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057Y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057Y1
KR200278057Y1 KR2020020008490U KR20020008490U KR200278057Y1 KR 200278057 Y1 KR200278057 Y1 KR 200278057Y1 KR 2020020008490 U KR2020020008490 U KR 2020020008490U KR 20020008490 U KR20020008490 U KR 20020008490U KR 200278057 Y1 KR200278057 Y1 KR 200278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llow
sides
central portion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화
Original Assignee
이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화 filed Critical 이성화
Priority to KR2020020008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057Y1/ko

Link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12)가 양측부(13)보다 낮게 형성되고 중심부(12)와 양측부(13)를 연결하는 경사부분(14)에는 신축성을 갖도록 주름(15)이 형성된 플레이트(10)를 스프링(28)을 개재시켜 몸체(20)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10)의 양측부(13) 하면에는 몸체(20)의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플레이트(10)의 이탈을 막는 가이드벽(16)을 돌출형성하며, 상기 스프링(28)은 플레이트(10)와 몸체(20)에 복수개의 고정축(17)(27)을 형성하여 고정하고, 상기 몸체(20)내부에는 스피커(44)(54)와 카세트플레이어(46) 및 알람장치(56)를 구비하여 몸체(20)의 외부로 알람설정용 레버(58)와 카세트플레이어 구동용 스위치(48) 및 카세트투입구(49)를 돌출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베개(30)의 외주에는 상기 중심부(12)와 경사부분(14)에 원적외선 방사체(62)가 설치된 커버(60)로 커버됨으로써, 베개(30)를 사용할 경우 누운 자세가 편안하도록 즉 반듯하게 눕거나 모로 눕더라도 목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스프링에 의하여 적당한 탄력으로 완충이 되도록하고, 태교음악등의 음악이나 알람기능이 제공되므로 사용상의 만족도가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부가 양측부보다 낮게 형성되며 중심부와 양측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분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성을 갖는 플레이트를 몸체상부에 스프링을 개재시켜 설치하고, 베개에서 태교음악과 같은 음악과 알람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목이 젖혀지지 않고 편안하게 누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음악청취와 알람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만족도가 향상되도록 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환자들이 점점 늘고, 목·허리 디스크의 원인도 잘못된 수면자세에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베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베개는 일반적으로 수면을 취하거나 몸이 아파서 누울 경우에 누워있는 자세를 편하게 하기 위하여 머리에 받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수면자세를 결정짓는 베개는 신체의 균형을 잡아줘 편안한 잠을 유도하는데 큰 역할을 하며, 그 높이와 형태 및 재질에 따라 수면효과가 달라지는데, 국내에서 연구된 베개의 이상적인 높이는 6~8㎝로써, 성인남자의 경우 바로 누운 자세에서는 7㎝, 옆으로 누웠을 때는 10㎝가 적당하고, 탄력성을 갖는 것이 좋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베개는 중심부가 볼록한 직사각형 내지 원통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베개는 중심부가 볼록하거나 중심부가 양측부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로 누웠을 때 베개(1a)의 높이가 목에 부담이 가지 않은 높이일 경우, 모로 눕게 될 경우에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깨 때문에 바닥과 목사이의 높이보다 베개(1b)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목이 아래로 많이 젖혀져서 자세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높이가 안맞는 베개를 계속 사용할 경우 머리근육에 통증이 올 수 있으며 특히 성장기 어린이는 골격발달에도 영향을 받으며, 베개를 잘못 베면 목디스크를 일으키거나 혈액순환 장애로 심장에 무리를 줄 수 있고, 높이가 맞지 않는 베개의 경우에는 자세가 불편하여 숙면을 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침단명(高枕短命), 즉 높은 베개는 수명을 줄인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높은 베개가 머리부위의 정맥류를 압박시켜 순조로운 피의 흐름을 막기 때문으로, 나이가 들어 뇌출혈이나 뇌졸중 등을 증가시킬 위험이 있으며, 목·뼈 이상을 가져오고 목부위 근육을 긴장시켜 신경성두통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베개는 머리를 받치는 기능밖에 없기 때문에 다양화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심부가 양측부보다 낮게 형성되며 중심부와 양측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분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성을 갖는 플레이트를 몸체상부에 스프링을 개재시켜 설치하고, 베개에서 음악과 알람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목이 젖혀지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누울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음악청취와 알람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만족도가향상되도록 한 베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및 도 1b는 종래의 베개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분리사시도
