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358Y1 -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 Google Patents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358Y1
KR200266358Y1 KR2020010034877U KR20010034877U KR200266358Y1 KR 200266358 Y1 KR200266358 Y1 KR 200266358Y1 KR 2020010034877 U KR2020010034877 U KR 2020010034877U KR 20010034877 U KR20010034877 U KR 20010034877U KR 200266358 Y1 KR200266358 Y1 KR 200266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vehicle
sleeping
support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림
Original Assignee
최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림 filed Critical 최해림
Priority to KR2020010034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3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358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근 길에 버스나 혹은 지하철에서 잠깐동안 취침을 하는 경우 목을 보호하면서도 편안한 취침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 윈도우 글라스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그 일측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목을 받칠 수 있는 받침부가 형성되는 바, 상기 고정부는 흡착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는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Neck Supporter for Sleep in Vehicle}
본 고안은 취침용 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근 길에 버스나 혹은 지하철에서 잠깐동안 취침을 하는 경우 목을 보호하면서도 편안한 취침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 퇴근 길에는 피로감을 덜기 위하여 잠깐동안의 취침을 경우가 있다. 특히 이른 아침 혹은 밤늦게 출,퇴근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이 경우, 대부분의 사람은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에 머리를 대고 잠을 청하거나 혹은 목을 기대지 않고 곧바로 앉아서 잠을 잔다. 이 경우, 윈도우 글라스에 머리를 대고 잠을 잘 경우는 머리가 윈도우 글라스에 부딪쳐서 부상당할 염려가 있으며, 곧바로 앉아서 잠을 잘 경우에는 목이 꺽여져 목에 무리를 주어 목 디스크 등의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통근 길에 버스나 혹은 지하철에서 잠깐동안 취침을 하는 경우 목을 보호하면서도 편안한 취침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취침용 목 받침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취침용 목 받침대 사용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목 받침대 110 : 고정부
120 : 받침부 121 : 알람용 타이머
122 : 스피커 123 : 이어폰
124 : 외부 잭 130 : 연결봉
131 : 걸림홈 132 : 걸림돌기
111 : 탈거용 돌기 140 : 지압돌기
150 : 진동 모터 200 : 자동차 시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 글라스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그 일측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목을 받칠 수 있는 받침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흡착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는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는 알람용 타이머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는 스피커와 이어폰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휴대폰과 연결되는 외부 잭이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부와 받침부는 후크와, 후크와 결합되는 홈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와 받침부 사이에는 연결봉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받침부가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이 걸림홈에는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려서 연결봉의 길이가 조절되게 구성된다.
또한, 받침부의 내면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부직포가 부착되고, 상기 받침부의 내면에는 지압돌기가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취침용 목 받침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취침용 목 받침대 사용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취침용 목 받침대(100)는, 차량 예를 들면, 지하철의 윈도우 글라스(G)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그 일측에는 고정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목(N)을 받칠 수 있는 받침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10)는 흡착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20)는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목 뒤쪽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지하철의 경우 사용자의 목 뒤쪽에서 지지하는 것이 좋지만, 버스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측면에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받침부(120)의형상은 지하철용과 버스용이 약간의 형상 차이를 갖는다. 즉, 지하철용은 좌우 대칭 형상을 갖지만, 버스용은 좌우 대칭을 갖지 않고 목 뒤쪽이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버스의 좌측 윈도우 혹은 우측 윈도우에 모두 공용할 수 있도록 상하 형상이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잠을 자는 동안에 목이 받침부(120)에 빠지지 않도록 목을 받침과 동시에 어느 정도 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120)의 일측에는 알람용 타이머(121)가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일정 시간을 맞추면 그 시각에 알람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알람용 타이머(121)를 두는 이유는 출,퇴근 길에 잠을 자더라도 목적지에서 하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즉, 예상 도착시간이 1시간 정도라면, 알람용 타이머(121)를 1시간 전에 맞추어두면, 목적지 전에서 알람용 타이머(121)가 작동하여 사용자를 깨우게 된다.
