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145B1 -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145B1
KR101557145B1 KR1020130083184A KR20130083184A KR101557145B1 KR 101557145 B1 KR101557145 B1 KR 101557145B1 KR 1020130083184 A KR1020130083184 A KR 1020130083184A KR 20130083184 A KR20130083184 A KR 20130083184A KR 101557145 B1 KR101557145 B1 KR 10155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user
height
sp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781A (ko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김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태 filed Critical 김정태
Priority to KR102013008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145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내부 충진물(20)을 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사용자의 인위적인 다단 적층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수직 높이를 갖도록 구현하고, 사용자의 후두부뿐만 아니라 뒷목 또한 동시에 지지하면서 요추의 안락한 상태를 도모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특성이 부여된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100)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후두부를 신축성 있게 지지하는 충진물(20)과, 충진물을 외부로부터 은폐 수용하기 위한 외피(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진물(20)은 사용자의 뒷목 내지 후두부에 면 접촉되는 메모리 폼(21);과,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개별 분할 형성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인위적인 다단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수개의 지지체(22);를 상호 조합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HEIGHT CONTROL PILLOW}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개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내부 충진물을 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사용자의 인위적인 다단 적층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수직 높이를 갖도록 구현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후두부뿐만 아니라 뒷목 또한 동시에 지지하면서 요추의 안락한 상태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당 높이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특성이 부여된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베개는 각기 다른 크기와 높이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편안한 잠자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사람의 인체는 제각기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개인이 추구하는 가장 이상적이고 안락한 높이의 베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각자가 선호하는 높이에 맞추어 베개를 사용하고 있지만, 한 번 만들어진 베개는 그 높이가 일정하여 부득이하게 타인이 사용하게 될 경우 또 다른 불편함이 호소될 수 있으며, 때론 대상 베개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서 최초 높이에 비해 그 두께가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바, 우리는 불편함을 무릅쓰고라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변화가 많은 건강 리듬은 잠자리에서 베개의 높낮이 조절을 요구하지만 기존의 고정식 베개로는 그 욕구를 충족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흔히 베개를 반으로 접거나 다른 물건을 이용해서 높낮이를 조절하고 있다. 예컨대, 가정을 떠나 다른 곳에서(예: 호텔, 친척이나 친구의 집) 잠을 자게 되는 경우는 베개의 높낮이가 자신의 취향에 맞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장시간 누워 생활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는 더더욱 그러하다.
근래 들어 우리가 일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고정식 베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의 베개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66415호 "높이조절이 용이한 베개"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선등록 고안을 포함한 베개에 관련된 타 기술사상은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또 다른 부가 구성을 취해야하므로 제조단가의 부담이 높을 뿐 아니라, 그 수단 역시 기계적인 기술요소가 가미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안락함을 요하는 베개의 특성을 퇴색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별도의 부가수단 없이도 베개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취향에 적합하도록 구조 변경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토록 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사용자의 안락함을 위하여 후두부뿐만 아니라 요추를 일괄적으로 지지하여 줌으로써 코골이 내지 기타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그리고, 상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개별 구획 편성되는 충진물에 대해 서로 긴밀한 결속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신축성 있게 지지하는 충진물(20)과, 충진물을 외부로부터 은폐 수용하기 위한 외피(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진물(20)은 사용자의 뒷목 내지 후두부에 면 접촉되는 메모리 폼(21);과,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개별 분할 형성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인위적인 다단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수개의 지지체(22);를 상호 조합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외피(10)는 제1공간부(11)와 제2공간부(12)로 구획 편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11)는 복수 개 이상 적층 배치된 지지체(22)와 지지체 