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571B1 - 기능성 양면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양면베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6571B1 KR100856571B1 KR1020070004303A KR20070004303A KR100856571B1 KR 100856571 B1 KR100856571 B1 KR 100856571B1 KR 1020070004303 A KR1020070004303 A KR 1020070004303A KR 20070004303 A KR20070004303 A KR 20070004303A KR 100856571 B1 KR100856571 B1 KR 100856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ow
- support
- support part
- detachable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5—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양면베개에 관한 것으로, 제1머리받침부와 제2머리받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베개몸체; 상기 제1머리받침부 반대측의 상기 베개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베개몸체의 일측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머리받침부 반대측의 상기 베개몸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베개몸체의 타측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와 함께 상기 베개몸체 또는 머리를 지지하고 중앙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사이의 상기 베개몸체에 구비되는 제3지지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측와위 자세로 누울 시 바닥에 접촉되는 팔을 공간부에 위치시키면 팔이 자연스럽게 위치되면서 압박이 최소화되므로 편안한 자세로 숙면할 수 있고, 팔이 베개 하부의 공간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앙와위 자세로 누우면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머리의 양측에 지지되고 제3지지부가 목부위에 지지되므로 베개에 의해 머리 및 목부위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앙와위에서 측와위로, 또는 측와위에서 앙와위로 취침 자세가 바뀌면서 머리의 높낮이가 바뀔 시 본 발명의 베개가 이를 적절히 보완하므로 취침 자세가 바뀌더라도 목이나 어깨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적절한 위치에서 머리를 받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 내에 수납된 기능성 방향제의 향이나 음향장치의 멜로디가 베개 주변으로 확산되거나 전파되면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숙면을 돕게 되어 건강을 증진시키게 되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 를 베개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른 것으로 교체하거나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에 별도의 지지부들을 더 결합시켜서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베개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베개몸체, 제1머리받침부, 제2머리받침부,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 공간부, 착탈수단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및 그 배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를 뒤집은 상태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및 그 결합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의 착탈수단들을 보인 저면 사시도들 및 분리 정면도
도 18 내지 21은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저면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높낮이 조절구조들을 보인 개략적 부분 측단면도 및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0,110,110',160,210,290,310,330,370 : 베개몸체
11 : 제1머리받침부 12 : 제2머리받침부
13 : 볼록부 14 : 오목부
20,70,120,120'170,220,340 : 제1지지부
30,80,130,130',180,230,350 : 제2지지부
40,90,140,140',190,240,360 : 제3지지부
50 : 공간부 51 : 중앙공간
52 : 제1통로 53 : 제2통로
54 : 제3통로 61,342 : 제1착탈홈
62,352 : 제2착탈홈 63,362 : 제3착탈홈
71,341 : 제1착탈돌부 81,351 : 제2착탈돌부
91,361 : 제3착탈돌부 100,150,200 : 착탈수단
111 : 제1가이드홈 112 : 제2가이드홈
113 : 제3가이드홈 121 : 제1가이드돌기
131 : 제2가이드돌기 141 : 제3가이드돌기
171 : 제1벨크로화스너 181 : 제2벨크로화스너
221 : 제1수납공간 222 : 제1통기구멍
231 : 제2수납공간 232 : 제2통기구멍
241 : 제3수납공간 242 : 제3통기구멍
291 : 착탈홈 292,302,321,381 : 수납공간
293,322 : 통기구멍 300 : 지지부
301 : 착탈돌기 311 : 결합공간
320 : 보조캡 380 : 베개커버
382 : 쿠션재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앙와위 자세나 측와위 자세로 누워도 머리를 적정 높이로 지지하고, 머리, 목, 어깨 부위의 곡률에 맞게 이를 적절히 지지하며, 측와위로 누울 때에 하부 팔을 비교적 편안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기능성 양면베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베개는 누울때 머리를 편하게 받치는데 사용되는 침구로써, 이는, 팥, 녹두 등의 곡식이나 쌀겨, 메밀껍질 등을 속에 넣어 만들기도 하며, 나무, 대, 도기 등으로 만들기도 한다. 보통 이러한 베개는 직육면체나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포대의 내부에 왕겨, 메밀 또는 기타 건강 증진용 충진물의 내용물을 적당히 채워 넣어 봉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베개는 수면시 머리를 받쳐주는 보조적인 도구로서만 사용되다가 최근에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누울 때 머리를 편하게 받쳐주는 보조적인 기구 이상으로 신체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메모리폼과 같은 신재료 기술을 활용한 베개나, 다양한 속재료를 활용한 향건강성베개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메모리폼 베개는 촉감이 우수하고 부드러우면서도 탄성력이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다양한 속재료를 활용한 향건강성베개는, 베개의 속재료로 사용된 방향성 소재, 항균 소재, 원적외선 방출 소재 등에 의해 베개를 베고 있는 동안 피로가 풀리고 숙면을 취하며 혈액순환이 촉진되는 등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보통 취침 중에는 수면자세가 여러 번 바뀌게 되는데, 상술한 메모리폼 베개나 향건강성베개는 앙와위(仰臥位)에서 측와위(側臥位)로, 또는 측와위에서 앙와위로 취침자세가 바뀔 시 신체의 대응 부위를 편안하게 지지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취침 자세가 앙와위에서 측와위로 바뀔 시 바닥에 대응되는 하부 팔이 매우 불편해진다. 즉, 하부 팔이 몸체에 눌리지 않으려면 몸체를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어야 하고, 머리나 베개에 눌리지 않으려면 이들을 벗어나서 위치되어야 하며 몸체보다 후방에 위치되면 팔이 꺽이면서 매우 불편해진다.
