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323B1 -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323B1
KR102323323B1 KR1020200025486A KR20200025486A KR102323323B1 KR 102323323 B1 KR102323323 B1 KR 102323323B1 KR 1020200025486 A KR1020200025486 A KR 1020200025486A KR 20200025486 A KR20200025486 A KR 20200025486A KR 102323323 B1 KR102323323 B1 KR 10232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ight emitting
block body
road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469A (ko
Inventor
서우형
박준범
육아름
임연국
김모아
Original Assignee
지평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평토건(주) filed Critical 지평토건(주)
Priority to KR102020002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32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28B3/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by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28B3/26Extrusion dies
    • B28B3/2654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di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1Soil, e.g. late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9D1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Abstract

본 발명은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몸체; 및 상기 블록몸체에 발광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발광부; 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몸체는 자갈 40~50중량%, 규사 20~30중량%, 마사토 10~20중량% 및 바인더 5~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탄성이 우수하여 차량 추돌시 완충역할을 할 수 있으며, 투수성이 우수하여 장마시 빗물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강도가 우수하여 보행자를 차량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접착제 내부에 유리 비드 및 세라믹 비드를 구비함으로써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Road Boundary Block with Rainy Wet-Nighttime Vis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마 기간에 야간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반사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경계블록은 도로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도로의 경계를 나누고,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주차범위를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주차 제한턱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도로 경계블록은 상면 또는 측면에 반사판을 구비하여서 야간에 차량의 불빛에 반사되어 차량이 도로의 경계 등을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로 경계블록의 상면에는 봉상으로 이루어진 도로 안전봉을 설치하여서 도로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도로 안전봉 사이를 연결하여서 도로 안전 휀스를 형성하여 보행자들이 함부로 넘어가지 못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도로 경계블록은 자동차의 불빛에 반사되게 구성되어 있어 그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통상 도로의 바닥에 설치되는 표지병은 몸체에 반사판이 단순 결합되어 있어 빗물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그 내구성이 떨어져 쉽게 고장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지병이 도로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운행 중인 차량에 의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5156호(2012.07.12.)에는 발광 표지병을 갖는 도로 경계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광 표지병을 갖는 도로 경계블록은 도로 경계블록에 솔라셀 전원에 의하여 야간 발광되는 표지병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 없이 야간 시인성이 향상되어 운전자에게 도로 및 주차장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지시켜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지만, 장마 기간에는 솔라셀이 충전이 되지 않아 야간 시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또 다른 용도의 도로 경계블록은 보도 분리선에 설치되어 인도와 도로를 구획하여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경계블록으로 사용되는 경계석은 자연 석재를 절단하여 만들어지는 자연석 경계석, 시멘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만드는 시멘트 경계석, 종석과 시멘트를 사용하여 표면을 연마해서 되는 경계석 및 플라스틱으로 된 경계석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빛을 반사할 수 없기 때문에 경계블록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학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36545호(2007.09.04.)에는 반사플레이트가 부착된 도로용 야광반사 경계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반사플레이트가 부착된 도로용 야광반사 경계블록은 반사플레이트를 경계블록 내부에 일체형으로 부착됨으로써 블록표면으로부터 반사플레이트가 내미지 않기 때문에 보행자의 장애가 되지 않으며, 반사플레이트의 반사체는 구상의 그라스 비드로 구성되어 반사휘도가 높아 원거리에서도 뛰어난 시인성을 발휘하는 장점이 있지만,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반사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KR 10-1165156 B1 2012.07.12. KR 10-0436545 B1 2007.09.04.
