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772A -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772A
KR20180050772A KR1020160147187A KR20160147187A KR20180050772A KR 20180050772 A KR20180050772 A KR 20180050772A KR 1020160147187 A KR1020160147187 A KR 1020160147187A KR 20160147187 A KR20160147187 A KR 20160147187A KR 20180050772 A KR20180050772 A KR 20180050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ide face
shoulder
support por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옥
Original Assignee
정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옥 filed Critical 정병옥
Priority to KR102016014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0772A/ko
Publication of KR2018005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제1지지부의 뒷머리 지지대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부 흉추를 포함한 경추부분 지지대를 형성하고, 경추부분 지지대의 저면에 일정 규격의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에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부재를 선택 삽입, 장착하고, 제1지지부의 상면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방향에 제1지지부 보다 높게 일체로 형성된 옆머리(옆얼굴)가 놓이는 제2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어깨와 접촉되는 전면에 어깨 수용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옆얼굴(옆머리) 지지부의 상면에 옆얼굴(옆머리)의 돌출된 귀와 광대뼈 그리고 좁은 턱의 뒷부분에 위치한 하악각이 수용되는 함몰부를 형성하여 옆얼굴(옆머리)의 돌출부가 수용되는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옆얼굴(옆머리)의 압박과 턱의 내려앉음이 방지되어, 보다 쾌적하고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WITH ADJUSTABLE FUNCTION}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체형과 수면습관, 그리고 경추질환의 상태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잠을 자면서 뒤척이는 수면 자세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높고 낮은 2단 높이로 구성되고, 제1지지부의 경추지지대 저면에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소재를 선택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상면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갖추어지고, 제2 지지부의 전면은 어깨 수용 함몰부를 형성하고, 제2 지지부의 상면은 옆얼굴의 돌출부인 귀와 광대뼈 및 하악각이 수용되어 옆얼굴의 돌출부에 압박이 방지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질이 좋은 수면을 취하여, 쌓인 피로를 쉽게 풀어주고, 질환으로 인한 고통을 줄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예전엔 주머니에 솜이나 볏집 왕겨 씨앗 등을 넣어 사용했으나,
근래 들어 개발된 신소재인 메모리폼이나 라텍스 등은 형태를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가 있어, 다양한 기능의 베개가 보급되고 있다.
수면 자세에 따라, 바로 누울 때는 낮게, 옆으로 누울 때는 높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베개는 물론, 뒷목의 형태에 맞게 목 지지부는 높고 뒷머리 지지부는 낮게 구성한 베개 등 아주 다양하다.
그럼에도 사람의 체격이나 수면습관에는 개개인의 차이가 많고, 질환으로 인한 특수한 조건도 있어 자신에게 딱 맞는 베개를 찾기는 쉽지 않다.
잠을 자면서 높이가 맞지 않으면, 자신도 모르게 손을 받치거나 베개를 반으로 접어 베기도 하고, 이불을 끝은 뭉쳐 베기도 한다.
또한, 옆으로 누우면 아래쪽 어깨는 머리 쪽으로 치우치고, 위쪽 어깨는 하체 쪽으로 치우쳐, 바닥과 어깨선(L)이 빗각을 이룬다.
또한, 머리의 압력으로 베개의 전면 중간부가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된다.
베개와 접촉되는 아래쪽 어깨가 베개를 밀어 올려, 얼굴의 하단, 즉 아래턱 지지부가 빈약해진다.
그렇잖아도 턱이 좁아 지지조건이 불안정한 상태다.
한편, 목은 관절로 연결되어 있어 충격에 예민하고 현대 문화의 이기인 컴퓨터, 휴대폰, 운전 등, 고정된 자세로의 장시간 업무로 인해, 목 근육의 경직으로 인한 질환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질환에는 푹신한 소재의 베개가 편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딱딱한 소재의 베개가 편한 사람도 있다.
이런 목적의 하나로 딱딱한 베개가 편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로 도1에 도시된 실용신안 20-0460523과 같이 단단한 소재인 나무나 수지로 이루어진 목베개(a neck pillow)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실용신안 10-1513962호에 따른 목베개(a neck pillow)의 사시도이다.
