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563B1 -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 - Google Patents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563B1
KR102629563B1 KR1020220126791A KR20220126791A KR102629563B1 KR 102629563 B1 KR102629563 B1 KR 102629563B1 KR 1020220126791 A KR1020220126791 A KR 1020220126791A KR 20220126791 A KR20220126791 A KR 20220126791A KR 102629563 B1 KR102629563 B1 KR 10262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nsor
marking tape
coating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덕순
엄병식
백철민
양성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26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2Emulsions, e.g. oil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8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applying prefabricated markings
    • E01C23/185Tape- or sheet-shape markers or 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 표시를 위하여 도로에 부착되는 차선표시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주행하면서 차선을 쉽게 감지할 수 있게 하여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선을 유지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센서가 일체로 구비된 차선표시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Pavement Marking Tape with Excellent Adhesive property and Durability}
본 발명은 차선 표시를 위하여 도로에 부착되는 차선표시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시인성 효과를 가지고, 차량에 의한 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표면 균열 없이 장기간 수명이 연장되는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도로 노면의 차선은 운전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하는데 있어 도로의 구분과 차선의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고, 그 외에도 해당 도로의 사용 목적, 유의 사항 등을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노면표시방법은 일반 페인트 및 융착식 페인트 등의 도료를 사용하여 도색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페인트로 도색할 때 유리비드를 도료에 섞거나 또는 페인트 자체를 두껍게 칠해서 빗물에 차선이 잠기지 않도록 하는 방법 등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도료의 주재인 석유수지와 유리비드를 고온에서 용융시킬 때, 혼련과정에서는 잘 혼합되어 있던 유리비드들이 노즐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그 비중 차이에 의하여 침강을 일으키게 되어 유리비드가 균일하게 분산된 도막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현장시공시 품질관리의 어려움, 시공시간의 제약 등에 따라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차량 타이어와의 마찰로 인해 쉽게 이탈되어 반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및 안정적인 시인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우천시 시인성이 좋지않아 운전자들로 하여금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756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악천후 또는 야간 운전 상황 등에서도 등에서 육안으로 차선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에도 차량이 차선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시인성이 확보되고, 도장층의 균열 생성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장에서 제작하여 시공할 수 있는 고시인성, 고내구성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모듈식 형태의 차선표시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도로 표면에 부착되고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로 이루어진 접착층(10);
상기 접착층 상에 적층되고 차량 인식용 센서가 포함된 센서층(20); 및
상기 센서층 상에 적층되는 도장층(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착층(10)은 보강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도장층(30)은 폴리우레아 수지 20∼30 wt%, 경화제 10~20 wt%, 폴리머계 유화 에멀젼 15∼20 wt%, 분말색소 5~10 wt%, 계면활성제 0.5∼2.0 wt%, 수성페인트 10∼20 wt%, 백시멘트 1∼10 wt% 및 무색유화 아스팔트코팅 골재 10∼15 wt%를 포함하는 도장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표시 테이프는 차량이 차선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시인성이 확보되고, 도장층의 균열 생성을 방지하여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해도 반사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표시 테이프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서는 도로 표면에 일체로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차선이 정확하게 그어져서 형성되므로,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공장 제작에 의해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표시 테이프는 차량이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악천후 또는 야간 운전 상황 등에서도 등에서 육안으로 차선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에도 차량이 차선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차량 운행이 가능하게 되어 차량 사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표시 테이프는 차량이 인식 가능한 센서를 포함하여 자율주행을 위한 차로로 사용 가능하므로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이 안전한 주행 차로로 주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표시 테이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표시 테이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표시 테이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차선표시 테이프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100)는,
