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935B1 -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935B1
KR102270935B1 KR1020200083036A KR20200083036A KR102270935B1 KR 102270935 B1 KR102270935 B1 KR 102270935B1 KR 1020200083036 A KR1020200083036 A KR 1020200083036A KR 20200083036 A KR20200083036 A KR 20200083036A KR 102270935 B1 KR102270935 B1 KR 10227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layer
luminous
stone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진숙
임성남
임일웅
Original Assignee
공진숙
임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진숙, 임성남 filed Critical 공진숙
Priority to KR102020008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경계석 본체의 도로측면, 상면,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 등에 띠 형상의 야광표시구를 설치하여 상기 야광표시구에 의해 야간에 식벽럭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및 차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경계석 본체 및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어 야간에 식별력을 갖도록 상기 경계석 본체의 도로측으로 위치하는 일측면, 상부면,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설치된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를 포함하고, 상기 야광표시구는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 설치되는 야광층, 및 상기 야광층과 고정홈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홈과 야광층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야광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야광층이 고정홈에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수지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Luminous boundary stone, sidewalk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계석 본체의 도로측면, 상면,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 등에 띠 형상의 야광표시구를 설치하여 상기 야광표시구에 의해 야간에 식벽럭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즉, 아파트 단지내 야간에 경계석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어린이, 어르신, 장애인 등등 식별력을 가질 수 있게 하고, 우천시 또는 눈에 의해 야간에 도로와 경계석에 식별이 어려워 대부분 운전자는 누구나 한 번을 사고를 유발하였던 것을 경계석의 식별이 용이하게 하여 각종 사고 및 차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경계석은 도로의 중앙이나 갓길 운행선 또는 보도 분리선 등에 설치되어 도로의 구획을 결정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경계표시 및 안전수단으로 사용되는 도로 경계석은 화강암의 석재나 콘크리트 또는 인조대리석 등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도로 경계석은 구조적으로 빛을 발산할 수 없기 때문에 밝은 주간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불빛이 없는 어두운 야간이나 우천 시에는 운전자가 도로 경계석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도로 경계석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밝은 주간에는 전방을 볼 수 있는 시야가 확보되어 주행 중 운전자가 도로 경계석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의 진행방향과 도로의 굴곡상태 및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불빛이 없는 어두운 야간이나 우천 시에는 주행 중 운전자가 도로 경계석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도로의 진행방향과 도로의 굴곡상태 및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도로이탈과 전복사고 등의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로 경계석은 구조적으로 야간 혹은 우천 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가 도로선형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고 또한 운전자가 도로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어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로 경계석과의 충돌시 차량의 바퀴 특히, 휠부분이 파손되어짐으로 인해 대형 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2-0071726호, 도로용 경계석.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93733호, 도로경계석.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로 20-0403784호, 경사면을 갖는 도로경계석.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253972호,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계석 본체의 도로측면, 상면,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 등에 띠 형상의 야광표시구를 설치하여 상기 야광표시구에 의해 야간에 식벽럭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및 차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야광 경계석은, 경계석 본체; 및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어 야간에 식별력을 갖도록 상기 경계석 본체의 도로측으로 위치하는 일측면, 상부면,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설치된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를 포함하고, 상기 야광표시구는: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고정홈; 상기 고정홈에 삽입 설치되는 야광층; 및 상기 야광층과 고정홈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홈과 야광층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야광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야광층이 고정홈에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로부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야광층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 및 상기 고정돌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로부터 경계석의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야광층은: 상기 고정부와 개구부에 야광 파우더가 충진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의 사이에는 주위의 작은 불빛이 반사되어 선명하게 표출되게 하는 재귀반사판이 설치되되, 상기 재귀반사판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소재에 백색 아크릴수지 도료를 25~35㎛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빛반사광층과, 25~35㎛의 입자로 된 패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50~80㎛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빛확산증폭층과, 50~100㎛입자로 된 유리알 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4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재귀반사층과, 자외선차단층, 및 