상측으로 메모리 폼(21)을 일괄 수용하여 밸크로(30)에 의해 봉합되고, 상기 제2공간부(12)는 복수 개 이상 선택된 지지체(22)를 적층 수용하여 밸크로(30)로 봉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22)는 하나 이상의 요철부를 돌출 형성한 상면;과 하나 이상의 요홈을 요철부와 대응되게 함몰 형성한 하면;으로 이루어져 상하 적층 배치되는 수개 지지체간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는 별도의 부가수단 없이 다단 적층이 이루어지는 충진물의 개수 선택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취향에 적합한 구조 변경을 채택하여 각기 다른 체형을 가진 사용자 모두에게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락함을 위하여 후두부뿐만 아니라 요추를 일괄적으로 동시에 지지하여 줌으로써 코골이 내지 기타 질병으로부터 보호되게 하는 것은 물론, 요추를 지지하는 영역의 높낮이 또한 가변이 실시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숙면에 보다 도움을 줄 수 있고, 특히 상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개별 구획 편성되는 충진물에 대해서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부와 요홈을 추가 채용함에 따라 지지체 상호 간에 더욱 긴밀한 결속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어 사용상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베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충진물을 개별 채택하여 사용자 선택에 의한 다단 적층이 구현될 수 있음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외피의 개구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베개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베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충진물을 개별 채택하여 사용자 선택에 의한 다단 적층이 구현될 수 있음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외피의 개구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베개의 사용 상태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베개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내부 충진물(20)을 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사용자의 인위적인 다단 적층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수직 높이를 갖도록 구현하고, 사용자의 후두부뿐만 아니라 뒷목 또한 동시에 지지하면서 요추의 안락한 상태를 도모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특성이 부여된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100)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개(100)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신축성 있게 지지하는 충진물(20)과, 충진물을 외부로부터 은폐 수용하기 위한 외피(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진물(20)은 사용자의 뒷목 내지 후두부에 면 접촉되는 메모리 폼(21);과,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개별 분할 형성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인위적인 다단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수개의 지지체(22);를 상호 조합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종래의 베개는 전통적으로 메밀껍질을 넣어서 되는 것과,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을 넣어서 되는 것, 그리고 마이크로 파이버, 인지오 등 첨단 소재를 넣어서 되는 것 등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사용자의 머리 무게에 따라 눌린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정도의 기능만을 가진다는 단점과, 사람의 체형을 고려하지 않고 일관된 크기 및 높이로만 제공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각기 다른 체형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구조 변경이 이루어지게 해당 베개(100)를 제공함으로써 숙면을 유도하는 등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고자 제안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충진물(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메모리 폼을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충진물을 하나의 일체된 형상이 아닌 수개의 분리형으로 구현하여 다단 적층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바, 사용자는 각자 체형에 맞게 높낮이를 다양하게 조절한 후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불식시킬 수 있다.
상기 외피(10)는 통상의 베개 피와 같은 개념의 것으로서 본 발명의 충진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적정 공간을 제공하고, 이러한 공간은 제1공간부(11)와 제2공간부(12)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의 구성을 양쪽에서 각각 개구되는 형태의 것으로 제작하여 서로 구획 편성된 제1,2공간부(11,12) 내부로 각각 소정의 충진물(20)이 인입되는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경계 영역은 서로 중첩된 상태로 봉합되어 각 공간을 독립된 영역으로 제공하게 되고, 독립된 제1,2공간부로 하여금 수개의 선택된 충진물을 적층 투입한 후 별도의 결합부재, 예컨대 밸크로(30) 등으로 개구 영역을 결합시켜 충진물의 수용 상태가 견고히 보존되게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공간부(11)는 복수 개 이상 적층 배치된 지지체(22)와 지지체 상측으로 메모리 폼(21)을 일괄 수용하여 밸크로(30)에 의해 봉합되고, 상기 제2공간부(12)는 복수 개 이상 선택된 지지체(22)를 적층 수용하여 밸크로(30)로 봉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는 사용자가 베개에 누웠을 경우 후두면 내지 목 뒷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외피(10)의 전후면 또는 저면에 채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이러한 결합부재의 위치 배정으로 인해 그 결속력 또한 외부 간섭에 의해 쉽게 해제되지 않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별도 도시하진 않았으나 각 지지체(22) 간의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지지체 상면에 하나 이상의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요철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을 지지체 하면에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체(22)는 하나 