도 2c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2d는 도 2a의 B-B선 단면도
도 2e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에 커버를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레이트 12 : 중심부
13 : 양측부 14 : 경사부분
15 : 주름 16 : 가이드벽
17 : 고정축 20 : 몸체
27 : 고정축 28 : 스프링
30 : 베개 46 : 카세트플레이어
48 : 카세트플레이어 구동용 스위치 49 : 카세트투입구
56 : 알람장치 58 : 알람설정용 레버
60 : 커버 62 : 원적외선 방사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 도 2a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d는 도 2a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2e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에 커버를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베개는 도 2a내지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부(12)가 양측부(13)보다 낮게 형성되고 중심부(12)와 양측부(13)를 연결하는 경사부분(14)에는 신축성을 갖도록 주름(15)이 형성되고 양측부(13) 하면에는 하방으로 가이드벽(16)이 돌출 형성되며 중심부(12)와 양측부(13) 하면에는 다수개의 스프링 고정축(17)이 돌출형성된 플레이트(10)와, 상단부가 상기 플레이트(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플레이트(10)의 고정축(17)과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크기로 다른 고정축(27)이 돌출형성되어 복수개의 고정축(17)(27)에 설치되는 스프링(28)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0)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0)의 가이드벽(16)이 내주면을 따라서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된 몸체(20)와, 상기 플레이트(10)와 몸체(20)를 커버하되 양측부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부분(14)과 중심부(1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원적외선 방사체(62)가 설치된 커버(60)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베개(30)의 중심부(12)는 바로 누웠을 때 편한 높이를 가지고, 양측부(13)는 모로 누웠을 때 편한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몸체(20)내부에는 스피커(44)(54)와 카세트플레이어(46) 및 알람장치(56)가 구비되며, 몸체(20)의 외부로 알람설정용 레버(58)와 카세트플레이어 구동용 스위치(48) 및 카세트투입구(49)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0)에는 음악 및 알람소리(멜로디 또는 음성메세지 포함)를 사용자가 잘 들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18)이 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스피커(44)(54)를 통공(18)밑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복수개의 고정축(17)(27)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측 고정축(27)이 다른 고정축(17)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면 되는데,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20)의 고정축(27)외주와 플레이트(10)의 고정축(17)내주 사이로 상기 스프링(28)을 설치함으로써, 스프링(28)이 압축되거나 신장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베개(30)는 스프링(28)의 텐션에 의하여 상/하로 완충력을 가지므로 누웠을 때 쿠션감을 느끼게 되고, 플레이트(10)의 가이드벽(16)은 몸체(20)내주면을 타고 승/하강되므로 플레이트(10)가 몸체(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바로 누울 경우에는 중심부(12)를 베고 모로 누울 경우에는 양측부(13)를 베면 목이 젖혀지지 않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게 되므로 누운 자세가 편하며, 카세트플레이어 구동용 스위치(48)를 조작하여 베개(30)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태교음악등의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알람설정용 레버(58)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해두면 일어나고 싶은 시간에 알람이 울리게 되므로 원하는 시간에 일어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주름(15)에 의하여 사용자가 중심부(12)에 누웠을 경우 상기 주름(15)이 늘어나므로 중심부(12)가 아래로 좀 더 내려가게 되고, 스프링(28)의 텐션과 함께 주름(15)의 신축성에 의하여 양호한 쿠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28)을 그 텐션의 강약을 다르게 할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텐션을 갖는 부분을 벨 수 있게되는데, 그 예로써는 딱딱한 베개를 좋아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가장 강한 스프링이 설치된 부분을 베고 쿠션이 좋은 베개를 좋아하는 사람은 가장 약한 스프링이 설치된 부분을 베면 된다.