본 발명의 목적은 장마 기간에 야간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반사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록몸체; 및 상기 블록몸체에 발광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발광부; 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몸체는 자갈 40~50중량%, 규사 20~30중량%, 마사토 10~20중량% 및 바인더 5~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40~50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40~5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블록몸체의 측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발광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하며, 상기 발광조성물은 접착제 100중량부에 엘라스토머 30~35중량부, 유리 비드 40~50중량부, 세라믹 비드 5~10중량부, 점도조절제 5~10중량부 및 접착 향상제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접착제는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50~60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40~5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엘라스토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70~80중량% 및 클로로프렌 고무 20~3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 향상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50~60중량%, 이산화규소 20~30중량% 및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20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몸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발광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발광조성물을 용융한 후에 상기 블록몸체의 측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포하여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단계 3); 을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은 자갈 40~50중량%, 규사 20~30중량%, 마사토 10~20중량% 및 바인더 5~15중량%를 40~50분 동안 교반하여 블록몸체를 제조하며,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발광조성물은, 압출기를 구성하는 호퍼에 투입된 원료를 가열 실린더 내부에서 히터의 가열에 의해 용해하고, 상기 용해된 원료를 압출 스크류를 통해 선단의 압출 헤드로 공급하여 압출시키는 단계(S 1); 상기 압출기를 통해 유입되는 압출물을 금형을 통해 압출물로 제조하는 단계(S 2); 상기 금형에서 인출된 압출물을 물로 냉각하는 단계(S 3); 및 상기 냉각과정을 거친 압출물을 펠렛타이징 커팅라인을 통해 일정규격으로 커팅하는 단계(S 4);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자갈은 직경 9~12㎜를 갖는 자갈을 사용하며, 상기 규사는 입도범위가 1.5~2.0㎜이며, 상기 마사토는 입도범위가 1~5㎜이며,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40~50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40~5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S 1은 압출기를 구성하는 호퍼에 접착제 100중량부에 엘라스토머 30~35중량부, 유리 비드 40~50중량부, 세라믹 비드 5~10중량부, 점도조절제 5~10중량부 및 접착 향상제 1~5중량부를 혼합한 원료를 투입하고, 가열 실린더 내부에서 히터의 가열에 의해 용해하고, 상기 용해된 원료를 압출 스크류를 통해 선단의 압출 헤드로 공급하여 압출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접착제는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50~60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40~5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엘라스토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70~80중량% 및 클로로프렌 고무 20~3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 비드는 굴절률이 1.3~1.5이고, 평균입경이 1,300~1,400㎛이며, 상기 세라믹 비드는 굴절률이 1.6~1.8이고, 평균입경이 1,600~1,700㎛이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며, 상기 접착 향상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50~60중량%, 이산화규소 20~30중량% 및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2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은 탄성이 우수하여 차량 추돌시 완충역할을 할 수 있으며, 투수성이 우수하여 장마시 빗물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강도가 우수하여 보행자를 차량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은 접착제 내부에 유리 비드 및 세라믹 비드를 구비함으로써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블록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은,
블록몸체(10); 및
상기 블록몸체(10)에 발광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발광부(20);
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몸체(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10)는 자갈 40~50중량%, 규사 20~30중량%, 마사토 10~20중량% 및 바인더 5~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자갈은 직경 9~12㎜를 갖는 자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갈은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자갈을 이용할 수 있고, 미리 세척 또는 세정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상기 천연자갈이 골재로 이용됨으로써, 골재에 의해 우수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자갈의 직경이 9㎜ 미만이면 도로 경계블록의 강도는 높아지지만 투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자갈의 직경이 12㎜ 초과이면 투수율은 커질 수 있지만 도로 경계블록의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규사는 입도범위가 1.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사의 입도범위의 하한치가 1.5㎜ 미만이면 공극을 막아 투수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입도범위의 상한치가 2.0㎜ 초과이면 다른 조성물과의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마사토는 배수성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우수하다. 상기 마사토는 입도범위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사토의 입도범위의 하한치가 1㎜ 미만이면 공극을 막아 투수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입도범위의 상한치가 5㎜ 초과이면 다른 조성물과의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40~50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40~5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는 부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크릴 수지에 에폭시기를 도입하여 하이드록시기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이다. 