자기세정층을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광범위한 각도에서 재귀반사 기능을 갖도록 표면처리 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귀반사판에는 반투명 유색필름층이 적층 설치되되, 상기 반투명 유색필름층은, 재귀반사판보다 작은 크기로 소정의 유색문자, 문양, 로고 혹은 도형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야광표시구는: 상기 경계선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실선 혹은 파선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 복수개가 연속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해주는 도로용 보도 시공 구조로서, 도로측으로 위치하는 일측면, 상부면,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가 설치되어 야간에 식별력을 갖게 하는 경계석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는 야광표시구는: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고정홈; 상기 고정홈에 삽입 설치되는 야광층; 및 상기 야광층과 고정홈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홈과 야광층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야광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야광층이 고정홈에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홈은,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로부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야광층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광 경계석을 구비하는 보도 시공 방법은, 야간에 식별력을 갖도록 도로측으로 위치하는 일측면, 상부면,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가 설치된 경계석 본체를 준비하는 단계;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한 쌍의 거푸집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한 쌍의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한 쌍의 거푸집에 둘 이상의 받침대를 설치하는 단계; 둘 이상의 받침대에 경계석 본체를 안착시킨 후, 야광표시구가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높이조절나사를 회전시켜 상기 경계석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콘크리트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와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는 야광표시구는: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 설치되는 야광층, 및 상기 야광층과 고정홈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홈과 야광층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야광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야광층이 고정홈에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홈은,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로부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야광층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에 의하면, 경계석 본체의 도로측면, 상면,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 등에 띠 형상의 야광표시구가 설치됨에 의해, 상기 야광표시구에 의해 야간에 식별력을 가질 수 있음으로 각종 사고 및 차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아파트 단지내 야간에 경계석 식별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야광표시구에 의해 어린이, 어르신, 장애인 등등 식별력을 가질 수 있고, 각종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천시 또는 눈, 야간에 도로와 경계석의 식별이 어려워 대부분 운전자로 하여금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은 야광표시구에 의해 경계석의 식별이 용이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경계석에 홈을 뚫어서 야광봉을 넣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광 경계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광 경계석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경계석 본체에 재귀반사판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에서 재귀반사판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광 경계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는 야광표시구가 점선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본체의 시공방법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본체의 시공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본체의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경계석 본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다수 개의 경계석 본체가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시공된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높이조절나사를 이용하여 받침대 높이를 조절하는 형상을 도시한 ㄷ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에 포함되는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광 경계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광 경계석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경계석 본체에 재귀반사판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에서 재귀반사판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광 경계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는 야광표시구가 점선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광 경계석은 경계석 본체(20)와 야광표시구(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계석 본체(2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통상의 도로 경계석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야광표시구(22)는 경계석 본체(20)에 설치되어 야간에 식별력을 갖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러한 야광표시구(22)는 상기 경계석 본체(20)의 도로측으로 위치하는 일측면, 상부면, 그리고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야광표시구(22)는 적어도 1줄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2줄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야광표시구(22)는 상기 경계석 본체(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1줄 이상의 고정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2a)에 야광층(22b)이 삽입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야광층(22b)과 고정홈(22a)의 사이에는 접착수지층(22c)이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긱 접착수지층(22c)에 의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홈(22a)과 야광층(22b)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홈(22a)으로부터 야광층(22b)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야광층(22b)이 