그러나 단단한 소재의 베개는 혈관, 신경, 피부 등을 압박하여 건강에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피부 접촉감이 좋지 않고, 옆으로 누웠을 때, 편히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할 때, 옆얼굴(옆머리)엔 귀와 광대뼈가 돌출되어 있어 옆얼굴에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턱은 좁은 반면, 턱의 뒷부분인 하악각이 돌출되어 있어, 얼굴의 옆면이 불균형으로 옆얼굴의 하부가 앞으로 숙여지고 턱이 아래쪽으로 내려앉게 된다.
턱을 포함한 옆얼굴이 앞으로 숙여지고 턱이 내려앉으면 침을 흘려 비위생적이고 수면이 불편하다.
이에, 턱이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고자 손을 받쳐보지만, 이내 손이 저리고 아파서 손은 빼내고 받치기를 되풀이하게 되어 불편함을 물론, 목이 뒤틀어져 경추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런 불편을 해소 시키고자 본 출원인이 제안한 등록특허 10-1513962 기능성베개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2는 등록특허 10-1513962호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러나 등록특허 10-1513962호의 베개는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베개의 본체인 쿠션체의 아랫면에 위치하여 베개 위에서는 높이조절 부위를 벗어난, 다른 부위에까지 조절의 영향을 미쳐 소기의 기능이 실현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옆으로 누웠을 때, 베개에 대한 어깨의 간섭을 해소하는 구조가 마련되지 않아, 베개가 밀려 올라가 턱 지지부가 빈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옆얼굴(옆머리)의 돌출된 귀와 광대뼈 등에 압박을 줄이고자 연질의 쿠션체가 충진된 완충부를 형성하였으나 효과가 미미하여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바로 누웠을 때, 제1지지부의 경추 지지부를 사용자의 체격과 수면습관 그리고 질환의 상태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옆으로 누웠을 때, 어깨의 간섭 요인을 제거해서 어깨와 베개가 최대한 밀착되어 턱의 받침부를 최대한 확보하고, 옆얼굴(옆머리)의 귀와 광대뼈 하악각 등의 돌출 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시
키고, 좁은 턱을 받쳐 올려, 옆얼굴(옆머리)의 평형을 유지시켜 바른 자세를 취함으로써 편한 수면을 취하고, 경추질환을 예방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의 수단으로 안출된 것으로
정자세로 수면 시, 제1지지부의 경추 부분 지지대의 저면에 일정 규격의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에 삽입할 경도 및 탄성이 다른 부재를 복수개 구비, 사용자가 자신의 조건에 맞는 부재를 선택 장착 사용하고, 제1지지부(10)의 상면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 구조를 갖춰, 사용자가 자신의 조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 사용함으로써 안정된 수면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의 어깨와 접촉되는 부분에, 어깨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베개 전면 하단부를 안쪽으로 함몰되게 어깨 수용 함몰부를 형성하고, 옆얼굴이 놓이는 제2 지지부의 상면에 옆얼굴의 돌출된 귀와 광대뼈 하악각에 가해지는 압박을 줄이는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는 좁은 턱을 포함한 옆얼굴의 가장자리를 받쳐주어, 옆얼굴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턱의 뒤쪽에 위치한 하악각이 베개 전면 돌출부에 면접 수용되고, 좁은 턱은 돌출부 위에 얹혀, 옆얼굴(옆머리)의 앞뒤가 수평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베개 전면 어깨 수용 함몰부의 상단 돌출부와, 베개 상면 함몰부의 전면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어깨와 하악각 간을 일정 간격 이격 유지시켜, 턱의 내려앉음이 방지되고, 옆얼굴(옆머리)의 이탈이 방지되어, 상기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이 해결되는 기능성 베개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바로 눕든 옆으로 눕든, 몸통과 머리가 인체구조적인 수평을 이루게 되어 안정된 수면자세를 이루게 된다.