상기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는 적량의 하이드록시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착력이 우수하다. 또한 내수성, 내화학성,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가 40중량% 미만 포함되면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0중량% 초과 포함되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는 접착성 향상 및 피착제와의 젖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가 40중량% 미만 포함되면 용융점도 및 젖음 특성의 향상이 미흡해지는 문제가 있고, 50중량% 초과 포함되면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하고 유리 전이점이 낮으며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1중량% 미만 포함되면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중량% 초과 포함되면 경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저온에서 물성이 뛰어나고 유연성이 우수하고, 타 수지와의 상용성이 뛰어나 혼합해 사용하기 용이하며, 우수한 접착성능을 지닌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유율이 40~45중량%이고, 연화점이 80~8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1중량% 미만 포함되면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중량% 초과 포함되면 유연성이 높아 외부 충격에 의한 눌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발광부(20)는 상기 블록몸체(10)의 측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발광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조성물은 접착제 100중량부에 엘라스토머 30~35중량부, 유리 비드 40~50중량부, 세라믹 비드 5~10중량부, 점도조절제 5~10중량부 및 접착 향상제 1~5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는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50~60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40~5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성분들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내열성, 내유성 및 기계적 강도를 증대시켜 외부 환경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냄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디카르복실산과 디아민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디카르복실산으로 테레프탈산을 사용한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50중량% 미만 포함되면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60중량% 초과 포함되면 엘라스토머와의 결합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용융상태에서 우수한 접착성능을 갖으며, 엘라스토머와의 양호한 혼합성을 보여주며, 충격 및 온도변화에 대한 물리적 성질이 매우 뛰어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가 40중량% 미만 포함되면 엘라스토머와의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0중량% 초과 포함되면 내유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70~80중량% 및 클로로프렌 고무 20~3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100중량부에 엘라스토머 30~3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연성이 감소하여 크랙방지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도가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리 비드는 자동차의 전조등에 의하여 빛이 운전자로 되돌아오게 함으로써(재귀반사성) 야간에 시인성을 갖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유리 비드는 굴절률이 1.5~1.6이고, 평균입경이 1,300~1,4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 비드의 굴절률이 1.5 미만이면 입사된 광선의 초점이 유리 비드 밖에서 형성되어 재귀반사도가 매우 낮게 되므로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굴절률이 1.6을 초과하면 유리 비드가 고가인 탓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유리 비드의 직경이 1,300㎛ 미만이면 노출되기 어렵고, 1,400㎛를 초과하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유리 비드로서 그 표면이 투명한 실란계 화합물 또는 실리콘 오일로 코팅된 것을 사용하면, 초점을 유리 비드 내벽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재귀반사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100중량부에 유리 비드 40~5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 비드의 함량이 40중량부 미만이면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세라믹 비드는 유리 비드보다 굴절률 및 평균입경이 큰 것을 사용함으로써 쉽게 노출시켜 야간의 우천시에도 시인성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라믹 비드로서는 세라믹 비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10중량%의 란타니아(La2O3)를 함유하는 것이 높은 굴절률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비드는 굴절률이 2.2~2.4이고, 평균입경이 1,600~1,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 100중량부에 세라믹 비드 5~1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라믹 비드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야간에 우천시에 시인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유리 비드와 접착제의 결합성 및 혼화성을 향상시키고 유리 비드의 침전 및 탈리를 방지하여 휘도를 높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상기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예로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단량체를 혼합물의 형태로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이 있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 100중량부에 점도조절제 5~1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점도조절제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유리 비드와 접착제의 혼화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 향상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50~60중량%, 이산화규소 20~30중량% 및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향상제는 접착제와 유리 비드 및 세라믹 비드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포함된다.
