시킨 후 탈형하고 110℃에서 24시간 숙성시켜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성형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글라스비드와 경화제가 교반된 액상의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은 성형틀에 부어져 서서히 굳어지기 때문에 굳는 동안 액상 우레탄 보다 비중이 무거운 글라스 비드는 하부로 어느 정도 침전되게 되고, 성형물을 성형틀에서 분리하게 되면 내부보다는 표면으로 갈수록 글라스 비드의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성형물은 성형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반사시트, 도로표지병, 델리니이에이터 등 도로교통 표지용 시설물들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2는 상기 반사기능을 갖는 야광 및 형광 우레탄 성형물의 한 실시예로서 상기 우레탄 성형물을 판넬 형태로 제조한 반사시트 또는 반사판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기 우레탄 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틀을 일면에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를 갖도록 형성하여 성형된 판넬이 표면에 요철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 경화제가 교반된 액상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을 상기 성형틀에 부어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판넬을 제조한다. 이때, 경화제와 함께 글라스 비드를 교반하지 않고 성형틀에 미리 글라스비드등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을 살포한 후 액상의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을 주입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반사기능을 갖도록 글라스 비드(11) 또는 분쇄된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 등이 함침된 형광 및 야광 우레탄 성형물(12)인 판넬 하부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13)를 부착하고, 상기 양면 테이프(13) 하부에 다시 부칠 고무(14)를 부착한다. 또한, 상기 부칠 고무(14) 하부에 접착 수단(15)을 부착함으로써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또는 반사판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부칠 고무(13)는 물질 특성상 우레탄과 잘 접착하지 못하므로 양면 테이프(12)를 사용하여 견고히 부착하며, 상기 부칠고무(13)는 상기 반사시트를 띠 형태로 절단하여 주차장이나 도로의 차량 구획선이나 차선으로 시공할 경우 차량에 의해 밀리더라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복원력을 갖게 한다.
또한, 상기 반사시트를 구성하는 접착수단은 반사시트와 함께 제조할 수도 있으나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수단을 시공전에 별도로 시공위치에 도포한 후 반사시트의 부칠고무를 접착수단에 밀착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사기능을 갖는 우레탄 성형물은 차량의 불빛에 대한 반사기능을 가지므로 도로 교통 표지용 시설물의 제조시 별도의 반사시트나 반사시트를 부착하지 않고 성형물 자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성형물들은 어두운 곳에서는 형광 및 야광 기능에 의해 조명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게 하고, 조명수단을 구비한 보행자 또는 운전자들에게는 조명수단에 대해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들이 그 빛을 반사시키도록 함으로써 야간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물의 표면에 불규칙한 요철을 주어 차량 전조등 불빛에 의한 반사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판형태로 성형된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성형물 하부에 양면 테이프와 부칠고무 그리고 접착수단을 형성하여 부착식으로 제조하고, 부칠고무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주차장의 차량 구획선이나 차선으로 간편하게 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는 형광 및 야광 기능을 갖고, 차량의 불빛에 대해서는 반사기능을 가지므로 장소에 구애없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가로등이 없는 곳에서 보행자를 위한 안내 표지판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형광 및 야광 기능으로 인하여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다.

Claims (3)

  1.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이 함침되어 있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판넬과,
    상기 형광 야광 우레탄 판넬 밑면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와,
    상기 양면 테이프 밑면에 부착된 부칠고무와,
    상기 부칠고무 밑면에 부착된 접착수단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은 글라스비드 또는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 분말 또는 글라스비드와 양면 고휘도 반사시트 분말의 혼합물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능을 갖는 물질이 함침되어 있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판넬의 표면은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능을 갖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KR2020020017100U 2002-06-04 2002-06-04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KR200288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00U KR200288131Y1 (ko) 2002-06-04 2002-06-04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00U KR200288131Y1 (ko) 2002-06-04 2002-06-04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665A Division KR20030091572A (ko) 2002-05-28 2002-05-28 반사기능을 갖는 우레탄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131Y1 true KR200288131Y1 (ko) 2002-09-09

Family

ID=7312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100U KR200288131Y1 (ko) 2002-06-04 2002-06-04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1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832B1 (ko) * 2004-11-22 2005-12-28 주식회사 바이오탑 축광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832B1 (ko) * 2004-11-22 2005-12-28 주식회사 바이오탑 축광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475B1 (ko) 도로 표지병의 제조방법
KR200486578Y1 (ko) 도로 경계석 커버
KR102175983B1 (ko) 우회전 신호등이 일체로 형성된 횡단보도용 신호등
KR200288131Y1 (ko) 형광 및 야광 우레탄 반사시트
KR20030091572A (ko) 반사기능을 갖는 우레탄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70935B1 (ko)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2323323B1 (ko)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13356105A (zh) 一种柔性线形轮廓标及加工工艺
KR200393733Y1 (ko) 도로경계석
KR200311382Y1 (ko) 노면 표지판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US7425075B1 (en) Optical reflecting material
KR200248484Y1 (ko)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도로경계석
KR200252878Y1 (ko) 도로의 차선 표시구
KR200393732Y1 (ko) 도로경계석
KR102503864B1 (ko) 옐로카펫에 적용되는 싸인블록 및 그 제조방법.
WO2019091470A1 (zh) 一种双仰角复合配置道钉
KR200318192Y1 (ko) 자석형광 반사시트
CN212714362U (zh) 一种具有反光功能的路缘石
CN216719255U (zh) 一种地埋式交通信号灯
KR20120001528U (ko) 실리콘 축광재를 내장한 델리네이터
KR200238702Y1 (ko) 노면표시용 반사표시구를 부착한 블록
NL2007175C2 (nl) Straatelemen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ergelijk straatelement.
KR102515257B1 (ko) 형광증백 혼합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테이프형 차선
KR20030035732A (ko) 자동차의 안전주행을 위한 도로 차선 분리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