또한, 사용자마다 다른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경추부분 지지대의 저면에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쿠션 부재를 선택 사용하고,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에게 맞는 높이로 조절, 쾌적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목받침부와 뒷머리 받침부의 높이를 따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경추곡선을 조절, 환부의 자극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옆으로 누울 때 사용하는 제2 지지부는 베개에 대한 어깨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어깨의 형태에 맞게, 어깨 수용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어깨와 베개가 밀착되어, 턱과 베개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옆얼굴 하부가 안정되게 지지되어, 옆으로의 수면자세가 안정되게 유지되고, 옆얼굴의 돌출된 귀와 광대뼈 그리고 하악각 등이 수용되도록 옆얼굴(옆머리)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서, 옆얼굴에 가해지게 되는 압박을 최소화 시키는 효과가 있고, 함몰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는 좁은 턱을 포함하여 옆얼굴(옆머리)의 가장자리를 지지함으로서, 옆얼굴(옆머리)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시키고, 옆얼굴(옆머리)의 이탈이 방지되어, 옆으로 수면자세가 안정되게 유지되어 쾌적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등록 신용신안 20-0460523의 사시도,
도2는 등록특허 10-1513962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10) 상면의 뒷머리 지지대와 경추부분 지지대를 분할,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10) 경추부분 지지대(12)의 저면에 형성된 중공부(51)에 물성이 다른 경추지지 부재(33)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3에 도시된 제1지지부(10) 상면의, 뒷머리 지지대와 경추부분 지지대(10)를 분할, 높이가 조절된 상태와: 도4에 도시된 제1지지부(10)의 경추부분 지지대의 저면에 형성된 중공부(51)에 물성이 다른 부재(52)가 삽입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의 뒷머리 지지대(11)와 경추부분 지지대(12)를 분할 사용자의 조건에 맞게 높이가 조절되고, 제1지지부 경추부분 지지대(12)의 저면에 형성된 중공부(51)에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경추지지 부재(52)가 삽입 장착된 제1지지부에,
바로 누운 자세의 뒷머리와 경추가 놓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20)의 어깨 밀착 함몰부(23)에 어깨가 수용되고, 제2 지지부 상면의 귀와 광대뼈 그리고 하악각이 제2 지지부의 상면 함몰부(21)에 수용되고, 함몰부(21)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23)에 옆얼굴(옆머리)이 안정되게 올려지고, 어깨와 하악각이 이격되어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지지부(10) 상면에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기능성 베개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 제1지지부(10)의 경추 부분 지지대(12)의 저면에 형성된 중공부에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경추지지 부재(52)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지지부(10) 경추 지지대(12)의 저면에 형성된 중공부(51)에 물성이 다른 부재(52)가 장착되고, 제1 지지부의 상면에 높이가 조절되고, 제2지지부의 어깨 수용 함몰부와 상면에 옆머리의 돌출 부위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10) 경추 지지대(12)의 저면에 형성된 중공부(51)에 물성이 다른 부재(52)가 장착되고, 제1 지지부 상면의 높이가 조절된 베개에 사용자가 정자세로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지지부(10)는 사용자가 정자세로 수면 시, 베개 상면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뒷머리가 올려져 안착 지지되는 일정 두께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뒷머리 지지대((11)와, 뒷머리 지지대(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흉추상부를 포함하는 경추부분 지지대(12)로 형성된다.
제1지지부(10)는 정자세로 수면 시, 뒷머리가 놓이게 되는 뒷머리 지지대(11)는 일정 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뒷머리 지지대(11)에 사용자의 뒷머리가 올려져 안착 지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상부 흉추를 포함한 경추의 형태에 맞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뒷목의 형태에 맞게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몸통과 머리가 인체 구조적인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3 및 도4 그리고, 도6에서와 같이 제1지지부(10)의 경추 부분 지지대(12)의 저면에, 경추의 형태와 같이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경도나 탄성이 다른 경추지지부재(52)를 선택, 장착할 수 있는 중공부(51)를 형성하고, 상기 경추 부분 지지대(12)의 저면에 형성된 중공부(51)에 삽입된 부재(52)가 이탈되지 않도록 중공부(51)의 개방구(53) 양단에 경추지지부재(52)의 이탈을 방지하는 경추지지부재 이탈 방지막(54)을 형성한다.