상기 접착제 100중량부에 접착 향상제 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 향상제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유리 비드, 세라믹 비드와 접착제의 접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은 탄성이 우수하여 차량 추돌시 완충역할을 할 수 있으며, 투수성이 우수하여 장마시 빗물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강도가 우수하여 보행자를 차량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은 접착제 내부에 유리 비드 및 세라믹 비드를 구비함으로써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은,
블록몸체(10)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발광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발광조성물을 용융한 후에 상기 블록몸체(10)의 측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포하여 발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단계 3);
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자갈 40~50중량%, 규사 20~30중량%, 마사토 10~20중량% 및 바인더 5~15중량%를 40~50분 동안 교반하여 블록몸체(10)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갈은 직경 9~12㎜를 갖는 자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사는 입도범위가 1.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사토는 입도범위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40~50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40~5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발광조성물은,
압출기를 구성하는 호퍼에 투입된 원료를 가열 실린더 내부에서 히터의 가열에 의해 용해하고, 상기 용해된 원료를 압출 스크류를 통해 선단의 압출 헤드로 공급하여 압출시키는 단계(S 1);
상기 압출기를 통해 유입되는 압출물을 금형을 통해 압출물로 제조하는 단계(S 2);
상기 금형에서 인출된 압출물을 물로 냉각하는 단계(S 3); 및
상기 냉각과정을 거친 압출물을 펠렛타이징 커팅라인을 통해 일정규격으로 커팅하는 단계(S 4);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S 1은 압출기를 구성하는 호퍼에 접착제 100중량부에 엘라스토머 30~35중량부, 유리 비드 40~50중량부, 세라믹 비드 5~10중량부, 점도조절제 5~10중량부 및 접착 향상제 1~5중량부를 혼합한 원료를 투입하고, 가열 실린더 내부에서 히터의 가열에 의해 용해하고, 상기 용해된 원료를 압출 스크류를 통해 선단의 압출 헤드로 공급하여 압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접착제는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50~60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40~5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70~80중량% 및 클로로프렌 고무 20~3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 비드는 굴절률이 1.3~1.5이고, 평균입경이 1,300~1,400㎛인 것이며, 상기 세라믹 비드는 굴절률이 1.6~1.8이고, 평균입경이 1,600~1,700㎛인 것이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상기 접착 향상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50~60중량%, 이산화규소 20~30중량% 및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S 3은 상기 금형에서 인출된 압출물을 물로 냉각하는 단계이다.
상기 금형에서 인출된 압출물이 워터 배스(water bath)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워터 배스의 냉각수 온도는 20~30℃를 유지하여 압출물이 급랭(quench)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금형에서 인출된 압출물은 상기 워터 배스 냉각수의 중간 깊이에 잠기도록 유지되는 상태에서 펠렛타이저로 통과 되도록 한다.
상기 금형에서 인출된 압출물이 냉각수의 수면 가까이에 잠기게 되면 압출물의 냉각이 미흡하여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냉각수 내에서 너무 깊게 잠기에 되면 급랭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압출물이 급랭이 되면 물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S 4는 상기 냉각과정을 거친 압출물을 펠렛타이징 커팅라인을 통해 일정규격으로 커팅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펠렛타이저의 속도를 120~130rpm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커팅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펠렛타이저의 속도가 130rpm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압출물이 끊어지는 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발광조성물을 180~220℃의 온도로 용융한 후에 상기 블록몸체(10)의 측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스프레이 식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발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의 시공방법은,
자연토를 퍼내는 단계(A 1); 및
상기 자연토를 퍼낸 위치에 도로 경계블록을 설치하는 단계(A 2);
를 포함한다.
상기 A 1 단계는 도로 경계블록이 형성될 위치에 있는 자연토를 5~10㎝ 깊이로 퍼내는 단계이다.
상기 A 2는 상기 자연토를 퍼낸 위치에 상기 도로 경계블록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공은 5℃ 이상의 온도에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시공 후에는 1시간 동안 수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표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갈 50중량%, 규사 25중량%, 마사토 15중량% 및 바인더 10중량%를 5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육면체 형상으로 블록몸체(10)를 제조하였다. 상기 자갈은 직경 9~12㎜를 갖는 자갈을 사용하였다. 상기 규사는 입도범위가 1.5~2.0㎜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마사토는 입도범위가 1~5㎜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45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45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5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압출기를 구성하는 호퍼에 접착제 100중량부에 엘라스토머 30중량부, 유리 비드 40중량부, 세라믹 비드 5중량부, 점도조절제 5중량부 및 접착 향상제 5중량부를 혼합한 원료를 투입하고, 가열 실린더 내부에서 히터의 가열에 의해 용해하고, 상기 용해된 원료를 압출 스크류를 통해 선단의 압출 헤드로 공급하여 압출시켰다. 