이러한 종래 베개들은 앙와위에서 측와위로 취침자세가 변화될 시 머리의 높낮이를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는 있지만 이때 신체의 각부위 특히 팔 부위를 편안하게 위치되도록 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6,484,336호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베개의 하부 일측에 팔 삽입용 홈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측와위 자세로 누울시 팔을 이 홈에 삽입시켜서 비교적 편안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베개는 팔을 베개의 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팔이 한 곳에만 고정되어 위치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이러한 종래 베개는 베개의 높이가 일정하므로 취침 자세가 앙와위에서 측와위로 바뀌거나 측와위에서 앙와위로 바뀔 시 머리와 바닥 사이의 높이차를 적절히 보완하지 못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취침 자세가 바뀌더라도 목이나 어깨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머리를 받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양면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앙와위나 측와위 자세로 누울 시 머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기능성 양면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와위로 누울 시 바닥에 접촉되는 팔을 편안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양면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와위로 누워서 하부 팔을 편안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팔을 일정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양면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개를 베고 누울 시 숙면을 취하고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양면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개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양면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양면베개는, 제1머리받침부와 제2머리받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베개몸체; 상기 제1머리받침부 반대측의 상기 베개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베개몸체의 일측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머리받침부 반대측의 상기 베개몸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베개몸체의 타측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와 함께 상기 베개몸체 또는 머리를 지지하고 중앙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사이의 상기 베개몸체에 구비되는 제3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다른 특징은, 상기 베개몸체는, 그 전체가 V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그 양측에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사이의 볼록한 중앙부분에 상기 제3지지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공간부는, 상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중앙공간과,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중앙공간을 베개 둘레의 공간과 연결하는 제1통로와, 상기 제1지지부 및 제3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중앙공간을 베개 둘레의 공간과 연결하는 제2통로와, 상기 제2지지부 및 제3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중앙공간을 베개 둘레의 공간과 연결하는 제3통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공간부는, 팔죽지를 상기 제1통로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팔뚝을 제2통로와 제3통로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통로측 중앙공간에 비해 상기 제3지지부측 중앙공간이 더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가 상기 베개몸체에 대해 착탈되도록 이들 사이에 착탈수단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에 각각 형성된 제1착탈돌부, 제2착탈돌부, 제3착탈돌부와, 상기 제1착탈돌부, 제2착탈돌부, 제3착탈돌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개몸체에 각각 형성된 제1착탈홈, 제2착탈홈, 제3착탈홈으로 이루어진다.
착탈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의 일면에 각각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 제2가이드돌기, 제3가이드돌기와, 상기 제1가이드돌기, 제2가이드돌기, 제3가이드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개몸체에 각각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제1가이드돌기, 제2가이드돌기, 제3가이드돌기가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제1가이드홈, 제2가이드홈, 제3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착탈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에 각각 형성된 제1벨크로화스너들과, 상기 제1벨크로화스너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베개몸체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제1벨크로화스너들에 착탈되는 제2벨크로화스너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는, 그 내부에 각각 제1수납공간, 제2수납공간, 제3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납공간, 제2수납공간, 제3수납공간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그 일면에 각각 다수의 제1통기구멍들, 제2통기구멍들, 제3통기구멍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는, 일면에 각각 제1착탈돌부, 제2착탈돌부, 제3착탈돌부가 형성되고 타면에 각각 제1착탈홈, 제2착탈홈, 제3착탈홈이 형성되어서, 복수의 상기 제1지지부들, 제2지지부들, 제3지지부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거나 분리하여서 베개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측와위 자세로 누울 시 제1머리받침부 또는 제2머리받침부를 베고 바닥에 접촉되는 팔을 공간부에 위치시키면 팔이 자연스럽게 위치되면서 압박이 최소화되므로 편안한 자세로 숙면할 수 있다.
