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962B1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962B1
KR101513962B1 KR1020140003201A KR20140003201A KR101513962B1 KR 101513962 B1 KR101513962 B1 KR 101513962B1 KR 1020140003201 A KR1020140003201 A KR 1020140003201A KR 20140003201 A KR20140003201 A KR 20140003201A KR 101513962 B1 KR101513962 B1 KR 10151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head
support portion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옥
Original Assignee
정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옥 filed Critical 정병옥
Priority to KR1020140003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정자세의 사용자 뒷머리가 올려져 안착 지지되는 뒷머리 지지대와, 상기 뒷머리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뒷머리 지지대에 사용자의 뒷머리가 안착 지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목뼈 부분을 지지하는 목뼈 부분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방향에 상기 제1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옆머리가 올려져 안착 지지되는 옆머리 지지대와, 상기 옆머리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아래턱뼈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는 턱받이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목뼈 부분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정자세 사용자의 상부 등뼈 부분이 안착 지지되는 등뼈 부분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목뼈 부분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등뼈 부분 지지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목뼈 하단 및 등뼈 상단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정자세에서도 사용감이 향상되도록 하면서도 목뼈 C자 곡선의 변형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목뼈 부분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등뼈 부분 지지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목뼈 하단 및 등뼈 상단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쿠션에 의한 정자세에서도 사용감이 향상되도록 하면서도 목뼈 C자 곡선의 변형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폼 베개 사용자의 머리(얼굴) 측면 구조가 광대뼈 아래의 아래턱뼈(하악골) 하단부 즉, 머리(얼굴)의 볼 부분이 턱 끝으로 가면서 좁아진다. 따라서 종래의 평평한 베개 상면에 머리의 측면을 올려놓는 측면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 광대뼈 아래의 아래턱뼈(하악골)의 하단부 즉, 턱 끝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좁은 턱 부분의 볼과 베개 사이에는 공간이 생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평평한 메모리 폼 베개 상면에 옆으로 누워 측면자세로 있다 보면 광대뼈 아래의 아래턱뼈(하악골)의 하단부 즉,턱 끝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좁은 턱 부분의 볼과 베개 사이에 공간이 생겨 들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베개 사용자가 무심코 종래의 평평한 베개 상면과 아래턱뼈(하악골)의 하단부 좁은 턱 사이 공간에 손을 넣어 받치게 되는데 이는 머리가 수평으로 놓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베개 사용자가 손을 빼면 머리가 수평으로 놓여있지 못하고 아래턱뼈(하악골)의 하단부 좁은 턱 쪽이 숙여져 침을 흘리게 되어 비위생적이고 목도 따라서 틀어지게 되는데 이는 목뼈(경추뼈)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수면도 불편하게 된다.
도1은 종래 베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베개(M)는 옆으로 누워 측면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경우 아래턱뼈(하악골)의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는 수단이 전혀 없어 잠이 들어 인체의 긴장이 풀리면 아래턱뼈(하악골)의 하단부 좁은 턱 쪽이 숙여지면서 무거운 몸통과 연접해 있는 목뼈(경추뼈 부분)가 측방으로 휘어지고 틀어져 경추질환의 원인이 되고, 숙면을 방해받고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장기간 정자세로 숙면을 취하는 사람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하게 되는 경우 종래의 평평한 베개와 아래턱뼈 하단부 사이의 빈 공간에 손을 집어넣어 받침에 따라 손과 아래턱뼈 부분이 서로 눌려져서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자주 뒤척이게 되어 숙면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베개는 옆으로 돌아서 누울 때는 머리가 베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어 베개로부터 머리가 이탈되거나 옆머리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져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제안한 등록특허 10-1056654호 "기능성 베개"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2는 등록특허 10-1056654호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록특허 10-1056654호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정자세의 머리가 올려져 안착 지지되는 목뼈 부분 지지대(122)와 머리지지대(124)로 구비된 제1 지지부(120)와, 제1 지지부(120)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머리의 측면이 올려져 안착되며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머리의 아래턱뼈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는 턱받이부(133)가 돌출 형성된 제2 지지부(130) 및 제1 지지부(120)와 제2 지지부(130)를 감싸는 쿠션(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등록특허 10-1056654호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사용자가 정자세로 누워 수면을 취할 때 뿐 아니라 옆으로 누워 측면자세로 수면을 취할 때에도 아래턱뼈의 하단부를 받쳐주어 머리가 평행을 유지해 안정되게 