상기 접착제는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60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70중량% 및 클로로프렌 고무 3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유리 비드는 굴절률이 1.5이고, 평균입경이 1,300㎛인 것이며, 상기 세라믹 비드는 굴절률이 1.8이고, 평균입경이 1,600㎛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상기 접착 향상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60중량%, 이산화규소 30중량% 및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압출기를 통해 유입되는 압출물을 금형을 통해 압출물로 제조하였다. 상기 금형에서 인출된 압출물을 25℃의 워터 배스(water bath)를 통과하여 냉각하였다. 상기 냉각과정을 거친 압출물을 펠렛타이징 커팅라인을 통해 일정규격으로 커팅하여 발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발광조성물을 200℃의 온도로 용융한 후에 상기 블록몸체(10)의 측면에 롤러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발광부(20)를 형성하여 도로 경계블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경계블록의 도로측 면의 정중앙부에는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깊어지는 5면체 형태의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자동차 진행방향으로 끝부분의 수직의 1면, 즉 운전자가 볼 수 있는 부분에 반사플레이트가 부착되는 반사플레이트부로 구성되고, 상기 반사플레이트부에는 상기 경계블록의 후면으로 상기 함몰부와 일체로 홈부가 형성되도록 제작하였다. 상기 반사플레이트는 상기 경계블록 내부의 상기 반사플레이트부에 리벳으로 견고하게 고정, 장착되어 상기 경계블록의 표면으로부터 내밀지 않도록 제작하였다. 상기 그라스 비드는 내후성 수지로 반사면을 밀봉하도록 제작하였다. 상기 경계블록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3중량%, 잔골재 42중량%, 굵은골재 38중량%로 하여 강제 믹서에서 교반시킨 후, 물 7중량%를 더 혼합하여 3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도로 경계블록에 대하여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압축강도(N/㎟) 휨강도(N/㎟)
실시예 1 25.6 6.4
비교예 1 25.1 5.3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의 도로 경계블록은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시멘트를 사용한 비교예 1의 도로 경계블록에 비해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도로 경계블록에 대하여 투수성능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비고
실시예 1 투수계수 ㎜/s KS F 4419:2014 10.6 (20±5)℃, (35±10)%
R.H
비교예 1 1.5
표 2에 의하면, 실시예 1의 도로 경계블록은 비교예 1의 도로 경계블록에 비해 투수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도로 경계블록에 대하여 시인성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재귀반사도a 270 60
재귀반사도b 188 25

a : 1년 방치 후 야간의 건조 상태 재귀반사도
b : 1년 방치 후 야간의 습윤 상태 재귀반사도
표 3에 의하면 실시예 1의 도로 경계블록은 비교예 1의 도로 경계블록에 비하여 장기간 후에도 야간의 습윤 상태에서 시인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야간의 습윤 상태에서 재귀반사도 값이 크게 높아져 야간의 우천시에도 운전자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 : 블록몸체 20 : 발광부

Claims (5)

  1. 블록몸체; 및
    상기 블록몸체에 발광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발광부;
    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몸체는 자갈 40~50중량%, 규사 20~30중량%, 마사토 10~20중량% 및 바인더 5~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40~50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40~5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블록몸체의 측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발광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하며,
    상기 발광조성물은 접착제 100중량부에 엘라스토머 30~35중량부, 유리 비드 40~50중량부, 세라믹 비드 5~10중량부, 점도조절제 5~10중량부 및 접착 향상제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50~60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40~5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엘라스토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70~80중량% 및 클로로프렌 고무 20~3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 향상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50~60중량%, 이산화규소 20~30중량% 및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20중량%를 포함하는,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3. 블록몸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발광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발광조성물을 용융한 후에 상기 블록몸체의 측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포하여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단계 3);
    을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은 자갈 40~50중량%, 규사 20~30중량%, 마사토 10~20중량% 및 바인더 5~15중량%를 40~50분 동안 교반하여 블록몸체를 제조하며,
    상기 자갈은 직경 9~12㎜를 갖는 자갈을 사용하며,
    상기 규사는 입도범위가 1.5~2.0㎜이며,
    상기 마사토는 입도범위가 1~5㎜이며,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40~50중량%, 페놀 변성 로진 에스테르 수지 40~5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발광조성물은,