이상의 요철부를 돌출 형성한 상면;과 하나 이상의 요홈을 요철부와 대응되게 함몰 형성한 하면;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해당 요철부가 상측 지지체의 요홈에 끼워지게 구성되므로 상하 적층 배치되는 수개 지지체간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취침 상황에서 불특정 방향에 대해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해당 베개가 무너지거나 외피(10) 내부에서 지지체(22) 상호 간에 분리되지 않도록 적극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100)에 의하면, 별도의 부가수단 없이 다단 적층이 이루어지는 충진물(20)의 개수 선택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취향에 적합한 구조 변경을 채택하여 각기 다른 체형을 가진 사용자 모두에게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락함을 위하여 후두부뿐만 아니라 요추를 일괄적으로 동시에 지지하여 줌으로써 코골이 내지 기타 질병으로부터 보호되게 하는 것은 물론, 요추를 지지하는 영역의 높낮이 또한 가변이 실시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숙면에 보다 도움을 줄 수 있고, 특히 상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개별 구획 편성되는 충진물에 대해서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부와 요홈을 추가 채용함에 따라 지지체 상호 간에 더욱 긴밀한 결속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어 사용상 이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외피 11. 제1공간부
12. 제2공간부 20. 충진물
21. 메모리 폼 22. 지지체
30. 밸크로 100. 베개

Claims (3)

  1. 사용자의 후두부를 신축성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뒷목 내지 후두부에 면 접촉되는 메모리 폼(21) 및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개별 분할 형성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인위적인 다단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수개의 지지체(22)를 포함하는 충진물(20);과, 충진물을 외부로부터 은폐 수용하기 위한 외피(10);로 이루어지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외피(10);는 양측에서 각각 개구되는 형태의 제1공간부(11)와 제2공간부(12)로 구획 편성하면서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경계 영역을 서로 중첩된 상태로 봉합하여 각 공간이 독립된 영역으로 제공되게 하되, 상기 제1공간부(11)는 복수 개 이상 적층 배치된 지지체(22)와 지지체 상측으로 메모리 폼(21)을 일괄 수용하여 밸크로(30)로 봉합되고, 상기 제2공간부(12)는 복수 개 이상 선택된 지지체(22)를 적층 수용하여 밸크로(30)로 봉합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22)는 하나 이상의 요철부를 돌출 형성한 상면;과 하나 이상의 요홈을 요철부와 대응되게 함몰 형성한 하면;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제1,2공간부 내부에서 상하 적층시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2. 삭제
  3. 삭제
KR1020130083184A 2013-07-15 2013-07-15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KR10155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84A KR101557145B1 (ko) 2013-07-15 2013-07-15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84A KR101557145B1 (ko) 2013-07-15 2013-07-15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81A KR20150008781A (ko) 2015-01-23
KR101557145B1 true KR101557145B1 (ko) 2015-10-07

Family

ID=5257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184A KR101557145B1 (ko) 2013-07-15 2013-07-15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62B1 (ko) * 2020-03-20 2020-09-08 이규환 타월을 이용한 높이 조절 c커브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6066B (zh) * 2017-09-19 2019-11-15 河南省洛阳正骨医院(河南省骨科医院) 一种可调节曲度的脊椎治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364B1 (ko) * 2007-06-21 2008-06-19 혜진 리 코리아 안면 쿠션
KR101056654B1 (ko) * 2011-03-21 2011-08-18 정병옥 기능성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364B1 (ko) * 2007-06-21 2008-06-19 혜진 리 코리아 안면 쿠션
KR101056654B1 (ko) * 2011-03-21 2011-08-18 정병옥 기능성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62B1 (ko) * 2020-03-20 2020-09-08 이규환 타월을 이용한 높이 조절 c커브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81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79981B (zh) 颈部支撑枕头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JP7290888B2 (ja) 高低調節まくら
JP2012090982A (ja)
KR200484694Y1 (ko)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US20140345055A1 (en) Multiply adjustable orthopedic pillow
KR200321358Y1 (ko) 건강베개
KR101444056B1 (ko) 기능성 베개
US20160100701A1 (en) Pillow
KR101557145B1 (ko)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KR102152448B1 (ko) 숙면 유도용 기능성 베개
KR20150028552A (ko) 경추교정 및 코골이 개선에 효과적인 자가 높이 조절식 기능성 숙면 베개
KR100856571B1 (ko) 기능성 양면베개
US20210353080A1 (en) Functional pillow
JP2003052509A (ja)
KR101488605B1 (ko) 기능성 베개
KR20220001874A (ko) 높이 및 경사가 조절 가능한 다용도 베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101584A (ko) 높이 조절용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KR101942470B1 (ko) 개선된 신체 적합도를 갖는 기능성 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100867651B1 (ko) 베개
WO2018103068A1 (zh) 一种床垫
JP3244891U (ja) スプリングパックを有するシートランバーサポート及びシート
KR200329572Y1 (ko) 높이 조절용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KR102639636B1 (ko) 경추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