또한, 측와위로 누운 상태에서 공간부에 위치시킨 팔을 일정각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팔이 제1통로, 중앙공간, 제2통로를 경유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팔뚝 부분을 움직여서 팔이 제1통로, 중앙공간, 제3통로를 경유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팔이 본 발명의 베개 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팔이 한 곳에만 고정됨에 따른 팔저림 등의 문제가 어느 정도 보완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본 발명의 베개를 뒤집은 후 제3지지부가 목부위에 대향되도록 앙와위 자세로 누우면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머리의 양측에 지지되고 제3지지부가 목부위에 지지되므로 본 발명의 베개에 의해 머리 및 목부위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목 부위나 어깨 부위의 결림없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베개는, 머리가 중앙공간에 위치되고 그 양측이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앙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측와위 자세로 몸을 돌리면, 중앙공간에 위치된 머리가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 상에 위치되면서 머리 받침의 위치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측와위 자세시 어깨에 의해 상승된 머리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1지지부 또는 제2지지부를 베고 측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앙와위 자세로 몸을 돌리면, 머리가 중앙공간에 위치되면서 낮아진 위치의 머리를 적절히 지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취침 자세가 바뀌더라도 목이나 어깨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적절한 위치에서 머리를 받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의 제1수납공간, 제2수납공간, 제3수납공간 내에 아로마향과 같은 기능성 방향제가 투입되거나 멜로디가 발산되는 음향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베개를 베고 눕게 되면 기능성 방향제의 향이나 음향장치의 멜로디가 베개 주변으로 확산되거나 전파되면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숙면을 돕게 되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를 베개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른 것으로 교체하거나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에 별도의 지지부들을 더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베개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그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및 그 배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정면도 및 측면도로써, 이는, 베개몸체(10)와,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제3지지부(40)로 이루어진다.
베개몸체(10)는, 제1머리받침부(11)와 제2머리받침부(12)가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베개몸체(10)는 그 전체가 V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일측면 중앙에는 오목부(14)가 형성되고 타측면 중앙에는 볼록부(13)가 형성된다. 이 베개몸체(10)의 둘레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손바닥을 이 베개몸체(10)의 측면둘레에 얹을 시 손바닥면이 곡면 형태의 베개몸체(10) 둘레에 자연스럽게 접촉되면서 손을 편안하게 지지한다.
베개몸체(10)의 볼록부(13)는 그 상부가 다른부분에 비해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8과 같이 손바닥을 이 볼록부(13)의 상측에 얹을 시 손바닥면이 볼록한 볼록부(13)의 상면에 자연스럽게 접촉된다.
이러한 V자 형태의 베개몸체(10)는 오목부(14)를 포함한 내측의 오목하게 절곡된 부분이 측와위 자세의 신체의 상부의 곡률에 맞게 형성되어 있다. 즉, 측와위 상태로 누우면 바닥면에 대향되는 신체의 어깨선과 이 어깨선으로부터 연결되는 가슴선은 그 전체가 ㄱ자, 또는 ㄴ자, 또는 V자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측와위 자세로 누울 시 베개몸체(10)의 오목한 내측면이 신체의 어깨부분과 가슴부분에 대향되면서 지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베개몸체(10)는 측와위 자세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자세에서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준다.
제1지지부(20)는, 제1머리받침부(11) 반대측의 베개몸체(10)에 구비되어 베개몸체(10)의 일측 또는 머리를 지지한다.
제2지지부(30)는, 제2머리받침부(12) 반대측의 베개몸체(10)에 구비되어서 베개몸체(10)의 타측 또는 머리를 지지한다.
제3지지부(40)는, 제1지지부(20) 및 제2지지부(30)와 함께 베개몸체(10) 또는 머리를 지지하고 중앙부분에 공간부(50)가 형성되도록 제1지지부(20) 및 제2지지부(30) 사이의 베개몸체(10)에 구비된다.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제3지지부(40) 중, 제1지지부(20) 및 제2지지부(30)는 베개몸체(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3지지부(40)는, 제1지지부(20) 및 제2지지부(30) 사이의 볼록한 중앙부분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제3지지부(40)가 상측을 향하도록 베개를 뒤집은 후 제3지지부(40)가 목부위에 대향되도록 앙와위 자세로 누우면 제1지지부(20) 및 제2지지부(30)가 머리의 양측에 지지되고 제3지지부(40)가 목부위에 지지된다. 그러므로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제3지지부(40)가 목부위를 포함한 머리의 세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목 부위나 어깨 부위의 결림없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제3지지부(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50)는, 중앙공간(51), 제1통로(52), 제2통로(53), 제3통로(54)로 이루어진다.
중앙공간(51)은,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제3지지부(40) 사이에 형성되며, 앙와위 자세로 누울 시 머리 부분이 위치된다. 제1통로(52)는, 제1지지부(20) 및 제2지지부(30) 사이에 형성되어서 중앙공간(51)을 베개 둘레의 공간과 연결하며, 팔죽지가 위치된다. 제2통로(53)는, 제1지지부(20) 및 제3지지부(40) 사이에 형성되어서 중앙공간(51)을 베개 둘레의 공간과 연결하며, 팔뚝부분이 위치된다. 제3통로(54)는, 제2지지부(30) 및 제3지지부(40) 사이에 형성되어서 중앙공간(51)을 베개 둘레의 공간과 연결하며, 팔뚝부분이 위치된다.