도로 표면에 부착되고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로 이루어진 접착층(10);
상기 접착층 상에 적층되고 차량 인식용 센서가 포함된 센서층(20); 및
상기 센서층 상에 적층되는 도장층(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착층(10)은 보강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도장층(30)은 폴리우레아 수지 20∼30 wt%, 경화제 10~20 wt%, 폴리머계 유화 에멀젼 15∼20 wt%, 분말색소 5~10 wt%, 계면활성제 0.5∼2.0 wt%, 수성페인트 10∼20 wt%, 백시멘트 1∼10 wt% 및 무색유화 아스팔트코팅 골재 10∼15 wt%를 포함하는 도장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표시 테이프(100)는 차선표시 테이프를 접착층과 도장층의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아스팔트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장층의 우수한 시인성 및 균열 생성을 방지하여 장시간 차선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의 접착층(10)은 도로 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도로 표면 특히, 아스팔트 도로 표면과의 우수한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아스팔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접착층을 구성하는 아스팔트로는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10)은 유리섬유메쉬 또는 글라스페이퍼에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가 도포함침되며, 상기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는 기본 개질아스팔트 40∼80wt%를 150℃∼180℃로 용융한 다음, 연화점 상승첨가재로 폐타이어분말 10∼50wt%, 고로슬래그미분말 5∼20wt%, 길소나이트분말 또는, 카본블랙 또는, 길소나이트분말과 카본블랙의 혼합물 1∼5wt%, 접착개선제 2∼10wt%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본 개질아스팔트는 아스팔트 40∼60wt%, 천연 아스팔트 5∼20wt%, 고분자플라스틱 5∼15wt%, SBS고분자 5∼20wt%, 특수섬유질 충진제 2∼10wt%, UV안정제 0.1∼0.5wt%, 산화방지제 0.1∼0.5wt%를 포함하여 85℃ 이상의 고연화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팔트는 주 바인더로써 국내에서 생산되는 스트레이트를 기준으로 하고 침입도 20∼50(1/10㎜) 연화점 40∼80℃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천연아스팔트(TLA)는 캐나다 트리니나드에서 생산되는 고체성 아스팔트를 정제한 것으로 침입도 1∼4(1/10 ㎜), 연화점 93∼98℃의 것이 첨가되며, 연화점 상승, 인성증가,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한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고분자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수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가 첨가될 수 있으며, 고온 유동성을 조정하고, 열(고온)에서 안정하며, 저온신축성, 강도보강 및 접착력을 향상시켜, 하지(교면)와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고분자 플라스틱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부타디엔(poly Butadiene), 폴리에틸렌(polyetylene), 에틸렌-부텐 공중합체(ethylene-Butencopolymer), 에틸렌-옥텐 공중합체(ethylene-octene copolymer)중, 단독 또는 2~3종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tyrene butadiene block copolymer) 및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 isoprene blockcopolymer)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SBS 고분자(SBS, Styrene Butadiene Styrene Copolymer)는 플라스틱 소성과 복원성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어, 아스팔트 및 천연아스팔트와 혼합시, 고연화점과 저온굴곡성의 특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특수 섬유질 충진재는 균일하게 분산되어 비중조절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셀로오즈(cellouse) 계통이 첨가된다. 상기 특수섬유질충진재는 PP 단섬유, PE 단섬유, 글라스페이퍼(가루)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 섬유질 충진제는 주로 100∼300 메쉬의 것이 첨가된다.
상기 UV 안정제 및 산화방지제는 저항성 향상 및 자외선 보호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UV 안정제는 광안정제의 일종으로 고무나 플라스틱의 노화를 방지하고, 내후성, 내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UV 안정제로 통용되고 있는 통상의 UV 안정제가 사용된다. 상기 UV안정제는 일예로, 하이드록시 벤조페논(Hydroxy Benxophenone), Benzotriazoles, Subsitutes Acrylate 중 선택된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고분자 물질이 공기중 산소에 의해 산화 및 열화를 받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페놀계 산화방지제, 모노페놀계, 비스페놀계, 고분자형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아민계 산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첨가된다.
상기와 같은 기본 개질아스팔트는 아스팔트를 180∼220℃로 가열한 후, 천연아스팔트와 SBS 고분자를 투입, 1∼4 시간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키고, 고분자플라스틱을 투입하여 1∼2 시간 용융분해시킨 다음, 특수섬유질 충진제, UV안정제 및 산화방지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완전 용융분산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상기 연화점 상승첨가재로 첨가혼합되는 폐타이어분말, 고로슬래그미분말, 길소나이트분말, 접착개선제는 완전 용융되지 않고도 기본 개질아스팔트의 연화점을 상승시키고 저온굴곡성을 부여하는 특성을 구비한다.
상기 폐타이어 분말은 용융된 기본 개질아스팔트에 그대로 혼합되어 저온 굴곡성 및 연화점 상승과 방수도막 두께를 확보하며, 도막시트 제조 시 중량 감소 효과를 구비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0.2㎜∼2.0㎜ 크기의 폐타이어 분말이 첨가된다. 상기 폐타이어 분말은 10wt% 미만으로 첨가될 시, 연화점 상승효과 및 방수도막 두께 확보가 어려우며, 50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품질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적정 범위내에서 첨가된다.
