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817Y1 - 가드레일용 완충부재 - Google Patents

가드레일용 완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817Y1
KR200281817Y1 KR2020020008770U KR20020008770U KR200281817Y1 KR 200281817 Y1 KR200281817 Y1 KR 200281817Y1 KR 2020020008770 U KR2020020008770 U KR 2020020008770U KR 20020008770 U KR20020008770 U KR 20020008770U KR 200281817 Y1 KR200281817 Y1 KR 200281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present
cushioning member
elastic body
rubb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관 박
Original Assignee
용 관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관 박 filed Critical 용 관 박
Priority to KR2020020008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81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가드레일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가드레일을 설치함에 있어서 지주와 가드레일의 사이에 스프링과 고무탄성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개재시키므로서 차량 충돌시의 충돌력을 상쇄시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드레일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중앙에 볼트공이 관통된 원통형 고무탄성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요부와 철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의 내부에 압축코일스프링을 탄력 상태로 끼우고, 볼트공의 양단부에 괘지용 와셔를 억지끼움하여 고정한 가드레일용 완충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드레일용 완충부재{A buffer for guardrail}
본 고안은 가드레일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가드레일을 설치함에 있어서 지주와 가드레일의 사이에 스프링과 고무탄성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개재시키므로서 차량 충돌시의 충돌력을 상쇄시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드레일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자동차의 도로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가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가드레일의 종래의 고정방식은 지주와 가드레일에 관통된 볼트공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시켜 볼트와 너트로서 체결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설치된 가드레일에 의해 충돌시 차량의 파손과 인명의 피해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주와 가드레일의 사이에 개재되는 종래의 탄성부재는 대개가 일정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 고무탄성체의 중앙에 볼트공을 관통시키고 그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요부와 철부를 형성시켜 이루어진 것으로 고무 자체가 지니고 있는 탄성력만이 완충작용을 하므로 충격 흡수 능력이 충분치 않아 기대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미비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완충작용을 높일 수 있도록 원통형 고무탄성체에 탄성이 우수한 압축코일스프링을 결부시키므로서 차량 충돌시의 충돌력을 최대한 상쇄시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가드레일용 완충부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가드레일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상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볼트공 2 : 원통형 고무탄성체 3 : 요부
4 : 철부 5 : 압축코일스프링 6 : 괘지용 와셔
7 : 가드레일 8 : 지주 9 : 볼트
10 : 나사부 11 : 너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중앙에 볼트공(1)이 관통된 원통형 고무탄성체(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요부(3)와 철부(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1)의 내부에 압축코일스프링(5)을 탄력 상태로 끼우고, 볼트공(1)의 양단부에 괘지용 와셔(6)를 억지끼움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가드레일이고, 8은 지주이며, 9는 볼트이고, 10은 나사부이며, 11은 너트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원통형 고무탄성체(2)에 압축코일스프링(5)을 결부시켜 충돌시의 완충작용이 배가되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완충부재에 의해 설치 고정되는 가드레일(7)은 차량 충돌시에도 충분한 완충작용을 발휘하여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고안의 완충부재가 원통형 고무탄성체(2)의 자체 탄성력과 압축코일스프링(5)의 탄성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기 때문인데, 보다 구체적인 요인은 원통형 고무탄성체(2)의 탄성재질에 의한 완충효과와, 압축코일스프링(5) 본래의 탄성작용에 의한 완충효과와, 원통형 고무탄성체(2)의 외주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요부(3)와 철부(4)의 구조적 특징에 의한 완충효과의 복합적인 작용 결과라 볼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완충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5)의 양단에 부착된 괘지용 와셔(6)를 원통형 고무탄성체(2)의 볼트공(1)의 양단에 억지 끼움하여 압축코일스프 링(5)과 원통형 고무탄성체(2)를 하나의 조합된 단일품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구성 부품이 분실됨 없이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완충부재를 사용하여 가드레일(7)을 설치 고정시에는 상기 단일품으로 구성된 완충부재를 가드레일(7)과 지주(8)의 사이에 개재시켜 볼트(9)를 가드레일(7)의 볼트공과 완충부재의 볼트공(1)의 내부의 압축코일스프링(8)의 내부로 통과시킨 후에 지주(8)의 볼트공으로 통과시켜 밖으로 돌출된 볼트(9)의 나사부 (10)에 너트(11)를 체결하여 주므로서 설치를 간단히 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너트(11)의 조임 강약에 따라 완충부재의 완충간격을 일정범위 까지 조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과 고무탄성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드레일용 완충부재를 제공하므로서 가드레일의 완충효과를 높혀 차량 충돌시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앙에 볼트공(1)이 관통된 원통형 고무탄성체(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요부(3)와 철부(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1)의 내부에 압축코일스프링(5)을 탄력 상태로 끼우고, 볼트공(1)의 양단부에 괘지용 와셔(6)를 억지끼움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완충부재.
KR2020020008770U 2002-03-25 2002-03-25 가드레일용 완충부재 KR200281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770U KR200281817Y1 (ko) 2002-03-25 2002-03-25 가드레일용 완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770U KR200281817Y1 (ko) 2002-03-25 2002-03-25 가드레일용 완충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817Y1 true KR200281817Y1 (ko) 2002-07-13

Family

ID=7311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770U KR200281817Y1 (ko) 2002-03-25 2002-03-25 가드레일용 완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8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74B1 (ko) * 2008-03-19 2010-10-26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이동성 및 방진성이 향상된 탁상용 진동 다짐기
KR101209897B1 (ko) * 2012-09-10 2012-12-11 신정환 도로 가이드레일의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이드 레일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74B1 (ko) * 2008-03-19 2010-10-26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이동성 및 방진성이 향상된 탁상용 진동 다짐기
KR101209897B1 (ko) * 2012-09-10 2012-12-11 신정환 도로 가이드레일의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이드 레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4420A (ko) 가드레일
KR101085888B1 (ko) 가드레일의 충격감쇄 구조
KR200281817Y1 (ko) 가드레일용 완충부재
KR200316380Y1 (ko) 가드레일 완충구
CN107878559B (zh) 转向横拉杆连接结构
KR200265873Y1 (ko) 도로 시설물의 지주 보호용 충격 흡수커버
KR200316379Y1 (ko) 블록아웃고정 다중충격완화장치
KR0118616Y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의 캐리어스토퍼
KR200196332Y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캡구조
CN219119708U (zh) 一种电力保护二次设备减震结构及电力保护二次设备
KR20010059095A (ko) 다이내믹 댐퍼
KR200403805Y1 (ko) 자동차번호판의 충격 흡수장치
KR102224151B1 (ko) Biw 쿠션 마운팅 장치
KR200252272Y1 (ko) 완충가이드 레일
KR200262207Y1 (ko) 도로 가이드레일 구조체
KR100310733B1 (ko) 현가장치의스트럿고정부용캡구조
KR20100030259A (ko) 테일게이트의 가니쉬 장착구조
KR200151156Y1 (ko) 댐퍼볼트조립체
KR200227715Y1 (ko) 형상복원범퍼
JPH05179622A (ja) 道路防護柵用緩衝ボルト
KR20000011495U (ko) 진동방지용 완충보울트
KR0138778Y1 (ko)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20070034356A (ko) 자동차번호판의 충격 흡수장치
KR960001111Y1 (ko) 자동차 범퍼용 충격완충장치
KR200262206Y1 (ko) 도로 가이드레일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