따라서, 측와위 자세로 누울 시 제1머리받침부(11) 또는 제2머리받침부(12)를 베고 바닥에 접촉되는 팔을 공간부(50)에 위치시키면 팔이 자연스럽게 위치되면서 압박이 최소화되므로 편안한 자세로 숙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50)의 중앙공간(51)은, 팔죽지를 제1통로(5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팔뚝을 제2통로(53)와 제3통로(54)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통로(52)측 중앙공간(51)에 비해 제3지지부(40)측 중앙공간(51)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부(50)에 의해 측와위로 누운 상태에서 공간부(50)에 위치시킨 팔을 일정각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바, 팔이 제1통로(52), 중앙공간(51), 제2통로(53)를 경유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팔뚝 부분을 움직여서 팔이 제1통로(52), 중앙공간(51), 제3통로(54)를 경유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팔이 본 발명의 베개 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팔이 한 곳에만 고정됨에 따른 팔저림 등의 문제가 어느 정도 보완된다.
한편, 제1지지부(20)와 제2지지부(30)를 바닥에 접촉되도록 위치시킬 시, 제3지지부(40)도 바닥에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으로부터 일정 폭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지지부(40)가 바닥면에서 일정 폭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므로 제2통로(53)에 위치한 팔이 제3통로(54)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로 이동할 때에, 제3지지부(40) 및 바닥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비교적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성 양면베개는, 메모리폼(memory foam)을 포함한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베개의 재질은 상술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시판되는 다양한 종류의 베개의 재질이 본 발명의 베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들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 기능성 양면베개를 뒤집은 상태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들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양면베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능성 양면베개는 도 7과 같이 베개를 베고 측와위로 누울 수 있다. 이때 베개몸체(10)의 제1머리받침부(11)를 베고 바닥에 대향되는 한쪽 팔은 공간부(50)의 제1통로(52), 중앙공간(51), 제3통로(54)를 지나도록 위치시키며, 다른 한 팔의 손바닥은 제2머리받침부(12)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베개를 베고 측와위 자세로 눕게 되면, 머리와 목과 상체가 바르게 위치되고, 바닥에 대향된 한쪽 팔은 공간부(50)에 자연스럽게 위치된다. 따라서 한쪽 팔이 머리나 베개, 상체에 의해 심하게 압박되지 않고 편안하게 위치되므로 팔저림이 방지되는 등, 숙면에 기여한다.
그리고 나머지 한 팔은 제2머리받침부(12)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그 손바닥이 제2머리받침부(12)의 일측 곡면에 자연스럽게 접촉되도록 위치시키므로 상측의 팔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양면베개는, 전체 형태가 V자 형태를 가지므로 측와위 상태로 누울 시 어깨선과 가슴선으로 연결되는 상체가 베개의 내측 오목한 부분에 접촉,지지된다. 따라서 측와위 자세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안정적인 자세에서 숙면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8은 도 7과 같은 측와위 자세에서 양 팔을 움직인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써, 이는, 도 7과 같이 제1통로(52), 중앙공간(51), 제2통로(53)를 경유하도록 위치된 상태의 팔을 움직여서 제1통로(52), 중앙공간(51), 제3통로(54)를 경유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팔이 베개의 공간부(50)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으므로 팔이 한 곳에만 고정됨에 따른 팔저림 등의 문제가 어느 정도 방지된다. 그리고 나머지 다른 팔은 베개의 상부에 비교적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그 손바닥은 볼록부(13) 상측의 볼록한 면에 자연스럽게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과 같이 측와위 자세로 베개를 벨 경우, 베개의 일측면이 가슴에 지지된다. 따라서 측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상체가 바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편안한 자세로 숙면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의 베개는 제1통로(52), 제2통로(53), 제3통로(54)에 대향되는 베개몸체(10)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측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하부 팔을 제1통로(52), 제2통로(53), 또는 제1통로(52), 제3통로(54)에 삽입시켜도 이에 의해 심하게 압박되지는 않는다.
만약, 베개 전체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베개의 일측을 베고 베개의 타측에 하부 팔을 끼운 상태라면 머리의 하중이 하부 팔이 삽입된 베개의 타측에도 전달되면서 베개의 하중에 머리의 하중이 중첩되어서 하부 팔에 전달되어서 하부 팔의 압박을 가중시킬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제1통로(52), 제2통로(53), 제3통로(54)에 대향되는 베개몸체(10)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서 쉽게 접철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가 어느 정도 보완된다.