놓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10-1056654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제1지지부(120)와 제2지지부(130)의 높이차에 의해 제1지지부의 상면과의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가 올려지면 머리무게에 제1 지지부(120)와 맞닿게 되나, 쿠션(110)의 인장력과 신축성으로 제1 지지부(120)에 고루 면접되지 못해 경추의 정렬이 바로 이루어지지 않고 변형되어 불편하고 강한 인장력과 신축성이 머리에 전해져 거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지지부와 대응되는 쿠션(110)의 상면에 사용자의 머리를 올리고 누우면 머리무게에 제1 지지부(120)와 맞닿게 되어 제2지지부(130)를 감싸고 있든 쿠션(110)의 가장자리가 당겨져 제2지지부(130)의 양쪽 가장자리가 노출되어 턱받이(133) 및 머리이탈 방지턱이 외부로 노출되어 얼굴에 압박되어 자국이 생기고 접촉감이 나뿐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제품이 일체화 되지 않은데서 기인한 것으로 제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많았다.
그리고, 등록특허 10-1056654호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사용자가 정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경우 목뼈 부분 지지대(122)에 의해 목뼈를 지지하나, 목뼈 하단과 어깨 윗선이 같은 위치에 있어 옆으로 누울 때 베개의 하단부가 어깨의 윗선 끝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바로 누울 때, 어깨선 아래에 위치한 등뼈 상단 부분이 바닥면에 지지되지 못하여 등뼈 상단과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 이러한 공간에 의해 목뼈의 C자 곡선이 변형되고, 목 근육이 긴장되어 피로가 누적됨에 따라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등록특허 10-1056654호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하나의 포켓 속에서 지지블럭을 적층하여 높이를 조절하였는 바, 몸을 뒤척이는 과정에서 지지블럭이 이동하여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몸통과 머리의 수평이 유지되지 못해 옆으로 자세의 균형이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목뼈 부분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등뼈 부분 지지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목뼈 하단 및 등뼈 상단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정자세에서도 사용감이 향상되도록 하면서도 목뼈 C자 곡선의 변형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획날개를 통해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의 저면을 구획하고 구획된 일측에 높이 조절부재를 배치하여 몸을 뒤척이는 과정에서 높이조절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한 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몸통과 머리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여 자세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정자세의 사용자 뒷머리가 올려져 안착 지지되는 뒷머리 지지대와, 상기 뒷머리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뒷머리 지지대에 사용자의 뒷머리가 안착 지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목뼈 부분을 지지하는 목뼈 부분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방향에 상기 제1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옆머리가 올려져 안착 지지되는 옆머리 지지대와, 상기 옆머리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아래턱뼈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는 턱받이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목뼈 부분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정자세 사용자의 상부 등뼈 부분이 안착 지지되는 등뼈 부분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등뼈 부분 지지대는 일측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일측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두께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영역을 구획하는 한 쌍의 구획날개와, 상기 한 쌍의 구획날개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구획날개가 형성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구획날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옆머리 지지대는 사용자의 옆머리가 안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귀와 대응되는 일측 내부에 완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방향에 상기 제1 지지부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고,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옆머리가 올려져 안착지지되는 옆머리 지지대와, 상기 옆머리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아래턱뼈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되, 상기 옆머리 지지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턱받이부 및 상기 옆머리 지지대와, 상기 턱받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동일한 재질로 상기 제1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목뼈 부분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등뼈 부분 지지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목뼈 하단 및 등뼈 상단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정자세에서도 사용감이 향상되도록 하면서도 목뼈 C자 곡선의 변형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지지부에 사용자의 뒷머리가 지지되더라도 턱받이 및 머리이탈 방지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접촉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획날개를 통해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의 저면을 구획하고 구획된 일측에 높이 조절부재를 배치하여 몸을 뒤척이는 과정에서 높이조절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한 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몸통과 머리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여 