상기 중공부(51)는 사용자의 체격 및 수면습관과 경추질환의 상태에 맞는 미리 준비된 경추지지부재(52)를 선택, 삽입 장착 사용함으로써, 안정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어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경추는 무거운 머리가 올려 있을 때와, 머리의 압박에서 벗어나 누워 있을 때, 그리고 잠이 들기 전과 잠이 들어 근육의 긴장이 이완 되었을 때, 경추의 휘어진 상태가 달라진다.
이때, 경추 곡선의 변화에 따라 경추를 신축적으로 지지할 필요가 있는데, 사용자의 체격 및 수면 습관, 그리고 질환의 상태에 따라 경도 및 탄성의 요구되는 조건이 다르다.
또한, 근래 들어 컴퓨터, 휴대폰, 자동차 운전 등 문명의 이기 사용으로 목이 고정된 자세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목 근육이 경직되어 경추의 형태가 변형된 거북목(일자목)증후군 등의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렇듯 목 근육이 경직되어 경추가 변형된 경우, 가변성이 높은 푹신한 소재의 베개에서는 수면 중의 조그만 움직임에도 경추 곡선이 달라져 고통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면 중에 경추곡선이 변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피부 접촉감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가변성이 높은 쿠션층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통상 관절로 이루어진 부위는 푹신한 소재에서는 그대로 놓이게 되지만
단단한 소재에서는 소재의 표면을 따라 배열되게 된다.
따라서, 바르지 못한 자세 등으로 어그러진 경추가 단단한 소재의 베개에 놓이면 베개의 표면에 따라 경추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1에 도시된 20-0460523관 같은 단단한 나무나 수지로 형성된 경추지지 목베개(a neck pillop)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목재나 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된 베개는 혈관이나 미세 신경 등을 압박하여 피부 접촉감이 나쁘고, 옆으로의 수면에 편한 구조를 형성할 수 없어, 수면 중,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경추지지부재(52)의 윗면이 쿠션체(12)로 덮여있어 피부 접촉감이 좋음은 물론, 옆으로 자세의 수면에 편한 제2 지지부(20)를 형성할 수 있어 안정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도와 탄성이 다른 경추지지부재(52)를 사용자가 자신의 조건에 맞는 것을 선택해서 장착 사용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수면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 경추질환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바로 누운 수면 자세의 높이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많고, 경추 곡선도 차이가 많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제1지지부(10)의 뒷머리 지지대(11)와 경추부분 지지대(12)의 높이를 따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높이조절 수단(30)은 제1지지부(10)를 천으로 이루어진 밴드(31)를 두르고, 상기 천으로 이루어진 밴드(31)의 제1지지부(10) 상면 뒷머리 지지대(11)와 경추부분 지지대(12)의 경계선상에 구획날개(32)를 설치하여 높이조절 부재(33) 수납공간을 구획하여 높이조절부재(33) 수납위치를 분할함으로써 뒷머리 지지대(11)와 경추부분 지지대(12)의 높이를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높이조절부재(33)는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획날개(32) 의해 구획된 제1 지지부(10) 상면의 뒷머리 지지대(11)와 경추부분 지지대(12)에 적층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재(33)는 유연성이 좋은 소재로써 경추지지대(12) 상면의 곡선에 따라 밀착 고정되게 된다.
고정부재(34)는 제1 지지부(10)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구획날개(14)의 일측에 부착됨으로써 제1 지지부(10) 상면에 배치된 높이조절부재(33) 수납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20)의 어깨삽입 함몰부(21)에 어깨가 수용되고, 제2지지부(20) 상면의 함몰부(22)에 귀와 광대뼈 그리고
하악각이 수용되고, 함몰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23) 옆머리(옆얼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7에 도시된 제2 지지부(20)의 상면 일측면 함몰부(22)에 옆얼굴(옆머리)의 귀와 광대뼈 그리고 하악각이 수용되고, 턱을 포함한 옆얼굴(옆머리)의 가장자리가 함몰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에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7과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람이 옆으로 누우면, 허리는 좁고, 어깨는 넓은 관계로, 어깨 윗선 어깨선(L)이 빗각을 이루어, 베개가 위쪽(머리 쪽)으로 밀려나, 바닥 쪽 어깨의 턱 밑부분이 베개와 밀착되지 않아, 턱 부분의 지지구조가 빈약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 지지부(20)의 어깨와 접촉되는 베개 전면의 중, 하단부를 어깨의 형태에 맞게 안쪽으로 함몰되게 형성하여, 베개와 어깨가 밀착될 수 있도록 어깨 수용 함몰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어깨 수용 함몰부(21) 상단은 돌출되게 형성하여 후술하게 될 베개 상면의 전면 돌출부(25b)와 함께 어깨와 하악각 간에 일정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 턱받침(25)이 형성되게 된다.