즉,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2머리받침부(12)를 베고 제1통로(52), 제2통 로(53), 또는 제1통로(52), 제3통로(54)에 하부 팔을 삽입시키면 삽입된 팔의 두께만큼 통로부위가 상측으로 가볍게 들리게 된다. 따라서 하부 팔이 위치될 통로 부위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되므로 제2머리받침부(12)에 작용하는 머리의 하중이 하부 팔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측와위 자세로 제2머리받침부(12)를 벤 상태에서 하부 팔을 베개의 하부에 삽입시켜도 머리의 하중 이에 의해 심하게 압박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베개를 뒤집은 상태에서 앙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제3지지부(40)가 상측을 향하도록 베개를 뒤집은 후 제3지지부(40)가 목부위에 대향되도록 앙와위 자세로 누우면, 제1지지부(20) 및 제2지지부(30)가 머리의 양측에 지지되고 제3지지부(40)가 목부위에 지지된다. 따라서 머리 및 목부위가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제3지지부(40)에 의해 머리와 목과 상체가 바르게 위치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목 부위나 어깨 부위의 결림없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도 10은, 목부위가 제2통로(53)상에 위치되도록 앙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누우면 제2통로(53)의 양측이 목의 양측 부분을 지지하고,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제3지지부(40)가 머리의 세 부분을 지지하며, 양측 어깨부분이 베개의 대응 측면의 곡면을 따라 지지되면서 머리, 목부분, 상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서는 목부위가 제2통로(53) 상에 위치되도록 앙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를 도시하였지만, 목부위가 제3통로(54) 상에 위치되도록 앙와위 자세로 누워도 상술한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도 11은, 도 9 또는 도 10과 같이 앙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몸을 일측으로 돌려서 측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9와 같이 머리가 중앙공간(51)에 위치되고 그 양측이 제1지지부(20) 및 제2지지부(30)에 지지되도록 앙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측와위 자세로 몸을 돌리면, 중앙공간(51)에 위치된 머리가 제2지지부(30)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머리가 앙와위 자세에서 비교적 낮은 위치에서 편안하게 지지되다가 측와위 자세로 변경되면서 상승되는데, 이때 어깨에 의해 상승된 머리를 제2지지부(30)가 적절히 지지하게 된다.
반대로 비교적 높은 제1지지부(20) 또는 제2지지부(30)를 베고 측와위 자세로 누운 상태에서 앙와위 자세로 몸을 돌리면, 머리가 중앙공간(51)에 위치되면서 낮아진 머리를 적절히 지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앙와위 자세에서 측와위 자세로, 또는 측와위 자세에서 앙와위 자세로 바뀌더라도 머리와 목, 상체가 항상 바르게 지지된다.
도 12는,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제3지지부(40)가 상측을 향하도록 베개를 뒤집은 상태에서 제1지지부(20)를 베고, 하부 팔을 자연스럽게 펼쳐서 베개 의 측면 곡률을 따라 위치되도록 하며, 상부 팔은 제3통로(54), 중앙공간(51), 제1통로(52)에 안착되도록 편안하게 위치시킨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누우면 머리, 목, 상체가 바르게 위치될 뿐 아니라 양 팔이 베개의 공간부(50) 및 측면에 자연스럽게 접촉되면서 지지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양면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및 그 결합 단면도로써, 이는, 제1지지부(70), 제2지지부(80), 제3지지부(90)가 베개몸체(60)에 대해 착탈되도록 이들 사이에 착탈수단(10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착탈수단(100)은, 제1지지부(70), 제2지지부(80), 제3지지부(90)에 각각 형성된 제1착탈돌부(71), 제2착탈돌부(81), 제3착탈돌부(91)와, 제1착탈돌부(71), 제2착탈돌부(81), 제3착탈돌부(91)에 대응되도록 베개몸체(60)에 각각 형성된 제1착탈홈(61), 제2착탈홈(62), 제3착탈홈(6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기능성 양면베개는, 제1지지부(70), 제2지지부(80), 제3지지부(90)를 베개몸체(60)로부터 분리시킨 후 높낮이가 다르거나 재질이 다른 지지부들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베개의 탄력 등의 요건들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의 착탈수단들을 보인 저면 사시도들로써, 이 착탈수단(150)(150')은, 제1지지부(120)(120'), 제2지지부(130)(130'), 제3지지 부(140)(140')의 일면에 각각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121)(121'), 제2가이드돌기(131)(131'), 제3가이드돌기(141)(141')와, 제1가이드돌기(121)(121'), 제2가이드돌기(131)(131'), 제3가이드돌기(141)(141')에 대응되도록 베개몸체(110)(110')에 각각 길게 형성되어서 제1가이드돌기(121)(121'), 제2가이드돌기(131)(131'), 제3가이드돌기(141)(141')가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제1가이드홈(111)(111'), 제2가이드홈(112)(112'), 제3가이드홈(113)(11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착탈수단(150)(150') 중, 도 15의 착탈수단(150)은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 반면에, 도 16의 착탈수단(150')은 더브테일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지지부(120)(120'), 제2지지부(130)(130'), 제3지지부(140)(140')를 베개몸체(110)(110')에 착탈시킴에 따른 효과는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착탈수단들을 보인 분리 정면도로써, 이는, 착탈수단(200)이, 제1지지부(170), 제2지지부(180), 제3지지부(190)에 각각 형성된 제1벨크로화스너(171)들과, 제1벨크로화스너(181)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베개몸체(160)에 