고정홈(22a)에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수지층(22c)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지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혼합 수지로 이루어잘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수지층(22c)은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장기간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을 더 구성하여 접착수지층(22c)이 고정홈(22a)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착수지층(22c)의 접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더 도포될 수 있으며, 접착제는 무용제 에폭시 수지와 함께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한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을 혼합 구성하여 에폭시 실링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경계석 본체(20)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커버하도록 투명수지층(22d)이 적층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수지층(22d)은 보행자에 의해 야광표시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고정홈(22a)은 경계석 본체(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부(22a-1)와, 상기 고정부(22a-1)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22a-1)로부터 경계석 본체(20)의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22a-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고정홈(22a)에 삽입 고정되는 야광층(22b)은 상기 고정부(22a-1)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22a-1)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고정돌부(22b-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22b-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22a-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표시돌부(22b-2)가 형성되어 상기 표시돌부(22b-2)가 경계석 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개구부에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2a)이 삽입 고정되는 야광층(22b)은 상기 고정부(22a-1)와 개구부(22a-2)에 야광 파우더를 충진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경계석 본체(20)에 설치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22)의 사이에는 주위의 작은 불빛이 반사되어 선명하게 표출되게 하는 재귀반사판(24)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귀반사판(24)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늄 소재의 재귀반사판(24)을 표면 처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재귀반사판(24)의 표면에 백색 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진 빛반사광층(24a)을 도포하고, 그 빛반사광층(24a)의 외측으로 패분으로 이루어진 빛확산증폭층(24b)을 도포하며, 상기 빛확산증폭층(24b)의 외측으로 유리알 분으로 이루어진 재귀반사층(24c)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층(24c)의 외측으로 자외선차단층(24d)과 자기세정층(24e)을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빛반사광층(24a)은 백색 아크릴수지 도료를 25~35㎛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함이 좋고, 상기 빛확산증폭층(24b)은 25~35㎛의 입자로 된 패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50~80㎛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함이 좋으며, 상기 재귀반사층(24c)은 50~100㎛의 입자로 된 유리알 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4의 비율로 혼합하여 도포하여 형성함이 좋다. 여기서, 상기 각 도료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기 위해 혼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재귀반사판(24)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재귀반사판(24)의 표면을 워시 프라이머(wash primer)작업 후, 빛 반사광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백색 아크릴수지 도료를 25~35㎛의 두께로 도포하여 빛반사광층(24a)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워시 프리머 작업은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하도작업 하는 것이다. 즉, 알루미늄 소재의 재귀반사판(24)에 부착성 있게 중화하도록 도료로서 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빛반사광층(24a)을 도포한 후에는 그 위에 25~35㎛의 입자로 된 패분(貝粉)을 투명수지도료와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50~80㎛의 두께로 도포하여 빛확산증폭층(24b)을 형성한다.
여기서, 입자가 고운 패분을 도포하는 이유는 빛을 확산 증폭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패분은 펄(화학펄)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모래알이 반사되며 반짝이는 현상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 투명수지도료를 혼합하는 이유는 상기 유리알 분이 부착되게 하기 위한 접착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빛확산증폭층(24b) 위에 50~100㎛의 입자로 된 유리알 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4의 비율로 혼합하여 100~200㎛의 두께로 도포하여 재귀반사층(24c)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수지도료를 혼합하는 이유는 상기 유리알 분이 부착되게 하기 위한 접착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유리알 분을 이용하여 재귀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은 통상 이용하는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유리알 분에 의해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원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상기 재귀반사층(24c) 위에 자외선차단층(24d)과 자기세정층(24e)을 형성한 다음, 150~30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열 경화시켜서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차단층(24d)은 자외선 차단기능을 겸한 투명수지도료로 도포함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세정층(24e)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실리콘 계열로 통상 사용하는 기술로서, 오염방지의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재귀반사판(24)의 표면을 처리한 후, 상기 경계석 본체(20)의 야광표시구(22) 사이에 고정수단(접착재, 고정나사 등)을 이용하여 재귀반사판(24)을 설치하게 되면, 경계석 본체에 재귀반사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한편, 표면 처리되어 경계석 본체(20)에 고정 설치되는 재귀반사판(24)은 투광 입사각도가 큰 장점을 갖는다. 즉, 빛반사광층(24q)이 백색으로 구성되고, 그 위에 패분으로 이루어진 빛확산증폭층(24b)과 유리알 분으로 이루어진 재귀반사층(24c)을 통과하는 빛이 회절현상을 일으켜 증폭되면서 재귀반사의 효과가 커지게 된다.