자세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메모리 폼 베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2는 등록특허 10-1056654호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분해사시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6은 도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 및 등뼈 부분 지지대에 사용자의 뒷머리, 목뼈 및 등뼈가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에 사용자의 옆머리 및 아래턱뼈 하단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기능성 베개의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5는 도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6은 도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는 제1 지지부(10)와, 제2 지지부(20)와, 등뼈 부분 지지대(30) 및 높이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지지부(10)는 정자세의 사용자 뒷머리가 올려져 안착지지되는 뒷머리 지지대(11)와, 뒷머리 지지대(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목뼈 부분 지지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정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경우 사용자의 뒷머리를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목뼈 부분, 즉 경추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몸과 머리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뒷머리 지지대(11)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 뒷머리의 안착영역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뒷머리가 안착되는 경우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목뼈 부분 지지대(12)는 뒷머리 지지대(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뒷머리 지지대(11)에 사용자의 뒷머리가 안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목뼈와 등뼈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휘어진 사용자의 목뼈와 등뼈 부분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제2 지지부(20)는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옆머리가 올려져 안착 지지되는 옆머리 지지대(21)와, 옆머리 지지대(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턱받이부(22) 및 옆머리 지지대(21)와 턱받이부(22)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피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측면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경우 사용자의 옆머리를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아래턱뼈 하단부를 받쳐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측면자세로 수면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몸과 머리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여 안정되게 함으로써 피로감이 감소되어 측면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가 목이 틀어지지 않고 침을 흘리지 않으며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옆머리 지지대(21)는 앞서 설명한 뒷머리 지지대(11)와 같이 일정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뒷머리 지지대(11)의 측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옆머리가 안착될 수 있는 옆머리 안착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옆머리가 안착되는 경우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옆머리 지지대(21)는 상면 둘레를 따라 머리이탈 방지턱(21a)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측면 자세로 수면중인 사용자의 머리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수면 중 사용자의 머리가 옆머리 지지대(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옆머리 지지대(21)는 사용자의 옆머리가 안착 지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귀와 대응되는 일측에 홈(h)을 형성하고, 홈의 내부에 연질의 완충부(21b)를 충진함으로써 일측에 사용자의 옆머리가 안착지지되더라도 사용자의 귀가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옆머리 지지대(21)는 사용자가 측면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가 몸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사용자의 어깨길이와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턱받이부(22)는 옆머리 지지대(21)와 같이 일정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옆머리 지지대(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옆머리 지지대(21)에 사용자의 옆머리가 지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아래턱뼈 하단부를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측면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와 몸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턱받이부(22)는 아래턱뼈 하단부 좁은 턱 부분이 면접되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상면이 옆머리 지지대(21)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외피부(23)는 옆머리 지지대(21)와, 턱받이부(22)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제1 지지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외피부(23)는 제1 지지부(10)와 동일한 재질, 즉 연질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측면 자세로 수면중인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등뼈 부분 지지대(30)는 목뼈 부분 지지대(1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하되 양쪽 어깨뼈 사이의 등뼈 상단 부분의 윤곽에 맞게 반달형으로 형성하여 등뼈 상단 부분 및 목뼈 하단 부분이 베개와 밀착,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정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의 