각각 형성되어서 제1벨크로화스너(171)들에 착탈되는 제2벨크로화스너(181)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3 내지 도 16와 비교하면 착탈수단을 이루는 구성요소만 다를 뿐 이에 의한 효과를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기능성 양면베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 및 그 부분 단면도로써, 이는, 베개몸체(210)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220), 제2지지부(230), 제3지지부(240)의 내부에, 각각 제1수납공간(221), 제2수납공간(231), 제3수납공간(241)이 형성되고, 제1수납공간(221), 제2수납공간(231), 제3수납공간(241)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각각 다수의 제1통기구멍(222)들, 제2통기구멍(232)들, 제3통기구멍(24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성 양면베개는 제1지지부(220), 제2지지부(230), 제3지지부(240)의 제1수납공간(221), 제2수납공간(231), 제3수납공간(241) 내에 아로마향과 같은 기능성 방향제가 투입되거나 멜로디가 발산되는 음향장치나 진동 안마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베개를 베고 눕게 되면 기능성 방향제의 향이나 음향장치의 멜로디가 베개 주변으로 확산되거나 전파되면서, 또는 베개가 진동되면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피로를 풀어 주면서 숙면을 돕게 되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제1지지부(220), 제2지지부(230), 제3지지부(240)의 제1수납공간(221), 제2수납공간(231), 제3수납공간(241) 내에 음향장치나 진동 안마장치가 내장될 경우, 이에 타이머스위치를 연결하여서 음향장치나 진동 안마장치가 일정한 시간동안만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8, 도 19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베개몸체(290)의 저면에 다수의 착탈홈(291)들이 형성되고, 그 중앙 부분에는 방향제 또는 음향장치 등이 수납되도록 수납공간(292)이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292)들이 다수의 통기구멍(293)들에 의해 베개몸체(290) 상부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300)의 상면에는 베개몸체(290)의 착탈홈(291)들에 결합되도록 착탈돌기(301)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착탈돌기(301)들 중앙부분에는 베개몸체(290)의 수납공간(292)에 대향되도록 수납공간(30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1은, 베개몸체(310)의 상부에 결합공간(3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공간(311)에는 이를 개폐하도록 보조캡(320)이 결합되어 있다. 이 보조캡(320)은 내부 하측에 방향제 또는 음향장치 등이 위치되도록 수납공간(3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공간(321)이 외부와 보조캡(32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다수의 통기구멍(3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향제 또는 음향장치 등을 베개몸체(310)의 결합공간(311) 중앙에 위치시킨 후 보조캡(320)을 씌우면 방향제 또는 음향장치가 보조캡(320)의 수납공간(321)에 위치되면서 본 발명의 베개 내에 수납된다.
이러한 도 20 및 도 21의 베개는, 도 18 및 도 19에 비해 베개의 내부에 방향제나 음향장치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구조만 다를 뿐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도 18 및 도 19와 동일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양면베개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로써, 이는, 제1지지부(340), 제2지지부(350), 제3지지부(360)가, 일면에 각각 제1착탈돌부(341), 제2착탈돌부(351), 제3착탈돌부(361)가 형성되고 타면에 각각 제1착탈홈(342), 제2착탈홈(352), 제3착탈홈(362)이 형성되어서, 복수의 제1지지부(340)들, 제2지지부(350)들, 제3지지부(360)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거나 분리하여서 베개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성 양면베개는, 제1지지부(340), 제2지지부(350), 제3지지부(360)를 베개몸체(330)로부터 분리시킨 후 높낮이가 다른 것이나 재질이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340), 제2지지부(350), 제3지지부(360)에 별도의 지지부들을 더 결합시켜서 지지부들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베개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이는, 본 발명의 베개몸체(37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베개커버(380)가 구비된다. 이러한 베개커버(380)는 하측에 베개몸체(370)가 수납되도록 수납공간(381)이 형성되고, 상측에 쿠션재(382)가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베개몸체(370)에 베개커버(380)를 씌워서 그 수납공간(381)에 베개몸체(370)가 내장되도록 한 후 사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베개는, 베개몸체(370)에 베개커버(380)를 씌우면 쿠션재(382)의 높이만큼 베개의 전체 높이가 상승된다. 