특히, 종래에는 폐타이어 분말은 180℃ 이상 고온에서 5시간 이상 용융된 것이 개질제로 활용하여 왔으나,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분말은 용융된 상태가 아니라 시공현장에서 분말상태로 그대로 투입되며, 이와 같이 용융된 기본 개질아스팔트에 분말상태로 투입된 폐타이어분말은 도막시트 제조시 두께확보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중량 감소효과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고로슬래그미분말은 제철 공업의 부산물로 철광석 중에 불순물로써 비중이 높고 분말도가 우수하여 연화점 상승 및 인장강도를 증진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고로슬래그미분말은 20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동절기 저온굴곡성이 저하되게 되므로, 적정 범위내에서 첨가되어야 한다.
상기 길소나이트분말 또는, 카본블랙 또는, 길소나이트분말과 카본블랙의 혼합물은 높은 안정성을 구비하고 SBS 고분자의 소성 보완 및 연화점 상승을 위하여 투입되며, 5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저온 굴곡성이 저하되게 된다. 상기 길소나이트분말은 천연광물성 아스팔트의 일종으로 고열에서 아스팔트와 반응하여 연화점 상승과 소성을 증대시킨다.
상기 카본블랙은 천연가스 타르 등을 불완전 연소시켜 생긴 그을음을 포집하거나 그것들을 열분해한 것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에 강성 및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본블랙은 아스팔트에 첨가될 경우, 광선차단 효과를 구비하여 방수층이 형성된 도로면의 광산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카본블랙은 아스팔트의 내부로 침투하여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부식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도 구비한다.
상기 접착개선제는 120℃ 내외의 연화점을 갖는 접착성능부여제로, 도막시트 자체의 접착력 개선을 위하여 첨가된다. 이와 같은 접착개선제는 연화점 120∼150℃의 과립형 HOT MELT 계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층(10)은 보강 재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재료는 유리 섬유, 토목 섬유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리섬유메쉬 또는 글라스페이퍼 또는 토목용 부직포는 열에 의한 치수안정과 바탕면의 균열에 대한 응력분산으로 반사균열을 최소화하고, 전단응력 보강 및 소정두께 형성 및 보강기능을 위하여 첨가된다. 상기 유리섬유메쉬 또는 글라스페이퍼 또는 부직포는 15㎜ 이하의 망눈크기를 구비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센서층(20)은 차량이 주행하면서 인식하게 되는 센서(22)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Passive RFID 방식의 센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차선표시 테이프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 예를 들어 2 내지 5 m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에는 고유한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위치정보 등과 같은 추가적인 필요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차량이 센서를 인식하였을 때 센서에 저장된 정보가 운전자 및 관리자에게 전달되므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를 일체로 설치함에 있어서는 접착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를 접착층의 상면에 일체로 부착 설치할 수 있다. 접착층의 상면에 센서가 부착된 상태에서 그 위쪽으로 도장층을 형성함으로써 센서가 접착층과 도장층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가 접착층과 도장층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센서는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차선표시 테이프는 도료 표면에 포설 부착되어 차선이 형성되므로 따라서 주행하는 차량이 센서를 직접 타격하는 현상 또는 차량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센서가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별도의 전력 공급이 필요없는 저전력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와 센서 사이는 아래 후술하는 도장층(30)을 구성하는 도장 조성물로 채워지고, 상기 센서의 고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와 센서 사이에 채워지는 도장 조성물에는 아래 후술하는 유리 비드(32)가 침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표시 테이프를 구성하는 상기 도장층(30)은 도막의 물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수지계 도막에 시인성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한 소재를 추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도장층(30)은 폴리우레아 수지 20∼30 wt%, 경화제 10~20 wt%, 폴리머계 유화 에멀젼 15∼20 wt%, 분말색소 5~10 wt%, 계면활성제 0.5∼2.0 wt%, 수성페인트 10∼20 wt%, 백시멘트 1∼10 wt% 및 무색유화 아스팔트코팅 골재 10∼15 wt%를 포함하는 도장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의 주제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예비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예비중합체로서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디메틸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로서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화합물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알킬렌옥사이드의 개환부가중합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의 주제와 반응하여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로는 폴리에테르아민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폴리에테르아민으로서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폴리에테르아민 화합물이면 어는 것이든 가능하나,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민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민과 같은 폴리알킬렌글리콜디아민이면 더욱 좋다.