특히, 상기 백색으로 구성되는 빛반사광층(24a)은 갓등의 역할을 함으로서, 즉 들어오는 빛을 뒤쪽은 폐쇄하고 앞으로만 반사함으로서 반사경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분으로 이루어진 빛확산증폭층(24b)과 유리알 분으로 이루어진 재귀반사층(24c)으로 인해, 회절에 의한 빛의 확산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입체 디자인의 표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재귀반사판(24)에는 반투명 유색필름층(26)이 더 적층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투명 유색필름층(26)은 재귀반사판보다 작은 크기로 소정의 유색문자, 문양, 로고 혹은 도형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반투명 유색필름층(26)에 의해 지자체, 이름 등의 광고로도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야광표시구(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 본체(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실선 혹은 파선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 복수개가 연속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해주는 야광 경계석을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는, 도로측으로 위치하는 일측면, 상부면,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22)가 설치되어 야간에 식별력을 갖게 하는 경계석 본체(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계석 본체(20)에 설치되는 야광표시구(22)는 상기 경계석 본체(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고정홈(22a)과, 상기 고정홈(22a)에 삽입 설치되는 야광층(22b), 및 상기 야광층(22b)과 고정홈(22a)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홈(22a)과 야광층(22b)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22a)으로부터 야광층(22b)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야광층(22b)이 고정홈(22a)에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수지층(22c)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22a)은 경계석 본체(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부(22a-1)와, 상기 고정부(22a-1)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22a-1)로부터 경계석 본체(20)의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22a-2)로 이루어지고, 상기 야광층(22b)은 고정부(22a-1)에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부(22a-1)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22b-1)와, 상기 고정돌부(22b-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22a-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계석 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돌부(22b-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본체의 시공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광 경계석을 구비하는 보도 시공 방법은, 먼저 야간에 식별력을 갖도록 도로측으로 위치하는 일측면, 상부면,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22)가 설치된 경계석 본체(20)를 준비하는 단계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한 쌍의 거푸집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한 쌍의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한 쌍의 거푸집에 둘 이상의 받침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둘 이상의 받침대에 경계석 본체(20)를 안착시킨 후, 야광표시구(22)가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높이조절나사를 회전시켜 상기 경계석 본체(20)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콘크리트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와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계석 본체(20)에 설치되는 야광표시구(22)는 상기 경계석 본체(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고정홈(22a)과, 상기 고정홈(22a)에 삽입 설치되는 야광층(22b), 및 상기 야광층(22b)과 고정홈(22a)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홈(22a)과 야광층(22b)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22a)으로부터 야광층(22b)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야광층(22b)이 고정홈(22a)에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수지층(22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홈(22a)은 경계석 본체(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부(22a-1)와, 상기 고정부(22a-1)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22a-1)로부터 경계석 본체(20)의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22a-2)로 이루어지고, 상기 야광층(22b)은 고정부(22a-1)에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부(22a-1)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22b-1)와, 상기 고정돌부(22b-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22a-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계석 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돌부(22b-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시공 방법은, 한 쌍의 거푸집 사이에 거치되는 경계석 본체(20)가 콘크리트 상면에 안착 되는 것이 아니라, 한 쌍의 거푸집 사이에 설치된 받침대에 안착되는바, 한 쌍의 거푸집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지 아니하더라도 아래로 처지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야광표시구(22)가 일진선상을 이루게 시공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 및 받침대를 포함하는 경계석 시공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경계석 시공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경계석 시공장치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경계석 