도7과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지지부(20)의 상면에는, 옆얼굴의 돌출된 귀와 광대뼈 및 하악각에 대응되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규격의 함몰부(22)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의 옆얼굴(옆머리) 수용 함몰부(22)의 둘레를 따라 돌출부(23)가 형성된다. 상기의 제2지지부의 상면 함몰부(22)는 옆얼굴(옆머리)에 돌출된 귀와 광대뼈 그리고 하악각이 수용되어 압박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옆얼굴의 하단인 입이 위치한 전면은 좁고, 하악각이 위치한 후면은 넓어, 옆으로 눕게 되면, 입 쪽의 전면이 아래로 숙여져 침을 흘리는 등 비위생적이고, 수면이 불편함은 물론, 목이 뒤틀어지게 되어 목 건강에도 좋지 않다. 따라서 상기의 돌출부(23)는 좁은 턱을 포함하여 옆얼굴(옆머리)의 가장자리를 받쳐주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 2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함몰부(22)에 하악각이 상기에서 적시한 어깨 수용 함몰부(21) 상단의 돌출부(21b)와 상면의 전면 돌출부(25b)가 일체로 형성된 턱받침(25) 안쪽 면에 면접 수용되고, 하악각의 하단 턱부분은 턱받침(25) 위에 놓이게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옆얼굴 하단의 앞뒤가 수평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의 턱받침(25)은 어깨와 하악각과의 사이에 배치되게 되어 어깨와 하악각 간에 일정한 간격을 이격시켜, 옆으로 수면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옆얼굴(옆머리)이 놓이는 앞뒤의 세로 돌출부(24)는 옆얼굴(옆머리)의 이탈을 방지하고 옆얼굴(옆머리)이 안정되게 놓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전면 돌출부의 내면 각은 하악각이 걸치기에 용이하고, 피부 접촉에 이질감이 최소화되도록 40~50도로 하고, 돌출부가 목을 자극하지 않는 길이로 제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기능성 베개
10 : 제1지지부
11 : 뒷머리 지지대
12 : 경추부분 지지대
30 : 높이조절 수단
31 : 높이조절 밴드
32 : 구획날개
33 : 높이조절부재
34 : 고정부재
50 : 경추지지 수단
51 : 물성이 다른 쿠션부재 장착 중공부
52 : 물성이 다른 경추지지부재
53 : 개방구
54 : 경추지지부재 이탈 방지막
20 : 제2 지지부
21 : 어깨 수용 함몰부
22 : 귀 광대뼈 하악각 수용 함몰부
23 : 옆얼굴(옆머리) 돌출부
24 : 옆얼굴(옆머리) 이탈 방지막
25 : 이격 턱받침

Claims (8)


  1. 정자세의 사용자 뒷머리가 안착되는 뒷머리 지지대와, 상기 뒷머리 지지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방으로 만곡지게 이루어진 경추부분 지지대로 이루어진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 경추지지대의 저면에 경도 및 탄성이 다른 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 상면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춘 기능성베개; 상기 제1지지부 좌우에 제1지지부와 일체로 옆얼굴(옆머리)이 놓이도록 돌출 형성된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전면의 중. 하부에 어깨 삽입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면에 옆얼굴(옆머리)의 귀와 광대뼈 그리고 하악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옆얼굴(옆머리) 돌출부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면 함몰부 상단과 상면 함몰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전방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어깨와 턱을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턱받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베개.