아울러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의 주제인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예비중합체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와 경화제인 폴리에테르아민의 아민기(-NH2)가 반응하여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을 형성하는바,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예비중합체와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테르아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학양론적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1 : 1의 당량비로 사용하면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폴리우레아 수지의 주제와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폴리우레아 수지 주제와 경화제의 반응성을 고려할 때, 폴리우레아 수지 주제를 경화제에 비하여 동등 또는 과잉으로 사용하되, 폴리우레아 수지 주제와 경화제는 1~3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계 유화 에멀젼은 아크릴계 폴리머 유화 에멀젼으로써 수성이며 시멘트와 반응하여 경화되고 고내구성으로서 골재와 혼합 얇은 두께로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의 표면 보수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백시멘트는 10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저온 굴곡성이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백시멘트는 혼합물의 경화 및 내구성 증진기능도 구비한다.
상기 분말 색소는 백색, 황색, 청색 등 일반적인 산화철 색소를 말하며 차선의 색상유지를 위하여 첨가된다. 또한, 상기 분말색소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바, 백색안료로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또는 황화아연 등을, 황색안료로서는 티탄옐로우, 크롬산아연, 황화카드뮴 또는 황산화철 등을, 그리고 청색안료로서는 감청, 군청 또는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상기 도장층은 매우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하며 육안에 의한 식별 기능도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분말 색소를 함유하는 도장 조성물은 함유된 색소가 나타내는 색상에 따라 차선, 갓길 표시선, 과속방지턱 표시선 또는 횡단보도 표시선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폴리머계 에멀젼의 혼합분산 촉진을 위하여 첨가된다.
상기 수성 페인트는 혼합도장물의 유동성 확보 및 품질 향상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수성페인트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수성페인트가 사용된다.
상기 무색유화 아스팔트 코팅골재는 시공 전 제품의 굴곡성과 시공 후 차량통행 과정에서 경화되어 내구성의 증진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무색유화 아스팔트가 0.1∼1.0㎜ 규사의 표면에 코팅처리된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무색유화 아스팔트 코팅골재는 혼합도장물내에서 베어링 역할을 하게 되어 제품이 저온에서의 굴곡성 및 균열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도장 조성물이 상기 센서(22) 사이를 채워 센서층(20)을 형성하고, 상기 센서층 상에 상기 도장 조성물 100 중량부가 도포되어 도장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도장층(30)을 형성하는 도장 조성물이 건조되기 전에 유리 비드(일반형 유리알, 우천형 유리알)(32) 10∼30 중량부가 살포되어, 상기 도장층 내에 유리 비드가 침투되어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장층(30)은 도장 조성물 100 중량부, 유리 비드 10∼30 중량부를 포함하며, 균일되게 혼합하여 도포하여 사용되거나, 분리하여 각각 별도 도포하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 비드는 노면표시의 야간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반사체로 첨가되며, 도장 조성물에 혼입되거나, 도장 조성물의 도포면에 살포된다. 이와 같은 유리 비드는 빛의 재귀반사에 의해 야간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즉, 야간에 자동차의 전조등이 노면표시를 비추었을 때 유리 섬유의 굴절된 빛이 운전자방향으로 되돌아감으로써 노면표시의 시인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가 상기 유리 비드와의 부착성도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내마모성 증가와 재귀반사도 향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층(10) 및 도장층(30)의 두께는 0.5 내지 2 mm이고, 상기 센서층(20)의 두께는 2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차선표시 테이프는 롤형태로 공장에서 제품화되어 생산된 후 용도에 맞게 폭 및 길이가 절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접착층의 제조
유리섬유메쉬에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를 도포함침하여 접착층을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기본 개질아스팔트 40∼80wt%를 150℃∼180℃로 용융한 다음, 연화점 상승첨가재로 폐타이어분말 10∼50wt%, 고로슬래그미분말 5∼20wt%, 길소나이트분말 또는, 카본블랙 또는, 길소나이트분말과 카본블랙의 혼합물 1∼5wt%, 접착개선제 2∼10wt%를 혼합하여 제조된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를 유리섬유메쉬에 도포 함침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도장 조성물 및 차선표시 테이프의 제조
아래 표 1의 조성에 따라 혼합 및 용해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도장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단위: 중량%)
실시예 비교예
폴리우레아 수지 23 -
폴리에테르아민 20 -
아크릴계 유화 에멀젼 20 58
분말 색소 (산화아연) 10 10
계면활성제 2 2
수성페인트 10 10
백시멘트 5 5
골재 10 15
총 함량 100 100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접착층 상에 Passive RFID 방식의 센서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후, 상기에서 제조된 도장 조성물을 도포하여 차선표시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차선표시 테이프의 경우, 상기 도장 조성물이 건조되기 전에 도장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 비드 30 중량부를 살포하였다.