본체(20)의 폭보다 넓게 평행 이격되는 한 쌍의 거푸집(100)과,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설치되어 경계석 본체(20)가 거치되는 받침대(2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200)는 한 쌍의 거푸집(100) 상면에 각각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판(220)과, 상면에 상기 경계석 본체(20)가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배치되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거치판(220)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2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받침대(200)가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경계석 본체(20)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는바,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0)(도 9 참조)가 양생되는 동안 경계석 본체(20)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경계석 본체(20)가 안착되는 받침대(20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판(220)에 형성된 체결공(222)에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되어 끝단이 상기 거푸집(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높이조절나사(230)를 구비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나사(230)가 더 깊게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나사(230)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높이조절나사(230)의 끝단은 거치판(220)의 저면으로부터 더 많이 돌출되는바, 상기 거푸집(100)의 상면에는 높이조절나사(230)의 끝단만이 안착되고 거치판(220)의 저면은 상향 이격된다는 효과 즉, 거치판(220) 및 이에 연결된 지지대(210)가 상승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높이조절나사(230)가 거치판(220)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높이조절나사(230)를 회전시키면, 상기 거푸집(100)의 상면에는 거치판(220)이 직접 안착되는바, 거치판(220) 및 이에 연결된 지지대(210)가 하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나사(230)를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받침대(200)에 안착된 경계석 본체(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수 개의 경계석 본체(20)를 일렬로 시공할 때 각 경계석 본체(20)의 높이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상기 경계석 본체(20)에 설치되는 야광표시구(22)를 일직선상으로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나사(230)를 회전시켜 받침대(200)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경계석 본체(20)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다수 개의 경계석 본체(20)가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시공된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높이조절나사(230)를 이용하여 받침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경계석 본체(20)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거푸집(100)을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한 후,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로 콘크리트(10)를 타설한다. 이때,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0)는 거푸집(100)의 외측으로 넘치지 않도록 상기 거푸집(100)의 상면이 낮게 타설되어야 할 것이다.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로 콘크리트(10)를 타설한 이후,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10)가 경화되기 이전에 둘 이상의 받침대(200)를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설치한다. 받침대(200) 설치가 완료되면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둘 이상의 받침대(200)에 경계석 본체(20)를 안착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10)를 양생하는 과정을 거친다.
한편, 다수 개의 경계석 본체(20)를 일렬로 시공하는 경우, 각 경계석 본체(20)가 안착되는 받침대(200)와 거푸집(100)에 약간의 규격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각 경계석 본체(20)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를 이루지 못하게 되어 야광표시구(22)가 일직선상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지면의 각 부위별 평탄도가 일정하지 아니하면, 받침대(200)와 거푸집(100)의 규격 오차가 전혀 없더라도 각 경계석 본체(20)에 설치되는 야광표시구(22)가 일진선상에 위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200) 상에 경계석 본체(20)를 안착시킨 이후에는, 각각의 거치판(220)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나사(23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받침대(200) 및 이에 안착된 경계석 본체(2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경계석 본체(20)의 높이조절 및 콘크리트(10)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콘크리트(10)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200)와, 상기 거푸집(100)을 제거함으로써,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0)와 경계석 본체(20) 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는 지지대(210)의 양측이 거푸집(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 상기 거푸집(100)을 제거하였을 때 지지대(210)의 양측이 콘크리트(10)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 아니할 수 있는바, 상기 지지대(210)의 길이방향 양측은 거푸집(100)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10)의 길이방향 양측은 거푸집(100)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면 지지대(210)의 길이방향 양측과 거푸집(100) 사이에 콘크리트(10)가 채워지므로, 상기 지지대(210)의 길이방향 양측이 콘크리트(10)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계석 본체(20)와 거푸집(100) 간의 거리, 거푸집(100)과 지지대(210) 양측 간의 거리, 지지대(210) 