베개몸체(370)에 쿠션재(382)의 충진량이 서로 다른 베개커버(380)를 씌우면 베개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는 베개커버(380)를 구비하여서 베개몸 체(370)에 씌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재(382)는 베개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베개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측와위 자세로 누울 시 바닥에 접촉되는 팔을 공간부에 위치시키면 팔이 자연스럽게 위치되면서 압박이 최소화되므로 편안한 자세로 숙면할 수 있고, 팔이 베개 하부의 공간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앙와위 자세로 누우면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머리의 양측에 지지되고 제3지지부가 목부위에 지지되므로 베개에 의해 머리 및 목부위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앙와위에서 측와위로, 또는 측와위에서 앙와위로 취침 자세가 바뀌면서 머리의 높낮이가 바뀔 시 본 발명의 베개가 이를 적절히 보완하므로 취침 자세가 바뀌더라도 목이나 어깨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적절한 위치에서 머리를 받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 내에 수납된 기능성 방향제의 향이나 음향장치의 멜로디가 베개 주변으로 확산되거나 전파되면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숙면을 돕게 되어 건강을 증진시키게 되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를 베개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른 것으로 교체하거나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에 별도의 지지부들을 더 결합시켜서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베개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0)
- 제1머리받침부(11)와 제2머리받침부(12)가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베개몸체(10)(60)(110)(110')(160)(210)(290)(310)(330)(370);상기 제1머리받침부(11) 반대측의 상기 베개몸체(10)(60)(110)(110')(160) (210)(290)(310)(330)(370)에 구비되어 상기 베개몸체(10)(60)(110)(110')(160) (210)(290)(310)(330)(370)의 일측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20)(70)(120) (120')(170)(220)(340);상기 제2머리받침부(12) 반대측의 상기 베개몸체(10)(60)(110)(110')(160) (210)(290)(310)(330)(370)에 구비되어서 상기 베개몸체(10)(60)(110)(110')(160) (210)(290)(310)(330)(370)의 타측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30)(80)(130) (130')(180)(230)(350);상기 제1지지부(20)(70)(120)(120')(170)(220)(340) 및 제2지지부(30)(80) (130)(130')(180)(230)(350)와 함께 상기 베개몸체(10)(60)(110)(110')(160)(210) (290)(310)(330)(370) 또는 머리를 지지하고 중앙부분에 공간부(50)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20)(70)(120)(120')(170)(220)(340) 및 제2지지부(30)(80)(130) (130')(180)(230)(350) 사이의 상기 베개몸체(10)(60)(110)(110')(160)(210)(290) (310)(330)(370)에 구비되는 제3지지부(40)(90)(140)(140')(190)(240)(3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몸체(10)(60)(110)(110')(160)(210)(290)(310) (330)(370)는,그 전체가 V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그 양측에 상기 제1지지부(20)(70)(120)(120')(170)(220)(340) 및 제2지지부(30)(80)(130)(130')(180) (230)(35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20)(70)(120)(120')(170)(220)(340) 및 제2지지부(30)(80)(130)(130')(180)(230)(350) 사이의 볼록한 중앙부분에 상기 제3지지부(40)(90)(140)(140')(190)(240)(3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50)는,상기 제1지지부(20)(70)(120)(120')(170)(220)(340), 제2지지부(30)(80) (130)(130')(180)(230)(350), 제3지지부(40)(90)(140)(140')(190)(240)(360) 사이에 형성된 중앙공간(51)과,상기 제1지지부(20)(70)(120)(120')(170)(220)(340) 및 제2지지부(30)(80) (130)(130')(180)(230)(350)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중앙공간(51)을 베개 둘레의 공간과 연결하는 제1통로(52)와,상기 제1지지부(20)(70)(120)(120')(170)(220)(340) 및 제3지지부(40)(90) (140)(140')(190)(240)(360)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중앙공간(51)을 베개 둘레의 공간과 연결하는 제2통로(53)와,상기 제2지지부(30)(80)(130)(130')(180)(230)(350) 및 제3지지부(40)(90) (140)(140')(190)(240)(360)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중앙공간(51)을 베개 둘레의 공간과 연결하는 제3통로(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50)는,팔죽지를 상기 제1통로(5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팔뚝을 제2통로(53)와 제3통로(54)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통로(52)측 중앙공간(51)에 비해 상기 제3지지부(40)(90)(140)(140')(190)(240)(360)측 중앙공간(51)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지지부(70)(120)(120')(170), 제2지지부(80)(130)(130')(180), 제3지지부(90)(140)(140')(190)가 상기 베개몸체(60)(110)(110')(160)에 대해 착탈되도록 이들 사이에 착탈수단(100)(150)(150')(2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100)은,상기 제1지지부(70), 제2지지부(80), 제3지지부(90)에 각각 형성된 제1착탈돌부(71), 제2착탈돌부(81), 제3착탈돌부(91)와,상기 제1착탈돌부(71), 제2착탈돌부(81), 제3착탈돌부(91)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개몸체(60)에 각각 형성된 제1착탈홈(61), 제2착탈홈(62), 제3착탈홈(6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150)(150')은,상기 제1지지부(120)(120'), 제2지지부(130)(130'), 제3지지부(140)(140')의 일면에 각각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121)(121'), 제2가이드돌기(131)(131'), 제3가이드돌기(141)(141')와,상기 제1가이드돌기(121)(121'), 제2가이드돌기(131)(131'), 제3가이드돌기(141)(141')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개몸체(110)(110')에 