실험예: 접착강도, 재귀반사도 및 내충격성 평가
아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차선표시 테이프에 대하여 접착강도, 재귀반사도(KS M 6080;2014 내마모성 시험 후 측정) 및 내충격성(KS F 2221)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미끄럼저항성(BPN) 접착강도(Mpa)
실시예 75 0.7
비교예 50 0.4
구분 재귀반사도 평가(mcd/㎡·lux)
초기 20만회 50만회 100만회 200만회 400만회
실시예 627 642 621 608 580 560
비교예 486 492 452 428 398 340
구분 실시예 비교예
부착상태(탈리) 탈리없음 탈리발생
내충격성(크랙) 크랙없음 크랙발생
상기 표 2 내지 4를 참조로, 실시예에 따른 도장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차선표시 테이프는 우수한 접착강도, 재귀반사도 및 내충격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에 따른 도장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차선표시 테이프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낮은 접착강도, 재귀반사도 및 내충격성을 가져 낮은 내구성 및 운전자의 시인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접착층 20: 센서층
22: 센서 30: 도장층
32: 유리 비드 100: 차선표시 테이프

Claims (5)

  1. 도로 표면에 부착되고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로 이루어진 접착층(10);
    상기 접착층 상에 적층되고 차량 인식용 센서가 포함된 센서층(20); 및
    상기 센서층 상에 적층되는 도장층(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착층(10)은 보강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보강 재료는 상기 접착층 및 도장층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유리섬유 및 토목섬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층(20)은 자율주행을 위한 차량이 주행 중 인식하는 Passive RFID 방식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차선표시 테이프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2 내지 5 m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장층(30)은 폴리우레아 수지 20∼30 wt%, 경화제 10~20 wt%, 폴리머계 유화 에멀젼 15∼20 wt%, 분말색소 5~10 wt%, 계면활성제 0.5∼2.0 wt%, 수성페인트 10∼20 wt%, 백시멘트 1∼10 wt% 및 무색유화 아스팔트코팅 골재 10∼15 wt%를 포함하는 도장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고,
    상기 도장층(30)은 도장 조성물이 건조되기 전에 차량이 차선을 인지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확보하고자 상기 도장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 비드(32) 10∼30 중량부가 살포되어 균일하게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26791A 2022-10-05 2022-10-05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 KR10262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791A KR102629563B1 (ko) 2022-10-05 2022-10-05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791A KR102629563B1 (ko) 2022-10-05 2022-10-05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563B1 true KR102629563B1 (ko) 2024-01-29

Family

ID=8971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791A KR102629563B1 (ko) 2022-10-05 2022-10-05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563B1 (ko)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7652A (ja) * 1998-10-20 2002-08-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乾燥状態または湿潤状態において再帰反射性が高められた再帰反射要素の製造方法
JP2003535160A (ja) * 2000-05-02 2003-11-2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接着シート及び接着構造体
KR20060075620A (ko) 2004-12-28 2006-07-04 조광연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의 제조방법
KR20060094246A (ko) * 2005-02-24 2006-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축광 역반사시트를 이용한 차선표시용 테이프
KR20070079125A (ko) * 2006-02-01 2007-08-06 최기석 접착형 차선표시장치
KR20080039169A (ko) * 2006-10-30 2008-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인식 기술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및 정보 수집장치 및 그 방법
JP2010189579A (ja) * 2009-02-19 2010-09-02 Kuramoto Sangyo:Kk フィルム基材および接着シート
KR101163685B1 (ko) * 2011-12-08 2012-07-09 대동안전주식회사 노면표시용 융착식 테이프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03635A (ko) * 2013-02-19 2014-08-27 허정도 새로운 고점탄성 개질제 및 중온 개질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그리고 중온 개질 신규 및 재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물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607560B1 (ko) * 2015-07-29 2016-03-30 대한로드라인 페인트 주식회사 폴리우레아 수지 주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JP2017141623A (ja) * 2016-02-12 2017-08-17 愛知製鋼株式会社 磁気マーカの施工方法
CN107923133A (zh) * 2015-07-24 2018-04-17 德国路可比股份公司 导电的车道标记及具有导电的车道标记的道路
KR20180057281A (ko) * 2016-11-22 2018-05-30 한국전력공사 테이프 형식 노면 표시 페인트, 그 제조방법 및 노면 부착방법
KR20190002015A (ko) * 2017-06-29 2019-01-08 권문현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방법
KR102062016B1 (ko) * 2019-10-31 2020-02-11 대동안전주식회사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1217B1 (ko) * 2020-11-02 2021-06-07 (주)다해산업개발 우천시 및 야간시 시인성이 향상된 테이프형 차선의 제조방법