양측과 거푸집(100) 간의 거리는 경계석 본체를 시공하는 장소의 특성이나 용도,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물리적 특성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거푸집(100)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거푸집(100)은, 상호 간의 이격공간에 다량의 콘크리트(10)가 타설되었을 때 상기 콘크리트(10)의 압력에 의해 넘어지지 아니하도록 지면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100)이 자력으로 지면에 고정되기 어려운 경우, 상기 거푸집(1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하단이 지면에 박히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철근이나 한봉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거푸집(100)은, 상호 간의 이격공간 사이에 콘크리트(10)가 타설될 수 있으면서, 타설된 콘크리트(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받침대(20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푸집(1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합판(110)과, 상기 경계석 본체(20)와 길이방향이 나란하도록 수평으로 배열되어 상기 합판(110)의 외측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각재(120)와, 상기 각재(120)에 결합되는 고정못(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각재(120)에 접하도록 고정부재(300)를 설치한 후, 결속선(400)을 이용하여 고정못(122)을 고정부재(300)에 결속시킴으로서, 거푸집(100)을 고정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1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고정부재(300)는 하단이 상기 거푸집(10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한 후 지면에 박힘으로서, 거푸집(100)을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거푸집(100)은 합판 등과 같은 목재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플라스틱 등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로도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100)이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 초기 제작비용은 다소 많이 들지만 큰 내구성을 가지는바, 수 회에 걸쳐 반복 사용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계석 본체(20)의 도로측면, 상면,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 등 야광표시구(야광띠 형상)을 설치하여 상기 야광표시구(22)에 의해 사고 및 차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야간에 식벽럭을 가질 수 있도록 경계석 본체(20)에 띠 형상의 야광표시구(22)를 설치하여 각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아파트 단지내 야간에 경계석 식별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야광표시구에 의해 어린이, 어르신, 장애인 등등 식별력을 가질 수 있고, 각종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우천시 또는 눈, 야간에 도로와 경계석에 식별이 어려워 대부분 운전자는 누구나 한 번을 사고를 유발하였으나, 본 발명은 야광표시구에 의해 경계석의 식별이 용이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경계석에 홈을 뚫어서 야광봉을 넣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20 - 경계석 본체 22 - 야광표시구
22a - 고정홈 22b - 야광층
22c - 접착수지층 24 - 재귀반사판

Claims (7)

  1. 경계석 본체; 및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어 야간에 식별력을 갖도록 상기 경계석 본체의 도로측으로 위치하는 일측면, 상부면,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설치된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를 포함하고,
    상기 야광표시구는: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고정홈;
    상기 고정홈에 삽입 설치되는 야광층; 및
    상기 야광층과 고정홈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홈과 야광층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야광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야광층이 고정홈에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로부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야광층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 및
    상기 고정돌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의 사이에는 주위의 작은 불빛이 반사되어 선명하게 표출되게 하는 재귀반사판이 설치되되,
    상기 재귀반사판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소재에 백색 아크릴수지 도료를 25~35㎛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빛반사광층과, 25~35㎛의 입자로 된 패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50~80㎛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빛확산증폭층과, 50~100㎛입자로 된 유리알 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4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재귀반사층과, 자외선차단층, 및 자기세정층을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광범위한 각도에서 재귀반사 기능을 갖도록 표면처리 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귀반사판에는 반투명 유색필름층이 적층 설치되되,
    상기 반투명 유색필름층은, 재귀반사판보다 작은 크기로 소정의 유색문자, 문양, 로고 혹은 도형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며,
    상기 야광표시구는 상기 경계선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실선 혹은 파선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접착수지층은 접착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무용제 에폭시 수지와 함께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을 혼합한 에폭시 실링 접착제이며,
    상기 경계석 본체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커버하도록 투명수지층이 적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경계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도로를 따라 복수개가 연속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해주는 도로용 보도 시공 구조에 있어서,