목뼈 하단과 등뼈 상단이 지지되지 못함으로 목뼈의 변형과 목 근육이 긴장되어 피로감이 누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등뼈 부분 지지대(30)는 목뼈 부분 지지대(12)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2 지지부(20)에 옆머리를 지지한 상태, 즉 측면상태로 수면을 취하는 경우 사용자의 어깨가 목뼈 부분 지지대(12)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수단(40)은 제1 지지부(10) 및 제2 지지부(2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구획날개(41)와, 제1 지지부(10) 및 제2 지지부(20)의 저면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높이조절부재(42)와, 제1 지지부(10) 및 제2 지지부(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구획날개(41)의 일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지지부(10)의 뒷머리 지지대(11) 및 목뼈 부분 지지대(12), 제2 지지부(20)의 옆머리 지지대(21) 및 턱뼈지지부의 높이와 각도를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최적의 숙면을 위한 높이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획날개(41)는 제1 지지부(10) 및 제2 지지부(20)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각각 한 쌍이 형성되어 제1 지지부(10) 및 제2 지지부(20)의 저면영역을 반으로 구획하여 후술하는 높이조절부재(42)의 수납위치를 분할함으로써 제1 지지부(10)의 뒷머리 지지대(11) 및 목뼈 부분 지지대(12), 제2 지지부(20)의 옆머리 지지대(21) 및 턱뼈지지부의 높이와 각도를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높이조절부재(42)는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획날개(41)에 의해 구획된 제1 지지부(10)의 저면 일측 및 제2 지지부(20)의 저면 일측에 배치되어 배치된 영역과 대응되는 제1 지지부(10) 및 제2 지지부(2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4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 및 제2 지지부(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구획날개(41)의 일측에 부착됨으로써 제1 지지부(10) 및 제2 지지부(20)의 저면에 배치된 높이조절부재(42)의 수납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 및 등뼈 부분 지지대에 사용자의 뒷머리, 목뼈 및 등뼈가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에 사용자의 옆머리 및 아래턱뼈 하단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의 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정자세로 누웠을 때 제1 지지부(10)의 뒷머리 지지대(11)에 사용자의 뒷머리가 안착 지지되고, 목뼈 부분 지지대(12)에 사용자의 목이 지지된다.
이때, 사용자의 등뼈 상단과 바닥면 사이에 등뼈 부분 지지대(30)가 위치하면서 등뼈 부분 지지대(30)가 사용자의 등뼈 상단을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목뼈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서 눕게 되면 사용자의 옆머리가 외피부(23)를 통해 옆머리 지지대(21)에 안착지지되고, 머리(얼굴) 측면 광대뼈 하부의 아래턱뼈(하악골) 부분 또한 외피부(23)를 통해 턱받이부(22)에 받혀지면서 사용자의 머리와 몸이 수평을 유지해 안정되게 놓이게 됨으로써 피로감이 감소되어 측면 자세로 수면을 취하더라도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지지부(10) 및 제2 지지부(20)의 저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재(42)의 두께 또는 적층갯수를 통해 뒷머리 지지대(11), 목뼈 부분 지지대(12), 옆머리 지지대(21) 및 턱받이부(22)의 높이 및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해 사용자의 체형 또는 수면 취향에 따라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기능성 베개의 단면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9 내지 도11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3 내지 도8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제2 지지부(20)가 외피부(23)없이 중경도폼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목뼈 하단과 등뼈 상단의 모양과 관계없이 용이하게 등뼈 부분 지지대(30)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목뼈 하단과 등뼈 상단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제2 지지부(20)에서 외피부(23)가 생략되고, 옆머리 지지대(21)와 턱받이부(22)가 중경도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지되, 중경도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지는 옆머리 지지대(21)와 턱받이부(22)가 제1 지지부(1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에게 보다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본실시 예에서는 등뼈 부분 지지대(30)의 상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절개선(31)이 형성되는데, 이는 개개인마다 등뼈 상부의 형태가 현격히 다르고 등뼈와 목뼈는 곡률이 다르며 체압을 받는 비율이 목뼈 부분 지지대(12) 보다 등뼈 부분 지지대(30)가 현저히 낮아 사용자의 목뼈 하단 및 등뼈 상단의 형태에 따라 그 형상이 유연하게 변형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등뼈 부분 지지대(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절개선(31)이 형성되어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뼈 상단 형상에 따라 각 절개선(31)을 기준으로 벌어지면서 등뼈 상단의 형상과 관계없이 사용자의 등뼈 상단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기능성 베개 10 : 제1 지지부
11 : 뒷머리 지지대 12 : 목뼈 부분 지지대
20 : 제2 지지부 21 : 옆머리 지지대
21a : 머리이탈 방지턱 21b : 완충부
22 : 턱받이부 23 : 외피부
30 : 등뼈 부분 지지대 31 : 절개선
40 : 높이조절수단 41 : 구획날개
42 : 높이조절부재 43 : 고정부재

Claims (6)