    압출기를 구성하는 호퍼에 투입된 원료를 가열 실린더 내부에서 히터의 가열에 의해 용해하고, 상기 용해된 원료를 압출 스크류를 통해 선단의 압출 헤드로 공급하여 압출시키는 단계(S 1);
    상기 압출기를 통해 유입되는 압출물을 금형을 통해 압출물로 제조하는 단계(S 2);
    상기 금형에서 인출된 압출물을 물로 냉각하는 단계(S 3); 및
    상기 냉각과정을 거친 압출물을 펠렛타이징 커팅라인을 통해 일정규격으로 커팅하는 단계(S 4);
    를 포함하여 제조하며,
    상기 S 1은 압출기를 구성하는 호퍼에 접착제 100중량부에 엘라스토머 30~35중량부, 유리 비드 40~50중량부, 세라믹 비드 5~10중량부, 점도조절제 5~10중량부 및 접착 향상제 1~5중량부를 혼합한 원료를 투입하고, 가열 실린더 내부에서 히터의 가열에 의해 용해하고, 상기 용해된 원료를 압출 스크류를 통해 선단의 압출 헤드로 공급하여 압출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접착제는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50~60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40~5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엘라스토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70~80중량% 및 클로로프렌 고무 20~3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 비드는 굴절률이 1.3~1.5이고, 평균입경이 1,300~1,400㎛이며,
    상기 세라믹 비드는 굴절률이 1.6~1.8이고, 평균입경이 1,600~1,700㎛이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며,
    상기 접착 향상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50~60중량%, 이산화규소 20~30중량% 및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20중량%를 포함하는,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00025486A 2020-02-28 2020-02-28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32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486A KR102323323B1 (ko) 2020-02-28 2020-02-28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486A KR102323323B1 (ko) 2020-02-28 2020-02-28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469A KR20210110469A (ko) 2021-09-08
KR102323323B1 true KR102323323B1 (ko) 2021-11-09

Family

ID=7778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486A KR102323323B1 (ko) 2020-02-28 2020-02-28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614B1 (ko) * 2022-02-21 2022-11-29 이용관 보차도용 재귀반사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60B1 (ko) * 2010-07-28 2011-02-23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에코 투수 보도블럭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545B1 (ko) 2002-01-24 2004-06-23 구경신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1165156B1 (ko) 2010-07-27 2012-07-12 주원테크 주식회사 발광 표지병을 갖는 도로 경계블록
KR20120114732A (ko) * 2011-04-08 2012-10-17 (주)아시아젠트라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60B1 (ko) * 2010-07-28 2011-02-23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에코 투수 보도블럭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469A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213B1 (ko)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부착식 노면시트용 조성물, 노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100832922B1 (ko) 도로표지용 융착식 도료 조성물
KR101612544B1 (ko) 도로 노면 미끄럼방지 친환경 포장재 조성물, 도로 노면 미끄럼방지 친환경 포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시공방법
KR102209863B1 (ko) 미끄럼방지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KR102296828B1 (ko) 글라스 비드를 포함한 분체 도장 페인트 조성물
KR100316083B1 (ko) 미끄럼방지도로의시공방법
JP2012504200A (ja) 耐摩耗性及び耐衝撃性の反射性道路車線標識
KR102323323B1 (ko) 우천시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EP0911304B1 (fr) Revêtements de circulation ou éléments connexés réfléchissants et composition correspondante
EP1270820A2 (en) Surface marking for roadways
KR102220617B1 (ko) 상온 경화형 차선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1044311B1 (ko) 재귀반사성이 양호한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5374465A (en) Economical roadway marking sheeting matrix
KR100947888B1 (ko) 보행도로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200448338Y1 (ko) 야광표시 도로 경계석
CN1157842A (zh) 常温型道路标志漆
GB2200936A (en) Reflective kerbstone
WO2008078873A1 (en) Anti-slip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anti-slip layer using the same
JP2515478B2 (ja) 雨天・夜間時に視認性の良い騒音低減型路面標示
KR101969825B1 (ko) 폐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수지를 이용한 발광 볼라드의 제조방법
KR102503864B1 (ko) 옐로카펫에 적용되는 싸인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14430A (ko) 결빙 방지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아스팔트콘크리트
KR20210136560A (ko) 차선용 도료 조성물
KR101037906B1 (ko) 환경친화형 도로포장용 미끄럼 방지층 및 이를 이용한 도로
KR102629563B1 (ko)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