    도로측으로 위치하는 일측면, 상부면,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가 설치되어 야간에 식별력을 갖게 하는 경계석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는 야광표시구는: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고정홈;
    상기 고정홈에 삽입 설치되는 야광층; 및
    상기 야광층과 고정홈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홈과 야광층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야광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야광층이 고정홈에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홈은,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로부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야광층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의 사이에는 주위의 작은 불빛이 반사되어 선명하게 표출되게 하는 재귀반사판이 설치되되,
    상기 재귀반사판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소재에 백색 아크릴수지 도료를 25~35㎛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빛반사광층과, 25~35㎛의 입자로 된 패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50~80㎛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빛확산증폭층과, 50~100㎛입자로 된 유리알 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4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재귀반사층과, 자외선차단층, 및 자기세정층을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광범위한 각도에서 재귀반사 기능을 갖도록 표면처리 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귀반사판에는 반투명 유색필름층이 적층 설치되되,
    상기 반투명 유색필름층은, 재귀반사판보다 작은 크기로 소정의 유색문자, 문양, 로고 혹은 도형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며,
    상기 야광표시구는 상기 경계선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실선 혹은 파선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접착수지층은 접착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무용제 에폭시 수지와 함께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을 혼합한 에폭시 실링 접착제이며,
    상기 경계석 본체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커버하도록 투명수지층이 적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경계석을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7. 야간에 식별력을 갖도록 도로측으로 위치하는 일측면, 상부면,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가 설치된 경계석 본체를 준비하는 단계;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한 쌍의 거푸집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한 쌍의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한 쌍의 거푸집에 둘 이상의 받침대를 설치하는 단계;
    둘 이상의 받침대에 경계석 본체를 안착시킨 후, 야광표시구가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높이조절나사를 회전시켜 상기 경계석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콘크리트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와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는 야광표시구는: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 설치되는 야광층, 및 상기 야광층과 고정홈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홈과 야광층이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표면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이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야광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야광층이 고정홈에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는 접착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홈은, 상기 경계석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보다는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로부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야광층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계석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1줄 이상의 야광표시구의 사이에는 주위의 작은 불빛이 반사되어 선명하게 표출되게 하는 재귀반사판이 설치되되,
    상기 재귀반사판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소재에 백색 아크릴수지 도료를 25~35㎛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빛반사광층과, 25~35㎛의 입자로 된 패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50~80㎛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빛확산증폭층과, 50~100㎛입자로 된 유리알 분을 투명수지도료와 1:4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재귀반사층과, 자외선차단층, 및 자기세정층을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광범위한 각도에서 재귀반사 기능을 갖도록 표면처리 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귀반사판에는 반투명 유색필름층이 적층 설치되되,
    상기 반투명 유색필름층은, 재귀반사판보다 작은 크기로 소정의 유색문자, 문양, 로고 혹은 도형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며,
    상기 야광표시구는 상기 경계선 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실선 혹은 파선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접착수지층은 접착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무용제 에폭시 수지와 함께 발포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을 혼합한 에폭시 실링 접착제이며,
    상기 경계석 본체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커버하도록 투명수지층이 적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경계석을 구비하는 보도 시공 방법.