  1. 정자세의 사용자 뒷머리가 올려져 안착 지지되는 뒷머리 지지대와, 상기 뒷머리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뒷머리 지지대에 사용자의 뒷머리가 안착 지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목뼈 부분을 지지하는 목뼈 부분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방향에 상기 제1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옆머리가 올려져 안착 지지되는 옆머리 지지대와, 상기 옆머리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아래턱뼈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는 턱받이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목뼈 부분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정자세 사용자의 상부 등뼈 부분이 안착 지지되는 등뼈 부분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등뼈 부분 지지대는 일측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일측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두께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영역을 구획하는 한 쌍의 구획날개와;
    상기 한 쌍의 구획날개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구획날개가 형성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구획날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옆머리 지지대는 사용자의 옆머리가 안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귀와 대응되는 일측 내부에 완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방향에 상기 제1 지지부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고,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옆머리가 올려져 안착지지되는 옆머리 지지대와;
    상기 옆머리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옆으로 누운 측면자세의 사용자 아래턱뼈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되, 상기 옆머리 지지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턱받이부; 및
    상기 옆머리 지지대와, 상기 턱받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동일한 재질로 상기 제1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140003201A 2014-01-10 2014-01-10 기능성 베개 KR10151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01A KR101513962B1 (ko) 2014-01-10 2014-01-10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01A KR101513962B1 (ko) 2014-01-10 2014-01-10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962B1 true KR101513962B1 (ko) 2015-04-21

Family

ID=5305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201A KR101513962B1 (ko) 2014-01-10 2014-01-10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9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262B1 (ko) * 2015-08-07 2017-05-02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웰빙용 베개
KR20180004513A (ko) 2016-07-04 2018-01-12 공재철 기능성 베개
KR20180050772A (ko) * 2016-11-06 2018-05-16 정병옥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KR102364405B1 (ko) * 2021-05-27 2022-02-18 이동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JP7087057B1 (ja) 2020-12-25 2022-06-20 株式会社オークローンマーケティン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363A (ko) * 2008-06-24 2010-01-06 김대영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101056654B1 (ko) * 2011-03-21 2011-08-18 정병옥 기능성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363A (ko) * 2008-06-24 2010-01-06 김대영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101056654B1 (ko) * 2011-03-21 2011-08-18 정병옥 기능성 베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262B1 (ko) * 2015-08-07 2017-05-02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웰빙용 베개
KR20180004513A (ko) 2016-07-04 2018-01-12 공재철 기능성 베개
KR20180050772A (ko) * 2016-11-06 2018-05-16 정병옥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JP7087057B1 (ja) 2020-12-25 2022-06-20 株式会社オークローンマーケティング
JP2022102055A (ja) * 2020-12-25 2022-07-07 株式会社オークローンマーケティング
KR102364405B1 (ko) * 2021-05-27 2022-02-18 이동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WO2022250329A1 (ko) * 2021-05-27 2022-12-01 이동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8810C (en) Pillow
KR101513962B1 (ko) 기능성 베개
EP2736385B1 (en) Arm protector head rest
US11596247B2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101056654B1 (ko) 기능성 베개
KR10236440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JP2012245312A (ja) 整形用枕
KR100982080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100961620B1 (ko) 가슴받침대를 구비한 안면베개
KR101559482B1 (ko) 기능성 베개
KR101635472B1 (ko) 기능성 베개
KR100982116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머리받침베개
KR101684211B1 (ko)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KR101626126B1 (ko) 기능성 베개
KR101418696B1 (ko) 베개
KR101784975B1 (ko) 서로 다른 사이즈의 체형에 사용될 수 있는 듀얼 베개
JP3221696U (ja)
KR20170074496A (ko) 기능성 베개
KR102088842B1 (ko) 다기능 허리베개
KR102629541B1 (ko) 수면자세 맞춤기능 교정 베개
RU1613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ы при сидении
KR20180050772A (ko)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KR101574902B1 (ko) 가슴받침 안면 베개 겸용 디스크 감압견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