  2. 상기 제1지지부의 경추부분 지지대의 저면에 일정규격의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베개.
  3. 상기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 삽입 장착할 경도 및 탄성이 다른 복수개의 경추지지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4.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경추부분 지지대의 저면 중공부가 배치된 위치에 상기의 경도 및 탄성이 다른 부재를 경도별 또는 탄성별로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베개.
  5.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상면 경추지지대와 뒷머리지지대의 경계선상에 제1지지부의 상면 영역을 구획하는 한쌍의 구획 날개와; 상기 한 쌍의 구획날개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지지부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는 높이조절 부재와; 상기 구획날개가 형성된 제1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구획날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6. 상기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제1지지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두께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가 복수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7.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재2지지부 함몰부의 상면에 옆얼굴(옆머리)의 돌출된 귀와 광대빼, 하악각에 대응되는 일측에 옆얼굴(옆머리)의 돌출된 귀와 광대빼, 하악각이 수용되는 함몰부를 형성하고, 턱을 포함한 옆얼굴 가장자리가 함몰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 위에 놓이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베개.
  8.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제2 지지부의 전면의 어깨 수용 함몰부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와 제2지지부 상면의 전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일체로 어깨와 하악각 사이에 배치되어, 어깨와 하악각 사이를 일정 간격을 이격 유지시키는 이격 턱받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베개.
KR1020160147187A 2016-11-06 2016-11-06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KR20180050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187A KR20180050772A (ko) 2016-11-06 2016-11-06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187A KR20180050772A (ko) 2016-11-06 2016-11-06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772A true KR20180050772A (ko) 2018-05-16

Family

ID=6245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187A KR20180050772A (ko) 2016-11-06 2016-11-06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07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037B1 (ko) * 2021-11-23 2022-07-05 (주)엠아이알 목과 머리받침이 편안함을 제공하는 목베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183A (ko) * 2008-02-28 2009-09-02 문형근 숙면용 베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09457A (ko) * 2013-07-16 2015-01-26 현희숙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KR101513962B1 (ko) * 2014-01-10 2015-04-21 정병옥 기능성 베개
KR20160032065A (ko) * 2016-03-07 2016-03-23 주식회사 티앤아이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KR200480002Y1 (ko) * 2014-09-04 2016-04-01 주식회사 세진티엘에스 숙면베개
KR101635472B1 (ko) * 2015-01-22 2016-07-01 (주)아이에이치파트너스 기능성 베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183A (ko) * 2008-02-28 2009-09-02 문형근 숙면용 베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09457A (ko) * 2013-07-16 2015-01-26 현희숙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KR101513962B1 (ko) * 2014-01-10 2015-04-21 정병옥 기능성 베개
KR200480002Y1 (ko) * 2014-09-04 2016-04-01 주식회사 세진티엘에스 숙면베개
KR101635472B1 (ko) * 2015-01-22 2016-07-01 (주)아이에이치파트너스 기능성 베개
KR20160032065A (ko) * 2016-03-07 2016-03-23 주식회사 티앤아이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037B1 (ko) * 2021-11-23 2022-07-05 (주)엠아이알 목과 머리받침이 편안함을 제공하는 목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8810C (en) Pillow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US8997285B2 (en) Arm protector head rest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WO2011078150A1 (ja) 気道拡張用具及びこれを備えた気道拡張ユニット
KR100978285B1 (ko) 숙면용 베개
CA2479135A1 (en) Pillow
KR10236440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US20150366381A1 (en) Pillow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0982080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20180080808A (ko) 라운드형 베개
KR102109986B1 (ko) 기능성 날개 베개
KR100982116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머리받침베개
US20080271247A1 (en) Under Head Pillow
KR101930643B1 (ko) 베개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20180050772A (ko)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EP3449777A1 (en) Pillow
KR101149574B1 (ko) 경추 및 척추 지지 베개
KR102405680B1 (ko)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JPH0723840A (ja)
KR20180077894A (ko) 다기능 베개 조립체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KR102503206B1 (ko) 베개
KR102102538B1 (ko)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