상기 받침부(120)의 일측에는 스피커(122)와 이어폰(123)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휴대폰과 연결되는 외부 잭(124)이 설치되어 핸즈프리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피커(122)의 경우 사용자의 입 쪽에 가깝고, 이어폰(123)의 경우 사용자의 귀 쪽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10)와 받침부(12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후크와, 후크와 결합되는 홈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분리 혹은 결합이 용이하여 사용 시에는 후크와 홈을 상호 결합(조립)시켜서 사용하고, 비 사용 시에는 휴대용 백(가방)에 담아둘 수 있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를 간편하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10)와 받침부(120) 사이에는 연결봉(130)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130)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어 연결봉(130)에 고정된 받침부(120)가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연결봉(13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홈(131)이 형성되며, 이 걸림홈(131)에는 걸림돌기(132)가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걸림돌기(132)(레버)를 눌러서 연결봉(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20)에는 슬롯(H)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걸림돌기(레버)(132)는 이 슬롯(H)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받침부(120)가 어느 정도 탄성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연결봉(130)의 재질을 연질재로 하여 어느 정도 유동 가능하게 할 수 도 있다.
상기 받침부(12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부(110)와 축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화살표 방향으로 10내지 15°정도로만 회전되도록 하여 어느 정도 목의 움직임에 여유를 주어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120)를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는 이유는, 전후좌우(X, Y축방향 모두 회전되게 할 경우에는 목을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정도는 목의 움직임에 여유를 주어야 하지만, 그 범위는 목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한도 이내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흡착판의 일측에는 탈거용 돌기(111)가 형성되는 바, 흡착판이 윈도우글라스(G)에 밀착된 후에는 잘 떨어지지 않지만, 탈거용 돌기(111)를 잡아당기면 흡착판이 잘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120)의 내면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부직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포근함을 느끼도록 하고, 상기 받침부(120)의 내면에는 지압돌기(140)를 형성하여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압돌기(140)는 진동 모터(150)에 의해서 진동되게 설치되며, 취침 시에도 안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받침부(120)의 내면에는 원적외선 물질, 예를 들면 옥, 황토, 맥반석을 도포하거나 내장하여 그 들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미설명 부호 N는 사용자의 목을 보인 것이다.
한편,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를 걸고리 형상으로 하여 자동차 시트(200)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내에서 취침을 취할 때 목을 받쳐주는 역할을 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근 길에 버스나 혹은 지하철에서 잠깐동안 취침을 하는 경우 목을 보호하면서도 편안한 취침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차량 글라스(G)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그 일측에는 고정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목을 받칠 수 있는 받침부(120)가 형성된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는 흡착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20)는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20)의 일측에는 알람용 타이머(1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20)의 일측에는 스피커(122)와 이어폰(123)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휴대폰과 연결되는 외부 잭(12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와 받침부(120) 사이에는 연결봉(130)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130)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어 받침부(120)가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13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홈(131)이 형성되며, 이 걸림홈(131)에는 걸림돌기(132)가 선택적으로 걸려서 상기 연결봉(130)의 길이가 조절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는 걸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의 일측에는 탈거용 돌기(1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내면에는 지압돌기(140)을 갖는 부직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140)는 모터(150)에 의해서 진동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20)의 내면에는 원적외선 물질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KR2020010034877U 2001-11-13 2001-11-13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KR200266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877U KR200266358Y1 (ko) 2001-11-13 2001-11-13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877U KR200266358Y1 (ko) 2001-11-13 2001-11-13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676A Division KR20030028771A (ko) 2003-01-06 2003-01-06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358Y1 true KR200266358Y1 (ko) 2002-03-02

Family

ID=7311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877U KR200266358Y1 (ko) 2001-11-13 2001-11-13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3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3753U (ja) 枕クッション及び座席
TW201400105A (zh) 椅子
KR200266358Y1 (ko)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KR101914113B1 (ko) 자석을 이용하여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베개
KR101018300B1 (ko) 사용자에 대한 안락성이 보장되는 안마기
KR20030028771A (ko)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KR200278057Y1 (ko) 베개
JPH05137630A (ja) 安楽椅子
JPH10295757A (ja) 椅 子
JP2003189398A (ja) 耳殻起こし補聴器
JP2008295485A (ja) 安眠枕カバーおよび安眠枕
KR200237761Y1 (ko) 베개
KR102475734B1 (ko)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CN219461869U (zh) 模组化按摩组件以及按摩设备
CN219515885U (zh) 智能孕妇枕
JP3028136U (ja) 調整機能を有する枕の構造
KR940005631Y1 (ko) 세발용 쿠션구
KR102530138B1 (ko) 자유 움직임 소음 차단 베개
JP3005371U (ja) 枕用サウンドマット
JP2003325297A (ja) スピーカー付u型枕
KR200420245Y1 (ko) 다기능 헤드레스트
KR200450349Y1 (ko)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
JP3019855U (ja) 腰当てクッション
JPH0310991Y2 (ko)
JP2003125910A (ja) 頭頂部押圧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