KR1020200083036A 2020-07-06 2020-07-06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227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036A KR102270935B1 (ko) 2020-07-06 2020-07-06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036A KR102270935B1 (ko) 2020-07-06 2020-07-06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935B1 true KR102270935B1 (ko) 2021-07-05

Family

ID=7689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036A KR102270935B1 (ko) 2020-07-06 2020-07-06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1903A (zh) * 2021-12-17 2022-05-13 中电建高速公路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收费站限流装置及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556U (ko) * 1995-05-24 1996-12-18 안의식 주차장을 구획하는 경계블럭
KR200240420Y1 (ko) * 2001-04-20 2001-10-12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합성수지와 유리섬유로 적층된 부식방지 도로 경계석
KR200393733Y1 (ko) 2005-06-14 2005-08-30 이인형 도로경계석
KR200403784Y1 (ko) 2005-09-16 2005-12-14 이익규 경사면을 갖는 도로경계석
JP3130493U (ja) * 2007-01-15 2007-03-29 イージーブライト株式会社 蓄光部材を有する縁石ブロック
KR20090003738U (ko) * 2007-10-17 2009-04-22 영남산업 주식회사 도로 경계블럭
KR20100003617A (ko) * 2008-07-01 2010-01-11 양충렬 입체형 테두리를 갖는 도로표시판 및 그 도로표시판의표면처리방법
KR20110115638A (ko) * 2010-04-16 2011-10-24 박진영 식별 및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KR20120071726A (ko) 2010-12-23 2012-07-03 이도경 도로용 경계석
KR101253972B1 (ko) 2010-04-07 2013-04-16 (주)로드스톤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KR101756466B1 (ko) * 2016-05-13 2017-07-10 최낙훈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102110816B1 (ko) * 2019-07-11 2020-05-14 문승동 도로 경계석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556U (ko) * 1995-05-24 1996-12-18 안의식 주차장을 구획하는 경계블럭
KR200240420Y1 (ko) * 2001-04-20 2001-10-12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합성수지와 유리섬유로 적층된 부식방지 도로 경계석
KR200393733Y1 (ko) 2005-06-14 2005-08-30 이인형 도로경계석
KR200403784Y1 (ko) 2005-09-16 2005-12-14 이익규 경사면을 갖는 도로경계석
JP3130493U (ja) * 2007-01-15 2007-03-29 イージーブライト株式会社 蓄光部材を有する縁石ブロック
KR20090003738U (ko) * 2007-10-17 2009-04-22 영남산업 주식회사 도로 경계블럭
KR20100003617A (ko) * 2008-07-01 2010-01-11 양충렬 입체형 테두리를 갖는 도로표시판 및 그 도로표시판의표면처리방법
KR101253972B1 (ko) 2010-04-07 2013-04-16 (주)로드스톤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KR20110115638A (ko) * 2010-04-16 2011-10-24 박진영 식별 및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KR20120071726A (ko) 2010-12-23 2012-07-03 이도경 도로용 경계석
KR101756466B1 (ko) * 2016-05-13 2017-07-10 최낙훈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102110816B1 (ko) * 2019-07-11 2020-05-14 문승동 도로 경계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1903A (zh) * 2021-12-17 2022-05-13 中电建高速公路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收费站限流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1781B2 (ja) 再帰反射物品
TW297865B (ko)
US5516227A (en) Spherodized fluorescent beads for improved roadway pavement marker visibility
US20110059295A1 (en)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 with improve performance in wet night conditions
US20100055374A1 (en) Retroflective pavement markers for wet weather
US5873187A (en) Spherodized fluorescent beads for improved roadway pavement marker visibility
KR102270935B1 (ko)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
US3499371A (en) Markers
US20090291292A1 (en) Optically active elements including multiple bead layers
CN102191752A (zh) 定向反光陶瓷片
CN101173506A (zh) 警示装置
KR20200112366A (ko) 고휘도 반사 부재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JP7487867B2 (ja) 注意喚起部付フェンス構造体、同製造方法並びに注意喚起部付フェンス構造体を備えた道路、広場、河川及び港湾施設
KR19990028420A (ko) 역반사 재료
CN200988948Y (zh) 警示装置
US7967525B2 (en) Concrete element with high-visibility refracting and reflecting surface
KR102630215B1 (ko)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KR102644814B1 (ko) 미끄럼 방지형 도로 경계석
CN214363071U (zh) 一种无机蓄光夜间自发光安全挡车桩
KR200238702Y1 (ko) 노면표시용 반사표시구를 부착한 블록
CN202181517U (zh) 定向反光陶瓷片
KR200359988Y1 (ko)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JP2008215061A (ja) 路面構造体
KR200283381Y1 (ko) 표지병 유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