KR102431349B1 (ko) * 2022-02-16 2022-08-10 주식회사 드림인디자인 접착식 노면 표지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7652A (ja) * 1998-10-20 2002-08-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乾燥状態または湿潤状態において再帰反射性が高められた再帰反射要素の製造方法
JP2003535160A (ja) * 2000-05-02 2003-11-2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接着シート及び接着構造体
KR20060075620A (ko) 2004-12-28 2006-07-04 조광연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의 제조방법
KR20060094246A (ko) * 2005-02-24 2006-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축광 역반사시트를 이용한 차선표시용 테이프
KR20070079125A (ko) * 2006-02-01 2007-08-06 최기석 접착형 차선표시장치
KR20080039169A (ko) * 2006-10-30 2008-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인식 기술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및 정보 수집장치 및 그 방법
JP2010189579A (ja) * 2009-02-19 2010-09-02 Kuramoto Sangyo:Kk フィルム基材および接着シート
KR101163685B1 (ko) * 2011-12-08 2012-07-09 대동안전주식회사 노면표시용 융착식 테이프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03635A (ko) * 2013-02-19 2014-08-27 허정도 새로운 고점탄성 개질제 및 중온 개질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그리고 중온 개질 신규 및 재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물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7923133A (zh) * 2015-07-24 2018-04-17 德国路可比股份公司 导电的车道标记及具有导电的车道标记的道路
KR101607560B1 (ko) * 2015-07-29 2016-03-30 대한로드라인 페인트 주식회사 폴리우레아 수지 주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JP2017141623A (ja) * 2016-02-12 2017-08-17 愛知製鋼株式会社 磁気マーカの施工方法
KR20180057281A (ko) * 2016-11-22 2018-05-30 한국전력공사 테이프 형식 노면 표시 페인트, 그 제조방법 및 노면 부착방법
KR20190002015A (ko) * 2017-06-29 2019-01-08 권문현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방법
KR102062016B1 (ko) * 2019-10-31 2020-02-11 대동안전주식회사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1217B1 (ko) * 2020-11-02 2021-06-07 (주)다해산업개발 우천시 및 야간시 시인성이 향상된 테이프형 차선의 제조방법
KR102431349B1 (ko) * 2022-02-16 2022-08-10 주식회사 드림인디자인 접착식 노면 표지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616B2 (en) System, method and composition for adhering preformed thermoplastic traffic control signage to pavement
KR100978213B1 (ko)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부착식 노면시트용 조성물, 노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102010244B1 (ko)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방법
US8342700B2 (en) Wear and impact resistant reflective road lane markers
KR102221359B1 (ko) 차열 성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폴리우레아 도막형바닥재 포장용 조성물
KR100719855B1 (ko) 상온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바인더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도로보수용 칼라 아스팔트 보수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89041B1 (ko) 도로포장용 바인더 조성물, 도로포장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미끄럼방지포장용 혼합물
EP0614503B1 (en) Pavement marking
KR102209863B1 (ko) 미끄럼방지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KR102119736B1 (ko) Sis, seb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도로포장용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0799B1 (ko) 노면표시용 용융형 도료 조성물과 시공 방법
CN107532059A (zh) 改性沥青粘合剂乳液
KR102177185B1 (ko) 내오염성, 내한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융착식 플라스틱 노면표지용 도료
KR101343602B1 (ko) 아스팔트 보수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119756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41284B1 (ko) 미끄럼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공방법
KR101607560B1 (ko) 폴리우레아 수지 주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KR102629563B1 (ko)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성을 나타내는 차선표시 테이프
KR102119742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배수성 복층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33676B1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2420637B1 (ko) 시인성 및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한 투수성 아스팔트 컬러 포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시공방법
KR100564098B1 (ko) 폴리올 수지를 이용한 도로용 우레탄계 조성물
KR102450179B1 (ko) 친환경 아크릴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성과 미끄럼 저항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89903B1 (ko) 시트 보강 자착식 프리캐스트 실란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테이프
KR102119732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도로포장용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