각각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제1가이드돌기(121)(121'), 제2가이드돌기(131)(131'), 제3가이드돌기(141)(141')가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제1가이드홈(111)(111'), 제2가이드홈(112)(112'), 제3가이드홈(113)(1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200)은,상기 제1지지부(170), 제2지지부(180), 제3지지부(190)에 각각 형성된 제1벨크로화스너(171)들과,상기 제1벨크로화스너(171)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베개몸체(160)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제1벨크로화스너(171)들에 착탈되는 제2벨크로화스너(181)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220), 제2지지부(230), 제3지지부(240)는,그 내부에 각각 제1수납공간(221), 제2수납공간(231), 제3수납공간(2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납공간(221), 제2수납공간(231), 제3수납공간(241)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그 일면에 각각 다수의 제1통기구멍(222)들, 제2통기구멍(232)들, 제3통기구멍(242)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340), 제2지지부(350), 제3지지부(360)는,일면에 각각 제1착탈돌부(341), 제2착탈돌부(351), 제3착탈돌부(361)가 형성되고 타면에 각각 제1착탈홈(342), 제2착탈홈(352), 제3착탈홈(362)이 형성되어서, 복수의 상기 제1지지부(340)들, 제2지지부(350)들, 제3지지부(360)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거나 분리하여서 베개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4303A KR100856571B1 (ko) | 2007-01-15 | 2007-01-15 | 기능성 양면베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4303A KR100856571B1 (ko) | 2007-01-15 | 2007-01-15 | 기능성 양면베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7122A KR20080067122A (ko) | 2008-07-18 |
KR100856571B1 true KR100856571B1 (ko) | 2008-09-04 |
Family
ID=3982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4303A KR100856571B1 (ko) | 2007-01-15 | 2007-01-15 | 기능성 양면베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657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6129Y1 (ko) | 2011-11-30 | 2013-04-03 | 김봉한 | 유아용 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카시트 및 유모차 |
KR20230082779A (ko) * | 2021-12-02 | 2023-06-09 | 주식회사 고도 | 베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90188A (zh) * | 2014-12-15 | 2015-04-08 | 广西大学 | 午睡枕 |
KR102590003B1 (ko) * | 2021-01-19 | 2023-10-16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술용 목 지지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17049B1 (en) | 2003-09-30 | 2004-11-16 | Raymond F. Hall | Therapeutic pillow |
KR200393585Y1 (ko) | 2005-05-06 | 2005-08-24 | 이용수 | 등베개 |
-
2007
- 2007-01-15 KR KR1020070004303A patent/KR1008565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17049B1 (en) | 2003-09-30 | 2004-11-16 | Raymond F. Hall | Therapeutic pillow |
KR200393585Y1 (ko) | 2005-05-06 | 2005-08-24 | 이용수 | 등베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6129Y1 (ko) | 2011-11-30 | 2013-04-03 | 김봉한 | 유아용 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카시트 및 유모차 |
KR20230082779A (ko) * | 2021-12-02 | 2023-06-09 | 주식회사 고도 | 베개 |
KR102563803B1 (ko) * | 2021-12-02 | 2023-08-09 | 주식회사 고도 | 베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7122A (ko) | 2008-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82474A1 (en) | Structure improvement of the pillow | |
US20090211030A1 (en) | Multi-function cervical pillow | |
JP2012090982A (ja) | 枕 | |
KR200321358Y1 (ko) | 건강베개 | |
KR100856571B1 (ko) | 기능성 양면베개 | |
US20060075563A1 (en) | Nursing aid | |
KR200486642Y1 (ko) | 경추 보호용 베개 | |
US6845534B1 (en) | Support pillow | |
KR100982116B1 (ko) |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머리받침베개 | |
JP3111334U (ja) | 快眠枕 | |
KR20050074386A (ko) | 목 맛사지 기능을 갖는 베개 | |
JP5569637B1 (ja) | 枕 | |
KR20230064167A (ko) | 베개 구조체 | |
JP3154485U (ja) | 背当て体 | |
WO2009044956A1 (en) | Pillow | |
KR101557145B1 (ko) |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 |
CN115191782A (zh) | 弹性模块平衡垫、弹性垫和家具 | |
KR20220114172A (ko) | 분할형 쿠션 | |
KR101895003B1 (ko) | 기능성 베개 | |
KR100867651B1 (ko) | 베개 | |
KR100877424B1 (ko) | 쿠션 있는 돌 매트리스 침대 | |
JP2020031780A (ja) | 枕 | |
KR20180050772A (ko) |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 |
JP2000023813A (ja) | 枕 | |
JP6584191B2 (ja) | 体位補助エア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