더욱이, 상기 커버(60)에는 원적외선 방사체(62)가 부착되어 있어서 누워있는 중에도 원적외선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베개의 양측부가 중심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및 주름에 의하여 상/하 완충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로 눕거나 모로 누웠을 경우 목이 아래로 젖혀지지 않고 편하게 되어,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수면자세의 불편으로 인한 통증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개를 벤 상태로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알람기능이 구비되어 있어서, 베개 사용상의 만족도가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원적외선 방사체가 커버에 부착되어 있어서 베개를 베고 있는 중에도 원적외선을 체험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증진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베개에 있어서,
    중심부(12)가 양측부(13)보다 낮게 형성되고 중심부(12)와 양측부(13)를 연결하는 경사부분(14)에는 신축을 위한 주름(15)이 형성되고 양측부(13) 하면에는 하방으로 가이드벽(16)이 돌출형성되며 중심부(12)와 양측부(13) 하면에는 다수개의 스프링 중공축(17)이 돌출형성된 플레이트(10)와,
    상단부가 상기 플레이트(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플레이트(10)의 고정축(17)과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크기로 다른 고정축(27)이 돌출형성되어 복수개의 고정축(17)(27)에 설치되는 스프링(28)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0)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0)의 가이드벽(16)이 내주면을 따라서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피커(44)(54)와 카세트플레이어(46) 및 알람장치(56)가 구비되며, 양측 외부로 알람설정용 레버(58)와 카세트플레이어 구동용 스위치(48) 및 카세트투입구(49)가 돌출형성된 몸체(20)와,
    상기 플레이트(10)와 몸체(20)외주를 커버하되 양측부는 개방되도록 커버하고, 상기 중심부(12)와 경사부분(14)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원적외선 방사체(62)가 부착된 커버(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2020020008490U 2002-03-21 2002-03-21 베개 KR200278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490U KR200278057Y1 (ko) 2002-03-21 2002-03-21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490U KR200278057Y1 (ko) 2002-03-21 2002-03-21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057Y1 true KR200278057Y1 (ko) 2002-06-20

Family

ID=7308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490U KR200278057Y1 (ko) 2002-03-21 2002-03-21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05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93B1 (ko) 2007-05-08 2007-09-04 백재은 침구용 베개
KR100818692B1 (ko) * 2007-01-22 2008-04-08 유주현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KR101924528B1 (ko) * 2017-03-06 2018-12-03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스마트 베개 시스템
CN109222547A (zh) * 2018-11-21 2019-01-18 湖南康宝源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功能保健颈椎枕头
KR20220070916A (ko) * 2020-11-23 2022-05-31 김정곤 안마베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692B1 (ko) * 2007-01-22 2008-04-08 유주현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KR100755493B1 (ko) 2007-05-08 2007-09-04 백재은 침구용 베개
KR101924528B1 (ko) * 2017-03-06 2018-12-03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스마트 베개 시스템
CN109222547A (zh) * 2018-11-21 2019-01-18 湖南康宝源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功能保健颈椎枕头
KR20220070916A (ko) * 2020-11-23 2022-05-31 김정곤 안마베개
KR102406227B1 (ko) * 2020-11-23 2022-06-07 김정곤 안마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7668A (en) Therapeutic headrest device
KR101883182B1 (ko) 기능성 베개
US5579551A (en) Arch shaped pillow apparatus with ear accomodating hole
US5423099A (en) Infant safety pillow
KR200278057Y1 (ko) 베개
JP2014000400A (ja) 椅子
JP2003274468A (ja) 低周波音増幅発振装置
US4498477A (en) Mattress
KR100856571B1 (ko) 기능성 양면베개
CN113768327A (zh) 具有复合材料支撑结构的枕头
KR200440193Y1 (ko) 통풍 구멍을 구비한 쿠션
US20170000680A1 (en) Decorative cushion massage device
KR101491029B1 (ko) 다기능 베개
JP2006136515A (ja)
JPH10146247A (ja) クッション材
KR102273164B1 (ko) 높이 조절기능을 가지는 베개
KR200381388Y1 (ko) 통풍 의자
KR200211509Y1 (ko) 소파
KR200266358Y1 (ko) 차량에서의 취침용 목 받침대
GB2323277A (en) Pillow with airway to facilitate breathing
KR200302710Y1 (ko) 통풍 지압 건강베개
KR200345154Y1 (ko) 수면용 머리 받침대
KR20180050772A (ko)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JP2003010023A (ja)
KR200312321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